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578A -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578A
KR20230100578A KR1020220089741A KR20220089741A KR20230100578A KR 20230100578 A KR20230100578 A KR 20230100578A KR 1020220089741 A KR1020220089741 A KR 1020220089741A KR 20220089741 A KR20220089741 A KR 20220089741A KR 20230100578 A KR20230100578 A KR 2023010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or
coupling portion
coupling
sidewall
coup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박상규
안휘경
이재민
조병성
한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PCT/KR2022/02119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28487A1/en
Publication of KR2023010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Abstract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추출기는, 상측이 개구된 제1 중공을 제공하는 제1 추출기;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히터; 및 상측이 개구된 제2 중공을 제공하고, 바닥에 상기 히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추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추출기는,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추출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EXTRACTOR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THE SAME}
본 개시는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히터에 고착화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탈거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새로운 구조의 추출기에 스틱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바디로부터 추출기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이 개구된 제1 중공을 제공하는 제1 추출기;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히터; 및 상측이 개구된 제2 중공을 제공하고, 바닥에 상기 히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추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추출기는,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추출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출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기가 삽입 가능한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및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터에 고착화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새로운 구조의 추출기에 스틱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고, 바디로부터 추출기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배터리(11), 제어부(12) 및 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1), 제어부(12) 및 센서(13)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바디(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출기(20)는 바디(10)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은 추출기(20)의 내부의 중공(22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30)는 추출기(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30)는 추출기(2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상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히터(30)는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히터(30)는 추출기(20)의 내부 및/또는 추출기(20)에 삽입된 스틱(400)을 가열할 수 있다.
스틱(400)이 추출기(20)의 내부에 삽입되면, 스틱(400)의 일단은 추출기(20) 및 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틱(400)이 추출기(20)의 중공(224)에 삽입되면, 히터(30)는 스틱(400)의 단부를 관통하여 스틱(4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0)은 히터(3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스틱(400)의 일단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제어부(12), 센서(13), 유도코일(14), 히터(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배터리(11), 유도코일(14), 센서(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13)는 히터(3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센서(13)가 센싱한 히터(30)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3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센서(13)가 센싱한 히터(30)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히터(30)는 배터리(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히터(30)는 유도코일(14, 도 2 참조)이 필요없이, 배터리(11)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직접적으로 발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유도코일(1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의 내부에 추출기(20)가 삽입되면, 유도코일(14)은 추출기(20) 및 히터(30)를 둘러쌀 수 있다. 유도코일(14)은 히터(30)를 발열시킬 수 있다. 히터(30)는 서셉터(susceptor)로서, 히터(30)는 유도코일(14)을 통해 흐르는 AC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자기장은 히터(30)를 관통하고, 히터(30) 내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류는 히터(30)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는 삽입공간(14)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공간(14)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유도코일(35)은 삽입공간(14)을 권선할 수 있다. 추출기(20)는 삽입공간(14)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공간(14)의 내부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14)과 추출기(20)는 서로 대응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출기(20)의 내부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틱(400)의 일측은 추출기(20)에 삽입되고, 타측은 추출기(20) 및 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추출기(20)는 제1 추출기(21) 및 제2 추출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중공(224)을 제공할 수 있다. 스틱(400)은 제2 추출기(22)의 중공(224)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30)는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에 고정될 수 있다. 히터(30)는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으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히터(30)의 몸통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30)의 상단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히터(30)의 상단은 제2 추출기(22)의 중공(224)에 삽입된 스틱(4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공간(14)을 둘러싸는 유도코일(35)은 히터(30)을 발열시킬 수 있다. 히터(30)는 발열되어 스틱(400)을 가열하고,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30)는 유도코일(35)이 아닌,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될 수도 있다. 이때, 히터(30)는,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의 하측으로 형성된 단자를 통해 삽입공간(14)의 바닥에 형성된 단자와 접촉됨으로써, 전력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추출기(20)는 제1 추출기(21) 및 제2 추출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1)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 및 제2 추출기(22)가 결합된 추출기(2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1)에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제1 중공(21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중공(214)은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 및 측벽(2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은 원판 형상 또는 그릇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히터(30)는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의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제1 중공(214)을 기준으로 대향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2)의 측벽(212)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제1 중공(214)을 둘러싸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제1 측벽(21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제2 중공(224)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중공(224)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2 추출기(22)의 제2 중공(224)은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과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추출기(22)의 바닥(221)은 원판 형상 또는 그릇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은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중공(224)을 둘러쌀 수 있다.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은 제2 측벽(22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의 일부는 제1 추출기(21)의 제1 중공(2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은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과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과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215)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으로부터 제1 중공(214)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는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215)는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 각각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결합돌기(215)라 명명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5a)는 제1 결합홀(225a)이라 명명할 수 있다. 제3 결합부(225b)는 제2 결합홀(225b)이라 명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215)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에 배치된 마그넷일 수 있다. 제2 결합부(225a)는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에 배치되며, 제1 결합부(215)와 인력을 작용하는 마그넷일 수 있다. 제3 결합부(225b)는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에 배치되며, 제1 결합부(215)와 인력을 작용하는 마그넷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결합부(215)는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에 배치된 마그넷이고,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에 배치된 마그넷일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 각각과 인력을 작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제1 마그넷(215)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5a)는 제2 마그넷(225a)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3 결합부(225b)는 제3 마그넷(225b)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5a)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225b)는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225b)는 제2 결합부(225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3 결합부(225b)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제1 중공(21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결합부(215) 각각은, 한 쌍의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을 축으로 하여 내외로 피봇 가능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결합부(215) 각각은, 한 쌍의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 각각의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세스부(226)는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의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226)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부(226)는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리세스부(226)는 제2 중공(224)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리세스부(226) 각각은, 한 쌍의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 각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226)는 하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리세스부(226)는 상측으로 폐쇄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리세스부(226)가 형성하는 홈에 삽입되어, 리세스부(226)를 덮을 수 있다.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은 리세스부(226)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리세스부(226)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리세스부(226)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는 리세스부(22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7)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의 상단 부분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7)는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의 가장자리에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7)는 리세스부(226)의 개방측 가장자리에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7) 및 제2 가이드부(227)는 서로 접촉되어,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이 리세스부(226)에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관통홀(223)은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23)은 히터(30)와 대응될 수 있다. 히터(30)는 관통홀(223)을 관통할 수 있다. 히터(30)는 관통홀(223)을 관통하여 제2 중공(224)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관통홀(223)과 히터(30)은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223)의 직경은 히터(3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히터(30)가 관통홀(223)에 삽입되면, 관통홀(223)을 형성하는 추출기(22)의 바닥(221)의 내주면과 히터(30)의 외주면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1)에 대하여 상승하지 않은 제1 위치(도 7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2)에 대하여 상측으로 상승한 제2 위치(도 8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2)에 대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거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과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은 인접하거나 접촉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과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은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215)는 제1 측벽(212)에 형성되고, 제2 결합부(225a) 및 제3 결합부(225b)은 제2 측벽(2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결합부(215)는 제2 결합부(225a)에 결합되어 제2 추출기(22)가 제1 추출기(2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추출기(21)에 대하여 제2 추출기(22)를 소정의 힘으로 상측으로 당기면, 제2 결합부(225a)에 결합된 제1 결합부(215)는 제2 결합부(225a)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가 제2 결합부(225a)으로부터 분리되면, 제2 추출기(22)는 고정이 해제되어, 제1 추출기(21)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2 추출기(22)가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결합부(215)는 제3 결합부(225b)에 결합되어, 제2 추출기(22)가 제1 추출기(21)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위치에 위치한 제2 추출기(22)를 제1 추출기(21)에 대하여 하측으로 밀면, 제1 결합부(215)는 제3 결합부(225b)로부터 분리되고, 제2 추출기(22)는 제1 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결합부(215)는 제2 결합부(225a)와 결합되고,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는 히터(30)의 상부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225b)는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와 제3 결합부(225b)가 결합된 제2 위치에서,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은 관통홀(223)를 관통한 히터(30)의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400) 등으로부터 발생되어,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과 히터(30)의 외부에 달라붙어 굳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추출기(20)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5)와 제3 결합부(225b) 간의 결합력은, 제1 결합부(215)와 제2 결합부(225a) 간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추출기(22)를 제1 추출기(21)로부터 상측으로 당겨 제1 결합부(215)와 제2 결합부(225a)를 서로 분리한 소정의 힘으로는, 제1 결합부(215)와 제3 결합부(225b)가 서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2 위치(도 8 참조)에서, 제1 추출기(21)로부터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도 9 참조). 제2 위치에서, 한 쌍의 제1 추출기(2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봇되어, 제1 결합부(215)를 제3 결합부(225b)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추출기(22)는 제1 추출기(21)로부터 상측으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는 제1 중공(21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히터(30)는 관통홀(22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추출기(21) 및 제2 추출기(22) 각각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추출기(20)는 제1 서포터(2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터(228)는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 중공(224)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서포터(228)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서포터(228)의 상단은,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포터(228)의 하단은,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서포터(228)는 제2 중공(224)에 삽입된 스틱(400)의 외주면 및 스틱(400)의 바닥을 지지하고, 스틱(400)의 제2 추출기(22) 사이에 공기가 유동 가능한 틈을 형성시㎍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틱(400)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는 스틱(400)의 외주면과 제2 추출기(22)의 측벽(222)의 내주면 사이를 통해 스틱(400)의 하부로 유입되고, 스틱(4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서포터(229)는 추출기(2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서포터(229)는 제1 추출기(21)의 외주면 또는 제2 추출기(2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서포터(229)는 제2 추출기(22)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서포터(229)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기(20)가 바디(10) 내부의 삽입공간(24)에 삽입되면, 추출기(20)는 제2 서포터(22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서포터(229)는 추출기(20)의 외주면과 삽입공간(24)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측벽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유입홀(218)은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의 외주면에, 제1 추출기(21)의 중공(214)과 연통되는 유입홀(218)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218)는 횡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유입홀(218)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입홀(218)은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은, 제1 추출기(21)의 바닥(211) 및/또는 유입홀(218)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스토퍼(219)는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을 지지할 수 있다. 스토퍼(219)는 유입홀(218)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19)는 유입홀(218)의 상측에서, 제1 추출기(21)의 측벽(21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홀(218)으로부터 관통홀(223)까지 이어지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틱(400)을 입에 물고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는 추출기(20)의 외주면과 삽입공간(24)을 형성하는 측벽의 사이를 통하여 유입홀(218)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홀(218)으로 유입된 공기는 관통홀(223)을 통해 스틱(400)의 하부로 유입되고, 스틱(4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어퍼케이스(40)는 추출기(20)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제2 추출기(22)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추출기(20)는 어퍼케이스(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제2 중공(224)의 개구와 연통되는 삽입구(44)를 구비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바디(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삽입공간(24) 및 삽입공간(24)의 주변을 덮을 수 있다.
추출기(20)는 어퍼케이스(4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에 결합되면, 추출기(20)는 삽입공간(24)에 삽입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가 바디(10)로부터 분리되면, 추출기(20)는 삽입공간(2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추출기(20)가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2 추출기(22)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추출기(22)가 어퍼케이스(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추출기(21)를 제2 추출기(2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40)는 삽입구(44)를 개폐하는 캡(45)을 구비할 수 있다. 캡(45)은 삽입구(44)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캡(45)은 삽입구(44) 주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캡(45)이 삽입구(44)를 개방하면, 제2 중공(224)은 개방되어 스틱(400)이 삽입될 수 있다. 캡(45)은 삽입구(44)를 폐쇄하여, 제2 중공(224) 및 삽입공간(24)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10)의 일측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외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출기(20)를 바디(10)로부터 보다 수월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틱(400) 등으로부터 발생되어, 제2 추출기(22)의 바닥(221)과 히터(30)의 외부에 달라붙어 굳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추출기(21) 및 제2 추출기(22) 각각의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추출기는, 상측이 개구된 제1 중공을 제공하는 제1 추출기;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히터; 및 상측이 개구된 제2 중공을 제공하고, 바닥에 상기 히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추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추출기는,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추출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기는,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에서, 상기 제2 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3 결합부는, 마그넷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3 결합부와 인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추출기를 상기 제1 추출기에 대하여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 추출기가 상기 제1 추출기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추출기를 상기 제1 추출기에 대하여 하측으로 밀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3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 추출기가 상기 제1 추출기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 간의 결합력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간의 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은, 상기 제1 중공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각각에 상기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하측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1 추출기의 측벽은,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외측으로 피봇 가능하고, 제1 결합부가 상기 제3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추출기의 측벽이 외측으로 피봇되면,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3 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 추출기가 상기 제1 추출기로부터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기는,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의 외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3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이 삽입되어 덮히며, 상기 제1 추출기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기는,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에서, 상기 제2 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기는, 상기 제2 추출기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출기는, 상기 제2 추출기 또는 제1 추출기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의 외주면에 횡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제1 중공 및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입홀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추출기의 바닥을 지지하여 상기 유입홀과 상기 관통홀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추출기가 삽입 가능한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및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추출기와 결합되며, 상기 바디의 삽입 공간 주변을 덮는 어퍼케이스로서, 상기 제2 중공의 개구와 연통되는 삽입구; 및 상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캡을 구비하는 어퍼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1. 상측이 개구된 제1 중공을 제공하는 제1 추출기;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히터; 및
    상측이 개구된 제2 중공을 제공하고, 바닥에 상기 히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추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추출기는,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추출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출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에서, 상기 제2 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추출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이 개구되어 형성된 추출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3 결합부는, 마그넷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3 결합부와 인력이 작용되는 추출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추출기를 상기 제1 추출기에 대하여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 추출기가 상기 제1 추출기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추출기를 상기 제1 추출기에 대하여 하측으로 밀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3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 추출기가 상기 제1 추출기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추출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 간의 결합력은,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간의 결합력보다 큰 추출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은,
    상기 제1 중공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각각에 상기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의 양 측에 형성되는 추출기.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하측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의 양 측에 형성되는 추출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추출기의 측벽은,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을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외측으로 피봇 가능하고,
    제1 결합부가 상기 제3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추출기의 측벽이 외측으로 피봇되면,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3 결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2 추출기가 상기 제1 추출기로부터 상측으로 분리되는 추출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의 외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3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이 삽입되어 덮히며, 상기 제1 추출기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하는 추출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기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에서, 상기 제2 결합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추출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기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추출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기 또는 제1 추출기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추출기의 바닥의 외주면에 횡방향으로 개구되며, 상기 제1 중공 및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추출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추출기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추출기의 바닥을 지지하여 상기 유입홀과 상기 관통홀을 연통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추출기.
  14. 제1 항의 추출기가 삽입 가능한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및
    상기 삽입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유도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와 결합되며, 상기 바디의 삽입 공간 주변을 덮는 어퍼케이스로서, 상기 제2 중공의 개구와 연통되는 삽입구; 및 상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캡을 구비하는 어퍼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20089741A 2021-12-28 2022-07-20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00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21190 WO2023128487A1 (en) 2021-12-28 2022-12-23 Extractor and aerosol-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90269 2021-12-28
KR1020210190269 2021-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578A true KR20230100578A (ko) 2023-07-05

Family

ID=8715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741A KR20230100578A (ko) 2021-12-28 2022-07-20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5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348B2 (en) Electric socket having automatic aperture shutter
RU2020124609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KR20230100578A (ko) 추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70141487A (ko) 쿡탑
US11140924B1 (en) Portable electronic vaporizing device
KR20200087682A (ko) 조리기기
JP2022107039A (ja) 電子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のためのハッチセクション
KR20210056189A (ko) 퀵 커넥터
US11785984B2 (en) Hookah
CN108323821A (zh) 一种容纳机构和气雾产生装置
TWI483752B (zh) T-type valve
KR2023010296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9658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JP5930929B2 (ja) 加湿器
KR2023010297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08404205U (zh) 烹饪器具
KR2023006234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3185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52936B1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738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10307388A1 (en) Vaporizer apparatuses having a movable head and related methods
KR102607160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ES2946913T3 (es) Aparato de tostado
KR2024005558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4860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