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297A -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297A
KR20230100297A KR1020210190042A KR20210190042A KR20230100297A KR 20230100297 A KR20230100297 A KR 20230100297A KR 1020210190042 A KR1020210190042 A KR 1020210190042A KR 20210190042 A KR20210190042 A KR 20210190042A KR 20230100297 A KR20230100297 A KR 20230100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equipment
arrangement structure
compartment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현
최진열
신준근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297A/ko
Publication of KR2023010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룸의 선수측에서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마련되는 화물구역의 선미측 구조물에 리세스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 공간에 상기 소화설비용 밸브가 위치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LIQUEFIED GAS CARGO CARRIER AND COMPARTMENT ARRANGEMENT STRUCTURE OF FOR FIRE FIGHTING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은 LNG나 LPG 등의 액화가스를 싣고 해상을 운항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에 대한 환경오염 규제 기준이 강화됨으로 인해,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 등과 같은 친환경 고효율의 액화가스 연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이하, ‘LNG’라 함)는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얻은 메탄을 냉각해 액화시킨 것이며, 액화석유가스(이하, 'LPG'라 함)는 유전에서 석유와 함께 나오는 프로판과 부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를 상온에서 압축하여 액체로 만든 연료이다.
LNG는 천연가스를 극저온(약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PG는 대기압 하에서 비등점이 -48℃ 정도인 초저온 액체로서 가격에 비해 열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청정에너지로서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LNG나 LPG 등의 액화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체 상태로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되는데, 액화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액화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액화가스 운반선이나,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에는 액화가스의 저온에 견딜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가 마련된다.
또한,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 직접 액화시켜 저장하고, 필요시 저장된 LNG를 LNG 운반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해상에서 LNG 운반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에도 LNG 운반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포함된다.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과 독립형(Independent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859호 “선박 엔진룸의 소화 수 배관 제어시스템의 공압 리모트 자동 개폐밸브의 수동제어 장치”
한편, 섭씨 37.9도의 온도에서 절대 증기압이 0.28Mpa를 초과하는 액화가스를 운반하는 모든 선박은 IGC code에서 규정하는 사양에 준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IGC code(International Code for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Liquefied Gases Bulk)는,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 LNG운반선(LNGC; LNG Carrier) 등의 가스 운반선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는 국제적인 협약으로서, 화물구역(Cago Area)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화물구역은, 화물실 시스템(Cargo Containment System), 화물펌프실(Cargo Pump Room), 압축기실(Compressor Room)로 이루어지는 선박의 일부분으로서, 이의 전체 길이와 너비에 걸친 갑판 구역(Deck area)를 포함하며, 화물창의 최전방 또는 후방에 코퍼댐(Cofferdam),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또는 빈공간(Void Space)이 설치된 경우, 해당 공간은 화물구역에서 제외된다.
액화가스 운반선은, 화물구역과 비화물구역(Non-Cargo Area)으로 구분되고, 상기 협약에서 언급된 화물구역 정의에 따라 전력이나 소화시설 등의 화물 프로세스 계통 설비가 설계되어야 하는데, 선박의 제한적인 공간 내에서 상기 화물 프로세스 계통 설비의 설치위치 및 구동위치를 선정해야하는 제약이 발생된다.
일 예로서, 물 분사 시스템(Water Spray System)의 경우, 소화밸브 개폐 등의 원격 조작(Remote operation)이 화물구역 외부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해당 소화밸브는 엔진룸 내에 설치되게 되는데, 오픈덱(Open deck)구조가 아니므로 드레인 라인의 별도 구성이 필요하였으며, 비용 상승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 및 소화 프로세스 계통 설치를 위한 추가 컴파트먼트(Compartment)를 확보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관한 기준을 따르면서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는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엔진룸의 선수측에서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 설치를 위한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마련되는 화물구역의 선미측 구조물에 리세스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 공간에 상기 소화설비용 밸브가 위치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 공간은, 상기 선체의 상갑판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선원들의 거주를 위해 상기 엔진룸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주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트렁크데크 상에는 화물기계실이 마련되고, 상기 리세스 공간은 상기 거주구에서 상기 화물기계실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 공간은, 상기 거주구의 B데크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엔진룸의 선수측에서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화물구역; 상기 엔진룸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주구; 및 상기 거주구의 일측에 형성되는 리세스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공간에는 소화설비용 밸브가 위치되는 액화가스 운반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운반선의 선미측 구조물에 별도의 리세스 공간을 형성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관한 기준을 만족하면서 소화설비 및 소화 프로세스 계통 설치를 위한 추가 컴파트먼트(Compartment)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오픈 데크(Open Deck)에 의한 최적의 프로세스 라인 형성이 가능하여 구조 및 의장품 물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선미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에서 소화설비용 리세스 컴파트먼트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선미측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선미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에서 소화설비용 리세스 컴파트먼트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선미측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운반선은 화물구역과 비화물구역으로 구분되며, 화물구역에는 복수의 액화가스가 저장탱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갑판(Upper deck)(UD)의 하부에 배치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예컨데, 극저온(약 -163℃) 상태로 저장되는 LNG일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액화가스를 저온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단열재가 마련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단열재에 화물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여부에 따라 멤브레인형 또는 독립탱크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후술하게 되는 엔진룸(Engine room)(130)의 선수측에서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엔진룸(130)과의 사이에는 코퍼댐(C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코퍼댐(CD)은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엔진룸(130)은 화물구역의 선미측에 마련되고, 엔진룸(130)에는 액화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엔진은 추진용으로 사용되는 메인 엔진이나 발전용으로 사용되는 발전기 엔진일 수 있다.
예컨대, 메인엔진은 ME-GI 엔진(Man Electric Gas Injection Engine) 또는 X-DF 엔진(eXtra long stroke Dual Fuel Engine)일 수 있고, 발전엔진은 DFGE(Dual Fuel GEnerator), DFDG(Dual Fuel Diesel Generator), DFDE(Dual Fuel Diesel Electric Engine)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발전기 엔진일 수 있다.
엔진룸(130)의 상부에는, 엔진룸(13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펀넬부(Funnel)(150)와, 선원들이 거주하는 거주구(Accomodation)(170)가 배치된다.
거주구(170)는 상갑판(UD)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A데크 B데크 C데크 등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 상부층에는 항해를 제어하는 조종실(Wheel house)(미부호)이 구비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에는 화물기계실(190)이 마련될 수 있다.
화물기계실(190)은, 전기모터 및 카고 압축기 등과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기화 등으로 인해 생성된 증발가스를 다시 재액화시키는 장치 및 이를 위한 기타 제반 설비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화물기계실(190)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상부의 트렁크데크(Trunk deck)(TD) 상에 조립 탑재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와의 사이에 트렁크 스페이스(Trunk space)(TS)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액화가스 운반선에는, 액화가스의 누출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 이를 소화하기 위한 소화설비, 예컨데 물 분사 시스템(Water Spray system)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소화밸브 개폐 등의 원격 조작이 화물구역 외부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엔진룸 내에 소화배관 및 소화밸브 등이 설치되게 되는데, 정상운전(평상시) 상태에서 클로즈된 밸브의 원격조작(Remote operation)을 화물구역 밖에서 수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오픈덱(Open deck)구조가 아니므로 드레인 라인의 별도 구성이 필요하였으며, 비용 상승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 및 소화 프로세스 계통 설치를 위한 추가 컴파트먼트를 확보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에 관한 기준을 따르면서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는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에서는, 화물구역의 선미측 영역에 마련된 구조물, 보다 상세하게는 선원의 거주를 위한 거주구(190)의 일측에 리세스 공간(Recess space)(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화가스 운반선에 관한 기준(IGC code)을 만족하면서 소화설비 및 소화 프로세스 계통 설치를 위한 추가 컴파트먼트(Compartment)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오픈 데크(Open Deck)에 의한 최적의 프로세스 라인 형성이 가능하여 구조 및 의장품 물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세스 공간(S)은 상갑판(UD)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상부에 형성된 트렁크데크(TD)와 대응되는 위치, 예컨데 거주구(170)의 B데크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운반선의 선미측 구조물에 별도의 리세스 공간을 형성하여, 소화설비 및 소화 프로세스 계통 설치를 위한 추가 컴파트먼트(Compartment)를 확보함으로써, 액화가스 운반선에 관한 기준을 만족하면서 소화설비의 최적화된 프로세스 라인 형성이 가능하여 비용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액화가스 저장탱크
130: 엔진룸(Engine room)
150: 펀넬부(Funnel)
170: 거주구(Accomodation)
190: 화물기계실
S: 리세스 공간(Recess area)
UD: 상갑판(Upper deck)
TD: 트렁크데크(Trunk deck)
TS: 트렁크 스페이스(Trunk space)

Claims (6)

  1. 엔진룸의 선수측에서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 설치를 위한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마련되는 화물구역의 선미측 구조물에 리세스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 공간에 상기 소화설비용 밸브가 위치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공간은, 상기 선체의 상갑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선원들의 거주를 위해 상기 엔진룸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주구인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트렁크데크 상에는 화물기계실이 마련되고,
    상기 리세스 공간은 상기 거주구에서 상기 화물기계실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공간은, 상기 거주구의 B데크 상에 위치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6. 엔진룸의 선수측에서 복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화물구역;
    상기 엔진룸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주구; 및
    상기 거주구의 일측에 형성되는 리세스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공간에는 소화설비용 밸브가 위치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20210190042A 2021-12-28 2021-12-28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KR20230100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42A KR20230100297A (ko) 2021-12-28 2021-12-28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42A KR20230100297A (ko) 2021-12-28 2021-12-28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297A true KR20230100297A (ko) 2023-07-05

Family

ID=8715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042A KR20230100297A (ko) 2021-12-28 2021-12-28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2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59U (ko) 2016-09-20 2018-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엔진룸의 소화 수 배관 제어시스템의 공압 리모트 자동 개폐밸브의 수동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59U (ko) 2016-09-20 2018-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엔진룸의 소화 수 배관 제어시스템의 공압 리모트 자동 개폐밸브의 수동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53565B2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deck fuel tank
EP2609007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lng fuel for ships
KR101631176B1 (ko) 듀얼 연료시스템이 마련된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KR101643086B1 (ko) 듀얼 연료시스템이 마련된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KR200477659Y1 (ko)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
KR20130009460A (ko) 가스 및 전기 생산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엘엔지 급유시설
KR102603746B1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돔 방벽구조
KR20110041941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110041940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200048942A (ko) Fsru 및 lngc로 용도 변경이 가능한 선박
KR20230100297A (ko)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KR20110047414A (ko) 연료 주입 도어를 갖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KR102654823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654824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6624A (ko) 응력 분산용 보조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20099292A (ko) 이종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1637415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00971A (ko) 안전밸브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10072185A (ko) 선박의 운전 방법
KR102215060B1 (ko) Lng 증발가스의 응축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081146A (ko) 강도 보강용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90026443A (ko) Lng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배치 구조
KR20120000972A (ko) 안전밸브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20142131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형성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