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004A - 쿡탑의 작동 방법 및 쿡탑 - Google Patents

쿡탑의 작동 방법 및 쿡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004A
KR20230095004A KR1020220176815A KR20220176815A KR20230095004A KR 20230095004 A KR20230095004 A KR 20230095004A KR 1020220176815 A KR1020220176815 A KR 1020220176815A KR 20220176815 A KR20220176815 A KR 20220176815A KR 20230095004 A KR20230095004 A KR 20230095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ans
cooktop
case
cooking vessel
rel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 다피트 베움게스
슈테판 롬프
에티엔 푸흐스
Original Assignee
에.게.오. 에렉트로-게래테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게.오. 에렉트로-게래테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게.오. 에렉트로-게래테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95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Abstract

쿡탑 플레이트와, 직선을 따라 그 아래에 배치된 인접한 가열 수단과, 그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에 의한 각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를 검출하기 위한 팬 검출 수단을 갖는 쿡탑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선행 단계에서 가열 수단 중 어느 가열 수단 위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었는지가 검출되고 따라서 상대 커버리지가 존재하는지가 검출된다. 후속 단계에서, 팬 검출 수단은 각각의 덮인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얼마나 큰지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며, 이 결과 및 각각의 가열 수단에 대한 이러한 결과들의 비교로부터, 경우 분석이 여러 경우들 중 하나로 수행된다. 직선을 따라 배치된 3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중간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작다는 것이 검출되는 제 1 경우에 대해,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를 연속적으로 덮는 조리 용기가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지 않았고, 오히려 적어도 2 개의 조리 용기들이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었다는 것이 결정된다.

Description

쿡탑의 작동 방법 및 쿡탑{METHOD FOR OPERATING A COOKTOP AND COOKTOP}
본 발명은 쿡탑의 작동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쿡탑에 관한 것이다.
"팬 검출 기능"을 갖는 쿡탑은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예를 들어 DE 10 2006 054 973 A1 을 참조한다. 여기서 유도 가열 코일 형태의 복수의 가열 수단이 각각의 경우에 직선 또는 열 (row), 예를 들어 제 1 라인에 6 내지 8 개, 제 2 라인에 4 개로 배열되어 있다. 팬 검출 수단이 각각의 경우에 제공되며, 특히 유도 가열 코일들 자체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조리 용기가 그 위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적절한 수의 유도 가열 코일들이 선택적으로 이 조리 용기를 가열하기 위해 공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게 하고 특히 쿡탑 커버리지 상황이 무엇인지를 매우 간단하고 실질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하며 특히 조리 용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가열하기 위해 가열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상기한 방법 및 상기한 쿡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19 의 특징들을 갖는 쿡탑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하고 바람직한 구성들은 추가적인 청구항들의 주제이고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특징들의 일부가 단지 방법에 대해 또는 단지 쿡탑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은 그 자체로 그리고 이러한 방법과 이러한 쿡탑 쌍방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적용되도록 의도된다. 청구항들의 표현은 명백한 인용에 의해 설명의 내용의 일부를 형성한다.
쿡탑은 쿡탑 플레이트 및 직선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3 개의 가열 수단을 구비한다. 유리하게는, 이들 가열 수단은 그들 사이에 추가의 가열 수단 없이 서로 직접 인접한다. 이들 사이의 간격은 최대 20 mm, 유리하게는 최대 10 mm 에 달할 수도 있다. 직선을 따른 배치는 바람직하게는 중심 주위의 그 중심 영역들이 직선으로 놓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기서 이 중심 영역들은 가열 수단의 총 면적의 약 10% 내지 20% 를 덮는다.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아래에 제공된다. 또한, 쿡탑은 팬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이는 가열 수단 위에서 상기 쿡탑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조리 용기에 의한 가열 수단 각각의 상대 커버리지 (relative coverage) 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간단한 구성에서, 가열 수단은 유도 가열 코일 형태를 취하고, 그러면 심지어 상기 팬 검출 수단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팬 검출 수단을 위한 단독 센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이러한 작업을 실행하는 별개의 팬 검출 센서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에서 선행 단계는, 만약 있다면 가열 수단 중 어느 가열 수단 위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는지를 검출하고, 따라서 만약 있다면, 이러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무엇인지를 검출하는 데 팬 검출 수단을 사용한다. 이 단계는 유리하게는 직선을 따라 배치되는 가열 수단에 대해서만 수행된다. 이 경우, 직선을 따른 가열 수단의 배치에 대한 상기 정의가 가정될 수도 있다.
후속 단계에서, 팬 검출 수단은 또한, 만약 있다면 그러한 조리 용기가 검출된 각각의 가열 수단의 조리 용기에 의한 상대 커버리지가 얼마나 큰지를 검출 또는 발견하거나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단계 및 선행 단계 쌍방에 대해, 원칙적으로 그러한 커버리지가 단일 조리 용기의 결과인지 또는 복수의 조리 용기들의 결과인지 여부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그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리 용기에 의해 또는 그 위에 배치된 복수의 조리 용기들에 의해 얼마나 큰지, 즉 가열 수단의 몇 퍼센트가 덮이는지이다.
일단 적어도 3 개의 언급된 가열 수단 각각에 대해 이들의 상대 커버리지가 있는지 여부 및 얼마나 큰지가 검출 또는 측정되면, 이 결과들은 서로 비교된다. 특히, 커버리지 및 존재한다면 커버리지의 상대적 크기는 쿡탑의 모든 가열 수단에 대해 검출되어, 이들이 전체 쿡탑에 대해 검출된다. 그 다음, 경우 분석이 수행되고, 여러 경우 중 하나의 존재가 검출되거나 결정된다. 이 경우들은 모두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하게 하나의 조리 용기, 가능하게는 실제로 2 개의 조리 용기들에 의한 가열 수단의 커버리지에 관한 것이다.
직선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3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다른 2 개의 가열 수단 사이에 놓인 중간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작다는 것이 검출되면, 제 1 경우의 존재가 식별된다. 이러한 제 1 경우에,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를 연속적으로 덮는 조리 용기가 3 개의 가열 수단, 또는 실제로 더 많은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결정된다. 따라서, 조리 용기 또는 조리 용기의 일부가 모든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서 검출되었다는, 즉 3개 모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다는 명백한 전제 조건으로, 적어도 2 개의 조리 용기가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 1 경우에, 예를 들어 2 개의 조리 용기가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고, 2 개의 조리 용기가 공동으로, 하지만 적은 정도로, 중간 가열 수단을 덮는 것일 수도 있고, 덮인 이 후자의 비율은 다른 2 개의 외부 가열 수단의 비율보다 작다. 이 경우에, 즉,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가 단일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면, 중간 가열 수단은 상대적으로 말하면 적어도 인접한 2 개만큼 광범위하게 덮여야 하거나, 또는 실제로 더 광범위하게 덮여야 한다고 가정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중간 가열 수단이 더 낮은 상대 커버리지를 갖기 때문에,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를 덮는 하나의 개별 조리 용기가 제공되는 경우가 있을 수 없다. 방법에 있어서, 이러한 경우가 어떻게든 그 자체로 가능하지만, 그러나 비-발생 경우로 간주될 만큼 희박하거나 비현실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유리하게 가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성에서, 유리하게는 제 1 경우에서 가열 수단의 별개의 작동을 의미하는 경우 분석 결과에 조작자가 개입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적절한 작동을 통해, 상기 조작자는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가 동일한 전력 스테이지로 공동으로 작동되어 그 위에 배치된 임의의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성에서, 팬 검출 수단이 적어도 3 개의 팬 검출 센서들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쿡탑의 각각의 가열 수단은 유리하게는 정확하게 하나의 팬 검출 센서와 관련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이 팬 검출 센서는 가열 수단에 통합되고, 유리하게는 가열 수단이 유도 가열 코일이며, 이는 그 자체가 그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 및 그에 의해 야기된 상대 커버리지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동 및 평가된다. 이러한 팬 검출 센서는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를 검출할 수도 있고, 그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에 의한 각각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 및 그 배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팬 검출 센서들로서 작용하는 유도 가열 코일들은 이러한 팬 검출을 위한 유일한 센서들이다. 이러한 경우, 쿡탑 구동 및 평가의 복잡성 및 구조적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구성에서, 상기 경우 분석 전에, 즉 선행 단계에서, 모든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팬 검출 수단 및 팬 검출 센서들을 사용하여 검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의도는 조리 용기의 개수에 상관없이 조리 용기에 의해 어느 정도로 어떤 가열 수단이 덮여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는 경우 분석이 수행된 후 획득되는 결과일 뿐이다. 또한, 각각의 가열 수단이 그 위에 배치된 하나의 조리 용기 또는 복수의 조리 용기들에 의해 어느 정도로 덮이는지, 즉 그 상대 커버리지의 크기가 검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에서, 경우 분석은 제 1 경우에 기초하는 제 2 경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인접한 2 개의 가열 수단 사이의 중간 가열 수단에 대해 그 상대 커버리지가 0 보다 크다는 것, 즉 적어도 하나의 조리 용기가 그 위에 배치되는 것이 검출된다면, 이 제 2 경우에 유리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는 동일하며, 즉 이들은 적어도 하나의 조리 용기에 의해 비슷하게 덮인다. 이러한 제 2 경우에는, 3 개의 가열 수단이 정확히 2 개의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고,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 중 하나는 정확히 하나의 제 1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는, 즉 더 이상 덮이지 않는 것이 결정된다. 다른 2 개의 가열 수단, 즉 중간 가열 수단 및 다른 인접한 가열 수단은 다른 제 2 조리 용기에 의해 공동으로 덮인다. 큰 캐서롤 디쉬 (casserole dish) 등이 동일한 상대 커버리지로 동시에 3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들을 모두 덮을 확률은 매우 적거나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큰 캐서롤 디쉬는 결국 타원형 형태이므로, 더 좁은 단부가 인접한 외부 가열 수단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놓이게 되어, 중간 가열 수단보다 더 낮은 상대 커버리지를 갖게 된다.
상술한 제 1 경우에서, 제 2 경우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총 2 개의 조리 용기가 배치된 것이 유리하게 가정되거나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도, 총 2 개의 조리 용기가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면 3 개의 가열 수단이 모두 동일한 전력 스테이지로 공동으로 작동되는 것은 아님은 명백하다. 쿡탑은 또한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이 하나의 조리 용기에 의해 공동으로 덮이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든 가열 수단은 첫 번째 접근으로서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작동된다는 것을 따른다. 그 다음, 조작자는 2 개의 가열 수단이 원한다면 동일한 전력 레벨로 공동으로 작동되는, 즉 링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수동 조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행하는 것은 더 이상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거나, 독립적으로 수행되는데, 이는 자동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가열 수단의 실제 작동은, 특히 가열 수단이 유도 가열 코일이라면, 특정된 전력 밀도, 즉 단위 면적당 전력으로 유리하게 진행된다. 복수의 가열 수단을 링크할 때, 즉 공동 작동 (joint operation) 의 경우에, 이들은 유리하게는 동일한 전력 밀도로 작동되어, 그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가 현저하게 높거나 현저히 낮은 온도의 영역 없이 베이스의 전체 영역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구성에서, 직선을 따라 배치된 3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중간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크고, 실제로 하나의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크고 또한 다른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크다는 것이 검출되는 제 3 경우가 제공된다. 특히,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들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서로 상이한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유리하게는 단지 최대 20% 이다. 그러면, 이러한 제 3 경우에,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를 연속적으로 덮는 단일 조리 용기가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된다는 것이 결정된다. 이 경우에, 3 개의 가열 수단은 유리하게는 이를테면 링크되고, 쿡탑 제어기에 의해 공동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어서, 조작자가 전력 스테이지를 한 번만 입력하거나 특정하면 되고, 그러면 이는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에 적용된다. 이 경우에, 단일 조리 용기가 매우 큰 팬 또는 형상이 긴/타원형인 "캐서롤 디쉬" 인 것이 가정되거나 결정된다. 그러나, 이 단일 조리 용기의 정확한 형상은 추가 분석이 불필요하므로 관련이 없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에서, 중간 가열 수단의 30% 미만, 특히 20% 미만 또는 심지어 10% 미만의 상대 커버리지가 검출되는 제 4 경우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에 대해, 30% 초과, 유리하게는 50% 초과의 상대 커버리지가 각각의 경우에 검출된다. 그러면, 중간 가열 수단 위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지 않거나 또는 그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가 이 가열 수단을 아주 약간만 덮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대신에, 하나의 조리 용기가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 각각의 위에 배치된다. 이로부터 쿡탑 제어기는 3 개의 가열 수단 중 어느 것도 나머지들 중 하나와 링크된 방식으로 작동되지 않고 오히려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전력이 별도로 설정된다고 결론을 내리거나 결정할 수도 있다. 2 개의 인접한, 즉 외부의 가열 수단 중 하나는 가능하게는 더 추가적인 인접한 가열 수단과 링크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기준에 따라 차례로 평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구성에서, 상기한 3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그리고 마찬가지로 다른 3 개의 가열 수단과 직선으로 놓이는 제 4 가열 수단에 대해, 그 각각이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거나 유리하게는 5% 초과 또는 10% 초과인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것이 결정되는, 제 5 경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중간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각각의 경우에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과 비교된다. 중간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각각의 경우에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보다 큰, 제 1 하위 경우에서, 단일의 매우 큰 조리 용기가 4 개의 가열 수단 모두 위에 배치되고 이 4 개의 가열 수단을 연속적으로 덮는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4 개의 가열 수단은 쿡탑 제어기에 의해 링크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즉, 공통 전력 또는 전력 스테이지로 자동으로 상호 연결되고 작동될 수 있다. 이 링크 작업을 위해 별도의 작업 절차가 필요하지 않다.
제 1 하위 경우에, 이러한 매우 큰 조리 용기는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즉 어쨌든 중간 영역에서 중간 2 개의 가열 수단의 것보다 더 작은 비율의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을 덮는 것으로 가정된다.
다른 제 2 하위 경우에, 중간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각각의 경우에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보다 작다는 것이 결정된다. 이 경우에,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조리 용기가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 각각 및 바로 인접한 중간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고, 이 두 가열 수단을 공동으로 덮는다는 것이 결정된다. 따라서, 4 개의 가열 수단이 2 개의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고, 특히 각각의 경우에 2 개의 직접 인접한 가열 수단이 하나의 공통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는 것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서, 2 개의 조리 용기가 이 2 개의 가열 수단 위에만 배치되었는지, 즉 추가의 가열 수단과 링크된 작동이 필요하지 않거나 의도되지 않았는지를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추가 개발에서, 각각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서로에 관하여 설정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직선을 따른 적어도 3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특히 유리하게는 상기한 기준에 따라 직선을 따라 배치되는 모든 가열 수단에 대해 행해진다. 이 경우에, 한편으로는 비교적 크거나 넓은 정도로 덮이는 가열 수단과 다른 한편으로는 비교적 작은 정도로 덮이는 가열 수단 사이에서 구별이 이루어진다. 이는 비교적 가장 광범위하게 덮인 가열 수단의 50% 이상이 광범위하게 덮인 가열 수단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다른 50% 이하가 약간 덮인 가열 수단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이 기준이 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대 커버리지가 그 자체로 얼마나 넓거나 큰지는 조사되지 않고, 오히려 단지 하나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다른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와 얼마나 큰지 비교된다. 하나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50% 초과의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수단이 광범위하게 덮인 가열 수단의 그룹으로 분류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50% 미만의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수단은 다른 그룹, 즉 50% 미만 커버리지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가열 수단은 이러한 방식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구성에서, 쿡탑 상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상태 변화는 무관하거나, 또는 커버리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쿡탑을 켜자마자, 조리 용기가 그 위에 배치되는 때, 쿡탑 상태가 분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조리 용기가 어느 시점에 제자리에 설정되었는지 또는 제자리에 설정된 것으로 검출되었는지는 특히 무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추가적인 구성에서, 팬 검출 수단 또는 팬 검출 센서들이 쿡탑 플레이트 상에서 조리 용기의 움직임을 식별하지 않는 경우에만 방법이 수행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면, 방법은 그대로 중단될 수도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적이거나 변하지 않는 조건이 다시 우세할 때에만 처음에 언급된 단계 및 그 다음에 후속 단계가 다시 시작된다.
본 발명의 추가 개발에서, 가열 수단의 최소 상대 커버리지가 가열 수단의 2 개의 최대 상대 커버리지들 사이에서 검출될 때, 각각의 경우에 정확하게 하나의 조리 용기가 최대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디바이스 위에 배치된다는 것이 결정되는, 제 6 경우가 있다. 여기서 최소치가 단일 가열 수단에 걸쳐 또는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에 걸쳐 식별되는지 여부는 무관하다. 중요한 것은 최소 상대 커버리지가 2 개의 최대 상대 커버리지들 사이에서 식별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이러한 최대치들은 또한 서로 상이할 수 있지만, 상대 커버리지는 최소 상대 커버리지보다 커야 한다. 최대치들 각각은 또한 단일 가열 수단 또는 2 개의 가열 수단에 걸쳐 식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2 개의 최대 상대 커버리지들 각각은 단일 가열 수단 또는 2 개의 가열 수단에 걸쳐 식별될 수 있다. 2 개의 최대치들 사이에 최소치를 식별하는 이러한 경우, 최소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수단 및 하나의 가열 수단이 최대치 이상으로 그 옆에 배치된 조리 용기들의 주변 영역에 의해서만 덮이는 것이 결정되어, 최소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수단에 걸쳐 두 조리 용기 사이의 중간 영역이 결정된다. 이로부터, 상대 커버리지의 정도에 따라, 최소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수단이 가열에 기여하거나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이 뒤따를 수도 있다. 이는 상대 커버리지의 정도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 수단의 이 상대 커버리지가 20% 미만이고 이것이 아마도 2 개의 조리 용기에 의해 공동으로 생성되면, 이 2 개의 조리 용기가 이 또는 이들 비교적 최소로 덮인 가열 수단에 걸쳐 매우 작은 정도로만 배치된다고 가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들은 가열에 기여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대 커버리지의 정도가 50% 초과에 놓이면, 가열이 유리할 수 있거나 심지어 필요한 특정 상황 하에 있을 수도 있다. 그러면, 가열이 적어도 상대적으로 최대로 덮인 가열 수단의 하부를 갖는 그 인접한 가열 수단의 가열 전력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추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전개에서, 최소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2 개의 가열 수단 사이에서 최대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디바이스가 검출되는 제 7 경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제 7 경우에는, 적어도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2 개의 조리 용기가 배치된 것이 가정되거나 결정된다. 조리 용기는 여기서 최대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개재된 가열 수단 위에 그리고 인접한 가열 수단 중 하나 위에 공동으로 배치된다. 다른 조리 용기는 인접한 다른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지만, 유리하게는 개재된 가열 수단을 전혀 덮지 않는다. 특히 유리하게는, 2 개의 가열 수단을 공동으로 덮는 조리 용기가 단일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는 다른 조리 용기보다 더 크다고 결정하는 것이 추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가열 수단은 둥근 또는 원형 구성이 아니고, 오히려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다. 이 경우, 가열 수단은 길이 및 폭을 갖고, 길이는 폭보다 더 크다. 폭은 20 cm 미만이어야 하고, 특히 15 cm 미만이어야 하지만, 특히 8 cm 초과이어야 한다. 길이는 유리하게는 15 cm 초과, 특히 유리하게는 심지어 20 cm 초과이지만, 특히 30 cm 미만이다. 따라서, 2 개의 가열 수단이 그 종방향 측면들이 서로 옆에 있도록 배치되고, 이 2 개의 가열 수단에 의해 형성된 영역은 정사각형과 유사하거나 정사각형 형상과 너무 많이 상이하지 않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통 둥근 조리 용기가 매우 잘 가열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의 경우, 적어도 3 개의 가열 수단이 쿡탑 플레이트 아래에 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유리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폭이 10 cm 내지 12 cm 인 4 개의 가열 수단이 있다. 좌측에서 우측으로 약 60 cm 내지 70 cm 의 폭을 갖는 좁은 쿡탑의 경우, 2 개의 이러한 열의 가열 수단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평행한 직선들을 따라 제공될 수도 있다. 가열 수단의 길이는 20 cm 내지 24 cm, 즉 상기한 폭의 대략 2 배일 수도 있다. 여기서 가열 수단의 길이는 쿡탑의 폭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75 cm 내지 90 cm 의 설치 치수를 갖는 넓은 쿡탑의 경우, 3 개의 이러한 가열 수단 라인, 유리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4 개의 가열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쿡탑은 또한 매우 넓을 수도 있고, 단지 하나 또는 앞뒤로 2 개의 가열 수단의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면, 가열 수단의 직선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서, 직선으로 가열 수단을 따라 총 최대 2 개의 조리 용기가 배치되는 경우에 팬 검출 및 경우 분석은 단지 기능하거나 수행되는 것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분석이 너무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상이한, 직선으로 배치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에 대한 값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모든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각각의 경우에 50% 미만에 달하는 경우, 2 개의 조리 용기가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된 것으로 가정된다. 그리고 이들은 15 cm 내지 22 cm 의 직경에 유리하게 대응할 수도 있는 적당한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상대 커버리지가 조리 용기가 식별되는 모든 가열 수단의 50% 이상에 달한다면, 하나의 매우 큰 조리 용기가 가열 수단 위에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 직경은 22 cm 내지 35 cm 일 수도 있다. 여기서, 경우 분석은 직선을 따른 3 개 또는 4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매우 큰 조리 용기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보통 매우 큰 캐서롤 디쉬일 것이다.
상기한 쿡탑 제어기에 더하여, 쿡탑은 또한 팬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가열 수단이 유도 가열 코일인 경우에, 이는 그 구동에 필요한 인버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도 가열 수단에서의 전류 및 전압 프로파일들에 기초하여, 이 인버터는 그의 상대 커버리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팬 검출 수단은 상대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를 쿡탑 제어기로 전송하고, 이는 경우 분석을 착수한다. 또한, 쿡탑 제어기는 공동 가열 및 공동 전력 설정을 위해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호 연결 또는 링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청구범위에 추가하여,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나며, 여기서 개별 특징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및 다른 영역에서 하위조합의 형태로 단독으로 또는 여러 개로 자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유리한 실시형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여기서 보호가 요구된다. 개별적인 섹션들 및 소제목들로의 본 출원의 세분화는, 그 아래에 행해진 진술들의 일반적인 유효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범적인 실시형태들을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은 각각 4 개의 유도 가열 코일의 2 개의 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쿡탑의 평면도이며, 팬들이 그 위에 상이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5 는 유도 가열 코일들 위에 상이한 방식으로 배치된 팬들의 추가의 상이한 구성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쿡탑 (11) 의 평면도를 보여주며, 쿡탑은 쿡탑 플레이트 (12) 를 갖는다. 전방 중간 영역에는, 작동 엘리먼트들 (15) 을 갖는 작동 수단 (14) 및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유리하게는 LED 디스플레이가 배열된다. 작동 수단 (14) 은 유리하게는 쿡탑 플레이트 (12) 아래에 배치되고,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그의 디스플레이는 쿡탑 플레이트 (12) 를 통해 보이며 작동 가능하다.
쿡탑 (11) 은 작동 수단 (14) 과 연결된 제어기 (17) 를 갖는다. 이는 작동 명령들을 실행할 수도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기 (17) 는 쿡탑 (11) 을 위한 인버터 (19) 와 연결되고 그에 명령들을 제공한다. 그리고 인버터 (19) 는 공지된 방식으로 쿡탑 (11) 의 유도 가열 코일들 (I) 을 제어한다. 이 유도 코일들 (I) 은 좌측 열 또는 그룹과 우측 열 또는 그룹 (특히 각각의 경우에 4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으로 분할된다. 좌측에서, 유도 가열 코일들은 IL1, IL2, IL3 및 IL4 로 번호 매겨진다. 우측에서, 유도 가열 코일들은 IR1, IR2, IR3 및 IR4 로 번호 매겨진다. 다른 구성들에서, 단지 3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 또는 5 개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이 두 그룹의 유도 가열 코일들 (I) 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따라 배열된다. 이들은 여기서 정확하게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열되지만, 대안적으로 또한 약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예를 들어 1 cm 내지 3 cm 또는 심지어 5 cm 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유도 가열 코일들 (I) 의 치수는 이들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약 22 cm 의 길이 및 전방에서 후방으로 약 10 cm 의 폭을 갖도록 된다. 이들은 또한 사다리꼴 구성일 수 있고, 특히 이들은 서로에 대해 가변적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될 수 있다.
유도 가열 코일들 (I) 은, 인버터 (19) 와 함께, 쿡탑 플레이트 (12) 상에 배치되는 팬 (T) 형태의 상기한 조리 용기의 가열 장치뿐만 아니라 동시에 팬 검출 수단을 형성한다. 유도 가열 코일들 (I) 자체를 통한 이러한 팬 검출 기능은 선행 기술로부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원리적으로, 추가적인 별도의 팬 검출 센서가 또한 예를 들어 작은 유도 코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들 (I) 및 인버터 (19) 로 형성되며 유도 가열 코일들 (I) 이 팬 검출 센서들로서 기능하는 이러한 팬 검출 수단은, 팬 (T) 또는 대응하는 물품 또는 조리 용기에 의한 각각의 유도 가열 코일 (I) 의 상대 커버리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각각의 유도 가열 코일 (I) 의 구동 회로의 전력과 전압으로부터 검출 가능하다. 이는 또한 선행 기술로부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크기가 대략 동일한 2 개의 팬 (TL1, TL2) 이 유도 가열 수단 (IL1 내지 IL4) 의 좌측 열 위에 배치된다. 전방 팬 (TL1) 은 전방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1, IL2) 위에 있고, 전방을 향해 다소 오프셋된다. 이는 아마도 조작자가 그렇게 설정하는 것이 더 실용적이기 때문일 수도 있다. 후방 팬 (TL2) 은 후방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3, IL4) 위에 있고, 또한 다소 전방으로 당겨져 있으므로, 전방 유도 가열 코일 (IL3) 은 후방 유도 가열 코일 (IL4) 보다 더 많이 덮인다. 상기한 제 1 경우에 대응하는 이 시나리오는, 한편으로는 팬 검출 수단이 팬이 모든 유도 가열 코일들 (IL) 위에 배치되었다는 것을 식별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당한 정도로 이는 여기서 상대 커버리지가 5% 초과 또는 심지어 10% 초과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60% 초과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팬 검출 수단은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및 IL3 이 유도 가열 코일들 IL2 및 IL4 보다 다소 높은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것을 식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경우에 따르면, 유도 가열 코일 IL2 가 그 다음에 배치된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및 IL3 보다 작은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것이 식별된다. 차이가 특별히 크지 않을 수도 있지만, 본 경우에는 뚜렷하고 적어도 10% 에 달한다. 따라서, 유도 가열 코일 IL1 과 유도 가열 코일 IL3 사이의 유도 가열 코일 IL2 의 더 작은 상대 커버리지로 인해, 이 3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내지 IL3 을 연속적으로 덮는 개별 조리 용기가 그 위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제 3 경우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도 2 의 좌측에 도시되며, 여기에 캐서롤 디쉬 (TL1) 가 도시되어 있다. 대신에, 팬 검출 수단은 이 제 1 경우에 이 순간에 적어도 2 개의 팬이 제자리에 설정되었음을 검출한다. 팬 검출 수단은 제어기 (17) 와 함께 최후방 유도 가열 코일 (IL4) 이 또한 약 50% 의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것을 검출하기 때문에, 유도 가열 코일들 (IL3, IL4) 의 상대 커버리지가 각각의 경우에 단일 조리 용기에 의해 달성되지 않는다고 결정하며, 이는 오히려 작을 것이며, 오히려 하나의 조리 용기에 의해 모두 달성될 것이다. 두 인접한 조리 용기들과 비교하여 유도 가열 코일 IL2 의 비교적 다소 작은 상대 커버리지 때문에, 4 개 또는 3 개의 전방 유도 가열 코일들 (IL) 모두를 덮는 단 하나의 조리 용기가 있을 수 없다. 실제로, 제 1 경우에 따르면, 하나의 팬 (TL1) 이 전방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및 IL2 위에 배치되고 하나의 팬 (TL2) 이 후방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3 및 IL4 위에 배치된 것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더 많은 팬이 또한 좌측 유도 가열 코일들 위에 배치되지 않았다. 각각의 팬의 정확한 위치, 즉 그것이 하나의 유도 가열 코일 (IL) 을 다른 것보다 다소 더 많이 덮는지 여부가 식별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관련이 없거나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정으로부터, 제어기 (17) 는 두 유도 가열 코일들 (IL1, IL2) 을 함께 링크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두 유도 가열 코일들 (IL3, IL4) 을 함께 링크할 수도 있다. 이는 작동 엘리먼트들 (15) 중 하나에 의한 작동이 2 개의 함께 링크된 유도 가열 코일들에 대해 하나의 전력 스테이지를 동시에 그리고 동일하게 초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더 간단하고 편리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의 우측은 예를 들어 직경이 약 15 cm 인 더 작은 크기의 팬 (TR1) 이 주로 유도 가열 코일 IR2 위에 배치되고 전방 유도 가열 코일 IR1 을 단지 매우 약하게, 예를 들어 단지 약 10% 의 상대 커버리지로 덮는 것을 보여준다. 유도 가열 코일 IR2 는 약 60% 의 비율로 덮인다.
직경이 약 18 cm 인 큰 팬 (TR2) 이 2 개의 후방 유도 가열 코일들 IR3 및 IR4 위에 있고, 이 팬은 후방을 향해 다소 변위되거나 유도 가열 코일 IR3 보다 더 큰 상대 커버리지로 후방 유도 가열 코일 IR4 를 덮는다. 따라서, 유도 가열 코일 IR3 의 상대 커버리지는 2 개의 인접한 유도 가열 코일들 IR2 및 IR4 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작다. 따라서,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경우에 따르면, 이 3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이 단일의 큰 조리 용기에 의해 공동으로 덮일 수 없다고 결정된다. 이것은 실제로 참이다. 또한, 특히 중간 유도 가열 코일 IR3 은 0 보다 큰 상대 커버리지를 갖고 두 인접한 유도 가열 코일들 IR2 및 IR4 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제 2 경우가 검출된다. 따라서, 유도 가열 코일들 (IL) 의 좌측 열에 또한 적용되는 상황, 즉 이 제 2 경우에 따라서 유도 가열 코일 IR2 가 단일 조리 용기, 즉 팬 (TR1) 에 의해 덮이는 상황이 결정된다. 이는 또한, 최전방 유도 가열 코일 IR1 에 대해 상대 커버리지가 매우 작은 것으로 검출된다는 사실에 의해 입증될 수도 있고, 따라서 이 상대 커버리지는 유도 가열 코일 IR2 위에 배치된 팬 (TR1) 에 의해 야기되어야 한다고 언급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후방의 두 유도 가열 코일들 IR3 및 IR4 는 단일의 큰 조리 용기, 즉 후방을 향해 다소 변위된 팬 (TR2) 에 의해 공동으로 덮이고, 링크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도 2 의 좌측은 길이가 약 30 cm 인 큰 캐서롤 디쉬 (TL1) 가 전방의 3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내지 IL3 위에 배치되고, 상기 캐서롤 디쉬가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방향으로 이들을 완전히 덮는 시나리오를 보여준다. 큰 캐서롤 디쉬 (TL1) 는 중간 유도 가열 코일 IL2 의 상대 커버리지가 인접한 두 유도 가열 코일들 IL1 (전방) 및 IL3 (후방) 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의 상대 커버리지는 결국 비교적 유사하여, 상기한 제 3 경우가 검출 또는 결정된다. 여기서도, 3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내지 IL3 은 더 간단한 작동을 위해 제어기 (17) 에 의해 링크된다.
도 2 의 우측은 3 개의 전방 유도 가열 코일들 IR1 내지 IR3 이 또한 공통의 단일 조리 용기 (TR1; 여기서 둥근 팬 (TR1) 으로 도시되어 있음) 에 의해 덮이는 것을 보여준다. 중간 유도 가열 코일 IR2 의 상대 커버리지가 가장 크며, 100% 이다. 그리고 다른 두 유도 가열 코일들 IR1 및 IR3 의 상대 커버리지는 동일하고 약 60% 이다. 따라서, 이로부터 제 3 경우가 실현된 것으로 결정된다. 유도 가열 코일들 IL1 의 좌측 열에 대해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3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R1 내지 IR3 은 여기서 또한 제어기 (17) 에 의해 함께 링크되거나 전력 스테이지의 공동 설정을 위해 상호 연결된다.
도 3 에 도시된 유도 가열 코일들 (IL) 의 좌측 열의 경우, 작은 팬 (TL1) 이 제 2 유도 가열 코일 (IL2) 위에 배치되고, 제 3 유도 가열 코일 (IL3) 을 매우 약간, 예를 들어 단지 5% 정도로 덮는다. 최전방 유도 가열 코일 (IL1) 은 이에 의해 전혀 덮이지 않는다. 유사한 직경의 작은 팬 (TL2) 이 최후방 유도 가열 코일 (IL4) 위에 배치되고, 그 전방의 유도 가열 코일 (IL3) 의 약 3% 만을 덮는다. 2 개의 팬 (TL1, TL2) 은 약 13 cm 의 직경을 갖는다.
유도 가열 코일 IL3 의 매우 작은 상대 커버리지 및 최전방 유도 가열 코일 IL1 의 커버리지의 부족은 팬 검출 수단 및 제어기가 팬 TL1 및 TL2 이 유도 가열 코일들 IL2 및 IL4 위에만 배치된다고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4 경우가 실현된다. 팬 검출 수단은 유도 가열 코일 IL3 의 작은 상대 커버리지가 하나의 팬에 의해 초래되는지 또는 2 개의 팬에 의해 초래되는지, 그리고 그렇다면 인접한 유도 가열 코일들 중 어느 팬으로부터 초래되는지 검출할 수 없다. 그러나, 상대 커버리지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이것은 무관하다. 유도 가열 코일들 중 어느 것도, 특히 유도 가열 코일들 IL2 및 IL4 중 어느 것도 함께 링크되지 않거나 공동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의 전력 설정은 개별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 IL3 에 대해 전력이 전혀 당겨지지 않고, 이는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도 3 의 쿡탑 (11) 의 좌측에는, 유도 가열 코일 IL3 에 대해 최소 상대 커버리지가 결정되므로, 제 6 경우가 또한 실현된다. 2 개의 인접한 유도 가열 코일들 IL2 및 IL4 에 대해 최대 상대 커버리지가 검출된다. 이 제 6 경우에 대해서도, 제어기 (17) 는, 각각의 경우에 정확히 하나의 팬 (TL1 또는 TL2) 이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2 및 IL4 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고 결정한다.
도 3 의 우측에는, 직경이 약 16 cm 일 수도 있는 다소 더 큰 팬 (TR1) 이 유도 가열 코일들 IR2 및 IR3 위에 배치된다. 이는 주로 유도 가열 코일 IR2 위에 있으며, 그의 상대 커버리지는 약 65% 이고, 약 25% 의 비율로 덮이는 유도 가열 코일 IR3 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크다. 직경이 약 13 cm 인 작은 팬 (TR2) 이 후방 유도 가열 코일 IR4 위에 배치되고, 유도 가열 코일 IR3 을 매우 약간만 덮거나 겹친다. 유도 가열 코일 IR4 에 대해 약 45% 의 상대 커버리지가 검출된다. 전술하고 여기서 또한 식별된 제 6 경우에 따르면, 유도 가열 코일 IR3 에 걸쳐, 따라서 유도 가열 코일들 IR2 및 IR4 의 2 개의 최대 상대 커버리지들 사이에 최소 상대 커버리지가 존재한다고 결정된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팬 TR1 또는 TR2 가 유도 가열 코일 IR2 또는 IR4 위에 각각 우세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또한 결정된다. 개재된 유도 가열 코일 IR3 이 가열을 위해 작동되는지 여부는 그의 상대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이는 제 4 경우와 달리 20% 이상이므로, 제 6 경우의 일반적인 확장에서, 마찬가지로 작동될 것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전방 유도 가열 코일 IR2 과 함께 또는 각각의 경우에 인접한 후방 유도 가열 코일 IR4 과 함께 공통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는지가 검출될 수 없다. 따라서,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 (IR2, IR4) 중 어느 하나와 임의로 링크될 수 없다. 여기서, 제어기 (17) 는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 (IR2, IR4) 중 더 낮은 전력인 전력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너무 강하게 또는 너무 많은 전력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도 4 의 좌측에는, 매우 큰 캐서롤 디쉬 (TL1) 가 유도 쿡탑 (11) 의 4 개의 좌측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내지 IL4) 모두를 어떻게 덮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캐서롤 디쉬 (TL1) 는 도 2 의 것보다 훨씬 더 크다. 여기서 팬 검출 수단은 2 개의 중간 유도 가열 코일 IL2 및 IL3 에 대해 약 90% 의 상대 커버리지를 검출하는 반면, 유도 가열 코일 IL1 및 IL4 은 단지 대략 50% 내지 60% 의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한 제 5 경우는 구체적으로 제 1 하위 경우로 실현된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4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내지 IL4 이 함께 링크되고 동일한 전력 레벨에서 공동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조작자는 단지 작동 수단 (14) 의 단일 작동 엘리먼트 (15) 를 작동시켜야 하는데, 이는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다.
도 4 의 우측에는, 도 1 의 우측의 팬 (TR2) 에 대응하는 2 개의 동일한 크기의 팬 (TR1, TR2) 이 유도 가열 코일들 IR1 내지 IR4 위에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보여준다. 여기서, 전방 팬 TR1 은 다소 전방으로 당겨져 있고, 팬 TR2 은 다소 후방으로 밀려 있다. 유도 가열 코일들 IR1 및 IR4 의 상대 커버리지는 대략 동일하며, 각각의 경우에 그 사이에 위치된 유도 가열 코일들 IR2 및 IR3 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 5 경우의 제 2 하위 경우 5.2 가 결정되고, 4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모두를 연속적으로 덮는 단일의 매우 큰 조리 용기가 좌측에 도시된 제 1 하위 케이스 5.1 는 식별되지 않는다. 더욱이, 중간의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R2 및 IR3 의 상대 커버리지가 외부의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R1 및 IR4 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작고, 따라서 본 경우는 제 1 하위 경우 5.1 에 따라서 좌측에 도시된 것과 정확하게 반대이므로, 여기서 총 2 개의 팬 (TR1, TR2) 이 제자리에 설정된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전방의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R1 및 IR2 은 링크되고 공동으로 작동되며, 후방의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R3 및 IR4 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력 설정은 양 코일들에 대해 공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대 커버리지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팬 검출 수단은 전방 팬 TR1 이 최전방 유도 가열 코일 IR1 위에 더 배치되고 후방 팬 TR2 이 후방 유도 가열 코일 IR4 위에 더 배치되는 것을 또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 에서, 소형 팬 (TL1) 이 좌측에서 유도 가열 코일 IL2 위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이 유도 가열 코일만을 덮고 두 인접한 유도 가열 코일들 IL1 또는 IL3 중 어느 것도 덮지 않는다. 그 직경은 도 3 의 것보다 훨씬 작으며, 약 10 cm 일 수도 있다. 유도 가열 코일 IL2 의 상대 커버리지는 대략 40% 로 검출된다. 또한, 직경이 약 18 cm 인 다소 큰 팬 TL2 이 후방의 2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IL3 및 IL4 위에 배치된다. 유도 가열 코일 IL3 의 상대 커버리지는 약 65% 로 검출되고, 후방 유도 가열 코일 IL4 의 경우 약 45% 의 상대 커버리지가 검출된다. 이러한 정보로부터, 상기한 제 7 경우, 즉 3 개의 유도 가열 수단 (IL2 내지 IL4) 위에 2 개의 조리 용기 (TL1, TL2) 가 배치되었다고 결정된다. 그러나, 동시에, 단일 팬이 어느 두 유도 가열 코일 위에 공동으로 배치되었는지 더 정밀하게 결정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여기서 외부 유도 가열 코일들 IL2 및 IL4 의 상대 커버리지들은 크기가 동일하고, 개재된 유도 가열 코일 IL3 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기 (17) 는, 대응하는 분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두 유도 가열 코일들 (IL) 을 링크하고 이들을 함께 작동시키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제어기 (17) 는 개재된 유도 가열 코일 IL3 의 상대 커버리지가 도 2 의 좌측의 제 3 경우보다 더 작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캐서롤 디쉬 등의 형태의 단일의 대형 조리 용기가 3 개의 유도 가열 코일들 전부를 덮고 있을 수는 없다.

Claims (19)

  1.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쿡탑은,
    - 쿡탑 플레이트,
    - 상기 쿡탑 플레이트의 아래에 직선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3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
    - 팬 검출 수단으로서, 상기 팬 검출 수단은 상기 가열 수단 위에서 상기 쿡탑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조리 용기들에 의한 상기 가열 수단 각각의 상대 커버리지 (relative coverage) 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팬 검출 수단
    을 구비하고,
    - 선행 단계에서, 상기 팬 검출 수단은 상기 가열 수단 중 어느 가열 수단 위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었는지를 검출하고 따라서 상대 커버리지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고,
    - 후속 단계에서, 상기 팬 검출 수단은 각각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얼마나 큰지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며,
    - 각각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를 검출한 결과 그리고 각각의 가열 수단에 대한 이 결과들을 서로 비교함으로부터, 여러 경우들 중 하나의 경우로의 경우 분석이 수행되며, 이 경우들은 적어도 하나의 조리 용기에 의한 가열 수단의 커버리지에 관련되고,
    - 상기 직선을 따라 배치된 3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중간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작다는 것이 검출되는 제 1 경우에 대해,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를 연속적으로 덮는 조리 용기가 상기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지 않았고, 오히려 적어도 2 개의 조리 용기들이 상기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었다는 것이 결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검출 수단은 적어도 3 개의 팬 검출 센서들을 구비하며, 상기 팬 검출 센서들은 상기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들을 검출하고 이들의 배치 위치 및 각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들에 의한 각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우 분석에 선행하는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조리 용기들에 의한 모든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상기 팬 검출 수단과 팬 검출 센서들을 사용하여 검출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우에 기초하고, 두 인접한 가열 수단 사이의 중간 가열 수단에 대해 그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리 용기에 의한 상대 커버리지가 0 보다 크다는 것이 검출되며, 다른 두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동일한, 제 2 경우에 대해, 상기 3 개의 가열 수단이 정밀하게 2 개의 조리 용기들에 의해 덮이고, 다른 두 인접한 가열 수단 중 하나가 정밀하게 하나의 제 1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고, 다른 두 가열 수단이 제 2 조리 용기에 의해 공동으로 덮이는 것이 결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을 따라 배치된 3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중간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가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보다 크다는 것이 검출되는 제 3 경우에 대해, 3 개의 가열 수단 모두를 연속적으로 덮는 단일 조리 용기가 상기 3 개의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었다는 것이 결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가열 수단에 대해 20% 미만의 상대 커버리지가 검출되고,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에 대해 30% 초과의 상대 커버리지가 검출되는, 제 4 경우에 대해, 상기 중간 가열 수단 위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지 않고 각 경우에 하나의 조리 용기가 다른 2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 각각의 위에 배치된다는 것이 결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을 따라 배치된 4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에 대해 각각의 가열 수단이 하나의 조리 용기에 의해 덮이는 것으로 검출되는 제 5 경우에 대해, 중간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과 비교되고, 만약 상기 중간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각각의 경우에 상기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보다 크다면, 4 개의 가열 수단 모두를 연속적으로 덮는 단일의 매우 큰 조리 용기가 4 개의 가열 수단 모두 위에 배치되었다는 것이 결정되고, 만약 상기 중간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이 각각의 경우에 상기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보다 작다면,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조리 용기가 상기 외부 2 개의 가열 수단 및 인접한 중간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어 이 2 개의 가열 수단을 공동으로 덮는다는 것이 결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들은 서로에 관하여 설정되고, 한편으로는 상대적으로 광범위하게 덮이는 가열 수단과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적으로 약간 덮이는 가열 수단 사이의 구별이 이루어지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장 광범위하게 덮인 가열 수단의 50% 가 광범위하게 덮인 가열 수단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다른 50% 가 약간 덮인 가열 수단의 그룹으로 분류된다는 점, 또는 50% 초과의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수단이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50% 미만의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수단이 가열 수단의 다른 그룹으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광범위하게 덮인 가열 수단과 상대적으로 약간 덮인 가열 수단 사이의 구별이 이루어지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관찰이 행해지지 않거나, 또는 조리 용기의 이동 여부와 무관한,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검출 수단 또는 팬 검출 센서들이 상기 쿡탑 플레이트 상에서의 조리 용기의 이동 없음을 식별하는 경우에만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최대 상대 커버리지들 사이에서 최소 상대 커버리지가 검출되는 제 6 경우에 대해, 각각의 경우에 정확하게 하나의 조리 용기가 최대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디바이스 위에 놓인 것이 결정되고, 최소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수단 위의 2 개의 조리 용기들 사이의 중간 영역이 결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2 개의 가열 수단 사이에서 최대 상대 커버리지를 갖는 가열 장치가 검출되는 제 7 경우에 대해, 상기 가열 수단 위에 2 개의 조리 용기들이 배치되고, 하나의 조리 용기가 개재된 가열 수단 및 인접한 가열 수단의 하나 위에 배치되고, 다른 조리 용기가 다른 인접한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되며, 2 개의 가열 수단 위의 조리 용기가 단일 가열 수단 위의 다른 조리 용기보다 크다는 것이 결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길이 및 폭을 갖는 직사각형 구성이며, 상기 길이는 상기 폭보다 크고, 상기 폭은 20 cm 보다 작고 8 cm 보다 크며, 상기 길이는 15 cm 보다 크고 30 cm 보다 작은,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은 동일한 구성인,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총 최대 2 개의 조리 용기가 직선을 따라 3 개 또는 4 개의 인접한 가열 수단 상에 배치된다는 것이 결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직선으로 배치된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에 대해 10% 이상 상이한 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또는 각각의 경우에 상대 커버리지가 50% 미만인 경우, 2 개의 조리 용기들이 상기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된 것으로 가정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대 커버리지가 50% 초과인 경우, 가열 수단 위에 매우 큰 조리 용기가 가정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이 경우 분석이 직선을 따라 배치된 3 개 또는 4 개의 가열 수단에 대해 수행되는, 쿡탑을 작동시키는 방법.
  19. 쿡탑으로서,
    - 쿡탑 플레이트,
    - 상기 쿡탑 플레이트의 아래에 직선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3 개의 가열 수단,
    - 적어도 3 개의 팬 검출 센서들을 갖는 팬 검출 수단으로서, 상기 팬 검출 센서들을 갖는 상기 팬 검출 수단은 상기 가열 수단 위의 상기 쿡탑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조리 용기들의 수, 이들의 배치 위치 및 상기 가열 수단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들에 의한 상기 가열 수단의 상대 커버리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팬 검출 수단,
    - 쿡탑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쿡탑 제어기는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쿡탑.
KR1020220176815A 2021-12-21 2022-12-16 쿡탑의 작동 방법 및 쿡탑 KR20230095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214821.2 2021-12-21
DE102021214821.2A DE102021214821B3 (de) 2021-12-21 2021-12-21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ochfelds und Kochfe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004A true KR20230095004A (ko) 2023-06-28

Family

ID=8436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6815A KR20230095004A (ko) 2021-12-21 2022-12-16 쿡탑의 작동 방법 및 쿡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99920A1 (ko)
EP (1) EP4203608A1 (ko)
KR (1) KR20230095004A (ko)
CN (1) CN116293842A (ko)
DE (1) DE102021214821B3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4973A1 (de) 2006-11-15 2008-05-29 E.G.O. Elektro-Gerätebau GmbH Induktive Kochzone, Induktionskochfeld und Ansteuerverfahren
DE102009018134A1 (de) * 2009-04-15 2010-09-16 E.G.O. Elektro-Gerätebau GmbH Induktionsheiz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Induktionsheizeinrichtung
ES2362782B1 (es) * 2009-04-17 2012-05-22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Campo de cocción con una disposición de detección y procedimiento para accionar un campo de cocción.
EP3270661A1 (en) 2011-03-28 2018-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method of induction heating cooker
US9820799B2 (en) 2012-04-02 2017-11-21 Medical Development Technologies S.A. Implant device and system for ablation of a renal arterial wall from the inside
ES2439418B1 (es) * 2012-07-20 2015-03-12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EP3028536B1 (de) * 2013-07-31 2020-04-22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US10085304B2 (en) * 2013-07-31 2018-09-25 BSH Hausgeräte GmbH Cooktop device
EP2833697B1 (de) 2013-07-31 2017-06-14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DE102017212216A1 (de) 2017-07-17 2019-01-17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ochfel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9920A1 (en) 2023-06-22
DE102021214821B3 (de) 2023-03-30
EP4203608A1 (de) 2023-06-28
CN116293842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5690B2 (en) Hob with illumination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 hob
US10045402B2 (en) Method of detecting cookware on an induction hob, induction hob and cooking appliance
EP3533289B1 (en) Induction hob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uction hob
US9826578B2 (en) Induction cooking hob with a plurality of induction coils
JP2009128006A (ja) ホブ、およびホブ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US20170055318A1 (en) Cooktop having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KR20130034017A (ko) 하나 이상의 조리 구역을 갖는 쿡탑 및 쿡탑 작동 방법
US9974118B2 (en) Heating apparatus
CN115200052A (zh) 全区域电磁炉
US20180317284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95004A (ko) 쿡탑의 작동 방법 및 쿡탑
EP3555529A1 (en) Cooking hob with a monitoring device
US11274826B2 (en) Delayed ignition prevention in a multi-ring gas burner for a cooktop appliance
JP2011027401A (ja) オペレータ制御ユニット
US7375306B1 (en) Cooking appliance having multiple operating configurations
EP3681249B1 (en)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603087B1 (ja) 電磁調理器
EP3483508B1 (en) Ove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3490338B1 (en) Induction cooker, method for operating an induction cooker and controller for an induction cooker
US20230292409A1 (en) Zone-free induction cooker method and controller
JP3201320B2 (ja) 加熱調理器
CN110058538B (zh) 消毒柜的控制方法
AU2018264889B2 (en) Cooking hob with user interface
US1072179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source belonging to a cook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configured to carry out said method
KR20220127472A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유도가열 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