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664A -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664A
KR20230092664A KR1020220008767A KR20220008767A KR20230092664A KR 20230092664 A KR20230092664 A KR 20230092664A KR 1020220008767 A KR1020220008767 A KR 1020220008767A KR 20220008767 A KR20220008767 A KR 20220008767A KR 20230092664 A KR20230092664 A KR 20230092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ource
cooking
cleaning mode
time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김태훈
전인기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74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13244A1/ko
Publication of KR2023009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05B6/6405Self-cleaning ca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4/00Stoves or ranges having self-cleaning provisions, e.g. continuous catalytic cleaning or electrostatic clea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스팀 청소와 가열 청소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조리실 내부의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마련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1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2가열원; 상기 제2가열원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 및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COOKING APP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개시된 발명은 조리실 내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또한, 최근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2 이상의 가열원을 탑재하여 동시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기도 출시되었다.
개시된 발명은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스팀 청소와 히터를 이용한 가열 청소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조리실 내부의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마련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1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2가열원; 상기 제2가열원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 및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제2가열원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가열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을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조리실 내부로의 물의 투입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제3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가열원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보호 부재 또는 상기 반사 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을 탄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드는, 제1청소 모드와 제2청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2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2가열원을 상기 제2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 여부를 선택 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이 선택되면, 상기 제2가열원을 상기 제2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마련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1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2가열원 및 상기 제2가열원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청소 모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제2가열원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가열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호 부재 또는 상기 반사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1가열원을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조리실 내부로의 물의 투입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제3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가열원을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호 부재 또는 상기 반사 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을 탄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드는, 제1청소 모드와 제2청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2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2가열원을 상기 제2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단락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 여부를 선택 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이 선택되면, 상기 제2가열원을 상기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스팀 청소와 히터를 이용한 가열 청소를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조리실 내부의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복수의 히터와 선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보호 부재의 일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리 기기가 청소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리 기기에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리실 내부를 청소하는 다른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 또는 배선, 솔더링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달 또는 전송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여 이 구성요소를 통해 전달 또는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와 같은 서수의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된 서수가 구성요소들 간의 배치 순서, 제조 순서나 중요도 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 부호는 각 단계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 식별 부호가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와 같은 표현이 구성요소들의 목록 뒤에 기재될 때,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오직 a만, 오직 b만, 오직 c만, a와 b 둘, a와 c 둘, b와 c 둘 또는 a, b, c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조리 기기(1)가 X축, Y축, Z축에 의해 정의되는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X축, Y축, Z축은 조리 기기(1)를 기준으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X축은 조리 기기(1)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고, Y축은 조리 기기(1)의 측면 방향(좌우 방향)에 대응되며, Z축은 조리 기기(1)의 높이 방향에 대응된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고 조리 대상이 배치되는 조리실(11)을 포함한다.
또한,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의 적어도 일부는 청소가 용이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과 하우징(1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12)은 조리 기기(1)의 전방 방향인 +X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Y축 방향을 따라 장변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실(11)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13)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 내부에는 조리 기기(1)를 구동시키는 각종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및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통해 조리 대상을 조리실(11)에 투입할 수 있다.
도어(20)에는 조리 기기(1)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 장치(53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장치(530)는 도어(20)의 외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 도어(20)의 내부면은 도어(20)가 폐쇄되었을 때 조리실(11) 내부를 향하는 면이고, 도어(20)의 외부면은 내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도어(20)의 외부면에는 디스플레이(510)도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조리 기기(1)의 현재 상태, 선택 가능한 기능이나 메뉴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리 기기(1)가 청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안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510)에 표시될 수 있다.
입력 장치(530)의 전부 또는 일부가 터치 패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5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510)와 입력 장치(530)가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는 입력 장치(530)와 디스플레이(510)가 도어(20)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조리 기기(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위치이면 어디든 디스플레이(510)가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디든 입력 장치(5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가 폐쇄될 시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명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 거치되고, 사용자가 조리 대상을 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3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실(11) 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선반(30)이 조리실(11)의 상면(11a)과 하면(11b)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c)는 선반(30)이 다양한 높이에 거치되도록 Z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선반(30)은 본체(31)와 조리 대상이 위치될 수 있는 조리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면(32)은 선반(30)이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상면(11a)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 대상의 조리를 위해 조리실(11)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선반(30) 위에 위치하는 조리 대상에 열을 제공하여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 대상은 선반(30) 없이 조리실(11)의 하면(11b)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때에도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하면(11b)에 위치한 조리 대상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리 기기(1)는 가열원(100)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컨벡션 팬과 컨벡션 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레인지 타입의 조리 기기는 단일의 마그네트론을 통해 조리 대상을 조리하도록 마련되었다. 이 때, 조리 대상의 수분 분포나 함량에 따라 고주파가 조리 대상의 전 영역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마그네트론에 더하여, 조리 대상 전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히터가 장착되어 조리 대상의 전 영역에 열이 골고루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 2가열원(200) 및 조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가열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열원(30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3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 대상 내부로 조사되어 조리 대상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 대상을 가열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은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가열원(300)은 기계실(13)에서 조리실(11)의 하면(11b)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고주파는 하면(11b)을 통과하여 조리실(11)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제 1가열원(300)은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섞어 조리실(11)에 균일하게 방사되도록 마련되는 스터러(Stirr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러(320)는 절개부를 가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320)는 회전을 통해 고주파를 다양한 방향으로 방사시켜 조리실(11) 내부에 전체적으로 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320)는 고주파를 고르게 섞어 고주파를 조리실(11) 내부에 균일하게 방사하도록 소정의 길이 이상의 직경 길이(d)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320)의 직경 길이(d)가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마련되면서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용이하게 섞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러(320)의 직경은 조리실(11)의 용량이 대략 20L~30L로 마련될 시 150mm 이상의 직경 길이(d)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터러(320)는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러(320)의 원주는 절개되지 않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320)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회전되면서 스터러(320)를 통과하는 고주파가 섞이게 되는데 스터러(320)의 원주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주파를 더욱 균일하게 조리실(11) 내부로 방사할 수 있다.
제 2가열원(200)은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그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조리 대상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쿼츠 히터(Quartz heater) 또는 세라믹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 중에 조리 대상의 하측에도 열이 전달되도록 선반(30)의 본체(31)에 배치되는 발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33)는 조리면(32)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선반(30)이 조리실(11)에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하면(11b)과 마주할 수 있다.
발열부(33)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다. 발열부(33)와 마주하는 마그네트론(310)에서 조사되는 고주파가 발열부(33)에 흡수되고 발열부(33)는 흡수된 고주파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부(33)에서 발생된 열은 선반(30)의 본체(31)를 통해 조리면(3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발열부(33)에서 발생된 열이 조리면(32)으로 전도되면서 조리면(32)에 위치한 조리 대상의 하측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고주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재질이 세라믹 등과 혼합되어 발열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조리 대상을 뒤집지 않더라도 조리 대상의 상하 방향으로 열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실(11) 내부 영역을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실(11) 내부를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제 1조리 영역(11d)과 제 2조리 영역(11e)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조리 영역(11d)은 선반(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영역이고, 제2조리 영역(11e)은 선반(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영역이다.
조리실(11) 내부에 선반(30)이 거치된 경우에는, 제 1조리 영역(11d)에 배치되는 조리 대상, 즉 선반(30) 위에 배치되는 조리 대상은 제 1가열원(300)과 제 2가열원(200)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다. 제 2조리 영역(11e)에 배치되는 조리 대상, 즉 조리실(11)의 하면(11b)에 배치되는 조리 대상은 제1가열원(300)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30)에 의해 조리실(11)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면, 서로 다른 조리 방법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 대상이라도 조리실(11)에서 조리가 동시에 가능하다.
일 예로, 선반(30)의 XY 평면 상에서의 면적은 조리실(11)의 제 XY 평면 상에서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 영역(11d)에서 제 2가열원(20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 2조리 영역(11e)으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조리 영역(11e)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제 1영역(11d)으로 이동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조리 영역(11d)과 제 2조리 영역(11e)에서는 독립적인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당해 예시와 같이, 조리 기기(1)가 Y축 방향으로 장변(11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조리실(11)을 갖는 경우, 조리실(11)의 장변(11L)의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가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고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할 시, 조리실(11) 내부에서는 Y축 방향을 따라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히터에서 공급되는 열이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선반(30)의 조리면(32) 상에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제공되는 영역들이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 대상을 동시에 조리실에 넣어도, 각각의 조리 대상을 온도 차이로 구획되는 조리면(32)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할 시, 서로 다른 조리 온도에 따라 각각의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의 조리 대상을 위치시킬 시 각각의 조리 대상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복수의 히터와 선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210.220,230,240)는 조리실(11)의 장변(11L)과 대응되는 Y축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와 제 3히터(230) 및 제 4히터(240) 4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조리 기기(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만 포함할 수도 있고, 4개의 히터(210.220,230,240)보다 더 많은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X축 방향에서의 조리면(32)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1히터(210)는 일측, 제 2히터(220)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히터(230)는 제 1히터(210)와 인접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4히터(240)는 제 2히터(220)와 인접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Y 방향을 향해 제3히터(230), 제1히터(210), 제2히터(220) 및 제4히터(240)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히터(210)와 제 3히터(23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제 2히터(220)와 제 4히터(24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서 발열되는 온도와 반대측에서 발열되는 온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면(32)상에 형성되는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은 Y축 방향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조리면(34)이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제 2조리면(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조리 영역(11d)은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1조리면(34)에 대응되는 영역(11d-1)과 제2조리면(35)에 대응되는 영역(11d-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조리면(34)은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 1,3히터(210,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조리면(35)은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 2,4히터(220,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40)에서 발열되는 열이 각각 다르므로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다르다. 따라서,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에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른 조리 대상을 위치시키고 동시에 하나의 조리실(11)에서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리 기기(1)의 서로 다른 조리 대상이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조리 기기(1)의 동작 중에 실시간으로 서로 다른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을 투명부재(22)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조리면(32)의 단변(32S)은 장변(32L)과 직교되고 X축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은 Y축 방향으로 구획되고, 조리면(32)의 장변(32L)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은 일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방향(B)으로의 제 1조리면(34)의 길이를 제 1길이(34a), 제 2조리면(35)의 길이를 제 2길이(35a)라고 가정할 때, 제 1길이(34a)와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 대상 전체가 제 1조리면(34) 또는 제 2조리면(3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제 1길이(34a)와 제 2길이(35a)는 조리면(32)의 단면(32S)을 이등분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의 형상을 대략 정사각형에 가까운 사각형 형상으로 조리면(32)을 구획할 수 있다. 즉, 조리면(32)이 효율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조리 대상을 위치시킬 수 있는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의 면적은 각각 34a*32S, 35a*32S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면(32)의 단변(32S)과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의 단면적의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조리 대상이 용이하게 제 1조리면(34) 또는 제 2조리면(35)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면(32)의 단변(32S)은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의 단면적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에 대한 조리면(32)의 단변(32S)의 비율(34a/32S,35a/32S)은 제 1,2조리면(34,35)이 X축 방향으로 구획되었을 때의 길이에 대한 조리면(32) 장변(32L)의 비율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보호 부재의 일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1영역(11d-1)에 전달되고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2영역(11d-2)에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반사 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부재(51)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히터(210, 220, 230, 24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부재(51)는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의 상측 영역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반사 부재(51)가 히터(210,220,230,240)의 상측 영역을 감싼다는 것은, 반사 부재(51)가 히터(210,220,230,240)와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사 부재(51)와 히터(210,220,230,24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반사 부재(51)는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방사되는 열을 하측 방향(-Z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측 방향(-Z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1영역(11d-1)에 집중되고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2영역(11d-2)에 집중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의 하부에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52)가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부재(52)는 사용자가 조리 대상을 조리실(11) 내부에 넣고 꺼내는 과정에서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된 히터(210,220,230,240)에 충격이 가해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52)는 사용자의 손이 고온의 히터(210,220,230,24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부재(52)가 히터(210,220,230,240)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생된 열은 보호 부재(52)를 통해 조리실(11) 내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보호 부재(52)는 복수의 홀(hole)이 형성된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조리 기기(1)의 구조는 조리 기기(1)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일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조리 기기(1)의 동작을 수행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그 구조를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조리 기기(1)를 이용한 조리 과정 중에 음식물, 기름 등의 이물이 튀어 조리실(11) 내부가 오염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주로 오염되는 영역은 조리실(11) 내부의 벽면 또는 보호 부재(52)이다. 또한, 보호 부재(52)에 형성된 홀을 통해 반사 부재(51)가 오염되기도 한다.
보호 부재(52)의 경우 메쉬 구조의 특성 상 오염물이 잘 닦이지 않는 어려움이 있고, 반사 부재(51)는 보호 부재(52)를 분리하지 않고서는 닦아내기가 힘들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 및 그 제어 방법은 조리실(11) 내부의 청소가 어려운 영역까지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이하, 개시된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청소 알고리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100),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510), 스피커(520) 및 입력 장치(530), 다른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600) 및 조리 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1가열원(300)과 조리실(11)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2가열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조리 기기(1)의 현재 상태, 선택 가능한 기능이나 메뉴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가 청소 모드에 진입한 경우에는 청소 모드의 각 단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의 청소를 위해 수행할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외부면에 디스플레이(510)가 마련될 수 있다.디스플레이(5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스피커(520)는 조리 기기(1)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나 사용자에게 제공할 알림을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의 조리가 완료되었을 때 비프음이나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고, 조리 기기(1)가 청소 모드에 진입한 경우에는, 청소 동작의 시작이나 완료를 알리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청소 모드의 각 단계에 관한 정보나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의 청소를 위해 수행할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를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조리 기기(1)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530)는 기능, 메뉴, 조리 온도, 조리 시간 등에 관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또는 메뉴의 변경, 조리 시간의 변경 또는 조리 온도의 변경 등을 위해 회전 가능하고, 기능 또는 메뉴의 선택, 조리 시간의 선택 또는 조리 온도의 선택 등을 위해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회전 노브 형태의 입력 장치(53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입력 장치(530)의 예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버튼, 터치 패드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가 조리 기기(1)에 채용될 수 있다.
통신 모듈(600)은 외부 장치들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 모듈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CDMA, WCDMA, GSM, LTE(Long Term Evolution), 5G,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들과 직접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600)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조리 기기(1)에 대한 제어 신호 또는 조리 기기(1)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는 조리 기기(1)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원하는 조리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다.
조리 레시피가 선택되면, 모바일 기기는 조리 기기(1)의 통신 모듈(600)에 선택된 조리 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컨트롤러(400)는 전송된 조리 레시피에 따라 가열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조리 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530)가 수신한 사용자 명령 또는 통신 모듈(600)이 수신한 정보에 따라 가열원(100)의 온/오프,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510)와 스피커(520)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조리 기기(1)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청소 모드에서의 조리 기기(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서 제어되는 대상은 전술한 조리 기기(1)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조리 기기(1)에 관한 내용은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고, 반대로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 역시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조리 기기(1)에 적용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조리 기기(1)가 청소 모드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00).
일 예로, 청소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530)를 조작하여 청소 모드를 선택하면 조리 기기(1)가 청소 모드에 진입하여 청소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조리 기기(1)가 선제적으로 청소 모드의 선택을 제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00)는 조리 기기(1)가 마지막으로 청소 모드에서 동작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고, 카운트된 시간이 정해진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510) 또는 스피커(520)를 통해 청소 시점이 도래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최근에 조리 기기(1)에서 조리된 메뉴에 기초하여 청소 모드의 선택을 제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근에 조리 기기(1)에서 조리된 메뉴가 기름 등의 이물이 많이 튀어 조리실(11) 내부를 오염시키는 메뉴인 경우에는 컨트롤러(400)가 디스플레이(510) 또는 스피커(520)를 통해 청소 모드의 선택을 제안할 수 있다. 조리실(11) 내부를 오염시키는 메뉴에 대한 정보는 실험, 통계 등을 통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청소 모드에 진입하면(1100의 예), 제1가열원(300)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킨다(1200).
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사용자는 조리실(11) 내부에 물을 채운 용기를 투입할 수 있다. 제1가열원(300)을 동작시키는 것은 조리실(11) 내부에 배치된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가열원(300)은 조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310)을 포함한다. 컨트롤러(400)는 제1가열원(300)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킴으로써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스팀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가열원(300)이 동작하는 제1시간은 3분에서 10분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3분에서 10분의 범위에서 선택된 제1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제1시간은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시간과 발생된 스팀에 의해 조리실(11) 내부의 오염물이 불려지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시간은 실험, 통계 또는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 또는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시간은 실험에 의해 5분으로 결정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제1가열원(300)을 제1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출력은 700W로 설정될 수 있다.
제1시간이 경과하면(1300의 예), 컨트롤러(400)는 제1가열원(3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1400),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킨다(1500).
제1가열원(3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바로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조리실(11) 내부의 오염물이 스팀에 의해 불려지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제1가열원(300)의 동작 중지 후 제3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가열원(300)을 700W의 출력으로 5분동안 동작시킨 이후에, 제1가열원(3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5분동안 대기할 수 있다. 이 시간동안 조리실(11) 내부의 오염물이 충분히 불려질 수 있고, 컨트롤러(400)는 제1가열원(300)의 동작이 중지된 후 5분이 경과하면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청소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를 닦아낸 후에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2가열원(200)은 조리실(11)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제2가열원(200)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킴으로써 조리실(11) 내부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 기기(1)를 이용한 조리 과정 중에 제2가열원(200) 하부의 보호 부재(52) 또는 반사 부재(51)가 오염될 수 있다. 보호 부재(52)와 반사 부재(51)는 그 기능의 특징 상 제2가열원(200)과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는바, 제2가열원(200)이 고온의 열을 방출하면 제2가열원(200)과 인접하게 배치된 보호 부재(52)와 반사 부재(51)의 표면이 고온으로 가열되고, 이로 인해 보호 부재(52)와 반사 부재(51) 표면에 고착된 오염물이 탄화되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당해 예시와 같이 스팀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불린 상태에서 고온의 열이 가해지면 오염물의 탄화 및 표면으로부터의 분리가 더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을 발생시킨 이후에 고온의 열을 발생시켜 조리실(11)의 상측 영역을 청소할 경우 스팀을 발생시키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청소 효과가 대략 10% 이상 상승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일 예로, 제2가열원(200)이 동작하는 제2시간은 30분 내지 70분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30분 내지 70분의 범위에서 선택된 제2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제2시간은 오염물의 탄화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시간은 실험, 통계 또는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 또는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가열원(200)을 30분동안 동작시킨 경우에는 오염물이 대략 80% 제거되고 60분동안 동작시킨 경우에는 오염물이 대략 95% 제거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컨트롤러(400)는 제2가열원(200)의 목표 고내 온도를 정해진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00)는 목표 고내 온도를 200℃를 설정하여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목표 고내 온도를 200℃를 설정하여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킬 경우, 제2가열원(200)의 주변 온도는 400℃까지 상승할 수 있다.
제2시간이 경과하면(1600의 예), 컨트롤러(400)는 제2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킨다(1700).
예를 들어,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킨 후 60분이 경과하면 컨트롤러(400)는 제2가열원(20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 의하면, 제1가열원(300)을 이용한 스팀 청소와 제2가열원(200)을 이용한 가열 청소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조리실(11) 내부의 청소가 어려운 영역, 예를 들어, 메쉬 구조의 특성 상 오염물이 잘 닦이지 않는 보호 부재(52) 또는 보호 부재(52)를 분리하지 않고서는 닦아내기가 어려운 반사 부재(51)까지도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리 기기가 청소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사용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리 기기에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순서도에서 도 7의 순서도와 부호가 동일한 단계는 그에 관한 설명도 동일하다. 따라서,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가 청소 모드에 진입하면(1100의 예), 컨트롤러(400)는 디스플레이(510) 또는 스피커(520)를 제어하여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1110).
청소 모드의 진입은 도 9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장치(530)를 조작하여 조리 기기(1)가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 중 청소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 기기(1)가 청소 모드에 진입했을 때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는 제1가열원(300)을 동작시키기 전에 조리실(11) 내부로의 물의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도 10의 예시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510)는 "물 반컵(150ml)을 채운 컵을 넣으세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물의 투입을 안내할 수만 있으면 안내 메시지의 내용이 이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러(400)는 상기와 같은 취지의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520)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고 사용자가 물을 담은 용기를 조리실(11) 내부로 투입한 후 입력 장치(530)를 통해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컨트롤러(400)는 제1가열원(300)을 동작시킬 수 있다(1200).
또는, 조리 기기(1)에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조리실(11)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의 장치가 마련된 경우에는, 컨트롤러(400)가 물을 담은 용기의 투입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별도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제1가열원(300)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가열원(300)은 제1시간동안 동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제1가열원(300)이 동작한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5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원(300)이 동작한 시점부터 제1시간이 경과하기까지 남은 시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시간이 경과하면(1300의 예), 제1가열원(3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1400), 조리실(11)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1410).
제1가열원(300)의 동작을 중지시킨 이후에 바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물이 충분히 불려지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1가열원(300)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제3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가열원(300)의 동작이 중지되면, 제1가열원(300)에 의해 조리실(11) 내부에 스팀이 발생되고, 발생된 스팀으로 인해 조리실(11) 내부 벽면 등의 표면에 고착된 오염물이 용해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섬유 재질을 이용해 조리실(11) 내부를 닦아내면 고착된 오염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실(11)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기 위해 도 12의 예시와 같이 "마른 천으로 내부를 닦으세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가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안내 메시지의 내용이 이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안내 메시지가 스피커(520)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를 닦아낸 후에 입력 장치(530)를 조작하여 청소 재개 명령을 입력하면, 컨트롤러(400)는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킨다(15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가열원(200)은 제2시간동안 동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400)는 제2가열원(200)이 동작한 시점부터 경과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5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열원(200)이 동작한 시점부터 제2시간이 경과하기까지 남은 시간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2간이 경과하면(1600의 예), 제2가열원(2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1700), 조리실(11)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141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가열원(200)이 고온의 열을 방출하면, 이와 인접한 부재에 고착된 오염물이 탄화되어 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전술한 도 12의 예시와 같이 "마른 천으로 내부를 닦으세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조리실(11) 바닥에 떨어진 탄화된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제1가열원(300)의 동작과 제2가열원(200)의 동작 사이에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를 청소하는 과정을 유도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다른 예시에서는 제1가열원(300)을 이용한 스팀 청소와 제2가열원(200)을 이용한 상부 청소 사이에 사용자에 의한 조리실(11) 내부의 청소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가열원(200)에 의한 상부 청소를 옵션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가열원(300)에 의한 청소가 완료된 이후에 상부 청소를 수행할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입력 장치(530)를 조작하여 상부 청소를 선택한 경우에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상부 청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가열원(200)에 의한 상부 청소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가열원(200)에 의한 청소가 완료된 이후에도, 제2가열원(200)에 의한 청소를 다시 수행할 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가열원(200)에 의한 청소를 수행했음에도 오염물이 덜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제2가열원(200)에 의한 청소를 다시 선택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조리실 내부를 청소하는 다른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시에 따르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모드에 진입하면(2100의 예),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키고(2200), 제2가열원(200)의 동작 이후 제2시간이 경과하면(2300의 예), 제2가열원(20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2400).
이러한 청소 동작은 조리실(11) 상부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주변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동작이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로부터 방출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주변의 반사 부재(51) 또는 보호 부재(52)에 고착된 오염물이 탄화되어 떨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청소가 가능한 조리실(11) 내부의 다른 영역과 달리, 제2가열원(200) 주변의 조리실(11) 상부 영역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청소를 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부 청소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제2가열원(200)을 이용한 상부 청소만을 수행하여 조리실(11) 내부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 기기(1)에서 수행 가능한 청소 모드는 제1청소 모드와 제2청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청소 모드는 전술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원(30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이용하는 스팀 청소와 제2가열원(200)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조리실(11)의 상측 영역을 청소하는 상부 청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청소 모드는 전술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열원(200)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조리실(11)의 상측 영역을 청소하는 상부 청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리 기기(1)에서 수행 가능한 청소 모드가 제1청소 모드, 제2청소 모드 및 제3청소 모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청소 모드와 제2청소 모드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고, 제3청소 모드에서는 제1가열원(300)과 제2가열원(200)의 동작 사이에 사용자에 의한 내부 청소를 유도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스팀 청소만을 포함하는 별도의 청소 모드가 더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청소 모드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리 기기(1)의 현재 상태와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한 최적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조리실(11) 상부에 마련된 제2가열원(2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청소하기 용이하지 않은 제2가열원(200) 주변의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열원(300)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스팀에 의해 오염물을 불린 이후에 제2가열원(200)을 동작시킴으로써 오염물의 제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조리실 11d : 제 1조리영역
11e : 제 2조리영역 12: 내부 하우징
20: 도어 30: 선반
31 : 본체 32 : 조리면
33 : 발열부 34 : 제 1조리면
35 : 제 2조리면 100 : 가열원
200 : 제 1가열원 210,220,230,240 : 히터
300 : 제 2가열원 310 : 마그네트론
320 : 스터러 400: 컨트롤러
510: 디스플레이 520: 스피커
530: 입력 장치 600: 통신 모듈

Claims (20)

  1.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마련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1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2가열원;
    상기 제2가열원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 및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원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가열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을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조리실 내부로의 물의 투입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제3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는 조리 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가열원을 동작시키는 조리 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보호 부재 또는 상기 반사 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을 탄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는 조리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드는,
    제1청소 모드와 제2청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2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2가열원을 상기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조리 기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 여부를 선택 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이 선택되면, 상기 제2가열원을 상기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조리 기기.
  11.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마련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1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2가열원 및 상기 제2가열원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청소 모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1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제2가열원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가열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호 부재 또는 상기 반사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1가열원을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조리실 내부로의 물의 투입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 제3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된 후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1가열원을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호 부재 또는 상기 반사 부재에 부착된 오염물을 탄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2가열원을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모드는,
    제1청소 모드와 제2청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1가열원을 제1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2청소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2가열원을 상기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원의 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 여부를 선택 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가열원을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단계는,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제2가열원의 동작이 선택되면, 상기 제2가열원을 상기 제2시간동안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220008767A 2021-12-17 2022-01-20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92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7474 WO2023113244A1 (ko) 2021-12-17 2022-11-08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24 2021-12-17
KR20210182024 2021-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664A true KR20230092664A (ko) 2023-06-26

Family

ID=8694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67A KR20230092664A (ko) 2021-12-17 2022-01-20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6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6714A1 (en) Cook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CN102265092B (zh) 微波加热烹调器
KR19990029021A (ko) 유전 가열 장치
EP3082380B1 (en) Cooking apparatus
CA2987557C (en) Heat cooking device
CN107532802B (zh) 加热烹调器
JPH03140712A (ja) 電子レンジ
CN105829803B (zh) 加热烹调器
JP5334938B2 (ja) 加熱調理器
KR20230092664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4745B1 (ko) 조리 기기 및 상기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JP2013000512A (ja) 電熱加熱調理器
US20230087445A1 (en) Cooking apparatus
JP2014052152A (ja) 加熱調理器
JP2013044477A (ja) 加熱調理器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JP2012134029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2013153943A (ja) 高周波加熱用トレー、および高周波加熱装置
JP2004333048A (ja) 加熱調理器
WO2024106779A1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23101880A (ja) 加熱調理器
JP2013239324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2023028543A (ja) 加熱調理器
KR101003668B1 (ko) 조리기기
KR20230046914A (ko)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