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599A - 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599A
KR20230095599A KR1020210185241A KR20210185241A KR20230095599A KR 20230095599 A KR20230095599 A KR 20230095599A KR 1020210185241 A KR1020210185241 A KR 1020210185241A KR 20210185241 A KR20210185241 A KR 20210185241A KR 20230095599 A KR20230095599 A KR 2023009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inlet
pipe
main
sus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형진
양효성
남상현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210185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599A/en
Publication of KR2023009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5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8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of the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처리를 수행하는 서셉터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정챔버(100)의 처리공간(S)에 설치되며 기판(1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플레이트(210)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저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로드부(220)를 포함하는 서셉터(200)로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온도제어매체가 흐르는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은, 미리 설정된 길이 편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 각각의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sceptor for performing substrate processing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space (S) of the process chamber 100,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and a support ro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s a susceptor 200 including a portion 220,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through which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flows, and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 320) have the same length within a preset length deviation range, and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s 312 and 322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the support rod part. Disclosed is a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220).

Description

서셉터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처리를 수행하는 서셉터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sceptor for performing substrate processing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기판처리장치는, 특허문헌 1 및 2와 같이, 밀폐된 처리공간에 전원인가 등을 통하여 공정조건의 분위기에 서셉터 위에 안착된 기판 표면에 대하여 식각, 증착 등의 기판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As in Patent Documents 1 and 2, th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substrate processing such as etching and deposition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seated on a susceptor in an atmosphere of process conditions by applying power to an enclosed processing space. .

한편, 대형 기판, 다수의 기판들의 처리를 위하여 서셉터 또한 대면적화되고 있으며, 서셉터가 대형화되면서 기판의 안착면에 대한 공정조건, 특히 온도분포가 기판처리의 균일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On the other hand, for the processing of large substrates and multiple substrates, the susceptor is also being enlarged in size, and as the susceptor is enlarged, process conditions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particularly temperature distribution, greatly affect the uniformity of substrate processing.

예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온도제어를 위한 온도제어유로를 서셉터에 형성하고 온도제어유로에 물과 같은 온도제어매체를 흘려 서셉터에 대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Patent Document 1,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can be controlled by forming a temperature control passage for temperature control in the susceptor and flowing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such as water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구조를 가지는 서셉터의 경우 온도제어유로의 형성이 어려우며, 온도제어유로에 대한 온도제어매체를 주입 및 배출을 위한 배관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usceptor having a structur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t is difficult to form a temperature control passage, and a piping structure for injecting and discharging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 is complicated.

특히 온도제어매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배관은 SUS와 같은 금속배관의 사용에 따라 배관연결이 직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배관들이 좁은 공간을 가지는 서셉터의 지지로드부에 설치됨에 따라서 컴팩트한 배관구조가 필요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connection for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the use of a metal pipe such as SUS. A piping structure is required.

(특허문헌 1) KR 10-1736363 B1(Patent Document 1) KR 10-1736363 B1

(특허문헌 2) KR 10-2055370 B1(Patent Document 2) KR 10-205537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온도제어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온도제어유로들 각각에 대한 온도제어매체의 주입구 및 배출구를 대칭을 이루어 배치하여 서셉터 안착면에서의 균일한 온도제어가 가능한 서셉터 및 그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and arrang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symmetrically for each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so that the susceptor seating surface It is to provide a susceptor capable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정챔버(100)의 처리공간(S)에 설치되며 기판(1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플레이트(210)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저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로드부(220)를 포함하는 서셉터(200)로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온도제어매체가 흐르는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은, 미리 설정된 길이 편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 각각의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space (S) of the process chamber 100 and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and , A susceptor 200 including a support rod portion 2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wherein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controls a plurality of temperatures through which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flows. Flow paths 310 and 320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channels 310 and 320 have the same length within a preset length deviation range, and each inlet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channels 310 and 320 (311, 321) and outlets (312, 322)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rod portion (220). Initiate the scepter.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한 쌍의 가로변 및 한 쌍의 세로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평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세로변과 평행을 이루는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세로중심선(C1)에 의하여 한 쌍의 구획영역(A1, A2)으로 구획되며, 상기 온도제어유로(310, 320)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1유입구(311)로부터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다시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1배출구(312)로 연결되는 제1제어유로(310)와;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2유입구(321)로부터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상기 제1제어유로(310)의 내측에서 상기 제1제어유로(310)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어 다시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2배출구(322)로 연결되는 제2제어유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having a pair of horizontal sides and a pair of vertical sides, and a pair of partitioned areas by the virtual vertical center line C1 of the rectangle parallel to the vertical sides. (A1, A2), and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320) are connected from the first inlet (311) located in the support rod part (220) along the edges of the respective partitioned areas (A1, A2). a first control passage 310 extend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312 located in the support rod part 220; From the second inlet 321 located on the support rod part 220 to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inside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A second control passage 320 extend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322 located in the support rod part 220 may be included.

상기 제1제어유로(310) 및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and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may be formed in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rectangle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상기 제1제어유로(31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비대칭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is formed in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rectangle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and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s In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they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rectangle.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가상가로중심선(C2)에 의하여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을 구획되는 2개의 소영역 중 상기 제2유입구(321)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길이보다 상기 제2배출구(322)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s located in the small region where the second inlet 321 is located among the two small regions partitioning each of the partition regions A1 and A2 by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The length of the passage located in the small area where the second outlet 322 is located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age.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가상가로중심선(C2)에 의하여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을 구획되는 2개의 소영역 중 상기 제2유입구(321)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변곡점 개수 보다 상기 제2배출구(322)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변곡점 개수가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s located in the small region where the second inlet 321 is located among the two small regions partitioning each of the partition regions A1 and A2 by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the passages located in the small area where the second outlet 322 is located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the passages to be formed.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는,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 또는 선대칭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are 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the other one. and may be arranged point-symmetrically or line-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는, 시계방향으로 서로 인접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clockwise direction.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1유입구(311), 상기 제2배출구(322),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상기 제1배출구(312)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유입구(311), 상기 제2배출구(322),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상기 제1배출구(312)가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is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outlet 322,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first outlet 312 in a clockwise direction. Arranged in order,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is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outlet 322,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first outlet ( 312) may be disposed point-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미리 설정된 기준길이 대비 상기 길이 편차의 범위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ange of the length deviation relative to the preset reference length is preferably 5% or less.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제1배출구(312), 및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제2배출구(322)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각각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과 연결되고,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은, 상기 지지로드부(220) 내에서 설치되고, 일단이 메인유입관(491) 및 메인배출관(492)과 연결된 유로분기부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311 and the first outlet 312, and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second outlet 322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connector 331, the first discharge connector 332, the second inlet connector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or 342, respectively, and the first inlet connector 331 ),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re installed within the support rod part 220, and one end is the main inlet pipe 491 ) and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branch connected to the main discharge pipe 492.

상기 유로분기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1메인연결부(412)와,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형성된 제1유로분기부(410)와,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와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2메인연결부(422)와,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형성된 제2유로분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ath branch part has one end of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 331) and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The first flow path branch portion 410 is formed, and coupled to the first flow path branch portion 410, one end of which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and the other end are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20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 connection parts 421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tubes 342".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는, 상기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씩 형성되는 제1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상기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씩 형성되는 제2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하나의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와 상기 4개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연통되도록 상기 원통형의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10 has a first column shape in which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20 has a second column shape in which two of the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 connection parts 421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The second flow path branch part 420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10 so that the on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inserted into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의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되어 보조연결관(413, 414)에 의하여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와 연결되는 보조유로분기부(4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re connected at symmetrical position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and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 422) and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connectors 413 and 414,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low path branching portion 430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onnection portion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ortion 422. can do.

상기 유로분기부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가로질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상기 메인유입관(491)이 결합되며 제1유로분기부(440)와,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결합되는 제2유로분기부(4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는, 경계부터 시계방향으로 제1직접유로형성부(441),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제2직접유로형성부(443) 및 제2간접유로형성부(44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는, 경계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1직접유로형성부(451),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제2직접유로형성부(453) 및 제2간접유로형성부(45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44)는,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20)과 연통시키는 연통관(446)과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445)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54)는,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10)과 연통시키는 연통관(456)과 연결되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446)가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path branch part is coupled with the main inlet pipe 491 formed by divi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into two spaces, 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40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 is coupled, 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includes the first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1 and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2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undary. ), the second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3 and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forms the first direct flow path counterclockwise from the boundary. The part 451, the first indirect passage forming part 452, the second direct passage forming part 453, and the second indirect passage forming part 45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first indirect passage forming part 442 ) and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4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ipe 44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20 formed by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 a first connector 445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is formed, and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2 and the second indirect The flow path forming part 454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ipe 45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10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A second connector 446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may be formed.

본 발명은 또한, 밀폐된 처리공간(S)을 형성하는 공정챔버(100)와; 상기 처리공간(S)에서 설치되어 기판(10)이 안착되는 서셉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서셉터(2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process chamber 100 forming a closed processing space (S); Disclosed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susceptor 200 installed in the processing space S and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wherein the susceptor 200 has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서셉터 및 그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는, 복수의 온도제어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온도제어유로들 각각에 대한 온도제어매체의 주입구 및 배출구를 대칭을 이루어 배치하여 서셉터의 안착면에서의 균일한 온도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susceptor an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and arrang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symmetrically for each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so that the susceptor's seating surfa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uniformly.

또한, 서셉터에 복수의 온도제어유로들이 형성됨에 따라서 각 온도제어유로들에 대한 온도제어매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로공급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서셉터 상의 균일한 온도조건의 조성이 가능하여 온도제어유로들에 의한 온도제어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are formed in the susceptor, it is possible to create a uniform temperature condition on the susceptor by compactly configuring the passage supply structure for inflow and discharge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to each temperature control passage.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emperature control by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can be opt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의 기판처리장치의 서셉터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온도제어매체의 흐름을 다른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각각 도 1의 기판처리장치의 서셉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온도제어매체의 흐름을 다른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판처리장치 중 서섭터에 결합되는 유로분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a, 도 4에서 Ⅴ-Ⅴ'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1유로분기부 및 제2유로분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보조유로분기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보조유로분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기판처리장치 중 서섭터에 결합되는 유로분기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a, 도 7에서 Ⅸ-Ⅸ'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유로분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plan views showing one example of the susceptor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respectively, and are plan views showing the flow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in different cases.
3A and 3B are plan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usceptor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respectively, and are plan views showing different cases of flow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low path branching part coupled to a sursubter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
5A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in the direction V-V′,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low path branch and a second flow path branch.
6A is a plan view showing the auxiliary flow path branch shown in FIG. 4, and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xiliary flow path branch shown in FIG.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low path branching unit coupled to a sursubter 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
8A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in the IX-IX' direction, and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ow path branching portion shown in FIG. 7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처리공간(S)을 형성하는 공정챔버(100)와; 상기 처리공간(S)에 설치되며 기판(10)이 안착되는 서셉터(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chamber 100 forming a closed processing space S; It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space (S) and includes a susceptor 200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여기서 처리대상인 기판(10)은, 증착, 식각 등 기판처리가 수행되는 기판으로서, LCD 제조용 기판, OLED 제조용 기판, 태양전지 제조용 기판 등 평면형상이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기판이면 어떠한 기판도 가능하다.Here,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is a substrate on which substrate processing such as deposition and etching is performed, and any substrate can be used as long as it has a rectangular shape, particularly a rectangular shape, such as a substrate for LCD manufacturing, a substrate for OLED manufacturing, and a substrate for solar cell manufacturing. do.

그리고 상기 기판처리장치는, 마스크(미도시)를 상측에서 밀착시켜 패턴화된 증착, 식각 등의 기판처리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of course,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n perform substrate processing such as patterned deposition and etching by attaching a mask (not shown) from the upper side.

상기 공정챔버(100)는, 기판처리를 위한 밀폐된 처리공간(S)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process chamber 100 is configured to form a closed processing space S for substrate processing,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면, 상기 공정챔버(100)는, 상측이 개구된 챔버본체(110)와, 챔버본체(110)의 개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리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 chamber 100 may include a chamber body 110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an upper lid 120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chamber body 110 .

상기 챔버본체(110)는, 서셉터(200) 등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처리공간(S)에 기판(10)의 도입 및 배출을 위한 내측벽에 하나 이상의 게이트(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정챔버(100)는, 접지될 수 있다.The chamber body 1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sceptor 200 and the like are installed,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nd one or more gates 111 ar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the substrate 10 into the processing space S. ) can be formed. Also, the process chamber 100 may be grounded.

또한 상기 공정챔버(100)는, 수행되는 기판처리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공정조건에 따라 기판처리의 수행을 위한 처리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분사부(140), 기판처리 수행을 위한 전원인가시스템(미도시), 처리공간(S)의 압력 제어 및 배기를 위한 배기시스템(미도시) 등이 연결 또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chamber 10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substrate processing to be performed, and includes a gas injection unit 140 for supplying processing gas for substrate processing and substrate processing according to process conditions. A power supply system (not shown), an exhaust system (not shown) for pressure control and exhaust of the processing space (S), etc. may be connected or installed.

예로서, 상기 가스분사부(140)는, 서셉터(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정수행을 위한 가스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샤워헤드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gas spraying unit 140 is installed above the susceptor 200 to spray gas for performing a process, and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shower head are possible.

상기 가스분사부(140)는, 다수의 가스분사구(미도시)들이 형성되는 분사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서셉터(200)에 대향하는 상부전극으로서 접지되거나 또는 RF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The gas injection unit 140 may include a spray plate (not shown) on which a plurality of gas injection holes (not shown) are formed, and may be grounded as an upper electrode facing the susceptor 200 or applied with RF power. It can be.

상기 서셉터(200)는, 처리공간(S) 하측에 설치되어 기판(1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기판지지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usceptor 200 is installed below the processing space S to support the substrate 10,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substrate support structure.

그리고 상기 서셉터(200)는, 기판처리장치의 하부전극으로 접지되거나 또는 RF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The susceptor 200 may be grounded as a lower electrode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r RF power may be applied.

또한, 상기 서셉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111)를 통한 기판(10)의 도입 및 배출을 위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기판 로딩 또는 언로딩 시 기판을 들어올리기 위한 복수의 리프트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susceptor 200 may be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for introduction and discharge of the substrate 10 through the gate 111, and at this time, substrate loading or unloading A plurality of lift pins (not shown) for lifting the substrate may be installed.

상기 리프트핀은, 서셉터(20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서셉터(200)와 상대 상하이동을 통해 기판(10)을 서셉터(200) 상면에서 들어올리거나 또는 서셉터(200)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The lift pin is installed through the susceptor 200 and can lift the substrate 1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sceptor 200 or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sceptor 200 through relative vertical movement with the susceptor 200. can

한편, 상기 서셉터(200)는, 기판(10)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등 온도제어를 위하여 히터 등 온도제어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usceptor 200, a temperature control unit such as a heat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for temperature control such as heating or cooling the substrate 10.

상기 온도제어부는, 전기인가에 의하여 가열하는 히터, 온도제어매체가 순환는 온도제어유로 등을 포함하는 등, 기판(10)에 대한 서셉터(200)의 구조, 가열방식, 온도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ncludes various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usceptor 200 for the substrate 10, the heating method, and the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including a heater heated by applying electricity and a temperature control passage through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circulates. this is possibl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셉터(200)는, 온도제어매체가 순환하여 서셉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가 설치되는바, 이하 서셉터(200)의 구조와 연계하여 설명한다.In particular, in the suscep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by circulating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is installed, and will be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susceptor 200.

상기 서셉터(200)는, 기판(1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플레이트(210)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저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로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sceptor 200 may include a substrate seating plate 210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and a support rod portion 2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기판처리를 위하여 기판(10)이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기판(10)의 평면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is a configuration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for substrate processing,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planar shape of the substrate 10 .

예로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상기 기판(10)의 평면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기판(10)의 평면형상에 대응되어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10)이 평판 디스플레이를 위한 직사각형 평면형상을 갖는 기판(10)인 경우에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형상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lanar shape of the substrate 10 is a quadrangle,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substrate 10 . Specifically, when the substrate 10 is a substrate 10 having a rectangular planar shape for a flat panel display, the planar shap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may also have a rectangular shape.

상기 지지로드부(220)는,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저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기판안착플레이트(210)와 일체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upport rod part 220 extends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 and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being integrated with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re possible.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부(220)는, 온도제어매체 전달을 위한 유입연결관 및 배출연결관, 정전척(설치된 경우에 한함)에 대한 전원인가선 등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안착플레이트(210)에 RF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지지로드부(220) 내부에는 이를 위한 RF로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support rod part 220, an inlet connection pipe and an outlet connection pipe for transferring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a power supply line for an electrostatic chuck (limited to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therein. In addition, when RF power is applied to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n RF rod for thi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rod part 220.

한편, 상기 지지로드부(220)는, 기판상하이동모듈(미도시)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공정챔버(100)의 저면을 관통하여 기판상하이동모듈(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rod part 220 may be moved up and down by a substrate vertical movement module (not shown), and in particular,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vertical movement module (not shown) through the bottom of the process chamber 100. there is.

이때 상기 지지로드부(220)는, 공정챔버(100)의 저면 및 기판상하이동모듈 사이에 진공압 차단을 위하여 벨로우즈(212)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upport rod part 220, a bellows 212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cess chamber 100 and the substrate up-and-down movement module to block the vacuum pressure.

한편,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기판(1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온도제어매체가 순환하는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through which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circulat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10 .

여기서 상기 온도제어매체는, 물 등의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Here, a fluid such as water may be used as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은, 기판(1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유로로서, 온도제어매체가 흐르는 배관으로 구성되거나, 기계가공 등을 통하여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유로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passages formed in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10, and are composed of pipes through which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flows, or are used for machining or the like. Through this,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being composed of a flow path formed in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re possible.

한편,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에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on the substrate mounting plate 210 .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도 2a 내지 도 2c,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의 형성을 위하여 한 쌍의 가로변 및 한 쌍의 세로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평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세로변과 평행을 이루는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세로중심선(C1)에 의하여 한 쌍의 구획영역(A1, A2)으로 구획될 수 있다.Here, in forming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s shown in FIGS. 2A to 2C, 3A and 3B,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 320) has a rectangular plane shape having a pair of horizontal sides and a pair of vertical sides, and a pair of partitioned areas A1 by the virtual vertical center line C1 of the rectangle parallel to the vertical sides. , A2).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에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의 형성을 위하여 가상으로 구획되는 영역으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에서 1/2로 구획한 제1구획영역(A1)과 제2구획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are regions virtually partitioned for form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in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nd the rectangular substrate seating plate ( 21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ed area A1 and a second partitioned area A2 divided into 1/2.

상기 제1구획영역(A1)과 제2구획영역(A2)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상면을 동일한 크기로 2분할 영역으로서,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의 형성을 위한 가상으로 설정된 영역으로 정의된다.The first partition area A1 and the second partition area A2 divide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into two areas of the same size, and are used for form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It is defined as a virtual set area.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은,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각각에 배치되는 제1제어유로(310) 및 제2제어유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may include a first control passage 310 and a second control passage 320 disposed in each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상기 제1제어유로(310)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1유입구(311)로부터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다시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1배출구(312)로 연결되는 유로로서,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flow path 310 extends from the first inlet 311 located in the support rod part 220 along the edge of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to form the support rod part 220 again. As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312 located at , it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예로서, 상기 제1제어유로(31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지지로드부(220)를 중심으로 해당 구획영역(A1, A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has a rectangular shape along the edges of the corresponding partition areas A1 and A2 centered on the support rod part 220 in each of the compartment areas A1 and A2. can achieve

이때, 상기 제1제어유로(310)는, 리프트핀(미도시) 설치홀, 마스크 지지포스트(미도시)의 관통홀 등을 회피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of course,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may be formed by avoiding installation holes for lift pins (not shown) and through holes of mask support posts (not shown).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제1제어유로(310)의 내측, 즉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2유입구(321)로부터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상기 제1제어유로(310)의 내측에서 상기 제1제어유로(310)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어 다시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2배출구(322)로 연결되는 유로로서,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s formed from the second inlet 321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that is, the support rod part 220, and the first control passage 320 of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A passage that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to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322 located on the support rod part 220, and is formed in various patterns. It can be.

예로서,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제1제어유로(310)의 내측에서 자유곡선으로서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as free curves inside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한편, 상기 제1제어유로(310) 및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 및 배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A and 2B ,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and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are rectangular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based on the inlet and the outlet. It may be formed by making line symmetry based on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또한, 상기 제1제어유로(310) 및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 및 배출구를 기준으로, 유입구 및 배출구들이, 상기 직사각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and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as shown in FIG. 2C, have point symmetry based on the inlet and outlet, based on the center of the rectangle. can be formed.

즉,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1유입구(311), 상기 제2배출구(322),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상기 제1배출구(312)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유입구(311), 상기 제2배출구(322),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상기 제1배출구(312)가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That is,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is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outlet 322,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first outlet in a clockwise direction ( 312), an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includes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outlet 322,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first inlet 311. The outlet 312 may be disposed point-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도 2c와 같은 유로구조를 가지는 경우, 유로의 길이가 동일함과 아울러, 온도제어매체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다른 주변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 점대칭 구조로 인하여 기판안착플레이트(210) 상면에서 균일한 온도제어가 가능한 최적화된 구조로 판단된다.In the case of having a channel structure as shown in FIG. 2C, the length of the channel is the same, and the inlet and outlet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point-symmetric structure is not considered in other surrounding conditions. Due to this, it is determined as an optimized structure capable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또한, 상기 제1제어유로(310) 및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공정챔버(100)의 비대칭성을 고려하여,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유로(310) 및 상기 제2제어유로(320), 특히 상기 제2제어유로(320)가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비대칭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and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consider the asymmetry of the process chamber 100,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first control passage ( 310) and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n particular,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rectangle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there is.

여기서 상기 제1제어유로(31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may be arranged in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rectangle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상기와 같이, 상기 공정챔버(100) 내부환경의 비대칭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제1제어유로(310) 및 상기 제2제어유로(320), 특히 상기 제2제어유로(320)가 상기 공정챔버(100) 내부환경의 비대칭성을 보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symmetry of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process chamber 100,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and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particularly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The chamber 1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ompensates for the asymmetry of the internal environment.

예로서,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이 상기 가상가로중심선(C2)에 의하여 구획되는 2개의 소영역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는 유로의 길이가 나머지 하나에서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해당 소영역에서의 상대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econd control flow path 320, the length of the flow path located in any one of the two small areas in which the respective partition areas A1 and A2 are partitioned by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is the other one. By being formed longer than i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ative temperature in the small region.

더 나아가, 상기 제2제어유로(320)의 제2유입구(32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소영역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는 유로의 길이가 더 짧은 소영역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inlet 321 of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s located in a small reg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passage located in any one of the two small regions is shorter. desirable.

즉, 상기 제2제어유로(320)의 제2유입구(321)가 위치된 소영역은, 다른 소영역보다 유로의 길이가 더 짧고, 상기 제2제어유로(320)의 제2배출구(322)가 위치된 소영역은, 유로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mall area where the second inlet 321 of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s located has a shorter flow path than other small areas, and the second outlet 322 of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mall region where is located has a longer passage length.

정리하면,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가상가로중심선(C2)에 의하여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을 구획되는 2개의 소영역 중 상기 제2유입구(321)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길이보다 상기 제2배출구(322)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mmary,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s the small area where the second inlet 321 is located among the two small areas partitioning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by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passage located in the small region where the second outlet 322 is located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age located in the region.

또한, 유로 길이와 관련하여 다른 관점에서 보면,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가상가로중심선(C2)에 의하여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을 구획되는 2개의 소영역 중 상기 제2유입구(321)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변곡점 개수 보다 상기 제2배출구(322)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변곡점 개수가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rom another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the length of the flow path, the second control flow path 320 is the second control flow path 320 of the two small areas partitioning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by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passages located in the small region where the second outlet 322 is located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passages located in the small region where the second inlet 321 is located.

참고로, 도 3a에 도시된 유로배치 및 흐름구조를 가지는 기판안착플레이트에 대한 실험에 따르면, 도 3a의 기판안착플레이트의 경우 온도 표준편차가 0.302℃이고, 도 3a의 유로배치에서 유입구 및 배출구가 반대로 위치되는 경우 온도 표준편차가 0.216℃로 상기 제2제어유로(320)의 제2배출구(322)가 위치된 소영역에서 유로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되는 구조가 온도균일도가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For re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n the substrate seating plate having the flow path arrangement and flow structure shown in FIG. 3A,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of FIG. 3A is 0.302° C., and the inlet and outlet are In the opposite case,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is 0.216 ° C,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of the passage is longer in the small area where the second outlet 322 of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is located further improves the temperature uniformity. there is.

한편,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은, 유로의 길이가 다른 경우 유량 및 유속에 차이가 발생하여 각 온도제어유로(310, 320)에 의한 발열량 또는 흡열량이 달라져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표면에서 온도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formed on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when the lengths of the passages are different, a difference in flow rate and flow rate occur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each temperature control passage 310 and 320. Alternativ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temperature deviation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due to a change in heat absorption.

구체적으로, 유속의 저항은, 유로의 길이, 매체의 점도에 비례하며, 유로의 직경에 반비례하는데, 유로의 직경 및 매체의 종류가 특정된 상태에서 유로의 길이가 유속의 저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Specifically, the resistance of the flow velocity is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flow path and the viscosity of the medium, and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going crazy

이에,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의 길이는, 서로 동일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equal to each other.

즉,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면, 각 유로를 흐르는 매체의 유량 및 유속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유로에 의한 온도제어효과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the same, the flow rate and velocity of the medium flowing through each passage can be set substantially the same, so the uniformity of the temperature control effect by each passage is improved. can make it

여기서 상기 온도제어유로(310, 320)의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KGS 등의 단위 기준으로 정확하게 같은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온도제어유로(310, 320)를 통한 온도제어매체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길이로 정의되며, 본 발명에서 기준길이 대비 길이 편차의 범위가 5% 이하인 경우 길이가 동일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meaning that the lengths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the same means that the flow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is substantially It is defined as the same degree of length,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nge of length deviation compared to the reference length is 5% or less, the length may be defined as the same.

또한, 상기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의 횡단면의, 즉 유로관의 크기 또한 길이의 동일성의 정의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that is, the size of the passage pipe may be defined in the same way as the definition of the same length.

참고로, 온도제어유로(310, 320)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면서, 도 2a 및 도 2b의 유로배치 및 흐름구조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 표준편차가 0.170℃ 및 0.244℃로서, 온도제어유로의 길이가 다른 종래의 기판안착플레이트의 경우 온도 표준편차가 0.278℃로 온도 균일도가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For reference, while the lengths of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the same, in the case of the passage arrangement and flow structure of FIGS. 2A and 2B, 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are 0.170° C. and 0.244° C.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ubstrate mounting plate having a different leng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uniformity was greatly improved with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0.278 ° C.

더 나아가, 도 3a에 도시된 유로배치 및 흐름구조에 더하여 유로가 동일한 경우, 온도 표준편차가 0.216℃로 종래구조에 비하여 온도 균일도가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same flow path in addition to the flow path arrangement and flow structure shown in FIG. 3A,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uniformity was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with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0.216 ° C.

한편,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 각각의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는,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선대칭, 점대칭)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s 312 and 322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as shown in FIGS. 2A, 2B and 2C, the support rod part ( 220) is preferably arranged symmetrically (line-symmetrically or point-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특히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 각각의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는, 도 2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선대칭 또는 점대칭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s 312 and 322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as shown in FIGS. 2A to 3C, the plan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It may be arranged in line symmetry or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mage.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도 2b, 도 2c, 3b) 또는 선대칭(도 2a 및 도 3a)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are the first inlet of the other one. 311,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substrate seat plate 210 may be arranged in point symmetry (FIGS. 2B, 2C, 3B) or line symmetry (FIGS. 2A and 3A) based on the center of the plane. there is.

여기서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는, 시계방향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반대방향의 배관에 대하여 후술하는 메인유입관(491)과의 관연결구조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Here, 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clockwise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limit in the pip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main inlet pipe 491 to be described later for pipes in opposite directions.

한편, 상기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의 배치구조는, 실험에 따르면 점대칭(도 2b 및 도 2c의 배치구조)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균일도가 보다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experiment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s 312 and 322 is point symmetrical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FIGS. 2B and 2C), and the uniformity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on a plane It can be seen that the improvement is further improved.

참고로, 도 2a에 도시된 유로배치 및 흐름구조를 가지는 기판안착플레이트에 대한 온도의 표준편차는 0.170℃로 도 2b에 도시된 유로배치 및 흐름구조의 기판안착플레이트의 경우 0.244℃로 온도균일도가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For reference,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temperature for the substrate seating plate having the flow path arrangement and flow structure shown in FIG. 2a is 0.170° C., and the temperature uniformity is 0.244° C. for the substrate seating plate with the flow path arrangement and flow structure shown in FIG. 2b. higher was confirmed.

이는, 상기 온도제어유로(310, 320)를 흐르는 온도제어매체의 온도가 상기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에서의 편차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This is interpreted as being caused by the devi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flowing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t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s 312 and 322 .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면 도 2a 및 도 2c의 흐름구조 및 도 3a 및 도 3b의 유로배치를 조합하면, 보다 향상된 온도 균일도가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Considering the above points, it is determined that a more improved temperature uniformity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the flow structure of FIGS. 2A and 2C and the flow path arrangement of FIGS. 3A and 3B.

한편, 고온의 온도제어매체가 유입구(311, 321)로 유입될 때 배출구(312, 322)로 배출되는 온도제어매체에서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하나씩 번갈아가면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s 312 and 322 is relatively low when the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control medium flows into the inlets 311 and 321,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 312, 322) is preferably arranged alternately one by on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그러나 상기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로의 온도제어매체 공급관을 지지로드부(220) 내에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제1유입구(311), 제2유입구(321), 제2배출구(322), 제1배출구(312), 제1유입구(311), 제2유입구(321), 제2배출구(332), 제1배출구(312)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re is a limit to installing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supply pipes to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s 312 and 322 within the support rod part 220, as shown in FIG. 2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inlet 321, the second outlet 322, the first outlet 312,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inlet 321, the second outlet 332, 1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outlet 312.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의 배치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온도제어매체의 유입 배출구조, 즉 유로분기부의 구성이 필요하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s 312 and 322 as shown in FIG. 2A, a structure for inflow and discharge of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from the outside, that is, a configuration of a flow path branch is required.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제1배출구(312), 및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제2배출구(322)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The first inlet 311 and the first outlet 312, and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second outlet 322 rotate clockwi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Or it needs to be arranged counterclockwise.

그리고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제1배출구(312), 및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제2배출구(322)는, 각각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과 연결된다.And, the first inlet 311 and the first outlet 312, and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second outlet 322 have a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a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respectively. ),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re connect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은, 상기 지지로드부(220) 내에서 설치되고, 일단이 메인유입관(491) 및 메인배출관(492)과 연결된 유로분기부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And in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re the support rod portion ( 220), and one end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branching part connected to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상기 유로분기부는, 상기 지지로드부(220) 내에서 설치되고, 일단이 메인유입관(491) 및 메인배출관(492)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과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유로의 분기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passage branch is installed in the support rod part 2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first discharge pipe. A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pipe 332,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branching structure of the flow path.

특히 상기 유로분기부는,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바, 하나의 메인유입관(491) 및 메인배출관(492)과의 연결구조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flow path branch,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it is arranged, it needs to be composed of a connection structure with one main inlet pipe 491 and one main discharge pipe 492.

상기 유로분기부의 일 예로서, 상기 유로분기부는,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을 이루는 제1유로분기부(410)와,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의 내주측에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2유로분기부(420)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flow path branching part, as shown in FIGS. 4, 5A and 5B,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10 forming a columnar shape, 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10 It may include a second flow path branching portion 420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and integrally coupled.

여기서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 및 제2유로분기부(420)의 상호결합에 의하여, 지지로드부(220)의 연속된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의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by mutual coupling of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10 and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20, the support rod part 220 may have a single cylindrical shape to form a continuous outer shape.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는, 일단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1메인연결부(412)와,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1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nd the other end A plurality of duct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i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ne-way connection portion 411 is formed.

예로서,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는, 전체 형상이 원통형상을 이루고 후술하는 제2유로분기부(4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low path branch 4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n opening into which a second flow path branch 42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그리고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는, 상면에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1메인연결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10,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first A plurality of first passage connection parts 411 connected to any one of the two discharge connection pipes 342" are formed, and directly or indirectly with any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on the bottom surface. A first main connection portion 412 to be connected may be formed.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의 재질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제2유로분기부(420) 및 배관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first flow path branch 41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and the second flow path branch 420 and pipes described later may be joined by welding.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와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2메인연결부(422)와,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second flow path branch part 420 is coupled to the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10 and has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2 The main connection part 422 and the other end are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 connectors 421 connected to the other one are formed,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로서,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내부공간(S20)을 가지는 원통형상인 제1유로분기부(410)가 삽입될 수 있는 기둥형상을 가지며, 내부공간(S10)을 가지며 횡단면 형상이 대칭형상으로서 리본 형상을 가지는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second passage branch 420 has a columnar shape into which the cylindrical first passage branch 410 having an internal space S20 can be inserted, has an internal space S10,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As this symmetrical shape, various shapes such as having a ribbon shape are possible.

특히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제2유로연결부(421)의 형성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측에서 보았을 때 평면형상이 가장자리 부분에서 충분히 큰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20 has a planar shape and has a sufficiently large size at the edge when viewed from abov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ormation of the second flow path connection part 421 .

그리고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상면에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2메인연결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And the second passage branch 420,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first A plurality of second passage connection parts 421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two discharge connection pipes 342" are formed, and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bottom surface. A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connected thereto may be formed.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의 재질은,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제1유로분기부(410) 및 배관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econd flow path branch 42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such as aluminum, aluminum alloy, or stainless steel, 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 410 and the pipe may be welded together.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 및 제2유로분기부(420)의 구성 및 결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of the first passage branch 410 and the second passage branch 42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가 상기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씩 형성되는 제1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First, the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10 has a first column shape in which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can

그리고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상기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씩 형성되는 제2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20 has a second column shape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 connection parts 421 are formed by two at opposite position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can

마지막으로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하나의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와 상기 4개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연통되도록 상기 원통형의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후 용접 등에 의하여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와 고정결합될 수 있다.Finally,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20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10 so that one of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s 412 and the four first flow path connecting parts 4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fter being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passage branch 410 by welding or the like.

즉,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 및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의 결합 후,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의 외주면 및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의 내주면 사이의 틈(S30)을 통하여 제2유로분기부(420)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제2유로분기부(4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10)과 분리된 하나의 공간(S20)으로 유지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first flow path branch 410 and the second flow path branch 420 are coupl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branch 4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ow path branch 410 are separated. Despite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flow path branch 420 through the gap S30, it can be maintained as one space S20 separated from the space S10 formed by the second flow path branch 420.

한편,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에 연결되는 제1메인연결부(412) 및 제2메인연결부(42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형성되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의 연결이 원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connected to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re, as shown in FIG. 5B, the support rod part 220 ) Is formed eccentricall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ha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is not smooth.

이에, 도 4 및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의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되어 보조연결관(413, 414)에 의하여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와 연결되는 보조유로분기부(4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4 and 6A and 6B,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re connect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 422)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assage branching portion 430 connected to it.

상기 보조유로분기부(430)는,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의 연결위치를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에 대칭된 위치로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auxiliary flow path branching part 4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is located in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As such,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로서, 상기 보조유로분기부(43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보조연결관(413, 414)이 연결되는 연결구(433, 434)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연결되는 연결구(435, 436)이 형성된 원통형 실린더(431)와, 상기 원통형 실린더(431)를 축방향으로 구획하여 제1보조연결관(413) 및 제2보조연결관(414)의 연통을 차단하는 격벽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auxiliary flow path branching part 430 has connectors 433 and 434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nectors 413 and 4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main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A cylindrical cylinder 431 formed with connectors 435 and 436 connecting the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nd the first auxiliary connector 413 by dividing the cylindrical cylinder 431 in the axial direction And it may include a barrier rib portion 432 to block the communication of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pipe (414).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보조유로분기부(430)는,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의 연결위치를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에 대칭된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flow path branching part 430 makes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symmetrical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position can be placed.

한편, 도 4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423는, 보조유로분기부(430)를 제1유로분기부(4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가리킨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423 not described in FIG. 4 denotes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auxiliary passage branch 430 to the first passage branch 410 .

상기 유로분기부의 다른 예로서, 상기 유로분기부는,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가로질러 2개의 공간(S10, S20)으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상기 메인유입관(491)이 결합되며 제1유로분기부(440)와,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결합되는 제2유로분기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flow path branching part, as shown in FIGS. 7, 8A and 8B, the flow path branching part is divided into two spaces S10 and S20 across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It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to which the formed main inlet pipe 491 is coupled, and a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to which the main discharge pipe 492 is coupled.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유로분기부는, 내부에 서로 분리된 2개의 공간(S10, S20)이 형성된 원통형 실린더(449)와, 원통형 실린더(449)에서 2개의 공간(S10, S20)로 구획하는 격벽부(448)로 구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low path branch part has a cylindrical cylinder 449 in which two spaces S10 and S20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formed, and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cylindrical cylinder 449 into two spaces S10 and S20. (448).

그리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449)의 상면,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의 상면은, 경계부터 시계방향으로 제1직접유로형성부(441),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제2직접유로형성부(443) 및 제2간접유로형성부(444)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ylinder 449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are the first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1,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2, and the second flow path forming part 442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undary. The direct passage forming part 443 and the second indirect passage forming part 444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한편,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44)는,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10)이 아닌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20)과 연통되어야 하는바 각각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20)과 연통시키는 연통관(446)과 연결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2 and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4 are not the space S10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but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It should communicate with the space S20 formed by the 45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ipe 44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20 formed by the second passage branch 450, respectively.

상기 연통관(446)은,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44)와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20)과 연통시키는 배관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pipe 446 communicates with the space S20 formed by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2,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4, and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As such,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한편,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445)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first connector 445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ssage branch 440 .

그리고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의 상면은, 경계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1직접유로형성부(451),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제2직접유로형성부(453) 및 제2간접유로형성부(454)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is a first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1, a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2, a second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3,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undary. The second indirect passage forming parts 454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54)는,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20)이 아닌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10)과 연통되어야 하는바 각각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10)과 연통시키는 연통관(456)과 연결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2 and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4 are not the space S20 formed by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but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It should communicate with the space S10 formed by the 44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ipe 45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10 formed by the first passage branch 440, respectively.

상기 연통관(456)은,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54)와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10)과 연통시키는 배관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pipe 456 communicates with the space S10 formed by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2,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4, 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As such,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한편,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446)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connector 446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ssage branch 450 .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유로분기부(450)는, 원통형 실린더, 원판 및 배관의 조합에 의하여 가공 및 성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And, the second passage branch 45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rocessing and molding by combining a cylindrical cylinder, a disk, and a pip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로분기부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 각각의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의 숫자 및 배치에 맞추어 안정적으로 온도제어매체의 유입 및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The passage branch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cludes the inlets 311 and 321 and outlets 312, respectively,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from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322), the temperature control medium can be stably introduced and discharg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only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not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together with the root are all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공정챔버 200 : 서셉터
310, 320 : 온도제어유로
311, 321 : 유입구 312, 322 : 배출구
100: process chamber 200: susceptor
310, 320: temperature control passage
311, 321: inlet 312, 322: outlet

Claims (26)

공정챔버(100)의 처리공간(S)에 설치되며 기판(1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플레이트(210)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저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로드부(220)를 포함하는 서셉터(200)로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온도제어매체가 흐르는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은, 미리 설정된 길이 편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온도제어유로(310, 320)들 각각의 유입구(311, 321) 및 배출구(312, 322)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A substrate seating plate 210 installed in the processing space S of the process chamber 100 and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and a support rod portion 2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s the susceptor 200 including,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through which a temperature control medium flows,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have the same length within a preset length deviation range,
The inlets 311 and 321 and the outlets 312 and 322 of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are located on the plan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rod part 220. A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는, 한 쌍의 가로변 및 한 쌍의 세로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평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세로변과 평행을 이루는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세로중심선(C1)에 의하여 한 쌍의 구획영역(A1, A2)으로 구획되며,
상기 온도제어유로(310, 320)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1유입구(311)로부터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어 다시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1배출구(312)로 연결되는 제1제어유로(310)와;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2유입구(321)로부터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상기 제1제어유로(310)의 내측에서 상기 제1제어유로(310)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어 다시 상기 지지로드부(220)에 위치된 제2배출구(322)로 연결되는 제2제어유로(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having a pair of horizontal sides and a pair of vertical sides, and a pair of partitioned areas by the virtual vertical center line C1 of the rectangle parallel to the vertical sides. It is divided into (A1, A2),
The temperature control passages 310 and 320,
From the first inlet 311 located on the support rod part 220 to the first outlet 312 located on the support rod part 220 extending along the edge of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a first control passage 310 connected thereto;
From the second inlet 321 located on the support rod part 220 to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inside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The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ntrol passage 320 extend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322 located in the support rod part 220 aga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유로(310) 및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and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The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rectangle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유로(31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가상가로중심선(C2)을 기준으로 비대칭을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trol passage 310,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line symmetry is formed based on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rectangle,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The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of the rectangle in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가상가로중심선(C2)에 의하여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을 구획되는 2개의 소영역 중 상기 제2유입구(321)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길이보다 상기 제2배출구(322)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The second outlet ( A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passage located in the small region where 322) is located is formed long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유로(320)는,
상기 가상가로중심선(C2)에 의하여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을 구획되는 2개의 소영역 중 상기 제2유입구(321)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변곡점 개수 보다 상기 제2배출구(322)가 위치된 소영역에 위치되는 유로의 변곡점 개수가 더 많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control passage 320,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passages located in the small region where the second inlet 321 is located among the two small regions dividing each of the partition regions A1 and A2 by the virtual horizontal center line C2. A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the passage located in the small region where 322 is located is larger.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는,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와 상기 기판안착플레이트(210)의 평면상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 또는 선대칭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to 6,
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are 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the other one. and a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point-symmetrically or line-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ane of the substrate seating plate 2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는, 시계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to 6,
The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2)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clockwise direction.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1유입구(311), 상기 제2배출구(322),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상기 제1배출구(312)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유입구(311), 상기 제2배출구(322),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상기 제1배출구(312)가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to 6,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is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outlet 322,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first outlet 312 in a clockwise direction. arranged in order,
I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outlet 322,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first outlet 312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point-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길이 대비 상기 길이 편차의 범위는,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the length deviation relative to the preset reference length is 5% or les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제1배출구(312), 및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제2배출구(322)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각각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과 연결되고,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은, 상기 지지로드부(220) 내에서 설치되고, 일단이 메인유입관(491) 및 메인배출관(492)과 연결된 유로분기부의 타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inlet 311 and the first outlet 312, and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second outlet 322,
I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ortion 220,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connector 331, the first discharge connector 332, the second inlet connector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or 342, respectively,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re installed within the support rod part 220, ,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branch connected to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로분기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1메인연결부(412)와,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형성된 제1유로분기부(410)와,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와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2메인연결부(422)와,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형성된 제2유로분기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low path branch,
A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nd the other end having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first A first flow path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connected to either one of two inlet connection pipes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re formed. With the branching part 410,
A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coupled to the first passage branch 410 and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nd the other end " A plurality of pluralities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The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flow path branching portion 420 in which the second flow path connection portion 421 is form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는,
상기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씩 형성되는 제1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상기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씩 형성되는 제2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하나의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와 상기 4개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연통되도록 상기 원통형의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passage branch 410,
The plurality of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have a first column shape formed by two at opposite position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20 has a second column shape in which two of the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 connection parts 421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The second flow path branch part 420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10 so that the on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의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되어 보조연결관(413, 414)에 의하여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와 연결되는 보조유로분기부(4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12,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re connected at symmetrical position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are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by means of auxiliary connecting pipes 413 and 414. )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assage branch 430 connected to.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로분기부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가로질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상기 메인유입관(491)이 결합되며 제1유로분기부(440)와,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결합되는 제2유로분기부(4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는, 경계부터 시계방향으로 제1직접유로형성부(441),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제2직접유로형성부(443) 및 제2간접유로형성부(44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는, 경계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1직접유로형성부(451),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제2직접유로형성부(453) 및 제2간접유로형성부(45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44)는,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20)과 연통시키는 연통관(446)과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445)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54)는,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10)과 연통시키는 연통관(456)과 연결되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4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셉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low path branch,
The main inlet pipe 491 formed by divi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into two spaces is coupled, 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40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re coupled. It includes a 2-way branch 450,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includes a first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1, a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2, a second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3, and a second indirect flow path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undary. Forming portions 44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comprises a first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1, a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2, a second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3, and a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1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undary. Flow path forming parts 45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2 and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4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ipe 44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20 formed by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
A first connector 445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ssage branch 440,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2 and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4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ipe 45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10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
Suscep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nector 446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branch part 450.
밀폐된 처리공간(S)을 형성하는 공정챔버(100)와;
상기 처리공간(S)에서 설치되어 기판(10)이 안착되는 서셉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서셉터(200)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서셉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a process chamber 100 forming a closed processing space S;
It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space (S) and includes a susceptor 200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The susceptor 200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scep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청구항 16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길이 대비 상기 길이 편차의 범위가 5% 이하인 경우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the length deviation relative to the preset reference length is 5% or less.
밀폐된 처리공간(S)을 형성하는 공정챔버(100)와;
상기 처리공간(S)에서 설치되어 기판(10)이 안착되는 서셉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서셉터(200)는, 청구항 7에 따른 서셉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a process chamber 100 forming a closed processing space S;
It is installed in the processing space (S) and includes a susceptor 200 on which the substrate 10 is seated,
The susceptor 200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sceptor according to claim 7.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각 구획영역(A1, A2)의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상기 제2유입구(321)는, 시계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let 311 and the second inlet 321 of each of the partition areas A1 and A2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clockwise direction.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1유입구(311), 상기 제2배출구(322),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상기 제1배출구(312)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유입구(311), 상기 제2배출구(322),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상기 제1배출구(312)가 상기 한 쌍의 구획영역(A1, A2)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is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outlet 322,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first outlet 312 in a clockwise direction. arranged in order,
I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nd A2, the first inlet 311, the second outlet 322,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first outlet 312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point-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pair of partition areas (A1, A2).
청구항 18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길이 대비 상기 길이 편차의 범위가 5% 이하인 경우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the length deviation relative to the preset reference length is 5% or less.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구(311) 및 제1배출구(312), 및 상기 제2유입구(321) 및 제2배출구(322)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며,
각각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과 연결되고,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제1배출연결관(332), 제2유입연결관(341), 및 제2배출연결관(342)은, 상기 지지로드부(220) 내에서 설치되고, 일단이 메인유입관(491) 및 메인배출관(492)과 연결된 유로분기부의 타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rst inlet 311 and the first outlet 312, and the second inlet 321 and the second outlet 322,
I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ortion 220,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connector 331, the first discharge connector 332, the second inlet connector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or 342, respectively,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re installed within the support rod part 220, ,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branching part connected to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유로분기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1메인연결부(412)와,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형성된 제1유로분기부(410)와,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와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는 제2메인연결부(422)와, 타단이 "상기 제1유입연결관(331) 및 상기 제2유입연결관(341)", 및 "상기 제1배출연결관(332) 및 상기 제2배출연결관(34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된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형성된 제2유로분기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The flow path branch,
A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nd the other end having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first A first flow path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connected to either one of two inlet connection pipes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re formed. With the branching part 410,
A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coupled to the first passage branch 410 and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nd the other end " A plurality of pluralities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inlet connection pipe 331 and the second inlet connection pipe 341" and "the first discharge connection pipe 332 and the second discharge connection pipe 342".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flow path branching portion 420 in which a second flow path connection portion 421 is formed.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는,
상기 복수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씩 형성되는 제1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상기 복수의 제2유로연결부(421)가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2개씩 형성되는 제2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20)는, 하나의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와 상기 4개의 제1유로연결부(411)가 연통되도록 상기 원통형의 상기 제1유로분기부(410)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3
The first passage branch 410,
The plurality of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have a first column shape formed by two at opposite position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20 has a second column shape in which two of the plurality of second flow path connection parts 421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The second flow path branch part 420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10 so that the on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four first flow path connection parts 4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연결되며,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의 위치에 대응되어 위치되어 보조연결관(413, 414)에 의하여 상기 제1메인연결부(412) 및 상기 제2메인연결부(422)와 연결되는 보조유로분기부(4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2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re connected at symmetrical position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are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main connection part 412 and the second main connection part 422 by means of auxiliary connecting pipes 413 and 414.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assage branch 430 connected to.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유로분기부는,
상기 지지로드부(220)의 중심축을 가로질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상기 메인유입관(491)이 결합되며 제1유로분기부(440)와, 상기 메인배출관(492)이 결합되는 제2유로분기부(4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는, 경계부터 시계방향으로 제1직접유로형성부(441),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제2직접유로형성부(443) 및 제2간접유로형성부(44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는, 경계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1직접유로형성부(451),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제2직접유로형성부(453) 및 제2간접유로형성부(45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4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44)는,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20)과 연통시키는 연통관(446)과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445)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접유로형성부(452) 및 상기 제2간접유로형성부(454)는, 상기 제1유로분기부(4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S10)과 연통시키는 연통관(456)과 연결되며,
상기 제2유로분기부(450)의 저면에는, 상기 메인유입관(491) 및 상기 메인배출관(492)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4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flow path branch,
The main inlet pipe 491 formed by divi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upport rod part 220 into two spaces is coupled, and the first flow path branch part 440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are coupled. It includes a 2-way branch 450,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includes a first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1, a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2, a second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3, and a second indirect flow path in a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undary. Forming portions 44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comprises a first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1, a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2, a second 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3, and a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1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boundary. Flow path forming parts 454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2 and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44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ipe 44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20 formed by the second flow path branching part 450, ,
A first connector 445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assage branch 440,
The first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2 and the second indirect flow path forming part 454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ipe 456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10 formed by the first flow path branching part 440, ,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connector 446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inlet pipe 491 and the main discharge pipe 49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low path branch part 450.
KR1020210185241A 2021-12-22 2021-12-22 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KR202300955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241A KR20230095599A (en) 2021-12-22 2021-12-22 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241A KR20230095599A (en) 2021-12-22 2021-12-22 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599A true KR20230095599A (en) 2023-06-29

Family

ID=8694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241A KR20230095599A (en) 2021-12-22 2021-12-22 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59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3843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150129165A1 (en) Pixilated cooling, temperature controlled substrate support assembly
US2011018023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uniformity of a showerhead
US20120000629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16016959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uniformity of a substrate
KR102564514B1 (en) Azimuthal mixer
KR20060133656A (en) Cooling apparatus of electrostatic chuck for semiconductor equipment
US1078044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uniformity of a showerhead
KR20230095599A (en) Susceptor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TWI576462B (en) A reaction gas delivery device and a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an epitaxial layer growth reactor
CN114551205A (en) Gas supply module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565534B1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
KR101538461B1 (en) Substrate process apparatus
CN109790620B (en) Laminar gas distributor with temperature control by fluid
KR102408386B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6776160B2 (en) Shower plate, processing equipment, flow path structure, and distribution method
KR100830126B1 (en) Electrode for Vacuum Processing Apparatus and Vacuum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ame
CN217009135U (en) Bearing device and semiconductor process equipment
US20230311153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W201805475A (en) Full-area counter-flow heat exchange substrate support
KR101503439B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20090121903A (en) Vacuum processing appartus
KR10267133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wafer
KR102109435B1 (en) Substrate-Carrying Module for Controlling Substrate Temperature
KR101472836B1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