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383A - 배터리케이스 - Google Patents

배터리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383A
KR20230094383A KR1020210183518A KR20210183518A KR20230094383A KR 20230094383 A KR20230094383 A KR 20230094383A KR 1020210183518 A KR1020210183518 A KR 1020210183518A KR 20210183518 A KR20210183518 A KR 20210183518A KR 20230094383 A KR20230094383 A KR 20230094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unit
longitudinal
battery cas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건
이홍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8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383A/ko
Publication of KR2023009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을 둘러싸는 사이드프레임;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길이방향부재;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폭방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부재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길이방향유닛; 및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1 가변유닛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변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길이방향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케이스{BATTERY CASE}
본 발명은 배터리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배터리(Battery)의 전기에너지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배터리 전기자동차(이후, 전기자동차라 함)는 기존 내연기관차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지속적으로 생산 및 판매가 확대되고 있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는 기존 내연기관차와는 다른 전용의 플랫폼을 지니고 있으며, 여러 자동차 생산업체에서는 생산 효율성을 위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기자동차를 하나의 공용 전기차 플랫폼 위에 상부 차체 (Upper Body)만을 바꾸어 생산하는 방식을 채택 하고 있다.
이럴 경우 플랫폼 형태는 유지되나 차량크기에 따라 그 크기는 각기 다르게 변해야 하며, 플랫폼을 구성하는 배터리 팩 또한 마찬가지이다. 배터리 팩 크기가 달라져야 할 때 구성 부품의 크기도 모두 달라져야 한다면 생산 효율성에서 떨어지며 공용 전기차 플랫폼이라는 의미에서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193173 Y1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부품변화를 최소화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고,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배터리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충돌하중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배터리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측면을 둘러싸는 사이드프레임;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길이방향부재;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폭방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부재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길이방향유닛; 및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1 가변유닛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변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길이방향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케이스 를 제공한다.
상기 폭방향부재는, 인접한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폭방향부재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폭방향유닛; 및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2 가변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길이방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은 하부가 개방된 모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측이 바닥판과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길이방향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변유닛 중 선택된 상기 제1 가변유닛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부재가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폭방향내면의 사이를 지지하는 단면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보강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인접한 상기 폭방향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폭방향부재의 사이를 지지하는 보강벌크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벌크헤드와 상기 폭방향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벌크헤드와 상기 폭방향부재는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폭방향부재는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단면보강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인접한 상기 연결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연결브라켓의 사이를 지지하는 관형의 보강슬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부재는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폭방향유닛이 결합되고, 높이방향으로 결합된 인접한 상기 폭방향유닛의 사이를 통해 설치되어 배터리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방향부재는, 상기 냉각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패널 및 상기 냉각패널을 냉각시키는 냉각라인이 관통하는 폼비드를 가지는 제1 하부폭방향유닛; 및 상기 냉각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부폭방향유닛과 결합되는 제2 하부폭방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폭방향유닛은, 하부가 개방된 모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측이 바닥판과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측에 상기 냉각패널 및 상기 냉각패널을 냉각시키는 냉각라인이 관통하는 폼비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폭방향부재는, 상기 제2 하부폭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2 가변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폭방향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폭방향유닛은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길이방향부재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패널은,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사이 또는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위공간에 단위냉각패널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위냉각패널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폭방향부재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냉각패널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어 배터리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판; 및 인접한 상기 냉각모듈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모듈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모듈판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상기 폭방향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배터리모듈을 냉각시키고, 상기 연결모듈판은 상기 냉각모듈판에 비해 작은 폭으로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부재의 제1 하부폭방향유닛과 상기 폭방향부재의 제2 하부폭방향유닛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케이스의 부품변화를 최소화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고, 배터리케이스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충돌하중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소형 배터리케이스와 대형 배터리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복수 개의 제1 가변유닛이 교체되는 상부길이방향유닛을 포함하는 길이방향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이 적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이 교체되는 상부폭방향유닛을 포함하는 폭방향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가 적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보강부재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보강부재가 설치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보강부재가 설치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폭방향유닛이 결합되는 폭방향부재와 냉각패널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Ⅰ-Ⅰ'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Ⅱ-Ⅱ'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하부폭방향유닛의 상측에 냉각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폭방향부재가 길이방향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와 대비되는 비교예의 배터리케이스의 냉각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비교예와 대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테이스의 냉각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상부폭방향유닛이 추가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길이방향부재와 폭방향부재의 사이에 배터리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는 폭방향, 높이방향, 길이방향으로 도시하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도 폭방향, 높이방향, 길이방향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기술적 특징이 이러한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X축은 배터리케이스의 길이방향이고, Y축은 배터리케이스의 폭방향이고, Z축은 배터리케이스의 높이방향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케이스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소형 배터리케이스(1)와 대형 배터리케이스(2)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복수 개의 제1 가변유닛(202U)이 교체되는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을 포함하는 길이방향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이 적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소형 배터리케이스(1)와 대형 배터리케이스(2)는 전기자동차의 크기가 변하면서 그에 맞게 요구되는 배터리용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배터리케이스의 길이방향(X축), 폭방향(Y축), 높이방향(Z축)이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인 길이방향부재, 폭방향부재(300) 등의 크기도 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케이스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크기 변경의 경우는, 길이방향부재 및 폭방향부재(300)의 단면형상의 변경없이 길이방향부재의 길이방향 연장길이, 폭방향부재(300) 등의 폭방향 연장길이 등을 변화시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반면에, 배터리케이스의 높이방향의 크기 변경의 경우는, 길이방향부재 및 폭방향부재(300)의 단면형상의 변경이 부득이 하게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는 길이방향부재, 폭방향부재(300) 등을 하나의 단품으로 구성하지 않고,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계하고 높이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배터리케이스의 높이방향의 크기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케이스는 사이드프레임(100), 길이방향부재 및 폭방향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100)은 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사이드프레임(100)은 평면상에서 내부가 빈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는 폭방향부재(300), 길이방향부재, 냉각패널(4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길이방향부재는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다. 길이방향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길이방향부재는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양단이 사이드프레임(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길이방향부재는 사이드프레임(100)의 대향되는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30)의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2개의 길이방향부재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길이방향부재는 제1 상부판(210), 제1 측면판(230), 제1 하부판(250) 등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할 상부길이방향유닛(202), 하부길이방향유닛(201) 등의 각각 제1 상부판(210), 제1 측면판(230), 제1 하부판(250) 등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폭방향부재(300)는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부재와 교차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폭방향부재(300)는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폭방향유닛이 결합하고, 높이방향으로 결합된 인접한 폭방향유닛의 사이로 냉각패널(400)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폭방향유닛은 각각 제2 상부판(310), 제2 측면판(330), 제2 하부판(350) 등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할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 상부폭방향유닛(302) 등의 각각 제2 상부판(310), 제2 측면판(330), 제2 하부판(350) 등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길이방향부재는 하부길이방향유닛(201) 및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1 가변유닛(202U)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제1 가변유닛(202U) 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가변유닛(202U)의 높이에 따라 길이방향부재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대형 배터리케이스(2)는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상측에 높이가 높은 제1-1 가변유닛(202U-1)이 설치될 수 있고, 소형 배터리케이스(1)는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상측에 높이가 낮은 제1-2 가변유닛(202U-2)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는 소형 배터리케이스(1)와 대형 배터리케이스(2)에서, 길이방향부재의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은 동일한 구성품을 적용하고, 상부길이방향유닛(202)에 높이가 다른 제1 가변유닛(202U)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는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은 동일한 구성품을 적용함으로써, 배터리케이스의 기본구조는 유지하되 부품변화를 최소화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고, 배터리케이스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는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을 유지하고,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가변유닛(202U)의 높이를 선택하여 배터리케이스의 높이방향의 크기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폭방향부재(300)는 인접한 길이방향부재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길이방향부재와 사이드프레임(10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폭방향부재(300)는 인접한 길이방향부재의 사이를 지지하거나, 길이방향부재와 사이드프레임(100)의 측면프레임(150)의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302U)이 교체되는 상부폭방향유닛(302)을 포함하는 폭방향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가 적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폭방향부재(300)는 하부폭방향유닛(301) 및 상부폭방향유닛(30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폭방향유닛(301)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폭방향유닛(302)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302U)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302U) 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폭방향유닛(30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폭방향유닛(302)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가변유닛(302U)의 높이에 따라 폭방향부재(30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대형 배터리케이스(2)는 하부폭방향유닛(301)의 상측에 높이가 높은 제2-1 가변유닛(302U-1)이 설치될 수 있고, 소형 배터리케이스(1)는 하부폭방향유닛(301)의 상측에 높이가 낮은 제2-2 가변유닛(302U-2)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는 소형 배터리케이스(1)와 대형 배터리케이스(2)에서, 길이방향부재의 하부폭방향유닛(301)은 동일한 구성품을 적용하고, 상부폭방향유닛(302)에 높이가 다른 제2 가변유닛(302U)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는 하부폭방향유닛(301)을 유지하고, 하부폭방향유닛(3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가변유닛(302U)의 높이를 선택하여 배터리케이스의 높이방향의 크기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는 소형 배터리케이스(1)와 대형 배터리케이스(2)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하부길이방향유닛(201)과, 하부폭방향유닛(301)의 높이를 대응되는 높이로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하부길이방향유닛(201)과 하부폭방향유닛(301)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배터리케이스의 충돌하중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보강부재(500)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보강부재(500)가 설치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터리케이스는 단면보강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면보강부재(500)는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폭방향부재(300)가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배치되고, 길이방향부재의 폭방향내면의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단면보강부재(500)는 길이방향부재의 2개의 폭방향내면의 사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길이방향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부재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경량화에는 유리할 수 있으나, 폭방향의 충격하중에 의해 좌굴이 발생할 수 있는바, 단면보강부재(500)가 이를 보강할 수 있다.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은 복수 개의 제1 가변유닛(202U) 중 선택된 제1 가변유닛(202U)이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상측에 결합되는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은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개방된 부분이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상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상측에는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의 하부가 끼워지는 내입된 내입단턱(27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은 하단부가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내입단턱(270)에 거치되고, 상부길이방향유닛(202)과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은 하부가 개방된 모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측이 바닥판(600)과 결합되어 바닥판(60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단면보강부재(500)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인접한 폭방향부재(3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접한 폭방향부재(300)의 사이를 지지하는 보강벌크헤드(501)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벌크헤드(501)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폭방향부재(300)의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단면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벌크헤드(501)가 내부에 설치된 길이방향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폭방향부재(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벌크헤드(501)와 폭방향부재(300)는 길이방향부재의 제1 측면판(2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보강벌크헤드(501)는 길이방향부재의 제1 측면판(230)의 내면에 접합되고, 폭방향부재(300)는 보강벌크헤드(501)가 접합된 위치에 대응되는 길이방향부재의 제1 측면판(230)의 내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일례로, 보강벌크헤드(501)는 길이방향부재의 제1 측면판(230)의 내면에 용접 접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좌측의 폭방향부재(300), 좌측의 제1 측면판(230), 보강벌크헤드(501), 우측의 제1 측면판(230), 우측의 폭방향부재(300)가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을 참조하면, 보강벌크헤드(501)는 길이방향부재의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의 제1 측면판(230)의 내면에 접합되고, 폭방향부재(300)의 상부폭방향유닛(302)은 보강벌크헤드(501)가 접합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부길이방향유닛(202)의 제1 측면판(230)의 내면에 접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보강벌크헤드(501)는 길이방향부재의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제1 측면판(230)의 내면에 접합되고, 폭방향부재(300)의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은 보강벌크헤드(501)가 접합된 위치에 대응되는 하부길이방향유닛(201)의 제1 측면판(230)의 내면에 접합될 수 있다.
보강벌크헤드(501)와 폭방향부재(3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보강벌크헤드(501)와 폭방향부재(300)는 길이방향부재의 제1 측면판(230)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폭방향부재(300)가 'ㄷ자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보강벌크헤드(501)는 이에 대응되는 'ㄷ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폭방향부재(300)가 제2 상부판(310)과, 한 쌍의 제2 측면판(330)을 포함하여,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의 단면을 포함할 경우, 보강벌크헤드(501)는 이에 대응되는 'ㄷ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폭방향부재(300)의 'ㄷ자형'의 단면부분과, 보강벌크헤드(501)의 'ㄷ자형'의 단면부분은 길이방향부재의 제1 측면판(230)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의 폭방향부재(300), 좌측의 제1 측면판(230), 보강벌크헤드(501), 우측의 제1 측면판(230), 우측의 폭방향부재(300)로 단면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어 폭방향 충격하중에 대해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보강벌크헤드(501)와 폭방향부재(300)는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폭방향부재(300)가 'ㄷ자형'의 단면을 포함하는 'ㅁ자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보강벌크헤드(501)는 폭방향부재(300)의 'ㄷ자형'의 단면에 대응되는 'ㄷ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폭방향부재(300)가 'ㄷ자형'의 단면과 보강벌크헤드(501)의 'ㄷ자형'의 단면은 길이방향부재의 제1 측면판(230)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의 단면보강부재(500)가 설치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폭방향부재(300)는 연결브라켓(B)을 매개로 길이방향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단면보강부재(500)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인접한 연결브라켓(B)의 사이에 배치되는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접한 연결브라켓(B)의 사이를 지지하는 관형의 보강슬리브(502)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슬리브(502)는 폭방향부재(300)와 연결된 2개의 연결브라켓(B)의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단면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슬리브(502)가 내부에 설치된 길이방향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연결브라켓(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슬리브(502)는 길이방향부재의 2개의 폭방향내면의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연결브라켓(B)과 길이방향부재는 보강볼트부재(503)를 매개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볼트부재(503)는 좌측의 연결브라켓(B), 길이방향부재, 보강슬리브(502) 및 우측의 연결브라켓(B)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B)의 제1 브라켓(B1)은 폭방향부재(300)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 접합에 의해 접합될 수 있고, 연결브라켓(B)의 제2 브라켓(B2)은 길이방향부재 및 보강슬리브(502)와 함께 보강볼트부재(50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배터리케이스는 냉각패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폭방향부재(300)는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폭방향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냉각패널(400)은 높이방향으로 결합된 인접한 폭방향유닛의 사이를 통해 설치되어 배터리모듈(C)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폭방향유닛이 결합되는 폭방향부재(300)와 냉각패널(400)의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Ⅰ-Ⅰ' 방향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Ⅱ-Ⅱ'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의 상측에 냉각패널(4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폭방향부재(300)는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 및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은 냉각패널(400)의 하측에 배치되고, 냉각패널(400) 및 냉각패널(400)을 냉각시키는 냉각라인(450)이 관통하는 폼비드(370)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은 하측이 바닥판(600)과 결합될 수 있고, 상측에 형성된 폼비드(370)에 냉각패널(400) 및 냉각패널(400)을 냉각시키는 냉각라인(4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은 제2 상부판(310), 한 쌍의 제2 측면판(330), 한 쌍의 제2 하부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하부판(350)은 바닥판(600)과 용접 접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은 제2 상부판(310), 한 쌍의 제2 측면판(330), 한 쌍의 제2 하부판(350)이 모자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은 냉각패널(4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냉각패널(40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과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은 볼트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은 냉각패널(400)을 사이에 두고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 냉각패널(400),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이 볼트접합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은 제2 상부판(310), 한 쌍의 제2 측면판(330), 한 쌍의 제2 하부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하부판(350)은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의 제2 상부판(310)과 볼트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은 제2 상부판(310), 한 쌍의 제2 측면판(330), 한 쌍의 제2 하부판(350)이 모자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은, 하부가 개방된 모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측이 바닥판(600)과 결합되어 바닥판(600)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측에 냉각패널(400) 및 냉각패널(400)을 냉각시키는 냉각라인(450)이 관통하는 폼비드(370)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폭방향부재(300)가 길이방향부재와 결합되는 부분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폭방향부재(300)는 상부폭방향유닛(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폭방향유닛(302)은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의 상측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302U)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302U) 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폭방향유닛(301)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부폭방향유닛(302)은 연결브라켓(B)을 매개로 길이방향부재에 접합될 수 있다.
상부폭방향유닛(302)은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302U) 중 선택된 제2 가변유닛(302U)은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배터리케이스와 대비되는 비교예의 배터리케이스의 냉각판(D)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비교예와 대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테이스의 냉각패널(4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상부폭방향유닛(302)이 추가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길이방향부재와 폭방향부재(300)의 사이에 배터리모듈(C)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각패널(400)은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길이방향부재의 사이 또는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길이방향부재와 사이드프레임(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위공간에 단위냉각패널(400M)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단위공간은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2개의 길이방향부재의 사이 또는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길이방향유닛과 사이드프레임(1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위공간의 전방에는 사이드프레임(100)의 전방프레임(110)이 배치되고, 후방에는 사이드프레임(100)의 전방프레임(110)이 배치될 수 있다.
단위공간의 측면에는 2개의 길이방향유닛이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거나, 단위공간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유닛이 배치되고 단위공간의 타측면에는 길이방향유닛과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측면프레임(15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단위공간은 전방프레임(110), 한 쌍의 길이방향유닛, 후방프레임(130)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전방프레임(110), 길이방향유닛, 측면프레임(150), 후방프레임(1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단위냉각패널(400M)은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를 가로질러서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단위냉각패널(400M)은 배터리모듈(C)의 하측에 배치되어 배터리모듈(C)을 냉각할 수 있다. 단위냉각패널(400M)은 냉각라인(450)이 연결되어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단위냉각패널(400M)은 단위공간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2개의 길이방향부재가 이격하여 배치되어 3개의 단위공간이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3개의 단위공간에 3개의 단위냉각패널(400M)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단위공간에 일체로 형성된 단위냉각패널(400M)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냉각패널(400)은 3개의 단위냉각패널(400M)로 구성될 수 있고, 3개의 단위냉각패널(400M)은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2개의 길이방향부재의 사이에 1개의 단위냉각패널(400M)이 배치되고, 폭방향 좌측의 사이드프레임(100)과 길이방향부재의 사이에 1개의 단위냉각패널(400M)이 배치되면, 길이방향유닛과, 폭방향 우측의 사이드프레임(100)의 사이에 1개의 단위냉각패널(400M)이 배치되면서 총 3개의 단위냉각패널(400M)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3개의 단위냉각패널(400M)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4개 이상의 단위냉각패널(400M)이 형성되는 것도 무방할 수 있다.
냉각패널(400)이 배터리케이스 전체에 설치되어 냉각수가 전체적으로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 냉각유로가 길어지면서 냉각온도손실이 커져 냉각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냉각패널(400)은 단위냉각패널(400M)을 단위공간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냉각유로가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단위냉각패널(400M)의 크기를 줄여 단위냉각패널(400M)의 성형시 발생할 수 있는 단위냉각패널(400M)의 스프링백 현상을 줄여 단위냉각패널(400M)의 성형 및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위냉각패널(400M)은,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폭방향부재(300)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달리 분할된 냉각판(D)이 설치되어야 하며, 각 구역의 냉각판(D)의 유로를 연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튜브구조(E)가 필요하다. 또한, 튜브를 연결하기 위해 폭방향부재(300) 상단부에 유로가 지나갈 공간을 확보하던지 아니면 폭방향부재(300)에 구멍을 뚫어서 유로를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교예는, 한정된 공간에 배터리 용량을 최대한 키우고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는 측면에서 구조적으로 문제점이 많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는 비교예와 같이, 단위냉각패널(400M)은, 사이드프레임(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폭방향부재(300)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비교예와는 달리 단위공간에 분할된 복수 개의 냉각판(D)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각 구역의 냉각판(D)의 유로를 연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튜브구조(E)가 필요없다는 점에서 배터리 용량을 최대한으로 키우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위냉각패널(400M)은 냉각모듈판(410) 및 연결모듈판(43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판(4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어 배터리모듈(C)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연결모듈판(430)은 2개의 냉각모듈판(41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냉각모듈판(410)과 연결모듈판(430)은 강재 등의 단일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냉각모듈판(410)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폭방향부재(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배터리모듈(C)을 냉각시킬 수 있고, 연결모듈판(430)은 냉각모듈판(410)에 비해 작은 폭으로 설치되고 폭방향부재(300)의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과 폭방향부재(300)의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모듈(C)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2개의 폭방향부재(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모듈판(430)은 냉각모듈판(410)에 비해 작은 폭으로 설치됨으로써, 2개의 냉각모듈판(410)을 연결하면서 폭방향부재(300)로 냉기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모듈판(430)이 냉각모듈판(410)에 비해 작은 폭으로 설치되지만 연결모듈판(430)이 높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과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과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어 연결모듈판(430)의 파손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연결모듈판(430)은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과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의 사이에 완벽하게 들어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연결모듈판(430)의 일부영역은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과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연결모듈판(430)의 다른 일부영역은 제1 하부폭방향유닛(301-1)과 제2 하부폭방향유닛(301-2)의 사이를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냉각패널(400)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4개의 폭방향부재(30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냉각패널(400)은 3개의 냉각모듈판(410)이 연결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폭방향부재(300)의 사이에 냉각모듈판(41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폭방향부재(300)에 의해 냉각패널(400)이 분할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소형 배터리케이스 2: 대형 배터리케이스
100: 사이드프레임 110: 전방프레임
130: 후방프레임 150: 측면프레임
201: 하부길이방향유닛 202: 상부길이방향유닛
202U: 제1 가변유닛 202U-1: 제1-1 가변유닛
202U-2: 제1-2 가변유닛 210: 제1 상부판
230: 제1 측면판 250: 제1 하부판
270: 내입단턱 300: 폭방향부재
301: 하부폭방향유닛 301-1: 제1 하부폭방향유닛
301-2: 제2 하부폭방향유닛 302: 상부폭방향유닛
302U: 제2 가변유닛 302U-1: 제2-1 가변유닛
302U-2: 제2-2 가변유닛 310: 제2 상부판
330: 제2 측면판 350: 제2 하부판
370: 폼비드 400: 냉각패널
400M: 단위냉각패널 410: 냉각모듈판
430: 연결모듈판 450: 냉각라인
500: 단면보강부재 501: 보강벌크헤드
502: 보강슬리브 503: 보강볼트부재
600: 바닥판 B: 연결브라켓
B1: 제1 브라켓 B2: 제2 브라켓
C: 배터리모듈 D: 냉각판
E: 튜브구조

Claims (17)

  1. 측면을 둘러싸는 사이드프레임;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길이방향부재;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폭방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부재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길이방향유닛; 및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1 가변유닛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변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길이방향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부재는,
    인접한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터리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부재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폭방향유닛; 및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2 가변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길이방향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은 하부가 개방된 모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측이 바닥판과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길이방향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변유닛 중 선택된 상기 제1 가변유닛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배터리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부재가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폭방향내면의 사이를 지지하는 단면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보강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인접한 상기 폭방향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폭방향부재의 사이를 지지하는 보강벌크헤드로 구성되는 배터리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벌크헤드와 상기 폭방향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배터리케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벌크헤드와 상기 폭방향부재는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배터리케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부재는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단면보강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된 인접한 상기 연결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인접한 상기 연결브라켓의 사이를 지지하는 관형의 보강슬리브로 구성되는 배터리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부재는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폭방향유닛이 결합되고,
    높이방향으로 결합된 인접한 상기 폭방향유닛의 사이를 통해 설치되어 배터리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패널;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부재는,
    상기 냉각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패널 및 상기 냉각패널을 냉각시키는 냉각라인이 관통하는 폼비드를 가지는 제1 하부폭방향유닛; 및
    상기 냉각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부폭방향유닛과 결합되는 제2 하부폭방향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케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폭방향유닛은,
    하부가 개방된 모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하측이 바닥판과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측에 상기 냉각패널 및 상기 냉각패널을 냉각시키는 냉각라인이 관통하는 폼비드를 가지는 배터리케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부재는,
    상기 제2 하부폭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가변유닛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2 가변유닛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부길이방향유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폭방향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폭방향유닛은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길이방향부재에 접합되는 배터리케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패널은,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상기 길이방향부재의 사이 또는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길이방향부재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위공간에 단위냉각패널이 각각 배치되는 배터리케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냉각패널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폭방향부재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는 배터리케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냉각패널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어 배터리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판; 및
    인접한 상기 냉각모듈판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모듈판;을 포함하는 배터리케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판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접한 상기 폭방향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배터리모듈을 냉각시키고,
    상기 연결모듈판은 상기 냉각모듈판에 비해 작은 폭으로 설치되고 상기 폭방향부재의 제1 하부폭방향유닛과 상기 폭방향부재의 제2 하부폭방향유닛의 사이에 걸쳐서 배치되는 배터리케이스.

KR1020210183518A 2021-12-21 2021-12-21 배터리케이스 KR20230094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518A KR20230094383A (ko) 2021-12-21 2021-12-21 배터리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518A KR20230094383A (ko) 2021-12-21 2021-12-21 배터리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383A true KR20230094383A (ko) 2023-06-28

Family

ID=8699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518A KR20230094383A (ko) 2021-12-21 2021-12-21 배터리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3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173Y1 (ko) 2000-03-14 2000-08-16 주식회사터울 리튬 배터리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173Y1 (ko) 2000-03-14 2000-08-16 주식회사터울 리튬 배터리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9637B (zh) 汽车的车身构造
CN102991584B (zh) 车辆的前部本体结构
US7008007B2 (en) Vehicle body end structure
US7905541B2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JP4802589B2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US10421500B2 (en) Vehicle framework structure
US20130207417A1 (en) Structure of front section of vehicle body
CN101559775B (zh) 车身结构
JP5227234B2 (ja) 鉄道車両用の車体構造
CN103221290B (zh) 用于轨道车辆且具有联接器固定装置的车厢及其制造方法
US20120153645A1 (en) Bumper for an automobile
US11383766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CN101941464B (zh) 汽车的车身
CN1970329A (zh) 载货车的汽车车架
CN102791563A (zh) 拖车的底板结构
US11472482B2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6113863B2 (ja) 車体後部構造
KR20230094383A (ko) 배터리케이스
CN114348119A (zh) 用于电动车辆的并列型侧梁结构
KR20230094018A (ko) 배터리케이스
CN213109532U (zh) 前地板总成及车辆
US10946898B2 (en) Close coupled four rail front structure system transferring compressive loads into a single center torsion/compression member
JP3354917B2 (ja) 大型バスのフレーム構造
US10926803B2 (en) Four rail front crush structure with load dissemination into eight element support structure
CN113232687B (zh) 轨道车辆的底架总成及轨道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