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750A -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750A
KR20230093750A KR1020210182624A KR20210182624A KR20230093750A KR 20230093750 A KR20230093750 A KR 20230093750A KR 1020210182624 A KR1020210182624 A KR 1020210182624A KR 20210182624 A KR20210182624 A KR 20210182624A KR 20230093750 A KR20230093750 A KR 20230093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sition
weight
epoxy
getter
bas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민영
변자훈
강화승
김동민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21018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750A/ko
Priority to PCT/KR2022/018040 priority patent/WO2023120991A1/ko
Publication of KR2023009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5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urethanes, e.g. urethane(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oxy Resin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폭시계 레진, 양이온 개시제 및 낮은 게터(Getter) 함량을 통하여, 높은 투명도와 낮은 탁도를 구현하면서도 접착 유지성이 우수하여 베젤리스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한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WITH EXCELLENT TRANSPARENCY}
본 발명은 베젤리스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분야는 해상도가 높아지고, 크기가 커지는 형태로 발전해 왔다. 또한 현대 사회의 주거 형태와 가족 형태가 세분화 개인화 되면서 거기에 요구하는 전자 기기의 형태도 다양성을 요구해왔다. 최근에는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거주지에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영상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이 높아졌고, 이에 사람들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소비도 많아졌다. 여기에 개인의 특성을 중요시하는 트렌드와 맞물려 디스플레이의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특히 가볍고 얇아지는 것을 넘어서 휘어지고 말리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여기에 전면이 투명한 디스플레이에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는 주거 환경에 쉽게 녹아 들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전면이 투명한 디스플레이의 개발 요구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전면이 투명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베젤 부분이 얇아지고 투명해야 실현 가능하다. 베젤의 두께를 얇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베젤을 투명하게 만들어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bezel-less)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베젤을 접착하는데 사용되는 종래 접착 조성물은 접착 유지성을 위하여 게터의 함량이 불가피하게 높게 함유되어 있으며, 게터의 높은 함량으로 인하여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의 투명도가 떨어지고 탁도가 증가하여, 고화질의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게터의 함량을 낮추어도 접착력이 잘 유지되면서도 높은 투명도와 낮은 탁도 구현이 가능한 접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경화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조성물은 에폭시계 레진, 양이온 개시제 및 게터(Getter)를 포함하며, 상기 게터를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터는 상기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레진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 1종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에폭시계 레진은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cycloaliphatic epoxy)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레진의 에폭시 당량(Epoxy Equivalent Weight)은 30 내지 500일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을 1 내지 4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착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라디칼 개시제를 0.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터는 금속산화물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터는 CaO 및 MgO 중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터는 입자 직경이 10 nm 내지 1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계 레진을 20 내지 98 중량% 포함하고, 상기 게터를 0.1 내지 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계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양이온 개시제를 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요변제(Tixotropy), 스페이서(spacer), 증점제 및 경화제 중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체는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이다.
상기 경화체는 경화체의 두께가 11 내지 20 ㎛일 때 파장이 430 내지 470 nm의 빛의 평균 투과율이 99%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화체는 경화체의 두께가 8 내지 12 ㎛일 때, 18.00 % 이하의 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댐 구조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 상에 형성된 봉지층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과 상기 봉지재 부재 사이에 실링을 위해 형성된 댐 구조체(dam structure)를 포함하고, 상기 댐 구조체는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조성물은 경화되어 우수한 투명성 확보가 가능하여, 고화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이 용이하며, 높은 투명도과 낮은 탁도에도 불구하고 수분억제력이 우수하여, 접착 유지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 구조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수분억제력 평가를 위한 수분투과시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제조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 또는 화학식과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터(Getter)는 불활성 가스(Inert gas)를 제외한 모든 가스와 수분을 화학반응에 의해 아주 빠르게 흡수 제거하는 특성이 있는 소재로서, 접착 조성물에 포함되어 수분을 흡수하고 접착 조성물이 경화된 후 높은 접착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접착 조성물은 접착 조성물이 경화된 후 대기 중 수분이 접착 조성물 경화체 내부로 침투하여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게터의 함량을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30 중량% 이상으로 다량 포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접착 조성물에서 게터의 높은 함량은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를 불투명하게 하는 주 요인으로서, 투명도가 높고 탁도가 낮은 접착물 조성물 경화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게터의 함량을 낮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조성물은 종래 부착력 부여를 위해 사용된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을 대체하여 에폭시계 레진을 사용하는 경우, 게터의 함량을 낮추더라도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수분 흡습력이 우수하게 유지되면서 높은 부착력과 함께 게터로 인해 투명성이 저하되는 현상도 개선되는 것을 밝힌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접착 조성물이면서도 게터의 함량이 종래의 접착 조성물과 달리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며, 낮은 게터 함량을 보완하기 위해 아크릴레이트계 레진 대신 에폭시계 레진을 포함하고, 에폭시계 레진의 중합반응을 위하여 양이온 개시제가 함께 포함된 것이다.
종래 접착 조성물과 같이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게터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탁도가 크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게터는 접착 조성물의 15 중량% 이하로 포함한다. 이때 보다 우수한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는 접착 조성물에서 게터의 함량을 8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선호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에폭시계 레진을 사용하는 경우 게터의 함량을 8 중량% 이하로 포함하더라도 접착조성물의 수분 흡습력이 우수하게 유지되며 높은 부착성이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접착 조성물에 게터가 지나치게 소량으로 포함되어도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접착 유지력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접착 조성물에서 0.1 중량% 이상은 게터가 포함되어야 한다.
접착 조성물의 게터의 함량을 낮추는 주 성분 중 하나인 에폭시계 레진은 에폭시계 반응기를 포함하는 레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에폭시계 레진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 1종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레진뿐만 아니라, 하기 화학식 2 및 5와 같이 양이온 개시제로 고리열림중합(ring-opening polymerization)이 가능한 에폭사이드(epoxide) 구조를 가진 레진 및 하기 화학식 3 내지 4와 같은 고리형 에터(Cyclic Ether) 구조를 가지는 레진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화학식 2]
Figure pat00007
[화학식 3]
Figure pat00008
[화학식 4]
Figure pat00009
[화학식 5]
Figure pat00010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접착 특성 부여뿐만 아니라, 수분 억제력이 우수하며, 이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5의 에폭시계 반응기가 양이온 개시제와 반응하여 케톤기를 형성하며, 형성된 케톤기는 단순한 탄소 사슬보다 극성이 높아 접착 조성물이 경화한 후 고분자 사슬의 극성으로 인하여, 좀더 치밀한 막이 형성되고 접착 조성물 경화체로의 수분 침투를 더욱 어렵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에폭시계 레진 중에서도 상기 화학식 5의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cycloaliphatic epoxy)기를 가진 레진은 다른 종류의 에폭시계 레진에 비하여 우수한 수분 억제력으로 접착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기가 양이온 개시제에 의해 중합반응을 하며 케톤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환형 구조를 포함하여, 중합된 레진의 몰 부피(molar volume)가 단순히 선형 구조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보다 더 작아질 수 있고, 작아진 몰 부피로 인하여, 레진 분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레진 분자 사이로 수분 침투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 조성물은 에폭시계 레진 중에서도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레진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우수한 접착 안정성을 가진 접착 조성물 구현을 위하여 선호될 수 있다.
에폭시계 레진에서 에폭시 당량(Epoxy Equivalent Weight)이란 에폭시계 반응기 1 당량에 해당하는 몰질량을 의미한다. 에폭시계 레진 한 분자 내에 에폭시 관능기 수가 같다는 전제 하에, 에폭시 당량이 높다는 것은 분자량이 크고 분자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폭시 당량을 반응 속도론적 관점에서 본다면 일반적으로 동일 관능성기에서 분자량이 커지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는데, 이는 결국 동일한 조건에서 경화를 하는 경우 재료의 경화율의 저하로 이끌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접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폭시계 레진의 에폭시 당량이 30 내지 500인 레진이 선호되며, 에폭시 당량이 80 내지 300인 레진이 더욱 선호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당량 범위에 비하여 높은 에폭시 당량을 갖는 에폭시계 레진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조성물과의 혼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에폭시 당량 범위에 비하여 낮은 에폭시 당량을 갖는 에폭시계 레진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 조성물의 반응성은 좋을 수 있으나 경화 후 일반적으로 내열특성이 낮은 거동을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접착 조성물의 초기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레진으로서 상기 에폭시계 레진과 함께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을 접착 조성물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은 바람직하게는 우레탄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일 수 있으며, 초기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예를 들어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을 1 내지 4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0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이 1 중량% 이상으로 더 포함되는 경우 유의미한 초기 부착력 향상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의 함량이 40 중량%를 넘어가면 에폭시계 레진의 비중이 줄어들며 접착 조성물의 접착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가혹 조건(85℃ 85%상대습도 조건)에서의 우수한 신뢰성 개선을 위해서는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의 함량을 10 내지 40 중량%로 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은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고, 개시 방식은 열 또는 빛을 조사하는 방식이라면 그 어느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열 라디칼 개시제는 아조 화합물,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예를 들어 ter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및 퍼옥사이드, 예를 들어 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사이클로헥사논 퍼옥사이드로부터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은 아크릴레이트계 레진 100 중량부 대비 0.3 내지 5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의 중합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의 중합반응이 지나치게 빠르게 일어나며 접착 조성물의 접착 특성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접착 조성물에 포함된 게터는 구체적으로 금속산화물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CaO, MgO, Al2O3, ZrO2, TiO2, PbO 및 ZnO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 산화물의 합금은 예를 들어, Al-Zn-O(AZO) 및 In-Sb-O(ITO)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게터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게터 중에서 CaO의 수분 흡수 능력은 가장 우수하며, 게터를 소량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접착 유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CaO 게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터 중에서 빛 투과도 및 헤이즈 등과 같은 광학적 특성 부여를 위해서는 게터로서 MgO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게터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게터 입자의 직경(크기) 또한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게터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광학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터 입자의 직경이 10 ㎛ 이하일 때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광학적 특성이 더 우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게터 입자의 직경이 10 nm 내지 1 ㎛, 보다 구체적으로 10 nm 내지 700 nm일 때 광학적 특성이 더욱더 우수할 수 있다. 게터 입자의 직경이 10 nm 미만으로 매우 작아지는 경우, 게터의 수분 흡수 능력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선호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조성물은 게터를 소량 함유함에 따라 광학적 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터가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레진의 함량이 높아지며 레진의 특성이 접착 조성물 전체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레진의 특성은 접착 조성물의 접착성(력)과 접착 안정성에 영향을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조성물이 에폭시계 레진을 20 내지 98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 접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폭시계 레진 특성으로 인하여 게터를 0.1 내지 15 중량%로 적게 포함하여도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가 우수한 접착력 및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게터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8 중량%, 더욱더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레진이 접착 조성물에 대하여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접착 조성물의 수분 차단 능력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98 중량%보다 과량으로 포함된 경우 게터 함유로 인한 효과가 발현되지 않아 접착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에폭시계 레진의 중합반응을 위한 양이온 개시제는 에폭시계 레진의 함량을 기준으로 그 함량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좋으며, 접착 조성물이 상기 에폭시계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이온 개시제를 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에폭시계 레진의 효과적인 중합반응을 위하여 선호된다. 접착 조성물에서 양이온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보다 적은 경우, 에폭시계 레진의 중합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양이온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 에폭시계 레진의 중합반응이 지나치게 빠르게 일어나며 접착 조성물의 접착 특성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이온 개시제는 루이스 산(Lewis acid)에 해당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지나치게 투입되는 경우 재료의 성능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양이온 개시제는 에폭시계 레진의 상기 에폭시계 작용기의 고리열림반응을 개시하는 물질로서,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 중합을 개시시킬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 중합을 개시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양이온 개시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드 알루미늄염, 방향족 설포늄염 또는 철-아렌 착체 등의 공지의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방향족 설포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접착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계 레진, 양이온 개시제 및 게터 뿐만 아니라, 요변제(Tixotropy), 스페이서(spacer), 증점제 및 경화제 중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변제는 접착 조성물의 증점 특성 및 요변성을 부여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 조성물에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부착이 필요한 상판과 하판에 있어, 접착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 상판과 하판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물질로서, 접착 조성물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증점제는 접착 조성물의 점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Hydrogenated Hydrocarbon Resin)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 조성물에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경화제는 에폭시계 레진의 경화율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Hexahydrophthalic anhydride)과 같은 산무수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 조성물에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체는 상기 접착 조성물이 레진의 중합반응에 의해 경화된 경화체이며, 상기 경화체는 낮은 게터의 함량으로 투명성이 우수하고, 낮은 게터 함량으로 인한 수분 억제력 저하 문제를 에폭시계 레진으로부터 유래된 케톤기가 형성하는 치밀한 구조를 통하여 형성하여 해결한 경화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체의 투명성은 예를 들어 경화체의 두께가 11 내지 20 ㎛일 때 파장이 430 내지 470nm의 빛의 평균 투과율이 95% 이상일 수 있으며, 게터의 함량을 조절하여 99% 이상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게터와 같은 무기 입자는 조성물에 포함되어 조성물의 탁도를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화체는 게터의 낮은 함량으로 인해 탁도(Haze)가 낮은 특성이 발현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10㎛ ± 2㎛ (8 내지 12㎛)두께의 접착 조성물 경화체를 기준으로 18.00% 이하의 낮은 탁도 구현이 가능하며, 게터의 함량이 8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두께의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탁도가 8.00% 이하까지 감소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시 선명한 화질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경화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 조성물은 낮은 게터 함량을 통하여 95% 이상의 높은 빛 투과도가 구현될 수 있고,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게터의 함량이 8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 99% 이상의 매우 우수한 투과도와 함께 낮은 탁도 특성의 구현이 가능하여 빛 투과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댐 구조체 형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댐 구조체(dam structure)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 구조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100)과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100) 상에 형성된 봉지층 부재(encapsulation layer member)(300) 및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100)과 봉지층 부재(300) 사이에 실링(sealing)을 위해 형성된 댐 구조체(dam structure)(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100)은 기판부(100a) 및 기판부(100a)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소자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100a)는, 예를 들어, TFT(thin film transistor)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소자부(100b)는, 예를 들어,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부(100b) 외측의 기판부(100a) 영역 상에 댐 구조체(200)가 구비될 수 있다. 댐 구조체(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댐 구조체는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100) 및 봉지층 부재(30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벤더블 또는 폴더블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100)의 적어도 일부 및 봉지층 부재(300)는 플렉서블하지 않고 리지드(rigid)한 부재일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지드(rigid)한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댐 구조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기존의 댐 구조체가 적용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 구조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화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부분에 사용하여,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bezel-less) 디스플레이 장치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는 주로 전면 발광 방식(Top Emission) 구조를 가지는데, 본 발명의 경화체는 특히 투명한 특성 및 낮은 탁도 값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전면 또는 배면 발광 방식(Top or Bottom Emission)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빛이 나오는 부분에 사용해도 투명성이 있기 때문에 경화체의 폭에 너비에 대해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접착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와 효과 비교를 위한 비교예 1 내지 4 및 참고예 1에 대하여 하기 에폭시계 레진은 표 1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혼합하였다.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는 공통적으로 게터로서 CaO를 사용하였으며, 요변제(Tixotropy)로서 흄드 실리카를 사용하였고. 스페이서로서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PBA)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상기 물질은 표 1에서 생략하였다.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대하여 하기 표 1에 따른 레진 물질, CaO, 흄드 실리카 및 스페이서를 표 2에 따른 비율로 300 mL 교반탈포기(paste mixer) 용기에 투입한 후, 공전-자전 믹서(mixer)에 투입하여, 공전 1000rpm, 자전 1200rpm으로 30분 간 섞어서 제조하였다.
레진 종류 레진 계열
실시예 1 Bis(3,4-epoxycyclohexylmethyl) adipate 에폭시계
실시예 2 3,4-Epoxycyclohexylmethyl 3,4 -epoxycyclohexanecarboxylate 에폭시계
실시예 3 1,4-Cyclohexanedimethanol bis(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에폭시계
실시예 4 Bis(3,4-epoxycyclohexylmethyl) adipate 에폭시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4,4'-Methylenebis(N,N-diglycidylaniline) 에폭시계
실시예 8 1,4 Butanediol diglycidyl ether 에폭시계
실시예 9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에폭시계
비교예 1 Difunctional polyester acrylate(Miwon社, Product name: PS2500) 아크릴레이트계
비교예 2 Hydroxyl 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acrylate 아크릴레이트계
비교예 3 Bis[2-(methacryloyloxy)ethyl] phosphate 아크릴레이트계
비교예 4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아크릴레이트계
참고예 1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비스페놀A계 에폭시
레진 개시제 게터3) 흄드 실리카 우레탄기 포함 레진4) 스페이서5) 경화제6)
실시예1 93% 2.9%
(양이온개시제1))
2% 2% 0% 0.1% 0%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73% 2.2%
(양이온개시제1)),
0.7%(라디칼개시제2))
20%
실시예5 83.4% 2.5%
(양이온개시제1))
0% 10%
실시예6 63.3% 1.9%
(양이온개시제1)),
0.7%
(라디칼개시제2))
20% 10%
실시예7 93% 2.9%
(양이온개시제1))
0% 0%
실시예8
실시예9
비교예1 66%
(acrylate)
1.9%
(라디칼개시제2))
30%
비교예2 93% 2.9%
(라디칼개시제2))
2%
비교예3
비교예4
참고예1
(단위: 중량%)
1) 양이온 개시제 : Bis(4-methyl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
2) 라디칼 개시제 : 2-Methyl-4′-(methylthio)-2-Morpholinopropiophenone
3) 게터 : CaO
4) 우레탄기 포함 레진 : Urethane Acrylate
5) 스페이서 : Polybutylacrylate(PBA)
6) 경화제 : Hexahydrophthalic anhydride
[실험예 1: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물성 평가]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4 및 참고예 1에 대하여 두께가 10 내지 20 ㎛인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의 투과도, 탁도(haze), 수분투과시간 및 부착력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투과도
접착 조성물 경화체에 대해, UV-VIS spectrophotometer(Cary4000, Agilent)를 이용하여 λ = 450 ± 20nm 에서의 평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투과도 시편을 제작하는 방법은 75 X 75 mm, 0.7T, 글라스(Glass)에 0.1g의 조성물을 중앙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부에 동일한 글라스를 위치시킨 후 합착한다. 합착 후의 조성물의 두께는 10 ± 2 ㎛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Glasses)를 Ref(100%)로 잡은 뒤 광학적 특성을 측정한다.
2) 탁도
NIPPON DENSHOKU사의 헤이즈 미터 COH 400을 이용하여 탁도(haze)를 측정하였다.
3) 수분투과시간
도 2는 수분투과시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glass, a) 사이에 평가재료(투명 접착 재료, b) 및 수분침투측정 재료(c)를 위치시킨다. 상기 수분침투측정 재료는 CaO 게터를 30 중량%, 라디칼 개시제 2 중량%, 에스터계열의 아크릴레이트 68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수분침투측정 재료는 수분을 흡수하게 되는 경우 CaO 특성상 불투명한 재료가 투명하게 변하여 수분 흡수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여, 동일한 폭(40mm X 40 mm)에 대하여 완전히 수분을 흡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Musashi 社의 디스펜서를 사용하였다. 장비의 모델은 MUSASHI 社의 Shotmaster-300DS를 사용하였고, 드로우잉(Drawing) 프로그램은 MuCAD V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을 기입하였다. 토출하는 노즐의 니블 크기는 22 내지 18ø를 사용하였다, 토출 헤드의 속도는 점도와 재료의 표면 특성에 따라 5 내지 80 cm/min 사이 수치로 진행하였다. 토출 압력은 0.3 내지 0.8 Mpa로 진행하였다. 상부 하부 기판의 합착은 진공합착 장비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노광은 1000 내지 5000 mJ로 노광을 진행하였다.
4) 부착력
2.5 cm X 4 cm, 0.5T 크기의 글라스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4 및 참고예 1의 접착 조성물을 각각 0.5 내지 2 mg 올린다. 그리고 상부에 동일한 글라스를 90° 틀어서 올려준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글라스 상에 500 g의 추를 올려 약 15 내지 30 초 정도 눌러주어, 접착 조성물의 닷(Dot)의 크기가 5 mm 정도 되도록 한다.
이후, UV 노광기에 3000 mJ 내지 3300 mJ 노광한 후, 100 ℃ 핫플레이트(Hot Plate)에서 30 분간 경화시킨 후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INSTRON 5566 모델)을 사용하여 부착력을 측정한다.
투과도 (%)
(두께10~20㎛)
탁도
(두께10~20㎛)
수분투과시간 (hr)
(두께10~20㎛)
(DAM 폭: 2 mm)
부착력
(kgf/cm2)
실시예 1 99% 이상 2~6 400 hr 이상 2.0
실시예 2 400 hr 이상 1.8
실시예 3 400 hr 이상 2.1
실시예 4 350 hr 3.0 이상
실시예 5 500 hr 이상 2.0
실시예 6 400 hr 3.0 이상
실시예 7 320 hr 1.7
실시예 8 300 hr 1.8
실시예 9 300 hr 1.7
비교예 11) 97% 이하 50 이상 - -
비교예 2 99% 이상 2~6 80 hr 1.9
비교예 3 100 hr 2.5
비교예 4 80 hr 1.8
참고예 1 300 hr 1.4
1) 비교예 1은 광학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투과도와 탁도만 측정하였다.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통해서 게터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광학적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표 1 및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에폭시계 레진으로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를 사용하여,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투과도 및 수분 억제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4, 5 및 6을 통하여 접착 조성물이 우레탄기를 가진 레진을 포함하는 경우,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부착력이 3.0 이상으로 크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산무수물 경화제를 적용하여 수분 억제력을 올리거나 유지시킬 수 있다.
표 1 및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7 내지 9를 통하여, 에폭시계 레진 중에서도 지환구조를 포함하는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의 수분 억제력이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1 및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1 및 비교예2 내지 4를 통하여, 아크릴계 레진에 비하여 에폭시계 레진을 사용하였을 때 수분 억제력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게터 함량에 따른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물성 평가]
상기 제조예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에 CaO 함량 만을 변화시켜, 제조한 접착 조성물(실시예 1-1 내지 1-6 및 비교예 1-1 내지 1-4)의 게터(CaO)의 함량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CaO 함량(중량%)
실시예 1-1 1.0
실시예 1-2 1.5
실시예 1-3 2.7
실시예 1-4 3.0
실시예 1-5 7.0
실시예 1-6 13.0
비교예 1-1 18.0
비교예 1-2 23
비교예 1-3 35
비교예 1-4 50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1 내지 비교예 1-4에 대하여, 실험예 1에서 실시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투과도 및 탁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투과도 (%)
(두께10~20㎛)
탁도
(두께10~20㎛)
실시예 1-1 99 1.07
실시예 1-2 99 1.77
실시예 1-3 99 2.89
실시예 1-4 99 3.20
실시예 1-5 99 9.01
실시예 1-6 99 14.74
비교예 1-1 98 25.61
비교예 1-2 98 57.66
비교예 1-3 96 60.99
비교예 1-4 88 85.27
상기 표 4 및 표 5를 참조하면, 게터(CaO)가 증가함에 따라 탁도의 증가 폭은 적으나 게터가 과량 포함되는 경우, 게터 증가에 따른 탁도 상승 폭이 급격하게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4 및 표 5를 통하여, 일반적인 불투명 게터는 특정 비율 이상으로 접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탁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신인성이 나빠져 높은 투명성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접착 조성물 경화체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게터의 함량이 특정 함량 이하로 극단적으로 줄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게터의 함량은 접착 조성물의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수분 흡수 능력과 광학적 특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특히 8 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더욱 우수한 접착 특성 및 광학 특성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에폭시계 레진;
    양이온 개시제; 및
    게터(Getter);를 포함하며,
    상기 게터를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터를 상기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8 중량%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레진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 1종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화학식 3]
    Figure pat00013

    [화학식 4]
    Figure pat00014

    [화학식 5]
    Figure pat00015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레진은 사이클로알리파틱 에폭시(cycloaliphatic epoxy)기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레진의 에폭시 당량(Epoxy Equivalent Weight)은 30 내지 500인, 접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을 더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레진을 1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라디칼 개시제를 0.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터는 금속산화물 또는 이들의 합금인, 접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터는 CaO 및 MgO 중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터 입자의 직경은 10 nm 내지 10 ㎛인, 접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레진 20 내지 98 중량%, 및 상기 게터 0.1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레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양이온 개시제를 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요변제(Tixotropy), 스페이서(spacer), 증점제 및 경화제 중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체의 두께가 11 내지 20 ㎛일 때 파장이 430 내지 470 nm의 빛의 평균 투과율이 99% 이상인,경화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체의 두께가 8 내지 12 ㎛일 때, 18.00% 이하의 탁도를 갖는, 경화체.
  18. 제15항의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댐 구조체에 포함된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 상에 형성된 봉지층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 기판과 상기 봉지층 부재 사이에 실링을 위해 형성된 댐 구조체(dam structure)를 포함하고,
    상기 댐 구조체는 상기 접착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82624A 2021-12-20 2021-12-20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 KR20230093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24A KR20230093750A (ko) 2021-12-20 2021-12-20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
PCT/KR2022/018040 WO2023120991A1 (ko) 2021-12-20 2022-11-16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 이의 경화체, 및 상기 경화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24A KR20230093750A (ko) 2021-12-20 2021-12-20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50A true KR20230093750A (ko) 2023-06-27

Family

ID=8690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24A KR20230093750A (ko) 2021-12-20 2021-12-20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3750A (ko)
WO (1) WO20231209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938A (ja) * 2002-09-13 2004-08-19 Sekisui Chem Co Ltd 有機el素子封止用光硬化性接着剤組成物、有機el素子の封止方法および有機el素子
KR101298159B1 (ko) * 2012-12-27 2013-08-20 주식회사 이녹스 유기발광장치 봉지용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 필름
JP6609439B2 (ja) * 2014-08-29 2019-11-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素子用封止剤
DE102016207540A1 (de) * 2016-05-02 2017-11-02 Tesa Se Wasserdampfsperrende Klebemasse mit hochfunktionalisiertem Poly(meth)acrylat
JP7262038B2 (ja) * 2018-08-03 2023-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el素子封止用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有機el発光装置の製造方法及び有機el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0991A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7996B2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191609B1 (ko) 접착제 조성물
EP3275944A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1685723B1 (ko) 비닐 에터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제조된 중합체
KR102211091B1 (ko) 유기전자장치
KR102176228B1 (ko) 봉지용 조성물
JP2013157205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素子用封止剤
JP2013157204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素子用封止剤
KR102316235B1 (ko) 봉지용 조성물
KR20230093750A (ko) 투명도가 우수한 접착 조성물
KR102320445B1 (ko) 봉지용 조성물
KR20230093749A (ko) 부착력 및 그 신뢰성이 우수한 접착 조성물
KR102534539B1 (ko) 봉지용 조성물
KR20230083461A (ko) 화상표시장치용 댐 재료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댐 구조체 및 댐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370149B1 (ko) 합지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또는대칭 구조의 플라스틱 기판
JP6301643B2 (ja) 光透過型モジュール
KR20090107108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