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721B1 - Hf 도체, 특히,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자 접속부 및 상기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Hf 도체, 특히,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자 접속부 및 상기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721B1
KR101697721B1 KR1020160055251A KR20160055251A KR101697721B1 KR 101697721 B1 KR101697721 B1 KR 101697721B1 KR 1020160055251 A KR1020160055251 A KR 1020160055251A KR 20160055251 A KR20160055251 A KR 20160055251A KR 101697721 B1 KR101697721 B1 KR 10169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insertion sleeve
solder
receiving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930A (ko
Inventor
마리오 귄터
토마스 하우언버거
요하네스 샬러
맨프레드 스톨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3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01P1/045Coaxial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2Coaxial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01R4/024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comprising preapplied sol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단자 접속부단자 접속부도체(4) 및 단자 장치(2)를 포함한다. 단자 장치(2)는 HF 도체 수용 홀(15)을 포함하는 HF 도체 수용 부재(10)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접속을 형성하도록 HF 도체(4)와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배치된다. 또한, HF 도체(4)가 삽입되는 수용 개구(8)를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7)가 있다. 삽입 슬리브(7)는 플러그인 측에 있는 삽입 개구(16)를 통해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된다.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은,
a) 삽입 슬리브(7)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b) 삽입 슬리브(7)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 상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c) HF 도체(4) 상에 배치된다.
삽입 슬리브(7)는 변형될 수 없거나 및/또는 유전체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삽입 슬리브는 삽입 슬리브의 원주 방향 측면에 관하여 HF 도체 수용 홀(15)의 내면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슬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는 수용 채널(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HF 도체, 특히,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자 접속부 및 상기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TERMINAL CONNECTION COMPRISING AN HF CONDUCTOR, IN PARTICULAR FOR A COAXIAL CAB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TERMINAL CONNECTION}
본 발명은 HF 도체, 특히, 동축 케이블을 수용하고 접촉시키는 단자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인 접속과 같은 단자 접속부는 전류 및/또는 특정 전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전선을 고립 및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단자 접속부들은 다수의 또는 하나의 플러그일 수 있다. 내부 도체, 외부 도체 및 외부 도체 쉴드를 포함하되, 내부 도체는 일반적가으로 유전체를 사용하여 외부 도체로부터 전기적/전기화학적으로 고립되는 동축 플러그인 접속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공정에서, 동축 케이블을 가능한 단순한 방식으로 플러그인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촉은 가능한 재현성이 있어야 한다.
독일 특허 공보 DE 693 07 329 T2호는 케이블용 단자 장치를 개시한다. 단자 장치는 땜납 용착물이 도입되는 중공 영역을 구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후에, 전기 전도성이고, 탄성이 있는 슬리브 형상의 압축 코일이 삽입된다. 수용되는 케이블과 접촉하는 내부 도체는 상기 압축 코일 내로 삽입된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10/0144200 A1호는 동축 케이블을 종단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커텍터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장치에 기대어 제1 단부에 의해 스프링이 지지된다. 또한, 일부 스프링은 원주 방향에서 커텍터의 수용 홀의 내부 벽에 인접한다. 스프링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단부에서 제2 단부의 직경으로 테이퍼진다.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고정 장치를 통해 도입되고, 스프링의 제2 단부에 의해 홀의 중앙에 고정된다.
국제 공개공보 WO 2015/000749호는 동축 케이블용 단자 플러그를 개시한다. 단자 플러그는 고정 부재 및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는 유전체로 구성되고,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단자 플러그의 수용 개구의 중앙에 고정시킨다. 접촉 부재는 내부 도체를 전기화학적으로 접촉시키고, 추가적으로 고정 부재에 기대어 지지된다. 접촉 부재의 외부 원주에 있으며, 고정 부재에서 상당하는 압흔(indentation)에 결합하는 돌출부는 고정 부재에 대하여 접촉 부재의 축 방향 변위를 방지한다.
독일 특허공보 DE 102 51 905 C5호는 동축의 플러그인 커넥터와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로 구성되는 플러그인 접속을 개시한다. 플러그인 커넥터는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접촉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외부 도체 소켓을 포함한다. 또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내부 도체 수용 홀을 구비한 내부 도체 수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도체 수용 부재는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플러그인 커넥터의 내부 도체 수용 부재 사이에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땜납 용착물이 플러그인 커넥터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땜납 용착물은 내부 도체 수용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도체 수용 홀은 확장된 직경을 갖는 영역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땜납 용착물은 상기 영역 내에 배치된다.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내부 도체가 플러그인 커넥터 내로 도입된 이후에, 땜납 용착물이 예컨대, 인덕션 루프를 사용하여 용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플러그인 커넥터의 내부 도체 수용 부재 사이에서 형성된 전기 전도성 접속을 초래한다.
독일 특허공보 DE 102 51 905 C5호의 문제점은 다른 내부 도체 수용 홀에는 수용되는 내부 도체의 다른 직경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확장된 직경을 갖는 영역은 땜납 용착물을 부착하도록 요구되고, 이는 추가적인 가공 단계를 요구한다. 이는 제조 공정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 장치가 HF 내부 도체, 심지어 다른 케이블과도 가능한 단순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HF 내부 도체와 단자 장치 사이의 전기 접촉은 재현성이 있고, 가능한 단순하게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인 제1항에 따른 단자 접속부에 의해 달성된다. 제13항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 특히 HF 필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5항은 이러한 유형의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자 접속부 또는 전기 장치 또는 이러한 유형의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발전은 독립항에서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는 HF 도체를 예컨대, 플러그인 커넥터의 형태인 단자 장치와 접촉 및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단자 장치는 HF 도체 및 상기 HF 도체를 수용하는 HF 도체 수용 홀을 포함하는 HF 도체 수용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단자 접속부는, HF 도체와 단자 장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 사이에 전기 전도성 접속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의 사용을 제공한다.
또한, 단자 접속부는 수용 개구를 구비한 삽입 슬리브를 제공한다. HF 도체는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된다. 삽입 슬리브는 플러그인 측의 삽입 개구를 통해 HF 도체 수용 부재의 HF 도체 수용 홀 내로 삽입된다.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은 삽입 슬리브 내에 또는 삽입 슬리브의 두 개의 단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에 또는 HF 도체에 배치된다. 삽입 슬리브는 변형할 수 없거나 및/또는 유전체로 구성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삽입 슬리브의 원주 방향 측면은 HF 도체 수용 홀의 내부면으로 조정되고, HF 도체 수용 홀의 내부면에 기대어 지지되며, 상기 슬리브는 HF 도체 수용 홀 내에서 종방향으로만 변위 가능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삽입 슬리브는 수용 개구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HF 도체 수용 부재의 HF 도체 수용 홀 내로 삽입되는 삽입 슬리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상기 삽입 슬리브는 땜납 용착물을 직접적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땜납 용착물은 삽입 슬리브 상에 배치될 수 있는데, 즉, 삽입 슬리브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땜납 용착물이 용융되면, 이에 따라, HF 도체는 HF 도체 수용 부재에 연결된다. 한편으로, 삽입 슬리브는 땜납 용착이 정확히 규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HF 도체와 HF 도체 수용 부재의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접촉을 초래한다. 다른 한편으로, 동일한 단자 장치가 다른 직경의 HF 도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각각의 경우에 수용되는 HF 도체로 조정되는 다른 수용 개구를 구비한 다른 삽입 슬리브를 사용하는 것이 단지 요구된다. 결과로서, 삽입 슬리브가 수용 개구의 관점에서 다른 직경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삽입 슬리브는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가지고, 이는 표준화된 HF 도체 수용 홀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HF 도체 수용 홀 내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새로운 땜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땜납 공정까지 숙성된다. 따라서, 단자 장치 자체는 소망하는대로 저장될 수 있고, HF 도체에 결합되는 공정 중에, 바람직하게, 새로운 또는 숙성되지 않은 땜납 용착물을 갖는 삽입 슬리브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단자 장치가 동등하게 다른 직경의 내부 도체를 수용하는 데에 적절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다른 독립항에서, 특히, HF 필터인 전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삽입 슬리브와 땜납 용착물이 도입되는 HF 도체 수용 홀은 HF 필터의 공진기 내부 도체에 형성된다. 결국, HF 도체는 삽입 슬리브 내로 삽입되고, HF 도체 수용 부재에 땜납된다.
삽입 슬리브가 변형되지 않는 경우에, 즉, 비-탄성인 경우에, HF 도체와 HF 도체 수용 부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고, 땜납 지점의 높은 재현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장점이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삽입 슬리브는 유전체, 특히,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다. 플라스틱 소재는 낮은 열 용량을 가지고, 이는 땜납 용착물의 유도 가열 중에 낮은 에너지가 요구되거나 또는 다른 가능성으로 삽입 슬리브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용융 공정이 짧은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삽입 슬리브의 원주 방향 측면은 구체적으로 직경과 형상이 HF 도체 수용 홀의 내면으로 조정되고, 따라서, 상기 삽입 슬리브는 HF 도체 수용 홀에 기대어 지지되고, HF 도체 수용 홀 내에서 종방향으로만 변위될 수 있다. 삽입 슬리브 및 HF 도체 수용 홀을 포함하는 HF 도체 수용 부재는 두 개의 별도의 부재이다. 이는 삽입 슬리브 및 HF 도체 수용 부재가 두 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HF 도체 수용 홀은 삽입 슬리브의 부착에 의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땜납 용착물이 강성 소재 또는 탄성 소재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개방 링 또는 폐쇄 링의 형태이거나 또는 땜납 용착물이 점성이 있는 경우에 추가적인 장점이 제공된다. 특히, 개방 링 또는 폐쇄 링의 형태로 강성 소재 또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 땜납 용착물의 사용은 땜납 용착물이 HF 도체 상에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는 상기 삽입 슬리브의 원주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이는 삽입 슬리브가 특히, 꼬임-방지(twist-proof) 방식으로 특정 위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삽입 슬리브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원주에 있고, 삽입 방향에 반대인 HF 도체 수용 부재 내로 돌출하며, 갈고리로 역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또한 포함하여, HF 도체 수용 부재 외부로 삽입 슬리브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항상 땜납 용착물이 삽입 슬리브와 함께 단자 장치의 동일한 위치 내로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코딩 부재는 삽입 슬리브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 슬리브가 원형 단면 대신에 타원형 또는 n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경우에(n≥3), 이는 이미 회전을 방지하는 데에 충분하다. 그러나, 이후에, HF 도체 수용 홀은 다른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야 한다. 이는 전기 접촉의 재현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삽입 슬리브가 갈고의 형태를 포함하는 점은 삽입 슬리브가 더이상 HF 도체 수용 홀 외부로 슬라이딩될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단순한 조립을 초래한다.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과 HF 도체 수용 부재 사이의 거리가 많은 단자 장치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는, 전기 접촉의 재현성이 또한 증가되도록 HF 도체 수용 부재 내에서 정지부에 의해 제한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수용 채널은 특히, 홀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수용 채널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여 외부에서 수용 개구 내로 연장되되,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단자 장치가 결국에 HF 도체에 결합될 때까지, 삽입 슬리브가 땜납 용착물과 함께 적절하게 준비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삽입 슬리브가 X개의 수용 채널(X≥2)을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되, 이러한 수용 채널은 삽입 슬리브를 통한 단면의 평면에서 α=360°/X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HF 도체가 HF 도체 수용 부재와 대칭으로 전기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여, 전기 접속의 재현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수용 채널이 삽입 슬리브를 통한 단면의 평면에서 180°, 바람직하게는 220°, 더욱 바람직하게는 2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40°보다 큰 범위이지만, 360°보다는 작은 범위를 덮는 절개부 형태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개방 링의 형태이고 강성 소재 또는 부분적으로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땜납 용착물은 상기 절개부 내에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땜납 용착물은 절개부 형태인 수용 채널 내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클립"될 수 있다.
또한, HF 도체는, 상기 HF 도체가 수용되거나 수용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형성하도록 HF 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강성 유전체로 둘러싸여지되, 상기 강성 유전체는 강성 유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외부 도체로 둘러싸여진다. 이러한 경우에, 단자 장치는 플러그인 커넥터이다. 플러그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을 수용하는 외부 도체 소켓을 포함한다. 외부 도체 소켓은 외부 도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 접촉부 상에서 수용되거나 수용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단자 장치의 외부 도체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에, 단자 접속부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는 외부 도체 접촉부와 HF 도체 수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반경 방향으로 HF 도체를 홀로 또는 수용되거나 수용된 동축 케이블의 유전체와 함께 둘러싼다. 그 결과, 동축 케이블의 파동 저항은 소망하는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하의 방법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방법 단계에서, 수용되는 HF 도체가 준비된다. 이는,
a)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HF 도체 상에 땜납 용착물을 배치하고, HF 도체 상에 삽입 슬리브를 더욱 배치하는 단계; 또는
b)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HF 도체 상에 삽입 슬리브 및 땜납 용착물을 배치하는 단계; 또는
c) HF 도체 상에 삽입 슬리브를 배치하되,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이 이미 삽입 슬리브에 배치되어 있는 단계; 또는
d) HF 도체 상에 삽입 슬리브를 배치하고, 삽입 슬리브에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을 부착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에, HF 도체는 삽입 슬리브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과 함께 단자 장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 내로 삽입된다.
제1 방법 단계 대신에, 단자 장치는 제2 방법 단계로 적절하게 준비될 수 있다. 이는,
a) 삽입 슬리브에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을 배치하고, 상기 삽입 슬리브를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과 함께 단자 장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에서 HF 도체 수용 홀 내로 삽입하는 단계; 또는
b) 단자 장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에서 HF 도체 수용 홀 내로 삽입 슬리브를 삽입하고, 단자 장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의 HF 도체 수용 홀에서 삽입 개구 쪽으로 유지되는 공간 내로 땜납 용착물을 삽입 또는 도입하는 단계; 또는
c) 단자 장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의 HF 도체 수용 홀 내로 땜납 용착물을 삽입하고, 단자 장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의 HF 도체 수용 홀 내로 삽입 슬리브를 추가로 삽입 또는 도입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이후에, HF 도체는 삽입 슬리브의 수용 개구 또는 삽입 슬리브 및 환형 땜납 용착물의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된다.
제1 방법 단계 또는 제2 방법 단계 대신에, 동축 케이블 및 단자 장치 모두 제3 방법 단계로 적절하게 준비될 수 있다. 이는,
a)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단자 장치의 HF 도체 수용 부재의 HF 도체 수용 홀 내로 삽입 슬리브를 삽입하고, HF 도체 상에 땜납 용착물을 배치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이후에, HF 도체는 삽입 슬리브의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된다.
제4 방법 단계에서, 땝납 용착물은 액체로 용융될 때까지 가열된다. 이에 따라, HF 도체와 HF 도체 수용 부재 사이의 전기 접촉이 형성된다. 한편으로, 삽입 슬리브가 HF 도체를 넘어 슬립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삽입 슬리브가 HF 도체 수용 부재의 HF 도체 수용 홀 내로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는 HF 도체가 삽입 슬리브 및 땜납 용착물과 함께 별도의 부재로 준비되거나 또는 단자 장치가 삽입 슬리브 및 선택적으로 땜납 용착물과 함께 준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는 HF 도체를 수용하고 접촉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가 사용된 전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b는 삽입 슬리브 및 땜납 용착물이 삽입되는 HF 도체 수용 홀을 포함하는 전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플러그인 접속 형태인 단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러그인 접속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삽입 슬리브가 HF 도체 수용 부재 내에 이미 삽입된 플러그인 커넥터 형태인 단자 장치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b는 땜납 용착물을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가 HF 도체 수용 부재 내에 이미 삽입된 플러그인 커넥터 형태인 단자 장치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땜납 용착물이 도입되는 수용 채널을 포함한 삽입 슬리브를 관통하는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b는 갈고리(barb)를 포함하여 HF 도체 부재에서 더 이상 헐거워질 수 있는 삽입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c는 삽입 슬리브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양한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d는 동심으로 배치된 땜납 용착물을 각각 수용한 4개의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5e는 270°의 범위를 넘어 연장된 절개부 형태이며, 바람직하게 개방 링 형태인 땜납 용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채널을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땜납 용착물과 유전체인 동축 케이블 사이에 삽입 슬리브가 배치된,플러그인 접속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삽입 슬리브 대신에 돌출된 HF 도체와 함께 유전체가 HF 도체 수용 홀 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인 접속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는 동축 케이블의 파동 임피던스를 조정하도록 플러그인 커넥터 내에 어댑터 부재가 배치된, 플러그인 접속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동축 케이블의 파동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어댑터 부재가 포함된, 플러그인 접속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a, 도 9b는 HF 도체의 단면이 각을 이루고 있는, 전기 장치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의 추가적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는, 부분적으로 유전체 및 외부 도체에 의해 둘러싸여져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형성하는 HF 도체를 수용하고 접촉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가 있는 전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a, 도 11b는 부분적으로 유전체 및 외부 도체에 의해 둘러싸여져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형성하는 HF 도체를 수용하고 접촉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가 있는 전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접속의 제조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도 1a는 HF 도체(4)를 수용하고 접촉시키기 위해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가 있는 전기 장치(17)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17)는 전기 신호를 바꾸는 HF 필터일 수 있다. 구조에 따라, 이러한 유형의 HF 필터는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 내부 도체(18)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공진기 내부 도체(18)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기저에서 하우징 커버로 연장된다. 이러한 유형의 공진기 내부 도체(18)는 비접촉 방식으로 결합된 용량성일뿐만 아니라 응용에 따라 갈바니성 또는 유도성이다. 입력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신호는 전기 라인, 즉, HF 도체(4)를 통해 공급된다. 가능한 쉽게 전기 장치(17), 즉, HF 필터를 조정하도록, 재생 가능한 땜납 접속이 요구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를 사용하여 전기적 특성의 관점에서 어떻게 HF 도체(4)가 공진기 내부 도체(18)에 빠르고, 간단하고, 재생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지 도시한다. 단순한 경우로서, HF 도체(4)는 하나의 와이어 또는 가닥으로 구성된다.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HF 도체(4)는 유전체(5)로 둘러싸일 수 있다. 후속하는 도면으로 설명되는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HF 도체(4)는 동축 케이블(3)의 내부 도체(4)이다.
공진기 내부 도체(18)는 HF 도체 수용 홀(15)을 포함하는 HF 도체 수용 부재(10)를 구비한 단자 장치(2)를 포함한다. HF 도체 수용 홀(15)은 공진기 내부 도체(18)에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경우에, HF 도체 수용 부재(10)를 형성한다. 더 나은 전기 접촉을 위해, HF 필터와 함께 HF 도체 수용 홀(15)에 전기를 통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자 접속부(1)는 HF 도체가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개구(8)를 구비한 삽입 슬리브(7)를 추가로 포함한다.
HF 도체(4)가 공진기 내부 도체(18)와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단자 접속부(1)는 전기 전도성 접속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1a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삽입 슬리브(7)의 단부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삽입 슬리브(7)에 단단히 가압될 수 있다. 삽입 슬리브(7)는 HF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에 홀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7)의 외부 직경은,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 수용 홀(15)에 분명히 또는 마찰을 발생하며 장착되고, 오직 축방향으로, 즉, 플러그인 측에 있는 삽입 개구(16)의 방향 또는 플러그인 측에 있는 삽입 개구(16)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는 단부면을 포함하지 않는 삽입 슬리브(7)의 측면 원주 벽의 형상이 HF 도체 수용 홀(15)의 내부 주변 벽의 형상으로 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7)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고, 변형되지 않는다. 이는 HF 도체(4)와 HF 도체 수용 부재(10) 사이의 거리가 일련으로 형성되는 많은 단자 접속부(1)에 대하여 일정한 것을 보장한다.
도 1b는 삽입 슬리브(7)가 땜납 용착물(9)과 함께 이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HF 도체 수용 홀(15)을 포함하는 전기 장치(17)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땜납 용착물(9)은 삽입 개구(16)에 인접하게 위치된 삽입 슬리브(7)의 단부면, HF 도체 수용 홀(15)의 플러그인 측에 위치된다. 땜납 공정 이후에,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HF 도체 수용 홀(15)을 넘어서 돌출되지 않지만, 단부가 동일 평면이 된다. 바람직하게, 이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용융되기 전의 경우이다.
이후 단계에서, HF 도체는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의 배열은 HF 도체(4)가 하나이고, HF 도체 수용 부재(10)와 반경 방향으로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플러그인 접속(1)의 형태인 단자 접속부(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단자 장치(2)는 플러그인 커넥터(2)의 형태이다. HF 도체(4)는 유전체(5) 및 외부 도체(6)로 둘러싸이고, 이에 따라, 동축 케이블(3)의 내부 도체를 형성한다. HF 도체(4), 즉, 동축 케이블(3)의 내부 도체(4)는 노출되는데, 이는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가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 및 외부 도체(6)를 지나 돌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플러그인 접속(1)의 형태인 단자 장치(1)는 삽입 슬리브(7)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삽입 슬리브(7)는 바람직하게, HF 도체(4)의 직경에 상당하거나 또는 조금 큰 직경을 갖는 수용 개구(8)를 포함한다. 수용 개구(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슬리브(7)를 완전히 관통할 수 있다. 그러나, 수용 개구(8)는 블라인드 홀의 형태이고, 베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단자 접속부(1)는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와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 사이에 전기 전도성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땜납 용착물(9)은 부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링의 형태이고, 강성 또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땜납 용착물(9)은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에 배치되는데, 즉, 바람직하게, 땜납 용착물(9)이 유전체(5)의 단부면(11)에 접촉하는 데에 충분하도록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 상으로 가압된다. 또한, 이후에, 삽입 슬리브(7)는 땜납 용착물(9)과 접촉할때까지 HF 도체(4) 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땜납 용착물(9)은 삽입 슬리브(7)와 수용되거나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의 단부면(11) 사이에 배치된다.
HF 도체(4)가 유전체(5) 또는 외부 도체(6)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즉, 단순히 하나의 와이어 또는 가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땜납 용착물(9)은 예컨대, HF 도체(4)에 크림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HF 도체(4)를 따라 슬립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또한, HF 도체(4)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이 슬립에 대해 고정되게 하는 작은 돌출부 또는 압입 자국(indentation)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7)는 중공 실린더이다. 가능한 낮은 열 욜량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7)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삽입 슬리브(7)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HF 도체 수용 부재(10)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플러그인 커넥터(2)의 형태인 단자 장치(2)는 동축 케이블(3)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는 외부 도체 소켓(12)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를 위해, 외부 도체 소켓(12)은 케이블 수용 개구(1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외부 도체 소켓(12)은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도성 소재로 코팅되며,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와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되는 외부 도체 접촉부(14)를 구비한다. 케이블 수용 개구(13)는 바람직하게,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까지의 동축 케이블(3)의 직경에 상당하는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보호 케이싱은 케이블 수용 개구(13)의 영역에서 벗겨진다.
HF 도체 수용 부재(10)는 HF 도체 수용 홀(15)을 구비한다. HF 도체 수용 홀(15)은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되, 바람직하게, HF 도체 수용 부재(10)는 외부 도체 소켓(12) 내에서 중앙에 배치된다.
HF 도체 수용 홀(15)의 직경은 삽입 슬리브(7)의 외부 직경에 상당하거나 또는 다소 큰 직경이 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삽입 슬리브(7)는 플러그인 측에 있는 삽입 개구(16)를 통해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HF 도체 수용 홀(15)의 직경은 일정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경은 변경되지 않는데, 특히, 축 길이를 넘어서 증가되지 않는다.
도 3은 플러그인 접속(1)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되, 동축 케이블(3)은 삽입 슬리브(7)와 땜납 용착물(9)과 함께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에 도입되어 있다. 삽입 슬리브(7)는 정지부에 의해 제한되는 방식으로 HF 도체 수용 홀(15), 즉,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에 배치된다.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은,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삽입 슬리브(7)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삽입 슬리브(7)의 단부면을 지나 돌출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을 지나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땜납 공정의 종결 이후에,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에 대해 동일 평면이 되도록 또는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수용되거나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의 단부면(11)의 일부는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에 지지된다.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는 수용 개구(8)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즉, 오직 삽입 슬리브(7)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로 연장된다. 그러나,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가 수용 개구(8)의 전장 또는 전장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3에서,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이미 용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인덕션 루프를 이용하여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는 이미 HF 도체 수용 부재(10)에 전기 전도성 있게 연결되어 있다.
이후에, 추가적으로 외부 도체 소켓(12)의 외부 도체 접촉부(14)는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에 전기 전도성 있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는 프레싱 및/또는 크림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도체(6)와 외부 도체 접촉부(14) 사이의 전기 접촉은 추가적인, 바람직하게는 단순한 기계 고정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경우에,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는 베어링 어깨부(20)에 위치된다. 그러나,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의 단부면과 외부 도체 소켓(12)의 베어링 어깨부(20) 사이의 전기 접촉이 방지되도록, 유전체가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의 단부면과 외부 도체 소켓(12)의 베어링 어깨부(20) 사이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명확하게, 이러한 유형의 단부면 접촉은 전기 접촉의 재현성에 관하여 어려움을 제시한다. 따라서, 외부 도체가 반경 방향의 부품을 구비하여 외부 도체(6)와 하나의 전기 접촉을 갖는 경우에 유리하다.
도 4a는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에 삽입 슬리브(7)가 이미 삽입되어 있는 단자 장치(2)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삽입 슬리브(7)가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에 배치되는 않고,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에 직접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가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삽입 슬리브(7)가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된 이후에, 바람직하게, 환형의 땜납 용착물(9)인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후속하여 공간(30) 내에 도입될 수 있고, HF 도체 수용 홀(15)에서 삽입 개구(16) 쪽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황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의 단부면이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또한, HF 도체 부재(10)의 단부면이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의 단부면을 약간 지나 돌출되거나 또는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땝납 용착물(9)의 단부면이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을 지나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는 땜납 용착물(9)과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모두를 관통할 수 있다.
도 5a는 삽입 슬리브(7)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통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이러한 유형의 삽입 슬리브(7)에서, 바람직하게, 땜납 용착물(9)은 삽입 슬리브(7)와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의 단부면(11) 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삽입 슬리브(7) 자체에 배치된다. 삽입 슬리브(7)는 특히, 홀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4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수용 채널(40)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여 외부에서 수용 개구(8) 내로 연장된다. 수용 채널(40)은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수용 채널(40)은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직경이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채널(40)을 관통하는 종방향 단면은 원뿔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관성 있는 점성을 갖는 땜납 용착물(9)이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40) 내에 도입된다. 이후에, 삽입 슬리브(7)는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에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슬리브(7)가 동축 케이블의 HF 도체(4)에 배치된 후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40)이 오직 땜납 용?m물(9)로 채워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숙성되지 않은 땜납이 땝납 용착물(9)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다수의 땝납 용착물(9)이 있는 경우에, 땜납 용착물(9)은 절반 길이에 있는 삽입 슬리브(7) 내에 도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땝납 용착물(9)은 삽입 슬리브(7)의 중앙을 관통하는 종방향 단면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 라인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는 구체적으로,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땜납 용착물(9)이 항상 HF 도체(4)를 HF 도체 수용 부재(10)와 동일한 지점에서 접촉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유사하게, 도 5a의 삽입 슬리브(7)는 종방향 단면에 경사부(42)를 갖는다. 경사부(42)는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7)는 삽입 단부의 종방향 단면에서 원뿔형이다. 삽입 슬리브(7)는 양 단부에 이러한 유형의 경사부(42)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4)에 배치되거나 또는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는 방향이 문제되지 않는다.
도 5b는 삽입 슬리브(7)가 내부에 삽입될 때 HF 도체 수용 홀(15)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갈고리(41)를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7)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관통하는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삽입 슬리브(7)는 삽입 방향에 반대로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로 돌출하며, 갈고리(41)로 지칭될 수 있고, 삽입 슬리브(7)의 원주 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41)는 삽입 슬리브(7)의 원주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어지는데, 즉, 중단 없이 원주 방향을 넘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41)는,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될 때 삽입 슬리브(7)의 원주에 맞추고,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 수용 홀(15) 내에 있는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상당하는 홈 또는 슬롯에 결합시키도록 탄성이 존재한다.
또한, 삽입 슬리브(7)가 원주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 수용 부재(10), 즉, 특정 위치의 HF 도체 수용 홀(15)에 삽입될 수 있고, 꼬임 방지 방식으로, 바랍직하게는 정지부에 의해 제한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c는 삽입 슬리브(7)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양한 수용 채널(40)을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7)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대한 종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종방향이 Z축인 경우에, 가상의 X-Y 좌표 시스템에 대하여 이는 각각의 수용 채널(40)이 동일한 면적 및 동일한 위치를 갖지만, Z축을 따르는 위치는 다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수용 채널(40)은 서로 위에서 "합동"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각각의 수용 채널(40)이 서로 위에서 오프셋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 또한 상정될 수 있다. Z축을 따르는 위치의 관점에서, 상기 채널은 또한 X축 및/또는 Y축에 대하여 다르다.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수용 채널(40)이 평면도에서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합동으로, 서로 위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오프셋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수용 채널(40)은 이미 땜납 용착물(9)로 채워져 있다.
도 5d는 땜납 용착물(9)을 각각 수용하는 4개의 수용 채널(40)을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7)에 대한 단면도이다. 바람직하게, 수용 채널(40)은 홀 형태이고, 도 5d의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하여 외부에서 수용 개구(8) 내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7)는 X개의 수용 채널(40)을 포함하되, 바람직하게, X≥2이다. 삽입 슬리브(7)에 대한 단면의 평면도에서, 수용 채널(40)은 α=360°/X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 5d의 실시예에는 4개의 수용 채널(40)이 있다. 이는 각각의 수용 채널(40)이 다른 수용 채널로부터 α=90°만큼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e는 수용 채널(40)이 절개부 형태인 삽입 슬리브(7)에 대한 단면도이다. 삽입 슬리브(7)에 대한 단면의 평면도에서, 절개부는 180°, 바람직하게는 220°, 더욱 바람직하게는 2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40°보다 큰 범위이지만, 350°보다는 작은 범위를 갖는다. 도 5e의 실시예에서, 절개부는 270°의 범위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땜납 용착물(9)은 개방 링의 형태이고, 절개부로 "클립"되거나 또는 "놓여"질 수 있다. 절개부의 두께는 대략 도 5a 내지 도 5d의 수용 채널(40)의 직경에 상당하다. 각각의 수용 채널(40)의 직경은 상당하는 수용 채널(40)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수용 채널(40)의 길이가 수용 채널의 직경보다 큰 것 또한 가능하다.
도 6은 땜납 용착물(9)과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 사이에 삽입 슬리브(7)가 배치되어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러한 경우에, 땜납 용착물(9)은 삽입 슬리브(7) 전에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된다. 조립 중에, 삽입 슬리브(7)와 땜납 용착물(9)은 이후에 또는 동시에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에 배치된다. 또한, HF 도체(4)가 땜납 용착물(9)을 관통하여 내부에서 종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HF 도체(4)의 단부면은 HF 도체 수용 부재(10)를 건드리지 않는다. 주로 반경 방향 접촉을 나타내는 선행하는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HF 도체(4)와 HF 도체 수용 부재(10) 사이의 전기 접촉이 단부면에서 또한 발생한다.
도 6에서,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는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에 위치된다. 외부 도체(6)의 단부면은 외부 도체 소켓(12)의 베어링 어깨부(20)에 인접한다.
도 7은 플러그인 접속(1)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삽입 슬리브(7)가 사용되지 않는다.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는 돌출된 HF 도체(4)와 함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직접적으로 삽입된다. 초기에, 땜납 용착물(9)은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수용되는 HF 도체(4)와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는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된다. 또한, HF 도체(4)에 땜납 용착물(9)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후에 모두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땜납 용착물(9)은 부분적으로 개방 링 또는 폐쇄 링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환형 땜납 용착물(9)의 외부 직경은 유전체(5)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다. 또한, HF 도체 수용 홀(15) 내에 삽입되는 유전체(5)의 일부가 외부 도체(6)에 의해 둘러싸이는 유전체(5)의 일부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는 손상을 초래하는 기계적 부하 없이 HF 도체(4)의 단부면에 땝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8a는 플러그인 접속(1)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70)가 동축 케이블(3)의 파동 저항을 조정하도록 단자 장치(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들 사이에 삽입 슬리브(7)를 사용함으로써 HF 도체 땜납의 재현성 때문에, 긴 커넥터가 비용면에서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플러그인 접속(1)의 HF 도체(4)는 베릴륨 구리로 구성된다. 플러그인 커넥터(2)의 형태인 단자 장치(2)의 긴 길이 때문에, HF 도체 수용 부재(10)와 HF 도체(4)의 전기 접촉부와 외부 도체가 외부 도체 소켓(12)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외부 도체 접촉부(14) 사이의 거리가 길다. 이는 조정(VSWR; 전압 정재파 비) 중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어댑터 부재(70)의 형태인 적절한 유전체에 의해 보상된다.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70)는 외부 도체 접촉부(14)와 HF 도체 수용 부재(10)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 부재(70)는 중공 실린더의 형태이고,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가 관통한다. 어댑터 부재(70)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HF 도체(4)를 둘러싼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70)가 전체 원주를 넘지 않고, 즉, 360°범위에서 오직 특정 부분을 넘어서 둘러싸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8b는 플러그인 접속(1)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70)가 동축 케이블(3)의 파동 저항을 조정하도록 플러그인 커넥터(2)의 형태인 단자 장치(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8a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어댑터 부재(70)는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를 둘러싼다. 유전체(5)의 외부 반경은 도 8b 내에서 가변이다. 어댑터 부재(70)에 의해 둘러싸인 유전체(5)의 영역은 외부 도체(6)에 인접한 유전체(5)의 영역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유전체(5)의 외부 직경은 베어링 어깨부(20)의 영역에서 변경된다.
예를 들어, 어댑터 부재(70)는, 단자 장치(2)가 조립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케이블 수용 개구(13)를 통해 삽입되기 전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 외부 도체 소켓(12)은 베어링 어깨부(20)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 9a 및 도 9b는 전기 장치(17)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HF 도체(4)의 단면이 환형이다. 도 9b는 도 9a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수용되거나 또는 수용된 HF 도체(4)는 평면에서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또는 규칙적이거나 비규칙적인 n각형이거나 또는 이에 상당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의 단면은 HF 도체(4)의 단면에 조정된다. 이는 삽입 슬리브(7)에서 HF 도체(4)의 회전을 방지하고, 땜납 접속이 손상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가 HF 도체(4)를 수용하고 접촉하는 데에 사용되는 전기 장치(17)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HF 도체(4)는 유전체(5) 및 외부 도체(6)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동축 케이블(3)의 내부 도체(4)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17)는 HF 필터이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HF 필터는 공진기 내부 도체(18)를 구비한다. 또한, 도 10a는 하우징 벽(50)을 도시한다. 공진기 내부 도체(18)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커버(미 도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클리어런스(51)를 구비한다. 도 1a 및 도 1b와 대조적으로, HF 도체 수용 홀(15)은 블라인드 홀로 구성되지 않고, 공진기 내부 도체(18)의 측벽을 완전히 관통하여 클리어런스(51) 내로 갭방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 슬리브(7)는 공진기 내부 도체(18)의 벽을 통해 클리어런스(51) 내로 돌출한다. 따라서, 삽입 슬리브(7)의 측면 원주면의 일부만이 HF 도체 수용 홀(15)의 내부 벽에 기대어 지지된다.
또한, HF 도체(4)는 유전체(5) 및 외부 도체(6)에 의해 둘러싸인다. HF 도체(4) 및 유전체(5)는 하우징 벽(50)을 통해 HF 필터 내로 돌출한다. 외부 도체(6)는 하우징 벽(50)의 중앙에서 종결되고, 적어도 외부 도체의 단부면은 상기 하우징 벽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외부 도체(6)가 측면 원주 벽의 일부에 의해 하우징 벽(50)과 추가적으로 전기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전체(5)의 단부면은 땜납 용착물(9)에 인접한다.
도 10a와 유사하게 도 10b는 전기 장치(17)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와 대조적으로,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는 하우징 벽(50) 내에서 종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HF 도체(4) 및 유전체(5)만 하우징 벽(5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홀을 통해 안내된다. 외부 도체(6)의 단부면은 하우징 벽(50)의 외부면에 인접한다. 하우징 벽(50)을 관통하는 홀은 유전체(5)의 외부 직경에 상당하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직경은 외부 도체(6)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도 11a 및 도 11b는 전기 장치(17)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단자 접속부(1)는 HF 도체(4)를 수용하고 접촉시키는 데에 사용되고, HF 도체(4)는 유전체(4) 및 외부 도체(6)에 의해 일부가 둘러싸여져서 동축 케이블(3)의 내부 도체(4)를 형성한다. HF 도체(4)는 HF 도체를 둘러싼 유전체(5)를 지나 돌출한다. 또한, 유전체(5)는 HF 도체를 둘러싼 외부 도체(6)를 지나 돌출한다. 도 11a의 실시예에서, 삽입 슬리브(7)는 땜납 용착물(9)과 함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에 이미 삽입되어 있다.
도 11a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11b의 실시예에서, 삽입 슬리브(7)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3)은 삽입 슬리브(7)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하우징 벽(50)의 개구를 관통하여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된다.
도 12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접속부(1)의 제조를 상세하게 예시한 흐름도이다.
제1 방법 단계(S1)에서, 수용되는 HF 도체(4)가 적절하게 준비되어 있다. 이는 다양한 단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환형 땜납 용착물(9)과 삽입 슬리브(7)를 HF 도체(4) 상에 순차로 또는 동시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환형 땜납 용착물(9)은 삽입 슬리브(7)의 단부면과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의 단부면(11) 사이에 위치된다. 대조적으로, 삽입 슬리브(7) 및 바람직하게 환형인 땜납 용착물(9)은 HF 도체(4) 상에 순차로 또는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땜납 용착물(9)은 HF 도체(4)의 단부에 배치된다. HF 도체(4)는 삽입 슬리브(7)를 통해 연장되고, 땜납 용착물(9) 내에서 종결된다. 또한,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4)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삽입 슬리브(7) 상에 또는 내부에 이미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삽입 슬리브(7)는 수용 채널(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4) 상에 배치되고, 후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삽입 슬리브(7)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에, 수용되는 HF 도체(4)는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로, 즉, 삽입 슬리브(7)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방법 단계(S1)에 대안으로서, 방법 단계(S2)가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S2)에서, 단자 장치(2)가 대신에 적절하게 준비된다. 이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삽입 슬리브(7)에 배치되고, 후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구비한 삽입 슬리브(7)가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삽입 슬리브(7)가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고, 후속하여 바람직하게 환형인 땜납 용착물(9)이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에서 HF 도체 수용 홀(15) 쪽으로 유지되는 공간(30) 내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환형인 땜납 용착물(9)이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고, 또한, 삽입 슬리브(7)가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 또는 도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는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내로 또는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및 환형 땜납 용착물(9)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방법 단계(S1 및 S2)에 대안으로서, 방법 단계(S3)가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S3)에서, HF 도체(4)와 단자 장치(2) 모두가 준비된다. 삽입 슬리브(7)는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고, 동시에 또는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 환형인 땜납 용착물(9)은 HF 도체(4) 상에 배치된다. 또한, HF 도체(4)는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내로 삽입된다. 이후에, 즉, 방법 단계(S1, S2 및 S3) 중 하나의 방법 단계 이후에, 방법 단계(S4)가 수행된다. 방법 단계(S4)에서, 땜납 용착물(9)은, 액체로 용융되고, 이에 따라, HF 도체(4)를 HF 도체 수용 부재(10)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시킬 때까지 가열된다. 방법 단계(S4)에서, 땜납 용착물(9)을 용융시키는 데에 인덕션 루프가 사용될 수 있다.
HF 도체(4)가 유전체 및 선택적으로 외부 도체(6)에 의해 둘러싸이는 경우에, 즉,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4)를 형성하는 경우에, 제1 방법 단계(S1) 또는 제2 방법 단계(S2) 또는 제3 방법 단계(S3)를 위해 방법 단계(S0)가 또한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방법 단계(S0)에서,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는 노출된다. 이는 적절한 제거 공구(stripping tool)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HF 도체는 유전체(5) 및 선택적인 외부 도체(6)를 지나 돌출한다.
이후 단계에서, 외부 도체 소켓(12)의 외부 도체 접촉부(14)는,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와 외부 도체 소켓(12) 사이의 전기 접촉이 형성되도록,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와 함께 가압되거나 및/또는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에서 크림핑될 수 있다.
땜납 용착물이 삽입 슬리브 "내로" 삽입된다는 의미는 삽입 슬리브(7)가 땜납 용착물(9)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40) 또는 이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되어 있는 및/또는 도시된 모든 특징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서 임의의 소망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Claims (21)

  1. HF 도체(4) 및 단자 장치(2)를 포함하는 단자 접속부(1)로,
    - 단자 장치(2)는 HF 도체(4)를 수용하는 HF 도체 수용 홀(15)을 포함하는 HF 도체 수용 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접속부(1)는,
    - HF 도체(4)와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 사이에 전기 전도성 접속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
    - HF 도체(4)가 삽입되는 수용 개구(8)를 포함하는 삽입 슬리브(7)를 포함하며,
    - 상기 삽입 슬리브(7)는 플러그인 측 상에 있는 삽입 개구(16)를 통해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는, 단자 접속부(1)에 있어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은,
    a) 삽입 슬리브(7)에 배치되거나, 또는
    b) 삽입 슬리브(7)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c) HF 도체(4) 상에 배치되고, 및
    - 상기 삽입 슬리브(7)는,
    i) 변형될 수 없거나, 또는
    ii) 유전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iii) 삽입 슬리브의 원주 방향 측면에 관하여 HF 도체 수용 홀(15)의 내면으로 조정되고, 상기 HF 도체 수용 홀(15)에 기대어 지지되며, 상기 HF 도체 수용 홀(15) 내에서 종방향으로만 변위될 수 있거나, 또는
    iv) 외부에서 수용 개구(8)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40)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40)은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a) 강성 소재 또는 탄성 소재로 구성되고, 일부분이 개방된 링 또는 폐쇄된 링의 형태이거나, 또는
    b) 점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HF 도체(4)는 수용 개구(8)의 전장 또는 전장의 일부에 걸쳐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로 연장되고, 및
    - 상기 HF 도체(4)의 평면도의 단면이,
    - 정사각형, 또는
    - 직사각형, 또는
    - 타원형, 또는
    - 원형, 또는
    - 규칙적인 또는 비규칙적인 n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삽입 슬리브(7)는 정지부에 의해 제한되는 방식으로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에 배치되고, 및
    - 상기 삽입 슬리브(7)의 단부면이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되거나, 또는
    -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에서 삽입 개구(16) 쪽에 유지되는 있는 공간(30)에 배치되도록,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이 삽입 슬리브(7)의 단부면을 지나 돌출되고, 상기 땜납 용착물(9)의 용융 공정 이후에, 상기 땜납 용착물(9)의 단부면이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삽입 슬리브(7)는 적어도 두 개의 수용 채널(40)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용 채널(40)은 상기 삽입 슬리브(7)의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서로 합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삽입 슬리브(7)는 X개의 수용 채널(40)을 포함하되, X≥2이고, 상기 수용 채널(40)은 삽입 슬리브(7)를 관통하는 단면의 평면도에서 α=360°/X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7.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40)은 삽입 슬리브(7)를 관통하는 단면의 평면도에서 180°보다 큰 범위를 갖는 절개부 형태이고, 및
    -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은 절개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8.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땜납 용착물(9)이 삽입 슬리브(7)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채널(40) 또는 모든 수용 채널(4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삽입 슬리브(7)는 삽입 슬리브의 원주 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부재를 포함하여, 삽입 슬리브(7)는 꼬임-방지 방식으로 오직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특정 위치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 상기 삽입 슬리브(7)는 삽입 단부의 종방향 단면에 경사부(42)를 포함하거나, 또는
    - 상기 삽입 슬리브(7)는 삽입 슬리브의 원주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41)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41)은 삽입 방향에 반대하는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로 돌출되어, 삽입 슬리브(7)가 HF 도체 수용 부재(10)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HF 도체(4)는 HF 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고체 유전체(5)로 둘러싸이거나, 또는
    - 상기 HF 도체(4)는, 상기 HF 도체(4)가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3)의 내부 도체를 형성하도록, HF 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고체 유전체(5)로 둘러싸이되, 상기 고체 유전체는 고체 유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외부 도체(6)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11. 제10항에 있어서,
    -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의 단부면(11)의 일부는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단부면 상에 지지되거나, 또는
    -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12. 제10항에 있어서,
    - 상기 단자 장치(2)는 플러그인 커넥터(2)이고,
    -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는 동축 케이블(3)을 수용하는 외부 도체 소켓(12)을 포함하며,
    - 상기 외부 도체 소켓(12)은 외부 도체 접촉부(14)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도체 접촉부(14)에서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는 플러그인 커넥터(2)의 외부 도체 소켓(1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 상기 외부 도체 접촉부(14)와 HF 도체 수용 부재(1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70)가 배치되며,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부재(7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HF 도체(4) 또는 HF 도체(4) 및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13. HF 필터의 형태인 전기 장치(17)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형성된 단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 전기 장치(17)는 공진기 내부 도체(18)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 내부 도체(18)는 단자 장치(2)를 포함하여, HF 도체 수용 홀(15)이 HF 필터의 공진기 내부 도체(18)에 형성되며,
    - 삽입 슬리브(7)는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되며,
    - HF 도체(4)는 삽입 슬리브(7) 내로 삽입되어 HF 도체 수용 부재(10)에 땜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장치.
  15. 제1항에 따른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a)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 및 삽입 슬리브(7)를 HF 도체(4) 상에 배치하고, HF 도체(4)를 삽입 슬리브(7)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로 삽입하거나, 또는
    b)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삽입 슬리브(7)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HF 도체(4) 상에 배치하고, HF 도체(4)를 삽입 슬리브(7)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로 삽입하거나, 또는
    c) HF 도체(4) 상에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배치되어 있는 삽입 슬리브(7)를 배치하고, HF 도체(4)를 삽입 슬리브(7)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로 삽입하거나, 또는
    d) HF 도체(4) 상에 삽입 슬리브(7)를 배치하고, 삽입 슬리브(7)에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배치한 이후에 HF 도체(4)를 삽입 슬리브(7)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 내로 삽입함으로써, 수용되는 HF 도체(4)를 준비하는 단계(S1)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액체로 용융될 때까지 가열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제조 방법.
  16. 제1항에 따른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a) 삽입 슬리브(7)에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배치하고,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 슬리브(7)를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과 함께 삽입한 이후에,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내로 또는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 내로 HF 도체(4)를 삽입하거나, 또는
    b)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 슬리브(7)를 삽입하고,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에서 삽입 개구(16) 쪽으로 유지되는 공간(30) 내로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삽입 또는 도입한 이후에,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내로 또는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 내로 HF 도체(4)를 삽입하거나, 또는
    c)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삽입하고,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 슬리브(7)를 또한 삽입 또는 도입한 이후에,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내로 또는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 내로 HF 도체(4)를 삽입함으로써, 단자 장치(2)를 준비하는 단계(S2)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액체로 용융될 때까지 가열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제조 방법.
  17. 제1항에 따른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삽입 슬리브(7)를 삽입하고, HF 도체(4) 상에 땜납 용착물(9)을 배치하고, 및
    삽입 슬리브(7)의 수용 개구(8) 내로 HF 도체(4)를 삽입함으로써, 단자 장치(2) 및 수용되는 HF 도체(4)를 준비하는 단계(S3)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액체로 용융될 때까지 가열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제조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F 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고체 유전체(5)로 둘러싸이는 HF 도체(4)가 사용되되, 상기 유전체(5)는, HF 도체(4)가 동축 케이블(3)의 내부 도체를 형성하도록, 유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또는 전장에 걸쳐 외부 도체(6)로 둘러싸이며,
    상기 준비 단계(S1, S2, S3) 및 가열 단계(S4) 이전에, 동축 케이블(3)의 HF 도체(4)를 노출시키는 단계(S0)가 수행되고,
    상기 준비 단계(S1, S2, S3)는,
    단자 장치(2)의 HF 도체 수용 부재(10)의 HF 도체 수용 홀(15) 내로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3)의 유전체(5)를 적어도 일부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 상기 단자 장치(2)는 플러그인 커넥터(2)이고,
    -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2)는 동축 케이블(3)을 수용하는 외부 도체 소켓(12)을 포함하며,
    - 상기 외부 도체 소켓(12)은 외부 도체 접촉부(14)를 포함하고,
    a)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와 외부 도체 소켓(12) 사이의 전기 접촉이 형성되도록, 수용된 동축 케이블(3)의 외부 도체(6)에 외부 도체 소켓(12)의 외부 도체 접촉부(14)를 가압 또는 크림핑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제조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열 단계(S4)에서, 인덕션 루프가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을 용융시키고, 및
    적어도 하나의 땜납 용착물(9)이 환형의 땜납 용착물(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제조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슬리브(7)는,
    - 변형될 수 없고, 유전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 유전체로 구성되고, 삽입 슬리브의 원주 방향 측면에 관하여 HF 도체 수용 홀(15)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HF 도체 수용 홀(15)의 내면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접속부.
KR1020160055251A 2015-05-07 2016-05-04 Hf 도체, 특히,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자 접속부 및 상기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97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6070.8 2015-05-07
DE102015006070.8A DE102015006070B3 (de) 2015-05-07 2015-05-07 Anschlussverbindung mit einem HF-Leiter, insbesondere für ein Koaxialka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Anschlussverbi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930A KR20160131930A (ko) 2016-11-16
KR101697721B1 true KR101697721B1 (ko) 2017-01-18

Family

ID=5566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251A KR101697721B1 (ko) 2015-05-07 2016-05-04 Hf 도체, 특히,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자 접속부 및 상기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80430B2 (ko)
EP (1) EP3091613B1 (ko)
KR (1) KR101697721B1 (ko)
CN (1) CN106129655B (ko)
DE (1) DE102015006070B3 (ko)
MX (1) MX3535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259B1 (ko) * 2016-09-09 2018-04-16 주식회사 이너트론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US10708979B2 (en) 2016-10-07 2020-07-07 De-Ice Technologies Heating a bulk medium
CN106785244B (zh) * 2016-12-20 2020-11-27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雷华电子技术研究所 一种微波连接器连接结构
DE102018212789A1 (de) * 2018-07-31 2020-02-06 Astyx Gmbh Vorrichtung Verbindungsstruktur zwischen Auswerteelektronik und Sonde in Zylindersystemen
JP7397873B2 (ja) * 2018-08-27 2023-12-13 ディ-アイ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除氷システム
CN212991534U (zh) * 2020-10-16 2021-04-16 张家港友诚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芯线的液冷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0749A1 (en) * 2013-07-04 2015-01-08 Huber+Suhner Ag Connector for high frequency coaxial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999A (en) * 1983-01-10 1984-12-11 Isotronics, Inc. Microwave chip carrier
DE3715594C2 (de) * 1987-05-09 1994-07-14 Broadcast Television Syst Anordnung zum Anschluß von Ausgangs- und Eingangsstufen einer Sende/Empfangseinrichtung
US5046966A (en) * 1990-10-05 1991-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GB9219448D0 (en) * 1992-09-14 1992-10-28 Raychem Sa Nv 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US6118353A (en) * 1999-02-17 2000-09-12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icrowave power divider/combiner having compact structure and flat coupling
DE10251905C5 (de) * 2001-11-17 2012-06-14 Spinner Gmbh Lötbarer koaxialer Steckverbinder
ATE542272T1 (de) * 2004-02-05 2012-02-15 Tyco Electronics Belgium Ec Bv Verbinder für koaxialkabel
WO2006013027A2 (en) 2004-08-03 2006-02-09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ctrical plug and method of fitting the plug
US8142223B2 (en) * 2004-08-27 2012-03-27 Belden Inc. Universal cable connector with interchangeable color bands
DE102012110217B4 (de) * 2012-10-25 2016-03-24 Ims Connector Systems Gmbh Koaxialkabelbuchse mit Lotdepo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13100438B3 (de) * 2013-01-16 2014-07-17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Koaxialkabelverbinder mit Lotdep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0749A1 (en) * 2013-07-04 2015-01-08 Huber+Suhner Ag Connector for high frequency coaxial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1613B1 (de) 2018-05-09
MX353533B (es) 2018-01-18
EP3091613A2 (de) 2016-11-09
DE102015006070B3 (de) 2016-06-23
MX2016005842A (es) 2016-11-07
US9780430B2 (en) 2017-10-03
CN106129655A (zh) 2016-11-16
CN106129655B (zh) 2018-04-10
KR20160131930A (ko) 2016-11-16
EP3091613A3 (de) 2017-03-29
US20160329619A1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21B1 (ko) Hf 도체, 특히,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자 접속부 및 상기 단자 접속부를 제조하는 방법
US6809265B1 (en) Terminal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US8016615B2 (en) Phone plug connector device
JP3808104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6386913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icro co-axial conductors
EP2475047B1 (en) Electrical contact with embedded wiring
US6786774B2 (en) Two-conductor cable and phone plug assembly
EP0083464A1 (en) Coaxial cable with a connector
US7416448B2 (en) Cable plug
US7207839B1 (en) Wrap-around ferrule for coaxial cable connector
JPH0773937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1779470A4 (en) COMPRESSION CONNECTORS FOR COAXIAL CABLES
US7070440B1 (en) Coaxial c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EP3062399B1 (en) Multi-piece jacket for separable connectors
JP2020177909A (ja) 自動車分野における高周波伝送のためのコネクタ、インピーダンス改善要素、接続アセンブリ、コネクタのインピーダンスを改善する方法
JPH04280084A (ja) はんだなしプラグ・ケーブル接続装置
US20050250381A1 (en)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CN1607696B (zh) 在天线中夹紧电缆的装置和方法
EP0090538A2 (e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CN112997369B (zh) 电缆布置
JP6587243B1 (ja) 接続装置、プラグおよびソケット
CN108140966B (zh) 具有屏蔽套筒的电缆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20521293A (ja) 接続端子および同軸コネクタ
US4266843A (en) Insulation displacing electrical contac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49460A (en) RF plug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RF plug conn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