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567B1 -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 Google Patents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567B1
KR102634567B1 KR1020230006815A KR20230006815A KR102634567B1 KR 102634567 B1 KR102634567 B1 KR 102634567B1 KR 1020230006815 A KR1020230006815 A KR 1020230006815A KR 20230006815 A KR20230006815 A KR 20230006815A KR 102634567 B1 KR102634567 B1 KR 10263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de
shower
foa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렌탈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렌탈서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렌탈서비스
Priority to KR1020230006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정액 유입관을 통해 하부로 공급될 바디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 통, 출수 차단을 위한 제1 모드, 샤워수 - 상기 샤워수는 거품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입수 호스를 통해 유입된 물임 - 의 공급을 위한 제2 모드 및 거품수 - 상기 거품수는 거품과 물의 혼합수임 - 의 공급을 위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레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입수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에어를 주입하여 제1 관로를 통해 전달하는, 에어 펌프부,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에어 펌프부를 통해 에어가 주입된 후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전달되는 물과 상기 세정액 유입관을 거쳐 제2 관로로 유입되는 바디 세정액을 합류시키는, 합류 조인트, 및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합류 조인트로부터 물과 바디 세정액이 합류된 혼합수를 유입시켜 혼합수의 교반 및 필터링 후 필터링된 거품수를 출수 호스를 통해 유출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A SHOWER DEVICE WITH A FOAM SHOWER FUNCTION}
본 발명은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샤워기로서의 기능 및 거품수를 이용한 거품 샤워기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 먼지, 초미세 먼지 등으로 인해, 개인의 철저한 위생 관리 측면에서 샤워를 위한 샤워 장치는 주거 시설에 있어서 현대인의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찬물 샤워의 경우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는 효과, 혈중 글루타티온의 농도를 높이고 요산의 수치를 낮춰 주어 스트레스를 크게 받는 상황에서도 뇌가 빠르게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샤워 장치를 이용하여 샤워를 진행함에 있어서, 비누나 바디샴푸 등(이하, '바디 세정액'으로 통칭함)을 사용하여 거품을 생성하게 되는데, 직접적으로 몸에 문지르는 형태로 적용하여 거품을 생성하는 경우도 있고 거품망(또는 샤워볼)을 사용하여 먼저 거품을 생성한 후 거품망으로 몸에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두 가지 경우 모두, 샤워기를 이용하여 샤워수만으로 샤워하는 과정, 그리고 샤워수가 나오지 않도록 샤워기를 샤워기 걸이에 걸어둔 상태에서 비누거품을 몸에 적용하는 과정, 그리고 다시 샤워기를 이용하여 샤워수만으로 샤워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샤워 장치 및 바디 세정액 또는 거품망을 이용한 샤워를 샤용한 샤워 행위에 있어서, 샤워수로 몸을 샤워하는 과정과 바디 세정액 또는 거품을 적용하는 과정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음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으며, 간혹 바디 세정액이 떨어졌다거나 거품망이 없는 경우, 샤워 과정에서 애로 사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2916호(2022.06.21.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61585호(2005.06.22.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샤워 장치에 있어서 별도로 바디 세정액 또는 거품망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기 위해,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정액 유입관(131)을 통해 하부로 공급될 바디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 통(130), 출수 차단을 위한 제1 모드, 샤워수 공급을 위한 제2 모드 및 거품수 공급을 위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레버(14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입수 호스(180)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거품수에 혼합된 거품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에어 펌프부(162),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에어 펌프부를 통해 에어가 주입된 후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전달되는 물과 상기 세정액 유입관을 거쳐 제2 관로(164)로 유입되는 바디 세정액이 합류되는 합류 조인트(165), 그리고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합류 조인트로부터 물과 바디 세정액이 합류된 혼합수를 유입시켜 혼합수의 교반 후 필터링된 거품수를 출수 호스를 통해 유출하는 필터부(1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는, 상기 선택 레버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패널은,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경우, 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1, 12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는, 상기 선택 레버의 회전에 의존하여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출수 호스를 통해 상기 샤워수와 상기 거품수 중 그 어느 것도 유출되지 않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샤워수가 상기 필터부를 거쳐 그대로 상기 출수 호스를 통해 유출되는 모드 -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2 관로로 바디 세정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밸브부가 오프로 전환됨 - 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거품수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상기 출수 호스를 통해 유출되는 모드 -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제2 관로로 바디 세정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부가 온 상태로 전환됨 - 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선택 레버(140)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145)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파지부(141)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 관로 사이를 연결하는 축 관로(144)를 포함하고, 상기 축 관로에는, 상기 제2 모드시 상기 제1 관로로부터의 물을 상기 합류 조인트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1 홀, 상기 제1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모드시 상기 제1 관로로부터의 물을 상기 합류 조인트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 홀, 및 상기 세정액 유입관을 거쳐 유출되는 바디 세정액을 상기 합류 조인트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3 홀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1 홀과 상기 제1 관로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3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1 관로가 연통되고 또한 상기 제3 홀과 상기 세정액 유입관의 말단부(168)가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모드시 상기 제2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은, 상기 제2 모드시 상기 제1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의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구조의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별도로 바디 세정액이나 거품망을 준비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샤워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100)의 외관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샤워 장치(100)에서 하우징(110)의 내부 구조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샤워 장치(100)에서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들 및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내지 4c는 도 1의 샤워 장치(100)에서 선택 레버(140)의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 각각에서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 및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는 선택 레버(140)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샤워 장치(100)에서 샤워기 헤드(192)의 일 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샤워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되는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해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100)의 외관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10), 세정액 통(130), 및 선택 레버(140)를 포함한다. 또한 샤워기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입수 호스(180), 출수 호스(191), 샤워기 헤드(19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샤워 장치(100)는, 전방 패널(120)과, 전방 패널(120)에 배치되는 표시부(121, 122), 거품이 생성되어 유지되는 필터부(167)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샤워 장치(100)는 에어 펌프부(162, 도 3), 표시부(121, 122) 및 밸브부(161, 도 3) 등의 작동을 위한 인쇄회로기판(170, 도 7)과 이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100)는, 선택 레버(140)를 설치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120)을 더 포함한다. 전방 패널(120)은, 선택 레버(140)가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경우, 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1, 122)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샤워 장치(100)에서 하우징(110)의 내부 구조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샤워 장치(100)에서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들 및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100)에서 하우징(110)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세정액 통(13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정액 유입관(131)을 통해 하부로 공급될 바디 세정액을 수용하고 있다. 세정액 통(130)은 내부에 수용된 바디 세정액이 모두 소진되는 경우에는 재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택 레버(140)는 출수 차단을 위한 제1 모드, 샤워수 공급을 위한 제2 모드 및 거품수 공급을 위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레버(140)는, 회전함에 따라 세 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제1 모드는 출수 호스(191)를 통해 샤워수와 거품수 모두가 유출되지 않는 모드이고, 제2 모드는 샤워수가 필터부(167)를 거쳐 그대로 출수 호스(191)를 통해 유출되는 모드이고, 제3 모드는 거품수가 필터부(167)를 거쳐 출수 호스(191)를 통해 유출되는 모드이다. 여기서, 거품수는 거품과 물이 혼합된 혼합수이며, 에어 펌프부(162)에 의해 에어가 주입된 물과 바디 세정액이 혼합되어 발생된 거품을 포함하는 물이다. 거품은 합류 조인트(165) 및 필터부(167)에 의해서 주로 생성된다. 샤워수는 거품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의 물, 즉 입수 호스(18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필터부(167)를 거쳐 그대로 통과하는 물이다. 제3 모드에서 동작하다가 제1 모드를 거쳐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모드의 초기에는 약간의 거품이 혼합된 상태일 수 있으나, 곧 거품이 혼합되지 않은 물이 출수 호스(191)를 통해서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샤워 장치(100)는, 선택 레버(140)의 회전에 의존하여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갖도록 동작하는 밸브부(161)를 더 포함한다. 밸브부(161)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선택 레버(140)가 회전된 경우, 바디 세정액이 제2 관로(164)로 유입되지 않도록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밸브부(161)는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선택 레버(140)가 회전된 경우, 바디 세정액이 제2 관로(164)로 유입되어 온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제2 모드에서는 밸브부(161)가 오프되어 바디 세정액이 제2 관로(164)로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출수 호스(191)를 거쳐 샤워수가 샤워기 헤드를 통해 나가도록 하고, 제3 모드에서는 밸브부(161)가 온되어 바디 세정액이 제2 관로(164)로 유입되어 거품수가 생성되어 필터부(167)를 통해 거품수가 출수 호스(191)를 거쳐 샤워기 헤드를 통해 나가도록 한다. 밸브부(161)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나,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 펌프부(16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입수 호스(180)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에어를 주입하여 제1 관로(163)를 통해 전달한다. 예컨대, 에어 펌프부(I162)는, 선택 레버(140)가 제1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에 작동 중지되고, 선택 레버(140)가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작동할 수도 있고, 또 다르게는, 선택 레버(140)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에 작동 중지되고, 선택 레버(140)가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에만 작동할 수도 있다. 에어 펌프부(162)의 작동은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모드 선택을 위한 선택 레버(140)의 회전에 의존하여 동작한다. 예컨대, 에어 펌프부(162)는 선택 레버(140)가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입수 호스(180)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에어를 주입하여 거품수에 혼합된 거품의 발생을 촉진시킨다. 즉, 에어 펌프부(162)는 에어를 주입하여 합류 조인트(165)를 거쳐 필터부(167)에 이르는 동안에 혼합수를 폭기시켜 거품수를 생성하게 된다.
합류 조인트(165)는 T 형 조인트 부재로 구성되며, 제2 모드에서는 입수 호스(18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필터부(167)을 거처 출수 호스(191)를 경유하여 샤워기 헤드(192)를 통해 나가도록 한다. 선택 레버(140)가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에어 펌프부(162)를 통해 에어가 주입된 후 제1 관로(163)를 통해 전달되는 물과 세정액 유입관(131)을 거쳐 제2 관로(164)를 통해 유입되는 바디 세정액을 합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제3 모드에서는 물과 바디 세정액이 서로 합류하고 합류 조인트(165)를 거쳐 필터부(167)에 이르는 동안 또는 필터부(167) 내에서 거품수가 생성되어 샤워기 헤드(192)를 통해 거품수를 내보내게 된다.
필터부(167)는 선택 레버(140)가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합류 조인트(165)로부터 물과 바디 세정액이 합류된 혼합수를 유입시켜 혼합수의 교반후 필터링된 거품수를 출수 호스를 통해 유출한다. 참조부호 166은 합류 조인트(165)와 필터부(167) 사이의 관로로서, 샤워수 또는 혼합수는 이 관로(이하에서는 편의상 제3 관로로 칭함)를 거쳐 필터부(167)에 이르게 된다.
도 4a 내지 4c는 도 1의 샤워 장치(100)에서 선택 레버(140)의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 각각에서 구성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 및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는 선택 레버(140)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4a 내지 4c 및 도 5를 참조하여 선택 레버(1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선택 레버(140)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145)와, 몸체부(145)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파지부(146)와, 몸체부(145)와 제2 관로(165) 사이를 연결하는 축 관로(144)를 포함한다.
축 관로(144)에는, 제2 모드시 제1 관로(163)로부터의 물을 합류 조인트(164)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1 홀(141), 제1 홀(14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제3 모드시 제1 관로(163)로부터의 물을 합류 조인트(164)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 홀(142), 및 세정액 유입관(131)을 거쳐 유출되는 바디 세정액을 합류 조인트(164)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3 홀(143)이 형성된다.
파지부(146)를 회전시켜 제2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1 홀(141)과 제1 관로(163)가 연통되고, 파지부(146)를 회전시켜 제3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2 홀(142)과 제1 관로(163)가 연통되고 또한 제3 홀(143)과 세정액 유입관(131)의 말단부(168)가 연통된다. 즉, 파지부(146)를 회전시켜 제3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물과 바디 세정액이 합류 조인트(164)에 합류될 수 있도록, 제1 관로(163), 제2 홀(142) 및 제3 홀(143)이 서로 연통된다.
계속해서, 도 4a 내지 도 4c,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샤워 장치(100)에서 선택 레버(140)의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 각각에서 구성요소들(특히, 제1 관로(163), 합류 조인트(165), 제2 관로(165), 제3 관로(166), 및 홀들(141 ~ 143) 등) 간의 연결 관계 및 동작 특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a는 샤워수와 거품수 그 어느 것도 샤워기 헤드(192)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 상태인 제1 모드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편의상 선택 레버의 참조부호를 파지부를 지시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하나만 나타내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선택 레버(140)를 파지하는 부분은 실제로는 파지부(141)임에 유의한다. 사용자가 샤워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러한 제1 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4a 내지 4c에서 제1 모드일 경우 선택 레버(140)의 파지부(141)가 중앙에 위치하고, 제2 모드일 경우(도 4b), 파지부(141)가 시계 방향으로 약 45도 정도로 회전하게 위치하고, 제3 모드일 경우(도 4c) 파지부(141)가 반시계 방향으로 약 45도 정도로 회전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 각도 또는 위치는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a에서 굵은 화살표는 샤워수의 흐름이다. 도 4a에서 'X'로 표시한 것과 같이 샤워수가 흐룰 수 있는 경로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제1 모드 상태에서는 물이 제3 관로(166) 측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4b는 제2 모드인 경우로서, 파지부(141)가 사용자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약 45도 회전된 경우, 축 관로(144)에 형성된 제1 홀(141)을 통해서 물(즉, 샤워수, 굵은 화살표로 표시됨)가 통과하고, 차례대로 제3 관로(166), 필터부(167)를 지나서 출수 호스(191) 및 샤워기 헤드(192)를 통해 배출된다.
도 4c는 제3 모드인 경우로서, 파지부(141)가 사용자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약 45도 회전된 경우, 축 관로(144)에 형성된 제2 홀(142)을 통해서 물(굵은 화살표)이 통과하고, 이와 동시에 축 관로(144)에 형성된 제3 홀(143)을 통해서 바디 세정액이 유입되어, 물과 바디 세정액이 합류 조인트(165)에서 합류하여 제3 관로(166)를 경유하여 필터부(167) 측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2 홀(142)은 제1 홀(141)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제2 모드에서 제1 홀(141)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 비해 제2 홀(142)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대적으로 그 양이 적다. 또한, 물과 함께 제2 홀(142)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제3 홀(143)을 통해 합류하는 바디 세정액에 대하여(엄밀하게는 물과 바디 세정액의 혼합수에 대하여), 합류 조인트(165), 제3 관로(166) 및 필터부(167)를 경유하는 동안 폭기시켜 거품을 생성하게 된다. 예컨대, 제3 모드시 제2 홀(142)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은, 제2 모드시 제1 홀(14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의 약 20%일 수 있도록 제1 홀(141)과 제2 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물의 양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도 4a에서는 들어오는 물과 나가는 혼합수에 대해 서로 다른 굵기의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도 6은 도 1의 샤워 장치(100)에서 샤워기 헤드(192)의 일 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 헤드(192)는, 헤드 몸체(192a), 샤워수를 유출하기 위한 샤워수 홀(192b), 및 거품수를 유출하기 위한 거품수 홀(192c)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품수 홀(192c)은 샤워수 홀(192b)의 외곽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도 1의 샤워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택 레버(140)는 사용자가 세 가지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도 7의 (a), (b), (c)로서, (a)는 제1 모드 상태, (b)는 제2 모드 상태, (c)는 제3 모드 상태임). 입수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물((d))은 모드에 따라서, 제1 모드인 경우에는 더 이상 흐르지 않고, 제2 모드인 경우에는 그대로 통과하여 샤워수로 샤워기 헤드(19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제3 모드인 경우에는 거품과 함께 거품수로 샤워기 헤드(19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참조부호 170으로 나타낸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 펌프부(162, 도 3), 표시부(121, 122) 및 밸브부(161, 도 3) 등의 작동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이다. (e)는 에어 펌프이고, (f)는 합류 조인트이고, (g)는 세정액 유입관의 말단부 및 밸브부이고, (h)는 필터부이고, (i)는 출수 호스와 연결된 부분을 나타낸다. 그리고, (j)는 리필 용기와 세정액 통을 나타내었다.
100 : 본 발명의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110 : 하우징
120 : 전방 패널
130 : 세정액 통
140 : 선택 레버
162 : 에어 펌프부
165 : 합류 조인트
167 : 필터부
180 : 입수 호스
191 : 출수 호스
192 : 샤워기 헤드

Claims (5)

  1.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로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세정액 유입관(131)을 통해 하부로 공급될 바디 세정액을 수용하는, 세정액 통(130);
    물의 유입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입수 호스(180);
    출수 차단을 위한 제1 모드, 샤워수 - 상기 샤워수는 거품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입수 호스를 통해 유입된 물임 - 의 공급을 위한 제2 모드 및 거품수 - 상기 거품수는 거품과 물의 혼합수임 - 의 공급을 위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레버(14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입수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거품수에 혼합된 거품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에어 펌프부(162);
    상기 에어 펌프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 펌프부에 의해 에어가 주입된 물을 통과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관로(163);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에어 펌프부를 통해 에어가 주입된 후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전달되는 물과 상기 세정액 유입관을 거쳐 제2 관로(164)로 유입되는 바디 세정액을 합류시키는, 합류 조인트(165);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3 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상기 합류 조인트로부터 물과 바디 세정액이 합류된 혼합수를 유입시켜 혼합수의 교반 및 필터링 후 필터링된 거품수를 출수 호스를 통해 유출하는 필터부(167); 및
    상기 선택 레버의 회전에 의존하여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출수 호스를 통해 상기 샤워수와 상기 거품수 중 그 어느 것도 유출되지 않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샤워수가 상기 필터부를 거쳐 그대로 상기 출수 호스를 통해 유출되는 모드 -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2 관로로 바디 세정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밸브부가 오프로 전환됨 - 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거품수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상기 출수 호스를 통해 유출되는 모드 -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제2 관로로 바디 세정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밸브부가 온 상태로 전환됨 - 이며,
    상기 선택 레버는, 원통 형상의 몸체부(145)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파지부(141)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 관로 사이를 연결하는 축 관로(144)를 포함하고,
    상기 축 관로에는, 상기 제2 모드시 상기 제1 관로로부터의 물을 상기 합류 조인트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1 홀, 상기 제1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모드시 상기 제1 관로로부터의 물을 상기 합류 조인트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 홀, 및 상기 세정액 유입관을 거쳐 유출되는 바디 세정액을 상기 합류 조인트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3 홀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1 관로가 연통되고, 상기 파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3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2 홀과 상기 제1 관로가 연통되고 또한 상기 제3 홀과 상기 세정액 유입관의 말단부(168)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는,
    상기 선택 레버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패널은, 상기 선택 레버가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경우, 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1, 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시 상기 제2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은, 상기 제2 모드시 상기 제1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의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KR1020230006815A 2023-01-17 2023-01-17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KR10263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15A KR102634567B1 (ko) 2023-01-17 2023-01-17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815A KR102634567B1 (ko) 2023-01-17 2023-01-17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567B1 true KR102634567B1 (ko) 2024-02-07

Family

ID=8987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815A KR102634567B1 (ko) 2023-01-17 2023-01-17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56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173A (en) * 1991-04-19 1992-08-04 Cho Wang M Multiply adjustable faucet device
KR20050061585A (ko) 2002-10-29 2005-06-22 시모네 피오렌티노 드 샤워기에 비누 거품을 공급하는 장치
KR100875602B1 (ko) * 2008-10-01 2008-12-23 조철환 미세 거품발생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거품발생기
JP2010051712A (ja) * 2008-08-29 2010-03-11 Aisin Seiki Co Ltd 洗面台
KR20100061218A (ko) * 2008-11-28 2010-06-07 박기종 샤워기 헤드
CN211948707U (zh) * 2019-11-28 2020-11-17 浙江凯越塑胶工业有限公司 一种淋浴杆装置
KR102412916B1 (ko) 2021-12-30 2022-06-24 강신석 샤워기
US20220213672A1 (en) * 2021-01-05 2022-07-07 Sabra L. Wilson Built-in shower hair product dispensing system
CN115369958A (zh) * 2022-07-06 2022-11-22 江门市一六八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起泡功能的出水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173A (en) * 1991-04-19 1992-08-04 Cho Wang M Multiply adjustable faucet device
KR20050061585A (ko) 2002-10-29 2005-06-22 시모네 피오렌티노 드 샤워기에 비누 거품을 공급하는 장치
JP2010051712A (ja) * 2008-08-29 2010-03-11 Aisin Seiki Co Ltd 洗面台
KR100875602B1 (ko) * 2008-10-01 2008-12-23 조철환 미세 거품발생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거품발생기
KR20100061218A (ko) * 2008-11-28 2010-06-07 박기종 샤워기 헤드
CN211948707U (zh) * 2019-11-28 2020-11-17 浙江凯越塑胶工业有限公司 一种淋浴杆装置
US20220213672A1 (en) * 2021-01-05 2022-07-07 Sabra L. Wilson Built-in shower hair product dispensing system
KR102412916B1 (ko) 2021-12-30 2022-06-24 강신석 샤워기
CN115369958A (zh) * 2022-07-06 2022-11-22 江门市一六八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起泡功能的出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6374A (en) Showerhead attachment and method for generating aromas
AU2003283819A1 (en) Device to supply soap foam to the shower
US20020070294A1 (en) Shower device
ATE299393T1 (de) Fluidmischer mit drehbarem auslassrohr und dosieröffnungen
KR102313214B1 (ko) 코일형 노즐을 구비하는 초미세기포 발생시스템
KR102634567B1 (ko) 거품 샤워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
JP2007260563A (ja) 洗浄装置およびシャワーヘッド
US5419495A (en) Auxiliary chemical intake system
US20050051577A1 (en) Fluid mixing device and dispensing system
CN114778870A (zh) 一种样本分析仪及其清洗方法
JP2001300276A (ja) 気泡生成装置
CN111479626A (zh) 泡沫供给装置
US20210353111A1 (en) Showerhead assembly with integrated soap-shampoo reservoir
JP2002331011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N209733794U (zh) 用于添加流体介质到淋浴系统的装置及淋浴系统
US9050613B2 (en) Shower soap dispenser for liquid soaps
JPH11222890A (ja) 水道用蛇口装置
JP2000037642A (ja) シャワー装置
JP2010051712A (ja) 洗面台
JP2004042027A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JP2014083411A (ja) シャワーヘッド
JPH10328066A (ja) シャワー装置及び洗浄液カートリッジ
JP2006161420A (ja) 自動手洗装置
JP2000166789A (ja) 浴槽用簡易バブルジェット発生装置
KR200351092Y1 (ko) 방제기용 약액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