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209A -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209A
KR20230094209A KR1020210182561A KR20210182561A KR20230094209A KR 20230094209 A KR20230094209 A KR 20230094209A KR 1020210182561 A KR1020210182561 A KR 1020210182561A KR 20210182561 A KR20210182561 A KR 20210182561A KR 20230094209 A KR20230094209 A KR 20230094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density polyethylene
woven
h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성
김동현
최지영
Original Assignee
연합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합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합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209A/ko
Publication of KR20230094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팜 온실 하우스에 다단재배시 배지로 사용하기 위한 다겹직조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하우스용 베드로 사용했던 방수천의 문제점인 보온성과 차열성능의 저하를 해소하는 한편, 스치로폼 베드의 경우 그 부피가 너무 크고, 사용시 스치로폼 가루가 날리는 등의 사용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온성과 차열성이 우수한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Woven-Film For Smart­Farm Multistage Cultivation Greenhouse}
본 발명은 스마트팜 온실 하우스에 다단재배시 배지로 사용하기 위한 다겹직조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렛얀으로 제직한 원단에 부직포와 라미네이트층의 다겹을 형성하고, 황산바륨과 같은 백색안료를 사용하여 보온성이 우수한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업은 IOT를 결합한 4차산업시대로 진입하고자 스마트팜 온실에서 생육한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규모의 집적화를 통해서 농가의 소득증대뿐만 아니라 유통ㆍ체험 관광으로 확대를 시도하고 있으나, 스마트팜 온실에 대한 연구개발은 소프트웨어격인 센서나 프로그램개발에 편중되어 있으며, 하드웨어격인 스마트팜 온실의 커버나 온도제어에 필요한 보냉기능을 갖는 보온ㆍ차열 자재에 대한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의 스마트팜 온실은 겨울철 난방비를 적게 하면서 보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문제가 가장 큰 애로사항이며, 이 부분에 대하여는 계속적인 관련 개발들이 실현되고 있다.
시설원예에서 난방비의 비중은 30%∼50%로 시설원예 선진국의 10%에 비해 높은 편이며, 국제유가 상승 및 하락은 농가의 난방비 부담 가중뿐 아니라 농업경영에 대한 안정성 저해로 이어지고 있으며, 촉성 토마토의 경우 10a당 총경비 9,265천원중 난방비가 2,852천원으로 약 31%를 차지하고 있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온실자재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러한 스마트팜 온실의 핵심은 토경재배보다 작업능률 향상, 연작장해 감소, 수확기간 연장 등의 장점이 있는 수경재배가 중심이며, 양액을 이송하는 베드재료가 온실내 기후 온도에 변함없이 보온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플라스틱온실이나 유리온실의 동고(洞高)는 작물의 생장을 위해 높아지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고설재배가 확산되고 있는데. 이에 필요한 고설 재배조 (재배베드)는 스치로폼이나 타포린과 같은 방수천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한민국등록특허제10-0937210호와 같은 공지기술에서는 다겹보온 커튼위주로 스마트팜 온실을 보온하고자 하는 개발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을 뿐, 작물재배시 사용되는 배드 보온에 관한 기술은 소개된 바 없다. 특히, 현재 주로 사용되는 스치로폼의 경우, 작업 시 부서지면 스치로폼 가루가 날리어 환경에 문제가 있고, 부피가 커서 사용 후 폐기하기도 어려우며, 타포린과 같은 방수천으로 된 재배조는 근권의 보온ㆍ차열등 온도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다겹직조필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제10-0937210호(2010년01월20일 공고)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스치로폼 배드의 환경문제 개선과 칠반 방수천에 의한 보온성 결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스마트팜 온실에 사용하는 재배조용 배드의 보온성과 차열성을 동시에 갖는 베드용 직조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이 경사 및 위사가 되어 제직된 중간층(10),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20),
상기 중간층의 이면에 형성된 접착제층(30),
상기 접착제층의 이면에 형성된 부직포층(40),
상기 부직포층의 이면에 형성된 이면라미네이트층(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은 HALS계 광안정제 5~10중량%, 산화방지제 1~3중량%, 탄산칼슘0.1~2.0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42~0.965인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티다이압출방법으로 제조된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은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백색안료 0.3~3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합하여 코팅한 것이며, 상기 이면라미네이트층은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합하여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MI지수 12g/10min ~ 20g/10min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접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HALS계 광안정제 5~10중량%, 산화방지제 1~3중량%, 탄산칼슘 0.1~2.0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42~0.965인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혼합하고 용융시켜 티다이압출방법으로 필름으로 압출하고 냉각시킨 후 예비연신하고 복수의 플랫 얀으로 슬리팅(slitting)한 다음, 상기 플랫 얀을 연신하여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을 제조한 후 상기 플랫얀을 이용하여 중간층을 직조(織造)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을 코로나처리하여 라미네이팅 향상을 하는 코로나처리단계;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백색안료 0.3~3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용융하고 코팅하여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MI지수 12g/10min ~ 20g/10min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접착수지를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의 이면에 부직포층을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층의 이면에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용융하고 코팅하여 이면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종래의 하우스용 베드로 사용했던 방수천의 문제점인 보온성과 차열성능의 저하를 해소하는 한편, 스치로폼 베드의 경우 그 부피가 너무 크고, 사용시 스치로폼 가루가 날리는 등의 사용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고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온성과 차열성이 우수한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을 사용한 재배용 재배조의 구조사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은 크게 중간층(10),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20), 접착제층(30), 부직포층(40) 및 이면라미네이트층(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층(10)은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이 경사 및 위사가 되어 제직된 것이다. 상기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은 HALS계 광안정제 5~10중량%, 산화방지제 1~3중량%, 탄산칼슘0.1~2.0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42~0.965인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티다이압출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보온성 증대에 바람직하다.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 광안정제(HALS), 산화방지제, 탄산칼슘을 혼합해서 압출온도 260~280℃에서 폭 1~4mm 플렛얀을 제조하고 상기의 플렛얀을 워터젯트직기로 제직하여 중간층을 형성한다.
상기 중간층(10)의 표면에는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20)이 형성되는데,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백색안료 0.3~3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합하여 중간층의 표면에 280~300℃로 압출 라미네이팅을 하여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20)은 반사율증진, 보온성 증대를 위해서 백색안료를 0.3~3.0중량%함유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백색안료는 황산바륨,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의 이면에는 접착제층(30)을 형성하고 부직포(40)를 적층하여 접착제층의 이면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 접착제층은 MI지수 12g/10min ~ 20g/10min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접착수지인 것이 신속한 균일 피막형성에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의 이면에 형성되는 부직포층(40)은 보습 및 보온성 증대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합성수지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울이나 면등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층의 이면에는 이면라미네이트층(50) 형성되어 베드조내의 관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이 부여되는데, 상기 이면라미네이트층은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합하여 코팅하여 이면라미네이트층(50)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다겹직조필름은 보온성과 차열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의 제조방법은 크게 중간층직조단계, 코로나처리단계,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 형성단계, 접착제층 형성단계, 부직포층 접착단계,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중간층직조단계는 HALS계 광안정제 5~10중량%, 산화방지제 1~3중량%, 탄산칼슘0.1~2.0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42~0.965인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혼합하고 용융시켜 티다이압출방법으로 필름으로 압출하고 냉각시킨 후 예비연신하고 복수의 플랫 얀으로 슬리팅(slitting)한 다음, 상기 플랫 얀을 연신하여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을 제조한 후 상기 플랫얀을 이용하여 중간층을 직조(織造)하게 된다.
이후 상기 중간층을 코로나처리하여 접착성능 향상작용을 부여하는 코로나처리단계를 행한다. 코로나처리는 주파수가 30 ㎑이상, 처리간극을 1.5~2.0 ㎜조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백색안료 0.3~3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용융하고 코팅하여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행한다.
상기 백색안료는 황산바륨,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좋기로는 상기 표면의 라미네이트시 백색안료로서 황산바륨을 사용하면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반사율이 커서 다단재배시의 광량부족을 보전하는 효과가 더 좋다.
이후 MI지수 12g/10min ~ 20g/10min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접착수지를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데, 접착수지층의 막형성이 균일하고 신속한 접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접착제층의 이면에 부직포층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행하는데, 부직포층의 접착에 의해 차열 및 보온성 증대 작용을 부여하게 된다.
이후 상기 부직포층의 이면에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용융하고 코팅하여 이면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여 베드조내의 관수의 흐름을 원활하게하는 작용을 부여하면서 본 발명의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의 제조방법을 마치게 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을 제조하는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1. 중간층의 제직
HALS계 광안정제 5.0중량%, 산화방지제 1.0중량%, 탄산칼슘 0.5중량% 및 잔부로서 고밀도폴리에틸렌(비중0.956, 308U(대한유화産)을 혼합하여 티다이압출방법으로 260℃에서 연신비 1:5, 사폭 2.4mm, 섬도 1,300denier인 플렛얀을 제조한 후, 워터젯트 직기를 사용하여 600 rpm으로 폭 44Inch, 밀도 15에 Plain조직으로 제직하여 중간층을 준비하였다. 이후 중간층을 고주파 주파수 30㎑,처리간극 2.0mm의 조건하에서 코로나처리하였다.
2. 다겹직조필름의 제조
상기 제직된 중간층의 표면에 저밀도폴리에틸렌(비중0.922, 9730(한화케미칼산)) 90.4중량%, HALS 5.0중량%, 보온제 1.5중량%, 백색안료 3.0중량%, 산화방지제0.1중량%을 혼합하여 티다이압출기로 300℃에서 라미네이팅하여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였다.
다시 상기의 중간층의 이면에 MI지수 20g/10min의 LDPE 접착수지를 사용하여 티다이 압출기로 280℃에서 포속을 낮추어 최대 80m/min으로 라미네이팅과 동시에 두께 0.5㎜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합포하여 부직포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부직포층의 이면에 HALS계 광안정제 2.0중량%, 보온제 1.0중량%, 산화방지제 0.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합하여 260℃, 80m/min으로 라미네이팅하여 이면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여 다겹직조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스터와 PVC로 제조된 일반 타포린을 비교예 1로 선정하였다.
[실험례 1]
1. 다단재배용 재배조 설치 및 실증시험: 공주대학교 원예과 시험포(예산)
제조한 다겹직조필름을 실증시험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설계한 시험재배 온실2m(W) X 10m(L) X 3m(H)로서 다겹직조필름을 2중막으로 설치한 뒤, 내면에 고설재배장치를 제조하였다. 다단재배용 재배조의 폭은 30cm,길이 15m, 70cm 높이로 설치하고, 도 2의 우측은 비교예 1로 일반 PVC타포린 재배조(검정색)이며, 좌측은 실시예 1의 다겹직조필름 재배조(회색)를 설치하였다. 좌우측간 설치 간격은 2m로 농기계 유입이 편리하게 하였다.
수경재배 작물은 딸기(설향),배지는 코코피트, 배지내 온도는 2021년 3월08일에 정식하여 07월26일까지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재배조 배지온도 실증시험을 하여 시설 내외부 환경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Measurement
day
Morning 9:00 Afternoon 13:00
비교예 1
(oC)
실시예 1
(oC)
Ratio
(%)
비교예 1
(oC)
실시예 1
(oC)
Ratio
(%)
08-Mar 13.8 14.2 103 25.5 25.6 100
15-Mar 13.8 14.2 103 24.9 26.2 105
22-Mar 16.5 16.6 101 23.7 24.9 105
29-Mar 14.3 16.5 115 23.8 24.3 102
05-Apr 19.0 21.3 112 26.2 26.5 101
12-Apr 18.0 21.1 117 26.4 26.6 101
19-Apr 15.3 15.4 101 20.3 20.4 100
26-Apr 17.8 18.4 103 25.1 25.4 101
03-May 19.2 20.3 106 25.2 25.9 103
10-May 18.1 20.3 112 24.6 25.9 105
17-May 16.7 17.8 107 24.6 25.1 102
24-May 17.7 18.0 102 19.4 19.9 102
31-May 19.4 19.9 103 22.3 24.8 111
07-Jun 19.2 19.2 100 25.2 27.1 108
14-Jun 25.8 27.5 106 33.0 35.9 109
21-Jun 24.5 24.5 100 26.3 27.3 104
28-Jun 27.0 28.8 107 25.8 27.5 106
05-Jul 27.0 27.4 101 31.7 31.8 101
12-Jul 28.1 28.5 102 34.2 36.8 108
19-Jul 31.8 33.7 106 32.5 34.4 106
26-Jul 31.1 31.9 103 35.5 38.5 108
Mean 20.7 21.7 105 26.5 27.7 104
- 다겹직조필름 (실시예 1)과 일반필름 (비교예 1) 베드의 배지 내 온도변화 측정은 2021년 5월 8일부터 2021년 7월 26일까지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온도는 각각 매주 월요일 아침 9시와 오후 13시에 측정되었다.
- 아침의 경우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평균적으로 5%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로 높게 나타난 날은 17%이상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높았다.
- 오후에 측정된 온도변화에서도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평균적으로 4%이상 높았으며, 최대로 높게 나타난 날은 11% 이상 높게 유지되었다.
- 특히 광합성을 왕성하게 하는 오전에는 뿌리의 온도가 25℃ 전후가 유리한데, 온도가 낮은 3월과 4월에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 1에서 높은 것은 작물 생육에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재배조 배지온도의 측정결과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보온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10 : 중간층 20 : 표면라미네이트층
30 : 알루미늄포일층 40 : 이면라미네이트층
50 : 부직포층

Claims (5)

  1.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이 경사 및 위사가 되어 제직된 중간층(10),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20),
    상기 중간층의 이면에 형성된 접착제층(30),
    상기 접착제층의 이면에 형성된 부직포층(40),
    상기 부직포층의 이면에 형성된 이면라미네이트층(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은 HALS계 광안정제 5~10중량%, 산화방지제 1~3중량%, 탄산칼슘 0.1~2.0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42~0.965인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티다이압출방법으로 제조된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은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백색안료 0.3~3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합하여 코팅한 것이며,
    상기 이면라미네이트층은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혼합하여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MI지수 12g/10min ~ 20g/10min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접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5. HALS계 광안정제 5~10중량%, 산화방지제 1~3중량%, 탄산칼슘 0.1~2.0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42~0.965인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혼합하고 용융시켜 티다이압출방법으로 필름으로 압출하고 냉각시킨 후 예비연신하고 복수의 플랫 얀으로 슬리팅(slitting)한 다음, 상기 플랫 얀을 연신하여 고밀도 폴리올레핀계 플랫얀을 제조한 후 상기 플랫얀을 이용하여 중간층을 직조(織造)하는 단계;
    상기 중간층을 코로나처리하여 라미네이팅 향상을 하는 코로나처리단계;
    상기 중간층의 표면에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백색안료 0.3~3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용융하고 코팅하여 표면백색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MI지수 12g/10min ~ 20g/10min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접착수지를 상기 중간층의 이면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의 이면에 부직포층을 접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층의 이면에 HALS계 광안정제 0.5~5중량%, 보온제 0.5~5중량%, 산화방지제 0.1~1중량% 및 잔부로서 비중 0.915~0.922인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용융하고 코팅하여 이면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10182561A 2021-12-20 2021-12-20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4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561A KR20230094209A (ko) 2021-12-20 2021-12-20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561A KR20230094209A (ko) 2021-12-20 2021-12-20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209A true KR20230094209A (ko) 2023-06-28

Family

ID=8699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561A KR20230094209A (ko) 2021-12-20 2021-12-20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2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210B1 (ko) 2009-04-07 2010-01-20 (주)부전 알루미늄을 이용한 다겹 차광 보온 커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210B1 (ko) 2009-04-07 2010-01-20 (주)부전 알루미늄을 이용한 다겹 차광 보온 커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7829B2 (ja) グリーンハウススクリーン
US11291167B2 (en) Agricultural greenhouse, plan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heat-ray reflecting film structure
AU2002330452B2 (en) Light shielding sheet
JP3838741B2 (ja) 遮光ネット
JP4504822B2 (ja) 遮熱性および光透過性を有するネット状資材
KR20230094209A (ko) 스마트팜 온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020403B1 (ko) 유리온실의 커튼용 원단
JP2006055002A (ja) 作物の高温障害防止シート
JPH09172883A (ja) 遮光ネット
CN105482226A (zh) 透气母粒、防水透气复合编织布及相应的制造方法
KR102195616B1 (ko) 에어돔하우스 다단재배용 다겹직조필름
JP3769077B2 (ja) 農業用被覆資材
KR102468013B1 (ko) 고온경감 효과가 우수한 농업용 다공성 합지필름
JP2009241364A (ja) 保温シート
JP2004160812A (ja) 透湿性シート
KR20150065430A (ko) 자외선 안정성 및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산업용 멜트블로운 섬유 실외 보온재
JP2008167711A (ja) 農業用被覆シート
JP6319853B2 (ja) 表面突起を有する反射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面突起を有する防虫ネット用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防虫ネット
KR102176397B1 (ko) 환형 직조필름을 이용한 보온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온시트
JP5645376B2 (ja) 作物の高温障害防止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6218277A (ja) 表面突起を有する反射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2496B1 (ko) 온실용 보온필름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온실용 보온필름
KR102574880B1 (ko) 광발열 입자가 함유된 발열 기능성 멀칭 매트
KR102574873B1 (ko) 광발열 입자가 함유된 발열 기능성 멀칭 매트의 제조방법
JP2001293806A (ja) 通気性積層シート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