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106A -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106A
KR20230103106A KR1020210193717A KR20210193717A KR20230103106A KR 20230103106 A KR20230103106 A KR 20230103106A KR 1020210193717 A KR1020210193717 A KR 1020210193717A KR 20210193717 A KR20210193717 A KR 20210193717A KR 20230103106 A KR20230103106 A KR 20230103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preventing
present
lu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혜
서석희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106A/ko
Publication of KR2023010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1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은 폐 섬유화 (특히, 폐 경화)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 섬유화 인자 억제력이 뛰어나, 관련 사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ung injury comprising Caulerpa okamura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목적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폐는 공기의 들숨과 날숨을 통해 산소를 얻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인간의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기관이다. 폐 섬유화는 이러한 중요한 폐의 기능을 악화시켜 목숨을 잃게 만들기도 하는 질환으로, 폐의 잦은 염증 재발에 의해 폐의 실질세포가 섬유화되어 점차 수축되면서 딱딱해지는 병증이다. 즉,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급성 염증(폐결핵, 감기, 독감, 신종플루 등)이 만성화되어 염증이 잔류하거나, 면역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감 신경의 항진이 지속되어 자율 신경의 불균형과 함께 면역 활동 과잉으로 염증이 계속 발생하면서, 이러한 염증이 반복되어 발생하는 조직이 점차 딱딱하게 굳어져 폐 섬유화로 진행하게 된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폐 섬유화의 치료제로 염증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염증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기만 할 뿐 이미 발생한 염증에 대해서는 치료 작용을 나타내지 못하며, 장기간 사용할 시에는 피부와 뼈가 약해지고 혈관이 변형되는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폐 섬유화를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옥덩굴(Caulerpa okamurae)은 제주도, 남해, 동해 등에서 서식하는 녹조류로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체형과 색이 아름다워 주로 수족관 등의 관상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옥덩굴 추출물의 폐 손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옥덩굴 추출물이 폐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섬유화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 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은 폐 섬유화 (특히, 폐 경화)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 섬유화 인자 억제력이 뛰어나, 관련 사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 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옥덩굴 추출물의 폐 섬유화 억제 확인.
폐 섬유아세포에 옥덩굴추출물 (25-200μg/ml) 처치 시 세포독성이 없고, TGFβ 로 유도된 폐경화 세포모델에 옥덩굴추출물 (50μg/ml) 처치 시 폐경화인자 (TGFβ, a-SMA, Edn1, Acta2 등)의 감소와 MMP signal (MMP2, MMP3)의 감소를 확인함. 더불어 항염증 (IL-6 감소) 효과도 확인. 또한 28일간의 옥덩굴추출물 (2.5mg/kg BW, every other day)을 폐경화 동물모델에 처치하여 폐에서의 섬유화 인자 (a-SMA) 감소능 확인 하였다.

Claims (2)

  1.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193717A 2021-12-31 2021-12-31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3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17A KR20230103106A (ko) 2021-12-31 2021-12-31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17A KR20230103106A (ko) 2021-12-31 2021-12-31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06A true KR20230103106A (ko) 2023-07-07

Family

ID=8715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17A KR20230103106A (ko) 2021-12-31 2021-12-31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1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1742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6051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8698A (ko) 네크록스-5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및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3106A (ko) 옥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5324A (ko) Sirt1 발현 유도 물질을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70082068A1 (en) Il-8 production promoters and use thereof
JP5917078B2 (ja) 固形状組成物
WO2013187576A1 (ko) 실리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위궤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5507B1 (ko)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2004107285A (ja) 嚥下障害改善剤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121886A (ko) 속쓰림, 위염, 위궤양, 위출혈, 위점막 손상, 위산과다 분비 증상을 개선하고 예방 또는 치료하여 위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및 양배추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및 의약적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20200131603A (ko) 효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강화용 사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효모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614356B1 (ko)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변활동 개선용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US11779626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using goji berries, mulberries and jujubes
EP3960189A1 (en) Antiviral composition having antiviral activity against coronavirus and variant viruses thereof
JP7300446B2 (ja) 外分泌促進剤
KR20190037014A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673407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9422A (ko) 적소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부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2133218B1 (ko) 체지방 감소 보조제 및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