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250A -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250A
KR20230096250A KR1020210185569A KR20210185569A KR20230096250A KR 20230096250 A KR20230096250 A KR 20230096250A KR 1020210185569 A KR1020210185569 A KR 1020210185569A KR 20210185569 A KR20210185569 A KR 20210185569A KR 20230096250 A KR20230096250 A KR 2023009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olition
dye
speaker
signal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호
Original Assignee
최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호 filed Critical 최은호
Priority to KR102021018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250A/ko
Publication of KR2023009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4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smoke, fire or coloured g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철거현장에는 다양한 안전 점검 및 감리, 그리고 기본적인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 요령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러한 정보를 신속하게 건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은 없다.
특히, 철거현장에서 인명피해가 나는 경우의 대부분은 인부들은 상황의 심각성을 알고 대피했으나 인부들이 주변 일반인들에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철거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 상황에 대해서 주변 보행자, 운전자 및 인부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거현장에서의 외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추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청각적인 정보를 철거 현장 전방위에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와; 시각적인 정보를 철거 현장 외부 전방향에 전달하기 위한 염료 분사기와; 인부가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누구든지 경보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와; 스피커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스피커는 가설 구조물 건설시 함께 설치하며 건물 아래에 있는 배터리와 연결되는 배선은 가설 장비 파이프 안쪽으로 설계하여 철거 시 방해가 없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에 의하면 이제는 없던 철거 현장의 주변에 위험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어 특히, 철거 현장의 일반인 인명피해를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Demolition site visual/audible surrounding danger notification system}
건축
일반적으로 철거현장에는 다양한 안전 점검 및 감리, 그리고 기본적인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 요령이 존재한다. 그러나, 그러한 정보를 신속하게 건물 주변의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은 없다.
(1022192070000)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Construction site risk factor elimination syste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1020130133465)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Safety terminal and safety managing system for detecting worker''s accident in construction site and industrie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거현장에서의 외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추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청각적인 정보를 철거 현장 전방위에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와; 시각적인 정보를 철거 현장 외부 전방향에 전달하기 위한 염료 분사기와; 인부가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누구든지 경보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와; 스피커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스피커는 가설 구조물 건설시 함께 설치하며 건물 아래에 있는 배터리와 연결되는 배선은 가설 장비 파이프 안쪽으로 설계하여 철거 시 방해가 없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에 의하면 이제는 없던 철거 현장의 주변에 위험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어 특히, 철거 현장의 일반인 인명피해를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부들끼리도 긴밀하게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되어 건설 현장 내부에서의 인명 피해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설현장의 시/청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험 상황이 발생 시 운전자가 보게 되는 시각적인 상황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염료 분사기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분사기, 배터리, 스위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는 철거 중인 건물의 각 층 주요 거점에 설치되며, 입력된 신호를 배터리가 포함된 제어부로 전송하는 버튼이 존재하며 빛이 충분하지 않은 곳에서도 야광을 통해 충분히 버튼의 존재를 식별해 낼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와 염료 분사기의 경우 스피커는 건물의 하부에서 보행자가 다니는 인도를 중심으로 전방위에 설치하여 보행자에게 최대한 가깝게 설치한다.
그리고, 염료 분사기의 경우 3-4층 이상의 조금 높은 곳에 철거 현장 주변 도로가 존재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운전자가 위험 상황을 멀리서부터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너무 낮게 설치하지 않아서 염료가 운전자의 시야를 지나치게 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건물 내부의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별도의 배터리가 포함된 제어부를 건물 바로 아래 위치시켜서 각 층의 스피커와 배선으로 연결한다.
또한, 염료 분사기의 경우, 염료통에 고압으로 압축되어 있어 별도의 에너지 없이 신호를 받으면 염료가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때, 염료의 색깔은 위험을 알리기 쉽고 가시성이 좋은 빨간색을 기준으로 하되, 현장 상황에 맞춘다. 인체에 무해한 염료를 사용하고, 건물에서 너무 낮은 곳에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도료가 분사될 때 주변에 있던 사람이 맞아서 발생하는 인명사고를 배제한다.
스피커에서 나오는 경고음은 경고음과 안내 방송이 있는데 안내 방송 내용으로는 '건물 이상 붕괴 조짐이 관측되었습니다. 주변의 보행자 및 운전자는 모두 신속히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이하의 내용을 반복한다.
또한, 현장 자체적으로 적절한 경고 소리를 바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식별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위치의 경우, 인부들의 부주의로 눌러져서 알림 시스템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버튼을 가지고 두 개를 동시에 눌러야만 스위치에서 제어부로 신호가 송신되도록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설치의 어려움이 있다고 보기 힘들과 현장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형태의 위험 알림 시스템이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활용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고안은 철거 현장의 위험을 시각적, 청각적인 경고와 함께 주변에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철거현장에 설치되는 비계 등의 가설구조물에 스피커, 염료 분사기, 스위치를 주요 거점에 설치하여 현장 인부 중 누구라도 철거 현장의 시분 내의 심각한 위험을 감지하면 이를 주변에 알릴 수 있는 조치로서, 철거현장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 및 현장 주변 보행자, 그리고 현장 주변 도로를 운행중인 차량을 포함하여 철거현장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안전사고를 미리 예측하여 인적 피해를 최소화함에 있다.

Claims (5)

  1. 철거현장에서 주변에 시/청각적인 위험 정보를 알리는 시스템을 작동시킴에 있어서,
    가설 구조물의 각 층에서 주요 거점에 설치되며,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스위치와;
    가설구조물의 각 층에서 도보 및 도로를 향해 설치되며 신호가 입력되면 주어진 소리 정보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가설구조물의 각 층에서 도보 및 도로를 향해 설치되며 신호가 입력되면 엽료통 내부의 염료를 분사하는 분사기와;
    철거 건물의 1층 외벽 아래 설치되며, 버튼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스피커 및 분사기로 신호를 보내며 스피커와 분사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철거현장 위험 알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한 장소에 두 개의 버튼이 존재하여 양쪽을 모두 눌러야 무선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며 자체 내장 배터리를 가지고 있으며 야광 도료가 발라져있는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가설 구조물 설치시 함께 설치하며 제어부와 연결되는 배선은 가설 구조물 내부로 설치하는 스피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분사기는, 고압으로 압축된 빨간색 염료를 담고 있는 염료통에서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전기에너지가 아닌 압력차에 의해 염료가 분사되어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는 염료 분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염료통에 있는 기압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분사기가 올바르게 작동할 수 있도록 염료통 내부의 기압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스위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받아, 스피커 및 염료분사기에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
KR1020210185569A 2021-12-23 2021-12-23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 KR20230096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569A KR20230096250A (ko) 2021-12-23 2021-12-23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569A KR20230096250A (ko) 2021-12-23 2021-12-23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250A true KR20230096250A (ko) 2023-06-30

Family

ID=8695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569A KR20230096250A (ko) 2021-12-23 2021-12-23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250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2192070000) 정보통신을 이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제거 시스템 (Construction site risk factor elimination syste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1020130133465)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Safety terminal and safety managing system for detecting worker''s accident in construction site and industr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256B1 (ko)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
ES2908688T3 (es) Disposición de seguridad
US11699338B2 (en) Safety warning system
KR101941667B1 (ko) 옥외 전력설비 근접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12173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CN106408830A (zh) 一种电缆桩
CN103971488A (zh) 交通事故现场安全报警系统
KR102125247B1 (ko)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추돌 감시 시스템
KR20230096250A (ko) 철거 현장 시/청각적 주변 위험 알림 시스템
KR20160034236A (ko) 보행신호 음향안내 보조장치
KR20160087937A (ko) 다기능성 스마트 볼라드 및 볼라드 제어 시스템
KR20210040529A (ko) 작업자 경보시스템용 경광봉
KR101013685B1 (ko) 비상차선확보안내표시장치 및 방법
KR102250262B1 (ko) 차량 감지 및 경고 시스템
KR102091348B1 (ko) 무선 주파수 방식을 이용한 통합 경보시스템
KR102445896B1 (ko) 스마트 세이프티 이동식 카메라를 탑재한 공사현장용 스마트 대차
JP3189644U (ja) 緊急遠隔通報システム
KR101639746B1 (ko)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KR20030009261A (ko) 도로 통제 시스템
KR20220040709A (ko) 라이다의 지정 영역 감지를 이용한 곡선구간용 스마트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KR102509788B1 (ko) 난연성 스마트 터널 경계석 커버
JP6806326B2 (ja) 危険予知通報システム
KR200255356Y1 (ko) 활선감지용 경보 센서가 부착된 중장비
KR20230113866A (ko) 건설현장 인부를 위한 다목적 현황판 운영 시스템
KR20130086863A (ko) 사고 예상 및 사고 위치 표시를 통한 사고 및 범죄 예방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