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662A -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662A
KR20230092662A KR1020220006332A KR20220006332A KR20230092662A KR 20230092662 A KR20230092662 A KR 20230092662A KR 1020220006332 A KR1020220006332 A KR 1020220006332A KR 20220006332 A KR20220006332 A KR 20220006332A KR 20230092662 A KR20230092662 A KR 2023009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shoes
air press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132B1 (ko
Inventor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에스
Priority to PCT/KR2022/0113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36413A1/ko
Publication of KR2023009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A43B23/029Pneumatic upper, e.g. gas fill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신발끈을 대체하여 신발을 조이기 위해 갑피에 형성된 에어 백 내부 압력을 사용자가 설정한 압력으로 자동 조절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신발 갑피에 형성된 에어 백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주 배기홀(111)이 형성된 고정 하우징 부재(110)와, 상기 고정 하우징 부재(110)의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다이얼 부재(120)와, 상기 다이얼 부재(120)의 내주면에서 나사 체결된 승강 하우징 부재(130)와, 상기 승강 하우징 부재(13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 배기홀(111)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유연성 부재(140) 및 상기 유연성 부재(140)의 중심을 관통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 토출 밸브 부재(150)를 포함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Automatic air pressure control device for shoes}
본 발명은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신발끈을 대체하여 신발을 조이기 위해 갑피에 형성된 에어 백 내부 압력을 사용자가 설정한 압력으로 자동 조절 가능하게 하는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끈이 있는 것과 끈이 없는 것으로 구분되고, 이때 보행시 신발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신발 착화 후 안정성, 활동성 및 건강을 고려할 때 보행시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착화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신발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특히 끈이 있는 신발은 보행시에 발에 꼭 맞도록 결속 끈을 조여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신발은 내측에 발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웃솔의 상부에서 외피로 둘러싸인 갑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신발 혀, 상기 신발 혀의 양측 면에 결속 끈을 연결하여 조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고리 내지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신발을 신을 때는 발을 갑피 내부로 삽입한 다음 신발 혀의 양측 면에 형성된 연결고리 내지 구멍에 연결된 결속 끈을 잡아당겨 조인 다음 묶어서 고정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신발을 벗을 때는 묶은 결속 끈을 풀어서 느슨하게 한 다음 발을 갑피 내부에서 빼내게 된다.
그러나 결속 끈을 이용하면 신발을 벗고 신을 때마다 착화자가 손수 신발의 결속 끈을 조인 다음 묶고 반대로 풀어서 느슨하게 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신발을 신고 보행하거나 구보를 할 때 결속 끈의 매듭이 풀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119904호에서는 착용자의 보행시 발생하는 푸시 펌프의 작동에 따라 에어백 수단이 팽창하여 발바닥 부분과 발가락 부분을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용 펌프식 에어백기구 및 그 에어백기구가 장착된 신발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조의 신발은, 에어백 수단에 충전되는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압력조절밸브에 장착된 렌치볼트를 착화자가 별도의 공구로 조작해야 하고, 또한 에어백의 공기를 일시에 배출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압력 조절을 위한 사용 방식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119904호 (2011.11.3. 공개)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을 신고 걸을 때 내딛는 압력을 이용하여 갑피 등의 신발에 마련된 에어 백을 부풀림으로써 자동으로 신발을 조일 수 있도록 하되, 에어 백의 내부 압력조절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압력 조절을 위한 착화자의 조작시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 백에 충전된 공기를 필요시 일시에 토출 가능하게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용 공기압 조절장치는, 신발에 형성된 에어 백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 백의 공간과 연결된 주 배기홀을 형성하는 배기관을 갖는 고정 하우징 부재;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원통 관 형태의 다이얼 부재; 외주면이 상기 다이얼 부재의 내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외나사관과, 상기 외나사관의 상측 단부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갖는 승강 하우징 부재;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 면에 고정된 유연성 부재; 를 포함하고, 착화자가 상기 다이얼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 하우징 부재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유연성 부재가 상기 배기홀을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고정 하우징 부재는,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 하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 백에 접착되는 고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 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 하부에 결속된 링 형태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외나사관에 나사 체결되는 내나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성 부재는, 하측 단부가 상기 주 배기홀의 상측 단부를 개폐하게 마련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에 접촉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에는 상하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제1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압 조절장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 및 상기 유연성 부재의 중심에 형성된 보조 배기홀을 각각 관통하는 토출 밸브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출 밸브 부재의 하부가 상기 보조 배기홀의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착화자가 상기 토출 밸브 부재의 상단을 누름시 상기 보조 배기홀이 개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토출 밸브 부재는, 상기 통공에 위치하는 누름판과, 상기 보조 배기홀의 하부를 폐쇄하는 스토퍼와, 상기 누름판과 스토퍼를 연결하는 포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연성 부재는, 하측 단부가 상기 주 배기홀의 상측 단부를 개폐하게 마련된 본체부와, 상기 보조 배기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누름판의 하단에 접촉되는 지지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관에는 상하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제2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끈을 대체하는 신발 갑피의 에어 백 내부 압력을 착화자가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설정하면, 설정된 압력이 자동으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신발을 벗기 위해서 에어 백의 공기를 일시적으로 전부 토출할 수 있으므로 압력 조절 및 공기 배출 조작시 편리성이 대폭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압력조절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조가 용이한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가 적용된 신발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의 배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의 배기 차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의 미세 배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중 유연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의 일시 공기 토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양태에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방향성을 지칭하는 용어는 도 2의 관점을 기준으로 정의된 것이므로, 그 방향성은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가 적용된 신발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신발의 갑피(11)에는 신발 끈을 대체하여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 백(10)이 구비되고, 아웃솔(21)에는 착화자의 디딤에 의해서 에어 백(10)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에어펌프(20)가 구비되며, 에어 백(10)과 에어 펌프(20)는 에어 튜브(30)로 연결되며, 에어 튜브(30)의 일측에는 체그밸브(40)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착화자가 보행시 에어펌프(20)에서 생성된 공기가 에어 튜브(30)를 경유하여 에어 백(10)에 충전되며, 이때 에어 백(10)의 부피가 팽창하면서 갑피(11)를 조임으로써 에어 백(10)이 신발 끈을 대체하게 된다.
이때 에어 백(10)에 충전되는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에어 백(10)의 일측에 본 발명의 공기압 조절장치(100)가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의 배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의 배기 차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의 미세 배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중 유연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공기압 조절장치(100)는 고정 하우징 부재(110), 다이얼 부재(120), 승강 하우징 부재(130), 유연성 부재(140)를 포함하고, 또한 에어 백(10)에 충전된 공기를 일시에 토출하기 위해 토출 밸브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하우징 부재(110)는, 에어 백(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요소로서, 에어 백(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 주 배기홀(111)을 형성하는 배기관(1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기관(113)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유연성 부재(140)의 하측 단부(141)와 접촉되는 상측 단부(112)가 형성되는 한편, 배기관(113)의 외주면 하단에는 측방으로 연장된 고정 플레이트(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114)는 에어 백(10)에 열융착 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상기 다이얼 부재(120)는 대략 원통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착화자가 공기압 조절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배기관(113)의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다이얼 부재(120)는, 링 형태로 되어 그 내주면이 배기관(113)의 외주면 하부에 결속되는 지지 플레이트(121)와, 지지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된 내나사관(122)을 포함하고, 내나사관(12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배기관(113)의 외주면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턱(도면 부호 미표시)을 형성하여 지지 플레이트(121)의 내주면이 턱 아래에 위치하게 하면 다이얼 부재(120)가 고정 하우징 부재(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 하우징 부재(130)는, 다이얼 부재(120)의 착화자 조작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다이얼 부재(120)의 내나사관(122)에 나사 체결되는 외나사관(131)과, 외나사관(131)의 상측 단부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연성 부재(140)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신축성과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져 주 배기홀(111)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요소로서, 커버 플레이트(132)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승강 하우징 부재(130)와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도 2의 상태와 같이 착화자가 다이얼 부재(120)를 회전시켜서 승강 하우징 부재(130)를 상승시키면 유연성 부재(140)가 함께 상승하여 유연성 부재(140)의 하단과 배기관(113) 상단에 갭이 형성되고, 이 경우 에어 백(10)에 충전된 공기가 주 배기홀(111)을 경유하여 갭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도 3의 상태와 같이 착화자가 다이얼 부재(120)를 역회전시켜서 승강 하우징 부재(130)를 하강시키면 유연성 부재(140)가 함께 하강하여 유연성 부재(140) 하측 단부(141)와 배기관(113)의 상측 단부(112)가 밀접하게 접촉됨으로써 주 배기홀(111)을 폐쇄하여 에어 백(10)의 공기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상태와 같이 착화자가 다이얼 부재(120)를 임의로 회전시켜서 승강 하우징 부재(13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면 유연성 부재(140)의 하측 단부(141)와 배기관(113)의 상측 단부(112)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어 백(10)의 공기가 배출되는 양을 착화자가 설정함으로써 에어 백(10) 내부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즉 에어 백(10)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에서만 공기가 배출되게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유연성 부재(140)는 스프링과 같은 기능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도 5 참조).
유연성 부재(140)가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유연성 부재(140)는 하측 단부(141)가 주 배기홀(111)의 상측 단부를 개폐하게 마련된 본체부(142)를 포함하고, 본체부(142)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날개부(143)가 상향 연장되며, 날개부(140)의 상단은 커버 플레이트(132)의 하단에 접촉된다. 이때 날개부(143)에는 상하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슬릿(144)이 형성됨으로써 날개부(143)가 복수 개로 분절되게 한다.
또한, 토출 밸브 부재(150)의 누름판(151) 외주면에는 날개부(143)의 내주면을 지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도면 부호 미표시)가 형성되며, 플랜지는 날개부(143)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날개부(143)가 기립한 상태에서 탄성 복원력을 갖게 하며, 동시에 플랜지의 외경을 커버 플레이트(132)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133)의 내경보다 크게 하면 토출 밸브 부재(150)가 커버 플레이트(132)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 플레이트(132)와 본체부(142) 사이에 복수 개의 날개부(143)가 배치되고, 각각의 날개부(143)는 실리콘이나 고무 소재로 되어 독립된 탄성 복원력을 가지기 때문에 유연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탄성 복원력을 가지게 되어 에어 백(10)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커질 때 본체부(142)가 상승하여 에어 백(10)의 공기가 배출되고, 설정된 압력보다 낮아지면 날개부(14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본체부(142)가 하강하여 주 배기홀(111)을 폐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의 일시 공기 토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압 조절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요소 외에 에어 백(10)의 내부 공기를 일시적으로 토출하기 위해 토출 밸브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 부재(150)는 커버 플레이트(132)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133) 및 유연성 부재(140)의 중심에 형성된 보조 배기홀(145)을 각각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이때 토출 밸브 부재(150)의 하부가 보조 배기홀(1455)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구성하면, 착화자가 토출 밸브 부재(150)의 상단을 눌렀을 때 토출 밸브 부재(150)가 하강하여 보조 배기홀(145)이 개방된다.
이를 위해 토출 밸브 부재(150)는, 통공(133)에 위치하는 누름판(151)과, 보조 배기홀(145)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된 스토퍼(152)와, 누름판(151) 및 스토퍼(152)를 상호 연결하는 포스트(153)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연성 부재(14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측 단부(141)가 주 배기홀(111)의 상측 단부(112)를 개폐하게 마련된 본체부(142)와, 보조 배기홀(145)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누름판(151)의 하단에 접촉되는 지지관(146)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지지관(146)에는 상하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제2슬릿(14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6의 상태와 같이 유연성 부재(140)가 주 배기홀(111)을 폐쇄한 상태에서 착화자가 토출 밸브 부재(150)를 누르면, 스토퍼(152)가 하강하여 보조 배기홀(145)의 하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에어 백(10)의 공기가 보조 배기홀(145)을 경유하여 제2슬릿(147)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따라서 착화자가 신발을 벗기 위해 에어 백(10)의 내부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자 할 때 다이얼 부재(120)를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에어 백(10) 내부 공기를 일시에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형상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에어 백 11... 갑피 20... 에어펌프
21... 아웃솔 30... 에어 튜브 40... 체크밸브
100... 공기압 조절장치 110... 고정 하우징 부재
111... 주 배기홀 112... 상측 단부 113... 배기관
114... 고정 플레이트 120... 다이얼 부재
121... 지지 플레이트 122... 내나사관
130... 승강 하우징 부재 131... 외나사관
132... 커버 플레이트 133... 통공
140... 유연성 부재 141... 하측 단부 142... 본체부
143... 날개부 144... 제1슬릿 145... 보조 배기홀
146... 지지관 147... 제2슬릿 150... 토출 밸브 부재
151... 누름판 152... 스토퍼 153... 포스트

Claims (7)

  1. 신발에 형성된 에어 백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 백의 공간과 연결된 주 배기홀을 형성하는 배기관을 갖는 고정 하우징 부재;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원통 관 형태의 다이얼 부재;
    외주면이 상기 다이얼 부재의 내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외나사관과, 상기 외나사관의 상측 단부를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갖는 승강 하우징 부재;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 면에 구비된 유연성 부재; 를 포함하고,
    착화자가 상기 다이얼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 하우징 부재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유연성 부재가 상기 주 배기홀을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 부재는,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 하단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 백에 접착되는 고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 하부에 결속된 링 형태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외나사관에 나사 체결되는 내나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부재는, 하측 단부가 상기 주 배기홀의 상측 단부를 개폐하게 마련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에 접촉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에는 상하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제1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 및 상기 유연성 부재의 중심에 형성된 보조 배기홀을 각각 관통하는 토출 밸브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출 밸브 부재의 하부가 상기 보조 배기홀의 하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착화자가 상기 토출 밸브 부재의 상단을 누름시 상기 보조 배기홀이 개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 부재는, 상기 통공에 위치하는 누름판과, 상기 보조 배기홀의 하부를 폐쇄하는 스토퍼와, 상기 누름판과 스토퍼를 연결하는 포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연성 부재는, 하측 단부가 상기 주 배기홀의 상측 단부를 개폐하게 마련된 본체부와, 상기 보조 배기홀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상기 누름판의 하단에 접촉되는 지지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관에는 상하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제2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 부재의 누름판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가 구비되되, 상기 플랜지의 외경은 상기 날개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통공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KR1020220006332A 2021-12-17 2022-01-17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KR10263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1300 WO2023136413A1 (ko) 2021-12-17 2022-08-01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315 2021-12-17
KR20210181315 2021-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662A true KR20230092662A (ko) 2023-06-26
KR102639132B1 KR102639132B1 (ko) 2024-03-12

Family

ID=8694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332A KR102639132B1 (ko) 2021-12-17 2022-01-17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9132B1 (ko)
WO (1) WO20231364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168B1 (ko) * 2023-10-16 2024-03-15 나윤성 스마트 통풍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402U (ko) * 1992-09-19 1994-04-15 김규원 탁상일기의 일지결속장치
KR100608212B1 (ko) * 2005-01-17 2006-08-08 조종수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KR20110119904A (ko) 2010-04-28 2011-11-03 김나은 신발용 펌프식 에어백기구 및 그 에어백기구가 장착된 신발
KR101122150B1 (ko) * 2011-08-29 2012-03-16 권오용 통기구가 구비된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5985B2 (en) * 2002-07-02 2004-09-07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KR101227196B1 (ko) * 2010-12-04 2013-01-28 김나은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KR20150094443A (ko) * 2014-02-11 2015-08-19 장지광 신발
KR101822409B1 (ko) * 2015-05-26 2018-01-29 허진행 신발용 에어 피팅 장치와 에어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402U (ko) * 1992-09-19 1994-04-15 김규원 탁상일기의 일지결속장치
KR100608212B1 (ko) * 2005-01-17 2006-08-08 조종수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KR20110119904A (ko) 2010-04-28 2011-11-03 김나은 신발용 펌프식 에어백기구 및 그 에어백기구가 장착된 신발
KR101122150B1 (ko) * 2011-08-29 2012-03-16 권오용 통기구가 구비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168B1 (ko) * 2023-10-16 2024-03-15 나윤성 스마트 통풍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413A1 (ko) 2023-07-20
KR102639132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8075B2 (en) Adjustable heel support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US7490417B2 (en) Underlay strap system
US1000429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protective member for a control device
US6154983A (en) Lottery sho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0137135B1 (ko) 가압성 발목칼라를 가진 운동화
JP5323177B2 (ja) 自動靴紐結びシステム
US8522455B2 (en) Strap system with integrated eyelet
US9687045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inflation system
CN105517459A (zh) 夹线装置及其安装方法
KR20150105413A (ko) 입체 성형용 바닥 전복형 골
KR20230092662A (ko)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WO2000016669A1 (en) Shoestring tying apparatus
KR101081184B1 (ko) 신축조절장치가 부설된 신발
US10588381B2 (en) Footwear with internal harness
KR20040077699A (ko) 신발
US1159619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flap strap
KR102415525B1 (ko)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KR100608212B1 (ko)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CN109198796B (zh) 鞋用气压固定装置
KR102623697B1 (ko) 착용감을 개선한 신발
CN220403239U (zh) 用于动态支撑足弓的鞋
KR101502776B1 (ko) 신발끈의 부분적 장력조절이 가능한 신발
US11918082B1 (en) Arch adjustable footbeds for footwear
US11986056B1 (en) Footwear having an adjustable lining
CN210008588U (zh) 一种军用跑步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