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793A -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793A
KR20230100793A KR1020210189616A KR20210189616A KR20230100793A KR 20230100793 A KR20230100793 A KR 20230100793A KR 1020210189616 A KR1020210189616 A KR 1020210189616A KR 20210189616 A KR20210189616 A KR 20210189616A KR 20230100793 A KR20230100793 A KR 20230100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photocatalyst
wastewater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우
정소희
조소혜
부찬희
정경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793A/ko
Publication of KR2023010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34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semiconductor processing, e.g. waste water from polishing of waf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은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되며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촉매,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인접한 다른 배플 필터로 반사시키는 반사체가 구비된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폐수를 수용하며, 상기 폐수가 상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도록 상기 후처리시설과 연결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의 내벽에 구비되며, 상기 광촉매를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여 상기 광촉매로부터 광촉매 반응이 발생되도록 하는 LED 발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Baffle filt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면서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여 상기 폐수의 수처리가 가능한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산업발전으로 인해 환경오염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대안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특히 생활폐기물 및 산업 폐수의 증가로 난분해성 유기물질들이 오염수에 유입됨에 따라 수자원 오염을 심화시키고 있고 장기적으로 식수는 물론이고 각종 산업용수 등의 공급에도 차질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물들, 즉 인간을 포함하는 생물들은 물의 존재를 기반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즉, 깨끗한물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지구상에서 어떠한 생물도 번성할 수 없을 것인 바, 수자원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
한편, 반도체산업 및 전기산업에서는 폐수가 발생되는데 이 폐수를 방류하기 위해서는 폐수에 고농도로 포함된 불소, 질소 및 인 등의 다양한 난분해성 물질을 제거(분해)하기 위한 공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폐수의 pH와 연동하여 주입되는 lime과 alum 등의 다양한 약품을 사용하여 폐수의 난분해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난분해성 물질 제거 공정은 lime과 alum 등의 약품을 사용함에 따라 다량의 칼슘이 잔류되어 시설물에 스케일 등의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난분해성 물질 제거 공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반도체산업 및 전기산업의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움직임들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에는 산화티타늄(TiO2)를 이용한 광촉매 분야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성능 또한 기존의 활성탄 흡착(Activated-Carbon Adsorption), 화학처리, Air Stripping, 오존분해(ozonization) 및 소각 등의 환경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성 등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어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3122호(2021.04.2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4450호(2018.11.0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8846호(2017.04.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플 필터에 부착된 흡착제로 반도체산업 및 전기산업의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며, 상기 배플 필터에 코팅된 광촉매가 LED 발광체의 자외선이 조사될 때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켜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여 상기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딥 코팅법을 이용하여 배플의 외주면에 광촉매가 코팅되는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LED 발광체로부터 직접 조사되는 자외선 또는 산란체인 기포를 통해 반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의 발생 효율이 향상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에 있어서, 배플 필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챔버에 수용된 후 후처리시설로 이동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되며, 상기 챔버에 구비된 LED 발광체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될 때,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광촉매;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는, 딥 코팅(Dip-coating)법을 통해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플은, 상기 광촉매가 평판 형상으로 딥 코팅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음각처리된 코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체는, 일면이 미러 코팅되어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체는, 상기 코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배플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광촉매와 교호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플 필터의 외형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에 수용된 후 후처리시설로 이동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플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켜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챔버에 구비된 LED 발광체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될 때,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광촉매를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하는 제4 단계;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체를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를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단계는, 딥 코팅법을 통해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상기 광촉매를 코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배플에 평판 형상으로 음각처리된 코팅 영역 상에 상기 광촉매가 딥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체의 일면을 미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코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상기 반사체를 부착하여 상기 배플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반사체를 상기 광촉매와 교호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은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되며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촉매,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체가 구비된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플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폐수를 내부공간에 수용하고, 상기 폐수가 상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도록 상기 후처리시설과 연결되는 챔버; 상기 광촉매로부터 광촉매 반응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 발광체; 상기 폐수 내에서 산란을 일으키는 산란체로서 상기 LED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로 산란시키기 위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 및 상기 배플 필터, 상기 LED 발광체, 상기 기포발생기가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기포를 분쇄하고, 상기 기포를 상기 폐수로 강제 대류시키는 메쉬망 타입의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는, 상기 LED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또는 상기 기포로부터 산란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재는, 상기 기포보다 작은 치수의 기공을 가지게 되어 상기 기포를 상기 폐수로 강제 대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은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는 월류벽; 및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 내 상기 월류벽의 후면과 상기 수처리 시스템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폐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속측정장치는, 상기 월류벽의 후면과 상기 수처리 시스템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폐수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환산하여 상기 폐수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은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되며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촉매,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체가 구비된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플 필터가 구비되면서 상기 후처리시설과 연결되는 챔버가 상기 폐수를 수용하고, 상기 폐수가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 제1 단계; 상기 배플이 상기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챔버의 내벽에 구비된 LED 발광체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3 단계; 상기 LED 발광체가 자외선을 방출하는동안 기포발생기가 기포를 발생시키며, 상기 기포가 금속재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폐수로 강제 대류되는 제4 단계; 상기 기포에 의해 상기 LED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광촉매로 산란되는 제5 단계; 상기 광촉매가 상기 기포에 의해 산란된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켜 상기 폐수의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폐수의 난분해성 물질이 분해된 후, 흡착제가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LED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또는 상기 기포로부터 산란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촉매 반응을 통해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면서 상기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함으로써, 후처리시설에서 정화 처리될 폐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 발광체로부터 직접 조사되는 자외선 뿐만 아니라, 산란체인 기포를 통해 반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킴으로써, 폐수의 수처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의 수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10)는 후처리시설에서 정화 처리될 반도체산업 및 전기산업의 폐수(이하에서는 '폐수'라 한다.)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상기 폐수가 저장되는 침지조 등의 챔버(100)에 설치되며, 난분해성 물질을 용이하게 분해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배플 필터(10)가 처리하는 폐수는 반도체산업 및 전기산업의 폐수를 수처리(전처리)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배플 필터(10)는 폐수의 수처리를 위해 프레임(11), 배플(12), 광촉매(13), 흡착제(14) 및 반사체(15)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은 배플 필터(10)의 외형을 구성하며, 상기 배플(12)은 상기 프레임(11)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프레임(11)과 결합되고, 챔버(100)에 수용되어 후처리시설로 이동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킨다.
상기 프레임(11) 및 배플(12)은 폐수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스테인리스 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13)는 챔버(100)에 구비된 LED 발광체(200)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 반응이 발생되도록 이산화티타늄(TiO2)로 이루어지며, 고도산화처리(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를 통해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한다.
상기 광촉매(13)는 고도산화처리 기법을 기반으로 챔버(100)에 수용되어 후처리시설로 이동하는 폐수의 난분해성 물질을 용이하게 분해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어 건식 또는 습식의 코팅법을 통해 배플(12)의 외주면에 코팅된다.
이때, 건식의 코팅법은 화학적 증착법(CVD), 물리적 증착법(PVD), 이온 플레이팅법(Ion plating) 및 용사 코팅법(Thermal spray coating)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습식의 코팅법은 졸-겔(Sol-gel)법 또는 딥 코팅법(Dip-coating)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광촉매(13)는 이하에서 딥 코팅법을 통해 배플(12)의 외주면에 코팅되는 것으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광촉매(13)는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체(15)가 부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배플(12)의 외주면에 딥 코팅되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배플(12)의 외주면에 딥 코팅될 수 있다. 다만, 통상적인 딥 코팅법을 통해 배플(12)의 외주면에 코팅되는 경우, 딥 코팅법의 특성상 평판 형상으로의 코팅이 제한된다.
상기 광촉매(13)를 평판 형상으로 딥 코팅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는 프레스 등의 수단을 통해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의 미세한 변형이 배플(12)의 외주면에 가해지게 되며, 이를 통해 배플(12)의 외주면의 일부 표면에는 평판 형상으로 음각 처리된 코팅 영역(20)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 영역(20)이 형성되면, 상기 코팅 영역(20)에는 상기 광촉매(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본드 코팅이 삽입된 후에 상기 광촉매(13)의 제조 물질인 이산화티타늄이 투입되고, 후열처리 공정을 통해 상기 광촉매(13)의 결정화가 이루어진다.
흡착제(14)는 상기 광촉매(13)를 통해 폐수로부터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해 프레임(11)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난분해성 물질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제조되며, 일 예로 난분해성 물질의 흡착이 가능토록 탄소를 염화 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물질을 촉매로 건조시킨 활성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15)는 상기 광촉매(13)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200)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해 일면이 미러 코팅(mirror-coating)되며, 상기 미러 코팅을 통해 자외선의 일부가 반사되도록 하기 위한 반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체(15)는 상기 광촉매(13)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200)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광촉매(13)와 인접하게 상기 광촉매(13)가 코팅된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광촉매(13)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200)의 자외선 일부라 함은, 상기 LED 발광체(200)로부터 직접 조사되는 자외선 또는 수처리 시스템을 통해 후술될 기포를 통해 반사되는 자외선을 의미한다.
상기 반사체(15)를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반사체(15)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13)가 코팅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부착되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반사체(15)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부착될 때, 상기 배플(12)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광촉매(13)와 교호 배치된다. 즉, 배플(12)의 외주면 상에서는 상기 광촉매(13)와 상기 반사체(15)가 광촉매(13)-반사체(15)-광촉매(13)-반사체(15)-광촉매(13)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15)로부터 반사된 자외선은 상기 배플 필터(10)와 인접한 다른 배플 필터(10)로 반사되거나, 수처리 시스템을 통해 후술될 산란체인 기포로 반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플 필터(10)의 제조방법 과정은 프레임 제조단계(S1), 배플 제조단계(S2), 프레임 내부 구성단계(S3), 광촉매 코팅단계(S4), 반사체 부착단계(S5) 및 흡착제 부착단계(S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배플 필터(10)의 제조방법은 상기 배플 필터(10)의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11)을 제조할 수 있다(S1). 이때, 상기 프레임(11)은 폐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을 스테인리스 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 제조 후, 챔버(100)에 수용된 후 후처리시설로 이동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12)을 제조할 수 있다(S2).
상기 배플(12)이 제조되면, 상기 배플(12)을 상기 프레임(11)에 결합시켜 상기 프레임(11)의 내부를 구성할 수 있다(S3).
상기 프레임(11)의 내부 구성 후,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킬 광촉매(13)를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코팅할 수 있다(S4). 이때, 상기 광촉매(13)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체(15)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딥 코팅되거나,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평판 형상으로 딥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13)를 코팅한 후, 상기 광촉매(13)로 조사되는 LED 발광체(200)의 자외선 일부를 상기 배플 필터(10)와 인접한 다른 배플 필터(10)의 광촉매(13)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체(15)를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부착할 수 있다(S5). 이때, 상기 반사체(15)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13)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플(12)의 외주면에 딥 코팅되거나, 상기 배플(12)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광촉매(13)와 교호 배치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15)를 부착한 후, 상기 광촉매(13)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14)를 상기 프레임(11)의 외주면에 부착할 수 있다(S6). 이때, 상기 흡착제(14)는 난분해성 물질의 흡착이 가능토록 탄소를 염화 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물질을 촉매로 건조시킨 활성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배플 필터(10)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흡착제(14) 및 반사체(15)의 부착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플 필터(10)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이하에서는 '수처리 시스템'이라 한다.)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1)은 챔버(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메쉬(mesh)망 타입인 금속재(500)의 내부공간에 상기 배플 필터(10), LED 발광체(200) 및 기포발생기(400)를 배치시켜 광촉매 반응을 통해 폐수를 수처리한다.
상기 수처리 시스템(1)은 폐수의 수처리 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에 4개의 수처리 시스템(1a, 1b, 1c, 1d)로 구비되며, 이보다 적거나 많게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0)는 상기 수처리 시스템(1) 뿐만 아니라 상기 광촉매(13)의 광촉매 반응을 통해 난분해성 물질이 분해될 폐수를 수용하며, 상기 폐수가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도록 상기 후처리시설과 연결된다.
상기 LED 발광체(200)는 상기 광촉매(13)로부터 광촉매 반응이 발생되도록 하는 자외선을 방출하며, 자외선을 방출하는 통상적인 자외선 램프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광촉매(13)의 광촉매 반응이 발생되도록 하는 자외선을 방출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성질을 갖는 전도성 방적사, 필라멘트사 및 섬유사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포발생기(400)는 기포(410)를 발생시켜 상기 금속재(500)의 내부공간에 공급한다.
상기 기포(410)는 폐수 내에서 산란을 일으키는 산란체로서 상기 LED 발광체(2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13)로 산란시키며, 반사체(15)로부터 자외선이 반사되는 경우 상기 반사체(15)로부터 반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13)로 산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광촉매(13)는 상기 LED 발광체(2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폐수의 탁도 등 요인을 고려할 때 상기 기포(410)를 통해 산란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1)은 복수의 수처리 시스템(1a, 1b, 1c, 1d)으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기(400), 광촉매(13) 및 반사체(15)는 각 수처리 시스템(1a, 1b, 1c, 1d)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기포발생기(400)로부터 발생되는 무수히 많은 상기 기포(410)는 상계 폐수로 강제 대류되어 상기 복수의 광촉매(13)를 향해 자외선을 산란시켜 상기 복수의 광촉매(13)로부터 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체(15)는 상기 기포(410)로부터 산란되는 자외선을 상기 기포(410)로 반사시켜 상기 기포(410)에서 자외선의 산란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재(500)는 내부공간과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을 구분하며, 산란체인 기포(410)를 분쇄하여 상기 기포(410)가 상기 챔버(100) 내 폐수로 강제 대류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재(500)는 상기 기포(410)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의 기공을 가지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410)를 분쇄하여 폐수로 강제 대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광촉매(13)로부터 광촉매 반응이 발생되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재(500)는 수처리 과정에서 메쉬망의 표면에 폐색(clogging) 유발 물질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폐색 유발 물질에 의해 수처리 효율이 저감될 수 있으므로, 금속재(500)를 세척 또는 교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챔버(100)에 수용되는 폐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폐수의 흐름을 최대한으로 상기 수처리 시스템(1)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상기 폐색 유발 물질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수처리 시스템(1)으로 폐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챔버(100)의 내부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의 수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에는 월류벽(300) 및 유속측정장치(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월류벽(300)은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수처리 시스템(1)의 전단에 구비되어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며, 상기 폐수가 상기 수처리 시스템(1)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폐수의 흐름을 유도한다.
상기 유속측정장치(600)는 상기 챔버(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월류벽(300)의 후면과 상기 수처리 시스템(1)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폐수의 유속을 측정하며, 상기 폐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유속측정장치(600)는 상기 월류벽(300)의 후면과 상기 수처리 시스템(1)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폐수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610)의 회전수를 환산하여 상기 폐수의 유속을 측정한다.
상기 유속측정장치(600)는 상기 프로펠러(610)가 일정시간(예: 30초, 1분 등)동안 상기 폐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가 기설정된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처리 시스템(1)의 관리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에 이상신호를 송신한다.
이를 통해, 상기 관리자는 상기 유속측정장치(600)로부터 직접 또는 단말을 통해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처리 시스템(1)에 구비된 금속재(500)의 세척 또는 교체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금속재(500)의 세척 또는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1)를 이용한 폐수 수처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플 필터(10)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과정은 폐수 이동단계(S10), 폐수 난류 감소단계(S20), 자외선 방출단계(S30), 기포 발생 및 강제 대류단계(S40), 자외선 산란단계(S50), 난분해성 물질 분해단계(S60) 및 난분해성 물질 흡착단계(S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후처리시설과 연결되는 상기 챔버(100)가 폐수를 수용하고, 상기 폐수가 상기 후처리시설로 이동될 수 있다(S10).
상기 폐수가 상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동안 상기 배플(12)은 상기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S20).
또한, 상기 폐수가 상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동안 상기 LED 발광체(200)가 상기 배플 필터(10)에 구비된 광촉매(13)를 향해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S30).
상기 LED 발광체(200)가 자외선을 방출하는동안 상기 기포발생기(400)는 기포(410)를 발생시키며, 상기 기포(410)는 금속재(500)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폐수로 강제 대류될 수 있다(S40).
상기 기포(410)는 상기 LED 발광체(20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13)로 산란시킬 수 있다(S50).
이때, 상기 기포발생기(400)의 기포 발생시기는 자외선이 방출되는 동시에 상기 기포를 통해 반사될 수 있도록, 상기 LED 발광체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단계(S30)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13)는 상기 기포(410)에 의해 산란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켜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S60).
상기 폐수의 난분해성 물질이 분해된 후, 상기 흡착제(14)는 상기 폐수로부터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S70).
상기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서는 상기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 및 흡착을 통해 상기 폐수의 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폐수는 상기 수처리 시스템(1)에 의해 전처리되어 난분해성 물질이 일부 제거된 상태로 상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며, 상기 후처리시설에서 완전히 정화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수처리 시스템, 10: 배플 필터,
11: 프레임, 12: 배플,
13: 광촉매, 14: 흡착제,
15: 반사체, 20: 코팅 영역,
100: 챔버, 200: LED 발광체,
300: 월류벽, 400: 기포발생기,
410: 기포, 500: 금속재,
600: 유속측정장치, 610: 프로펠러.

Claims (18)

  1. 배플 필터에 있어서,
    배플 필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챔버에 수용된 후 후처리시설로 이동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되며, 상기 챔버에 구비된 LED 발광체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될 때,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광촉매;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딥 코팅(Dip-coating)법을 통해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광촉매가 평판 형상으로 딥 코팅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음각처리된 코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일면이 미러 코팅되어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상기 코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배플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광촉매와 교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
  6.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플 필터의 외형을 구성하기 위한 프레임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챔버에 수용된 후 후처리시설로 이동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플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켜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챔버에 구비된 LED 발광체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될 때,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광촉매를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하는 제4 단계;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체를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를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딥 코팅법을 통해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상기 광촉매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배플에 평판 형상으로 음각처리된 코팅 영역 상에 상기 광촉매가 딥 코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사체의 일면을 미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코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상기 반사체를 부착하여 상기 배플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반사체를 상기 광촉매와 교호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의 제조방법.
  11.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되며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촉매,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체가 구비된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플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폐수를 내부공간에 수용하고, 상기 폐수가 상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도록 상기 후처리시설과 연결되는 챔버;
    상기 광촉매로부터 광촉매 반응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 발광체;
    상기 폐수 내에서 산란을 일으키는 산란체로서 상기 LED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광촉매로 산란시키기 위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 및
    상기 배플 필터, 상기 LED 발광체, 상기 기포발생기가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기포를 분쇄하고, 상기 기포를 상기 폐수로 강제 대류시키는 메쉬망 타입의 금속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상기 LED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또는 상기 기포로부터 산란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는,
    상기 기포보다 작은 치수의 기공을 가지게 되어 상기 기포를 상기 폐수로 강제 대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는 월류벽; 및
    상기 챔버의 내부공간 내 상기 월류벽의 후면과 상기 수처리 시스템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폐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측정장치는,
    상기 월류벽의 후면과 상기 수처리 시스템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폐수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환산하여 상기 폐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16.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플,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코팅되며 상기 폐수에 포함된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촉매,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를 통해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 및 상기 배플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로 조사되는 상기 LED 발광체의 자외선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체가 구비된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플 필터가 구비되면서 상기 후처리시설과 연결되는 챔버가 상기 폐수를 수용하고, 상기 폐수가 후처리시설로 이동되는 제1 단계;
    상기 배플이 상기 폐수의 난류를 감소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챔버의 내벽에 구비된 LED 발광체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3 단계;
    상기 LED 발광체가 자외선을 방출하는동안 기포발생기가 기포를 발생시키며, 상기 기포가 금속재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폐수로 강제 대류되는 제4 단계;
    상기 기포에 의해 상기 LED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광촉매로 산란되는 제5 단계;
    상기 광촉매가 상기 기포에 의해 산란된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켜 상기 폐수의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폐수의 난분해성 물질이 분해된 후, 흡착제가 분해된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LED 발광체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또는 상기 기포로부터 산란되는 자외선을 통해 광촉매 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는,
    상기 기포보다 작은 치수의 기공을 가지게 되어 상기 기포를 상기 폐수로 강제 대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플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0210189616A 2021-12-28 2021-12-28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0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616A KR20230100793A (ko) 2021-12-28 2021-12-28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616A KR20230100793A (ko) 2021-12-28 2021-12-28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793A true KR20230100793A (ko) 2023-07-06

Family

ID=8718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616A KR20230100793A (ko) 2021-12-28 2021-12-28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79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846B1 (ko) 2016-04-08 2017-04-20 김응우 광촉매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KR101914450B1 (ko) 2017-09-08 2019-01-24 주식회사 바이오팜앤팜스 난분해성 산업폐수의 처리방법
KR20210043122A (ko) 2019-10-11 2021-04-21 (주)신산 난분해성 폐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846B1 (ko) 2016-04-08 2017-04-20 김응우 광촉매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KR101914450B1 (ko) 2017-09-08 2019-01-24 주식회사 바이오팜앤팜스 난분해성 산업폐수의 처리방법
KR20210043122A (ko) 2019-10-11 2021-04-21 (주)신산 난분해성 폐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90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ballast water
RU2471716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алластной воды посредством излучающих уф средств и катализаторов
WO20150317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uid treatment with homogeneous distribution of ultraviolet light
KR101006780B1 (ko) 고도산화법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JP2007167807A (ja) 流体浄化装置並びに流体浄化方法
KR20220058023A (ko) 광 산란체를 구비하는 광촉매 필터
KR20230100793A (ko) 배플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49885B1 (ko) 플라즈몬을 이용한 광촉매 정수장치
WO2008113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predetermined transformation
Hayashi et al. Development of dispersed-type sonophotocatalytic process using piezoelectric effect caused by ultrasonic resonance
JP2010084356A (ja) 衛生洗浄装置
JP2018196620A (ja) 洗濯機
CN1317450A (zh) 废液处理法和所用的废液处理装置及用该装置的洗涤装置
JP3612150B2 (ja) 水処理装置
CN113457441A (zh) 微波激励紫外光催化降解VOCs与杀菌一体化装置
KR101916883B1 (ko) 초음파와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모듈
KR20040005760A (ko) 측면발광광섬유를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시스템
KR200375243Y1 (ko) 소취 항균 기능을 갖는 광원 구조
JP2003245660A (ja) 水処理槽
KR101416067B1 (ko) Uv 반사부재를 구비한 반응조 및 펄스 uv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N216458043U (zh) 微波激励紫外光催化降解VOCs与杀菌一体化装置
KR20130008249A (ko) 광촉매를 이용한 선박 평형수 살균장치
JP2014057964A (ja) 紫外線照射装置
JPH11267670A (ja) 光触媒を用いた処理装置
JP3691005B2 (ja) 有機物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