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212B1 -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 Google Patents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212B1
KR100608212B1 KR1020050004074A KR20050004074A KR100608212B1 KR 100608212 B1 KR100608212 B1 KR 100608212B1 KR 1020050004074 A KR1020050004074 A KR 1020050004074A KR 20050004074 A KR20050004074 A KR 20050004074A KR 100608212 B1 KR100608212 B1 KR 100608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pening
closing plate
passage ho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078A (ko
Inventor
조종수
정현산
Original Assignee
조종수
정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종수, 정현산 filed Critical 조종수
Priority to KR102005000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2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A43B23/029Pneumatic upper, e.g. gas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43B3/08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with pumping means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가 구비된 운동화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에는 에어저장튜브 및 상기 에어저장튜브와 에어공급튜브로 연결되며 공기흡입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공급튜브상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저장튜브에 저장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밸브로 구성된 에어백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에는 상기 에어펌프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내경에 형성되며 중앙으로 공기통과홀을 형성시키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 접촉되며 상기 공기통과홀로 유입된 공기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공기통과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과, 상기 원통관내에 삽입되며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로드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판과 공기통과홀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공기의 역류를 차단시키게 되는 가압지지편과, 상기 가압지지편의 상,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부로 구성되어 배출구를 통과한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를 제안한다.
운동화, 발등덮개, 에어백, 에어저장튜브, 에어펌프, 공기흡입밸브, 체크밸브

Description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athletic footwear with air ba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의 발등덮개에 에어백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에어백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에어백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에어백의 구성인 공기흡입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기흡입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기흡입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에어백의 구성인 체크밸브의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체크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에어백의 구성인 체크밸브의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체크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체크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에어백의 구성인 공기배출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14은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기배출밸브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는 공기배출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종래 일반적인 에어백의 구조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운동화 12: 발등덮개
14: 에어백 16: 에어저장튜브
20: 에어공급튜브 22: 에어펌프
26: 공기흡입밸브 36: 배출구
38, 138: 체크밸브 54: 공기배출밸브
본 발명은 운동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운동화의 전방에 구비된 발등덮개에 에어백을 설치하여 착용자의 발등에 쿠션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발등덮개를 적당한 압력으로 부풀려줌으로서 운동화끈을 조여주지 않더라도 착용자의 발에서 운동화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신발은 보행중인 사람의 발을 보호해주는 수단으로서, 통상 외형을 이루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바닥을 이루는 안창(혹은 깔창), 중창, 밑창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신발의 한 종류에 해당하는 운동화는 운동중 발을 보호 및 지지하며 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에 그 주안점을 둔 것으로서, 이러한 운동화의 전방에는 착용자의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발등덮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발등덮개 위로 별도의 운동화끈이 구비되어 운동화를 착용자의 발에 맞도록 조여주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운동화에 구비되어 있는 발등덮개는 단순히 그 재질을 스폰지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발등에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착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쿠션력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착용자의 발에 신겨진 운동화를 조여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운동화끈은 사용과정에서 자주 느슨해지거나 풀려지게 됨으로서 운동중에 운동화가 발에서 벗겨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따라서 잦은 운동화끈의 묶음작업이 수반되어 사용에 많은 번거로움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첨부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202)와, 상기 에어펌프(202)의 펌핑동작으로 유입된 공기를 충진하는 튜브(204)로 구성된 에어백(200)을 운동화의 발등덮개에 내장하여 튜브(204)의 팽창력으로 상기 발등덮개를 부풀려지도록 함으로서 쿠션력 및 운동화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에어백이 내장된 운동화가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에어백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예상된다.
먼저, 에어펌프(202)의 배출구(203)내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206)가 잦은 동작으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체크밸브(206)의 구조가 내부가 비어 있고 일단에 절개부(208)가 절개 형성된 연질의 원통막(210)으로 구성됨에 따라 동작시, 상기 절개부(208)가 외향으로 벌려지는 과정에서 찢어져 탄성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발생 하였으며, 따라서 체크밸브(206)는 그 기능을 상실하여 공기의 역류현상을 유발하게 됨으로서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에어펌프(202)에는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멍(201)이 천공되어 있으나, 이 흡입구멍(20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못한 관계로 에어펌프(202)의 펌핑동작시 공기가 상기 흡입구멍(20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서 에어펌프(202)의 흡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등에 덮혀지는 발등덮개내에 에어저장튜브가 구비된 에어백을 설치하여 효과적인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크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장시간의 사용시에도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어백을 통해 발등덮개가 적당한 압력으로 부풀려지며 착용자의 발등을 압박하도록 함으로서 운동화끈이 느슨해지더라도 착용자 의 발에서 운동화가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한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공기배출밸브를 통해 발등덮개의 부풀려짐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의 구성품인 에어펌프내에 공기흡입밸브를 설치하여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가 구비된 운동화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에는 에어저장튜브 및 상기 에어저장튜브와 에어공급튜브로 연결되며 공기흡입밸브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공급튜브상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저장튜브에 저장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밸브로 구성된 에어백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에는 상기 에어펌프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내경에 형성되며 중앙으로 공기통과홀을 형성시키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에 접촉되며 상기 공기통과홀로 유입된 공기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공기통과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과, 상기 원통관내에 삽입되며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로드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판과 공기통과홀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공기의 역류를 차단시키게 되는 가압지지편과, 상기 가압지지편의 상,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부로 구성되어 배출구를 통과한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가 구비된 운동화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에 에어백을 내장하여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주입된 공기 압력으로 상기 발등덮개가 부풀려지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보다 우수한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함과 아울러 착용자의 발등을 적절한 압력으로 압박하도록 함으로서 운동화끈의 풀어짐이나 느슨해짐과 상관없이 운동화가 착용자의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은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의 전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이루는 에어백(14)은 운동화(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발등을 보호하는 수단인 발등덮개(12)에 일부 구성, 예를들어 에어저장튜브(16)가 내장되도록 구성한다.
첨부된 도 2와 도 3은 상기한 에어백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2, 3을 참조하면 에어백(14)은 일정량의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저장튜브(16)와, 상기 에어저장튜브(16)와 에어공급튜브(20)로 연결되며 공기흡입밸브(를 통해 외부 공기를 펌핑하여 상기 에어저장튜브(16)로 공급시키는 에어펌프(22)와, 상기 에어펌프(22)의 배출구(36)에 설치되며 유입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체크밸브(3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튜브(20)의 일측에는 에어저장 튜브(16)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에어저장튜브(16)의 팽창력을 조절하는 수단인 공기배출밸브(5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에어저장튜브(16)는 에어펌프(22)에서 유입된 공기를 통해 팽창하며 전술한 발등덮개(12)를 부풀려주는 수단으로서, 수지재인 복수개의 시트들을 서로 겹친 다음, 테두리면을 고주파 융착(16a)으로 접착시켜 내부에 에어를 저장할 수 있는 챔버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저장튜브(16)는 필요 이상으로 크게 팽창되지 않도록 테두리면외에 전면에도 일정간격을 두고 고주파 융착(16b)을 통해 접착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공급튜브(20)는 에어저장튜브(16)와 공급관(18)으로 연결되어 에어펌프(22)에서 유입된 공기를 에어저장튜브(16)로 공급시키는 튜브로서 상기 에어공급튜브(20) 역시 에어저장튜브(16)와 동일하게 수지재인 복수개의 시트들을 서로 겹친 다음, 테두리면을 고주파 융착(20a)으로 접착 구성한다.
상기 에어펌프(22)는 펌핑동작으로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멍(24)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36)로 공기를 배출하여 전술한 에어저장튜브(16)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공기흡입밸브는 상기 에어펌프(22)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에어펌프(22)내로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밸브(26)는 에어펌프(22)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멍(24)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테(28)와, 상기 돌출테(28) 내면에 끼워지며 공기압력에 따라 상, 하 이동하며 상기 흡입구멍(24)을 선택 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30)과, 상기 돌출테(28) 위에 덮혀지며 상기 흡입구멍(24)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에어펌프(22)내로 통과시키는 다수의 통과구멍(34)들을 가지는 커버체(32)로 구성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흡입밸브(2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22)의 누름동작시에는 상기 누름압력에 따라 개폐판(30)이 아래로 하강하게 됨으로서 흡입구멍(24)을 폐쇄시키게 되며, 따라서 에어펌프(22)내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전술한 배출구(36)를 거쳐 에어저장튜브(16)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22)가 처음상태로 복원되어 지면 개폐판(30)은 흡입구멍(24)에서 흡입되는 공기압력으로 위로 승강하며 흡입구멍(24)을 개방시키게 되며,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기 흡입구멍(24)으로 유입된 후, 커버체(32)의 통과구멍(34)을 거쳐 에어펌프(22)내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크밸브(38)는 상기 배출구(36)에 연결 설치되며 에어펌프(22)의 펌핑동작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켜 공기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수단인 바, 이러한 체크밸브(38)의 상세구성은 아래에 기술토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는 상기한 체크밸브의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체크밸브(38)는 상기 에어펌프(22)의 배출구(36)와 연결되는 원통관(40)과, 상기 원통관(40)의 내경에 형성되며 중앙으로 공기통과홀(42)을 형성시키는 테두리부(41)와, 상기 테두리부(41)에 접촉되며 상기 공기통과홀(42)로 유입된 공기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공기통과홀(4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44)과, 상기 원통관(40)내에 삽입되며 상기 개폐판(44)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로드(46)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판(44)과 공기통과홀(42)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공기의 역류를 차단시키게 되는 가압지지편(48)과, 상기 가압지지편(48)의 상,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부(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44)을 눌러주는 가압지지편(48)은 상기 개폐판(44)과의 거리차에 따라 그 누름압력을 증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크밸브(38)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36)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펌프(22)가 펌핑 동작하면 공기는 배출구(36)를 통해 체크밸브(38)인 원통관(40)의 내부로 유입되어 진다. 이후, 공기가 테두리부(41)의 중앙에 형성된 공기통과홀(42)을 통과하게 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41)에 접촉되어 있던 개폐판(44)은 공기압력에 의해 그 둘레면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공기통과홀(42)을 개방시키게 되며, 따라서 공기는 공기통과홀(42)을 통과한 다음, 가압지지편(48)상에 형성된 통로부(50)를 거쳐 에어공급튜브(20)내로 공급되어 지며, 이후 공기는 상기 에어공급튜브(20)와 공급관(18)으로 연결되어 있는 에어저장튜브(16)내로 공급되어 진다. 한편, 에어펌프(22)의 펌핑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개폐판(44)은 다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상태로 복귀하여 공기통과홀(42)을 폐쇄시키게 되며, 따라서 에어저장튜브(16) 및 에어공급튜브(20)내의 공기가 역류하여 에어펌프(22)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개폐판(44)은 처음상태로 복귀시 원통관(40)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44) 의 로드(46)와 연결되어 있는 가압지지편(48)이 상기 로드(46)를 일정압력으로 눌러 항시 가압하게 됨으로서 개폐판(44)은 처음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공기통과홀(42)을 강하게 밀폐시키게 되며, 따라서 개폐판(44)과 공기통과홀과(42)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공기가 공기통과홀(42)로 누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저압공기의 역류현상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판(44)은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압력에 따라 그 둘레면이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실리콘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제 2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138)는 설치과정에서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달리 에어공급튜브(22)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지며, 이는 에어공급튜브내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 체크밸브를 수직으로 세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체크밸브(138)의 상세구성은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체크밸브(138)는 중앙으로 공기통과홀(144)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에어펌프(22)의 배출구(36)와 연결되는 구멍(142)을 가지는 하우징(140)과, 상기 하우징(14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테(146)내에 끼워지며 상기 공기통과홀(144)로 유입된 공기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공기통과홀(144)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148)과, 상기 돌출테(146) 위에 덮혀지고 상기 개폐판(148) 위에 돌출된 돌기(149)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판(148)과 공기통과홀(144)과의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커버체(150)와, 상기 커버체(15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 기 공기통과홀(144)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멍(152)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크밸브(138)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36)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펌프(22)가 펌핑 동작하면 공기는 배출구(36)를 통해 하우징(140) 내부로 유입되어 진다. 이후, 공기가 하우징(14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공기통과홀(144)을 통과하게 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테(146)내에 끼워져 있던 개폐판(148)은 공기통과홀(144)을 통과하는 공기압력에 의해 그 둘레면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공기통과홀(144)을 개방시키게 되며, 따라서 공기는 개방된 공기통과홀(144)을 거쳐 커버체(15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멍(152)을 통해 에어공급튜브(20)내로 공급되어 지며, 이후 공기는 상기 에어공급튜브(20)와 공급관(18)으로 연결되어 있는 에어저장튜브(16)내로 공급되어 진다. 한편, 에어펌프(22)의 펌핑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개폐판(148)은 다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상태로 복귀하여 공기통과홀(144)을 폐쇄시키게 되며, 따라서 에어저장튜브(16) 및 에어공급튜브(20)내의 공기가 역류하여 에어펌프(22)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개폐판(144)은 복귀과정에서 개폐판(144)의 돌기(149)를 가압하는 커버체(150)의 누름압력에 의해 처음상태로 복귀함과 동시에 공기통과홀(144)을 강하게 밀폐시키게 되며, 따라서 개폐판(148)과 공기통과홀(144)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공기가 공기통과홀(148)로 누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저압공기의 역류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판(148)은 역시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공기압력에 따라 그 둘레면이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실리콘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148)의 재질 역시 탄성력을 가지도록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재질인 연질의 실리콘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공기배출밸브(54)는 에어공급튜브(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에어저장튜브(16)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에어저장튜브(16)의 팽창력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공기배출밸브(54)와 관련한 상세구성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 13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공기배출밸브(54)는 상기 에어공급튜브(20)의 배출구멍(27) 위에 설치되며 상부면에는 공기배출구(58)가 관통 형성된 하우징(56)과, 상기 하우징(56)내에 설치되며 스프링(60)의 텐션으로 승, 하강하는 승강핀(62)과, 상기 승강핀(62)의 둘레면에 연장 형성되며 외면을 따라 요철형태의 기어형상으로 다수의 통로부(66)들이 형성된 플랜지(64)와, 상기 승강핀(62)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홈(68)에 끼워지며 상기 승강핀(62)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56)의 공기배출구(58)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밀폐링(7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배출밸브(54)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6)의 공기배출구(58)와, 상기 공기배출구(58)를 관통한 승강핀(62) 사이의 틈새를 상기 승강핀(62)의 홈(68)에 끼워져 있는 밀폐링(70)이 막아주게 됨으로서 항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에어저장튜브(16)내의 공기가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첨부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저장튜브(16)의 팽창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핀(62)을 위에서 눌러주게 되면 승강핀(62)은 하강하게 되며, 이때 밀폐링(70)역시 상기 승강핀(62)의 동작으로 하강하며 공기배출구(58)와 승강핀(62) 사이의 틈새를 개방시키게 됨으로서 에어저장튜브(16)내에 저장된 공기는 에어공급튜브(20)의 배출구멍(27)을 통해 플랜지(64)의 통로부(66) 및 공기배출구(58)와 승강핀(62) 사이의 틈새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어 지며, 따라서 에어저장튜브(16)의 팽창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기술토록 한다.
먼저, 운동화(10)의 발등덮개(12)내에 에어백(14)을 설치한 상태에서 발등덮개(12)를 적당한 압력으로 부풀리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에어백(14), 바람직하게는 에어펌프(22)를 눌러 펌핑동작하게 되면 에어펌프(22)내의 공기는 배출구(36)와, 상기 배출구(36)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38)를 통해 에어공급튜브(20)내로 유입되어 진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튜브(20)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체크밸브(38)를 통해 에어펌프(22)내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에어공급튜브(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공급튜브(20)와 공급관(18)으로 연결되어 있는 에어저장튜브(16)내의 챔버내로 공급되어 지며, 따라서 에어저장튜브(16)는 유입되는 공기압력으로 서서히 팽창하며 상기 발등덮개(12)를 적당한 압력으로 부풀리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발등덮개(12)가 부풀려짐으로서 착용자는 쿠션력을 제공받아 발등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운동화끈이 느슨해지거나 풀려지더라도 상기 발등덮개(12)가 부풀려지며 착용자의 발목을 압박하게 됨으로서 운동화가 발에서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등덮개(12)의 부풀려짐을 조절할 경우에는 에어백(14)에 구비되어 있는 공기배출밸브(54)를 동작시켜 에어저장튜브(16)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서 발등덮개(12)의 부풀려짐을 착용자의 의도대로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는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첫번째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등에 덮혀지는 발등덮개내에 에어저장튜브가 구비된 에어백을 설치하여 착용자의 발목에 효과적인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다.
두번째로 상기 에어백을 통해 발등덮개가 적당한 압력으로 부풀려지며 착용자의 발등을 압박하도록 함으로서 운동화끈이 느슨해지거나 풀려지더라도 운동화가 착용자의 발에서 쉽게 벗겨지지 않아 사용의 편리함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번째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백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공기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번째로 공기배출밸브를 통해 에어저장튜브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발등덮개의 부풀려짐을 착용자의 의도대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네번째로 에어백의 구성품인 에어펌프내에 공기흡입밸브를 설치하여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사용자의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12)가 구비된 운동화(10)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12)에는 에어저장튜브(16) 및 상기 에어저장튜브(16)와 에어공급튜브(20)로 연결되며 공기흡입밸브(26)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펌프(22) 및 상기 에어공급튜브(20)상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저장튜브(16)에 저장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밸브(54)로 구성된 에어백(14)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22)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36)에는;
    상기 에어펌프(22)의 배출구(36)와 연결되는 원통관(40)과;
    상기 원통관(40)의 내경에 형성되며 중앙으로 공기통과홀(42)을 형성시키는 테두리부(41)와;
    상기 테두리부(41)에 접촉되며 상기 공기통과홀(42)로 유입된 공기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공기통과홀(4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44)과;
    상기 원통관(40)내에 삽입되며 상기 개폐판(44)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로드(46)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판(44)과 공기통과홀(42)과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공기의 역류를 차단시키게 되는 가압지지편(48)과;
    상기 가압지지편(48)의 상, 하단에 형성되며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부(50)로 구성되어 배출구(36)를 통과한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38)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2. 사용자의 발등을 보호하는 발등덮개(12)가 구비된 운동화(10)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12)에는 에어저장튜브(16) 및 상기 에어저장튜브(16)와 에어공급튜브(20)로 연결되며 공기흡입밸브(26)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펌프(22) 및 상기 에어공급튜브(20)상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저장튜브(16)에 저장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배출밸브(54)로 구성된 에어백(14)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22)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36)에는;
    중앙으로 공기통과홀(144)이 관통 형성되고 일측으로 상기 에어펌프(22)의 배출구(36)와 연결되는 구멍(142)을 가지는 하우징(140)과;
    상기 하우징(14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테(146)내에 끼워지며 상기 공기통과홀(144)로 유입된 공기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상기 공기통과홀(144)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148)과;
    상기 돌출테(146) 위에 덮혀지고 상기 개폐판(148) 위에 돌출된 돌기(149)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판(148)과 공기통과홀(144)과의 밀폐력을 증가시키는 커버체(150)와;
    상기 커버체(15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과홀(144)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멍(152)들로 구성되어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138)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밸브(26)는;
    상기 에어펌프(22)의 내부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흡입구멍(24)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테(28)와;
    상기 돌출테(28)내에 삽입되며 공기압력에 따라 상기 흡입구멍(24)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30)과;
    상기 돌출테(28) 위에 덮혀지며 상기 흡입구멍(24)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에어펌프(22)로 공급시키는 다수의 통과구멍(34)들을 가지는 커버체(32)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밸브(54)는;
    상기 에어공급튜브(20)의 배출구멍(27) 위에 설치되며 상부면에는 공기배출구(58)가 관통 형성된 하우징(56)과;
    상기 하우징(56)내에 설치되며 스프링(60)의 텐션으로 승, 하강하는 승강핀(62)과;
    상기 승강핀(62)의 둘레면에 연장 형성되며 외면을 따라 다수의 통로부(66)들이 형성된 플랜지(64)와;
    상기 승강핀(62)의 둘레면에 형성된 홈(68)에 끼워지며 상기 승강핀(62)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56)의 공기배출구(58)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밀폐링(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KR1020050004074A 2005-01-17 2005-01-17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KR100608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74A KR100608212B1 (ko) 2005-01-17 2005-01-17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74A KR100608212B1 (ko) 2005-01-17 2005-01-17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78A KR20060084078A (ko) 2006-07-24
KR100608212B1 true KR100608212B1 (ko) 2006-08-08

Family

ID=3717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074A KR100608212B1 (ko) 2005-01-17 2005-01-17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2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13Y1 (ko) 2008-03-20 2010-06-24 진 권 김 스노우보드용 부츠의 이완방지 에어백
CN108056526A (zh) * 2018-02-09 2018-05-22 吴晓泽 一种具有减震式的马丁鞋
KR202300926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디오에스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07B1 (ko) * 1992-07-28 1995-07-24 임성조 운동화 끈 조임장치
US5588227A (en) 1992-04-30 1996-12-31 L.A. Gear, Inc. Athletic shoe having air bladder pressure indicating means
KR200265404Y1 (ko) 2001-10-31 2002-02-25 박종일 에어백이 구비된 운동화
US20050097779A1 (en) 2003-11-12 2005-05-12 Fang Roger H. Athletic shoe with inflatable tong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227A (en) 1992-04-30 1996-12-31 L.A. Gear, Inc. Athletic shoe having air bladder pressure indicating means
KR950008007B1 (ko) * 1992-07-28 1995-07-24 임성조 운동화 끈 조임장치
KR200265404Y1 (ko) 2001-10-31 2002-02-25 박종일 에어백이 구비된 운동화
US20050097779A1 (en) 2003-11-12 2005-05-12 Fang Roger H. Athletic shoe with inflatable tongu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13Y1 (ko) 2008-03-20 2010-06-24 진 권 김 스노우보드용 부츠의 이완방지 에어백
CN108056526A (zh) * 2018-02-09 2018-05-22 吴晓泽 一种具有减震式的马丁鞋
CN108056526B (zh) * 2018-02-09 2021-08-27 瑞安市大虎鞋业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式的马丁鞋
KR202300926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디오에스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KR102639132B1 (ko) * 2021-12-17 2024-03-12 주식회사 디오에스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78A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86636B1 (en)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 filled bladders with movement of fluid between bladders
US5353525A (en) Variable support shoe
US7784196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inflatable ground engaging surface
US5222312A (en) Shoe with pneumatic inflating device
KR0137135B1 (ko) 가압성 발목칼라를 가진 운동화
EP3547865B1 (en) Sports shoe with inflatable tightening system
KR100990169B1 (ko) 슈즈 밑창내에 포함된 공기 팽창 장치
US20150305436A1 (en) Pneumatically inflatable air bladder devices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or configured as shoe inserts
JP5219510B2 (ja) 膨張可能空気袋を有する履物の空気抜きメカニズム
US20140223772A1 (en)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CA2490408A1 (en)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US9451803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chamber capable of holding vacuum
US20160249706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inflation system
US20220104582A1 (en) Vacuum Pump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KR100608212B1 (ko)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CN101415349A (zh) 具有可充气鞋舌的运动鞋
US8858200B2 (en) Pump and valve combination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inflatable bladder
KR20230092662A (ko)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JPH1066602A (ja) ゴルフ靴
WO2006078082A1 (en) Athletic footwear with air bag
KR200183118Y1 (ko) 신발의 완충 및 환기장치
KR100906521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0356249Y1 (ko) 통풍용 신발의 체크밸브 구조
KR102416211B1 (ko) 공기주입식 마사지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