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828A - 샤워기 - Google Patents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828A
KR20230103828A KR1020220038280A KR20220038280A KR20230103828A KR 20230103828 A KR20230103828 A KR 20230103828A KR 1020220038280 A KR1020220038280 A KR 1020220038280A KR 20220038280 A KR20220038280 A KR 20220038280A KR 20230103828 A KR20230103828 A KR 2023010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nel
coupled
washing liqui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석
Original Assignee
강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석 filed Critical 강신석
Priority to KR102022003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828A/ko
Publication of KR2023010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ozzl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제1유로로 물이 공급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외부에 세정액 유입구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내부의 제2유로가 공간부의 내부를 통해 제1유로의 상단과 연통되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전후로 관통되고, 후단이 공간부와 연통되는 세정액 통로와, 세정액 통로에 결합되고, 거품 발생홀이 전후로 관통된 필터가 구비되는 거품 분사관과, 세정액 유입구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세정액 유입구를 통해 주입시키는 세정액 저장부와,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정액 유입구와 세정액 통로를 연결시키고, 펌핑 구동시 세정액 유입구를 통한 세정액을 세정액 통로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공간부에 구비되어 구동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온(ON)/오프(OFF) 조작을 통해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샤워기{shower device}
본 발명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품 형태의 세정액과 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외부로부터 일정 수압으로 공급되는 물을 여러 줄기로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급수관으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이동시킨 후 토출구를 통해 분사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샤워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 일측에 급수관이 연결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에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손잡이부의 내부를 따라 이동된 물을 전면의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는 헤드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샤워기는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때 한 손으로 샤워기의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급수 밸브를 조작하거나 세정액을 이용해 거품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고, 급수 밸브를 빈번하게 개폐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물이 분사되는 상태로 목욕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털이 많은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경우 샤워기의 물줄기가 털 깊숙이 침투되지 않아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시간이 길어지고, 애완동물의 피부에 남은 세정액을 깨끗하게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6396호(2003년 12월 0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샤워기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품 형태의 세정액과 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샤워기는 내부의 제1유로로 물이 공급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외부에 세정액 유입구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내부의 제2유로가 상기 공간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의 상단과 연통되며,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전후로 관통되고, 후단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세정액 통로와, 상기 세정액 통로에 결합되고, 거품 발생홀이 전후로 관통된 필터가 구비되는 거품 분사관과, 상기 세정액 유입구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유입구를 통해 주입시키는 세정액 저장부와,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액 유입구와 상기 세정액 통로를 연결시키고, 펌핑 구동시 상기 세정액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통로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로 전력을 공급하고, 온(ON)/오프(OFF) 조작을 통해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유로가 후방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커버패널과, 상기 커버패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제2유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전방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며, 전면으로부터 브러쉬가 돌출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가 관통되도록 제1통과홀이 전후로 관통되며, 상기 토출구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제2통과홀이 전후로 관통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거품 분사관이 관통되도록 상기 커버패널의 전후로 관통되는 제1분사홀과, 상기 거품 분사관이 전후로 관통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전후로 관통되는 제2분사홀 및, 상기 거품 분사관을 통과한 상기 세정액이 통과하도록 상기 마감패널의 전후로 관통되는 제3분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가장자리를 전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마감패널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중공이 전후로 관통되는 링 형상의 고정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서 후단이 상기 고정캡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며, 전단으로부터 보조 브러쉬가 돌출되는 링 형상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관통되고, 상기 구동부가 펌핑 구동시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간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충전 전력이 공급되고, 외부의 충전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온(ON)/오프(OFF) 상태를 전환시키고,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샤워기는 내부의 제1유로로 물이 공급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내부의 제2유로가 상기 공간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의 상단과 연통되며,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유로가 후방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며, 전면으로부터 지지돌기가 돌출되는 커버패널과, 상기 커버패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제2유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전방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며, 전면으로부터 브러쉬가 돌출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가 관통되도록 제1통과홀이 전후로 관통되며, 상기 토출구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제2통과홀이 전후로 관통되는 마감패널 및,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브러쉬의 전후로 관통되는 보조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가장자리를 전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마감패널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중공이 전후로 관통되는 링 형상의 고정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패널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단이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측면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유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샤워기는 내부의 제1유로로 물이 공급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내부의 제2유로가 상기 공간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의 상단과 연통되며,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분사되도록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조작홀과, 상기 제1유로의 내부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개방 위치로 이동시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3유로가 상하로 관통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조작홀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의 연결단이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의 조작단이 파지부(100)의 외부로 회전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개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파지부의 외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파지부의 외부 공기를 소통시키는 통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정액이 거품 형태로 분사되므로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때 거품을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물이 급수되는 상태에서 물의 배출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러쉬를 통해 물이 분사되므로 물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애완동물의 털 깊숙이 물을 침투시킬 수 있어 피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 손으로 물과 세정액 토출 상태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개폐 스위치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제1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제1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공기 유입홀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커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커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보조 토출구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보조 토출구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개폐 스위치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일부분을 절개한 상태를 배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제1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제1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공기 유입홀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커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커버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보조 토출구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의 보조 토출구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는 파지부(100)와, 헤드부(200)와, 커버부(300)와, 거품 분사관(400)과, 세정액 저장부(500)와, 구동부(600) 및, 전원 제어부(710)(720)(730)(740)를 포함한다.
파지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파지부(100)의 내부에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제1유로(110)가 형성된다. 제1유로(110)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하부로 관통되고, 제1유로(110)의 단은 후술될 제2유로(301)와 연통된다.
여기서, 파지부(100)의 하부에는 제1유로(11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물 공급관(10)이 결합되고, 파지부(100)의 하단과 물 공급관(10)의 일측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200)는 파지부(100)의 상단에 형성되고, 헤드부(200)의 내부에는 공간부(210)가 형성되며, 공간부(210)의 내부에는 후술될 구동부(600)와 배터리(710)가 설치된다. 여기서 공간부(210)는 헤드부(200)의 전방으로 개방되고, 공간부(210)의 내부에는 후술될 구동부(600)와 배터리(710)가 설치되도록 별도의 구획된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200)의 외부에는 후술될 세정액 저장부(5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세정액 유입구(220)가 구비된다. 세정액 유입구(220)는 헤드부(200)의 상단을 통해 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고, 후술될 세정액 저장부(500)의 입구가 세정액 유입구(22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0)의 상단에는 후술될 세정액 저장부(500)의 입구가 암수로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의 바닥면을 통해 세정액 유입구(220)가 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함홈의 내주면에는 후술될 세정액 저장부(500)의 입구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세정액 저장부(500)의 입구를 결합홈에 밀착시킨 후 세정액 저장부(500)를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세정액 저장부(500)의 입구와 세정액 유입구(220)가 수직하게 연통될 수 있다.
아울러, 공간부(210)와 헤드부(200)의 외부로 관통되고, 후술될 구동부(600)가 펌핑 구동시 외부의 공기(A)를 공간부(210)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될 구동부(600)는 펌핑 구동시 공기 유입홀(240)을 통해 공간부(210)로 유입된 공기(A)와 세정액(W2)을 혼합시켜 세정액 통로(410)로 이동시킨다.
커버부(300)는 헤드부(200)의 전단에 결합되고, 내부의 제2유로(301)가 공간부(210)를 통해 제1유로(101)의 상단과 연통되며, 제2유로(301)로 유입된 물(W1)이 통과하도록 토출구(321)가 전후로 관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00)는 헤드부(200)의 전단에 결합되어 공간부(210)의 전방을 커버하고, 제2유로(301)가 후방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커버패널(310)과, 커버패널(3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커버패널(310)과의 사이에 제2유로(301)를 형성시키고, 제2유로(301)로 유입된 물(W1)이 전방으로 통과되도록 토출구(321)가 전후로 관통되며, 전면으로부터 브러쉬(322)가 돌출되는 전면패널(320) 및, 전면패널(320)의 전면에 결합되고, 브러쉬(322)가 관통되도록 제1통과홀(331)이 전후로 관통되며, 토출구(321)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제2통과홀(332)이 전후로 관통되는 마감패널(330) 및, 헤드부(200)의 전단에 결합되어 마감패널(330)의 가장자리를 전방에서 지지하고, 마감패널(330)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중공이 전후로 관통되는 링 형상의 고정캡(3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거품 분사관(400)이 관통되도록 커버패널(310)의 전후로 관통되는 제1분사홀(311)과, 거품 분사관(400)이 전후로 관통되도록 전면패널(320)의 전후로 관통되는 제2분사홀(323) 및, 후술될 거품 분사관(400)을 통과한 세정액(W2)이 통과하도록 마감패널(330)의 전후로 관통되는 제3분사홀(33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패널(310)은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버패널(310)의 가장자리가 헤드부(200)의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패널(310)은 수분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전면패널(320)은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면패널(320)의 가장자리가 헤드부(200)의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전면패널(320)은 수분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토출구(321)는 커버패널(310)의 전방으로 통과되어 제2유로(301)로 유입된 물(W1)을 전방으로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패널(320)에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전면패널(320)의 후면이 지지돌기(312)의 전단에 지지되므로 전면패널(320)과 커버패널(310)이 지지돌기(312)가 돌출된 길이만큼 위치된다.
브러쉬(322)는 애완동물의 피부와 접촉시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실리콘(silicone) 등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브러쉬(322)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브러쉬(322)의 전단에는 더 작은 직경의 보조 브러쉬가 돌출될 수 있고, 보조 브러쉬는 브러쉬(322)의 전단에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과정에서 브러쉬(322)를 이용해 털을 빗을 수 있고, 보조 브러쉬를 이용해 애완동물의 속털을 빗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보조 브러쉬의 끝단이 애완동물의 피부를 자극할 수 있어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는 도 13과 14에서처럼 제2유로(301)로 유입된 물(W1)이 통과하도록 브러쉬(322)의 전후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토출구(32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토출구(324)는 제2유로(301)로 유입된 물(W1)을 브러쉬(322)의 전방으로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제2유로(301)로 유입된 물(W1)이 보조 토출구(324)와 토출구(321)를 통해 물(W1)이 동시에 분사될 수 있으며, 보조 토출구(324)와 토출구(321)를 통해 물(W1)이 동시에 분사되므로 물(W1)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커버패널(3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단이 전면패널(32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312) 및, 지지돌기(312)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지지돌기(312)의 측면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유입홈(3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312)는 커버패널(310)의 전면에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지지돌기(312)는 브러쉬(322)의 후방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312)의 전단이 전면패널(320)의 후면을 지지하므로, 커버패널(310)과 전면패널(320)이 지지돌기(312)가 돌출된 길이만큼 이격 위치된다.
이때, 커버패널(310)과 전면패널(320)의 사이에 제2유로(301)가 형성되고, 제2유로(301)는 커버패널(310)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공간부(210)로 연장된 후 제1유로(101)의 상단과 연통된다. 즉 제1유로(101)를 통해 유입된 물(W1)은 공간부(210)의 제2유로(301)를 통해 커버패널(310)과 전면패널(320)의 사이에 형성된 제2유로(301)로 유입된다.
유입홈(313)은 보조 토출구(324)의 후방으로 물(W1)이 유입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홈(313)은 지지돌기(312)의 전방으로 개방된다. 즉 유입홈(313)에 의해 지지돌기(312)의 전단이 좁은 면적으로 전면패널(320)의 후면을 지지하므로, 커버패널(310)의 전방으로 유입된 물(W1)이 전면패널(320)의 후방으로 개방된 보조 토출구(324)를 통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마감패널(330)은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마감패널(330)의 가장자리가 헤드부(200)의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마감패널(330)은 수분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마감패널(330)의 제1통과홀(331)을 통해 브러쉬(322)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마감패널(330)의 제2통과홀(332)을 통해 토출구(321)가 전방으로 노출되며, 토출구(321)를 통과한 물(W1)은 제2통과홀(332)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될 수 있다.
고정캡(340)은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고정캡(340)의 가장자리가 헤드부(200)의 전단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캡(340)은 수분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캡(340)의 내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감패널(330)의 가장자리가 걸림턱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캡(340)은 헤드부(200)의 전단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캡(340)의 내주면과 헤드부(200)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캡(34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커버패널(310)과 전면패널(320) 및 마감패널(330)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커버패널(310)의 후방에는 거품 분사관(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분사관 고정패널(362) 및, 분사관 고정패널(362)의 후방에 결합되는 실링부재(361)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관 고정패널(362)은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분사관 고정패널(362)의 가장자리가 헤드부(200)의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패널(310)의 전방에 형성된 제2유로(301)가 커버패널(310)을 통해 공간부(210)로 연장될 수 있도록 절개홀이 전후로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사관 고정패널(362)에는 거품 분사관(400)이 관통되도록 지지홀이 전후로 관통될 수 있다. 지지홀은 거품 분사관(400)의 외주면을 지지하므로 거품 분사관(400)이 흔들림 없이 지지될 수 있다.
실링부재(361)는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실링부재(361)의 가장자리가 헤드부(200)의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10)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패널(310)의 전방에 형성된 제2유로(301)가 커버패널(310)과 분사관 고정패널(362)을 통해 공간부(210)로 연장될 수 있도록 중공이 전후로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361)는 수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실리콘(silicone), 고무(silicone)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실링부재(361)의 내부에는 분사관 고정패널(362)의 후면과 후방의 구조물과 밀착되어 수밀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361)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는 도 11과 12에서처럼 헤드부(200)의 외측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230) 및, 헤드부(200)의 전방에서 후단이 고정캡(340)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고,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돌기(351)가 걸림홈(230)에 대응되게 삽입되며, 마감패널(330)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중공이 전후로 관통되는 커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50)는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단이 헤드부(200)의 전방을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될 수 있으며, 커버(350)는 실리콘(silicone) 등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커버(35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의 내부에 브러쉬(322)가 위치되고, 커버(350)의 전단으로부터 보조 브러쉬(352)가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200)의 전단에 커버(350)를 결합시키는 경우, 커버(350)가 마감패널(330)의 측부를 커버하므로, 마감패널(330)의 전방으로 분사되는 물(W1)과 후술될 세정액(W2)이 측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35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된 보조 브러쉬(352)를 이용해 애완동물의 털을 빗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보조 브러쉬(352)의 끝단이 애완동물의 피부를 자극할 수 있어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거품 분사관(400)은 커버부(300)의 전후로 관통되고, 후단이 공간부(210)와 연통되는 세정액 통로(410)와, 세정액 통로(410)의 내부에 결합되고, 거품 발생홀(421)이 전후로 관통된 필터(420)가 구비된다.
여기서, 거품 분사관(400)의 전단은 커버패널(310)의 제1분사홀(311)과 전면패널(320)의 제2분사홀(323)을 통해 전방으로 관통되고, 거품 분사관(400)의 전방에 마감패널(330)의 제3분사홀(333)이 동일 선상으로 위치된다. 즉 거품 분사관(400)의 후방으로 유입된 세정액(W2)이 거품 분사관(400)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거품 분사관(400)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세정액(W2)이 제3분사홀(333)을 통해 마감패널(330)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필터(420)는 세정액(W2)을 통과시키면서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세정액 통로(410)의 내부 또는 거품 분사관(400)의 전단에 결합되고, 세정액(W2)이 통과되도록 다수의 거품 발생홀(421)이 전후로 관통된다. 여기서 세정액 통로(410)의 후방으로 유입된 세정액(W2)은 거품 발생홀(42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거품 형태로 변한다.
예를 들어, 후술될 구동부(600)를 구동시키는 경우 거품 분사관(400)의 전방을 통해 거품 형태의 세정액(W2)이 배출되고, 거품 분사관(400)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세정액(W2)이 제3분사홀(333)을 통해 마감패널(33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물(W1)과 거품 형태의 세정액(W2)을 함께 토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정액 저장부(500)는 세정액 유입구(220)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W1)을 세정액 유입구(220)를 통해 주입시킨다. 여기서 세정액 저장부(500)는 내부의 수용공간(510)에 수용된 세정액(W2)의 용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세정액 저장부(500)의 일측에는 세정액(W1)을 투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세정액 저장부(500)의 입구와 세정액 유입구(220)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즉 세정액 저장부(500)의 입구를 결합홈에 밀착시킨 후 세정액 저장부(500)를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세정액 저장부(500)의 입구와 세정액 유입구(220)가 수직하게 연통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세정액 저장부(500)의 수용공간(510)에 수용된 세정액(W2)을 거품 분사관(400)의 세정액 통로(410)로 강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600)는 공간부(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정액 유입구(220)와 세정액 통로(410)를 연결시키고, 펌핑 구동시 세정액 유입구(220)를 통한 세정액(W2)을 세정액 통로(410)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구동부(600)는 압력을 발생시켜 유체를 이동시키는 펌프(pump)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600)의 외부에는 세정액 유입구(220)와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세정액(W2)이 전달되는 제1포트(610)와, 공기 유입홀(240)과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A)가 유입되는 제2포트(620) 및, 세정액 통로(410)와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로 흡입된 세정액(W2)을 세정액 통로(410)의 후방으로 전달하는 제3포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600)를 펌핑 구동시키는 경우 도 8에서처럼 세정액 저장부(500)의 수용공간(510)에 수용된 세정액(W2)이 세정액 유입구(220)를 통해 구동부(600)의 제1포트(610)로 유입됨과 동시에 공기 유입홀(240)을 통해 공간부(210)로 외부의 공기(A)가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부(600)를 통해 제3포트(630)로 배출되는 세정액(W2)이 세정액 통로(410)의 후방으로 강제 유입된다.
이후, 세정액 통로(41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세정액(W2)은 필터(420)의 거품 발생홀(421)을 통과하면서 거품 형태로 변하고, 거품 분사관(400)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거품 형태의 세정액(W2)이 제3분사홀(333)을 통해 마감패널(33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구동부(600)의 펌핑 압력을 이용해 거품 형태의 세정액(W2)을 토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원 제어부는 구동부(600)로 전력을 공급하고, 온(ON)/오프(OFF) 조작을 통해 구동부(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 제어부는 공간부(210)에 구비되는 배터리(710)와, 공간부(210)에 구비되어 배터리(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720)과, 회로기판(7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710) 충전 전력이 공급되고, 외부의 충전 커넥터(미도시)가 접속되도록 파지부(100) 또는 헤드부(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C 타입 등, 730) 및, 회로기판(7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온(ON)/오프(OFF) 상태를 전환시키고, 파지부(100) 또는 헤드부(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 스위치(7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터리(710)와 회로기판(720)은 물(W1)이 접촉되지 않도록 제2유로(301)와 구획된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파지부(100) 또는 헤드부(200)의 일측에는 접속단자(73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충전용 홀이 개방될 수 있으며, 충전용 홀에는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720)에는 조명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조명부는 파지부(100) 또는 헤드부(200)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구동부(600)의 작동상태와 배터리(710)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는 전원 온(ON) 상태로 전환시 점등되어 외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고, 구동부(600)의 작동 상태와 배터리(710)의 충전 상태를 다양한 색상(적색, 녹색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는 제1유로(101)를 개폐시키는 개폐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800)는 제1유로(101)와 연통되도록 파지부(100)의 일측으로 수평하게 개방되는 조작홀(810)과, 제1유로(101)의 내부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개방 위치로 이동시 제1유로(101)와 연통되도록 제3유로(822)가 상하로 관통되는 이동부재(820) 및, 조작홀(810)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의 연결단이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이동부재(820)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의 조작단이 파지부(100)의 외부로 회전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개폐 스위치(8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101)와 파지부(100)의 외부를 연통시키고, 이동부재(820)가 이동시 제1유로(101)와 파지부(100)의 외부 공기(A)를 소통시키는 통기홀(110) 및, 이동부재(8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조작홀(810)의 내주면과 탄성 밀착되는 링 형상의 오링(8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820)는 양측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부재(82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부재(820)가 제1유로(101)의 내부로 수평하게 이동되고, 이동부재(820)의 제3유로(822)가 제1유로(101)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이때 제1유로(101)의 상부로 이동되는 물(W1)은 제3유로(822)를 통과한 후 제2유로(301)로 이동된다.
반면, 이동부재(820)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부재(820)가 제1유로(101)의 외부로 수평하게 이동되고, 이동부재(820)의 제3유로(822)가 제1유로(101)와 엇갈리게 이동되어 조작홀(810)의 내주면에 위치된다. 이?? 제3유로(822)가 폐쇄된 상태로 전환되고, 이동부재(820)가 제1유로(101)를 차단하므로 제1유로(101)를 통해 물(W1)이 이동되지 않는다.
오링(840)은 고무 등의 탄성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이동부재(820)의 외주면에는 오링(840)의 내주면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820)를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오링(840)이 조작홀(810)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이동부재(820)와 조작홀(810)의 사이를 통해 물(W1)이 유출되지 않는다.
개폐 스위치(830)는 일측의 연결단이 조작홀(810)의 내부에 위치되고, 반대되는 타측의 조작단이 파지부(100)의 외부로 회전조작 가능하게 노출될 수 있으며, 개폐 스위치(830)의 조작단은 파지부(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개방 및 폐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스위치(830)의 상단을 조작홀(810)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이동부재(820)가 폐쇄 위치로 이동되어 제1유로(101)를 폐쇄시키고, 개폐 스위치(830)의 하단을 조작홀(810)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이동부재(820)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제1유로(10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스위치(830)의 연결단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반경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장홀(831)이 형성될 수 있고, 개폐 스위치(830)와 마주하는 이동부재(820)의 일측에는 장홀(8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축(8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821)은 개폐 스위치(83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장홀(83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스위치(830)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우 이동부재(820)의 연결축(821)이 장홀(831)의 상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부재(820)가 제1유로(101)의 내부로 수평하게 이동되고, 외부의 공기(A)가 통기홀(110)을 통해 제1유로(101)로 유입된다. 이때 이동부재(820)의 제3유로(822)가 제1유로(101)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제1유로(101)의 상부로 이동되는 물(W1)은 제3유로(822)를 통과한 후 제2유로(301)로 이동된다.
반면, 개폐 스위치(830)를 폐쇄 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우 이동부재(820)의 연결축(821)이 장홀(831)의 하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부재(820)가 제1유로(101)의 외부로 수평하게 이동되고, 제1유로(101)의 공기(A)가 통기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이동부재(820)의 제3유로(822)가 제1유로(101)와 엇갈리게 이동되어 조작홀(810)의 내주면에 위치되므로 제3유로(822)가 폐쇄된 상태로 전환되고, 이동부재(820)가 제1유로(101)를 차단하므로 제1유로(101)를 통해 물(W1)이 이동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세정액(W2)이 거품 형태로 분사되므로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때 거품을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물(W1)이 급수되는 상태에서 물(W1)의 배출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러쉬(322)를 통해 물(W1)이 분사되므로 물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애완동물의 털 깊숙이 물(W1)을 침투시킬 수 있어 피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물(W1)을 분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 손으로 물(W1)과 세정액(W2) 토출 상태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파지부 101: 제1유로
110: 통기홀 200: 헤드부
210: 공간부 220: 세정액 유입구
230: 걸림홈 240: 공기 유입홀
300: 커버부 301: 제2유로
310: 커버패널 311: 제1분사홀
312: 지지돌기 313: 유입홈
320: 전면패널 321: 토출구
322: 브러쉬 323: 제2분사홀
324: 보조 토출구 330: 마감패널
331: 제1통과홀 332: 제2통과홀
333: 제3분사홀 340: 고정캡
350: 커버 351: 걸림돌기
352: 보조 브러쉬 361: 실링부재
362: 분사관 고정패널 400: 거품 분사관
410: 세정액 통로 420: 필터
421: 거품 발생홀 500: 세정액 저장부
510: 수용공간 600: 구동부
610: 제1포트 620: 제2포트
630: 제3포트 710: 배터리
720: 회로기판 730: 접속단자
740: 구동 스위치 800: 개폐부
810: 조작홀 820: 이동부재
821: 연결축 822: 제3유로
830: 개폐 스위치 831: 장홀
840: 오링 A: 공기
W1: 물 W2: 세정액

Claims (5)

  1. 내부의 제1유로로 물이 공급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내부의 제2유로가 상기 공간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의 상단과 연통되며,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유로가 후방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며, 전면으로부터 지지돌기가 돌출되는 커버패널과, 상기 커버패널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제2유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전방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며, 전면으로부터 브러쉬가 돌출되는 전면패널 및,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가 관통되도록 제1통과홀이 전후로 관통되며, 상기 토출구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제2통과홀이 전후로 관통되는 마감패널 및,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브러쉬의 전후로 관통되는 보조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가장자리를 전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마감패널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중공이 전후로 관통되는 링 형상의 고정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패널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단이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측면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유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4. 내부의 제1유로로 물이 공급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전단에 결합되고, 내부의 제2유로가 상기 공간부를 통해 상기 제1유로의 상단과 연통되며, 상기 제2유로로 유입된 물이 분사되도록 토출구가 전후로 관통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조작홀과, 상기 제1유로의 내부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개방 위치로 이동시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도록 제3유로가 상하로 관통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조작홀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의 연결단이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의 조작단이 파지부의 외부로 회전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개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파지부의 외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파지부의 외부 공기를 소통시키는 통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KR1020220038280A 2021-12-30 2022-03-28 샤워기 KR20230103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80A KR20230103828A (ko) 2021-12-30 2022-03-28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494A KR102412916B1 (ko) 2021-12-30 2021-12-30 샤워기
KR1020220038280A KR20230103828A (ko) 2021-12-30 2022-03-28 샤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494A Division KR102412916B1 (ko) 2021-12-30 2021-12-30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828A true KR20230103828A (ko) 2023-07-07

Family

ID=822161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494A KR102412916B1 (ko) 2021-12-30 2021-12-30 샤워기
KR1020220038280A KR20230103828A (ko) 2021-12-30 2022-03-28 샤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494A KR102412916B1 (ko) 2021-12-30 2021-12-30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2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567B1 (ko) 2023-01-17 2024-02-07 주식회사 현대렌탈서비스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3360A1 (en) * 2007-02-20 2008-08-28 Michael Suter Washing device for humans and animals
KR200467882Y1 (ko) * 2011-06-30 2013-07-09 (주)아모레퍼시픽 샤워기
JP6654429B2 (ja) * 2015-12-28 2020-02-26 花王株式会社 毛穴洗浄用ブラシ
KR102381841B1 (ko) * 2019-07-25 2022-04-01 오교선 반려동물 샤워기
KR20210002244U (ko) * 2020-04-01 2021-10-12 (주)피엘엠 애완견 샤워기 헤드용 출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견 샤워기 헤드
KR20210147854A (ko) * 2020-05-28 2021-12-07 박성귀 애완동물을 위한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916B1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0368C (en) Airbrush
KR20140020744A (ko) 피부관리장치
KR20150019515A (ko) 에어브러시
KR20230103828A (ko) 샤워기
KR101305906B1 (ko) 다용도 분사장치
KR101555971B1 (ko) 온수 세정기의 노즐 장치
CN112545694A (zh) 牙齿清洁装置
CN111389610A (zh) 一种喷液装置
KR20130043833A (ko) 유액분사장치
KR20220010758A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KR200414063Y1 (ko) 세정모드 조절이 가능한 비데
KR101305910B1 (ko) 다용도 분사장치
KR20100008809U (ko) 이중밀폐 형 3챔버 부스트펌프(high flow boost pump)를 이용한 맥동수류 두피세정 기
JP3212403U (ja) 頭皮用洗浄装置
TW200911190A (en) Jet assembly
KR200270870Y1 (ko) 브러쉬용 헤드를 갖는 샤워기
CN214856280U (zh) 一种多功能刷头
KR20140087347A (ko) 변좌 세척기능이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4658B1 (ko) 영양액 분사식 헤어드라이어
RU2787262C1 (ru)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бритве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бритвенн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19920921U (zh) 一种儿童浴盆
KR101678903B1 (ko) 믹싱스크류에 의한 이 액형 염색제 혼합 공급장치
CN218106351U (zh) 一种带自洁功能的家用水疗仪
CN209519928U (zh) 一种电动泡沫喷雾器
KR20160123100A (ko) 워터펀치 두피세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