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554A -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554A
KR20230103554A KR1020210194508A KR20210194508A KR20230103554A KR 20230103554 A KR20230103554 A KR 20230103554A KR 1020210194508 A KR1020210194508 A KR 1020210194508A KR 20210194508 A KR20210194508 A KR 20210194508A KR 20230103554 A KR20230103554 A KR 2023010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ctuator
position value
value signal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호
최승준
윤진국
문영섭
김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1019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554A/ko
Priority to PCT/KR2022/021670 priority patent/WO2023128678A1/ko
Priority to TW111150691A priority patent/TW202345592A/zh
Publication of KR2023010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응답 측정 기능을 구비하여 측정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전처리하여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타겟 위치값과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외란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오차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CONTROLLER OF CAMERA MODULE,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FREQUENCY RESPONSE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주파수 응답 측정 기능을 구비하여 측정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전자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은, 촬영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떨림 방지 기능을 갖고 있다.
손떨림 방지를 위하여,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을 센싱 및 보정하는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ation; 이하 OIS)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이로 센서 및 OIS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을 상쇄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검사 단계에서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OIS 컨트롤러의 제어 계수를 설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튜닝 과정이 필요하다.
관련 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시스템은, 측정 장비와 OIS 컨트롤러 사이에 외부 주파수 응답 분석(Frequency Response Analysis; 이하 FRA) 측정 보드를 구비해야 하고, OIS 컨트롤러는 FRA 측정 보드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비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관련 기술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의 구성과 측정 방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파수 응답 측정 기능을 구비하여 측정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는, 통상 구동 모드에서, 자이로 센서에서 센싱된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이용한 타겟 위치와,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와의 차이를 보상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전처리하여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타겟 위치값과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외란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오차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홀 센서로부터 공급된 제1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증폭하여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증폭부,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와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제1 외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1 외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2 외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제1 타겟 위치값으로부터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제2 외란 신호를 차감하여 제1 오차값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오차값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2 오차값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신호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통상 구동 모드에서, 증폭부는 홀 센서로부터 공급된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증폭하여 제4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출력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선택부를 통해 공급되는 제4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5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신호 처리기는 제2 타겟 위치값에서 제5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차감하여 제2 오차값 신호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드라이버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는,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와 결합되어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액츄에이터 내에서 액츄에이터 위치를 센싱하는 홀 센서,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 통상 구동 모드에서, 자이로 센서에서 센싱된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이용한 타겟 위치와,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와의 차이를 보상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OIS 컨트롤러, 및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OIS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측정 장비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OIS 컨트롤러는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전처리하여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타겟 위치값과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외란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오차값 신호를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카메라 모듈의 OIS 컨트롤러와 측정 장비를 연결하고, OIS 컨트롤러가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과 결합된 액츄에이터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단계, OIS 컨트롤러에서 액츄에이터의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전처리하여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제2 단계, 타겟 위치값과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외란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오차값 신호를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제3 단계, 및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계는, OIS 컨트롤러에서 홀 센서로부터 공급된 제1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증폭하여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계는, OIS 컨트롤러에서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선택하고,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OIS 컨트롤러에서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제1 외란 신호를 선택하고, 제1 외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2 외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OIS 컨트롤러에서 제1 타겟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제2 외란 신호를 차감하여 제1 오차값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OIS 컨트롤러에서 제1 오차값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2 오차값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단계는 OIS 컨트롤러에서 제1 오차값 신호를 PID 제어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OIS 컨트롤러에서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장비는, OIS 컨트롤러를 통해 주파수별로 측정된 상기 제1 외란 신호,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제2 오차값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이용하여 OIS 컨트롤러의 PID 제어를 위한 최적 제어 계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OIS 컨트롤러가 주파수 응답 측정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관련 기술의 외부 FRA 측정 보드가 불필요하므로 측정 시스템의 구성 및 측정 방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할 때 OIS 컨트롤러의 일부 내부 구성을 시분할하여 사용함으로써 OIS 컨트롤러의 크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CU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FRA 장비와 OIS 컨트롤러 사이의 입출력 신호 파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외란 신호의 주파수와 게인/위상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CU(210)의 기능적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액츄에이터(Actuator)(100),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컨트롤러(200), 자이로 센서(Gyro Sensor)(30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은 도시하지 않은 이미지 센서 모듈과 렌즈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 또는 렌즈 모듈은 액츄에이터(100)와 결합되고 액츄에이터(10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입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이미지 센서의 센서면에 조사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물체에서 반사되고 렌즈 모듈을 통해 집광되어 입사된 빛을 R/G/B(Red, Green, Blue) 컬러별로 분리하고 각 픽셀에서 입사된 각 컬러의 광학 신호를 센싱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는 OIS 컨트롤러(200)로부터 공급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100)는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는 액츄에이터(100)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신호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는 VCM(Voice Coil Motor) 타입, SMA(Shape Memory Alloy) 타입, 볼(Ball) 타입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는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는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는 손떨림에 의해 발생한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OIS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이동시켜 상쇄시키는, O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OIS 기능은 손떨림 방지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또는 움직임 보정 기능으로 표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는 OIS 컨트롤러(200)로부터 공급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이동)되어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복수의 액츄에이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액츄에이터(100)는 OIS 컨트롤러(200)로부터 복수의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Z축 방향은 렌즈 모듈 및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을 의미한다.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 중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는 액츄에이터(100)의 위치를 센싱하는 홀 센서(Hall Sensor)(1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의 위치는 액츄에이터(100)와 결합된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의 위치를 대표할 수 있다. 홀 센서(120)는 액츄에이터(100)의 위치를 센싱하고 센싱된 위치를 OIS 컨트롤러(2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 센서(120)는 액츄에이터(100)의 자기장 세기를 센싱하여 액츄에이터(10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홀 센서(120)는 위치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홀 센서(120)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는 복수의 액츄에이터(100)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센싱하는 복수의 홀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300)는 손떨림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센싱하여 각속도 정보로 변환하고, 각속도 정보를 OIS 컨트롤러(200)로 출력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300)는 모션 센서 또는 각속도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자이로 센서(300)를 통해 센싱된 손떨림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액츄에이터(100) 구동을 통해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반대로 이동시켜 상쇄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액츄에이터(200)의 드라이버(250)와 함께 집적화되어 IC(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안정화 컨트롤러, OIS 컨트롤러 및 드라이버, 또는 OIS 드라이버로 정의될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프로그래머블 게인 증폭기(Programmable Gain Amplifier; 이하 PGA)(260), 멀티플렉서(Multiplexer; 이하 MUX)(270),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er; 이하 ADC)(280),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icroController Unit; 이하 MCU)(210),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 이하 DAC)(290), 드라이버(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OIS 기능 및 주파수 응답 측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PGA(260)는 홀 센서(120)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위치값 신호(y)를 출력할 수 있다. PGA(260)는 홀 센서(120)에서 센싱된 미세한 위치값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가 가능하도록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PGA(260)는 증폭부, 전처리부, 또는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nalog Front-End; AFE)로 정의될 수 있다.
MUX(270)는 PGA(260)로부터 공급받은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와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외란 신호(x)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ADC(280)로 출력할 수 있다. MUX(270)는 선택부로 정의될 수 있다.
통상 구동시, MUX(270)는 PGA(260)를 통해 증폭된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를 선택하여 ADC(28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시, MUX(210)는 외란 신호(x)와 위치값 신호(y)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ADC(280)로 출력할 수 있다. 외란 신호(x)는 주파수 응답 분석(Frequency Response Analysis; 이하 FRA)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발진 신호(OSC)일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PGA(260)를 통해 증폭된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를 FRA 장비로 출력할 수 있다.
ADC(280)는 MUX(270)로부터 공급받은 아날로그 위치값 신호(y)를 디지털 위치값 데이터(Y(n))로 변환하여 MCU(210)로 출력할 수 있다. ADC(280)는 MUX(270)로부터 공급받은 아날로그 외란 신호(x)를 디지털 외란값 데이터(X(n))로 변환하여 MCU(2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디지털 위치값 데이터(Y(n))는 위치값(Y(n))으로 표현되고, 디지털 외란값 데이터(X(n))는 외란값(X(n))으로 표현될 수 있다.
MCU(210)는 자이로 센서(300)로부터의 각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위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타겟 위치값과 ADC(280)로부터 공급받은 위치값 (Y(n)) 사이의 오차값(E(n))을 산출하고, 산출된 오차값(E(n))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버(250)로 출력할 수 있다. MCU(210) 대신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같은 신호 처리기가 이용될 수 있다.
MCU(210)는 자이로 센서(300)로부터 공급받은 각속도 정보를 적분하여 타겟 위치값(T(n), 도 2)을 산출할 수 있다. MCU(210)는 산출된 타겟 위치값(T(n))과 ADC(280)로부터 공급받은 위치값(Y(n))과의 차이인 오차값(E(n))을 산출할 수 있다. MCU(210)는 산출된 오차값(E(n))을 보정하기 위한, 즉 제로(0)로 상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버(250)로 출력할 수 있다. 타겟 위치값(T(n))은 타겟 위치값 데이터(T(n))로 표현되고, 오차값(E(n))은 오차값 데이터(E(n))로 표현될 수 있다.
드라이버(Driver)(250)는 MCU(210)로부터 공급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100)를 구동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는 정전류 신호 또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신호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250)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100)를 구동하여 액츄에이터(100)와 결합된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시, MCU(210)는 ADC(200)를 통해 외란값(X(n))과 위치값(Y(n))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MCU(210)는 타겟 위치값(T(0))에서 외란값(X(n))과 위치값(Y(n))을 차감하여 오차값(E(n))을 산출하고, 산출된 오차값(E(n))을 DAC(290)로 출력할 수 있다.
DAC(290)는 MCU(210)로부터 공급받은 디지털 오차값(E(n))을 아날로그 오차값 신호(e)로 변환하여 FRA 장비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MCU(210)는 적분 필터(Integral Filter)(220), 연산부(230), 비례-적분-미분 컨트롤러(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Controller; 이하 PID 컨트롤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적분 필터(220), 연산부(230), PID 컨트롤러는 MCU(210) 상의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되거나, 신호 처리기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적분 필터(220)는 자이로 센서(300)로부터의 각속도 정보를 적분하여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를 타겟 위치값(T(n))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연산부(230)는 타겟 위치값(T(n))과 ADC(280)로부터의 위치값(Y(n)) 사이의 오차값(E(n))을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PID 컨트롤러(240)는 오차값(E(n))을 증폭하고, 오차값(E(n))을 적분하여 정상 상태와의 편차를 감소시키고, 오차값(E(n))을 미분하여 오버슈트/언더슈트와 같은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는, PID의 제어를 수행하여 오차값(E(n))을 보상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PID 컨트롤러(240)는 내부 메모리에 설정된 비례 제어 계수, 적분 제어 계수, 미분 제어 계수를 오차값(E(n))에 적용하여 PID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경우, 연산부(230)는 타겟 위치값(T(0))에서 외란값(X(n))과 위치값(Y(n))을 차감하여 오차값(E(n))을 산출하고, 산출된 오차값(E(n))을 PID 컨트롤러(240) 및 DAC(29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검사 단계에서 FRA 장비를 OIS 컨트롤러(200)와 연결하여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할 수 있고, FRA 장비는 주파수 응답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PID 컨트롤러(240)의 최적 제어 계수(비례 제어 계수, 적분 제어 계수, 미분 제어 계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OIS 컨트롤러(200)는 주파수 응답 측정 기능을 구비하여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OIS 컨트롤러(200)는 주파수 응답 측정시 내부 구성(MUX, ADC, MCU)을 시분할하여 사용함으로써 OIS 컨트롤러(200)의 크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시스템은 액츄에이터(100)와 OIS 컨트롤러(20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OIS 컨트롤러(200)와 연결된 FRA 장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FRA 장비(400)와 OIS 컨트롤러(200)를 연결하고,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을 위하여 FRA 장비(400)와 OIS 컨트롤러(200)의 초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S402).
S402 단계에서, FRA 장비(400)는 OIS 컨트롤러(200)의 외란 신호(x)의 주파수별 샘플링 수(Tn)를 특정값(REF)으로 설정할 수 있고, FRA 장비(400)의 외란 신호(x)의 단계별 주파수 증가량을 설정할 수 있다. FRA 장비(400)는 특정 주파수의 발진 신호(OSC)를 생성하여 OIS 컨트롤러(200)에 외란 신호(x)로 인가할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액츄에이터(100)를 구동하여 타겟 위치(T(0))로 이동시킬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외란 신호(x)에 따라 액츄에이터(100)를 구동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액츄에이터(100)의 홀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를 증폭하여 FRA 장비(400)의 채널(CH2)로 출력할 수 있고, 디지털 위치값(Y(n))으로 변환할 수 있다(S406).
S406 단계에서, OIS 컨트롤러(200)는 홀 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를 PGA(260)를 통해 증폭하여 FRA 장비(400)의 채널(CH2)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FRA 장비(400)는 OIS 컨트롤러(200)의 PGA(260)를 통해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를 측정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OIS 컨트롤러(200)는 PGA(260)를 통해 증폭된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를 MUX(270)를 통해 ADC(280)로 출력하고, ADC(280)을 통해 디지털 위치값(Y(n))으로 변환하여 MCU(210)로 출력할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FRA 장비(400)로부터 출력된 외란 신호(x)를 MUX(270)를 통해 ADC(280)로 출력하고, ADC(280)를 통해 디지털 외란값(X(n))으로 변환하여 MCU(210)로 출력할 수 있다(S408).
OIS 컨트롤러(200)는 MCU(210)의 연산부(230)를 통해 타겟 위치값(T(0))에서 위치값(Y(n)) 및 외란값(X(n))을 차감하여 오차값(E(n))을 산출할 수 있다(S410).
OIS 컨트롤러(200)는 산출된 오차값(E(n))을 DAC(290)를 통해 아날로그 오차값 신호(e)로 변환하여 FRA 장비(400)의 채널(CH1)로 출력할 수 있다(S412). 이에 따라, FRA 장비(400)는 OIS 컨트롤러(200)의 PGA(260), MUX(270), ADC(280), 연산부(230), DAC(290)의 신호 처리를 통해 오차값 신호(e)를 측정할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는 MCU(210)의 PID 컨트롤러(240)를 통해 오차값(E(n))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드라이버(DRV)(250)을 통해 제어 신호에 따른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액츄에이터(100)를 구동할 수 있다(S414)
OIS 컨트롤러(200)는 ADC(280)의 샘플링 수(Tn)가 특정값(REF)이 될 때까지 샘플링 수(Tn)를 점진적으로 증가(n=n+1)시키면서(S416, S418), 앞서 설명한 S406, S408, S410, S414, S416, S418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IS 컨트롤러(200)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외란 신호(x)의 샘플링 포인트마다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 및 오차값 신호(e)를 측정하여 FRA 장비(4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주파수의 외란 신호(x)와,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는 사인파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타겟 위치값에서 외란 신호(x) 및 위치값 신호(y)를 차감한 오차값 신호(e)도 외란 신호(x) 및 위치값 신호(y)에 따라 가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OIS 컨트롤러(200)의 샘플링 수(Tn)가 설정된 특정값(REF)까지 완료되면(S416, Yes), FRA 장비(400)는 외란 신호(x)의 주파수를 증가시켜 OIS 컨트롤러(200)로 출력할 수 있다(S404).
OIS 컨트롤러(200)는 주파수가 증가된 외란 신호(x)를 공급받고, 앞서 설명한 S406, S408, S410, S414, S416, S418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IS 컨트롤러(200)는 외란 신호(x)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주파수별 외란 신호(x)의 샘플링 포인트마다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 및 오차값 신호(e)를 측정하여 FRA 장비(400)로 출력할 수 있다.
FRA 장비(400)는 OIS 컨트롤러(200)의 입력인 외란 신호(x)와, 액츄에이터(100)의 홀 센서(120)의 출력으로 OIS 컨트롤러(200)를 통해 공급된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와, OIS 컨트롤러(200)의 출력인 오차값 신호(e)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특성인 게인(Gain) 및 위상(Phase)을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다. FRA 장비(400)는 OSC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주파수별로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FRA 장비(400)는 외란 신호(x)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OIS 컨트롤러(200)를 통해 측정된 액츄에이터(100)의 위치값 신호(y), 오차값 신호(e)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주파수에 따른 게인 변화, 주파수에 따른 위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FRA 장비(400)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여, 액츄에이터(100) 및 OIS 컨트롤러(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가 발진으로 게인 또는 위상이 급변하는 주파수 대역(602, 604)을 검출할 수 있다. FRA 장비(400)는 게인 또는 위상이 급변하는 부분이 감소하거나 상쇄하도록 PID 컨트롤러(240)의 최적 제어 계수(비례 제어 계수, 적분 제어 계수, 미분 제어 계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OIS 컨트롤러(200)가 주파수 응답 측정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관련 기술의 외부 FRA 측정 보드가 불필요하므로 측정 시스템의 구성 및 측정 방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주파수 응답 측정시 OIS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MUX, ADC, MCU)을 시분할하여 사용함으로써 OIS 컨트롤러의 크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액츄에이터 120: 홀 센서
200: OIS 컨트롤러 210: MCU
220: 적분 필터 230: 연산부
240: PID 컨트롤러 250: 드라이버
260: PCA 270: MUX
280: ADC 290: DAC
300: 자이로 센서 400: FRA 장비

Claims (17)

  1. 통상 구동 모드에서, 자이로 센서에서 센싱된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이용한 타겟 위치와,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와의 차이를 보상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상기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전처리하여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타겟 위치값과 상기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외란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오차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상기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상기 홀 센서로부터 공급된 제1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증폭하여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와 상기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제1 외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1 외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2 외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제1 타겟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제2 외란 신호를 차감하여 제1 오차값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기;
    상기 신호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2 오차값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신호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홀 센서로부터 공급된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증폭하여 제4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상기 선택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제4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5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신호 처리기는 제2 타겟 위치값에서 상기 제5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차감하여 제2 오차값 신호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센싱하여 출력한 각속도 정보를 적분하여 상기 제2 타겟 위치값을 출력하는 적분 필터;
    상기 제2 타겟 위치값과 상기 제5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차감하여 상기 제2 오차값 신호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오차값 신호를 비례-적분-미분(이하 PID) 제어하여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PID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측정 모드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타겟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제2 외란 신호를 차감하여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PID 컨트롤러는 상기 연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PID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제1 외란 신호의 주파수가 가변하는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
  7.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모듈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 내에서 액츄에이터 위치를 센싱하는 홀 센서;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
    통상 구동 모드에서,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카메라 모듈의 각도 변화를 이용한 타겟 위치와, 상기 홀 센서에서 센싱된 상기 액츄에이터 위치와의 차이를 보상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이하 OIS) 컨트롤러;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상기 OIS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측정 장비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상기 OIS 컨트롤러는 상기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전처리하여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타겟 위치값과 상기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외란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오차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고,
    상기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OIS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상기 홀 센서로부터 공급된 제1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증폭하여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와 상기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제1 외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1 외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2 외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제1 타겟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제2 외란 신호를 차감하여 제1 오차값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기;
    상기 신호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2 오차값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신호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 출력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상기 제1 타겟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제2 외란 신호를 차감하여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산출된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PID 제어하여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PID 제어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비는
    상기 제1 외란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면서, 상기 OIS 컨트롤러를 통해 주파수별로 측정된 상기 제1 외란 신호,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제2 오차값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PID 제어기의 최적 제어 계수를 설정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11.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OIS 컨트롤러와 측정 장비를 연결하고, 상기 OIS 컨트롤러가 렌즈 모듈 또는 이미지 센서 모듈과 결합된 액츄에이터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단계;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홀 센서에서 센싱된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전처리하여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제2 단계;
    타겟 위치값과 상기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외란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오차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오차값 신호를 보상하는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홀 센서로부터 공급된 제1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증폭하여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측정 장비로부터 공급받은 제1 외란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외란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제2 외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제1 타겟 위치값으로부터 상기 제3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제2 외란 신호를 차감하여 제1 오차값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2 오차값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측정 장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1 오차값 신호를 PID 제어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액츄에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
  15. 청구항 11에서 있어서,
    상기 OIS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외란 신호의 샘플링 수가 설정값이 될 때까지, 상기 샘플링 수를 증가시키면서 상기 제2 내지 제4 단계를 반복하는 제5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1 외란 신호의 샘플링 수가 상기 설정값이 되면, 상기 측정 장비에서 상기 제1 외란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기는 제6 단계; 및
    상기 OIS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를 반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비는
    상기 OIS 컨트롤러를 통해 주파수별로 측정된 상기 제1 외란 신호, 상기 제2 액츄에이터 위치값 신호 및 상기 제2 오차값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주파수 응답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OIS 컨트롤러의 PID 제어를 위한 최적 제어 계수를 설정하는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방법.
KR1020210194508A 2021-12-31 2021-12-31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30103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508A KR20230103554A (ko) 2021-12-31 2021-12-31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
PCT/KR2022/021670 WO2023128678A1 (ko) 2021-12-31 2022-12-29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
TW111150691A TW202345592A (zh) 2021-12-31 2022-12-29 攝影機模組之控制器、用於量測攝影機模組之頻率回應的裝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508A KR20230103554A (ko) 2021-12-31 2021-12-31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554A true KR20230103554A (ko) 2023-07-07

Family

ID=8699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508A KR20230103554A (ko) 2021-12-31 2021-12-31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03554A (ko)
TW (1) TW202345592A (ko)
WO (1) WO202312867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060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 모듈 및 카메라 모듈
KR101835801B1 (ko) * 2016-04-19 2018-03-08 주식회사 액트로 광학식 손떨림 보정유닛의 검사장치와 검사방법
KR101886362B1 (ko) * 2017-05-19 2018-08-09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 이동감지 소자와 그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유연성 회로기판
JP2020064105A (ja) * 2018-10-15 2020-04-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アクチュエータ検査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検査方法
KR102204201B1 (ko) * 2019-03-27 2021-01-19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특성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5592A (zh) 2023-11-16
WO2023128678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9999B2 (ja) 位置検出回路及びその応用装置
KR101117030B1 (ko) 진동 보정 제어 회로 및 그것을 구비한 촬상 장치
US8482621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for imaging apparatus
KR102017416B1 (ko) 액추에이터 드라이버, 촬상 장치, 캘리브레이션 방법
JP5106021B2 (ja) 防振制御回路および撮像装置
US8279292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US8754951B2 (en) Control circuit for image-capturing device
KR102130205B1 (ko) 촬상 장치
KR20150119759A (ko)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US20050265705A1 (en) Anti-shake apparatus
US20090141134A1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of image pickup apparatus
KR100996053B1 (ko) 방진 제어 회로 및 방진 제어 회로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8325243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for correcting vibration-caused displacement of optical axis, and image pickup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6944395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US8212879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for imaging apparatus
KR20230103554A (ko) 카메라 모듈의 컨트롤러와 카메라 모듈의 주파수 응답 측정 장치 및 방법
US8026949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for correcting vibration-caused displacement of optical axis, and image pickup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CN114640790A (zh) 光学图像稳定系统及用于改进光学图像稳定的方法
JP5484198B2 (ja) 振れ補正装置、撮像装置、及び振れ補正装置の制御方法
JP5123606B2 (ja) 防振制御回路
KR20150106142A (ko)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촬상 시스템
JP2006165784A (ja) 撮像装置
JP6917799B2 (ja) 撮像装置
CN116170688A (zh) 一种光学镜头防抖系统及方法
JP201908251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