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012A -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012A
KR20230100012A KR1020210189527A KR20210189527A KR20230100012A KR 20230100012 A KR20230100012 A KR 20230100012A KR 1020210189527 A KR1020210189527 A KR 1020210189527A KR 20210189527 A KR20210189527 A KR 20210189527A KR 20230100012 A KR20230100012 A KR 20230100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eodorizing
extract
present
deodo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성운
최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퓨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퓨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퓨쳐
Priority to KR102021018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012A/ko
Publication of KR20230100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그리고 메틸머캅탄의 탈취제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Deodorant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Elaeocarpus sylvestris}
본 발명은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악취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류가 인간의 후각을 자극하여 주는 불쾌감,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된다. 통상적으로 악취는 황화수소, 메르캅탄(mercaptan),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등과 같은 산성 냄새;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스카톨 등과 같은 염기성 냄새; 또는 아세트알데히드, 스티렌 등과 같은 중성 냄새로 구별된다. 이러한 악취는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인간의 쾌적한 정서생활과 나아가서는 건강에 피해를 주게 되는데, 생활 악취로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는 냄새, 냉장고에서 나는 냄새, 신발장 냄새, 화장실 냄새, 장마철의 경우 눅눅한 빨래 냄새, 퀴퀴한 습기 냄새, 생선 비린내 등 다양하다. 특히, 암모니아는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게 되는 악취의 주요성분 중 하나로, 애완동물 등의 배설물, 음식물 쓰레기, 화장실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러한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향수나 방향제를 뿌리거나 각종 탈취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화학적인 향수나 방향제는 악취를 제거하기 보다는 더욱 강한 향으로 악취를 가리는 게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악취와 화학적인 향수나 방향제가 혼합되어 오히려 불쾌한 냄새가 나거나 두통을 일으키게 되는 부작용이 있다.
이에 이러한 악취원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탈취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61276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의 탈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담팔수"는 학명은 Elaeocarpus sylvestris로 제주도 남쪽 산기슭에 나는 상록교목으로 높이 20m 정도이며, 중국 및 일본의 남부를 포함한 아열대지역에서도 서식하고 있다. 효능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연구개발의 희귀성이 매우 높은 소재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담팔수의 건조는 담팔수로부터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파쇄 또는 분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담팔수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 또는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건조와 파쇄 또는 분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담팔수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팔수 추출물은 건조된 담팔수 또는 이의 분말에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추출 용매로써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획물"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담팔수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상기 담팔수 추출물은 담팔수 지상부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담팔수의 지상부는 담팔수의 잎, 줄기, 가지, 꽃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지"는 식물이 생장하는 원줄기에서 파생하여 자라는 부분으로, 고등식물에서는 보통 잎 겨드랑이에서 싹이 나와 자란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 "지하부"는 지상부와 대응되는 부분으로 뿌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담팔수는 담팔수의 잎 또는 가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탈취"는 악취 또는 나쁜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탈취는 구체적으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및 메틸머캅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탈취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또는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 탈취 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시킬 수 있도록 탈취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은 탈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 중량 %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탈취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0.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조되는 제형에 따라 또한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으며,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등),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원료 조성물 중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이너뷰티 푸드(inner beauty) 형태로 섭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탈취 제거 효과를 갖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이너뷰티(inner beauty)는'먹는 화장품 또는 뷰티푸드'로 일컬어지는 이너뷰티 푸드로, 피부에 좋은 여러 가지 성분을 몸속으로 흡수시켜 피부 체질을 건강하게 바꾸는 식품을 지칭하며,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고르듯 피부 컨디션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개개인에게 맞는 이너뷰티 푸드를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과 상기 담팔수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이너뷰티 푸드를 혼용할 경우, 화장품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탈취제거 효과가 월등히 높아져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구강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는데, 구강내에는 단백질과 아미노산 등을 분해하는 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다. 타액 중의 단백질, 음식물 찌꺼기 등이 구강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 효소나 아미노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구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된다. 또한, 구취는 일차적으로 세균에 의한 세균성 부패 및 마늘이나 고추 등을 섭취하는 경우 이들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물에 의해서도 구취가 발생하게 된다.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은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로 이들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머캅탄[Dimethyl mercaptan, (CH3)2S] 등이 있으며, 특히 메틸머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생선의 경우 그 신선도가 떨어짐에 따라 생선비린내인 트리메틸아민[Trimethyl amine, (CH3)3N] 또는 δ- 아미노발레린산(δaminovaleric acid) 등이 형성되며, 이들 휘발성 아민화합물 특히, 트리메틸아민이 구취성분의 주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생선 섭취 시 생선에 형성된 트리메틸아민 등으로 인해 구강내에서 구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그 외의 구취 유발 물질로는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또는 피리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내에 냄새를 유발하는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그리고 메틸머캅탄 등의 구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탈취하는 효과가 튀어나므로 구취 제거 또는 개선용 구강 조성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은 생선 비린내를 유발하는 트리메틸아민과 암모니아 그리고 메틸머캅탄에 대한 탈취 효과가 우수하므로,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로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액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생선 가공공정에 간단하게 스프레이 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생선 제거제의 스프레이 적용은 분무기를 이용하여 1회 또는 수회 가공공정이 수행되는 공간에 분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생선 등 냄새가 발생되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직접 분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액상으로 제조하여 스프레이 방식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의 사용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은 분말 상으로 생선 등에 직접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을 액상으로 제조하여 여기에 침지하거나 침지 후 꺼내는 방법 또는 씻어내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용방법으로 본 발명의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이 생선 등에 직접 닿아 잔유물 상태로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아무런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적용상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로,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의 탈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처리하게 되면,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감소시켜 탈취가 가능하므로, 공장 폐수, 지하수, 쓰레기 처리장, 냉장고, 신발장, 화장실, 생선 비린내 등의 각종 산업 환경이나 가정용 실내환경, 식당 등에 악취를 제거하여 공기의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관한 것으로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그리고 메틸머캅탄에 대한 탈취 효과가 우수하므로, 탈취제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주산 담팔수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의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2는 제주산 담팔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제주 담팔수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동결 건조된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가지 5g에 70% 에탄올을 1:40의 비율(w/v)로 넣고,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주 담팔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동결 건조된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잎 5g에 70% 에탄올을 1:40(w/v)의 비율로 넣고,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탈취 효과 평가
실시예 1의 제주산 담팔수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과 실시예 2의 제주산 담팔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 각각 20ml과 1L 시험용기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머캅탄의 탈취 효과를 EL608:2021 시험방법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제주산 담팔수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과 실시예 2의 제주산 담팔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에 대해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냈으며, 메틸머캅탄에도 중간 이상의 탈취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제주산 담팔수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이 메틸머캅탄에 대한 탈취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담팔수 가지와 잎의 에탄올 추출물 모두 황화수소에 대한 탈취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시료 탈취시험: 농도감소율(%)
암모니아 트리메틸
아민
황화수소 메틸
머캅탄
실시예 1 제주산 담팔수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 95.0 93.8 10.0 87.5
실시예 2 제주산 담팔수 잎의 에탄올 추출물 95.0 93.8 10.0 62.5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담팔수(Elaeocarpus sylvestr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인, 탈취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팔수는 담팔수의 지상부인 것인, 탈취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담팔수의 지상부는 담팔수의 잎 또는 가지인 것인, 탈취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및 메틸머캅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인, 탈취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식품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구강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취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의 탈취방법.
KR1020210189527A 2021-12-28 2021-12-28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230100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527A KR20230100012A (ko) 2021-12-28 2021-12-28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527A KR20230100012A (ko) 2021-12-28 2021-12-28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012A true KR20230100012A (ko) 2023-07-05

Family

ID=8715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527A KR20230100012A (ko) 2021-12-28 2021-12-28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00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276A (ko) 1996-02-07 1997-09-12 김공수 키토산계 탈취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276A (ko) 1996-02-07 1997-09-12 김공수 키토산계 탈취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89899A (ja) 消臭剤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JP5776364B2 (ja) 抗微生物剤、口腔用組成物とその応用
JP4633226B2 (ja) 抗菌剤及び消臭剤
KR100637922B1 (ko) 담배냄새 소취제와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 및 소취조성물,담배냄새 소취제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CN101495127A (zh) 甲硫氨酸酶抑制剂及含该抑制剂的组合物以及饮食品
JP4947505B2 (ja) 消臭剤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KR101780836B1 (ko) 3,5-디히드록시-2-멘텐일스틸벤, 그것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그 채취 방법과 그 응용
JP6513468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レッドビート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US11406588B2 (en) Method for eliminating odors comprising a deodorant composition containing Opuntia ficus extract or persimmon juice
US20040241133A1 (en) Deodorizer agent and deodorizing composition for a mouth cavity, deodorizing food composition and deodorizing composition which contain the deodorizer agent
KR101914628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20094182A (ja) シトラールの熱劣化抑制用組成物及び熱劣化抑制方法
KR20230100012A (ko)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JPH09327504A (ja) 脱臭剤
KR101560672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 악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3897862B2 (ja) 経口口臭消臭剤の製造方法
KR20030043302A (ko)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KR20230138759A (ko) 소취용 조성물
JP4660088B2 (ja) 防臭剤、および該防臭剤を含む防臭用組成物、化粧料組成物、洗浄用組成物
JP4914538B2 (ja) 消臭剤とその用途
KR20240050933A (ko) 반려동물 특이취를 개선하는 탈취용 조성물
JPH10158137A (ja) 脱臭剤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