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114A -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114A
KR20230098114A KR1020230080275A KR20230080275A KR20230098114A KR 20230098114 A KR20230098114 A KR 20230098114A KR 1020230080275 A KR1020230080275 A KR 1020230080275A KR 20230080275 A KR20230080275 A KR 20230080275A KR 20230098114 A KR20230098114 A KR 2023009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vatar
location
display
avat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솔이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8114A/ko
Publication of KR2023009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1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VATAR MESSENGER SERVICE}
본 개시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아바타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 및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가 부착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laptop)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다양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 서비스는 주로 모바일 게임 분야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집에 가전, 가구 등을 가상으로 배치해보는 서비스 등과 같이 실생활과 밀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한편, 온라인 메신저 서비스는 지인 기반 서비스로, 증강현실 기술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지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를 제공한다.
주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주변 사용자의 아바타를 현실공간 이미지에 중첩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아바타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 및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는 방법, 장치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단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1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세트의 아바타들 중 하나의 아바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세트의 아바타들 중 하나의 아바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채팅방을 생성하기 위한 요청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방은 개인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오픈 채팅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세트의 아바타들 중 하나의 아바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요청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된 아바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음성 통화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선택된 아바타의 모션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세트의 아바타들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이미지 센서가 촬영하는 방향에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아바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크기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위치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얼굴 크기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크기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상의 평가 점수를 가지는 사용자와 연관된 아바타 상에 제1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미지 센서가 촬영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2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미지 센서의 줌 레벨이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3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4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세트의 아바타들 중 하나의 아바타를 차단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차단된 아바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다른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제2 그래픽 객체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 모듈, 메모리, 이미지 센서,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장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미지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1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실 세계에서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이미지 센서의 촬영 방향, 줌 레벨 등을 조절하여 다른 사용자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의 촬영 방향, 줌 레벨에 따라 추가 또는 제거되는 아바타를 확인함으로써, 아바타와 대응되는 다른 사용자의 현실 공간 상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높은 평가 점수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를 증강 화면에서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아바타에 호감을 표시한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상대방이 현재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상대방과 소통을 시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추가적인 노력 없이 자신에게 호감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중 공통점이 많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아바타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할 아바타 및 프로필을 설정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아바타와 프로필을 선택하여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이미지 센서의 줌 레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아바타를 변경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아바타를 선택하여 관심 있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바타에 부여된 평가 점수에 따라 아바타의 주변에 그래픽 객체가 추가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에 의해 결정된 자신의 평가 점수를 확인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차단 또는 신고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아바타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서, '채팅방'은, 컴퓨팅 장치에 설치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또는 사용자 계정)가 참여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 또는 그룹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계정이 채팅방에 참여 또는 포함되어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파일 등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채팅방에서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음성통화 기능, VoIP 영상통화 기능, 라이브 방송 기능(VoIP 실시간 영상 송출 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 계정 간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영상 스트리밍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오픈 채팅방'은 사용자(또는 사용자 계정)가 채팅방에 입장하기 전에 새로운 프로필 정보(예를 들어, 오픈 채팅방에서 사용할 프로필 정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할 프로필 정보 등)를 임의로 입력하여 입장이 가능한 채팅방으로서, 익명성이 보장되는 채팅방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픈 채팅방은 참가하는 사용자들이 서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친구 관계일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기본 프로필 정보(프로필 사진, 이름, 생일, 상태 메시지 등)가 오픈 채팅방 내의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오픈 채팅방은 사용자가 설정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기본 프로필 정보가 상대방에게 공개되는 일반 채팅방과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오픈 채팅방에는 2명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하고 이용하는 계정 또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10)는 사용자 단말(120)의 이미지 센서(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카메라, 태블릿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현실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증강 화면(122)을 통해 사용자(110)는 자신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화면(122)은 사용자 단말(120)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된 현실 공간의 이미지, 그리고 현실 공간의 이미지 위에 중첩하여 표시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124_1, 124_2, 124_3, 124_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 화면(122)에 표시되는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는 사용자 단말(120)의 이미지 센서가 촬영하는 방향에 미리 결정된 거리(예를 들어, 200 m) 이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110)는 화면에 표시되는 아바타의 수 등을 확인하고, 미리 결정된 거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바타(124_1, 124_2, 124_3, 124_4)가 증강 화면(122) 상에 표시되는 위치는 다른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12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아바타(124_2)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제3 아바타(124_3)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보다 사용자 단말(120)과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2 아바타(124_2)가 제3 아바타(124_3)보다 증강 화면(122)의 하측에 표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아바타(124_1)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제4 아바타(124_4)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보다 사용자 단말(120)의 이미지 센서가 촬영하는 방향에서 왼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1 아바타(124_1)가 제4 아바타(124_4)보다 증강 화면(122)의 좌측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10)가 사용자 단말(120)의 이미지 센서가 향하는 방향 또는 배율을 변경하는 경우, 증강 화면(122)에 표시되는 아바타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10)가 사용자 단말(120)을 왼쪽으로 돌려서 이미지 센서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가 촬영하는 현실 공간의 이미지 위에, 이미지 센서의 변경된 방향에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사용자(110)가 사용자 단말(120)의 이미지 센서의 줌(예를 들어, 광학 줌, 디지털 줌 등) 레벨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줌 레벨에 따라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위치한 사용자들의 아바타가 현실 공간의 이미지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10)는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의 아바타만 증강 화면(122)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10)는 사용자 단말(120)에 필터링 조건(나이, 성별, 취미, 직업군, 평가 점수 등)을 입력하여,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주변 사용자들의 아바타만 증강 화면(12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미리 결정된 평가 점수 미만의 다른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110)가 차단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는 증강 화면(122) 상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10)는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 중 서버(예를 들어, 도 2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추천되는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만 증강 화면(122)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서버에 의해 추천되는 다른 사용자의 리스트는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예를 들어, 성별, 지역, 나이, 취미, 직업, 관심사 등), 다른 사용자의 행동 이력(과거 “좋아요”를 부여한 이력, 별점을 부여한 이력, 채팅 이력 등)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 중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만 증강 화면(122)에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 중 사용자와 행동 패턴이 유사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만 증강 화면(122)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와 매칭 점수가 가장 높은 상위 n명(10, 20, 50명 등)의 아바타가 증강 화면(122)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10)는 터치 입력 등을 통해 증강 화면(122)에 표시된 아바타(124_1, 124_2, 124_3, 124_4) 중 하나의 아바타를 선택하여 해당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예를 들어, 익명의 닉네임), 성별, 직업, 취미, 관심사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10)는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채팅방을 생성하여 상대방과 채팅,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채팅방은 개인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오픈 채팅방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110)는 생성된 채팅방 내에서 상대방과 온라인 게임이나 다른 온라인 액티비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이 반영된 아바타를 이용하여 보다 친숙하게 가시화된 대상과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방에게 공개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실제 개인 정보가 아닌 아바타에 대하여 설정된 가상의 프로필 정보이므로, 사용자는 익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에 가상의 프로필 정보를 이용한 대화(예를 들어, 오픈 채팅방에서의 채팅)를 실제 개인 계정을 이용한 대화(예를 들어, 일반 채팅방에서의 채팅)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 정보 공개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은 메신저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및/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및 PC 단말 (2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이미지 센서가 탑재된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사진, 영상, 텍스트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저장하고 네트워크(220)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10)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PC 단말(2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오픈 채팅방을 생성하기 위한 요청, 음성 데이터 등)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은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주변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주변 사용자의 위치 정보, 프로필 정보, 아바타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사용자 단말(210)의 메모리(312)에 로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3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 (21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프로필 정보, 아바타 정보 등을 저장, 처리 및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할 아바타 및 프로필을 설정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4에는 사용자 단말의 제1 동작 단계(410), 제2 동작 단계(420) 및 제3 동작 단계(43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동작 단계(410)는 사용자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할 아바타를 선택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존에 생성한 아바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입력 등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아이콘(412)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기존에 생성한 아바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아바타는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 중인 주변의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할 새로운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새로 생성할 아바타의 얼굴, 바디, 아이템(의상, 액세서리 등) 등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유료 아이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아바타를 장식함으로써, 자신의 아바타가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보다 눈에 띄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말풍선 아이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아바타 주변에 특정 텍스트가 입력된 말풍선을 추가하거나 다양한 시각적 객체 또는 효과(예를 들어, 아바타 빛내기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제2 동작 단계(420)는 사용자가 기존에 생성한 프로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존에 생성한 프로필(Loki, Jo, Aims, Lesile, Jim) 중 하나(Loki)를 선택하고, 이를 편집하기 위해 제2 아이콘(422)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필은 이름, 성별, 나이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새로운 프로필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430)는 사용자가 프로필을 편집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입력 등으로 이름(예를 들어, 익명의 닉네임), 성별, 나이, 직업, 취미, 관심사 등을 입력/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필 정보를 임의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프로필은 해당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프로필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프로필 정보 중 일부(예를 들어, 성별 나이 등)에 대해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중 인증된 정보, 즉 사용자의 실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는 다른 정보와 구별되도록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중 인증된 정보 주변에 인증 아이콘이 표시되거나, 인증된 정보가 다른 색상, 글꼴,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이외의 다른 서비스(예를 들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휴대폰 문자 인증 서비스 등)를 통해 프로필 정보 중 일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이외의 다른 서비스에서 인증 받은 개인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의 프로필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른 사용자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 중 사용자의 실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프로필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 또는 비공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필 정보 중 이름, 성별 및 관심사만 공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사용자는 자신과 동일한 관심사를 가지거나 이성인 다른 사용자에게만 자신의 프로필 정보가 공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아바타와 프로필을 선택하여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에는 사용자 단말의 제1 동작 단계(510), 제2 동작 단계(520) 및 제3 동작 단계(53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동작 단계(510)는 사용자가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할 아바타를 선택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입력 등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아이콘(512)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기존에 생성한 아바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동작 단계(520)는 사용자가 기존에 생성한 프로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영역(522)을 터치 입력 등을 통해 선택함으로써, 기존에 생성한 5개의 프로필(Loki, Jo, Aims, Lesile, Jim) 중 하나(Loki)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사용한 프로필이 프로필 리스트의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530)는 사용자가 영역(522)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가 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가 개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센서가 활성화되고,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현실 공간의 이미지 상에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가 개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외부 시스템(예를 들어, 도 2의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아바타 및 프로필 정보가 외부 시스템으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다른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 프로필 정보, 아바타 이미지 등)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이미지 센서의 줌 레벨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아바타를 변경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에는 사용자 단말의 제1 동작 단계(610) 및 제2 동작 단계(62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동작 단계(610)는 사용자 단말이 제1 세트의 아바타(612_1, 612_2, 612_3, 612_4)가 중첩된 제1 증강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FOV(Field of View)를 증가(즉, 줌 아웃)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멀티 터치 입력, 핀치 제스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증강 화면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612_1, 612_2, 612_3, 612_4) 각각의 크기는, 아바타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150 m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와 연관된 아바타의 크기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200 m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다른 사용자와 연관된 아바타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아바타의 크기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제2 동작 단계(620)는 이미지 센서의 FOV(Field of View)를 증가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이 제2 세트의 아바타(612_1, 612_2, 612_3, 612_4, 622_1, 622_2)가 중첩된 제2 증강 화면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증강 화면의 현실 공간 이미지는 제1 증강 화면과 동일한 방향의 현실 공간을 보다 넓은 화각으로 촬영하여 획득된 현실 공간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 센서의 FOV가 증가함에 따라, 제2 증강 화면은 새로운 아바타(622_1, 622_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아바타(622_1, 622_2)는 제1 증강 화면의 FOV에 포함되지 않지만, 제2 증강 화면의 FOV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아바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미지 센서의 FOV의 증가함에 따라, 제1 세트의 아바타(612_1, 612_2, 612_3, 612_4) 중 일정 거리 밖에 있는 사용자의 아바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증강 화면은 200 m 이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표시하는 반면, 제2 증강 화면은 150 m 이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FOV가 증가하는 것에 반비례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아바타의 심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6에는 사용자가 이미지 센서의 FOV가 증가(줌 아웃)시키는 예시가 도시되었으나, 사용자는 이미지 센서의 FOV를 감소(줌 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증강 화면과 동일한 방향의 현실 공간을 보다 좁은 화각으로 촬영하여 획득된 제3 증강 화면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FOV가 감소함에 따라, 제3 증강 화면은 제1 세트의 아바타(612_1, 612_2, 612_3, 612_4) 중 일부 아바타가 제거된 제3 세트의 아바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증강 화면에서 제거되는 아바타는 제1 증강 화면의 FOV에 포함되지만, 제3 증강 화면의 FOV에 포함되는 않는 사용자의 아바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미지 센서의 FOV의 감소함에 따라, 제1 증강 화면에는 포함되지 않은 더 먼 거리에 위치한 아바타가 제3 증강 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증강 화면은 200 m 이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표시하는 반면, 제3 증강 화면은 250 m 이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FOV가 감소하는 것에 반비례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아바타의 심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미지 센서의 줌 레벨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 입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물리 버튼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의 줌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자의 제스처 등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이미지 센서의 줌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이미지 센서의 촬영 방향을 변경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제1 증강 화면과 다른 방향에서 현실 공간을 촬영한 제4 증강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증강 화면은 제1 세트의 아바타와 상이한 제2 세트의 아바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트의 아바타는 이미지 센서의 변경된 방향에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들의 아바타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현실 세계에서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이미지 센서의 촬영 방향, 줌 레벨 등을 조절하여 다른 사용자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지 센서의 촬영 방향, 줌 레벨에 따라 추가 또는 제거되는 아바타를 확인함으로써, 아바타와 대응되는 다른 사용자의 현실 공간 상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아바타를 선택하여 관심 있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확인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에는 사용자 단말의 제1 동작 단계(710), 제2 동작 단계(720) 및 제3 동작 단계(73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동작 단계(6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아바타 중 하나의 아바타(712)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제2 동작 단계(720)는 사용자가 아바타(712)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해당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722)가 풍선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정보(722)는 아바타의 얼굴 이미지, 이름(예를 들어, 닉네임), 평가 점수(예를 들어, 별점, 좋아요(likes) 수 등), 나이, 성별, 직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프로필 정보(722)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의 상세 프로필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730)는 사용자가 프로필 정보(722)를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이 선택된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의 상세 프로필 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프로필 페이지 화면은 프로필 정보, 평가 점수를 부여하기 위한 아이콘(732, 734) 및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 통신하기 위한 아이콘(736, 7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아이콘(732)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여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에게 별점(예를 들어, 매너 포인트)을 부여하거나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의 항목별 별점(예를 들어, 응답 신속도, 채팅 매너, 통화 매너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제2 아이콘(734)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여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에게 “좋아요”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3 아이콘(736)을 선택함으로써,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오픈 채팅방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4 아이콘(738)을 선택함으로써, 아바타(712)와 연관된 사용자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아바타를 이용한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바타에 부여된 평가 점수에 따라 아바타의 주변에 그래픽 객체가 추가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상의 평가 점수를 가지는 사용자와 연관된 아바타 상에는 그래픽 객체(81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에 부여된 평가 점수가 제1 범위 이내인 경우(예를 들어, 별점 3 내지 4 또는 “좋아요” 수 500 내지 1,000)을 갖는 경우, 해당 아바타의 얼굴 위에 한 개의 하트 모양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에 부여된 평가 점수가 제2 범위 이내인 경우(예를 들어, 별점 4 내지 4.5 또는 “좋아요” 수 1,000 내지 2,000) 및 제3 범위 이내인 경우(예를 들어, 별점 4.5 내지 5 또는 “좋아요” 수 2,000 초과), 두 개의 하트 모양의 아이콘 및 세 개의 하트 모양의 아이콘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아바타 주변의 그래픽 객체를 참조하여 주변 사용자들의 평가 점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에 부여된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아바타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평가 점수를 가지는 사용자의 아바타가 낮은 평가 점수를 가지는 사용자의 아바타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높은 평가 점수를 가지는 사용자의 아바타가 낮은 평가 점수를 가지는 사용자의 아바타보다 얼굴 크기가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바타의 몸 크기는 동일하게 동일하고, 얼굴 크기만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높은 평가 점수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를 증강 화면에서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메시지, 음성 통화 요청 등을 수신한 경우에 해당 다른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다른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해당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810) 주변에 그래픽 객체(예를 들어 편지 봉투 아이콘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디스플레이에 아바타가 표시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해당 다른 사용자가 현실 공간상에서 위치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예를 들어, 화살표 아이콘 등)를 디스플레이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증강 화면을 통해 자신에게 메시지를 전송한 다른 사용자의 현실 공간상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의 피드백에 의해 결정된 자신의 평가 점수를 확인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9에는 사용자 단말의 제1 동작 단계(910), 제2 동작 단계(920) 및 제3 동작 단계(93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동작 단계(910)는 사용자가 기존에 생성한 프로필(Loki, Jo, Aims, Lesile 및 Jim) 중 하나의 프로필(Loki)에 부여된 평가 점수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영역(912)을 선택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제2 동작 단계(920)는 사용자가 제1 영역(912)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프로필(Loki)의 별점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된 프로필에 부여된 항목별 별점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목별 별점은 응답 신속도(Quick Response) 별점, 채팅 매너(Good chat manner) 별점, 통화 매너(Good Phone manner) 별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항목별 별점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평균 별점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부여된 항목별 별점 및 평균 별점을 확인함으로써,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상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자신에 대한 평가를 확인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930)는 사용자가 제2 영역(922)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프로필에 부여된 “좋아요(Likes)”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필이 받은 “좋아요” 수(예를 들어, 1,300 likes)를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제3 영역(932)에서 자신의 프로필에 “좋아요”를 부여한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리스트는 각 사용자의 아바타 대표 이미지, 이름(예를 들어, 닉네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리스트 중 하나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여, 해당 프로필의 상세 정보(예를 들어, 이름, 나이, 성별, 취미, 직업, 관심사 등)를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와 채팅 또는 음성/영상 통화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아바타에 호감을 표시한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상대방이 현재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상대방과 소통을 시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일정한 기간 동안 나의 아바타에 별점 또는 “좋아요”를 부여한 상대방 중 일부를 추천하는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주일 동안 나에게 일정 점수 이상의 별점(예를 들어, 별점 4 이상)을 부여한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예를 들어, 성별, 지역, 나이, 취미, 직업, 관심사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다른 사용자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일주일 동안 나에게 “좋아요”를 부여한 다른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예를 들어, 성별, 지역, 나이, 취미, 직업, 관심사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다른 사용자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천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리스트 형태로 제공되거나, 증강 화면 상에 아바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추가적인 노력 없이 자신에게 호감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중 공통점이 많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차단 또는 신고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에는 사용자 단말의 제1 동작 단계(1010), 제2 동작 단계(1020) 및 제3 동작 단계(103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동작 단계(1010)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차단 또는 신고하기 위해 제1 영역(1012)을 선택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제2 동작 단계(1020)는 다른 사용자를 신고하기 위한 제2 영역(1022)과 다른 사용자를 차단하기 위한 제3 영역(1024)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제2 영역(1022)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부적절한 행동을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제3 영역(1024)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다.
제3 동작 단계(1030)는 사용자가 제2 영역(1022) 또는 제3 영역(1024)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차단 또는 신고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지 않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차단 또는 신고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이 촬영하는 방향에 미리 결정된 거리(예를 들어, 200 m) 이내에 위치하더라도,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차단 또는 신고된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사용자의 아바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차단 또는 신고된 다른 사용자의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의 이용이 일부 또는 전부 제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차단 또는 신고된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통화를 거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차단 또는 신고한 다른 사용자의 리스트를 확인하고, 일부 또는 모든 다른 사용자의 차단 또는 신고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또는 신고가 해제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는 사용자의 단말에 다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차단 또는 신고가 해제된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사용자의 아바타가 다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아바타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증강 화면에 표시된 주변 사용자의 아바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 상대방 아바타(1110)와 사용자 아바타(112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대방 아바타(1110)의 모션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대방 아바타(1110)의 입 모양, 표정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아바타(1120)의 모션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아바타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1200)은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1200)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S1210)로 개시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20). 여기서,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는 해당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 프로필 정보, 아바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S1230).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아바타들을 중첩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S12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1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세트의 아바타들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이미지 센서가 촬영하는 방향에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아바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크기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위치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얼굴 크기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크기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아바타들 중 하나의 아바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S1250).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1260). 또한,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채팅방을 생성하기 위한 요청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70). 여기서, 채팅방은 개인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오픈 채팅방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요청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 선택된 아바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음성 통화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선택된 아바타의 모션이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120: 사용자 단말
122: 증강 화면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1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들 중 하나의 아바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오픈 채팅방을 생성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픈 채팅방을 일반 채팅방으로 전환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픈 채팅방이 상기 일반 채팅방으로 전환되는 것에 응답하여, 채팅방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가상 프로필 정보를 실제 개인 계정 프로필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의 가상 프로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프로필 정보는 상기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프로필 정보이고,
    실제 개인 계정 프로필 정보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프로필 정보인,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채팅방은 개인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채팅방인,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선택된 아바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음성 통화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선택된 아바타의 모션이 제어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들은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상기 이미지 센서가 촬영하는 방향에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아바타인,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크기는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위치는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얼굴 크기는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 각각의 크기는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는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평가 점수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상의 평가 점수를 가지는 사용자와 연관된 아바타 상에 제1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촬영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2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줌 레벨이 변경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3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 중 상기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4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들 중 하나의 아바타를 차단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된 아바타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상기 다른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제2 그래픽 객체를 중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통신 모듈;
    메모리;
    이미지 센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장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상에 상기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1 세트의 아바타를 중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세트의 아바타들 중 하나의 아바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아바타와 연관된 사용자와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상의 오픈 채팅방을 생성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픈 채팅방을 일반 채팅방으로 전환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오픈 채팅방이 상기 일반 채팅방으로 전환되는 것에 응답하여, 채팅방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가상 프로필 정보를 실제 개인 계정 프로필 정보로 변환하여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30080275A 2020-10-15 2023-06-22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98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275A KR20230098114A (ko) 2020-10-15 2023-06-22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08A KR20220049907A (ko) 2020-10-15 2020-10-15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30080275A KR20230098114A (ko) 2020-10-15 2023-06-22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608A Division KR20220049907A (ko) 2020-10-15 2020-10-15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114A true KR20230098114A (ko) 2023-07-03

Family

ID=811857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608A KR20220049907A (ko) 2020-10-15 2020-10-15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30080275A KR20230098114A (ko) 2020-10-15 2023-06-22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608A KR20220049907A (ko) 2020-10-15 2020-10-15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70356B2 (ko)
JP (1) JP2022065655A (ko)
KR (2) KR20220049907A (ko)
CN (1) CN1144304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99B1 (ko) * 2022-05-27 2023-12-06 주식회사 피치솔루션 가상 현실 공간에서 사용자 가상 아바타의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97B1 (ko) 2007-03-19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
US9176579B2 (en) * 2008-12-29 2015-11-03 Avaya Inc. Visual indication of user interests in a computer-generated virtual environment
KR101088282B1 (ko) 2009-11-24 2011-11-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증강 현실형 메신저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93535B1 (ko) 2009-12-22 2012-10-22 주식회사 케이티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50033B1 (ko) 2010-12-13 2014-01-14 주식회사 팬택 증강 현실 제공 단말기 및 방법
US10304066B2 (en) * 2010-12-22 2019-05-28 Facebook, Inc. Providing relevant notifications for a user based on location and social information
WO2012116197A2 (en) * 2011-02-23 2012-08-30 Supyo, Inc. Platform for pseudo-anonymous video chat with intelligent matching of chat partners
KR20120136633A (ko) 2011-06-09 2012-12-20 인크로스 주식회사 이성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710969B2 (en) 2012-08-27 2017-07-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Indicating the geographic origin of a digitally-mediated communication
KR101285832B1 (ko) 2012-11-27 2013-07-12 전승훈 웹사이트와 어플에서의 회원 간 만남주선 시스템
US20150245168A1 (en) * 2014-02-25 2015-08-27 Flock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US9594808B2 (en) * 2014-06-04 2017-03-14 Google Inc. Determining relevance of points of interest to a user
KR101654261B1 (ko) 2015-06-25 2016-09-05 주식회사 카카오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오픈 채팅방을 통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단말
KR20170065349A (ko)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모비 위치 기반 사용자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서버
US10482662B2 (en) * 2016-06-30 2019-11-19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reality transitions
US11119568B2 (en) * 2019-09-24 2021-09-14 Facebook Technologies, Llc Suspend mode feature for artificial reality systems
KR20210117066A (ko) * 2020-03-18 2021-09-28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음향 기반 아바타 모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477606B2 (en) * 2020-03-25 2022-10-18 William I. Renkis Location-based social networking
US11481965B2 (en) * 2020-04-10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mmunicating i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thereof
US11910269B2 (en) * 2020-09-25 2024-02-20 Snap Inc.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s including user avatar to share 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4063A1 (en) 2022-04-21
CN114430406A (zh) 2022-05-03
KR20220049907A (ko) 2022-04-22
US11770356B2 (en) 2023-09-26
JP2022065655A (ja)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5723B2 (en) Instantaneous call sessions over a communications application
CN109891369B (zh) 虚拟会议中的信息隐私
US11146646B2 (en) Non-disruptive display of video streams on a client system
WO2018095439A1 (zh) 信息交互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210135683A (ko) 인터넷 전화 기반 통화 중 리액션을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90492B1 (ko) 영상 채팅에 이용 가능한 평판 뱃지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1263099B (zh) 视频通信数据的动态显示
US9977510B1 (en) Gesture-driven introduction system
JP2019048043A (ja) 映像通話およびオブジェクト認識を基盤としたゲーム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663909B1 (ko) 사용자간 관련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02698A (ko) 영상 통화 봇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98114A (ko) 위치 기반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202637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vatar usage rights
TW202235135A (zh) 聯絡人信息展示方法、裝置、電子設備、計算機可讀儲存媒體及計算機程式産品
KR20210050765A (ko) 새로운 사람을 소개해주는 영상통화의 통화시간을 공평하게 과금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24069A (ko)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 중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1090A (ko) 감정 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7421738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0235346A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141551A1 (en) Moving image distribution system, moving image distribution method, and moving image distribution program
KR20220128013A (ko) 대화방 내의 콘텐츠를 요약한 요약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40020818A (ko) 대화 상대방에 대한 감정 상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N117899479A (zh) 一种虚拟角色移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71357A (ko) 사용자간 관련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7692A (ko) 영상 콘텐츠 내 사용자 감정표현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