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411A - 약통 - Google Patents

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411A
KR20230097411A KR1020210186894A KR20210186894A KR20230097411A KR 20230097411 A KR20230097411 A KR 20230097411A KR 1020210186894 A KR1020210186894 A KR 1020210186894A KR 20210186894 A KR20210186894 A KR 20210186894A KR 20230097411 A KR20230097411 A KR 2023009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lid
medicine cabinet
gu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아인
Original Assignee
정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아인 filed Critical 정아인
Priority to KR102021018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411A/ko
Publication of KR2023009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통은, 입구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약통 몸체, 상기 입구에 체결 결합되고,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 몸체 및 상기 뚜껑 몸체의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외부로 약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통{MEDICINE CASE}
본 발명은 약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약 복용이 쉽지 않아서 주로 물약을 복용하거나 물약에 가루약을 혼합하여 투약하도록 하고 있다.
유아용 물약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용 약통이 사용되고 있다.
유아용 약통은 물약의 복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되어 있고 투약이 편리하도록 끝이 뾰족하게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아용 약통은 유아에게 투약이 용이하도록 그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뾰족한 형태 때문에 가루약을 약통으로 넣기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약통의 입구가 좁기 때문에 약통 입구로 넣고자 하는 가루약이 약통 입구로 제대로 들어가지 못하고 밖으로 흘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은 약통 내부로 가루약 및 물약을 흘리지 않고 손쉽게 넣을 수 있게 하는 약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통은, 입구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약통 몸체, 상기 입구에 체결 결합되고,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 몸체 및 상기 뚜껑 몸체의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외부로 약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부채꼴 형상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는 상기 관통홀에 인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투명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은 상기 입구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통은 약통 내부로 가루약 및 물약을 흘리지 않고 손쉽게 넣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뚜껑 및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뚜껑을 약통 몸체에 뒤집어 놓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가이드부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에 가루약 및 물약을 주입하고 있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뚜껑 및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뚜껑을 약통 몸체에 뒤집어 놓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통(10)은, 약통 몸체(300), 뚜껑(100) 및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통(10)은 약통 몸체(300) 내부에 가루약 또는 물약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30)가 결합되고, 가이드부(130)를 통해 투입된 가루약 또는 물약은 배출부(190)를 통해 약통 몸체(3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루약 또는 물약을 약통 몸체(300) 내부에 투입할 때, 가루약 또는 물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약통 몸체(300)는 투입되는 가루약 및 물약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입구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다. 약통 몸체(300)의 입구에는 뚜껑(100)이 체결될 수 있다.
약통 몸체(30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약통 몸체(30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약통 몸체(300)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약통 몸체(300) 내부에 채워진 물약 등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뚜껑(100)은 약통 몸체(300)의 입구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뚜껑(100)은 약통 몸체(300)의 입구에 위치하여, 약통 몸체(300)에 수용된 가루약 및 물약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뚜껑(100)의 배출부(190)를 통해 가루약 및 물약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뚜껑(100)은 뚜껑 몸체(110) 및 배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몸체(110)는 약통 몸체(300)의 입구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뚜껑 몸체(110)에는 뚜껑 몸체(110)를 관통하는 관통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90)는 뚜껑 몸체(110)의 외부에 결합되어, 약통 몸체(300) 내부에 수용된 가루약 및 물약이 배출부(1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190)는 뚜껑 몸체(110)의 관통홀(150)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190)는 관통홀(150)과 연결되는 배출노즐(170)과 배출노즐(170)을 둘러싸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노즐(170)의 직경은 약통 몸체(300)의 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노즐(170)의 직경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가루약 및 물약이 조금씩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130)는 약통 몸체(300) 내부로 투입되는 가루약 및 물약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뚜껑 몸체(110)의 내부, 즉 뚜껑 몸체(110)의 외부에 결합되는 배출부(190)와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30)는 부채꼴 형상의 판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가이드부(130)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중심각이 80도 내지 110도인 부채꼴에서, 각 반지름 상의 임의점과 호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 양쪽(A1, A2)을 절개한다. 또한, 부채꼴의 중심에 인접한 영역(A3)을 절개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0)는 대략 사각형 형상인 가이드 판(131)과 부착판(135)로 구분된다. 이때, 가이드 판(131)은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절곡선(FL)을 따라 절곡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절곡선(FL)은 부채꼴의 중심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룬다.
가이드 판(131)은 반지름(FL)을 따라 내부를 향해 절곡하여, 가이드부(130)를 깔때기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30)의 부착판(135)은 뚜껑 몸체(110)의 관통홀(150)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130)가 뚜껑(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0)의 직경은 약통 몸체(300)의 입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가이드부(130)의 직경은 뚜껑 몸체(110)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바라볼 때, 부채꼴 형상을 절곡하여 제작된 가이드부(130)가 차지하는 크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30)의 직경이 약통 몸체(300)의 입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부(130)를 약통 몸체(300)의 입구 내부로 삽입할 때 가이드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약통 몸체(300) 내부에 가루약 및 물약을 투입하는 경우에, 뚜껑(100)을 약통 몸체(300)로부터 분리하고, 뚜껑(100)을 뒤집어 가이드부(130)가 위로 오도록 뚜껑(100)을 약통 몸체(300)의 입구 위에 배치한다(도 4 참조).
그리고 나서,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약 봉지(200)로부터 가루약을 가이드부(130)를 통해 약통 몸체(3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30)가 약 봉지(200)로부터 나오는 가루약이 이탈되지 않고 약통 몸체(300) 내부로 모두 투입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물약을 약통 몸체(300) 내부에 투입하는 경우, 가이드부(130)가 물약이 이탈되지 않고 약통 몸체(300) 내부로 모두 투입되게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루약 및 물약을 약통 몸체(300) 내부에 투입하는 경우, 뚜껑(100)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부(130)의 안내에 따라 가루약 및 물약의 이탈을 방지하여 약통 몸체(300) 내부로 모두 투입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가 깔때기 형상을 가짐에 따라, 가이드부(130)가 가루약 및 물약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약통 몸체(3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약통 몸체
100 뚜껑
110 뚜껑 몸체
130 가이드부
150 관통홀
170 배출노즐
190 배출부

Claims (5)

  1. 입구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약통 몸체;
    상기 입구에 체결 결합되고,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뚜껑 몸체 및 상기 뚜껑 몸체의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어 외부로 약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약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부채꼴 형상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약통.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는 상기 관통홀에 인접하여 결합된, 약통.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투명 재질인, 약통.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은 상기 입구의 내경보다 작은, 약통.
KR1020210186894A 2021-12-24 2021-12-24 약통 KR20230097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894A KR20230097411A (ko) 2021-12-24 2021-12-24 약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894A KR20230097411A (ko) 2021-12-24 2021-12-24 약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11A true KR20230097411A (ko) 2023-07-03

Family

ID=8715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894A KR20230097411A (ko) 2021-12-24 2021-12-24 약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4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89734A (en) Dropper cap for a bottle
US20070181614A1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KR100978528B1 (ko) 알약 정량배출장치
US5810886A (en) Dispensing pacifier apparatus
US9010571B2 (en) Loose fill tray packaging system
US7004352B2 (en) Acupuncture needle container and dispenser
KR20230097411A (ko) 약통
KR20160104526A (ko) 통과 장치,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JPH01503446A (ja) 投与容器の先端部
ES2209379T3 (es) Procedimiento de relleno.
US9499310B2 (en) Combination child-resistant package and collapsible tub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811054B1 (en) Dosing spoon for micro-tablets
JP4163806B2 (ja) 定量払出し用のアンプル収納容器およびアンプル定量供給装置
KR100421502B1 (ko) 액체 정량 투입용기
GB2049625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Apportioning Material
US890018A (en) Dose-stopper.
JP7165706B2 (ja) 放射性医薬品用遮蔽容器
US176279A (en) Improvement in powder-ejectors
US8881920B1 (en) Automatically rinsing baby bottle
CA2522791C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KR200485603Y1 (ko) 액상 혼합 용기
KR200404086Y1 (ko) 용기 구조체
KR20160027466A (ko)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KR102272885B1 (ko)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KR102127638B1 (ko)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