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521A -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521A
KR20230096521A KR1020210186090A KR20210186090A KR20230096521A KR 20230096521 A KR20230096521 A KR 20230096521A KR 1020210186090 A KR1020210186090 A KR 1020210186090A KR 20210186090 A KR20210186090 A KR 20210186090A KR 20230096521 A KR20230096521 A KR 2023009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purifier
protrusion
click sound
dial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521A/ko
Publication of KR2023009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2Aesthetics,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의 클릭음 발생 모듈은 상기 정수기의 본체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연장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돌기 대응부에 접촉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DIAL KNOB CONTROLLING WATER PURIFIER INTAK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전원 방식의 정수기의 경우, 정수 과정 뿐만 아니라 취수 제어에도 별도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기계적인 장치만으로 사용자에게 정확한 취수 상태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무전원 정수기의 다이얼 노브를 통해 취수의 시작과 종료를 제어하고, 다이얼 노브에 표시된 마커를 통해 취수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추가하여, 다이얼 노브는 취수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에 클릭감 및 클릭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조작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종래 클릭감 및 클릭음을 발생시키는 다이얼 노브는 스프링 등의 추가 구성을 마련하였다. 추가적인 부품이 구비됨에 따라, 재료비와 조립비 등의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이얼 노브의 돌기 및 이에 대응되는 돌기 대응홈의 구성만으로 사용자에게 클릭감 및 클릭음을 제공하는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의 클릭음 발생 모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의 클릭음 발생 모듈은 상기 정수기의 본체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연장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돌기 대응부에 접촉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클릭음 발생 모듈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회동축의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상면부를 관통하고, 동시에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의 일면에서 상기 회동축의 축 방향으로 상기 벽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돌기부를 중심으로 소정 간격만큼 대칭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홈 및 제2 관통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회동부와 접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고정홀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만큼 대칭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클릭음 발생 모듈은, 상기 상면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차단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차단 격벽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방 돌출 형성된 차단 돌기의 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회동부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면을 따라 접촉하거나 상기 돌기 대응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는 상기 정수기의 본체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축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형성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돌기 대응부에 접촉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및 상기 클릭음 발생 모듈의 외면에 결합되는 커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모듈은, 상기 커버 모듈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노브를 통한 취수 제어시 클릭음을 제공하는 정수기 본체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면에 상기 다이얼 노브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회동축 대응홈 및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 노브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에 접촉되는 돌기 대응부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돌기 대응부는, 상기 회동축 대응홈을 중심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돌기 대응홈 및 제2 돌기 대응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다이얼 노브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취수의 온 및 오프를 지시하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회동축의 중심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마커와 제2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마커는 직선 형태이고, 상기 제2 마커는 원형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추가적인 부품 없이 다이얼 노브 및 정수기 본체의 구성만으로 사용자에게 클릭감 및 클릭음을 제공하는 다이얼 노브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수기의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 모듈이 정수기 본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노브가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노브가 결합된 정수기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클릭음 발생 모듈(100)은 정수기의 취수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회동되며,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동될 때 사용자에게 클릭음 및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클릭음 발생 모듈(100)은 정수기의 본체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는 회동부(110), 회동부(110)의 일단으로부터 본체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120), 상면부(120)의 가장자리에서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본체의 외면을 향해 형성되는 벽면부(130), 벽면부(130)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본체의 외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본체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돌기 대응부(210)에 접촉되는 돌기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회동부(110)는 원통형상이며, 상면부(1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회동부(110)가 접하는 상면부(120)의 중앙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회동부(110)의 내주면과 상면부(120)의 외면이 연결될 수 있다. 회동부(110)는 클릭음 발생 모듈(100)과 정수기 본체(2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홈(122, 123)은 상면부(120)와 벽면부(130)를 동시에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관통홈(122, 123)은 상면부(120)의 가장자리의 일면에서 회동축의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면부(120)를 관통하고, 동시에 상면부(120)의 가장자리의 일면에서 회동축의 축 방향으로 벽면부(1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홈(122, 123)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통홈(122) 및 제2 관통홈(123)이 형성됨에 따라, 상면부(120) 및 벽면부(130)의 일부가'ㄱ'자 모양의 제1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구성의 일단은 회동부(1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1 구성의 타단에 돌기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클릭음 발생 모듈(100)이 회동하여 돌기부(131)와 돌기 대응부(210)가 안착하거나 분리되는 경우, 제1 구성은 원활하게 상하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은 힘만으로 클릭음 발생 모듈(100)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제1 관통홈(122) 및 제2 관통홈(123)은 돌기부(131)를 중심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격 거리는 제1 구성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구성의 두께는 돌기부(131)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돌기부(131)는 벽면부(130)의 저면으로부터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을 향하도록 곡면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클릭음 발생 모듈(100)은 하나의 돌기부(13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돌기부(13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돌기부(131)는 회동부(110)가 회동함에 따라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을 따라 접촉하거나 돌기 대응부(210)에 안착될 수 있다. 돌기부(131)가 돌기 대응부(210)에 안착하거나 분리될 때 클릭음 및 클릭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조작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서 클릭음 및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 모듈(100)은 스프링 등의 다른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형상 자체에서 기인하는 특성으로 사용자에게 클릭음 및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는바 공급자 입장에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복수의 삽입홈(121)들은 상면부(120)의 고정홀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대칭되게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삽입홈(121)에 커버 모듈(400)의 삽입 돌기(411, 41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차단 격벽(124)은 상면부(120)의 저면으로부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차단 격벽(124)은 정수기 본체(200)에 구비된 차단 돌기(220)와 접촉함에 따라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차단 격벽(124)의 높이는 차단 돌기(220)에 접촉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으로부터 차단 격벽(124)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차단 돌기(220)의 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릭음 발생 모듈이 정수기 본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노브가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노브가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재(300)는 클릭음 발생 모듈(100)과 정수기 본체(200)를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고정결합할 수 있다.
돌기부(131)는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에 곡면 함몰형성된 2개의 돌기 대응홈들(211, 212)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될 수 있다. 각 돌기 대응홈(211, 212)은 회동축의 중심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돌기부(131)의 직경이 벽면부(130)의 두께와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커버 모듈(400)은 커버 모듈(400)의 내면에 형성되며,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삽입홈(121)에 결합되는 삽입 돌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모듈(400)은 사용자에게 현재 정수기의 취수 상태를 알리는 지시부(미도시)를 외면에 포함할 수 있다. 클릭음 발생 모듈(100)은 고정부재(300)로 정수기 본체(200)에 결합되고, 커버 모듈(400)로 덮힐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클릭음 발생 모듈(100), 고정부재(300) 및 커버 모듈(400)을 다이얼 노브(10)로 통칭할 수 있다.
정수기 본체(200)는 회동축 대응홈, 돌기 대응부(210), 차단 돌기(220) 및 표시부(230)를 포함한다.
회동축 대응홈은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에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돌기 대응부(210)는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에 함몰 형성되며, 회동축 대응홈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 대응홈들(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대응홈들(211, 212) 각각은 회동축 대응홈을 중심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기 대응부(210)는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돌기부(131)에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돌기 대응부(210)의 모양은 돌기부(131)의 모양에 대응될 수 있다.
차단 돌기(220)는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차단 격벽(124)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차단 돌기(220)가 구비되며, 각각의 차단 돌기(220)가 회동축 대응홈을 중심으로 9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회동에 따라 정수기의 취수의 온 및 오프를 지시하도록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온 및 오프에 대응되는 제1 마커와 제2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커와 제2 마커는 회동축 대응홈의 중심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회동 가능한 각도는 90도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다이얼 노브(10)가 정수기 본체(200)에 결합되면, 표시부(230)만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취수 제어를 안내할 수 있다.
다이얼 노브(10)의 지시부가 표시부(230)의 제1 마커를 가리키는 경우, 취수가 온 상태이고, 표시부(230)의 제2 마커를 가리키는 경우, 취수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지시부가 제1 마커 또는 제2 마커를 가리키도록 다이얼 노브(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커는 직선 형태이고, 상기 제2 마커는 원형일 수 있다. 돌기부(131)가 정수기 본체(200)의 외면을 따라 회동하다가 돌기 대응부(210)에서 안착되고,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탄성력으로 인해 클릭음 및 클릭감이 발생한다.
사용자가 다른 마커를 가리키도록 회동하는 경우, 돌기부(131)가 돌기 대응부(210)에서 분리되고 이때에도 클릭음 및 클릭감이 발생한다. 사용자는 지시부 및 표시부(230)를 통한 시각적인 안내 뿐만 아니라 청각적 및 촉각적인 감각으로 취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공급자 입장에서도 클릭음 발생 모듈(100)의 형상 및 정수기 본체(200)에 구비된 형상의 특징만으로 클릭음 및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고, 다른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바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다이얼 노브
100: 클릭음 발생 모듈
110: 회동부
120: 상면부
121: 삽입홈
122, 123: 관통홈
124: 차단 격벽
130: 벽면부
131: 돌기부
200: 정수기 본체
210: 돌기 대응부
211, 212: 돌기 대응홈
220: 차단 돌기
230: 표시부
300: 고정부재
400: 커버 모듈
410: 삽입 돌기

Claims (13)

  1.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의 클릭음 발생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본체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연장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돌기 대응부에 접촉되는 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음 발생 모듈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회동축의 중심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상면부를 관통하고, 동시에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의 일면에서 상기 회동축의 축 방향으로 상기 벽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돌기부를 중심으로 소정 간격만큼 대칭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홈 및 제2 관통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회동부와 접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고정홀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만큼 대칭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음 발생 모듈은,
    상기 상면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차단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차단 격벽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방 돌출 형성된 차단 돌기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회동부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면을 따라 접촉하거나 상기 돌기 대응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8.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본체에 회동축으로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축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형성되는 벽면부; 및
    상기 벽면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돌기 대응부에 접촉되는 돌기부; 를 포함하는 클릭음 발생 모듈; 및
    상기 클릭음 발생 모듈의 외면에 결합되는 커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모듈은,
    상기 커버 모듈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노브.
  9. 다이얼 노브를 통한 취수 제어시 클릭음을 제공하는 정수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면에 상기 다이얼 노브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회동축 대응홈; 및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 노브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에 접촉되는 돌기 대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본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대응부는,
    상기 회동축 대응홈을 중심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돌기 대응홈 및 제2 돌기 대응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본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다이얼 노브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취수의 온 및 오프를 지시하도록 상기 정수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본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회동축의 중심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마커와 제2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본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커는 직선 형태이고, 상기 제2 마커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본체.
KR1020210186090A 2021-12-23 2021-12-23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30096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090A KR20230096521A (ko) 2021-12-23 2021-12-23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090A KR20230096521A (ko) 2021-12-23 2021-12-23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521A true KR20230096521A (ko) 2023-06-30

Family

ID=8696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090A KR20230096521A (ko) 2021-12-23 2021-12-23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5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0095B1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device
KR20110130422A (ko) 회전형 스위치
KR101773032B1 (ko)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JP4241798B2 (ja) 回転形パルススイッチ
JP2012204069A (ja) 操作入力装置
KR20230096521A (ko) 정수기의 취수를 제어하는 다이얼 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WO2019087608A1 (ja) 入力装置
WO2001013393A1 (en) Gimbal mounted multifunction button
US10566153B2 (en) Lever device
JP2005259634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5174806A (ja) 多機能スイッチ
CN205844965U (zh) 旋钮结构
JP6913319B2 (ja) 電子部品の防滴構造
JP5129103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US11676783B2 (en) Press-type input device and press-rotate-type input device
KR20140096025A (ko)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JP2006179397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2012204065A (ja) 操作入力装置
US11249505B2 (en) Operation knob device
WO2019087607A1 (ja) 入力装置
JP4703526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KR100960219B1 (ko) 햅틱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햅틱 스위치 시스템
CN103824723B (zh) 具有鼓轮和多个切换通道的增强的控制器件
JP2019186124A (ja) ダイヤルスイッチのスイッチ構造
JP2005135635A (ja) 多方向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