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900A -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900A
KR20230102900A KR1020210193368A KR20210193368A KR20230102900A KR 20230102900 A KR20230102900 A KR 20230102900A KR 1020210193368 A KR1020210193368 A KR 1020210193368A KR 20210193368 A KR20210193368 A KR 20210193368A KR 20230102900 A KR20230102900 A KR 20230102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device
cable
ring
r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경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900A/ko
Publication of KR2023010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선(110)과 상기 중심선(110)의 외측을 둘러싸는 쉴드선(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100)에 결합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0)이 연장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의 일방으로 개방되는 제1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제1방향의 일방으로 삽입되어서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이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1홀(212)에 삽입되는 제1링부(210); 상기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링부(210)의 중심선(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과 제1방향으로 마주하는 연결부(220); 및 상기 연결부(220)로부터 제1방향의 타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홀(212)과 연통되는 제2홀(232)이 형성되는 제2링부(230)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연결부(220)가 파단되고, 상기 연결부(220)가 파단된 이후에 상기 제2링부(230)가 상기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된다.
이에,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줄고 커넥터 제조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CABLE COUPLING DEVICE FOR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고 쉴드선을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줄고 커넥터 제조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커넥터 내부에 구비되는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커넥터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포함한다. 터미널은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과 연결된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모터의 구동을 위해 고전압용 커넥터와 고전압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기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고전압용 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에 쉴드쉘을 구비하고, 고전압 케이블은 쉴드선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고전압 케이블은 코어도선 및 코어도선을 둘러싸는 내부절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심선, 중심선을 둘러싸는 쉴드선 및 쉴드선을 둘러싸고 케이블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용 커넥터와 고전압 케이블이 연결될 때에, 쉴드선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쉴드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사용된다.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는 케이블 선단의 쉴드선과 결합될 수 있고 쉴드쉘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래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는 서포트링과 클림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에 대한 구조 및 작업 공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의 (a)와 같이, 서포트링(20)과 클림프링(30)의 체결작업을 위해 케이블의 선단부 중 외부절연층(14)을 일정길이 제거한다. 외부절연층이 제거된 케이블에는 쉴드선(13)이 노출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도 1의 (b)와 같이 고무링(40) 등을 케이블(10)의 선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도 1의 (c)와 같이 서포트링(20)을 외부절연층(14)에 체결한다. 이후 도 1의 (d)에 개념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노출된 쉴드선(13)을 한 가닥씩 방사상으로 펼치며, 쉴드선(13)이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도 1의 (d)와 같이 서포트링(20)에 클림프링(30)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한다. 클림프링(30)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진 쉴드선(13)은 클림프링(30)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꺽이면서 서포트링(20)의 외측 둘레면과 클림프링(30)의 내측 둘레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시되진 않았으나, 클림프링(30)을 별도의 압착설비를 이용하여 압착시킨다.
그러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로 종래의 서포트링(20) 및 클림프링(30)을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크기 및 형태가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부품(서포트링 및 클림프링)을 제조, 관리, 보관 및 사용해야 하므로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서포트링(20)에 클림프링(30)을 체결하기 전에 쉴드선(13)을 방사상으로 펼치거나 뒤집어야 하므로 커넥터 제조시간이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제조공정의 자동화가 어렵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029254호는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압착장치(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의 선단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서포트링(20)과 서포트링(20)의 외면에 쉴드선(13)이 안착된 상태에서 서포트링(2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클림프링(30)을 포함한다. 클림프링(30)의 일측에는 외팔보 형상의 압착탄성편(33)이 클림프링(3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 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로 두 개의 부품을 사용하고 쉴드선(13)을 뒤집어서 서포트링(20)의 외면에 안착시켜야 하므로 전술한 문제를 그대로 가진다.
KR 10-2020-002925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쉴드선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넥터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줄고 커넥터 제조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선(110)과 상기 중심선(110)의 외측을 둘러싸는 쉴드선(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100)에 결합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0)이 연장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의 일방으로 개방되는 제1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제1방향의 일방으로 삽입되어서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이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1홀(212)에 삽입되는 제1링부(210); 상기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링부(210)의 중심선(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과 제1방향으로 마주하는 연결부(220); 및 상기 연결부(220)로부터 제1방향의 타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홀(212)과 연통되는 제2홀(232)이 형성되는 제2링부(230)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연결부(220)가 파단된다.
상기 연결부(220)가 파단된 이후에 상기 제2링부(230)가 상기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일단부는 제1방향의 타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부위(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220)의 제1방향의 일측면에는 링 형상의 파단유도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파단유도홈(G)은 상기 제1홀(212)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링부(230)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링부(2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는, 상기 제2링부(230)의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링부(230)의 제1방향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경이 제2링부(230)의 외경보다 큰 원통형의 제3링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중심선(110) 및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상기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하는 준비단계;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상기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링부(210)를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하면서 이동시키는 제1이동단계;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을 가해서 상기 연결부(220)를 파단시키는 파단단계; 및 상기 제2링부(230)를 상기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되는 제2이동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준비단계에서는, 상기 중심선(110) 또는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지그(3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단계에서는, 상기 제1링부(210)가 상기 지그(300)와 접하거나 인접할 때까지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링부(210)를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파단단계에서는, 상기 제1링부(210) 및 지그(300)가 제1방향으로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밀거나 상기 지그(300)를 제1방향의 타방으로 밀어서 상기 연결부(220)를 파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심선(110)과 상기 중심선(110)의 외측을 둘러싸는 쉴드선(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100)에 결합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있어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가 상기 케이블(100)이 연장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의 일방으로 개방되는 제1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제1방향의 일방으로 삽입되어서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이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1홀(212)에 삽입되는 제1링부(210); 상기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링부(210)의 중심선(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과 제1방향으로 마주하는 연결부(220); 및 상기 연결부(220)로부터 제1방향의 타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홀(212)과 연통되는 제2홀(232)이 형성되는 제2링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연결부(220)가 파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가 파단된 이후에 상기 제2링부(230)가 상기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파단되고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일부분이 이동함으로써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도 1과 같이 서포트링(20) 및 클림프링(30)의 두 개의 부품을 사용해서 서포트링(20) 및 클림프링(30) 사이에 쉴드선(13)을 배치시키는 종래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제2링부(230)를 압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 관리,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해져서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쉴드선(120)을 펼치거나 뒤집지 않아도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자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줄고 커넥터 제조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일단부는 제1방향의 타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부위(P)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링부(210)는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제1방향의 일방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220)의 제1방향의 일측면에는 링 형상의 파단유도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파단유도홈(G)은 상기 제1홀(212)을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0)가 파단되는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잘못된 위치에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이다. 또한, 파단유도홈(G)이 제1홀(212)을 둘러싸므로 제1링부(210)에 제1방향의 타방으로 외력을 가하기만 하면 연결부(220)가 제1링부(210)의 외주를 따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파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링부(230)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링부(2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고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키는 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쉴드선(120)이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는, 상기 제2링부(230)의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링부(230)의 제1방향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경이 제2링부(230)의 외경보다 큰 원통형의 제3링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키기 위해서 제2링부(230)를 압착하더라도 제3링부(240)가 소정의 크기 또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제2링부(230)가 압착되더라도 제2링부(230)와 연결되는 제3링부(240)를 전술한 커넥터의 쉴드쉘과 소정의 위치에서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링부(230)가 압착되더라도 제3링부(240)가 원통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계가 특정 부위 또는 특정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은 상기 중심선(110) 및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상기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하는 준비단계;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상기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링부(210)를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하면서 이동시키는 제1이동단계;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을 가해서 상기 연결부(220)를 파단시키는 파단단계; 및 상기 제2링부(230)를 상기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되는 제2이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제2링부(230)를 압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 관리,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해져서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쉴드선(120)을 펼치거나 뒤집지 않아도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자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줄고 커넥터 제조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준비단계에서는, 상기 중심선(110) 또는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지그(3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단계에서는, 상기 제1링부(210)가 상기 지그(300)와 접하거나 인접할 때까지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링부(210)를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파단단계에서는, 상기 제1링부(210) 및 지그(300)가 제1방향으로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밀거나 상기 지그(300)를 제1방향의 타방으로 밀어서 상기 연결부(220)를 파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그(3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링부(210)가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되는 제1방향의 거리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품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연결부(220)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와 케이블을 결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2의 케이블과 도 3 내지 도 5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케이블]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00)은 중심선(110), 쉴드선(120) 및 외부절연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선(110)은 전류가 흐르는 코어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선(110)은 코어도선을 둘러싸는 내부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쉴드선(120)은 중심선(110)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다. 쉴드선(120)은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와 결합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쉴드선(120)은 중심선(11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자기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절연층(130)은 쉴드선(120)을 둘러쌀 수 있다. 외부절연층(130)은 케이블(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2의 케이블과 도 3 내지 도 5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는 케이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는 제1링부(210), 연결부(220) 및 제2링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는 제3링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는 케이블(100)의 쉴드선(120)과 결합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는 커넥터(미도시됨)의 내부에 접지를 위해 구비되는 쉴드쉘(미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1링부(210)는 케이블(100)이 연장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링부(210)의 내부에는 제1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홀(212)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홀(212)은 제1방향(예컨대, 좌우방향)의 일방(예컨대, 오른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홀(212)은 제1방향의 타방(예컨대, 왼쪽)으로도 개방될 수 있다.
제1링부(210)는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제1방향의 일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도 7). 이에, 제1링부(210)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이 쉴드선(120)의 일부분(예컨대, 쉴드선의 제1방향의 타측/왼쪽 단부)으로 둘러싸일 수 있고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제1홀(212)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심선(110)의 일부분은 중심선(110) 중에서 제1링부(210)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쉴드선(120)에 의해서 둘러싸였던 부분일 수 있다. 즉, 중심선(110)의 일부분은 제1링부(210)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쉴드선(120)과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일단부(예컨대, 오른쪽 단부)는 제1방향의 타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부위(P)를 포함할 수 있다.
2항//이에 따라, 제1링부(210)는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제1방향의 일방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타단(예컨대, 왼쪽 끝)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링부(210)의 중심선(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링부(210)의 중심선(A)은 제1링부(2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A)일 수 있다. 제1링부(210)의 중심선(A)은 제1링부(210)가 연장되는 제1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일단이 제1링부(2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2링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쉴드선(120)의 일부분과 제1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도 7). 여기에서, 쉴드선(120)의 일부분은 쉴드선(120) 중에서 제1링부(210)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부분(예컨대, 쉴드선의 제1방향의 타측/왼쪽 단부)일 수 있다.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연결부(220)가 파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링부(210) 및 지그(300)가 제1방향으로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상태에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밀거나 지그(300)를 제1방향의 타방으로 밀면 연결부(220)에 외력이 가해져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파단될 수 있다(도 8).
연결부(220)의 제1방향의 일측면(예컨대, 우측면)에는 링 형상의 파단유도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파단유도홈(G)은 제1홀(212)을 둘러쌀 수 있다.
3항//이에 따라, 연결부(220)가 파단되는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잘못된 위치에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이다. 또한, 파단유도홈(G)이 제1홀(212)을 둘러싸므로 제1링부(210)에 제1방향의 타방으로 외력을 가하기만 하면 연결부(220)가 제1링부(210)의 외주를 따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파단될 수 있다.
제2링부(230)는 연결부(220)로부터 제1방향의 타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2링부(230)의 내경은 제1링부(210)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제2링부(230)의 내부에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홀(212)과 연통되는 제2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홀(232)은 제1방향의 일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홀(232)은 제1방향의 타방으로도 개방될 수 있다.
연결부(220)가 파단된 이후에 제2링부(230)가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제1링부(210),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제2홀(232)에 삽입될 수 있다(도 9). 여기에서,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중심선(110)의 일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1항//이에 따라,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파단되고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일부분이 이동함으로써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도 1과 같이 서포트링(20) 및 클림프링(30)의 두 개의 부품을 사용해서 서포트링(20) 및 클림프링(30) 사이에 쉴드선(13)을 배치시키는 종래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제2링부(230)를 압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 관리,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해져서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쉴드선(120)을 펼치거나 뒤집지 않아도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자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줄고 커넥터 제조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제1링부(210),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제2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링부(230)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2링부(2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중심선(110)의 일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다.
4항//이에 따라,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고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키는 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쉴드선(120)이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3링부(240)는 제2링부(230)의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왼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링부(240)는 제2링부(230)의 제1방향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3링부(240)는 외경이 제2링부(230)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제3링부(240)는 원통형일 수 있다.
제3링부(240)는 전술한 커넥터의 쉴드쉘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5항//이에 따라,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키기 위해서 제2링부(230)를 압착하더라도 제3링부(240)가 소정의 크기 또는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제2링부(230)가 압착되더라도 제2링부(230)와 연결되는 제3링부(240)를 전술한 커넥터의 쉴드쉘과 소정의 위치에서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링부(230)가 압착되더라도 제3링부(240)가 원통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계가 특정 부위 또는 특정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할 수 있다.
제3링부(240)의 내부에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홀(232)과 연통되는 제3홀(2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홀(242)은 제1방향의 일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3홀(242)은 제1방향의 타방으로도 개방될 수 있다.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은 준비단계, 제1이동단계, 파단단계 및 제2이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은 압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준비단계에서는, 케이블(100)의 중심선(110) 및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할 수 있다(도 6).
또한, 중심선(110) 또는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지그(300)를 설치할 수 있다.
제1이동단계에서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되 제1링부(210)를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도 7).
예를 들면, 제1링부(210)가 지그(300)와 접하거나 인접할 때까지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되 제1링부(210)를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7항//이에 따라, 지그(3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링부(210)가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되는 제1방향의 거리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품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파단단계에서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을 가해서 연결부(220)를 파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링부(210) 및 지그(300)가 제1방향으로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상태에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밀거나 지그(300)를 제1방향의 타방으로 밀어서 연결부(220)를 파단시킬 수 있다(도 8). 예를 들면, 연결부(220)는 도 8의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지점에서 파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220)는 파단유도홈(G)이 형성된 부위에서 파단될 수 있다.
7항//이에 따라, 연결부(220)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다.
제2이동단계에서는, 제2링부(230)를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1링부(210),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제2홀(232)에 삽입될 수 있다(도 9). 예를 들면, 제2링부(230)가 지그(300)와 접하거나 인접할 때까지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쉴드선(120)의 일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쉴드선(120) 중에서 제1링부(210)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부분(예컨대, 쉴드선의 제1방향의 타측/왼쪽 단부)일 수 있다. 또한, 중심선(110)의 일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선(110) 중에서 제1링부(210)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쉴드선(120)에 의해서 둘러싸였던 부분일 수 있다. 즉, 중심선(110)의 일부분은 제1링부(210)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쉴드선(120)과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6항//이에 따라,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되더라도 제2링부(230)를 압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쉴드선(120)을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강하게 결속/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가 복수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 관리,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해져서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쉴드선(120)을 펼치거나 뒤집지 않아도 쉴드선(120)이 제1링부(210) 및 제2링부(230) 사이에 자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줄고 커넥터 제조공정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압착단계에서는, 제2링부(230)를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2링부(2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케이블
110: 중심선 120: 쉴드선
130: 외부절연층
200: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210: 제1링부 212: 제1홀
220: 연결부 G: 파단유도홈
230: 제2링부 232: 제2홀
240: 제3링부 242: 제3홀
300: 지그

Claims (7)

  1. 중심선(110)과 상기 중심선(110)의 외측을 둘러싸는 쉴드선(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100)에 결합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0)이 연장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의 일방으로 개방되는 제1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제1방향의 일방으로 삽입되어서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이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1홀(212)에 삽입되는 제1링부(210);
    상기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링부(210)의 중심선(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과 제1방향으로 마주하는 연결부(220); 및
    상기 연결부(220)로부터 제1방향의 타방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홀(212)과 연통되는 제2홀(232)이 형성되는 제2링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연결부(220)가 파단되고,
    상기 연결부(220)가 파단된 이후에 상기 제2링부(230)가 상기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210)의 제1방향의 일단부는 제1방향의 타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부위(P)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0)의 제1방향의 일측면에는 링 형상의 파단유도홈(G)이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파단유도홈(G)은 상기 제1홀(212)을 둘러싸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링부(230)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링부(2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압착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는,
    상기 제2링부(230)의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링부(230)의 제1방향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경이 제2링부(230)의 외경보다 큰 원통형의 제3링부(240)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110) 및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단 또는 타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상기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하는 준비단계;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상기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링부(210)를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하면서 이동시키는 제1이동단계;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에 외력을 가해서 상기 연결부(220)를 파단시키는 파단단계; 및
    상기 제2링부(230)를 상기 제1링부(210) 및 케이블(100)에 대해서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1링부(210), 상기 쉴드선(120)의 일부분 및 상기 중심선(110)의 일부분이 상기 제2홀(232)에 삽입되는 제2이동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에서는, 상기 중심선(110) 또는 쉴드선(12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지그(300)를 설치하고,
    상기 제1이동단계에서는, 상기 제1링부(210)가 상기 지그(300)와 접하거나 인접할 때까지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링부(210)를 상기 중심선(110)과 쉴드선(120) 사이에 삽입하면서 이동시키고,
    상기 파단단계에서는, 상기 제1링부(210) 및 지그(300)가 제1방향으로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200)를 제1방향의 일방으로 밀거나 상기 지그(300)를 제1방향의 타방으로 밀어서 상기 연결부(220)를 파단시키는,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10193368A 2021-12-30 2021-12-30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102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368A KR20230102900A (ko) 2021-12-30 2021-12-30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368A KR20230102900A (ko) 2021-12-30 2021-12-30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900A true KR20230102900A (ko) 2023-07-07

Family

ID=8715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368A KR20230102900A (ko) 2021-12-30 2021-12-30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9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254A (ko) 2018-09-10 202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압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254A (ko) 2018-09-10 202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압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8611B2 (en) Ferrul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7146544B2 (ja) 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電気接続ユニット、および電気ケーブルを組み立てる方法
US8801461B2 (en) Stepped termination block
CN105431983A (zh) 插接连接器
TWM417693U (en) Rotatable connector
CN104247156B (zh) 插入式连接器的绝缘体
JP2014513391A (ja) ばね部材による先行して行われる接地接続
CN108092026B (zh) 用于多芯线的电线缆的电的插接连接器
US10424880B2 (en) Shield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same
KR101697721B1 (ko) Hf 도체, 특히,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자 접속부 및 상기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
JP2016031931A (ja) 電気コネクタ
JP6261780B2 (ja) ケーブル接続部品
US8398428B2 (en) Reel for minimizing unreeled cable length
US2225728A (e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8092027B (zh) 用于多芯线的电缆的电插接连接器
JP2008123913A (ja) 内導体端子及び同軸コネクタ
CN109792118B (zh) 连接器
EP3683892A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10089275A (ko) 스타 쿼드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KR101283620B1 (ko) 삽입형 커넥터 쉴드 연결구조
KR20230102900A (ko)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및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의 제조방법
CN110504597A (zh) 屏蔽连接器
JP5325698B2 (ja) 電線接続ユニット
KR102648083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압착장치
KR102428329B1 (ko) 열 보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