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874A -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 Google Patents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874A
KR20230099874A KR1020210189281A KR20210189281A KR20230099874A KR 20230099874 A KR20230099874 A KR 20230099874A KR 1020210189281 A KR1020210189281 A KR 1020210189281A KR 20210189281 A KR20210189281 A KR 20210189281A KR 20230099874 A KR20230099874 A KR 2023009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amper
air supply
build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2594B1 (en
Inventor
박정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Priority to KR102021018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594B1/en
Publication of KR2023009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ntil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은, 건물 내의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건물 내에 구비되는 급기풍도, 상기 급기풍도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풍도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송풍기, 상기 제연구역의 과압을 방지하도록 상기 급기풍도의 단부에 설치되는 과압 배출용 댐퍼 및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와 상기 건물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외기 제어용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A pressurized air supply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is disclosed, and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discharge of over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building so that air supplied to a ventilation area in a building flows air supply airflow, an air supply blow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irway and supplying air to the air supply airway, an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air supply airway to prevent overpressure in the air supply area, and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and the above An outside air control duct provided adjacent to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may be included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space of the building.

Description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본원은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supply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일반적으로 고층건축물의 특별피난계단이나 부속실 또는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는 급기가압을 이용한 차압제연시스템을 설치하여 피난경로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며, 국내 소방관계법규도 이러한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In general, it is a global trend to install a differential ventilation system using supply air pressure in a special evacuation stairway, annex room, or emergency elevator platform of a high-rise building to protect the evacuation route, and domestic fire-fighting laws and regulations also stipulate this method.

그러나 급기량이 과다하면 제연구역과 제연구역 외부와의 사이에 압력차(달리 말해, 제연구역의 차압)가 과도하게 커져 피난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기 어려워져 힘들어져 오히려 재실자의 대피에 장애가 될 수 있어, 적정량을 초과하는 급기량을 적절히 배출함으로써 제연구역의 차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야 한다.However, if the amount of air supply is excessiv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moke control area and the outside of the smoke control area (in other words,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smoke control area) becomes excessively larg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evacuee to open the door, which can actually become an obstacle to the evacuation of occupants. In addition,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control area must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by properly discharging air supply that exceeds the appropriate amount.

이러한 과잉급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과압 배출댐퍼는 설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개방율이 크게 구비되어야 하며, 설치구역에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댐퍼가 개방됨으로써 공기가 배출될 때, 댐퍼가 초기 세팅한 압력에서 개방이 시작되게 할 수는 있지만 구역 내의 압력을 적정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내부 압력에 맞춰 적정 수준으로 개방되어야 하나 이러한 상황에 맞는 능동적인 개폐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nstalled to discharge the supercharged air must have a large opening rate in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convenience. Although it is possible to start the opening in the zone, it must be opened to an appropriate level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to keep the pressure within the zone within an appropriate range.

한편, 제연구역에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비되는 급기 덕트의 말단에 이러한 과압 배출댐퍼를 설치하는 경우, 시스템 특성상 과압 배출댐퍼가 건물 외부의 외기와 통하도록 댐퍼가 설치되어야 하나, 과압 배출댐퍼와 접하는 외부 공간에서 강한 바람이 불거나 외부 풍압이 높은 경우에는 과압 배출댐퍼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uch an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supply duct provided to supply air to the control area, the damper must be installed so that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air outside the building due to the nature of the system, but it is in contact with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does not operate properly when strong wind blows in the external space or when the external wind pressure is high.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89665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89665.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과압 배출댐퍼와 인접한 외부 공간에서의 바람, 풍압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인 제연 성능을 유지하도록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제어 장치 및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external air from the external space is selectively introduced to maintain continuous smoke control performance without being affected by wind, wind pressure, etc. in the external space adjacent to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ly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control device and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은, 건물 내의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건물 내에 구비되는 급기풍도, 상기 급기풍도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풍도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송풍기, 상기 제연구역의 과압을 방지하도록 상기 급기풍도의 단부에 설치되는 과압 배출용 댐퍼 및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와 상기 건물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외기 제어용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upply air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supply air provided in the building so that the air supplied to the ventilation area in the building flows An air supply blow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ir passage and supplying air to the air supply air passage, an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air supply air passage to prevent overpressure in the air supply area, and an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 outside air control duct provided adjacent to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may be inclu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은,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대상 공간으로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air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lows outside air from the outside space to be selectively introduced into a target space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inside space of the outside air control duct. An air control devic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의 하면에는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outside air control duct.

또한,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의 외면에는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r more openings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uct for controlling outside air along a plane direction orthogonal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duct for controlling outside air.

또한, 상기 외기 제어 장치는, 상기 대상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통 또는 단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 모듈, 상기 대상 공간 및 상기 외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module that is opened or closed to communicate or disconnect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 sensing module that obtains stat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nd the stat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외부 공간과 상기 대상 공간의 차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Also, the sensing module may measure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between the external space and the target space.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차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또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외부 공간의 풍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odule may measure wind pressur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space.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풍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wind pressure information.

또한, 상기 외기 제어 장치는, 상기 건물 내에 구비되는 화재 감지기에 의해 생성되는 화재 감지 정보 및 상기 제연구역에 대하여 구비되는 방화문의 개폐 여부를 포함하는 제연구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receives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a fire detector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control area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a fire door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rea is opened or closed.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does.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참조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module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또한, 상기 급기 송풍기는 상기 급기풍도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blower may be disposed below the air supply air flow.

또한,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는 상기 급기풍도의 상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air supply airway.

또한,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는 상기 건물의 옥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ct for controlling outside air may be dispos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장치는, 건물 내의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되는 급기풍도의 단부에 설치되는 과압 배출용 댐퍼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외기 제어용 덕트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대상 공간을 상기 건물의 외부 공간과 연통 또는 단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 모듈, 상기 대상 공간 및 상기 외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of the supply air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nstalled at an end of an air supply airway provided to flow air supplied to a ventilation area in a building An opening/closing module that is opened or closed to communicate or disconnect the target space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outdoor air control duct provided adjacent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building, and a state for at least on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It may include a sensing module for obtain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방법은, (a) 센싱 모듈이 상기 대상 공간 및 상기 외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제어 모듈이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air of a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obtaining, by a sensing module, stat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nd (b) controlling, by a control module,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과압 배출댐퍼와 접하는 외부 공간에서의 바람, 풍압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인 제연 성능을 유지하도록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제어 장치 및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outdoor air control device and overpressure that selectively introduces outdoor air from the external space to maintain continuous smoke control performance without being affected by wind, wind pressure, etc. in the external space in contact with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ply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discharge.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외기 제어용 덕트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의 단위 구조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용 댐퍼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discharging over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utdoor ai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shape of a duct for controlling outside air by way of example.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unit structure of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s.
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air of a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discharging over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bove,” “on top of,”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in relation to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of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원은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supply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discharging over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000)(이하, '제연 시스템(1000)'라 한다.)은, 외기 제어 장치(100), 급기풍도(10), 급기 송풍기(20), 과압 배출용 댐퍼(30) 및 외기 제어용 덕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연 시스템(1000)은 화재 발생 여부, 화재 발생층, 화재 발생 위치, 화재 발생 강도 등 건물 내의 화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감지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1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o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outdoor air control device 100, an air supply airflow 10, An air supply blower 20, an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and an outside air control duct 40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moke control system 1000 may include a fire detector (not shown) that generates fire detec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such a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 floor where a fire has occurred, a location where a fire has occurred, and a fire intensity.

외기 제어 장치(100), 급기 송풍기(20), 과압 배출용 댐퍼(30) 및 화재 감지기(미도시) 상호간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미도시)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미도시)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100, the air supply blower 20,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and the fire detector (not shown)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not shown). A network (not shown)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not shown) includes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5G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wifi network,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급기풍도(10)는 건물 내의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건물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급기풍도(10)는 건물의 각 층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관통 형성되는 수직 풍도(덕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급기풍도(10)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air supply wind diagram 10 may be provided in the building so that air supplied to the ventilation area in the building flows.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1 , the air supply air passage 10 may be a vertical wind passage (duct) formed through and crossing each floor of a buil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air supply wind diagram 10 may be designed to include a hoistway, which is a moving passage of an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달리 말해, 급기풍도(10)는 건물 외부의 공기의 유입 통로로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000)에서의 급기풍도(10)는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 또는 제연구역에 대하여 구비되는 수직 덕트일 수 있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000)은 제연구역(1)에 대하여 수직 풍도인 급기풍도(10)가 별도로 설치된 건물에 마련되는 것이거나 제연구역(1)에 대하여 별도의 수직 풍도가 설치되지 않고 승강로를 제연을 위한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로 활용하는 건물에 마련되는 것일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supply air flow rate 10 is an inflow passage of air outside the building, and the air supply air flow rate 10 in the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1000 is a vertical duct provided for a hoistway or ventilation area, which is a movement passage of an elevator. can be That is, the pressurized air supply ventila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in a building in which the air supply air flow 10, which is a vertical wind direction, is separate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rea 1, or is separate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rea 1 It may be provided in a building that uses a hoistway as an inflow passage for outside air for smoke control without installing a vertical air flow of .

급기 송풍기(20)는 급기풍도(10)에 연결되어 급기풍도(1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급기 송풍기(20)는 급기풍도(10)의 일부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의 공기를 급기풍도(1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승강로를 급기풍도(10)로 활용하는 경우, 급기 송풍기(20)는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급기 송풍기(20)가 설치되는 위치는 승강로의 하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급기풍도(10)의 상부 또는 중간 영역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air supply blower 2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ir duct 10 to supply air to the air supply air duct 10 . The air supply blower 20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air supply air duct 10 to supply air outside the building into the air supply air duct 10 . For example, when the hoistway is used as the air supply wind direction 10, the air supply blower 20 may be installed below the hoistway to supply air from outside the building into the hoistway.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location where the air supply blower 20 is installed is not limit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and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or middle region of the air supply air passage 10 according to embodiments.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연구역(1)은 건물의 층마다 마련되며 부속실, 특별피난계단, 승강기에 탑승하기 위한 대기 공간인 승강장 등을 포함하는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연구역(1)은 각 층의 옥내(거실)와 이웃하며, 방화문(12)에 의해 옥내(거실)와 구분되는 건물 내 구역으로서, 급기풍도(10)에 연결된 급기 댐퍼(11)가 설치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급기 댐퍼(11)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옥내로부터의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연기를 방어하는 방연(smoke control)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area 1 is provided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may be a space including an auxiliary room, a special evacuation stairway, a platform that is a waiting space for boarding an elevator,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ventilation area 1 is an area within a building adjacent to the indoors (living room) of each floor and separated from the indoors (living room) by a fire door 12, and an air supply damp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windway 10 ( 11) is installed, so that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amper 11 in the event of a fire, and a smoke control process can be performed to prevent smoke from entering the room.

과압 배출용 댐퍼(30)는 제연구역(1)의 과압을 방지하도록 급기풍도(1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000)이 구비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감지기(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급기 송풍기(20)가 미리 설정된 정풍량으로 에어를 급기풍도(10)로 공급하도록 가동되며, 급기풍도(10)에 연결되며 각 층으로 분기되는 급기 댐퍼(11)에 의해 제연구역(1)으로 공기가 공급되어 옥내(거실)와의 방연을 위한 차압을 형성하게 된다.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air supply airway 10 to prevent overpressure in the control zone 1 . In this regard,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equipped with the supplied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1000 disclosed herein, the supply air blower 20 operates at a preset location according to a fir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a fire detector (not shown). It is operated to supply air to the air supply air duct 10 by air volume, and air is supplied to the ventilation area 1 by the air supply damper 11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ir duct 10 and branched to each floor to provide indoor (living room) ) to form a differential pressure for smoke control.

이 때, 급기 송풍기(20)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풍량에 의하여 제연구역(1)과 거실 사이의 방화문(12)이 재실자가 개방하지 못할 정도로 급기풍도(10) 내지 제연구역(1)에 과압이 발생하게 되면, 급기풍도(10)의 단부에 설치되는 과압 배출용 댐퍼(30)가 개방되어 급기풍도(10)의 내부 공기를 일부 급기풍도(10)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급기풍도(10) 내부와 각 층의 제연구역(1)에 적절한 수준의 차압이 형성되도록 구동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air volume continuously supplied by the supply air blower 20, the fire door 12 between the control area 1 and the living room is affected by the supply air flow 10 to the control area 1 to the extent that occupants cannot open it. When overpressure occurs,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supply air passage 10 is opened to discharge some of the air inside the air supply air passage 10 to the outside of the air supply air passage 10, It may be driven so that an appropriate level of differential pressure is formed in the airflow diagram 10 and in the control area 1 of each floor.

외기 제어용 덕트(40)는 전술한 과압 배출용 댐퍼(30)와 건물의 외부 공간(2)을 연통하도록 과압 배출용 댐퍼(30)와 이웃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 제어용 덕트(40)는 후단부(예를 들면, 도 1 기준 9시 방향 단부)가 과압 배출용 댐퍼(3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전단부(예를 들면, 도 1기준 3시 방향 단부)를 향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예를 들면, 도 1 기준 3시에서 9시 방향 등)을 따라 형성되는 덕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outside air control duct 4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so as to communicate the above-described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with the external space 2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is installed such that the rear end (eg, the end at 9 o'clock in FIG. 1) surrounds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and the front end (eg, in FIG. 1) 3 o'clock end) may be provided with a duct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eg, from 3 o'clock to 9 o'clock direction in FIG. 1).

외기 제어 장치(100)는 전술한 과압 배출용 댐퍼(30)와 건물의 외부 공간(2) 사이에 외기 제어용 덕트(40)에 의해 형성되는 대상 공간으로 건물의 외부 공간(2)으로부터의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대상 공간'은 외기 제어용 덕트(40)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공간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The outside air control device 100 is a target space formed by the outside air control duct 40 between the above-described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and the outside space 2 of the building, and outside air from the outside space 2 of the building It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introduced. In other word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arget space' may refer to a space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과압 배출용 댐퍼(30)의 경우, 급기풍도(10)의 최상측 단부에 건물의 외부 공간(2)과 직접적으로 맞닿게 설치(예를 들면, 건물의 옥상에 노출된 채로 설치되는 형태 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렇게 건물의 외부 공간의 공기 흐름에 따른 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급기풍도(10) 내지 제연구역(1)에 형성된 과압을 해소하도록 급기풍도(10)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간(2)으로 배출하도록 댐퍼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외부 공간(2)에 과도한 풍압이 형성되거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 환경에서는 제대로 구동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In this regar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it is install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space 2 of the building at the uppermost end of the air supply airway 10 (eg, exposed to the roof of the building It is common to be installed as it is installed, etc.), but when it is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effect of the air flow of the external space of the building is directly affected, the overpressure formed in the air supply airway (10) or the control area (1) is eliminated Even when the damper is opened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air supply airway (10) to the external space (2), there is a limit that it cannot be properly driven in an environment where excessive wind pressure is formed in the external space (2) or strong wind blows. .

이를 고려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000)은 급기풍도(10)에 단부에 설치되어 제연구역(1) 또는 급기풍도(10)의 과압을 방지하는 과압 배출용 댐퍼(30)를 건물의 외부 공간(2)의 공기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외기 제어용 덕트(40)를 설치하고, 외기 제어용 덕트(40)에 의해 형성되는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2)을 연통 또는 단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 모듈(110)을 구비하는 외기 제어 장치(100)를 대상 공간에 대하여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대상 공간은 본원에서 개시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000)이 설치되는 건물의 옥상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건물 내 특정 층 내부에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the pressurized air supply ventilation system 1000 disclosed herein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supply air duct 10 to prevent overpressure in the air supply area 1 or the air supply air duct 10. ) Installs an outdoor air control duct 40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air of the external space 2 of the building as necessary, and communicates the target space formed by the outdoor air control duct 40 with the external space 2 or An outdoor air control device 100 having an opening/closing module 110 that is opened or closed to be disconnected may be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target space. 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the target space may be formed on the roof of a building in which the air-suppressed ventilation system 1000 disclosed herein is instal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It may be formed inside a specific layer.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utdoor ai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외기 제어 장치(100)는 개폐 모듈(110), 센싱 모듈(120), 제어 모듈(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module 110 , a sensing module 120 , a control module 13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40 .

개폐 모듈(110)은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2)을 연통 또는 단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외기 제어용 덕트(40)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2) 사이에 개재되는 도어 구조체(예를 들면, 창문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is a configuration that is opened or closed to communicate or disconnect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2, for example,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 2) may include a door structure (eg, a window, etc.) interposed therebetween.

센싱 모듈(120)은 대상 공간 및 외부 공간(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120 may obtain stat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2 .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모듈(120)은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2)의 차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nsing module 120 may measure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between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2 .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모듈(120)은 외부 공간의 풍압(wind pressure)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nsing module 120 may measure wind pressure information of an external space.

제어 모듈(130)은 센싱 모듈(120)이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개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based on stat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ing module 120 .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30)은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2)의 차압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개폐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제어 모듈(130)은 센싱 모듈(120)에 의해 측정된 차압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공간(2)의 외기의 압력이 대상 공간에 형성된 압력 대비 미리 설정된 임계 압력차 수준 이상 큰 것으로 판단되면, 개폐 모듈(110)의 개방 시 외기의 높은 압력에 의해 과압 배출용 댐퍼(30)가 정상 구동하지 못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개폐 모듈(110)의 도어 구조체(미도시)를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pressure differential information between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2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30 determines that the pressure of the external air in the external space 2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pressure difference level compared to the pressure formed in the target space based on the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10 is determined to be relatively high, it is determined that the damper 30 for overpressure discharge cannot be normally operated due to the high pressure of the outside ai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10 is opened. can act to close

반대로, 제어 모듈(130)은 센싱 모듈(120)에 의해 측정된 차압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공간(2)의 외기의 압력이 대상 공간에 형성된 압력 대비 미리 설정된 임계 압력차 수준 미만이거나 대상 공간에 형성된 압력이 외부 공간(2)의 외기의 압력 대비 큰 것으로 판단되면, 개폐 모듈(110)을 개방하더라도 외기가 과압 배출용 댐퍼(30)의 구동에 미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여 개폐 모듈(110)의 도어 구조체(미도시)를 개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Conversely, the control module 130 determines that the pressure of the outside air in the external space 2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pressure difference level compared to the pressure formed in the target space or formed in the target space based on the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ing module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of the outside air in the external space 2, even if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10 is opened,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side air will have an insignificant effect on the driving of the damper 30 for discharging overpressure, and thus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10 It can operate to open a door structure (not shown).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30)은 도어 구조체(미도시)를 개방하는 경우, 측정된 차압 정보와 미리 설정된 임계 압력차 수준의 편차에 기초하여 도어 구조체(미도시)의 개방 수준(예를 들면, 개구 면적 등) 및 개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30)은 대상 공간에 형성된 압력이 외기의 압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상회할수록 도어 구조체(미도시)의 개방 수준 및 개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상향 조정(증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is opened, the control module 130 determines the level of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preset threshold pressure difference level. At least one of an open level (eg, aperture area, etc.) and an open time may be adjusted.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30 may adjust (adjust to increase) at least one of the opening level and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as the pressure formed in the target space relatively greatly exceeds the pressure of the outside air. there is.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30)은 센싱 모듈(120)에 의해 획득된 풍압(wind pressure)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개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based 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wind pressur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ing module 120 .

구체적으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30)은 센싱 모듈(120)로부터 풍압 정보를 수신하고, 풍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풍압 이상이면, 개폐 모듈(110)의 개방 시 외부 공간(2)에서 부는 강한 바람에 의해 과압 배출용 댐퍼(30)가 정상 구동하지 못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개폐 모듈(110)의 도어 구조체(미도시)를 폐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module 130 receives wind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module 120, and when the wind pressur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wind pressure, the external space (2) when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is opened. )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elatively high possibility that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will not normally operate due to strong wind blowing from, and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of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may be operated to be closed.

여기서, 임계 풍압은 과압 배출용 댐퍼(30)의 개구 면적, 과압 배출용 댐퍼(30)와 개폐 모듈(110)이 각각 설치된 위치 간의 최소 거리, 대상 공간의 부피, 도어 구조체(미도시)의 크기, 도어 구조체(미도시)의 두께, 대상 공간의 높이(예를 들면, 건물 층수 등),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2)을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구획 구조물(예를 들면, 벽체 구조물 등)의 강도,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사전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critical wind pressure is the opening area of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s where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and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are installed, the volum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size of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 the thickness of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the height of the target space (eg,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etc.), the strength of the partition structure (eg, wall structure, etc.) installed to distinguish the target space from the external space 2 It may be preset to an appropri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 thickness, and the like.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30)은 도어 구조체(미도시)를 개방하는 경우, 측정된 풍압 정보와 미리 설정된 임계 풍압의 편차에 기초하여 도어 구조체(미도시)의 개방 수준(예를 들면, 개구 면적 등) 및 개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30)은 외부 공간(2)에서 측정된 풍압 미리 설정된 임계 풍압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될수록 도어 구조체(미도시)의 개방 수준 및 개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상향 조정(증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control module 130 opens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the opening level of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is based on the deviation between the measured wind pressure information and a preset threshold wind pressure. (eg, opening area, etc.) and opening time may be adjusted.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30 adjusts (increases) at least one of the opening level and the opening time of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as the wind pressure measured in the external space 2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a preset critical wind pressure. can be adjusted).

통신 모듈(140)은 건물 내에 구비되는 화재 감지기에 의해 생성되는 화재 감지 정보 및 상기 제연구역에 대하여 구비되는 방화문의 개폐 여부를 포함하는 제연구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40 may receive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a fire detector provided in a building and control area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a fire door provided for the control area is opened or closed. .

또한, 제어 모듈(130)은 통신 모듈(140)로부터 수신한 참조 정보를 고려하여 개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30)은 참조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임계 압력차 수준, 임계 풍압 등 개폐 모듈(110)의 도어 구조체(미도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판단 기준의 수치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외기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2) 사이의 공기 흐름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한 건물 내부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밀하게 대상 공간과 외부 공간(2)을 연통 또는 단절하도록 개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 In this reg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module 130 opens or closes the door structure (not show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10, such as the threshold pressure difference level and the threshold wind pressure, based on the reference information. By adjusting the numerical range of the judgment standard for the outside air control device 100 is installed, the target space and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may be controlled to communicate or disconnect the external space 2 .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30)은 참조 정보를 고려하여 화재 의 규모가 클수록 센싱 모듈(120)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 주기가 짧아지도록 제어하여 개폐 모듈(110)의 개방 여부 및 개방 수준에 대한 제어가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건물 내 화재 상황을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능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module 130 controls the measurement period for the sensing module 120 to obtain state information to be shortened as the scale of the fire increases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10 It is possible to perform active control that immediately reflects the fire situation in the building by allowing control of whether or not to open and the level of opening to be performed at a relatively short cycl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130)은 방화문(12)의 개방이 빈번하게 일어날수록 센싱 모듈(120)이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측정 주기가 짧아지도록 제어하여 개폐 모듈(110)의 개방 여부 및 개방 수준에 대한 제어가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건물 내 재실자의 피난 상황을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능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module 130 controls the measurement period for the sensing module 120 to obtain state information to be shortened as the opening of the fire door 12 occurs more frequently, so that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It is possible to perform active control that immediately reflects the evacuation situation of occupants in the building by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open and the level of opening of the building at a relatively short cycle.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외기 제어용 덕트(4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shape and function of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도 3 및 도 4는 외기 제어용 덕트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 도면이다.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shape of a duct for controlling outside air by way of example.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기 제어용 덕트(40)의 하면에는 외부 공간(2)으로부터의 외기가 유입되는 개구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외기 제어용 덕트(40)의 전단면(42)은 외기 제어용 덕트(40) 내부의 공기 또는 외부 공간(2)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개구부(41)를 통해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밀폐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opening 41 through which outside air from the external space 2 flow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the front end surface 42 of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flows easily through the opening 41 of the air inside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or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space 2. It may be provided in a closed form to guide it.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기 제어용 덕트(40)에 형성되는 개구부(41)의 규격(예를 들면, 개구부(41)의 전후 방향 길이(도 3의 L) 및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도 3의 W)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 등)은 과압 배출용 댐퍼(30), 급기 댐퍼(11) 및 제연구역(1)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누설 면적(누설 구획 면적)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tandard of the opening 41 formed in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opening 41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n FIG. 3) and the front-back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e width (such as the size of at least one of W in FIG. 3)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kage area (leakage compartment area)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the air supply damper 11, and the control area 1 can be set.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기 제어용 덕트(40)의 외면에는 외기 제어용 덕트(40)의 연장 방향(달리 말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개구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외기 제어용 덕트(40)는 전후 방향에 따른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포함하는 4면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부(41)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제어용 덕트(40)에는 상면, 하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4면 전체에 개구부(4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there are at least two or more two surface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More than one opening 41 may be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door air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opening 41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surfaces including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urfaces. can 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 4 , openings 41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all four surfaces of the duct 40 for controlling outside air, including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과압 배출용 댐퍼(3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shape and function of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의 단위 구조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unit structure of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과압 배출용 댐퍼(30)의 단위 구조체(300)는 설치 개소인 케이스(301)의 내부 양 측면에 힌지(320)를 축으로 에어 압에 따라 회동되게(개폐되게) 설치하는데, 그 설치각도는 예를 들어, 10° 내지 40°의 기울기 범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unit structure 300 of the damper 30 for overpressure discharge is installed to rotate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air pressure around the hinge 320 on both inner sides of the case 301, which is the installation location However, the installation angle may be installed inclined to have an inclination range of, for example, 10 ° to 40 °.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과압 배출용 댐퍼(30)의 단위 구조체(300)는 댐퍼 날개(310)를 10° 내지 40°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힌지(34)를 축으로 조금만 회동하여도 댐퍼 날개(310)의 개방율이 급격히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In this regard, the unit structure 300 of the damper 30 for overpressure discharge disclosed herein is installed with the damper wing 310 inclined to have an inclination of 10 ° to 40 ° by slightly rotating the hinge 34 as an axis.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 opening rate of the damper wing 310 can be rapidly increased.

한편, 댐퍼 날개(310)의 개방 전후의 회전 작용거리의 차이(즉, 댐퍼 날개(310)의 개방 전 힌지(320)에서 댐퍼 날개(310) 하단까지의 거리(L1)와 개방 후의 힌지(320)에서 댐퍼 날개(310) 하단까지의 거리(L2)의 차이(W))가 상대적으로 작아 댐퍼 날개(310) 개방에 따라 날개의 자중이 힌지에 작용하는 회전력의 변화가 크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action distance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damper wing 310 (ie, the distance L1 from the hinge 320 before the opening of the damper wing 310 to the lower end of the damper wing 310 and the hinge 320 after opening ) to the lower end of the damper wing 310, the difference (W) of the distance L2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ng's own weight acting on the hinge is not large as the damper wing 310 is opened. .

이에 따라 차압의 작은 변화에도 댐퍼 날개(310)의 개방각도가 민감하게 대응함으로써 유효 개방율이 커지고 차압을 적정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pening angle of the damper blade 310 responds sensitively even to a small change in differential pressure, thereby increasing an effective opening rate and adjust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within an appropriate range.

또한, 본원에서의 단위 구조체(300)의 힌지(320)는 댐퍼 날개(310)의 상단이 아닌 댐퍼 날개(310)의 절곡부(311)를 제외한 수평 부분의 전체 길이의 1/2이상 지점에 위치함으로써 댐퍼 날개(31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될 때에 날개 끝의 절곡부(311)에 작용하는 압력이 개방력의 절대적 변수가 되게 함으로써 개방력의 수치적 예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320 of the unit structure 300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at 1/2 or more of the entir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excluding the bent portion 311 of the damper wing 310, not the upper end of the damper wing 310. When the damper wing 310 is opened from the closed state, the pressure acting on the bent portion 311 of the tip of the wing becomes an absolute variable of the opening force, thereby enabling numerical prediction of the opening force.

한편, 댐퍼 날개(310)의 일 측면에 압력을 가하는 공기(스쳐 지나가는 기류)는 진행속도 때문에 정압이 낮아지고, 댐퍼 날개(310)에는 정압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위 구조체(300)가 1차 측의 압력에 직접 대응하지 못하고, 1차측 보다 낮아진 케이스(301) 내부의 정압에 대응하게 되기 때문에 댐퍼 날개(310)가 충분히 개방되지 못함으로써 내부압력을 충분히 배출하지 못하여 내부차압은 목표값보다 높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atic pressure of the air (passing air flow) applying pressure to one side of the damper blade 310 is lowered due to the traveling speed, and since only the static pressure acts on the damper blade 310, the unit structure 300 is on the primary side Since the damper wing 310 is not sufficiently opened, the internal differential pressure cannot be sufficiently discharged, so that the internal differential pressure can be higher than the target value. there is.

따라서, 댐퍼 날개(310) 끝을 절곡하여 댐퍼 날개(310)에 부딪히는 기류의 운동량을 수직방향으로 변화시키면 그 반동으로 댐퍼 날개(310)를 밀어 올리게 되어 댐퍼 날개(310)의 응답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mentum of the air current impinging on the damper blade 310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nding the end of the damper blade 310, the damper blade 310 is pushed up by the reaction, thereby improving the response accuracy of the damper blade 310. can

이를 위해, 댐퍼 날개(310)의 하단 절곡부(311)는 60-100°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70-90°의 절곡 각도로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부(311)의 단면 원호의 반지름을 케이싱 내부 공간 단면 높이의 30% 이내로 설정하면 단위 구조체(300)의 개방율을 70% 이상 확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ower bent part 311 of the damper wing 310 is 60-100 °, preferably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with a bending angle of 70-90 °, and the radius of the cross-sectional arc of the bent part 311 If is set within 30% of the cross-sectional height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an open rate of the unit structure 300 of 70% or more can be secured.

또한, 단위 구조체(300)는 힌지(320)의 상부에 댐퍼 날개(310)와 90°각을 유지하도록 상향 설치되는 균형추(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균형추(330)는 댐퍼 날개(310)의 각도가 수평에 가까워질수록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전환되어 힌지(320)와의 수평거리가 줄어들게 되므로 축에 대한 댐퍼 날개의 회전력 증가를 상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structure 300 may include a counterweight 330 installed upward to maintain a 90° angle with the damper wing 310 above the hinge 320 . The balance weight 330 is converted to a state close to vertical as the angle of the damper wing 310 approaches the horizontal, so that the horizontal distance with the hinge 320 decreases, so it can operate to offset the increase i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amper wing with respect to the axis. .

또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000)의 설치 환경, 설치 의도에 따라 설정 차압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므로, 각기 다른 설치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단위 구조체(300)는 힌지(320)를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댐퍼 날개(310) 부분에 설치되는 무게중심 조절수단(34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t differential pressure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installation intention of the air supply air ventilation system 1000, in order to respond to different installation environments, the unit structure 300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320 It may include a center of gravity control means 340 installed on the damper wing 310 to do.

여기서, 무게중심 조절수단(340)은 힌지(320)에 대한 댐퍼 날개(310)의 자중에 의한 회전력을 조절함으로써 댐퍼 날개(310)에 작용하는 차압과 적절한 수준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center of gravity adjusting means 340 can balance the differential pressure acting on the damper blade 310 at an appropriate level by adjus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amper blade 310 relative to the hinge 320 due to its own weight.

구체적으로, 무게중심 조절수단(340)은 힌지(320)를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댐퍼 날개(310)의 하면에 한 쌍의 고정브래킷(341, 342)이 상호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유지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브래킷(341, 342)에는 조절부재(343)가 관통 설치되며, 한 쌍의 고정브래킷(341, 342) 사이에는 조절부재(34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균형조절 추(344)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enter of gravity control means 340 is installed so that a pair of fixing brackets 341 and 342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amper wing 31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round the hinge 320 The pair of fixing brackets 341 and 342 have an adjusting member 343 installed through them, and between the pair of fixing brackets 341 and 342, balance control moving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member 343 A weight 344 may be provided.

따라서, 균형조절 추(344)를 설치하고 조절나사인 조절부재(343)를 돌려 균형조절 추(344)의 위치를 조절하면 힌지(320)를 중심으로 댐퍼 날개(310)의 회전력이 변화되고, 그에 따라 힌지(32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 균형이 변하므로 차압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alance control weight 344 is installed and the position of the balance control weight 344 is adjusted by turning the adjusting screw 343,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amper wing 310 is changed around the hinge 320, Accordingly, since the rotational force balance centered on the hinge 320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change.

도 6은 복수의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용 댐퍼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s.

도 6을 참조하면, 과압 배출용 댐퍼(30)는 전술한 단위 구조체(30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구조체(300)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 등)함으로써 급기풍도(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 날개(310)를 구비하는 플랩 댐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includes at least one unit structure 30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unit structures 30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a flap damper having at least one damper wing 310 installed to be rota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supply airway 10.

다만, 본원에서 개시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0)의 과압 배출용 댐퍼(30)는 전술한 구조 및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루버형 댐퍼, 평판형 댐퍼 등 종래에 도입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의 댐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30 of the supplied air ventilation system 10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shape,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nventionally introduced louver-type dampers, plate-type dampers, etc.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with dampers of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that have been or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air of a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discharging over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에 도시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외기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외기 제어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outdoor air control method of the supplied air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wn in FIG. 7 may be performed by 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10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outdoor air control method of the supplied air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damper for discharging over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센싱 모듈(120)은, (a) 대상 공간 및 외부 공간(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step S11 , the sensing module 120 may obtain stat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2 .

또한, 단계 S11에서 통신 모듈(140)은, 건물 내에 구비되는 화재 감지기(미도시)에 의해 생성되는 화재 감지 정보 및 제연구역(1)에 대하여 구비되는 방화문의 개폐 여부를 포함하는 제연구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1,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includes fir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a fire detec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control area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fire door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rea 1 is opened or closed.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may be received.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제어 모듈(130)은, (b) 단계 S11에서 획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개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btained in (b) step S11.

또한, 단계 S12에서 제어 모듈(130)은, 단계 S11에서 통신 모듈(140)이 참조 정보를 수신한 경우, 참조 정보를 고려하여 개폐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2, 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module 110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receives the reference information in step S11.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teps S11 to S12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air of an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n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air of a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n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0: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100: 외기 제어 장치
110: 개폐 모듈
120: 센싱 모듈
130: 제어 모듈
140: 통신 모듈
10: 급기풍도
20: 급기 송풍기
30: 과압 배출용 댐퍼
40: 외기 제어용 덕트
300: 단위 구조체
301: 케이스
311: 절곡부
310: 댐퍼 날개
320: 힌지
330: 균형추
340: 무게중심 조절수단
1: 제연구역
2: 외부 공간
11: 급기댐퍼
12: 방화문
1000: Supplied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100: outdoor air control device
110: open/close module
120: sensing module
130: control module
140: communication module
10: supply air flow
20: supply air blower
30: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40: duct for controlling outside air
300: unit structure
301: case
311: bend
310: damper wing
320: hinge
330: counterweight
340: center of gravity control means
1: research area
2: outer space
11: air supply damper
12: fire door

Claims (12)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의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건물 내에 구비되는 급기풍도;
상기 급기풍도에 연결되어 상기 급기풍도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 송풍기;
상기 제연구역의 과압을 방지하도록 상기 급기풍도의 단부에 설치되는 과압 배출용 댐퍼; 및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와 상기 건물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외기 제어용 덕트,
를 포함하는,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In the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n air supply wind diagram provided in the building so that the air supplied to the ventilation zone in the building flows;
an air supply blow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ir passage and supplying air to the air supply air passage;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installed at an end of the air supply airway to prevent overpressure in the control area; and
An outside air control duct provided adjacent to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so as to communicate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with an external space of the building;
A pressurized supply air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대상 공간으로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제어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outdoor air control device for selectively allowing outdoor air from the external space to flow into a target space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outdoor air control duct;
Further comprising a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의 하면에는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lied air pressure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side air control du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의 외면에는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lied air pressure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pening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side air control duct along a surfac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outside air control du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 장치는,
상기 대상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을 연통 또는 단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 모듈;
상기 대상 공간 및 상기 외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an opening/closing module that is opened or closed to communicate or disconnect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 sensing module that obtains stat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 supply pressurized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외부 공간과 상기 대상 공간의 차압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차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것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sensing module measures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between the external space and the target space,
Wherein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외부 공간의 풍압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풍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것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sensing module measures wind pressur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space,
Wherein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wind pressur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 장치는,
상기 건물 내에 구비되는 화재 감지기에 의해 생성되는 화재 감지 정보 및 상기 제연구역에 대하여 구비되는 방화문의 개폐 여부를 포함하는 제연구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참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참조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것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outdoor air control device,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ir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a fire detector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control area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a fire door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rea is opened or closed;
Including more,
Wherein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opening/closing module in further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송풍기는 상기 급기풍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는 상기 급기풍도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blower is disposed below the air supply air diagram,
The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wherein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air supply air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용 덕트가 상기 건물의 옥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for controlling outside air is dispos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장치로서,
건물 내의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되는 급기풍도의 단부에 설치되는 과압 배출용 댐퍼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외기 제어용 덕트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대상 공간을 상기 건물의 외부 공간과 연통 또는 단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 모듈;
상기 대상 공간 및 상기 외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외기 제어 장치.
An outdoor air control device of a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The external space of the building and the target space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overpressure discharge damp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supply air supply provided to flow the air supplied to the ventilation area in the building and the external air control duct provided adjacent to it An opening/closing module that is opened or closed to communicate or disconnect;
a sensing module acquiring stat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outside air control device.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의 외기 제어 방법으로서,
건물 내의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되는 급기풍도의 단부에는 과압 배출용 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건물에는 상기 과압 배출용 댐퍼와 이웃하게 구비되는 외기 제어용 덕트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대상 공간을 상기 건물의 외부 공간과 연통 또는 단절하도록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 모듈이 설치되되,
(a) 센싱 모듈이 상기 대상 공간 및 상기 외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제어 모듈이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기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air of a supply pressure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ir supply air passage provided to flow air supplied to the ventilation area in the building, and the building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duct for controlling outside air provided adjacent to the damper for discharge of overpressure. An opening or closing module is installed to open or close the target space to communicate or disconnect the external space of the building,
(a) obtaining, by a sensing module, stat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target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nd
(b) a control module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modul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outside air control method.
KR1020210189281A 2021-12-28 2021-12-28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KR102612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281A KR102612594B1 (en) 2021-12-28 2021-12-28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281A KR102612594B1 (en) 2021-12-28 2021-12-28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874A true KR20230099874A (en) 2023-07-05
KR102612594B1 KR102612594B1 (en) 2023-12-12

Family

ID=8715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281A KR102612594B1 (en) 2021-12-28 2021-12-28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59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079A (en) * 2000-06-16 2001-12-28 원희섭 Auto smoke removed system for smoke removed zone of building
KR20090019481A (en) * 2007-08-21 2009-02-25 윤명오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invading smoke by providing pressing air
KR20150139353A (en) * 2014-06-03 2015-12-11 (주)지엘에스테크 Air supply damper
KR102285496B1 (en) * 2020-09-29 2021-08-10 박정휘 Smoke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excessive negative pressure in build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079A (en) * 2000-06-16 2001-12-28 원희섭 Auto smoke removed system for smoke removed zone of building
KR20090019481A (en) * 2007-08-21 2009-02-25 윤명오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invading smoke by providing pressing air
KR20150139353A (en) * 2014-06-03 2015-12-11 (주)지엘에스테크 Air supply damper
KR102285496B1 (en) * 2020-09-29 2021-08-10 박정휘 Smoke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excessive negative pressure in build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594B1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239B1 (en) Supply damper of separating the leakage air flow and the supplementary air flow, and its control method
KR102082664B1 (en) Integrated smoke control system
KR102248807B1 (en) Ventilation system by elevator shaft prssurization with safety net
JP2014019519A (en) Vertical shaft compartment structure in high-rise building
KR100785399B1 (en) Building circulation system using vertical wind tunnel
KR20230099874A (en)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KR102613188B1 (en)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system including damper for overpressure discharge
KR200419718Y1 (en) Automatic wind-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nti lating line of automatic smoke preventing system in building
KR101383144B1 (en) Pressure differential-type smoke control system having exhaust damper for adjusting pressure of supplementary air supply duct,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0985786B1 (en) Damper apparatus for overpressure exhaust
JP2001002349A (en) Car device for elevator
KR20100019829A (en) Damper apparatus of over pressure exhaust
JP2502193B2 (en) Elevator hoistway device
KR100671477B1 (en) An antomatic precision system integrated for control of smoke
KR102285496B1 (en) Smoke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excessive negative pressure in build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394662B2 (en) Ventilation control device
KR102145788B1 (en) Pressure-difference Reducer System for Elevator and Method Thereof
JP2000140141A (en) Pressure regulating mechanism for pressurized smoke shuttering and exhaustion facility
JP5526045B2 (en) Building ventilation equipment
KR100798454B1 (en) How to reduce the stack effect problems quantitatively using revolving doors
KR1026394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ndow in ventilation area based on differential pressure
JP2006077540A (en) Chimney effect reducing system
KR102531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mper based on differential pressure
KR200337596Y1 (en) Building shaft pressure control apparatus
KR101893348B1 (en) Fire door with The Development of a Functional Pressur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