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746B1 -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746B1
KR101639746B1 KR1020140180194A KR20140180194A KR101639746B1 KR 101639746 B1 KR101639746 B1 KR 101639746B1 KR 1020140180194 A KR1020140180194 A KR 1020140180194A KR 20140180194 A KR20140180194 A KR 20140180194A KR 101639746 B1 KR101639746 B1 KR 101639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nger warning
danger
worker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496A (ko
Inventor
송길훈
Original Assignee
송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길훈 filed Critical 송길훈
Priority to KR102014018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7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위험 대상체에 설치되어, 무선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위험 경고 신호를 송신하는 위험 경고 단말; 근로자에 착용되어, 무선 수신 수단을 통해 상기 위험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근로자 단말; 및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근로자가 위험 대상체에 접근할 경우 위험 경고 신호를 근로자가 착용한 근로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산업 현장의 위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상황별 경고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가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Apparatus for securing industrial site safety}
본 발명은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로서, 산업 현장의 위험 대상체의 위치를 근로자에게 알려주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는 기계, 기구, 설비에 의한 위험요소, 전기에 의한 감전 위험요소, 화재 폭발의 위험요소, 붕괴 및 낙하물의 위험요소, 유해한 물질에 의한 위험요소 등이 상시 존재한다. 즉, 산업 현장에서 사고를 많이 발생시키는 위험요소는 추락, 전도, 충돌, 낙하, 붕괴, 협착, 감전, 폭발, 파열, 화재, 무리한 동작이 있다.
산업 현장에는 작업주변의 환경이나 근로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근로자가 안전사고에 의한 사망이나 부상과 같은 산업재해를 입을 수 있는 제반 여건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는 곧바로 근로자의 노동력 상실과 산업 현장의 작업인력 손실 등을 동반하게 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 수 있다.
건설 현장내의 층간 슬라브에 뚫어져 있는 개구부와 같은 위험 지역은, 근로자가 흔히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층간 슬라브에는 다른 구조물을 연결하거나 설치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뚫어서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층간 슬라브의 개구부는 다른 구조물의 연결 혹은 설치가 완료되기까지 상당한 기간을 그대로 방치하게 된다. 이러한 층간 슬라브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는 그 층간 슬라브의 개구부를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지역으로 인식하고는 있으나, 순간적인 부주의나 무관심으로 인하여 근로자가 추락하여서 안전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위험요소에 의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요소에 따른 금지, 위험 경고, 지시, 안내 등을 표시하는 산업안전 표지판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안전 표지판은 위험요소에 접근하면 이를 미리 알려 주어 근로자가 이를 대비할 수 있는 심적 준비상태를 만들어 위험 요소를 회피하도록 하는 알림판이다.
그러나 산업안전 표지판은 시각적으로만 위험요소를 위험 경고하므로, 근로자가 주변환경과 혼돈되어 잘 알아보기 어렵거나, 집중력을 잃어 무시하는 경우 등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근로자가 표지판을 자주 접하다 보면, 위험에 대한 위험 경고에 무감각해져 위험요소에 대한 경계심을 잃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2494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산업 현장의 위험 대상체로부터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산업 현장의 위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상황별 경고 알람을 근로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위험 대상체에 설치되어, 무선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위험 경고 신호를 송신하는 위험 경고 단말; 근로자에 착용되어, 무선 수신 수단을 통해 상기 위험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근로자 단말; 및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경고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위험 경고 알람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근로자에 착용되어 근로자 위치를 파악하여 전송하며, 위험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근로자 단말; 위험 대상체에 설치되며,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위험 경고 단말과의 근접 거리가 미리 설정한 위험 거리 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근로자 단말에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험 경고 단말; 및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망;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 경고 단말은, 위험 경고 단말이 설치된 위험 경고 위치를 파악하는 위험 경고 위치 파악부;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위치와 근로자 단말의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위험 경고 단말 통신부; 상기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근로자 단말의 아이디를 할당한 위험 경고 대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위험 거리를 설정받아 저장한 위험 거리 데이터베이스;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할당하여 저장한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갱신하며,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의 근접 거리를 파악하는 근접 거리 파악부; 및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상기 근접 거리가 상기 위험 거리 내에 들어오는 경우,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이 포함된 위험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근로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근접 거리별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다르게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험 경고 메시지는, 상기 위험 경고 단말이 설치된 위험 대상체를 식별할 수 있는 위험 대상체 아이디가 기록된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근접 거리가 기록된 근접 거리 필드; 및 상기 근접 거리별로 할당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이 기록된 알람 패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로자 단말은, 수신한 위험 경고 메시지 내의 위험 대상체, 근접 거리를 추출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며, 상기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에 기록된 위험 대상체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며, 상기 근접 거리 필드에 기록된 근접 거리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며, 알람 패턴 필드 내에 기록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근로자가 위험 대상체에 접근할 경우 위험 경고 신호를 근로자가 착용한 근로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산업 현장의 위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상황별 경고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가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고 단말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 근접 거리 필드, 알람 패턴 필드를 도시한 위험 경고 메시지의 구성 필드.
도 5 내지 도 7은 위험 경고 단말과 근로자 단말 사이의 근접 거리를 각각 도시한 그림.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건설 현장에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산업안전 표지판은, 시각적으로만 위험요소를 위험 경고하므로, 근로자가 주변환경과 혼돈되어 잘 알아보기 어렵거나, 집중력을 잃어 무시하는 경우 등이 발생하여 안전 위험 경고에 효율적이지 않다. 또한 오디오를 통한 위험 경고 알람음을 출력하는 경우에도, 산업현장은 공사 및 작업 소음이 클 수 밖에 없어 위험 경고 알람음을 근로자가 들을 수 없어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데는 효율적이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력 투입없이도 안전 위험 경고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위험 경고 단말(200), 근로자 단말(100)을 구비한다.
위험 경고 단말(200)은 위험 대상체에 설치되어, 무선 송신 수단을 이용하여 위험 경고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이다. 위험 대상체로는 위험 지역, 위험 운전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지역으로는, 산업현장의 개구부 추락 위험 지역, 낙하물 위험 지역, 불꽃 발생 지역, 전기 감전 위험 지역, 추락 위험 지역, 출입 금지 지역, 협착 위험 지역, 화재 위험 지역, 유해가스집중 발생지역, 유독가스 보관지역, 고압선로 매설 및 통과지역, 과거 사고 발생지역, 안전관리자 판단 사고발생 위험지역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위험 운전체로는 지게차, 크레인, 포크레인, 각종 차량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위험 경고 단말(200)은 무선 송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는데, 무선 송신 모듈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기가 해당될 수 있다. 이밖에 다른 다양한 전파 송신 수단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무선 송신 모듈은 위험 경고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수신 대상을 한정하지 않고 위험 경고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위험 경고 단말(200)은,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상용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무선 송신 수단이 구비된 별도의 단말로서 제작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00)은, 근로자에 착용되어, 무선 수신 수단을 통해 위험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한다. 근로자 단말(100)은 근로자가 소지하는 단말이 될 수 있으며, 또는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착용품에 부착될 수 있다. 이밖에 클립형 헤드폰을 사용하여 산업 현장의 귀마개와 동시에 사용할수 있다. 무선 수신 수단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수신 수단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밖에 다른 다양한 전파 수신 수단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때 위험 경고 단말(200)과 근로자 단말(100)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사용하며, 위험 경고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여, 위험 경고 신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위험 경고 단말(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위험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근로자 단말(100)은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한다. 위험 경고 알람은 위험 경고 알람등, 위험 경고 알람음, 위험 경고 진동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램프, 스피커, 오디오잭, 진동 모터 등의 알람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지역에 근로자가 접근할 시에 빨란 위험 경고등을 점멸하면서 '추락 위험지역입니다'라는 위험 경고 안내 방송이나 위험 경고 점멸을 수행하여, 근로자가 위험 지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소음이 큰 작업 현장의 경우에는 오디오잭이 이어폰을 연결하여 근로자의 귀에 꽂음으로써 알람 위험 경고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지역에 근로자가 접근할 시에 빨란 위험 경고등을 점멸하면서 '추락 위험지역입니다'라는 위험 경고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소음이 큰 작업 현장의 경우에 진동 모터를 진동시켜 진동을 통하여 근로자가에 경고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경고 알람의 출력은 위험 경고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위험 경고 알람의 출력을 증가시켜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위험 경고 신호가 기준 신호 세기 대비 2dB 이상 큰 경우에는 1단계 크기의 위험 경고 알람을 발생하며, 위험 경고 신호가 기준 신호 세기 대비 4dB 이상 큰 경우에는 1단계 크기보다 더 큰 2단계 크기의 위험 경고 알람을 발생하며, 위험 경고 신호가 기준 신호 세기 대비 8dB 이상 큰 경우에는 2단계 크기보다 더 큰 3단계 크기의 위험 경고 알람을 발생한다. 위험 경고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위험 경고 신호의 세기가 커질수록 위험 경고 단말(200)을 착용한 근로자가 위험 지역에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 위험 경고 알람을 더욱 크게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 경고 알람의 출력을 크게 한다는 것은, 알람등의 점멸을 더 빠르게하며 알람 색상을 적색 계열로 점차적으로 출력하거나, 위험 경고 알람음의 음량을 더 크게 하여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의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험 경고 단말(200)이 위험 경고 신호를 전파 신호에 실어서 직접 브로드캐스팅하여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밖에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서 위험 경고 단말(200)과 근로자 단말(100)간의 위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정확한 위험 경고를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제2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고 단말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는, 무선 통신망(300), 위험 경고 단말(200), 근로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망(300)은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이다. 무선 통신망(300)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해당될 수 있다. 이밖에 다른 다양한 전파 송신 수단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이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은 기지국(BS : Base Station), 이동전화 교환국(MTSO : 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이외에,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험 경고 단말(200)은 위험 대상체에 설치되며, 근로자 단말(100)로부터 근로자 위치를 수신하여 위험 경고 단말(200)과의 근접 거리가 미리 설정한 위험 거리 내로 근접하는 경우 근로자 단말(100)에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험 대상체로는 위험 지역, 위험 운전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지역으로는, 산업현장의 개구부 추락 위험 지역, 낙하물 위험 지역, 불꽃 발생 지역, 전기 감전 위험 지역, 추락 위험 지역, 출입 금지 지역, 협착 위험 지역, 화재 위험 지역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위험 운전체로는 지게차, 크레인, 포크레인, 각종 차량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경고 단말(200)은,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상용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무선 송신 수단이 구비된 별도의 단말로서 제작될 수 있다.
위험 경고 단말(200)은 위험 경고 위치 파악부(220), 위험 경고 단말 통신부(210), 위험 경고 대상 데이터베이스(240), 위험 거리 데이터베이스(250),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260), 근접 거리 파악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경고 단말 통신부(210)는, 근로자 단말(100)로부터 근로자 위치와 근로자 단말(100)의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근로자 단말(100)에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험 경고 단말 통신부(210)는 RF 모듈(미도시), 변조 및 복조 모듈(미도시), 데이터 처리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위험 경고 단말(200)이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 4G(4Generation)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RF 모듈(미도시), 변조 및 복조 모듈(미도시), 데이터 처리 모듈(미도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위험 경고 위치 파악부(220)는 위험 경고 단말(200)이 설치된 위험 위치를 파악하는 위험 경고 위치를 파악하는 수단이다. GPS 모듈 등의 위치 정보 파악 수단을 이용하여 위험 경고 단말(200)의 위험 경고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위험 경고 단말(200)이 어느 특정 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관리자로부터 위험 경고 위치를 미리 입력받아 파악할 수 있다.
위험 경고 대상 데이터베이스(240)는,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근로자 단말(100)의 아이디를 할당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위험 경고 메시지를 일괄적으로 근로자 단말(100)에 모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선별적인 전송을 위하여, 위험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근로자 단말(100)의 아이디를 등록한 것이다.
예를 들어, 크레인에 위험 경고 단말(200)을 설치한 경우, 근로자 단말(100)을 소지한 크레인 기사가 크레인 운전을 위하여 크레인에 접근하는 경우 별도의 위험 경고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럴 경우 근로자 단말(100)을 소지한 크레인 기사가 크레인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크레인 기사가 소지한 근로자 단말(100)에는 위험 경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위험 경고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두는 것이다.
위험 거리 데이터베이스(250)는 위험 거리를 설정받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위험 거리 내에 들어오는 경우,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이 포함된 위험 경고 메시지를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하는데, 이때의 위험 거리를 설정받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20m의 작업 반경을 가지는 제1크레인에 설치되는 위험 경고 단말(200)의 경우에는 위험 거리가 20m로 설정되어 저장되며, 30m의 작업 반경을 가지는 제2크레인에 설치되는 위험 경고 단말(200)의 경우에는 위험 거리가 30m로 설정되어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추락 위험시에 부상 발생 확률이 없는 낮은 위험 지역에 설치되는 위험 경고 단말(200)의 경우에는 위험 거리가 2m로 설정되어 저장되며, 추락 위험시에 부상 정도가 심할 수 있는 최고 위험 지역에 설치되는 위험 경고 단말(200)의 경우에는 위험 거리가 10m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260)는, 근로자 단말(100)별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할당하여 저장한다. 위험 경고 알람은 위험 경고 알람등, 위험 경고 알람음, 위험 경고 진동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는데, 근로자 단말(100)을 착용한 근로자의 특성별로 각각 다른 위험 경고 알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위험 경고 알람 형태라 하더라도 근로자의 특성별로 각각 다를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이 불편한 근로자가 착용한 근로자 단말(100)에는 위험 경고 알람등이 아닌 위험 경고 알람음이나 위험 경고 진동이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청각 능력도 일반인보다 낮은 경우에는 위험 경고 알람음을 보통보다 더 큰 음량으로 출력하며 진동 역시 더 큰 진동량으로 출력하며, 일정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알람 출력하는 패턴 형태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260)는,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별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다르게 할당하여 저장한다. 근로자 단말(100)이 위험 경고 단말(200)에 접근해 오는 경우, 예컨대, 10m -> 8m -> 6m -> 4m ->... 등과 같이 접근해오는 경우, 경고 알람 패턴을 각각 다르게 출력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10m ~ 5m인 경우 1dB 음량의 위험 경고 알람음을 출력하며,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5m ~ 1m인 경우 5dB 음량의 위험 경고 알람음을 출력하며,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1m 이내로서 초근접한 경우에는 20dB 음량의 가장 큰 위험 경고 알람음을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위험 경고 대상 데이터베이스(240), 위험 경고 대상 데이터베이스(240), 위험 거리 데이터 베이스,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26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근접 거리 파악부(230)는, 근로자 단말(100)로부터 근로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갱신하며,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를 파악한다. 따라서 근로자 단말(100)이 위험 경고 단말(200)에 접근해 오는 경우, 예컨대, 10m -> 8m -> 6m -> 4m ->... 등과 같이 접근해오는 경우, 근접 거리 파악부(230)는 근로자 단말(100)로부터 근로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근로자 단말(100)로부터 근로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갱신하며,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를 파악한다.
제어부(240)는 상기의 위험 경고 위치 파악부(220), 위험 경고 단말 통신부(210), 위험 경고 대상 데이터베이스(240), 위험 거리 데이터베이스(250),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260), 근접 거리 파악부(230)를 제어하여,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상기 위험 거리 내에 들어오는 경우,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이 포함된 위험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위험 경고 메시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41), 근접 거리 필드(42), 알람 패턴 필드(43)를 포함한다.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41)는, 위험 경고 단말(200)이 설치된 위험 대상체를 식별할 수 있는 위험 대상체 아이디가 기록된 필드이다. 위험 경고 단말(200)이 설치된 위험 대상체가 설치된 위험 대상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위험 경고 단말(200)이 슬레이트 개구 추락 위험 지역에 설치된 경우, 슬레이트 개구 추락 위험 지역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를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41)에 기록한다. 마찬가지로 위험 경도 단말이 크레인에 설치된 겨우, 크레인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디를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41)에 기록한다.
근접 거리 필드(42)는,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기록된다.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이 10m 근접한 경우, 위험 경고 단말(200)은, 근접 거리 필드(42)에 '10m 근접 거리'를 기록하여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이후에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이 8m 근접한 경우, 위험 경고 단말(200)은, 근접 거리 필드(42)에 8m 근접 거리'를 기록하여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의 근접 거리가 설정 단위(예컨대 2m 단위)만큼 변화할때마 근접 거리를 근접 거리 필드(42)에 기록하여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알람 패턴 필드(43)는, 근접 거리별로 할당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이 기록된 데이터 필드이다.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이 10m 근접한 경우, 위험 경고 단말(200)은, 알람 패턴 필드(43)에 10m 근접 거리에 할당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260)에서 추출하여 알람 패턴 필드(43)에 기록하여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이후에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이 8m 근접한 경우, 위험 경고 단말(200)은, 근접 거리 필드(42)에 8m 근접 거리에 할당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260)에서 추출하여 알람 패턴 필드(43)에 기록한 후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의 근접 거리가 설정 단위(예컨대 2m 단위)만큼 변화할때마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알람 패턴 필드(43)에 기록한 후 근로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한편, 근로자 단말(100)은, 근로자에 착용되어 근로자 위치를 파악하여 전송하며, 위험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한다. 근로자 단말(100)은 근로자가 소지하는 단말이 될 수 있으며, 또는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착용품에 부착될 수 있다. 이밖에 클립형 헤드폰을 사용하여 산업 현장의 귀마개와 동시에 사용할수 있다. 이러한 근로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상용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근로자 단말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된 별도의 단말로서 제작될 수 있다.
근로자 단말 통신부(미도시)는, 근로자 위치를 위험 경고 단말(200)에 전송하며, 위험 경고 메시지를 위험 경고 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 근로자 단말(100) 통신부는 RF 모듈(미도시), 변조 및 복조 모듈(미도시), 데이터 처리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로자 단말(100)이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경우, 4G(4Generation)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RF 모듈(미도시), 변조 및 복조 모듈(미도시), 데이터 처리 모듈(미도시)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00)은, 위험 경고 알람음이 저장된 위험 경고 알람음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각 상황에 맞는 위험 경고 알람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100)은, 위험 경고 단말(200)로부터 위험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데, 이러한 위험 경고 알람은 이러한 위험 경고 알람은, 위험 경고 알람등, 위험 경고 알람음, 위험 경고 진동 등의 다양한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한 위험 경고 메시지 내의 위험 대상체, 근접 거리를 추출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위험 경고 알람은, 위험 경고 단말(200)이 설치된 위험 대상체별로, 근접 거리별로, 위험 경고 알람 패턴별로 각각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41)에 기록된 위험 대상체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으며, 근접 거리 필드(42)에 기록된 근접 거리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알람 패턴 필드(43) 내에 기록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우선,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41)에 기록된 위험 대상체별로 위험 경고 알람이 출력되는 예를 설명한다. 위험 대상체가 추락 위험 지역인 경우에는, 추락 위험 지역에 근로자가 접근할 시에 빨란 위험 경고등을 점멸하면서 '추락 위험지역입니다'라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근접 거리 필드(42)에 기록된 근접 거리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예를 설명한다. 근로자 단말(100)이 접근하여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10m-> 8m -> 6m -> 4m ->... 등과 같이 접근해오는 경우, 경고 알람 패턴을 각각 다르게 출력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10m ~ 5m인 경우 1dB 음량의 위험 경고 알람음을 출력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5m ~ 1m인 경우 5dB 음량의 위험 경고 알람음을 출력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로자 단말(100)과 위험 경고 단말(200)간의 근접 거리가 1m 이내로서 초근접한 경우에는 20dB 음량의 가장 큰 위험 경고 알람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 패턴 필드(43) 내에 기록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예를 설명한다. 근로자의 특성별로 각각 다를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이 불편한 근로자가 착용한 근로자 단말(100)에는 위험 경고 알람등이 아닌 위험 경고 알람음이나 위험 경고 진동이 할당되어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청각 능력도 일반인보다 낮은 경우에는 위험 경고 알람음을 보통보다 더 큰 음량으로 출력하며 진동 역시 더 큰 진동량으로 출력하며, 일정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알람 출력하는 패턴 형태를 가지도록 출력될 수 있다.
결국, 다음에 기재한 바와 같이 위험 경고 단말(200)이 설치된 위험 대상체로, 근접 거리, 위험 경고 알람 패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위험 경고 알람이 이루어질 수 있다.
-띵동, 이근처에는 LPG가스 시설이 있는 곳입니다. 화기를 엄수하고 흡연을 절대 금지합니다.
-띵동, 이곳은 자동문이 있는 곳입니다. 이동시 압착에 주의 하십시오.
-띵동, 반경 10미터 근처에 지게차(트럭)가 접근중입니다. 주의하십시오.
-반경 10미터 근처에 크레인이 접근중입니다 작업 중단하시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여 주십시오.
-반경 2미터에 추락 예상 구역이 있습니다, 이동간 유의 하십시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근로자 단말 200:위험 경고 단말
210:위험경고 단말통신부 220:위험경고 위치 파악부
230:근접 거리 파악부 240:위험경고대상 데이터베이스
250:위험 거리 데이터베이스 260: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근로자에 착용되어 근로자 위치를 파악하여 전송하며, 위험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근로자 단말;
    위험 대상체에 설치되며,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위험 경고 단말과의 근접 거리가 미리 설정한 위험 거리 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근로자 단말에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험 경고 단말; 및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상기 위험 경고 단말은,
    위험 경고 단말이 설치된 위험 경고 위치를 파악하는 위험 경고 위치 파악부;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위치와 근로자 단말의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위험 경고 단말 통신부;
    상기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근로자 단말의 아이디를 할당한 위험 경고 대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위험 거리를 설정받아 저장한 위험 거리 데이터베이스;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할당하여 저장한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
    상기 근로자 단말로부터 근로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갱신하며,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의 근접 거리를 파악하는 근접 거리 파악부; 및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상기 근접 거리가 상기 위험 거리 내에 들어오는 경우,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이 포함된 위험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근로자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 패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근접 거리별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을 다르게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위험 경고 메시지는,
    상기 위험 경고 단말이 설치된 위험 대상체를 식별할 수 있는 위험 대상체 아이디가 기록된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
    상기 근로자 단말과 위험 경고 단말간의 근접 거리가 기록된 근접 거리 필드; 및
    상기 근접 거리별로 할당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이 기록된 알람 패턴 필드;
    를 포함하는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 단말은,
    수신한 위험 경고 메시지 내의 위험 대상체, 근접 거리를 추출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하며,
    상기 위험 대상체 아이디 필드에 기록된 위험 대상체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며,
    상기 근접 거리 필드에 기록된 근접 거리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며,
    알람 패턴 필드 내에 기록된 위험 경고 알람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KR1020140180194A 2014-12-15 2014-12-15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KR101639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194A KR101639746B1 (ko) 2014-12-15 2014-12-15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194A KR101639746B1 (ko) 2014-12-15 2014-12-15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496A KR20160072496A (ko) 2016-06-23
KR101639746B1 true KR101639746B1 (ko) 2016-07-14

Family

ID=5635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194A KR101639746B1 (ko) 2014-12-15 2014-12-15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195A (ko) 2020-12-10 2022-06-17 이준희 산업용 스트레스 분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33B1 (ko) * 2018-04-23 2023-06-16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동작 경보 관리 장치 및 건설기계 동작 경보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545B1 (ko) * 2012-02-22 2013-06-1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사고·공사현장에 대한 위치기반 알림시스템
KR101448809B1 (ko) * 2014-01-09 2014-10-13 대한민국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6758B2 (en) 2003-04-03 2009-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appending a group of files to files on a clipboard of a desktop
KR20130085315A (ko) * 2012-01-19 2013-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람 식별을 기반으로 한 위험 인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545B1 (ko) * 2012-02-22 2013-06-1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사고·공사현장에 대한 위치기반 알림시스템
KR101448809B1 (ko) * 2014-01-09 2014-10-13 대한민국 벌도목 안전사고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195A (ko) 2020-12-10 2022-06-17 이준희 산업용 스트레스 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496A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8099B2 (en) Work block encroachment warning system
KR20170006095A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8939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KR101250774B1 (ko)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30802A (ko) 이동체 접근 경보 시스템
KR20220007460A (ko) 안전 보호구 착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101639746B1 (ko) 산업 현장 안전 확보 장치
JP6956018B2 (ja) 安全管理システム
KR101274545B1 (ko) 사고·공사현장에 대한 위치기반 알림시스템
KR101878943B1 (ko) 열차 접근 경보기 및 열차 접근 경보 방법
KR101490373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JP2017037516A (ja) トンネル内の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トンネル内の非常用設備
KR102250667B1 (ko) 위험지역 접근시 경보발생 시스템
JP2015005152A (ja) クレーンの吊り荷と作業員の接近警告システム
KR20170050211A (ko) 작업차량의 사고예방 관제 시스템
US10347106B2 (en) Virtual barrier system and method
KR20130119680A (ko) 사고 및 위험 방지 시스템
CN104766453A (zh) 一种基于汽车气囊的自动报警系统
EP3247166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sgabe von warnmeldungen
CN109178036B (zh) 一种列车接近预警方法、列车接近预警器以及装置
JP2015106328A (ja) 機能制限装置、機能制限システム、機能制限方法、及び機能制限プログラム
CN110312217B (zh) 基于智能安全帽的定位校准方法及云服务平台
KR101258905B1 (ko) Rtls를 이용하는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60119345A (ko) Its 시스템 내장형 사고 알림 장치 및 방법
GB257796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