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535A -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 Google Patents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535A
KR20230102535A KR1020210192738A KR20210192738A KR20230102535A KR 20230102535 A KR20230102535 A KR 20230102535A KR 1020210192738 A KR1020210192738 A KR 1020210192738A KR 20210192738 A KR20210192738 A KR 20210192738A KR 20230102535 A KR20230102535 A KR 20230102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prevention structure
loss prevention
soil loss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용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미르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19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535A/ko
Publication of KR2023010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셀이 수평배치되어 벌집 형태를 이루는 매트리스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매트리스가 비탈면에 배치되되, 토사가 채워지며 비탈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단차가 형성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PROTECTING CONSTRUCTION OF SLOPE}
본 발명은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나 구릉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평균 강우량(1500~1600mm)의 2/3 정도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기후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의 비탈면(사면) 붕괴는 매년 7~8월 태풍 및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절취사면 붕괴 및 인공사면에서의 유실로 인하여 많은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상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서 비탈면 보호를 위한 구조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탈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셀이 수평배치되어 벌집 형태를 이루는 매트리스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매트리스가 비탈면에 배치되되, 토사가 채워지며 비탈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단차가 형성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셀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충진부; 및 충진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충진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진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부에 융착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진부에 설치되는 말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뚝은 비탈면 또는 토사에 박히는 쐐기부; 및 쐐기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충진부의 상단에 걸리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호 접한 일 충진부와 타 충진부를 기준하여 상호 연통되는 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 및 고정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체결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핀은 통공에 삽입되는 원통부; 원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일 충진부의 내측면에 걸리는 돌기부; 및 원통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타 충진부의 내측면에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결고리의 일측에 절개공이 형성되고, 원통부가 절개공을 통과하여 체결고리의 내주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진부의 상단에 걸리는 후크부재; 및 일렬로 배치되는 충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크부재에 결합되는 체결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후크부재는 충진부에 삽입되는 바디부; 및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충진부의 양측면 상단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결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체결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체결로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체결돌기가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매트리스 간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네트는 격자형태 또는 방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은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진 매트리스가 비탈면에 포설되어 비탈면의 표면을 덮어줌으로써 비탈면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셀에 토사가 채워져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우수가 지하로 침투될 수 있어서 물부족으로 인하여 지하수가 고갈되거나 미생물의 서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셀은 폐합성수지재를 재활용하여 제작되어 환경보호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이 비탈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셀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b는 순차적으로 고정핀의 사시도, 평면도이다.
도 6c는 체결고리의 사시도이다.
도 7a,b는 순차적으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고정핀과 체결고리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b는 순차적으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고정핀과 체결고리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후크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a,b는 순차적으로 도 9에 도시된 후크부재가 충진부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후크부재가 상호 인접한 충진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a,b는 도 11에 도시된 후크부재에 체결로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고정로드의 사시도이다.
도 14a,b는 도 13에 도시된 'A-A'섹션도로서, 고정로드에서 걸림핀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순차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고정로드가 충진부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 간에 개재되는 네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이 비탈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100, 이하, '구조물'이라 함)은 복수 개의 셀(110)이 수평배치되어 벌집 형태를 이루는 매트리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매트리스(120)가 비탈면(10)에 배치되되, 토사가 채워지며 비탈면(10)의 경사방향을 따라 단차(121)가 형성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셀(110)은 직사각형 형태인 한 쌍의 판상부재로서, 상기 판상부재가 상호 접하여 양단이 고정되고, 중심이 벌어져서 토사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판상부재의 고정은 일 예로 초음파 융착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판상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판상부재에 융착선(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110)은 EPS(Expandable Polystyrene)과 같은 폐합성수지재를 재활용하여 제작되어 환경보호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11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토사가 채워지는 충진부(112), 상기 충진부(112)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충진부(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110)은 상기 충진부(112)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부(113)에 상기 융착선(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 상에는 상기 셀(110)에 한 쌍의 상기 융착선(111)이 형성되어 하나의 상기 충진부(112)가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융착선(111)의 개수를 늘려서 복수 개의 상기 충진부(1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매트리스(120)는 토사가 채워져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충진부(112)에 복수 개의 통공(114)이 형성되어 우수가 상기 통공(114)을 통해 지하로 침투될 수 있어서 물부족으로 인하여 지하수가 고갈되거나 미생물의 서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100)이 시공되기 위해, 우선 비탈면(10)에 상기 매트리스(120)가 포설되는 평탄면이 다져지고, 평탄면에 복수 개의 상기 셀(110)이 수평배치되어 상기 매트리스(120)가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110)이 가로를 기준하여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접합부(113)가 상기 충진부(112)의 외측면을 접하고, 세로를 기준하여 일렬로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충진부(112)의 외측면이 상호 접하여 벌집 형태의 상기 매트리스(120)가 제작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리스(120)는 상기 단차(121)가 형성되도록 적층됨으로써, 상기 매트리스(120)간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어서 토사유실 방지효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생이 가능한 토지면적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120)를 이루는 상기 셀(110)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구조물(100)은 상기 충진부(112)에 설치되는 말뚝(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뚝(130)은 철재, 합금강, 합성수지재와 같이 일정강성을 띄고 부식에 강한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뚝(130)은 비탈면(10) 또는 토사에 박히는 쐐기부(131), 상기 쐐기부(13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112)의 상단에 걸리는 갈고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말뚝(130)이 지표면 또는 상기 매트리스(120)에 채워진 토사에 박혀 고정됨으로써, 우수에 의해 상기 셀(1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120)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토사유실 방지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도 6a,b는 순차적으로 고정핀의 사시도, 평면도이고, 도 6c는 체결고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a,b는 순차적으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고정핀과 체결고리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a,b는 순차적으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고정핀과 체결고리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120)를 이루는 상기 셀(110)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구조물(100)은 상호 접한 일 충진부(112-1)와 타 충진부(112-2)를 기준하여 상호 연통되는 상기 통공(114)을 관통하는 고정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00)은 상기 고정핀(14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체결고리(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140)과 체결고리(150)는 상기 말뚝(130)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핀(140)은 상기 통공(114)에 삽입되는 원통부(141), 상기 원통부(14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 충진부(112-1)의 내측면에 걸리는 돌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40)은 상기 원통부(14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타 충진부(112-2)의 내측면에 걸리는 스토퍼(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42)와 스토퍼(143)의 직경은 상기 통공(114)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142)는 상기 통공(114)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43)는 원기둥 형태로서 상기 원통부(14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원통부(14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고리(150)의 일측에 절개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141)가 상기 절개공(151)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고리(150)의 내주면에 접하여 고정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충진부(11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후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0a,b는 순차적으로 도 9에 도시된 후크부재가 충진부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후크부재가 상호 인접한 충진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2a,b는 도 11에 도시된 후크부재에 체결로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120)를 이루는 상기 셀(110)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구조물(100)은 상기 충진부(112)의 상단에 걸리는 후크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00)은 일렬로 배치되는 상기 충진부(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재(160)에 결합되는 체결로드(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재(160)와 체결로드(170)는 상기 말뚝(130)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부재(160)는 상기 충진부(112)에 삽입되는 바디부(161),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통부(14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112)의 양측면 상단에 걸리는 후크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로드(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체결돌기(171)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체결로드(170)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161)에 중공(16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71)가 상기 중공(163)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부재(160)가 상기 충진부(112)에 삽입되어 걸리면 상기 충진부(112)가 벌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매트리스(120)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로드(170)를 매개로 일렬로 배치된 상기 셀(1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고정로드의 사시도이고, 도 14a,b는 도 13에 도시된 'A-A'섹션도로서, 고정로드에서 걸림핀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5c는 순차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고정로드가 충진부에 걸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리스(120)를 이루는 상기 셀(110)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구조물(100)은 일렬로 배치되어 상호 접하는 상기 충진부(112)를 기준하여 상호 연통되는 상기 통공(114)을 관통하고, 측면에 핀삽입공(181)이 형성되는 고정로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00)은 상기 핀삽입공(181)에 배치되는 걸림핀(182), 상기 걸림핀(182)의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로드(180)에 고정되는 회전축(1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180)와 걸림핀(182)은 상기 말뚝(130)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로드(180)의 일단에 첨단부(187)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114)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로드(180)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로드(180)의 타단에 걸림돌기(184)가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112)의 외측면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핀(182)이 상기 회전축(183)을 매개로 상기 핀삽입공(181)에서 인출되어 상기 충진부(112)의 측면에 걸림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충진부(11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로드(180)의 내부는 빈 형태이며, 상기 걸림핀(182)의 타단에 결합돌기(18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로드(180)의 외측면에 거치홈(186)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85)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림핀(182)이 상기 고정로드(180)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로드(180)의 고정력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핀(182), 회전축(183)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정로드(18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정로드(18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 간에 개재되는 네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상기 구조물(100)은 상기 매트리스(120) 간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네트(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190)는 상기 셀(110)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격자형태 또는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우수가 통과될 수 있고, 상기 매트리스(120)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높여줄 수 있어서 토사유실 방지효과를 보다 확보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은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진 매트리스가 비탈면에 포설되어 비탈면의 표면을 덮어줌으로써 비탈면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셀에 토사가 채워져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우수가 지하로 침투될 수 있어서 물부족으로 인하여 지하수가 고갈되거나 미생물의 서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셀은 폐합성수지재를 재활용하여 제작되어 환경보호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110 : 셀
120 : 매트리스 130 : 말뚝
140 : 고정핀 150 : 체결고리
160 : 후크부재 170 : 체결로드
180 : 고정로드 190 : 네트

Claims (14)

  1. 복수 개의 셀이 수평배치되어 벌집 형태를 이루는 매트리스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매트리스가 비탈면에 배치되되, 토사가 채워지며 상기 비탈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단차가 형성되도록 적층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충진부; 및
    상기 충진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충진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접합부;
    를 포함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부에 융착선이 형성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에 설치되는 말뚝을 더 포함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은,
    상기 비탈면 또는 토사에 박히는 쐐기부; 및
    상기 쐐기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의 상단에 걸리는 갈고리부;
    를 포함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호 접한 일 충진부와 타 충진부를 기준하여 상호 연통되는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체결고리;
    를 더 포함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 충진부의 내측면에 걸리는 돌기부; 및
    상기 원통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타 충진부의 내측면에 걸리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리의 일측에 절개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가 상기 절개공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고리의 내주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의 상단에 걸리는 후크부재; 및
    일렬로 배치되는 상기 충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재에 결합되는 체결로드;
    를 포함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충진부에 삽입되는 바디부; 및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의 양측면 상단에 걸리는 후크부;
    를 포함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체결돌기가 상호 이격되어 상기 체결로드에 형성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간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네트를 더 포함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격자형태 또는 방사형태로 형성되는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KR1020210192738A 2021-12-30 2021-12-30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KR20230102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738A KR20230102535A (ko) 2021-12-30 2021-12-30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738A KR20230102535A (ko) 2021-12-30 2021-12-30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535A true KR20230102535A (ko) 2023-07-07

Family

ID=8715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738A KR20230102535A (ko) 2021-12-30 2021-12-30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5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206B1 (ko)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US10125462B2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US11306454B2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JP4315230B2 (ja) 食害防止植生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00100093A (ko) 식생 옹벽패널
EP0617750A1 (en) Interlocked gridwork for retaining walls, and the like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1661320B1 (ko) 조립식 투과형 체크댐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KR20090089107A (ko) 통나무를 이용한 토사(土砂) 쓸림방지구조물(防止構造物)과 그 시공방법(施工方法)
KR20230102535A (ko) 비탈면 토사유실방지구조물
KR102219062B1 (ko) 사면녹화 계단식 폴딩타입 지오매트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US20230002989A1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US11306455B2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200329669Y1 (ko) 지반 강화용 구조물
KR100317471B1 (ko) 식생 및 토사유출 방지용 블록과 그 시공방법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KR101012653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287899Y1 (ko) 도로 비탈면 슬라이딩 방지용 십자용 조경블록 설치구조
JP4349544B2 (ja) 田畑の擁壁構造体
KR102540299B1 (ko) 연장이음형 결속판조립체를 이용한 식생옹벽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