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524A -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 Google Patents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524A
KR20230093524A KR1020237019866A KR20237019866A KR20230093524A KR 20230093524 A KR20230093524 A KR 20230093524A KR 1020237019866 A KR1020237019866 A KR 1020237019866A KR 20237019866 A KR20237019866 A KR 20237019866A KR 20230093524 A KR20230093524 A KR 2023009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rix
frequency components
coefficient
control informa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080B1 (ko
Inventor
필리포 토사토
마르코 마소
낫-쿠앙 난
하오 리우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to KR102023703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1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9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04B7/0663Feedback reduction using vector or matrix manipu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설계를 위한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의 타겟 계수가 시프트된 행렬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의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 시프트하는 단계;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을 표시하는 제1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UCI를 설계하기 위한 새로운 솔루션은 "UCI 부분 1" 및 "UCI 부분 2"에서 파라미터들을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UPLINK CONTROL INFORMA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텔레통신 분야 그리고 특히,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설계를 위한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에 관한 것이다.
3GPP NR(New Radio) Rel-15 및 16에서, 다운링크에서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을 작동하는 데 요구되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UE들로부터 송수신기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으로 보고하는 것에 있어서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 메커니즘이 도입되었다. 메커니즘은 공간 도메인에서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두 DFT 기반 연산들로 이루어진다. 이들 연산들은 1 내지 4의 랭크 표시자(rank indicator, RI)들에 대해 각 계층에 적용된다. CSI 메시지는 채널 품질 표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및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를 포함할 수 있다. CQI는 보고되는 공간 계층들에 걸쳐 멀티플렉싱되는 코드워드의 디코딩 후에 예상되는 SINR의 추정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PMI는 해당 CQI를 얻는 데 필요한 복소수 값 프리코딩 가중치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CQI 및 PMI 파라미터들 양자는 부대역마다 보고된다. PMI는 각 보고되는 계층마다 부대역들의 수만큼의 열 벡터들을 각각 포함하는 행렬로 표현된다. SD 및 FD 압축 연산들은 각각 이들 PMI 행렬들에 이들의 행들 및 열들에 걸쳐 적용된다.
MU-MIMO를 위한 CSI 시그널링의 중요한 양태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 메시지에서 압축된 PMI의 성분들의 배열이다. 종래의 방식으로, 이 메시지는 두 부분들, 즉 "UCI 부분 1" 및 "UCI 부분 2"로 편성될 수 있다. "UCI 부분 1"은 "UCI 부분 2"의 페이로드 크기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파라미터들 및 CQ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에서 송신되는 "UCI 부분 1"은 매우 짧고 고정된 크기의 페이로드를 가질 수 있고 에러 없는 디코딩을 보장하도록 매우 강한 순방향 에러 정정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다. "UCI 부분 2"는 압축된 PMI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에서 송신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것은 데이터와 동일한 에러 보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업링크 제어 정보(UCI) 설계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의 타겟 계수가 시프트된 행렬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의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 시프트하는 단계;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을 표시하는 제1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제1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들을 표시하며,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및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단말 디바이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을 결정하고 -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의 타겟 계수가 시프트된 행렬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의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 시프트하고;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을 표시하는 제1 표시를 생성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에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며 - 제1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들을 표시하며,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5 양태에서, 장치로서, 단말 디바이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의 타겟 계수가 시프트된 행렬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의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 시프트하기 위한 수단;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을 표시하는 제1 표시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제6 양태에서, 장치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제1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들을 표시하며,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및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제7 양태에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제8 양태에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발명의 내용 섹션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핵심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도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며, 첨부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UCI 설계를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행렬 및 대응하는 비트맵의 도해들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프트 연산 이후 예시적인 행렬 및 대응하는 비트맵의 도해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UCI 설계의 예시적인 방법(5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UCI 설계의 예시적인 방법(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제 본 개시의 원리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설명되고 당업자가 본 개시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제안하지 않고 본 개시를 이해하고 구현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는 아래에 설명된 것들 이외의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의 구체적인 내용 및 청구범위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및 5G NR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통신 표준들 또는 프로토콜들을 따르고, 예를 들어,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OFDM, T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코드 분할 다중화(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Bluetooth, ZigBee, 기계형 통신(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eMBB, mMTC 및 uRLLC 기술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통신 기술들을 채용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논의를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LTE 네트워크, LTE-A 네트워크, 5G NR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통신 네트워크의 일례로서 취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측에 있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기지국(BS),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AP),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NodeB(eNodeB 또는 eNB), 5G 또는 다음 세대 NodeB(gNB), 원격 라디오 모듈(RRU), 라디오 헤더(RH), 원격 라디오 헤드(RRH), 저전력 노드 이를테면 펨토, 피코 등을 포함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논의를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gNB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일례로서 취해진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예를 들어, MSR(Multi-Standard Radio) 라디오 장비, 이를테면 MSR BS들, 네트워크 제어기들 이를테면 RNC들(Radio Network Controllers) 또는 BSC들(Base Station Controllers) 및 MCE들(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ies), MSC들(Mobile Switching Centers) 및 MME들, O&M(Operation and Management) 노드들, OSS(Operation Support System) 노드들, SON(Self-Organization Network) 노드들, 위치 지정 노드들, 이를테면 E-SMLC들(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s), 및/또는 MDT들(Mobile Data Terminals)을 포함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단말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추가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고/거나, 이를 위해 구성되고/거나, 이를 위해 배열되고/거나, 이를 위해 작동 가능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통신은 전자기 신호들, 라디오 파들, 적외선 신호들, 및/또는 공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기에 적절한 다른 유형들의 신호들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직접적인 사람의 상호 작용 없이도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될 때, 또는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요청들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스케줄들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예들은 사용자 장비(UE) 이를테면 스마트폰, 무선 지원 태블릿 컴퓨터, 랩탑 내장 장비(LEE, laptop-embedded equipment), 랩탑 장착 장비(LME, laptop-mounted equipment), 및/또는 무선 고객 구내 장비(CPE, wireless customer-premises equipment)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논의를 위해, 이하에서, 일부 실시예들은 단말 디바이스들의 예들로서 UE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단말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장비"(UE)라는 용어들은 본 개시와 관련하여 상호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위치 서버(location server)"라는 용어는 타겟 UE의 측위를 위치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을 지칭할 수 있다. 위치 서버는 타겟 UE와 통신하여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타겟 UE로부터 측위 측정 보고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서비스는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타겟 UE의 측위와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서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독립적인 성분일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서, 위치 서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내장된 임의의 기능 모듈 또는 기능 엔티티일 수 있다.
"위치 서버"라는 용어에 대응하여, "위치 클라이언트"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타겟 UE의 위치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위치 클라이언트는 위치 서비스에 위치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위치 서버로부터 타겟 UE의 측위를 수신한다. 또한, 위치 클라이언트는 타겟 UE 자체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셀"이라는 용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라디오 신호들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지칭한다. 셀 내의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서비스되고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회로부"라는 용어는 다음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a) 하드웨어 전용 회로 구현 예들(이를테면 단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부로의 구현 예들) 및
(b) 하드웨어 회로들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들, 이를테면(해당되는 경우): (ⅰ) 소프트웨어/펌웨어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하드웨어 회로(들)의 조합 및 (ⅱ) 함께 작동하여 장치, 이를테면 휴대폰 또는 서버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들)를 포함함)와 하드웨어 프로세서(들)의 임의의 부분들 및
(c) 작동을 위해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펌웨어)를 필요로 하지만, 작동에 필요하지 않을 때 소프트웨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하드웨어 회로(들) 및/또는 프로세서(들), 이를테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들)의 일 부분.
이 회로부의 정의는 이 출원에서 이 용어의 모든 사용에 적용된다. 추가 예로서,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회로부는 또한 단지 하드웨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 또는 하드웨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 및 그의(또는 그들의) 수반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일 부분의 구현을 커버한다. 회로부라는 용어는 또한 예를 들어 그리고 특정 청구항 요소에 해당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용 베이스밴드 집적 회로 또는 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서버에서의 유사한 집적 회로,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컴퓨팅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커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들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이라는 용어 및 이의 어미 변형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개방형 용어들로 해석되어야 한다. “~에 기초하여”라는 용어는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 및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일 실시예”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일 실시예”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명시적 및 암시적 정의들이 아래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MI)는 각 보고되는 계층마다 부대역들의 수만큼의 열 벡터들을 각각 포함하는 행렬로 표현된다. SD 및 FD 압축 연산들은 각각 이들 PMI 행렬들에 이들의 행들 및 열들에 걸쳐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계층에 대한 PMI는 세 성분 부분들, 즉 SD 압축을 위한 DFT 벡터들의 직교 기저 집합, FD 압축을 위한 DFT 벡터들의 직교 기저 집합 및 복소수 값 선형 조합(linear combinatio, LC) 계수들의 집합으로 압축된다. 이에 따라, 압축 연산들 양자는 두 직교 기부들 상의 선형 투영들이다. 두 직교 기부들이 DFT 기반 코드북으로부터의 부분 집합을 표시함으로써 보고될 때, LC 계수들은 스칼라 양자화기들을 사용함으로써 진폭 및 위상에서 양자화된다.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제로 LC 계수들의 부분 집합만이 계층마다 보고될 수 있기 때문에, 보고되는 비제로 계수들의 위치 및 이것들의 복소수 값들 양자가 보고될 것이 요구된다. 이들 위치들을 보고하기 위해 계층마다의 비트맵이 사용된다.
각 PMI 벡터는 복소(진폭 및 위상) 스케일링 팩터에 기초하여 BTS에 보고될 수 있는데, 이는 이 팩터가 프리코더 설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속성은 예를 들어, 압축 연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FD 압축 전에 PMI 행렬의 열들에 적절한 위상 시프트들을 적용하는 데 사용된다. 이 속성은 또한 진폭의 상한이 1이고 진폭에 대한 양자화 간격은 [0,1]이 되도록, 양자화 전에 모든 LC 계수들에 공통 스케일링을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LC 계수들의 이러한 공통 스케일링은 각 층의 계수들에 독립적으로 적용되고 해당 층에 대해, "가장 강한(strongest)" 계수의 진폭 및 위상, 즉 가장 큰 크기를 갖는 계수로 이루어진다. 정규화 후의 가장 강한 계수가 1과 같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강한 계수에 대한 진폭도 위상도 보고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대신에,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strongest coefficient indicator, SCI)에 의해 비트맵에서의 이것의 위치가 시그널링된다.
업링크 제어 정보(UCI) 메시지에서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MIMO)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SI) 시그널링의 중요한 양태는 압축된 PMI의 성분들의 배열이다. 종래의 방식으로, 이 메시지는 두 부분들, 즉 "UCI 부분 1" 및 "UCI 부분 2"로 편성될 수 있다. "UCI 부분 1"은 "UCI 부분 2"의 페이로드 크기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파라미터들 및 CQI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에서 송신되는 "UCI 부분 1"은 매우 짧고 고정된 크기의 페이로드를 가질 수 있고 에러 없는 디코딩을 보장하도록 매우 강한 순방향 에러 정정 코드로 인코딩될 수 있다. "UCI 부분 2"는 압축된 PMI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에서 송신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것은 데이터와 동일한 에러 보호를 가진다.
"UCI 부분 2"의 페이로드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UCCI 부분 1"에서의 정보는 두 방식들, 즉 (1) 각 계층마다의 비제로 LC 계수들의 수 (계층들의 수는 최대 보고되는 랭크와 동일함) 및 (2) 모든 보고되는 계층들에 대한 비제로 LC 계수들의 총 수 및 RI 표시자로 배열될 수 있다. 양 방식들은 보고되는 랭크 및 이에 따른 "UCI 부분 2"에서의 비트맵들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페이로드 크기가 결정될 수 있는 "UCI 부분 2"에서 양자화된 계수들의 수가 또한 보고된다.
"UCI 부분 2"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그리고 정확한 PMI 디코딩에 필요한 일부 파라미터들은 이것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UCI 부분 1"에서 보고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들은 CSI 보고를 위한 최대 오버헤드, 즉 SD 및 FD 기부들의 크기 및 비제로 계수들의 최대 수를 제어하는 파라미터들이다.
방식 (2)는 상술한 바와 같이, "UCI 부분 1"에서 비제로 LC 계수들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오버헤드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방식 (2)는 SCI의 시그널링을 보다 비효율적으로 만드는 단점을 가진다. 실제로, LC 계수들의 정규화가 계층마다 독립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부분 2에 각 보고되는 층마다 하나의 SCI가 존재한다. 계층마다 비제로 계수들의 수에 있어서 제약이 도입되지 않는 한, SCI는
Figure pat00001
비트들(
Figure pat00002
는 비제로 계수들의 총 수임)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제약을 도입하는 것은 UE가 주어진 최대 버짓의 계수들에 대해 보고되는 계층들에 걸쳐 공동으로 압축을 최적화하기 위해 보고될 LC 계수들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계층마다 보고되도록 허용되는 계수들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이러한 최적화에 불필요한 제약들을 부가하는 것은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DFT 기반 주파수 압축의 속성을 활용함으로써 UCI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SCI들 및 FD 기부들에 대한 시그널링 메커니즘 - 즉, 이는 FD 압축 전에 LC 계수 행렬의 열들에 걸쳐 적용되는 임의의 위상 램프가 BTS에 명백하고 시그널링을 요구하지 않는다 - 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및 다른 잠재적인 문제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UCI 설계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아래에서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본 개시가 이들 제한된 실시예들을 넘어 확장됨에 따라, 이들 도면들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이 설명 목적을 위한 것임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구현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및 단말 디바이스들(120-1, 120-2 . . . 및 120-N) -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들)"(120)라고 지칭될 수 있음 - 을 포함한다. 네트워크(100)는 단말 디바이스(120)를 서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셀(102)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단말 디바이스들 및/또는 셀들의 수는 본 개시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제시하지 않고 예시를 위해 주어지는 이해되어야 한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본 개시의 구현예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및/또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120)에 전달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120)는 또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부터 단말 디바이스(120)로의 링크는 다운링크(downlink, DL)로 지칭되는 한편, 단말 디바이스(120)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의 링크는 업링크(uplink, UL)로 지칭된다.
네트워크(100)에서의 통신은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SM), 롱 텀 에볼루션(LTE), LTE-에볼루션, LTE-어드밴스드(LTE-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GSM EDGE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GERAN)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적합한 표준들을 따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들은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개발될 임의 세대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들의 예들은 1세대(1G), 2세대(2G), 2.5G, 2.75G, 3세대(3G), 4세대(4G), 4.5G, 5세대(5G)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와 단말 디바이스(120) 사이의 통신 채널의 CSI를 획득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 디바이스(120)로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부터 CSI-RS를 수신할 수 있고, CSI-RS를 측정함으로써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 디바이스(120)는 획득된 채널 정보 및 대응하는 코드북에 기초하여 통신 채널의 CSI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채널 정보는 대응하는 코드북에 기초하여 CSI로 양자화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CSI를 네트워크 장치(110)에 보고할 수 있다. CSI를 보고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CSI 피드백"이라고도 불린다. CSI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와 단말 디바이스(120) 사이의 무선 통신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SI 시그널링을 위해, 중요한 양태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 메시지에서 압축된 PMI의 성분들의 배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UCI 설계를 위한 프로세스(2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논의를 위해, 프로세스(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프로세스(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12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들(110)을 수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20)는 단말 디바이스(12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사이의 채널을 특징짓는 행렬을 결정한다(210).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질 수 있고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표시하는 비트맵에 대응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2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과 연관된 자원 표시 - 이는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양자에 대해 알려져 있음 - 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자원 표시에 기초하여 행렬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행렬 및 대응하는 비트맵은 각각,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렬은 공간 도메인(310)에서의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도메인(320)에서의 주파수 성분들을 가진다. 도 3a에 도시된 이러한 행렬은 LC 계수 행렬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행렬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서 표시될 수 있는, 모든 구성된 부대역들에 대한 주어진 공간 계층에 대한 프리코딩 벡터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PMI 행렬에 압축을 적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크기
Figure pat00003
의 PMI 행렬
Figure pat00004
이 주어지면, 여기서
Figure pat00005
는 송신 2차원 교차 편광된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각 편광에 대한 안테나 포트들의 수이고
Figure pat00006
는 구성된 PMI 부대역들의 수이다. 1보다 큰 랭크 표시자들(RI)에 대해, 각 RI 공간 계층들마다 하나의 이러한 PMI 행렬이 존재한다. PMI 행렬 W에 대한 압축 연산들은 선형이고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행렬
Figure pat00008
의 열 벡터들은 크기
Figure pat00009
의 SD 직교 기저의 성분들이고,
Figure pat00010
의 열들은 크기
Figure pat00011
의 FD 직교 기저를 형성하며,
Figure pat00012
는 복소수 값 LC 계수들의
Figure pat00013
행렬이다. 행렬
Figure pat00014
는 도 3a에 도시된 행렬을 지칭할 수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Figure pat00015
LC 계수들의 부분 집합만이 보고되고, 나머지 계수들은 제로로 설정된다. 보고되는 LC 계수들의 이러한 그룹은 비제로(non-zero, NZ)계수들이라고 지칭된다. NZ 계수는 제로와 같지 않은 도 3a에서의 셀들, 예를 들어, 셀(331)을 지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층에 대한 PMI 보고는 각각 SD 및 FD 기반 부분 집합 선택을 위한 두 개의 표시자들, 및
Figure pat00016
행렬에서
Figure pat00017
비제로 계수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Figure pat00018
비트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19
행렬에 대응하는 비트맵은 도 3b에 도시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의 행 및 열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320)에서의 0번째 주파수 성분이 비트맵의 0번째 열에 대응한다.
Figure pat00020
행렬에서의
Figure pat00021
비제로 계수들에는 타겟 계수가 존재한다. 타겟 계수는 비제로 계수들의 최대 계수, 즉 가장 강한 계수라고 지칭될 수 있다. 가장 강한 계수에 대한 표시를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120)는 가장 강한 계수가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의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시프트 연산을 결정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20)는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을 결정하고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 주파수 성분들의 미리 정의된 집합에서의 주파수 성분들의 수,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주파수 성분의 기준 인덱스에 기초하여 행렬에서의 주파수 성분들에 대한 모듈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기준 인덱스는 시프트 전에 타겟 계수와 연관된 주파수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모듈로 연산의 결과에 기초하여 시프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22
가 주파수 성분들의 수라고 한다면, 인덱스들
Figure pat00023
, 및
Figure pat00024
를 갖는 주파수 성분들에 의해 형성된 주파수 도메인 기반의 크기
Figure pat00025
는 가장 강한 계수를 갖는 주파수 성분의 인덱스이다. 예를 들어, 성분
Figure pat00026
에 대한 미리 정의된 인덱스 값이 0이라고 가정한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다음의 식에 기초하여 시프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pat00027
이어서, 단말 디바이스(120)는 가장 강한 계수가 위치된 공간 성분들에 기초한 가장 강한 계수에 대한 표시, 즉 SCI를 결정한다. SCI는 행렬에서의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또한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주파수 성분들에 기초하여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과 연관된 주파수 범위를 표시하기 위한 또 다른 표시를 생성한다. 즉,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은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을 배제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20)는 주파수 성분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인덱스와 연관된 타겟 주파수 성분을 결정하고 주파수 성분들로부터, 타겟 주파수 성분은 배제한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20)는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의 인덱스들을 결정하고 주파수 성분의 부분 집합의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주파수 범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식 (2)와 관련된 가정을 다시 참조하면, 단말 디바이스(120)는 아래와 같이 "0번째" 주파수 성분 없이, 크기
Figure pat00028
의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을 보고할 수 있다:
Figure pat00029
SCI 및 주파수 범위와 연관된 표시를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120)는 양자의 표시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220).
UCI는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관련 파라미터들을 보고하는 데 필요한 다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CI는 또한 LC 계수의 행렬에 대응하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맵은 시프트 연산 전에 행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비트맵은 행렬에서의 NZ 계수의 위치들을 표시할 수 있다. 행렬의 시프트 연산 후에, 비트맵은 또한 미리 결정된 인덱스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20)는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 및 미리 결정된 인덱스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인덱스와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의 각 인덱스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관계에 기초하여 비트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20)는 업데이트된 비트맵을 또한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도 3a 내지 도 3b 및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시프트 연산이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a의 행렬은 2L*M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 행렬에 NZ 계수들의 집합이 존재한다 -, 도 3b는 도 3a의 행렬에 대응하는 비트맵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강한 계수(330)가 첫 번째 주파수 성분(341)에 위치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20)는 가장 강한 계수가 0번째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을 시프트할 수 있다. 시프트된 행렬은 도 4a에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가장 강한 계수(330)가 0번째 주파수 성분(340)에 위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도 3b에 도시된 비트맵이 도 4b에 도시된 비트맵이 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일반성의 손실 없이, 도 4a에서 비트맵의 행 방향 판독 순서를 가정한다면, 가장 강한 계수는 제3 NZ 계수이고, 이로 인해, 본 개시의 제안 없이, 이것은 비트들:
Figure pat00030
비트들: SCI=2 또는 0010(2의 4비트 이진 표현)으로 표시될 것이다. 이 계층에 대한 값
Figure pat00031
또한 "UCI 부분 1"에서 보고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솔루션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인덱스가 "0번째"라면, 도 3a의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120)는 주파수 성분들에 좌측으로의 하나의 위치의 시프트 연산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성분들은
Figure pat00032
이며, 가장 강한 계수를 갖는 FD 성분의 인덱스는
Figure pat00033
로 주어진다고 가정한다. 원형 시프트 및 재순서화 후에, FD 기반 부분 집합은
Figure pat00034
로 주어진다. 다른 한편, SCI는
Figure pat00035
비트들 - 본 예에서, 이는: SCI=1 또는 001(1의 3비트 이진 표현)이다 - 로 표시되어 SD 성분 인덱스를 보고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 디바이스(120)로부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행렬을 결정하고 행렬에 기초하여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행렬은 PMI 행렬의 압축을 적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행렬에 기초하여 PMI 행렬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UCI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타겟 주파수 성분을 배제한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을 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에 타겟 주파수 성분을 부가함으로써 PMI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CI를 설계하기 위한 새로운 솔루션은 "UCI 부분 1" 및 "UCI 부분 2"에서 파라미터들을 보고하기 위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원형 시프트에 대한 원리가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성분들에 적용되는 임의의 원형 시프트는 주파수 압축을 적용하기 전에 위상 램프에 의한 PMI의 열들의 곱셈과 같다. 단말 디바이스(120)에서 수행되는 이러한 위상 램프 연산은 프리코더 설계에 명백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보고될 필요가 없다.
프리코딩 행렬
Figure pat00036
의 열들에 걸친 위상 회전은 프리코더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열마다 위상 조정만큼
Figure pat00037
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는 임의의 유형의 프리코더 설계에 적용된다. 주파수 도메인 압축 전에 행렬
Figure pat00038
의 열들에 걸쳐 적용되는 위상 조정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보고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제시될 것이다. 또한, 이들 위상들의 선택은 단말 디바이스(120)가 주파수 압축을 개선하기 위해,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서 재구성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유도라는 것이 지적될 것이다.
먼저, 기저 부분 집합 선택 없이, 즉
Figure pat00039
를 가정하고, 모든
Figure pat00040
비양자화된 주파수 도메인 계수들의 보고와 함께, 주파수 압축을 위한 이상적인 경우를 고려한다. 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실제 압축 이득이 없기 때문에 단지 가설적인 경우라는 점에 유의한다. 단말 디바이스(120)가 부대역들에 걸친 DFT 처리 전에
Figure pat00041
의 열들에 위상 조정들을 적용한다고 가정하고, 임의의 위상 회전들의 대각 행렬을
Figure pat00042
로 표시한다:
Figure pat00043
네트워크 디바이스(110)가
Figure pat00044
을 알고 있다면, 프리코더
Figure pat00045
는 다음과 같이 재구성된다:
Figure pat00046
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가
Figure pat00047
을 알지 못한다면, 재구성은 다음을 낸다:
Figure pat00048
이 이상적인 경우에, 1) 재구성 (5)와 (6) 사이의 차이는 단지 프리코더의 열들에 걸친 위상 회전, 즉
Figure pat00049
이고, 2)
Figure pat00050
선형 조합 행렬
Figure pat00051
의 완벽한 보고를 가정하면, (4)에 위상 회전을 적용하는 것은 무관함을 알았다.
Figure pat00052
인 기저 부분 집합 선택 및 선형 조합 계수들의 양자화의 현실적인 경우를 고려하고
Figure pat00053
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서 알려진 FD 계수들의
Figure pat00054
행렬이라고 한다.
Figure pat00055
의 단지 최대
Figure pat00056
계수들만이 비제로임에 유의한다. 양자화 에러는 또한 비제로 계수들에도 영향을 미친다. 선형 조합 계수들의 실제와 이상적인 행렬 사이에 에러 행렬을 도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가 매우 일반적인 경우에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게 된다:
Figure pat00059
네트워크 디바이스(110)가 위상 시프트 R을 알고 있다면, 프리코더 W'는 다음과 같이 에러를 갖게 재구성된다:
Figure pat00060
네트워크 디바이스(110)가
Figure pat00061
을 알지 못한다면, 프리코더 재구성은 다음을 낸다:
Figure pat00062
(10)과(11)을 비교함으로써, 이는 다음을 가질 것이다:
Figure pat00063
즉,
Figure pat00064
의 보고가 있고 없는 두 재구성들 사이의 차이는 프리코더의 열들에 적용되는 위상 회전이며, 이는 프리코더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이상적인 경우와 달리, 단말 디바이스에 적절한 위상 회전을 적용하는 것은 재구성 에러의 관점에서 차이를 만든다. 실제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러한 위상 조정들을 알지 못하더라도, 재구성 에러
Figure pat00065
가 어떤 메트릭에 따라 최소화되도록 위상 회전들
Figure pat00066
의 선택을 최적화할 수 있다.
결과들(7) 및 (12) 양자는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가 아니라
Figure pat00069
일 때 유지되지만,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에 대한 표현들은
Figure pat00072
가 더 이상 아이덴티티 행렬이 아니기 때문에 더 복잡해진다는 점을 유의한다.
결론적으로, 주파수 도메인 압축을 적용할 때, 위상 조정들
Figure pat00073
의 최적화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PMI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조정들이 이 이득을 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달될 필요가 없다.
여러 연산들은 이들 위상 회전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한다. 오버샘플링된 DFT 코드북은 임계적으로 샘플링된 코드북의 원형으로 시프트된 버전들의 합집합
Figure pat00074
로서 기술될 수 있으며, 여기서 최소 시프트는 분수이다. 이에 따라, 표기 (3)을 사용함으로써 크기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직교 그룹들 중 하나의 선택을 표현할 수 있으며,
Figure pat00077
이 위상 램프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 유사하게,
Figure pat00080
주파수 도메인 후보 성분들의 원형 시프트는 원래 도메인에서,
Figure pat00081
의 열들에 걸쳐 위상 램프를 적용함으로써(최소 시프트 배수는
Figure pat00082
)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덱스
Figure pat00083
의 FD 성분을 위치 '0'으로 이동시키는 원형 시프트는 (4)로 표현될 수 있으며,
Figure pat00084
이 위상 램프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 마지막으로, 오버샘플링 및 순환 시프트들은 또한 주파수 도메인 압축을 적용하기 전에 이것의 행들을 따라 평활한 위상 전이들을 보장하고 '위상 점프들'을 피하기 위해
Figure pat00087
의 열들에 대한 위상 조정들과 조합될 수 있다. 이들 위상 조정들의 대각 행렬은 다음과 같이
Figure pat00088
로서 표기하면:
Figure pat00089
이며
Figure pat00090
이다. 일반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Figure pat00091
의 열들에 위상 회전들의 집합을 수행함으로써 이들 세 연산들(오버샘플링, 순환 시프트들, 위상 조정들)의 조합을 적용할 수 있으며, 회전 행렬이 다음으로 주어진다:
Figure pat00092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더 상세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UCI 설계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5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1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논의를 위해, 방법(500)은 도 1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510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 -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을 결정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과 연관된 자원 표시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0)는 또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자원 표시에 기초하여 행렬을 결정할 수 있다.
520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의 타겟 계수가 시프트된 행렬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의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 시프트시킨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0)는 또한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로부터 기준 인덱스 - 기준 인덱스는 행렬에서의 타겟 계수와 연관된 주파수 성분을 표시함 - 를 결정하고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기준 인덱스에 기초하여 주파수 성분들을 시프트할 수 있다.
530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을 표시하는 제1 표시를 생성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타겟 계수로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으로부터 최대 계수를 결정하고 행렬에서의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540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시프트된 행렬에 기초하여, 시프트된 행렬에서의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결정하고; 비트맵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주파수 성분들에 기초하여,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과 연관된 주파수 범위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생성하고 제2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주파수 성분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인덱스와 연관된 타겟 주파수 성분을 결정하고 주파수 성분들로부터, 타겟 주파수 성분은 배제한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0)는 또한 시프트 이후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의 인덱스들을 결정하고 주파수 성분의 부분 집합의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제2 표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UCI 설계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6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논의를 위해, 방법(600)은 도 1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6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120)로부터, 제1 표시 - 제1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들을 표시하며,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62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행렬을 결정하고 행렬에 기초하여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행렬의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 시프트함으로써 획득된 시프트된 행렬에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과 연관된 주파수 범위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구현되는) 방법(500)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는 방법(500)의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을 더 포함한다. 수단들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단들은 회로부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의 타겟 계수가 시프트된 행렬에서 주파수 성분들의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의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 시프트하기 위한 수단;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을 표시하는 제1 표시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서 구현되는) 방법(600)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는 방법(600)의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을 더 포함한다. 수단들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단들은 회로부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제1 표시는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채널을 양자화하기 위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행렬에서 타겟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들을 표시하며, 행렬은 공간 성분들 및 주파수 성분들을 가짐 -; 및 업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디바이스(700)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디바이스(700)는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12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구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7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 프로세서(71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740), 및 프로세서(71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TX/RX)(740)를 포함한다.
TX/RX(740)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것이다. TX/RX(740)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가진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과의 통신에 필요한 임의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로컬 기술 네트워크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고,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범용 컴퓨터들, 특수 목적 컴퓨터들, 마이크로 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및 멀티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기초한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700)는 메인 프로세서를 동기화하는 클록에 시간적으로 종속되는 주문형 집적 회로 칩과 같은 다중 프로세서들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720)는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들의 예들은 판독 전용 메모(ROM)(724),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 다른 자기적 저장 장치 및/또는 광학적 저장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들의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22) 및 전원 차단 기간에 지속되지 않을 다른 휘발성 메모리들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프로그램(730)은 관련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730)은 ROM(102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프로그램(730)을 RAM(720)에 로딩함으로써 임의의 적합한 동작들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700)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본 개의 임의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7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스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730)은 디바이스(700)에(이를테면 메모리(720)에) 포함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디바이스(7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들에 유형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700)는 실행을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RAM(722)으로 프로그램(730)을 로딩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ROM, 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CD, DVD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들의 유형적인 비휘발성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CD 또는 DVD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800)의 예를 도시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이에 저장된 프로그램(730)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들,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양태들은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측면들이 블록도, 흐름도 또는 다른 그림 표현을 사용하여 예시되고 설명될 수 있지만, 본원에 설명된 이러한 블록들, 장치, 시스템들, 기술들 또는 방법들은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들 또는 로직, 범용 하드웨어 또는 컨트롤러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유형적으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도 2 내지 도 4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방법들(500 및 600)을 수행하도록, 실제 타겟 상의 디바이스 또는 가상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에 포함된 것들과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한 작업들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추상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라이브러리들, 오브젝트들, 클래스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모듈들의 기능은 다양한 환경들에서 요구되는 바에 따라 프로그램 모듈들 간에 조합되거나 분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들을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은 로컬 또는 분산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로컬 및 원격 저장 매체 양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제공될 수 있어,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들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때,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에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이 구현되게 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기계 상에서 완전히 실행되거나, 기계 상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거나,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실행되거나, 일부는 기계 상에서 실행되고 일부는 원격 기계 상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원격 기계 또는 서버 상에서 완전히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또는 관련 데이터는 디바이스, 장치 또는 프로세서가 상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임의의 적절한 캐리어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캐리어의 예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 전자기적,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보다 특정한 예들로는 하나 이상의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갖는 전기 연결부를 포함할 것이다.
나아가,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지만, 이는 원하는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 또는 도시된 모든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들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바람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의 논의에 여러 구체적인 구현 세부 사항들이 포함되지만, 이것들은 본 개시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특정 실시예들에 특정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 또한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별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구조적 특징들 및/또는 방법론적 동작들에 특유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개시는 상술된 특정한 특징들 또는 동작들로 반드시 제한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보다는, 상술된 특정한 특징들 및 동작들은 청구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들로서 개시된 것이다.

Claims (15)

  1.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120)에서, 프리코더 행렬 표시자(pre-coder matrix indicator, PMI) 행렬에 대해 선형 조합 계수(linear combination coefficient)들을 포함하는 2L×M 행렬
    Figure pat00093
    를 결정하는 단계(510) - 상기 행렬
    Figure pat00094
    는 2L 공간 성분 및 M 주파수 성분을 가짐 - ;
    행렬
    Figure pat00095
    의 최대 계수가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
    Figure pat00096
    의 상기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circularly) 시프트하는 것(520)에 의해, 시프트된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
    행렬
    Figure pat00097
    의 상기 최대 계수와 연관된 상기 공간 성분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Figure pat00098
    비트를 갖는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strongest coefficient indicator)를 생성하는 단계(530); 및
    상기 시프트된 행렬의 비제로(non-zero) 선형 조합 계수들의 복소수 값(complex value)들 및 위치들, 및 상기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110)로 송신하는 단계(540) - 상기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은 상기 최대 계수에 의해 스케일링되고, 상기 송신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은 상기 최대 계수를 배제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렬
    Figure pat00099
    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 성분들 및 상기 주파수 성분들과 연관된 자원 표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자원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행렬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성분들을 시프트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상기 인덱스들로부터 기준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기준 인덱스는 상기 행렬에서 상기 최대 계수와 연관된 주파수 성분을 표시함 -; 및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상기 인덱스들, 상기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상기 기준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들을 시프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된 행렬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된 행렬에서의 상기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상기 위치들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상기 주파수 성분들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과 연관된 주파수 범위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 성분들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인덱스와 연관된 최대 주파수 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성분들로부터, 상기 최대 주파수 성분을 배제한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시프트하는 단계 후에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상기 부분 집합의 인덱스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성분의 상기 부분 집합의 상기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방법으로서,
    제2 디바이스(110)에서 그리고 제1 디바이스로부터(120),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 및 최대 계수에 의해 스케일링되는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복소수 값들 및 위치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 수신하는 단계(610) - 상기 계수들은 프리코더 행렬 표시자(PMI) 행렬에 대한 2L×M 행렬
    Figure pat00100
    의 것이고, 행렬
    Figure pat00101
    는 2L 공간 성분 및 M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상기 수신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은 최대 계수를 배제함 - 를 포함하고,
    Figure pat00102
    비트를 갖는 상기 수신된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는 상기 행렬
    Figure pat00103
    의 상기 최대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620) - 행렬
    Figure pat00104
    의 계수는, 상기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공간 성분을 갖고 미리 결정된 인덱스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 성분을 갖는 위치에서, 미리 구성된 값을 가정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 디바이스(120)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프리코더 행렬 표시자(PMI) 행렬에 대해, 선형 조합 계수들을 포함하는 2L×M 행렬
    Figure pat00105
    을 결정하고 - 상기 행렬
    Figure pat00106
    는 2L 공간 성분 및 M 주파수 성분을 가짐 - ;
    행렬
    Figure pat00107
    의 최대 계수가 미리 결정된 인덱스를 갖는 주파수 성분에 위치되도록, 행렬
    Figure pat00108
    의 상기 주파수 성분들을 원형으로 시프트함으로써 시프트된 행렬을 결정하며;
    행렬
    Figure pat00109
    의 상기 최대 계수와 연관된 상기 공간 성분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Figure pat00110
    비트를 갖는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를 생성하고;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복소수 값들 및 위치들, 및 상기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를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제2 디바이스(110)로 송신하게 하며,
    상기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은 상기 최대 계수에 의해 스케일링되고, 상기 송신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은 상기 최대 계수를 배제하는,
    제1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행렬
    Figure pat00111
    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간 성분들 및 상기 주파수 성분들과 연관된 자원 표시를 획득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자원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행렬을 결정함으로써,
    결정하게 되는, 제1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주파수 성분들을: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인덱스들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상기 인덱스들로부터 기준 인덱스를 결정하며 - 상기 기준 인덱스는 상기 행렬에서 상기 최대 계수와 연관된 주파수 성분을 표시함 -;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상기 인덱스들, 상기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상기 기준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들을 시프트함으로써,
    시프트하게 되는, 제1 디바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시프트된 행렬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된 행렬에서의 상기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상기 위치들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결정하며;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게 되는,
    제1 디바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상기 주파수 성분들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과 연관된 주파수 범위를 표시하는 제2 표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게 되는,
    제1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표시를:
    상기 주파수 성분들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인덱스와 연관된 최대 주파수 성분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성분들로부터, 상기 최대 주파수 성분을 배제한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부분 집합을 선택하고;
    상기 시프트하는 것 후에 상기 주파수 성분들의 상기 부분 집합의 인덱스들을 결정하며;
    상기 주파수 성분의 상기 부분 집합의 상기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표시를 생성함으로써, 생성하게 되는,
    제1 디바이스.
  14. 제2 디바이스(110)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어도:
    제1 디바이스로부터(120),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 및 최대 계수에 의해 스케일링되는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의 복소수 값들 및 위치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제어 정보 수신 - 상기 계수들은 프리코더 행렬 표시자(PMI) 행렬에 대한 2L×M 행렬
    Figure pat00112
    의 것이고, 상기 행렬
    Figure pat00113
    는 2L 공간 성분 및 M 주파수 성분을 가지며, 상기 수신된 비제로 선형 조합 계수들은 상기 최대 계수를 배제하고,
    Figure pat00114
    비트를 갖는 상기 수신된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는 행렬
    Figure pat00115
    의 상기 최대 계수와 연관된 공간 성분의 인덱스를 나타냄 - 하게 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채널의 상태 정보를 결정 - 행렬
    Figure pat00116
    의 계수는 상기 행렬
    Figure pat00117
    의 미리 결정된 인덱스 및 상기 가장 강한 계수 표시자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값을 가정함 - 하게 되는,
    제2 디바이스.
  15.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0237019866A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KR10258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4529A KR102660181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1612 WO2020199222A1 (en) 2019-04-04 2019-04-04 Uplink control information
KR1020217028615A KR102545026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615A Division KR102545026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529A Division KR102660181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524A true KR20230093524A (ko) 2023-06-27
KR102589080B1 KR102589080B1 (ko) 2023-10-16

Family

ID=700581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866A KR102589080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KR1020237034529A KR102660181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KR1020217028615A KR102545026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529A KR102660181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KR1020217028615A KR102545026B1 (ko) 2019-04-04 2019-04-04 업링크 제어 정보의 통신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3) US10848229B2 (ko)
EP (2) EP3949185A4 (ko)
JP (1) JP7382418B2 (ko)
KR (3) KR102589080B1 (ko)
CN (2) CN116887424A (ko)
AU (2) AU2019438745B2 (ko)
BR (1) BR112021019626A2 (ko)
CA (2) CA3134720A1 (ko)
CO (1) CO2021014882A2 (ko)
ES (1) ES2945189T3 (ko)
FI (1) FI3720009T3 (ko)
MX (1) MX2021012144A (ko)
PL (1) PL3720009T3 (ko)
SG (1) SG11202110126YA (ko)
TW (1) TWI762898B (ko)
WO (1) WO2020199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5847B2 (en) * 2019-12-19 2023-02-28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dules and compression ratios for user-equipment (UE) feedback
US20230231600A1 (en) * 2022-01-19 2023-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ecoding information for beamform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6502B1 (en) *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357B1 (ko) 2006-04-06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귀환 방법 및데이터 송신 방법
AU2007270227B2 (en) 2006-07-06 2010-07-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s in a multiple subcarrier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PL2908585T3 (pl) 2009-06-19 2017-12-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gnalizowanie informacji sterującej łączem wysyłania w LTE-A
CN101771505B (zh) * 2010-01-12 2015-10-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额外的预编码矩阵索引的指示方法和系统
WO2011087933A1 (en) * 2010-01-12 2011-07-21 Zte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spa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based on a kronecker product
US8687555B2 (en) * 2010-09-29 2014-04-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ffective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ntennas
US8594221B2 (en) * 2011-05-24 2013-11-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odel-based channel estimator for correlated fading channels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thereof
US20120314590A1 (en) * 2011-06-10 2012-12-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Enhanced precoding feedback for multiple-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US9281881B2 (en) 2013-02-12 2016-03-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4TX codebook enhancement in LTE
CN106712906A (zh) * 2013-03-27 2017-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上行控制信息进行编码的方法和装置
KR102182168B1 (ko) * 2013-05-07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3 차원 빔포밍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67373B1 (ko) * 2014-10-06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정보 생성 및 보고 방법 및 장치
US9654195B2 (en) * 2014-11-17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to calculate linear combination pre-coders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893777B2 (en) * 2014-11-17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US10419095B2 (en) * 2015-01-05 2019-09-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164747B2 (en) * 2015-05-29 2018-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IMO measurement reference signals and feedback
US20170141928A1 (en) 2015-11-17 2017-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one-time-certificate-generation
US10659118B2 (en) * 2016-04-19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plicit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WI640172B (zh) * 2016-05-12 2018-11-01 國立臺灣大學 多輸入多輸出系統中天線子陣列彈性配置系統與其選擇方法
US10484064B2 (en) * 2016-09-01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and uplink CSI acquisition
US11088732B2 (en) 2016-09-26 2021-08-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10200103B2 (en) * 2016-11-23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multi-resolution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476901B2 (en) * 2018-04-27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CSI reporting based on non-uniform space-frequency compression
US11637732B2 (en) * 2018-07-18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resolution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0052736A1 (en) * 2018-09-11 2020-03-1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oppler codebook-based precoding and csi report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20091663A1 (en) * 2018-11-02 2020-05-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ybrid common/independent fd-basis for type ii csi enhancement
WO2020113572A1 (en) * 2018-12-07 2020-06-11 Qualcomm Incorporated Basis subset feedback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enhancement
EP3667940A1 (en) * 2018-12-11 2020-06-17 Nokia Technologies Oy Enhanced frequency compression for overhead reduction for csi reporting and usage
EP3672096A1 (en) 2018-12-22 2020-06-24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eedback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15037345A (zh) * 2019-01-09 2022-09-09 苹果公司 编码增强的ii型信道状态信息
WO2020143815A1 (zh) 2019-01-11 2020-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US11128354B2 (en) * 2019-01-18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segmented CSI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3364503B (zh) 2019-02-26 2022-12-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反馈码本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3935743A1 (en) 2019-03-08 2022-01-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Csi reporting and codebook structure for doppler-delay codebook-based pre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11387887B2 (en) * 2019-03-28 2022-07-12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CN113892238A (zh) * 2019-03-29 2022-01-0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基于多波束预编码器的信道状态信息
EP3954056A4 (en) * 2019-04-08 2022-12-14 Nokia Technologies Oy COMMUNICATION EFFICIENCY IMPROVEMENT
EP3734852A1 (en) * 2019-05-02 2020-11-04 Fraunhofer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si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614390B (zh) * 2019-05-31 2022-07-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csi报告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6724501A (zh) * 2021-01-15 2023-09-08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用于基于互易性的ii型码本的码本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6502B1 (en) *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894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87424A (zh) 2023-10-13
KR20210125060A (ko) 2021-10-15
ES2945189T3 (es) 2023-06-29
JP2022528682A (ja) 2022-06-15
EP3949185A1 (en) 2022-02-09
BR112021019626A2 (pt) 2021-11-30
SG11202110126YA (en) 2021-10-28
CA3134720A1 (en) 2020-10-08
WO2020199222A1 (en) 2020-10-08
AU2019438745B2 (en) 2023-02-02
TW202046793A (zh) 2020-12-16
CO2021014882A2 (es) 2022-04-08
US20200322027A1 (en) 2020-10-08
FI3720009T3 (fi) 2023-05-22
KR102589080B1 (ko) 2023-10-16
KR102545026B1 (ko) 2023-06-19
US11336356B2 (en) 2022-05-17
TWI762898B (zh) 2022-05-01
US20220255608A1 (en) 2022-08-11
CA3231450A1 (en) 2020-10-08
MX2021012144A (es) 2022-08-04
US10848229B2 (en) 2020-11-24
JP7382418B2 (ja) 2023-11-16
PL3720009T3 (pl) 2023-07-17
CN113711512A (zh) 2021-11-26
AU2019438745A1 (en) 2021-11-25
EP3720009A1 (en) 2020-10-07
CN113711512B (zh) 2023-08-25
US20210028846A1 (en) 2021-01-28
KR102660181B1 (ko) 2024-04-24
AU2023202461A1 (en) 2023-05-11
KR20230145259A (ko) 2023-10-17
US11909484B2 (en) 2024-02-20
EP3720009B1 (en) 2023-02-22
EP3949185A4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8282B1 (ko) Mimo 측정 기준 신호 및 피드백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618508C2 (ru) Способ возвращ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остояния канал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US10574409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process execution method
CN109391305B (zh) 一种通信处理方法及装置
US11909484B2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WO2017167156A1 (zh) Dmrs的发送方法及装置
KR102640520B1 (ko) 프리코딩 행렬 표시 및 결정 방법 및 통신 장치
US202302165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WO2014039056A1 (en) Codebook construction using csi feedback for evolving deployment scenarios
JP2022511658A (ja) プリコーディングベクトル指示方法、プリコーディングベクトル決定方法、および通信装置
RU2777417C1 (ru) Управляющая информация во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US20240137090A1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