KR101894188B1 -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188B1
KR101894188B1 KR1020170056754A KR20170056754A KR101894188B1 KR 101894188 B1 KR101894188 B1 KR 101894188B1 KR 1020170056754 A KR1020170056754 A KR 1020170056754A KR 20170056754 A KR20170056754 A KR 20170056754A KR 101894188 B1 KR101894188 B1 KR 10189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clinical
hospital
participating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랑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06Q50/24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임상연구를 관리하는 시스템과 병원 정보 시스템과의 연계에 있어서, 임상연구 참여 환자가 병원을 내원하는 경우에 해당 사실을 임상연구 관리자, 보호자 또는 관련 기관 등 에 알려주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참여중인 임상연구의 종류, 방문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 등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고, 알림의 수신자 범위를 다르게 지정하는 임상연구 관리 시스템에 연관된다.

Description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ALARM AND REPORT SYSTEM FOR ADVERSE EVENTS OF CLINICAL TRIALS BASED ON HOSPITAL MEDICAL RECORD SYSTEMS}
병원 정보 시스템 과 임상연구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임상연구 참여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거나 입원하는 경우 해당 사실을 임상연구 관리자, 보호자 또는 관련 기관 등 에 알리는 임상연구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종래에는 일반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al Medical Record, EMR)에 대한 관리와 병원 예약과 관련되는 알림 시스템이 존재하였다. 반면에 임상연구 환자가 병원에 입원 또는 내원하는 경우에는 연구자가 이 사실을 인지할 수 없고, 연구 환자의 자진신고에 의해서 해당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중대한 이상 반응(Serious Adverse Event, SAE) 또는 이상 반응(Adverse Event, AE)의 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해당 기관으로 전달하기 어려웠다.
임상시험 관련 이상반응 인지 및 보고 체계는 전세계적으로 강화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추세에 맞춰 국내외 다수의 임상시험 참여 기관들이 관련 기술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임상 연구 환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환자가 병원 방문시 상기 저장부에 임상 연구 환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전송부로 알림 명령을 전송하는 판단부 및 미리 지정되는 관리자 단말 또는 기관에 상기 환자의 방문 사실을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임상 연구 환자를 연구 종류, 성별, 연령대 또는 이상 반응 발생 위험도 그룹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방문 환자에게 미리 지정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전송부로 상기 이벤트 발생 알림 명령을 전송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미리 지정되는 이벤트의 종류는 이상 반응, 중대한 이상 반응, 부정적 약물 반응, 중대한 부정적 약물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미리 지정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알림 대상을 다르게 지정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가 임상 연구 환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판단부가 환자의 병원 방문시 상기 저장부에 임상 연구 환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전송부로 알림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부가 미리 지정되는 사람 또는 기관에 상기 환자의 방문 사실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임상 연구 환자를 연구 종류, 성별, 연령대 또는 이상 반응 발생 위험도 그룹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방문 환자에게 미리 지정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전송부로 상기 이벤트 발생 알림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지정되는 이벤트의 종류는 이상 반응, 중대한 이상 반응, 부정적 약물 반응, 중대한 부정적 약물 반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미리 지정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알림 대상을 다르게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방법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내원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내원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내원 알림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알림 범위 결정 블록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발생 이벤트 별 알림 범위를 설정하는 경우에 발생 알림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화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환자가 내원시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이 임상연구 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내원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다.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은 판단부(110), 저장부(120) 및 전송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판단부(110)는 저장부(120) 및 전송부(130)와 연결되어 있다.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구조로서, 환자의 방문시에 상기 저장부(120)에서 일치하는 임상연구 환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송부(130)에 알림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판단부(110)가 임의의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는 경우에 임상연구 환자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임의의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 또는 입원 접수를 하는 경우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되는데, 상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임상연구 환자 목록과 대조를 하고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임상연구 환자 목록은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판단부(110)는 임상연구 환자인지 여부만은 판단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원시 환자의 진료 후 상태 등을 고려하여 알림의 범위를 결정하는 판단도 수행할 수 있다. 알림의 범위를 결정하는 판단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120)는 임상연구 환자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에는 임상연구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생년월일, 참가중인 연구, 연구 시작일 및 종료일, 진행상태 등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정보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상연구 환자의 연구 진행에 관한 정보이면 저장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120)는 임상연구 환자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저장도 가능하다. 임상연구 환자를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참여중인 연구의 종류, 환자의 연령대, 내원 사유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참여중인 연구의 종류로 구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간암 치료제, 에이즈(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연구 등으로 구분되어 해당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로 분류하여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임상연구 관리자의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임상연구 환자가 방문시 해당 연구의 관리자 단말에 알림을 보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임상연구 관리자의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상연구 관리자에는 책임 연구자(Principal Investigator, PI)와 임상연구 간호사(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CRC)가 있으며, 추가적으로 임상시험 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락처는 임상연구 관리자의 직장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 전자메일 주소 등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락 가능한 수단의 연락처이면 된다.
전송부(130)는 임상연구 관리자 단말에 알림을 보내는 장치이다. 판단부(110)에 의해 알림 명령을 전송 받게 되면 해당 알림을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임상연구 관리자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상기 임상연구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단부(110)가 임상연구 환자의 내원 사실을 임상연구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알림 명령을 전송하면, 상기 전송부(130)는 임상연구 간호사의 휴대폰 번호로 다음과 같은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Web발신] [임상연구환자] 과제번호 2014-0001 홍길동(44725489)님이 2017년 7월 13일 03시 55분에 서울아산병원 응급실 내원하였습니다."
위 문자메시지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문 사유, 방문 병원의 위치, 임상연구 환자의 연락처 등이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메일로도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임상연구 간호사의 전자메일 주소로 다음과 같은 전자메일을 발송할 수 있다.
"제목: 임상연구환자 방문 알림
내용: 과제번호 2014-0001 홍길동(44725489)님이 2017년 7월 13일 03시 55분에 서울아산병원 응급실 내원하였습니다.
(본 메일은 시스템에 의한 발신 전용 메일이므로 회신이 불가능합니다.)"
위 전자메일은 예시적이므로 상기 문자메시지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방문 사유, 방문 병원의 위치, 임상연구 환자의 연락처 등이 포함되는 전자메일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내원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다.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은 단일 병원에서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모든 병원에 통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복수의 병원(210), 판단부(220), 저장부(230) 및 전송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병원(210)은 각각 개별적인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통합형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A병원에서 임상연구에 참가중인 환자가 B병원에 방문하는 경우에도 B병원의 방문 알림 시스템에 의해 A병원의 임상연구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합형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을 통해 임상연구 환자인지 여부를 검색하고 알림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합형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A병원의 임상연구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임상연구 환자가 반드시 임상연구에 참가하고 있는 특정 병원이 아닌 임의의 병원, 예를 들어 환자 주소지 근처의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에도 임상연구 관리자가 환자의 내원 사실에 대한 신속한 파악이 가능하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내원 알림 흐름도이다. 임의의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에 판단부의 판단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환자의 내원 알림 과정은 환자의 병원 방문 단계(310), 환자정보 입력 단계(320), 저장부의 연구환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단계(330), 일치 환자 존재 여부 판단 단계(340), 방문 알림 단계(350)를 거쳐 종료(360)된다.
환자의 병원 방문 단계(310)는 임의의 방문객이 병원에 내원하는 과정이다. 상기 임의의 방문객은 임상연구 환자일 수 있으나 임상연구 환자가 아닐 수도 있다. 임의의 방문객은 임상연구 환자인 경우 임상연구 참여중인 병원에 갈 수 있으나, 주소지 부근의 임의의 병원에 방문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
환자정보 입력 단계(320)는 상기 임의의 방문객이 병원을 방문하고 진료 또는 입원을 접수하는 과정에서 신상 정보 등을 입력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의의 방문객에 대한 이름, 나이, 생년월일, 성별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의 연구환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단계(330)는 상기 환자정보 입력 단계(320)에서 입력 받은 정보를 토대로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연구환자 데이터베이스 중 일치하는 환자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이다. 병원에 방문하는 임의의 방문객이 본인이 임상연구에 참여 중이라는 사실을 망각하거나 굳이 공개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검색을 수행한다.
일치 환자 존재 여부 판단 단계(340)에서는 일치 환자의 유무에 따라 단계가 나뉘어 진다. 일치 환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문한 임의의 방문객은 임상연구 환자 이므로 판단부는 해당 임상연구 관리자에게 방문 알림을 수행한다. 따라서 방문 알림 단계(350)로 이동하고, 알림이 완료되는 경우 절차는 종료(360)된다,
반면에 일치 환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방문한 임의의 방문객은 임상연구 환자가 아니므로 별도의 알림이 필요하지 않고, 절차는 그대로 종료(360)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알림 범위 결정 블록도이다. 임상연구 환자의 방문뿐만 아니라, 상기 임상연구 환자에게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의 알림은 연구환자 이벤트 발생 단계, 이벤트 종류 구분 단계, 알림 범위 결정 단계 및 전송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연구환자 이벤트 발생 단계는 연구환자가 병원의 방문에 따라 진료를 진행하는 단계에서 특정 사건이 발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원 방문 이유가 증상의 악화인 경우에 증상의 악화가 상기 연구환자의 이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응급실을 방문하여 응급 수술 과정에서 신체 특정 부위의 절단 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연구환자의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이벤트 종류 구분 단계이다. 이벤트는 그 심각성에 따라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중대한 이상 반응(Serious Adverse Event, SAE), 이상 반응(Adverse Event, AE) 및 기타(etc)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세분화 하여 종류를 구분할 수도 있다.
알림 범위 결정 단계는 이벤트 종류 구분에 따라 이벤트 발생 사실을 알릴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대한 이상 반응(SAE)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임상연구 간호사(CRC), 책임 연구자(PI) 및 임상시험 심사위원회(IRB)에 모두 알리도록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 반응(AE)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임상연구 간호사(CRC) 및 책임 연구자(PI)에게 알리도록 결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타(etc)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임상연구 간호사(CRC)에게만 알리도록 결정할 수 있다.
최종 전송 단계는 상기 알림 범위 결정 단계에서 결정되는 범위에 따라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이다. 판단부는 알림 범위에 해당하는 관리자에게 연구환자 이벤트 발생 사실을 알리게 된다. 전송의 방법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 또는 전자메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성메시지 등을 포함하여 연락 가능한 수단이면 족하다.
알림의 대상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임상연구 간호사, 책임 연구자 및 임상시험 심사위원회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문 환자와 동일한 연구에 참가중인 다른 환자의 단말에도 알림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임상 연구 참여 환자가 복용중인 약물에 의해 중대한 부정적 약물 반응(SADR)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이 사실을 동일 연구 참여 환자에게도 전송하여 약물 복용 중단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임상연구 참여 환자의 보호자에게도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임상연구 참여 환자가 미성년자이거나,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성년후견인인 경우에 보호자 또는 후견인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발생 이벤트 별 알림 범위를 설정하는 경우에 발생 알림 흐름도이다. 예시적으로 각 이벤트의 경우를 분류하고, 그에 따라 알림 범위가 설정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상 반응(AE) 또는 부정적 약물 반응(Adverse Drug Reaction)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임상연구 간호사(CRC) 및 책임 연구자(PI)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고, 중대한 이상 반응(SAE) 또는 중대한 부정적 약물 반응(Serious Adverse Drug Reaction)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임상연구 간호사, 책임 연구자 및 임상시험 심사위원회(IRB)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기타(etc) 반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임상연구 간호사에게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알림의 대상이 사람인 경우에는 상기 대상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화면(600)이다. 동작 화면(600)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든 임상연구에 대한 목록을 표시하는 부분(610)과 특정 임상연구의 세부 내용을 표시하는 부분(620)과 임상연구 참여 환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6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임상연구 목록을 표시하는 부분(610)에서는 연구번호, 연구 제목, 연구책임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임상연구 목록은 과거에 수행되었던 임상연구와 현재 진행 중 그리고 진행 예정인 임상 연구가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임상연구의 세부 내용을 표시하는 부분(620)은 특정 임상연구의 과제번호, 연구 제목, 연구 기간, 연구 책임자, 상기 연구 책임자의 연락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반드시 한꺼번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세부 내용을 클릭하는 경우에 표시될 수도 있다.
임상연구 참여 환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630)은 상기 임상연구 참여 환자의 고유번호, 환자명, 연구 진행 상태, 연구 참여 시기, 병원 방문 사유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방문객이 내원시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이 임상연구 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임의의 방문객(710)이 병원에 방문하게 되면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720)는 상기 임의의 방문객(710)이 임상연구 환자인지 일반 환자인지를 구분(730)하게 된다. 상기 구분 과정에 의해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시스템(720)는 알림 여부를 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판단부,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판단부(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판단부,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판단부 또는 하나의 판단부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판단부(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적어도 한명의 임상 연구 참여 환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병원에 내원한 방문객이 상기 저장부에 임상 연구 참여 환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전송부로 방문 알림 명령을 전송하는 판단부; 및
    미리 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 또는 기관 단말에 상기 환자의 방문 사실을 전달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임상 연구 참여 환자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문객의 발생 이벤트 종류에 따라 방문 사실의 전송 범위를 결정하는 병원용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정보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방문객에게 이상반응 또는 부정적 약물반응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송부로 제1 이벤트 발생 알림 명령을 전송하고, 중대한 이상반응 또는 중대한 부정적 약물반응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송부로 제2 이벤트 발생 알림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전송부는 임상연구간호사 단말과 책임연구자 단말에 상기 제1 이벤트 발생을 전송하고, 임상연구간호사 단말, 책임연구자 단말 및 임상시험 심사위원회 단말에 상기 제2 이벤트 발생을 전송하는
    병원용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정보 알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임상 연구 참여 환자를 연구 종류, 성별, 연령대 또는 이상 반응 발생 위험도 그룹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병원용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정보 알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방문객이 내원한 병원 및 다른 병원의 임상 연구 참여 환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하는 병원용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정보 알림 시스템.
  5. 삭제
  6. 저장부에 임상 연구 참여 환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판단부가 방문객의 병원 방문시 상기 저장부에 임상 연구 참여 환자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방문객의 발생 이벤트 종류에 따라 방문 사실의 전송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전송부로 결정되는 상기 전송 범위에 대응하여 방문 알림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부가 미리 지정되는 관리자 단말 또는 기관 단말에 상기 방문객의 방문 사실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병원용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정보 알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방문객에게 이상반응 또는 부정적 약물반응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송부로 제1 이벤트 발생 알림 명령을 전송하고, 중대한 이상반응 또는 중대한 부정적 약물반응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송부로 제2 이벤트 발생 알림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부가 임상연구간호사 단말과 책임연구자 단말에 상기 제1 이벤트 발생을 전달하고, 임상연구간호사 단말, 책임연구자 단말 및 임상시험 심사위원회 단말에 상기 제2 이벤트 발생을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병원용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정보 알림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임상 연구 참여 환자를 연구 종류, 성별, 연령대 또는 이상 반응 발생 위험도 그룹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병원용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정보 알림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객이 내원한 병원 및 다른 병원의 임상 연구 참여 환자의 개인정보 및 전자의무기록을 저장하는 단계인 병원용 임상 연구 참여 환자 정보 알림 방법.
  10. 삭제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병원용 환자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56754A 2017-05-04 2017-05-04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 KR101894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754A KR101894188B1 (ko) 2017-05-04 2017-05-04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754A KR101894188B1 (ko) 2017-05-04 2017-05-04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188B1 true KR101894188B1 (ko) 2018-08-31

Family

ID=6340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754A KR101894188B1 (ko) 2017-05-04 2017-05-04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1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646A (ko) 2018-12-27 2020-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상반응 보고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48982B1 (ko) 2019-12-13 2021-05-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rb 관리 시스템
KR102335483B1 (ko) * 2021-01-05 2021-12-06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 안전성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86414B1 (ko) * 2020-11-10 2022-04-15 이희영 임상시험의 위반사항 보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3864A (ja) * 2000-04-28 2006-11-30 Mebix Kk 臨床試験実施管理システム
KR20120086899A (ko) * 2011-01-27 2012-08-06 (주)엠씨씨 진료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3864A (ja) * 2000-04-28 2006-11-30 Mebix Kk 臨床試験実施管理システム
KR20120086899A (ko) * 2011-01-27 2012-08-06 (주)엠씨씨 진료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646A (ko) 2018-12-27 2020-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상반응 보고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48982B1 (ko) 2019-12-13 2021-05-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rb 관리 시스템
KR102386414B1 (ko) * 2020-11-10 2022-04-15 이희영 임상시험의 위반사항 보고 장치 및 방법
KR102335483B1 (ko) * 2021-01-05 2021-12-06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 안전성 관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nshaeifar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for dementia care
US90528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tuational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with patient event monitoring
KR101894188B1 (ko) 병원정보 시스템 기반 임상시험 이상반응 알림 및 보고 시스템
JP2015524956A (ja) 透過的医療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830072A (zh) 将用户角色和用于呈现临床信息、音频、视频和通信控制的情境感知算法进行组合以安全地捕获护理员注意力、减少信息过载并且优化工作流和决策支持的独特方法
EP2191419A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nterprise workflow and information
US118623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accessing of medical data
CA30279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healthcare outcomes based on semantic relationships
US20200143920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care delivery processes
Bozan et al. Revisiting the technology challenges and proposing enhancements in ambient assisted living for the elderly
Vidhyalakshmi et al. Medical big data mining and processing in e-health care
US10741273B1 (en) User friendly medical records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US2017024943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knowledge hub health care solution
Chauhan et al. IoT and Machine Learning-Based Smart Healthcare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s
US20140156307A1 (en) Medical image system
Narang et al. Impact of Industry 4.0 and Healthcare 4.0 for controlling the various challenges related to healthcare industries
US1192306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accessing of drug dispensing systems
KR102144540B1 (ko) 응급 상황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Butt et al. Remote mobile heath monitoring frameworks and mobile applications: Taxonomy, open challenges, motivation, and recommendations
Librelotto et al. Architecture of central monitoring for pervasive homecare systems
EP398100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accessing of drug dispensing systems
KR20230104038A (ko)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Innovations Healthcare Alarm Safety—What We Can Learn from Military Alarm Management Strate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