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525B1 -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525B1
KR102415525B1 KR1020210005019A KR20210005019A KR102415525B1 KR 102415525 B1 KR102415525 B1 KR 102415525B1 KR 1020210005019 A KR1020210005019 A KR 1020210005019A KR 20210005019 A KR20210005019 A KR 20210005019A KR 102415525 B1 KR102415525 B1 KR 10241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jection
air bag
open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에스
Priority to KR102021000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A43B23/029Pneumatic upper, e.g. gas fill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자동 조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신발의 갑피를 자동으로 조여주거나 풀 수 있게 할 목적으로, 갑피(11)에 구비된 공기주머니(10); 착화자의 발 디딤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때 수축되고 압력 해제시 원상태로 팽창되는 공기 주입 패드(20); 상기 공기주머니(10) 및 공기 주입 패드(20)를 상호 연결하여 공기 주입 패드(20)의 수축시 공기주머니(10)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된 공기 주입 관로(30); 상기 공기주머니(10)로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체크 밸브 유닛(40); 상기 공기주머니(10)의 공기 배출량을 착화자가 제어하도록 마련된 압력 조절 유닛(100); 을 포함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Automatic shoe tightening system}
본 발명은 신발 자동 조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신발의 갑피를 자동으로 조여주거나 풀 수 있게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끈이 있는 것과 끈이 없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때 보행시 신발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보행시 발에 꼭 맞는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건강에 바람직하기 때문에 착화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신발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특히 끈이 있는 신발은, 보행시에 발에 꼭 맞도록 결속 끈을 조여주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 끈이 있는 신발은 내측에 발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웃솔의 상부에서 외피로 둘러쌓인 갑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신발 혀, 상기 신발 혀의 양측 면에 결속 끈을 연결하여 조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연결고리 내지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신발을 신을 때는 발을 갑피 내부로 삽입한 다음 신발 혀의 양측 면에 형성된 연결고리 내지 구멍에 결속 끈을 연결하여 잡아당겨 조인 다음 묶음으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신발을 벗을 때는 묶은 결속 끈을 풀어서 느슨하게 한 다음 발을 갑피 내부에서 빼냄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결속 끈을 이용하면 신발을 벗고 신을 때마다 착화자가 손수 신발의 결속 끈을 조인 다음 묶고 반대로 풀어서 느슨하게 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신발을 신고 보행하거나 구보를 할 때 결속 끈의 매듭이 풀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상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00233호(특허문헌 1)에서는 신발창과, 신발창의 주연에 설치되는 갑피와, 갑피의 정면 중앙에 양측 날개로 분할되게 설치되는 확개부와, 확개부의 양측 날개에 설치되는 고리와, 양측의 고리들의 내부를 관통하는 당김막대와, 양측 당김막대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연결부와, 양측 당김막대의 상단에 설치되는 당김끈으로 구성되어, 양측 당김줄을 당김으로써 일거에 양측 각 고리들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확개부를 조이게 되고, 반대로 당김줄의 묶음을 풀고 확개부를 양측으로 벌림으로서 확개부가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마련된 개량 신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개량 신발 역시 확개부를 조이거나 벌릴 때 착화자가 손수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00233호 등록특허공보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신발을 신고 걸을 때 내딛는 압력을 이용하여 공기 주입 패드가 갑피에 마련된 공기주머니를 부풀림으로써 자동으로 갑피를 조일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압력 조절 유닛을 이용하여 공기주머니의 압력을 착화자가 원하는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조임 정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걷지 않을 때 자동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은,
신발용 갑피의 소정 영역에 구비된 공기주머니; 착화자의 발 디딤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때 수축되고 압력 해제시 원상태로 팽창되는 공기 주입 패드; 상기 공기주머니 및 공기 주입 패드를 상호 연결하여 공기 주입 패드의 수축시 공기주머니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된 공기 주입 관로; 상기 공기주머니로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공기 주입 패드의 팽창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 패드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체크 밸브 유닛; 상기 공기주머니의 일측에 구비되어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되, 공기 배출량을 착화자가 제어하도록 마련된 압력 조절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공기주머니는 착화자의 발등을 감싸는 위치에 배치되어 공기 주입시 발등을 조일 수 있게 마련되는 한편, 상기 공기 주입 패드는 뒤꿈치를 디딜 때 압력이 가해지도록 신발 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은, 상기 공기 주입 패드와 공기 주입 관로의 연결부에 구비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공기 주입 패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주입 관로에 연결된 원통형의 내부관; 내주면이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일단이 상기 공기 주입 패드에 연결되며 타단에 에어 주입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의 외부관; 상기 내부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머니로 공기 주입시에만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1 개폐날개;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의 이격 공간에 구비되고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 패드로 주입시에만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2 개폐날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기주머니와 연통하는 제1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부와, 너트부가 형성된 천장부와, 제2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본체; 상기 너트부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된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하단에 구비된 원판형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착화자가 상기 볼트부의 상단 부분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가압 플레이트가 승하강 가능하게 된 노브; 상기 제1 공기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원판형 개폐 플레이트; 상기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에 의하면, 착화자가 손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신발을 신고 걸을 때 내딛는 압력을 이용하여 공기 주입 패드가 갑피에 마련된 공기주머니를 부풀림으로써 자동으로 갑피를 조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압력 조절 유닛을 이용하여 공기주머니의 압력을 착화자가 원하는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여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착화자의 발 크기나 형태 등 다양한 조건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걷지 않을 때 자동으로 공기가 배출되어 갑피의 조임이 해제되므로 신발을 쉽게 벗을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이 적용된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신발 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신발 요부의 단면 구조 및 부분 확대도로서, 도 3은 공기 주입 패드에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 4는 공기 주입 패드로부터 갑피의 공기주머니로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압력 조절 유닛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압력 조절 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양태에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이 적용된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신발 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은, 신발 끈을 대체하여 갑피(11)에 형성된 공기주머니를 팽창 또는 수축시켜서 갑피를 조이거나 조임을 해제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위한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은, 신발용 갑피(11)의 소정 영역에 구비된 공기주머니(10), 공기 주입 패드(20), 공기 주입 관로(30), 체크 밸브 유닛(40) 및 압력 조절 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주머니(10)는 갑피(11)가 착화자의 발등을 감싸서 발을 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등을 감싸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신발 혀가 위치하는 부분과, 신발 혀의 좌우측 측면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는 착화자가 보행이나 구보시 착화자의 발 디딤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때 수축되고 압력 해제시 원상태로 팽창하여 상기 공기주머니(10)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를 발생시키는 일종의 펌프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이를 위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소재는 실리콘이나 고무 또는 연질로서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는 뒤꿈치를 디딜 때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해 신발 후부, 예를 들면 뒤꿈치 부분 중 아웃솔(21)과 인솔(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발을 디딜 때 공기 펌프 기능을 가진다면 공기 주입 패드(20)의 위치에 제한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공기 주입 관로(30)는 상기 공기주머니(10) 및 공기 주입 패드(20)를 상호 연결하는 관로로서,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관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를 가압하여 수축될 때 분출되는 공기는 공기 주입 관로(30)를 통해 상기 공기주머니(10)로 주입된다.
상기 체크 밸브 유닛(40)은, 상기 공기주머니(10)로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고, 또한,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가 원 형태로 복귀(수축 후 팽창)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관한 예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압력 조절 유닛(100)은, 상기 공기주머니(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주머니(10)에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공기 배출량을 착화자가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예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신발 요부의 단면 구조 및 부분 확대도로서, 도 3은 공기 주입 패드에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 4는 공기 주입 패드로부터 갑피의 공기주머니로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체크 밸브 유닛(40)은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와 공기 주입 관로(30)의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상기 체크 밸브 유닛(40)은, 내부관(41), 에어 주입구멍(43)이 형성된 외부관(42), 제1 개폐날개(44) 및 제2 개폐날개(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관(41)은 일단이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주입 관로(30)에 연결된 원통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관(42)은 그 내주면이 상기 내부관(41)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일단이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에 연결되며 타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주입구멍(43)이 형성된 원통형의 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부관(41)과 외부관(42)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방사형으로 다수의 지지대(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내부관(41)과 외부관(42)이 원통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부관(4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공기주머니(10)로 공기를 주입할 때에만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1 개폐날개(4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날개(44)가 일측 방향[공기 주머니(10)가 위치한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스토퍼(44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관(41)과 외부관(42)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상기 에어 주입구멍(43)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 패드(20)로 주입시에만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2 개폐날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개폐날개(45)가 일측 방향[공기 주입 패드(20)가 위치한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제2 스토퍼(45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제2 개폐날개(44, 45) 및 제1, 제2스토퍼(44a, 45a)의 구조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이고, 에어 주입 패드(20)에서 공기주머니(10)로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거나, 에어 주입 패드(20)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체크 밸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동 조임 시스템이 적용된 신발을 착화 후 보행 중 발을 디딜 때 도 4와 같이 뒤꿈치가 공기 주입 패드(20)를 가압(P)하면 공기 주입 패드(20) 내의 공기가 내부관(41), 공기 주입 관로(30)를 경유하여 공기주머니(10)로 주입되고, 공기주머니(10)가 팽창함에 따라 갑피(11)가 발을 조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뒤꿈치에 의한 공기 주입 패드(20)의 가압이 해제되면, 공기 주입 패드(20)가 원 상태로 복귀되면서, 외부 공기가 에어 주입구멍(43), 내부관(41)과 외부관(42) 사이의 공간을 경유하여 공기 주입 패드(20)로 유입된다.
따라서 보행 중이라면 공기주머니(10)로 계속해서 공기가 주입되어 갑피(11)가 발등을 조이기 때문에 공기주머니(10)가 신발끈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주머니(10)의 팽창이 일정한 압력 내지 착화자가 설정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공기주머니(10)로 공기가 주입되는 것과 함께 일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는데, 도 5 및 도 6에서 착화자가 임의로 공기주머니(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가 예시된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압력 조절 유닛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압력 조절 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조절 유닛(100)은, 공기주머니(10)에 설치된 하우징 본체(110), 노브(120), 개폐플레이트(130) 및 스프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0)는, 내부에 공간(111)이 형성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기주머니(10)의 내부 공간과 상기 공간(111)을 상호 연통하는 제1 공기배출구(112)가 형성된 바닥부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너트부(113)가 형성된 천장부와, 제2 공기배출구(114)가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1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상기 너트부(113)에 나사 체결된 볼트부(121)와, 상기 볼트부(121)의 하단에 구비된 원판형 가압 플레이트(122)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착화자가 상기 볼트부(121)의 상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가압 플레이트(122)가 상하로 승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브(120)는 상기 볼트부(121)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110)를 커버할 수 있도록 더 연장될 수 있고, 나아가 착화자가 노브(120)를 손으로 돌릴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외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공기배출구(112) 위에 배치되어 제1 공기배출구(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140)은 예컨대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12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130)를 탄성력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6의 (a)와 같이 착화자가 노브(120)를 완전히 풀었을 때 가압 플레이트(122)가 최고 위치로 상승함에 따라 스프링(140)의 탄성력이 최소화되어 공기주머니(10) 내부의 공기가 제1 공기배출구(112)와 제2 공기배출구(114)를 경유하여 외부로 쉽게 배출된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착화자가 노브(120)를 임의로 일정량 조이면, 가압 플레이트(122)가 일정량 하강하여 스프링(140)의 탄성력이 증가하면서 개폐 플레이트(130)를 탄성 가압력으로 누르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공기주머니(10)의 내부 압력이 스프링(140)의 탄성 가압력보다 클 경우 개폐 플레이트(130)가 상승하여 제1 공기배출구(112)가 개방됨으로써 공기주머니(1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공기주머니(10)의 내부 압력이 스프링(140)의 탄성 가압력보다 작아지면 다시 개폐 플레이트(130)가 제1 공기배출구(112)를 폐쇄하게 되는바, 이와 같이 노브(120)의 조임 압력에 따라 제1 공기배출구(112)가 개폐되면서 공기주머니(10)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 6의 (c)와 같이 노브(120)를 완전히 조였을 때 가압 플레이트(122)가 최저 위치로 하강함에 따라 스프링(140)이 허용 가능한 범위의 최소 위치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개폐 플레이트(130)의 상승이 억제되고, 그에 따라 제1 공기배출구(112)가 개방이 차단되어 공기 배출이 불가능하면서 공기주머니(10) 내부 압력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착화자는 압력 조절 유닛(100)의 노브(120)를 임의로 조절하여 공기주머니(10)의 내부 압력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서 예시된 압력 조절 유닛(100)은 일 실시예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착화자가 임의로 공기주머니(10) 내부의 공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압력 조절 유닛(100)은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형상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공기주머니 11... 갑피
20... 공기 주입 패드 21... 아웃솔
22... 인솔 30... 공기 주입 관로
40... 체크 밸브 유닛 41... 내부관
42... 외부관 43... 에어 주입구멍
44... 제1 개폐 날개 44a...제1 스토퍼
45... 제2 개폐 날개 45a... 제2 스토퍼
100... 압력 조절 유닛 110... 하우징 본체
111... 공간 112... 제1 공기 배출구
113... 너트부 114... 제2 공기 배출구
120... 노브 121... 볼트부
122... 가압 플레이트 130... 개폐 플레이트
140... 스프링

Claims (8)

  1. 신발용 갑피의 소정 영역에 구비된 공기주머니;
    착화자의 발 디딤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때 수축되고 압력 해제시 원상태로 팽창되는 공기 주입 패드;
    상기 공기주머니 및 공기 주입 패드를 상호 연결하여 공기 주입 패드의 수축시 공기주머니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된 공기 주입 관로;
    상기 공기주머니로 주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공기 주입 패드의 팽창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 패드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체크 밸브 유닛;
    상기 공기주머니의 일측에 구비되어 충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되, 공기 배출량을 착화자가 제어하도록 마련된 압력 조절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은 상기 공기 주입 패드와 공기 주입 관로의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크 밸브 유닛은, 일단이 상기 공기 주입 패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주입 관로에 연결된 원통형의 내부관;
    내주면이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일단이 상기 공기 주입 패드에 연결되며 타단에 에어 주입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의 외부관;
    상기 내부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머니로 공기 주입시에만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1 개폐날개;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의 이격 공간에 구비되고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주입 패드로 주입시에만 개방되도록 마련된 제2 개폐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머니는 착화자의 발등을 감싸는 위치에 배치되어 공기 주입시 발등을 조일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 패드는 뒤꿈치를 디딜 때 압력이 가해지도록 신발 후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내주면에 상기 제1 개폐날개의 역방향 개방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의 이격 공간에 상기 제2 개폐날개의 역방향 개방을 방지하는 제2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유닛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기주머니와 연통하는 제1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바닥부와, 너트부가 형성된 천장부와, 제2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본체;
    상기 너트부에 나사 체결된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하단에 구비된 원판형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착화자가 상기 볼트부의 상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가압 플레이트가 승하강 가능하게 된 노브;
    상기 제1 공기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원판형 개폐 플레이트;
    상기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KR1020210005019A 2021-01-14 2021-01-14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KR102415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19A KR102415525B1 (ko) 2021-01-14 2021-01-14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19A KR102415525B1 (ko) 2021-01-14 2021-01-14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525B1 true KR102415525B1 (ko) 2022-07-01

Family

ID=8239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019A KR102415525B1 (ko) 2021-01-14 2021-01-14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5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932A (en) * 1989-02-14 1991-03-19 Royce Medical Company Variable support shoe
KR0137135B1 (ko) * 1989-03-17 1998-04-27 에이. 토마스 니버갈 가압성 발목칼라를 가진 운동화
KR101600233B1 (ko) 2015-04-03 2016-03-04 김범구 신발끈 조임 장치를 개량한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932A (en) * 1989-02-14 1991-03-19 Royce Medical Company Variable support shoe
KR0137135B1 (ko) * 1989-03-17 1998-04-27 에이. 토마스 니버갈 가압성 발목칼라를 가진 운동화
KR101600233B1 (ko) 2015-04-03 2016-03-04 김범구 신발끈 조임 장치를 개량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265B1 (ko) 신발 체결 시스템
JP5643420B2 (ja) 取り外し可能なラップを有する履物
US4922630A (en) Athletic shoe with inversion resisting device
EP2278894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grated arch strap
CN105942662B (zh) 用于鞋类物品的可调节的多囊系统
US7490417B2 (en) Underlay strap system
US4999932A (en) Variable support shoe
US8522455B2 (en) Strap system with integrated eyelet
US5943793A (en) Shoe or boot with adjustable ankle collar
US11382389B2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9687045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inflation system
US20080148600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xpandable Heel Portion
US11129434B2 (en) Y-strap sport sandal
KR102415525B1 (ko) 신발 자동 조임 시스템
US20040003516A1 (en) Cord and strap combination shoe closure
US10595584B2 (en) Adjustable article system
WO2020220052A2 (en) Channeled shoe sole system
KR20230092662A (ko)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US20070113388A1 (en) Elastic lace and attachment system for shoes
KR100608212B1 (ko) 에어백이 설치된 운동화
KR100343789B1 (ko) 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
US20110047820A1 (en) Girthwise adjustable laced shoe construction
KR102601886B1 (ko)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KR102369072B1 (ko)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US20240115005A1 (en) Footwear with customizable lac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