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949A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949A
KR20230091949A KR1020237016846A KR20237016846A KR20230091949A KR 20230091949 A KR20230091949 A KR 20230091949A KR 1020237016846 A KR1020237016846 A KR 1020237016846A KR 20237016846 A KR20237016846 A KR 20237016846A KR 20230091949 A KR20230091949 A KR 2023009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stent body
main body
cell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쇼바야시
고헤이 미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지. 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지. 메디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지. 메디컬
Publication of KR2023009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2Two or more distinct overlappin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7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48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mechanical expandability, e.g. in mechanical, self- or balloon expand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59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empor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표면적이 크고 또한 혈관 구조에의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이 우수한 스텐트를 제공한다. 카테터에 삽입되고, 혈관 내에서 상기 카테터로부터 압출되어 혈관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이용되는 스텐트(1)로서,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 셀이 둘레 방향으로 깔려지고 또한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 셀이 둘레 방향으로 깔려지고 또한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있고,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에 내삽되는 제2 스텐트 본체(20)를 구비하고,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제2 스텐트 본체(20)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셀의 공공 부분에, 상기 제2 셀의 교차 부분이 배치되어 있고,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는, 지름 방향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스텐트
본 발명은, 생체의 관강(管腔)을 확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심혈관, 뇌혈관, 말초 혈관 등에 있어서, 혈관 내강이 플라크 등에 의해 협착 혹은 폐색되어, 허혈이 발생한 혈관 내강을 확장하는 것에 의해서 병변 부위의 개통성을 확보하는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카테터 내에 수납된 스텐트나 벌룬을 병변 부위에서 전개하는 카테터 치료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테터 치료에 이용되는 스텐트의 일 예로서, 내부에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선 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트럿을 마련한 스텐트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제10390982호 공보
혈관 내강의 확장에 유치(留置)형의 스텐트를 이용한 경우, 스텐트의 유치 후에 혈관 내에서 재협착이나 재폐색이 발생하거나, 혈전증 등의 합병증이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한편, 혈관 내강의 확장에 벌룬을 이용한 경우, 일시적으로 혈관이 폐쇄되기 때문에, 특히 원위측의 혈관에서 혈관 경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확장 시간의 제한이나 치료 후에서의 협착 병변의 잔류, 재협착 등이 염려된다. 더하여는, 벌룬에 의해 확장된 혈관이 직선 모양으로 됨으로써, 혈관의 손상이나 주변 혈관의 천통지(穿通枝) 등, 단열이나 경색에 의한 출혈성의 합병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의 스텐트와 같이, 회수형의 스텐트이면, 일시적으로 혈관 내에 유치한 후에 회수하는 것에 의해, 혈액의 개통성을 확보하면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합병증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협착한 혈관을 보다 균일하게 확장하기 위해, 스텐트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면, 스텐트의 휨 강성이 너무 높아져, 혈관 구조에의 형상 추종성이 저하한다. 또한, 스텐트의 표면적(셀의 공공(空孔) 면적을 제외한 면적)을 증가시키면, 스텐트의 체적이 커지기 때문에, 축경(縮徑)한 스텐트를 지름이 좁은 카테터 내에 수납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특허 문헌 1의 스텐트는, 내부에 복수의 스트럿이 마련되기 때문에, 단순히 표면적을 증가시킨 경우,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이 큰 폭으로 저하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적이 크고 또한 혈관 구조에의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이 우수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카테터 내에 삽입되고, 혈관 내에서 상기 카테터로부터 압출되어 혈관을 확장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스텐트로서,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 셀이 둘레 방향으로 깔려지고 또한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 스텐트 본체와,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 셀이 둘레 방향으로 깔려지고 또한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있고,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에 내삽되는 제2 스텐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에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셀의 공공 부분에, 상기 제2 셀의 교차 부분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는, 지름 방향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 스텐트 본체에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상기 제1 스텐트 본체를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셀의 공공 부분에 상기 제2 셀의 교차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상기 제1 셀의 공공 부분에 1개의 상기 제2 셀의 교차 부분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스텐트 본체에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겹쳐진 부분의 표면의 단위 면적 당에서 비공공(非空孔)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5~50%여도 된다.
복수의 상기 제1 셀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환(環) 방향에서, 1 세트의 제1 스트럿과, 상기 1 세트의 제1 스트럿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제1 스트럿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셀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환 방향에서, 1 세트의 제2 스트럿과, 상기 1 세트의 제2 스트럿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제2 스트럿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복수의 상기 제1 셀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환 방향에서, 대략 S자형의 제1 교차 부분에서 접속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셀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환 방향에서, 대략 S자형의 제2 교차 부분에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복수의 상기 제1 셀이 상기 제1 교차 부분에서 접속되는 환 방향과, 복수의 상기 제2 셀이 상기 제2 교차 부분에서 접속되는 환 방향은, 지름 방향에서 선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의 근위측의 단부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의 근위측의 단부는, 푸셔 와이어의 축선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와의 사이에 피복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 중 적어도 일방에는, 조영성(造影性)이 높은 소선이 나선 모양으로 감겨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적이 크고 또한 혈관 구조에의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이 우수한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텐트(1)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스텐트 본체(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b는, 제2 스텐트 본체(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c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4a는, 단체(單體)의 제1 스텐트 본체(10)의 외경 D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단체의 제2 스텐트 본체(20)의 외경 D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제2 스텐트 본체(20)를 내삽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s1-s1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텐트(1)를 굴곡시킨 경우의 내부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1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1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8c는,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9a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2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9b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2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9c는,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0a는,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를 혈관 내에서 확장시켰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를 혈관 내에서 확장시켰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2b는, 제4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2c는,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4a는, 제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4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4b는, 제5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4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4c는,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6a는, 제6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5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6b는, 제6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5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6c는,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7a는,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를 제1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s4-s4선 단면도이다.
도 18a는,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를 제2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s5-s5선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도 18a의 s6-s6선 단면도이다.
도 19a는,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를 제3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s7-s7선 단면도이다.
도 19c는, 도 19a의 s8-s8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스텐트(1)의 원위측의 단부와 원위단 샤프트(3)를 제1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스텐트(1)의 원위측의 단부와 원위단 샤프트(3)를 제1 접속 형태로 접속한 다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스텐트(1)의 원위측의 단부와 원위단 샤프트(3)를 제4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스텐트(1)의 원위측의 다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11 실시 형태의 스텐트(1F)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s9-s9선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1 스텐트 본체(10)의 스트럿(11)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31)을 성기게 감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제1 스텐트 본체(10)의 스트럿(11)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31)을 밀(密)하게 감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스텐트(1)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31)을 제1 형태로 감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스텐트(1)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31)을 제2 형태로 감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0은,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1a는, 제13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610)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1b는, 제13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620)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1c는,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2a는, 제1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2b는, 제14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2c는,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3a는, 제1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3b는, 제15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3c는,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4a는, 제16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4b는, 제16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4c는, 제16 실시 형태의 스텐트(1K)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한 도면은, 모두 모식도이며, 이해하기 쉬움 등을 고려하여, 각부의 형상, 축척,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로부터 변경 또는 과장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을 적절히 생략한다.
본 명세서 등에서, 형상, 기하학적 조건, 이들의 정도를 특정하는 용어, 예를 들면, 「직교」, 「방향」 등의 용어에 대해서는, 그 용어의 엄밀한 의미에 더하여, 거의 직교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는 정도의 범위, 대체로 그 방향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등에서는, 축선 방향(중심축 방향) LD에서, 시술자로부터 가까운 근위측을 LD1측, 시술자로부터 멀어진 원위측을 LD2측으로 하고, 축선 방향 LD와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 RD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는, 셀이 깔려지는 방향을 둘레 방향(둘레 방향 OD)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둘레 방향에는, 지름 방향 RD의 외에, 지름 방향 RD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이 포함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텐트(1)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10)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b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20)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c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4a는, 단체의 제1 스텐트 본체(10)의 외경 D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단체의 제2 스텐트 본체(20)의 외경 D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제2 스텐트 본체(20)를 내삽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s1-s1선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를 구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제1 스텐트 본체(10)의 스트럿을 흑색으로 나타내고, 제2 스텐트 본체(20)의 스트럿을 백색으로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셀」이란, 메쉬 패턴을 형성하는 와이어 모양의 재료로 둘러싸인 부분을 말한다. 「셀」에는, 스텐트 본체에서 형상이나 크기가 동일한 형태의 외에,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형태도 포함된다. 「스트럿」이란, 상기 와이어 모양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부분을 말한다. 본 명세서 등에서는, 셀의 개구를 「공공 부분」, 인접하는 셀의 스트럿끼리가 접속 또는 겹쳐진 부분을 「교차 부분」이라고도 말한다. 교차 부분 중, 스트럿끼리가 교차하는 점 부분을 「교점 부분」이라고도 말한다. 교차 부분은, 어느 정도의 범위(면적)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교차 부분에, 복수의 교점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예를 들면, 카테터(미도시) 내에 수납(삽입)되고, 혈관 내강에서 카테터로부터 외부로 압출되어 전개하는 것에 의해, 협착 또는 폐색된 혈관을 확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는, 확경한 상태에서, 대략 원통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텐트(1)는, 축경한 상태에서,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이 된다. 또한, 스텐트(1)는, 근위측 LD1의 단부에 푸셔 와이어(2)가 접속되고, 원위측 LD2의 단부에 원위단 샤프트(3)가 접속되어 있다.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와의 접속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접, UV 접착, 은 납땜의 침윤 등을 들 수 있지만, 일반적인 의료 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접속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와의 접속 형태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푸셔 와이어(2)는, 스텐트(1)를 이동시킬 때에,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재이다. 시술자는, 푸셔 와이어(2)의 근위측 LD1에 연결된 조작부(미도시)를 통하여 푸셔 와이어(2)를 압입(押入)하거나 인입(引入)하는 것에 의해, 카테터 내 또는 혈관 내에서, 스텐트(1)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거나 할 수 있다. 시술자는, 푸셔 와이어(2)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거나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1)를 병변 부위에 일시적으로 유치하거나 회수하거나 할 수 있다. 원위단 샤프트(3)는, X선 투과의 화상에서, 스텐트(1)의 원위측 X2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표적이 되는 부재이며, 예를 들면, 그 전체 또는 그 일부가 조영성이 높은 소재에 의해 형성된다. 조영성이 높은 소재란, X선 등의 방사선이 불투과 또는 방사선의 투과율이 낮은 소재를 말한다. 또한, 원위단 샤프트(3)는, 예를 들면, 푸셔 와이어(2)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0)는, 스텐트(1)의 외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제2 스텐트 본체(20)는, 제1 스텐트 본체(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제2 스텐트 본체(20)가 내삽된 2층 구조의 스텐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제2 스텐트 본체(20)가 내삽된 상태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는, 지름 방향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상세하게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는, 푸셔 와이어(2)를 매개로 하여, 또는, 원위단 샤프트(3)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있지만, 푸셔 와이어(2)와 원위단 샤프트(3)와의 사이에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를, 각각 동일층 상에서 독립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보다도 외경이 큰 제2 스텐트 본체(20)를, 축경한 상태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에 내삽하는 것에 의해 제작된다. 이것에 의해, 스텐트(1)에서, 내삽된 제2 스텐트 본체(20)는, 제1 스텐트 본체(10)를 지름 방향 RD의 외측으로 항상 가압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가 각각 동일층 상에서 독립하여 변형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를 보다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의 근위측 LD1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 및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는, 푸셔 와이어(2)의 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축경되고, 푸셔 와이어(2)와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텐트(1)의 원위측 LD2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 및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는, 원위단 샤프트(3)의 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 서서히 축경되고, 원위단 샤프트(3)와 접속되어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11)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외(外)셀(제1 셀)(1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1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외셀(1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스텐트 본체(10)는,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11)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외셀(1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외셀(12)에는, 공공 부분(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외셀(12)끼리는, 교점 부분(1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스텐트 본체(20)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21)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내(內)셀(제2 셀)(2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또한, 제2 스텐트 본체(2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내셀(2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스텐트 본체(20)는,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21)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내셀(2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내셀(22)에는, 공공 부분(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동안 셀(22)끼리는, 교점 부분(24)에서 접속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를 구성하는 외셀(12)과, 제2 스텐트 본체(20)를 구성하는 내셀(22)은, 일 예로서, 동일한 크기, 형상, 배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3a에 나타내는 제1 스텐트 본체(10)의 메쉬 패턴과, 도 3b에 나타내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메쉬 패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이 된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10)의 메쉬 패턴과, 제2 스텐트 본체(20)의 메쉬 패턴은, 차이가 있어도 된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는, 외셀(12)(제1 스텐트 본체(10))의 공공 부분(13)에, 내셀(22)(제2 스텐트 본체(20))의 교점 부분(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12)의 공공 부분(13)에 내셀(22)의 교점 부분(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12)의 공공 부분(13)에 1개의 내셀(22)의 교점 부분(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게 되기 때문에, 스텐트(1)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가 겹쳐진 부분의 표면의 단위 면적 당에 있어서 비공공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5~50%이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 단체(單體)의 제1 스텐트 본체(10)의 외경 D1과, 단체의 제2 스텐트 본체(20)의 외경 D2와의 관계는, D1<D2가 되도록 설정된다. 그 때문에,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순서를 따라, 제1 스텐트 본체(10)보다도 외경이 큰 제2 스텐트 본체(20)를 축경하여 제2 스텐트 본체(20A)로 하고, 이것을 제1 스텐트 본체(10)에 내삽하면, 제2 스텐트 본체(20)의 자기의 확장력에 의해, 제1 스텐트 본체(10)의 내측에 제2 스텐트 본체(20)가 밀착한 2층 구조의 스텐트(1)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스텐트 본체에서, 둘레 방향으로 깔려진 환 모양의 셀 열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작된 스텐트(1)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 및 제2 스텐트 본체(2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2 스텐트 본체(20)의 자기의 확장력에 의해, 지름 방향 RD에서 서로 틈새 없이 밀착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스텐트(1)의 축선 방향 LD(도 1 참조)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어긋나 버리는 결함이 일어나기 어렵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축경한 상태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에 내삽된 제2 스텐트 본체(20)는, 그 자체가 자기 확장체(탄성체)가 된다. 그 때문에, 제2 스텐트 본체(20)는, 제1 스텐트 본체(10)를, 지름 방향 RD의 외측을 향하여 항상 가압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가 지름 방향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를 보다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가 지름 방향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가, 각각 동일층 상에서 독립하여 변형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2층 구조가 되는 스텐트(1)는, 외측의 제1 스텐트 본체(10)의 확장력과 내측의 제2 스텐트 본체(20)의 확장력이 가산된 확장력을 가진다. 그 때문에, 동일 표면적으로서도, 1층 구조의 스텐트보다도 확장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스텐트(1)(제1 스텐트 본체(10), 제2 스텐트 본체(2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재료 자체의 강성이 높고, 생체 적합성이 높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티타늄, 니켈, 스테인리스 강, 백금, 금, 은, 구리, 철, 크롬, 코발트, 알루미늄, 몰리브덴, 망간, 탄탈, 텅스텐, 니오븀, 마그네슘, 칼슘 또는 이것들을 포함하는 합금을 들 수 있다. 스텐트(1)는, 특히 니켈 티타늄(Ni-Ti) 합금과 같은 초탄성 특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텐트 본체(10) 및 제2 스텐트 본체(20)의 메쉬 패턴은, 예를 들면, 상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튜브를 레이저 가공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1)의 재료로서 PE, PP 등의 폴리 올레핀, 폴리 아미드, 폴리 염화 비닐,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 에테르, 폴리 메틸 메타 크릴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 락트산(PLA), 폴리 히드록시 부틸레이트(PHB), 폴리 글리콜산(PGA), 폴리 ε 카프로 락톤 등의 생분해성 수지(생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티타늄, 니켈, 스테인리스 강, 백금, 금, 은, 구리, 마그네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이 바람직하다. 합금으로서는, Ni-Ti 합금, Cu-Mn 합금, Cu-Cd 합금, Co-Cr 합금, Cu-Al-Mn 합금, Au-Cd-Ag 합금, Ti-Al-V 합금, 마그네슘과 Zr, Y, Ti, Ta, Nd, Nb, Zn, Ca, Al, Li, Mn 등과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스텐트(1)의 재료로서는, 상기 이외에도, 비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1)는, 생체 적합성을 가지는 것이면, 어떠한 재료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스텐트(1)는, 약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스텐트(1)가 약제를 포함한다는 것은, 약제가 용출할 수 있도록, 스텐트(1)가 약제를 방출 가능하게 담지(擔持)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약제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생리 활성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내막 비후를 억제하는 약제, 항암제, 면역 억제제, 항생 물질, 항류머티스제, 항혈전약, HMG-CoA 환원 효소 저해제, ACE 저해제, 칼슘 길항제, 항고지혈증제, 항염증제, 인테그린 저해약, 항 알레르기제, 항산화제, GPIIbIIIa 길항약, 레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및 카로티노이드, 지질 개선약, DNA 합성 저해제,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 항혈소판약, 혈관 평활근 증식 억제약, 항염증약, 인터페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약제의 복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0) 및 제2 스텐트 본체(20)를, 예를 들면, 초탄성 합금 튜브로 제작하는 경우, 지름이 2~3mm 정도의 튜브를 레이저 가공하여 메쉬 패턴을 형성하고, 이 후, 지름 방향으로 늘리는 가공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각각 원하는 지름까지 확경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제2 스텐트 본체(20)를 내삽하는 것에 의해, 2층 구조의 스텐트(1)를 제작할 수 있다. 이 2층 구조의 스텐트(1)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축경되고, 카테터(미도시)의 내강에 수납된다. 카테터에 수납된 스텐트(1)를 외부로 압출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 회복된다. 스텐트(1)를, 초탄성 합금이나 형상 기억 합금과 같은 탄성 재료 등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형상 회복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텐트(1)의 제작은, 레이저 가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절삭 가공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로서, 제1 스텐트 본체(10)의 외셀(12)의 공공 부분(13)에, 제2 스텐트 본체(20)의 내셀(22)의 교점 부분(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도 3c참조).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게 되기 때문에, 스텐트(1)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에 의하면, 협착된 혈관을 보다 균일하게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제2 스텐트 본체(20)가 내삽된 상태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가 지름 방향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는, 각각 동일층 상에서 독립하여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서로의 변형을 방해하는 간섭 상태가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스텐트 전체로서의 유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표면적을 크게 하여도, 휨 강성이 너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혈관 구조에의 형상 추종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는, 각각 동일층 상에서 독립하여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텐트(1)를 축경한 경우에, 각층의 스트럿을 서로 간섭시키지 않고 축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축경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1층 구조의 메쉬 패턴으로 표면적을 크게 한 스텐트와 비교하여, 지름이 좁은 카테터 내에도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표면적이 크고 또한 혈관 구조에의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이 우수하다.
또한, 와이어 모양의 재료를 편입(編入, 짜넣음)하여 스텐트를 2층 구조로 했을 경우, 와이어 모양의 재료가 층 사이에도 둘러쳐지기 때문에, 각각의 편입층을 동일층 상에서 독립하여 변형시킬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편입에 의해 2층 구조로 한 스텐트로 표면적을 크게 하였다 하여도,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와 같은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을 얻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를 굴곡한 혈관 내에서 일시적으로 유치했을 경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스텐트(1)를 굴곡시켰을 경우의 내부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스텐트(1)를, 굴곡된 혈관 내에서 일시적으로 유치한 경우의 내부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스텐트(1)의 내측에 그려진 화살표 A1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자기 확장력(압력)의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에서, 제2 스텐트 본체(20)는, 자기 확장력에 의해, 제1 스텐트 본체(10)를 외측을 향하여 항상 가압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굴곡의 반경이 작은 혈관 내에서의, 스텐트(1)에, 이른바 「킹크」라고 불리는 현상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킹크란, 스텐트의 단면이 무너져 대략 타원형이 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굴곡된 혈관 내에서는, 도 7에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를 좌굴시키려고 하는 힘이 가해진다. 이 힘은, 특히, 굴곡의 내측에서 커지게 되지만, 이 화살표 A2의 힘에 대하여,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자기 확장력이 대향하도록 작용한다. 그 때문에, 굴곡된 혈관 내에서, 스텐트(1)의 굴곡의 반경이 작아져도, 스텐트(1)를 접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를 카테터 내에 수납하고, 혈관 내강의 병변 부위에서 전개하는 것에 의해, 혈관 내강이 확장되기 때문에, 병변 부위의 개통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텐트(1)를 장기간 유치하지 않고, 소정 기간의 경과 후에 회수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의 유치 후에 혈관 내에서 재협착이나 재폐색이 발생하거나, 혈전증 등의 합병증이 되거나 하는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형상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혈관 내강을 벌룬으로 확장했을 때와 같이, 혈관이 직선 모양이 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혈관의 손상이나 주변 혈관의 천통지 등, 단열이나 경색에 의한 출혈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혈관 내강에 생긴 협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식도, 대장 등의 소화기계의 장기에 생긴 협착에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체내에서 관강 구조를 가지는 생체 조직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연축(攣縮)에 의해 뇌혈관이 협소화하는 뇌혈관 연축의 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다. 뇌혈관 연축의 치료법의 하나로서, 벌룬에 의해 혈관을 확장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벌룬에 의한 치료에서는, 혈관 폐색이 발생하거나, 혈관의 손상 등이 일어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상 추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혈관 내강을 벌룬으로 확장했을 때와 같이, 혈관이 직선 모양이 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뇌혈관 연축의 치료에 이용했을 경우에서도, 혈관의 손상이나 주변 혈관의 천통지 등, 단열이나 경색에 의한 출혈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한,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의 스텐트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트(1A)의 전체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말미(아래 2 자리수)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1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b는, 제2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1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8c는,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 둘레 방향 OD는, 지름 방향 RD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110)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외셀(제1 셀)(112)이, 둘레 방향 OD로 깔려져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10)에서, 둘레 방향 OD로 깔려진 복수의 외셀(11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스텐트 본체(110)는, 복수의 외셀(112)이 둘레 방향 O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외셀(112)은, 장변측에 배치된 2개의 스트럿(111)과, 단변측에 배치된 2개의 스트럿(111)을 구비하고 있다. 외셀(112)은, 평면 모양으로 펼친 상태에서 대략 평행 사변형이 되도록, 장변측의 스트럿(111)과 단변측의 스트럿(111)이 서로 비스듬하게 연결되어 있다. 외셀(112)에는, 공공 부분(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외셀(112)끼리는, 교점 부분(11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120)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내셀(제2 셀)(122)이, 둘레 방향 OD로 깔려져 있다. 제2 스텐트 본체(120)에서, 둘레 방향 OD로 깔려진 복수의 내셀(12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스텐트 본체(120)는, 복수의 내셀(122)이 둘레 방향 O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내셀(122)은, 장변측에 배치된 2개의 스트럿(121)과, 단변측에 배치된 2개의 스트럿(121)을 구비하고 있다. 내셀(122)은, 평면 모양으로 펼친 상태에서 대략 평행 사변형이 되도록, 장변측의 스트럿(121)과 단변측의 스트럿(121)이 서로 비스듬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내셀(122)에는, 공공 부분(1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내셀(122)끼리는, 교점 부분(12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에서, 제1 스텐트 본체(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외셀(112)과, 제2 스텐트 본체(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내셀(122)은, 일 예로서 동일한 크기, 형상, 배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 도 8a에 나타내는 제1 스텐트 본체(110)의 메쉬 패턴과, 도 8b에 나타내는 제2 스텐트 본체(120)의 메쉬 패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이 된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110)의 메쉬 패턴과, 제2 스텐트 본체(120)의 메쉬 패턴은, 차이가 있어도 된다.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에서, 제1 스텐트 본체(110)와 제2 스텐트 본체(120)는, 외셀(112)(제1 스텐트 본체(110))의 공공 부분(113)에, 내셀(122)(제2 스텐트 본체(120))의 교점 부분(1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112)의 공공 부분(113)에 내셀(122)의 교점 부분(1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112)의 공공 부분(113)에 1개의 내셀(122)의 교점 부분(1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을 도 8a 및 도 8b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서도,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A)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트(1B)의 전체의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말미(아래 2 자리수)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9a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2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9b는, 제3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2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9c는,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셀끼리가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접속되는 환 방향을, 환 방향 CD1, CD2로 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210)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외셀(제1 셀)(21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제1 스텐트 본체(21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외셀(21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스텐트 본체(210)는, 복수의 외셀(21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외셀(212)은, 환 방향 CD1에서, 1세트의 스트럿(제1 스트럿)(211)(이하, 「211a-211b」라고도 함)과, 이 1세트의 스트럿(211)과 간격(공공 부분(213))을 두고 배치되는 스트럿(제1 스트럿)(2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셀(212)은, 환 방향 CD2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공공 부분(213))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211)을 구비하고 있다. 1세트의 스트럿(211a-211b)의 간격 L1과 공공 부분(213)의 간격 L2와의 비율은, 예를 들면, 1:3~1:10 정도이다. 외셀(212)에서, 1세트의 스트럿(211)에 대하여 환 방향 CD1로 떨어져 배치되는 스트럿(211)은, 환 방향 CD1로 인접하는 다른 외셀(212)에서, 1세트의 스트럿(211) 중 일방의 스트럿(211a)이 된다.
외셀(212)에는, 공공 부분(2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 방향 CD1을 따라서 배치되는 각 외셀(212)에서, 1세트의 스트럿(211a-211b)과, 환 방향 CD1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럿(211)은, 교차 부분(21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220)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내셀(제2 셀)(22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제2 스텐트 본체(22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내셀(22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스텐트 본체(220)는, 복수의 내셀(22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내셀(222)은, 환 방향 CD1에서, 1세트의 스트럿(제2 스트럿)(221)(이하, 「221a-221b」라고도 함)과, 이 1세트의 스트럿(221)과 간격(공공 부분(223))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스트럿(제2 스트럿)(2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셀(222)은, 환 방향 CD2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공공 부분(213))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221)을 구비하고 있다. 1세트의 스트럿(221a-221b)의 간격 L3과, 공공 부분(223a)의 간격 L4와의 비율은, 예를 들면, 1:3~1:10 정도이다. 내셀(222)에서, 1세트의 스트럿(221)에 대하여 환 방향 CD1로 떨어져 배치되는 스트럿(221)은, 환 방향 CD1로 인접하는 다른 내셀(222)에서, 1세트의 스트럿(221) 중 일방의 스트럿(221a)이 된다.
내셀(222)에는, 공공 부분(2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 방향 CD1을 따라 배치되는 각 내셀(222)에서, 1세트의 스트럿(221a-221b)과, 환 방향 CD1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럿(221)은, 교차 부분(22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에서, 제1 스텐트 본체(2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외셀(212)과, 제2 스텐트 본체(2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내셀(222)은, 일 예로서 동일한 크기, 형상, 배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3 실시 형태에서, 도 9a에 나타내는 제1 스텐트 본체(210)의 메쉬 패턴과 도 9b에 나타내는 제2 스텐트 본체(220)의 메쉬 패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이 된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210)의 메쉬 패턴과 제2 스텐트 본체(220)의 메쉬 패턴은, 차이가 있어도 된다.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B)에서, 제1 스텐트 본체(210)와 제2 스텐트 본체(220)는, 외셀(212)(제1 스텐트 본체(210))의 공공 부분(213)에, 내셀(222)(제2 스텐트 본체(220))의 교차 부분(2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212)의 공공 부분(213)에 내셀(222)의 교차 부분(2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212)의 공공 부분(213)에 1개의 내셀(222)의 교차 부분(2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을 도 9a 및 도 9b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서도,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B)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의 다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를 혈관 내에서 확장시킨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혈관 내에서 확장시킨 스텐트(1A)를, 예를 들면, 도 8c의 s2-s2선을 따라 비스듬하게 절단한 경우의 가상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b는,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를 혈관 내에서 확장시킨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혈관 내에서 확장시킨 스텐트(1B)를, 예를 들면, 도 9c의 s3-s3선을 따라 비스듬하게 절단한 경우의 가상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스텐트(1A)를 혈관(BV)의 내부에서 확장시키면, 제1 스텐트 본체(110)의 외셀(112)을 구성하는 스트럿(111)과, 제2 스텐트 본체(120)의 내셀(122)을 구성하는 스트럿(121)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스텐트(1A)의 개구 단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이 많고 또한 단차도 큰 형상이 된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의 설명에서, 「둘레 방향」이란, 스텐트를 축선 방향(중심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둘레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를 혈관(BV)의 내부에서 확장시키면, 제1 스텐트 본체(210)의 외셀(212)을 구성하는 1세트의 스트럿(211)(211a-211b: 도 9a 참조)과 제2 스텐트 본체(220)의 내셀(222)을 구성하는 1세트의 스트럿(221)(221a-221b: 도 9b 참조)이 둘레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스텐트(1B)의 개구 단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이 적고 또한 단차도 완만한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는, 개구 단면에 요철이 적기 때문에, 보다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의 스텐트(1B)에 의하면, 협착된 혈관(BV)의 내벽을 보다 균일하게 확장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3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그 때문에, 제4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말미(아래 2 자리수)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셀끼리가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접속되는 환 방향을, 환 방향 CD1, CD2로 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2b는, 제4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2c는,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는, 제1 스텐트 본체(310)와,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텐트 본체(310)는, 스텐트(1C)의 외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제2 스텐트 본체(320)는, 제1 스텐트 본체(3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스텐트(1C)는, 제1 스텐트 본체(310)에 제2 스텐트 본체(320)가 내삽된 이중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푸셔 와이어(2) 및 원위단 샤프트(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스텐트 본체(310)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외셀(제1 셀)(31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제1 스텐트 본체(31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외셀(31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스텐트 본체(310)는, 복수의 외셀(31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외셀(312)은, 환 방향 CD1에서, 1세트의 스트럿(제1 스트럿)(311)(이하, 「311a-311b」라고도 함)과 이 1세트의 스트럿(311)과 간격(공공 부분(313))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스트럿(제1 스트럿)(3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셀(312)은, 환 방향 CD2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공공 부분(313))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311)을 구비하고 있다. 외셀(312)에서, 1세트의 스트럿(311)에 대하여 환 방향 CD1로 떨어져 배치되는 스트럿(311)은, 환 방향 CD1로 인접하는 다른 외셀(312)에서, 1세트의 스트럿(311) 중 일방의 스트럿(311a)이 된다.
외셀(312)에는, 공공 부분(3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 방향 CD1을 따라 배치되는 각 외셀(312)에서, 1세트의 스트럿(311a-311b)과, 환 방향 CD1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럿(311)은, 대략 S자형의 제1 교차 부분(31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교차 부분(314)은, 확경한 스텐트(1C)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킨 경우에, 지름 방향 RD로 늘어나도록 변형한다. 그 때문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31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310)에서, 각 제1 교차 부분(314)은, 지름 방향 RD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텐트 본체(320)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내셀(제2 셀)(32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제2 스텐트 본체(32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내셀(32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스텐트 본체(320)는, 복수의 내셀(32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내셀(322)은, 환 방향 CD1에서, 1세트의 스트럿(제2 스트럿)(321)(이하, 「321a-321b」라고도 함)과, 이 1세트의 스트럿(321)과 간격(공공 부분(323))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스트럿(제2 스트럿)(3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셀(322)은, 환 방향 CD2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공공 부분(323))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321)을 구비하고 있다. 내셀(322)에서, 1세트의 스트럿(321)에 대하여 환 방향 CD1로 떨어져 배치되는 스트럿(321)은, 환 방향 CD1로 인접하는 다른 내셀(322)에서, 1세트의 스트럿(321) 중 일방의 스트럿(321a)이 된다.
내셀(322)에는, 공공 부분(3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 방향 CD1을 따라 배치되는 각 내셀(322)에서, 1세트의 스트럿(321a-321b)과, 환 방향 CD1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럿(321)은, 대략 S자형의 제2 교차 부분(32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교차 부분(324)은, 확경한 스텐트(1C)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로 늘어나도록 변형하기 때문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내셀(3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스텐트 본체(320)에서, 각 제2 교차 부분(324)은, 지름 방향 RD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외셀(312)과,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내셀(322)은, 일 예로서 동일한 크기, 형상, 배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4 실시 형태에서, 도 12a에 나타내는 제1 스텐트 본체(310)의 메쉬 패턴과, 도 12b에 나타내는 제2 스텐트 본체(320)의 메쉬 패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이 된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310)의 메쉬 패턴과, 제2 스텐트 본체(320)의 메쉬 패턴은, 차이가 있어도 된다.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C)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와 제2 스텐트 본체(320)는, 외셀(312)(제1 스텐트 본체(310))의 공공 부분(313)에, 내셀(322)(제2 스텐트 본체(320))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312)의 공공 부분(313)에 내셀(322)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312)의 공공 부분(313)에 1개의 내셀(322)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을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서도,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C)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의 각 외셀(312)은, 환 방향 CD1에서, 대략 S자형의 제1 교차 부분(314)에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스텐트 본체(320)의 각 내셀(322)은, 환 방향 CD2에서, 대략 S자형의 제2 교차 부분(324)에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텐트 본체(310)의 제1 교차 부분(314)과, 제2 스텐트 본체(320)의 제2 교차 부분(324)은,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 RD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확경한 스텐트(1C)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312) 및 내셀(3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텐트(1C)의 형상 추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3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그 때문에, 제5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말미(아래 2 자리수)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셀끼리가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접속되는 환 방향을, 환 방향 CD1, CD2로 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4a는, 제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4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4b는, 제5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4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4c는,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는, 제1 스텐트 본체(410)와, 제2 스텐트 본체(4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텐트 본체(410)는, 스텐트(1D)의 외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제2 스텐트 본체(420)는, 제1 스텐트 본체(4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스텐트(1D)는, 제1 스텐트 본체(410)에 제2 스텐트 본체(420)가 내삽된 이중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3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푸셔 와이어(2) 및 원위단 샤프트(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410)는,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외셀(제1 셀)(41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제1 스텐트 본체(41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외셀(41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스텐트 본체(410)는, 복수의 외셀(41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제5 실시 형태에서, 제1 스텐트 본체(410)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410)에서, 스트럿(411, 411a, 411b), 외셀(412), 공공 부분(413), 제1 교차 부분(414)은, 제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의 스트럿(311, 311a, 311b), 외셀(312), 공공 부분(313), 제1 교차 부분(314)에 상당한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410)의 각 외셀(312)은, 환 방향 CD1에서, 제1 교차 부분(41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420)는,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내셀(제2 셀)(42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제2 스텐트 본체(42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내셀(42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스텐트 본체(420)는, 복수의 내셀(42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내셀(422)은, 환 방향 CD2에서, 1세트의 스트럿(제2 스트럿)(421)(이하, 「421a-421b」라고도 함)과, 이 1세트의 스트럿(421)과 간격(공공 부분(423))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스트럿(제2 스트럿)(4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셀(422)은, 환 방향 CD2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공공 부분(423))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421)을 구비하고 있다. 내셀(422)에서, 1세트의 스트럿(421)에 대하여 환 방향 CD2로 떨어져 배치되는 스트럿(421)은, 환 방향 CD2로 인접하는 다른 내셀(422)에서, 1세트의 스트럿(421) 중 일방의 스트럿(421a)이 된다.
내셀(422)에는, 공공 부분(4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 방향 CD2을 따라 배치되는 각 내셀(422)에서, 1세트의 스트럿(421a-421b)과, 환 방향 CD1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럿(421)은, 대략 S자형의 제2 교차 부분(42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교차 부분(424)은, 확경한 스텐트(1D)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로 늘어나도록 변형하기 때문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내셀(4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스텐트 본체(420)의 각 내셀(422)은, 환 방향 CD2에서, 제2 교차 부분(424)에서 접속되어 있다.그 때문에,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에서, 제1 스텐트 본체(410)의 각 외셀(412)이 제1 교차 부분(414)(도 14a참조)에서 접속되는 환 방향 CD1과, 제2 스텐트 본체(420)의 각 내셀(422)이 제2 교차 부분(424)에서 접속되는 환 방향 CD2는, 지름 방향 RD에서 선대칭이 된다.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D)에서, 제1 스텐트 본체(410)와 제2 스텐트 본체(420)는, 외셀(412)(제1 스텐트 본체(410))의 공공 부분(413)에, 내셀(422)(제2 스텐트 본체(420))의 제2 교차 부분(4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412)의 공공 부분(413)에 내셀(422)의 제2 교차 부분(4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412)의 공공 부분(413)에 1개의 내셀(422)의 제2 교차 부분(4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또한, 스텐트(1D)에서, 외셀(412)의 제1 교차 부분(414)과 내셀(422)의 제2 교차 부분(424)은, 지름 방향 RD에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각각 교대로 배치된다. 각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을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서도,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D)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스텐트(1D)에서, 제1 스텐트 본체(410)의 각 외셀(412)은, 환 방향 CD1에서, 대략 S자형의 제1 교차 부분(414)에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 스텐트 본체(420)의 각 내셀(422)은, 환 방향 CD2에서, 대략 S자형의 제2 교차 부분(424)에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텐트 본체(410)의 제1 교차 부분(414)과, 제2 스텐트 본체(420)의 제2 교차 부분(424)은,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 RD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확경한 스텐트(1D)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412) 및 내셀(4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텐트(1D)의 형상 추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3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그 때문에, 제6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말미(아래 2 자리수)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셀끼리가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접속되는 환 방향을, 환 방향 CD1, CD2로 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6a는, 제6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5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6b는, 제6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5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16c는,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제6 실시 형태에서, 둘레 방향 OD는, 지름 방향 RD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는, 제1 스텐트 본체(510)와, 제2 스텐트 본체(5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텐트 본체(510)는, 스텐트(1E)의 외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제2 스텐트 본체(520)는, 제1 스텐트 본체(5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는, 제1 스텐트 본체(510)에 제2 스텐트 본체(520)가 내삽된 이중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5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푸셔 와이어(2) 및 원위단 샤프트(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스텐트 본체(510)는,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외셀(제1 셀)(512)이, 둘레 방향 OD로 깔려져 있다. 제1 스텐트 본체(510)에서, 둘레 방향 OD로 깔려진 복수의 외셀(51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스텐트 본체(510)는, 복수의 외셀(512)이 둘레 방향 O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외셀(512)은, 환 방향 CD1에서, 1세트의 스트럿(제1 스트럿)(511)(이하, 「511a-511b」라고도 함)과, 이 1세트의 스트럿(511)과 간격(공공 부분(513))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스트럿(제1 스트럿)(5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셀(512)은, 환 방향 CD2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공공 부분(513))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511)을 구비하고 있다. 외셀(512)에서, 1세트의 스트럿(511)에 대하여 환 방향 CD1로 떨어져 배치되는 스트럿(511)은, 환 방향 CD1로 인접하는 다른 외셀(512)에서, 1세트의 스트럿(511) 중 일방의 스트럿(511a)이 된다.
환 방향 CD1로 배치되는 1세트의 스트럿(511a-511b)과, 1개의 스트럿(511)은, 외셀(512)의 장변측을 구성한다. 또한, 환 방향 CD2로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511)은, 외셀(512)의 단변측을 구성한다. 외셀(512)은, 평면 모양으로 펼친 상태로 대략 평행 사변형이 되도록, 장변측의 스트럿(511a-511b 및 511)과 단변측의 스트럿(511)이 서로 비스듬하게 연결되어 있다.
외셀(512)에는, 공공 부분(5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 방향 CD1을 따라 배치되는 각 외셀(512)에서, 1세트의 스트럿(511a-511b)과, 환 방향 CD1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럿(511)은, 대략 S자형의 제1 교차 부분(51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교차 부분(514)은, 확경한 스텐트(1E)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으로 늘어나도록 변형한다. 그 때문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51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510)에서, 각 제1 교차 부분(514)은, 둘레 방향 OD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텐트 본체(520)는,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내셀(제2 셀)(522)이, 둘레 방향 OD로 깔려져 있다. 제2 스텐트 본체(520)에서, 둘레 방향 OD로 깔려진 복수의 내셀(52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스텐트 본체(520)는, 복수의 내셀(522)이 둘레 방향 O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내셀(522)은, 환 방향 CD1에서, 1세트의 스트럿(제2 스트럿)(521)(이하, 「521a-521b」라고도 함)과, 이 1세트의 스트럿(521)과 간격(공공 부분(523))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스트럿(제2 스트럿)(5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셀(522)은, 환 방향 CD2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간격(공공 부분(523))을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521)을 구비하고 있다. 내셀(522)에서, 1세트의 스트럿(521)에 대하여 환 방향 CD1로 떨어져 배치되는 스트럿(521)은, 환 방향 CD1로 인접하는 다른 내셀(522)에서, 1세트의 스트럿(521) 중 일방의 스트럿(521a)이 된다.
환 방향 CD1로 배치되는 1세트의 스트럿(521a-521b)과, 1개의 스트럿(521)은, 내셀(522)의 장변측을 구성한다. 또한, 환 방향 CD2로 배치되는 2개의 스트럿(521)은, 내셀(522)의 단변측을 구성한다. 내셀(522)은, 평면 모양으로 펼친 상태로 대략 평행 사변형이 되도록, 장변측의 스트럿(521a-521b 및 521)과 단변측의 스트럿(521)이 서로 비스듬하게 연결되어 있다.
내셀(522)에는, 공공 부분(5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 방향 CD1을 따라 배치되는 각 내셀(522)에서, 1세트의 스트럿(521a-521b)과, 환 방향 CD1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럿(521)은, 대략 S자형의 제2 교차 부분(52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교차 부분(524)은, 확경한 스텐트(1E)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으로 늘어나도록 변형한다. 그 때문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내셀(5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스텐트 본체(520)에서, 각 제2 교차 부분(524)은, 둘레 방향 OD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E)에서, 제1 스텐트 본체(510)와 제2 스텐트 본체(520)는, 외셀(512)(제1 스텐트 본체(510))의 공공 부분(513)에, 내셀(522)(제2 스텐트 본체(520))의 제2 교차 부분(5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512)의 공공 부분(513)에 내셀(522)의 제2 교차 부분(5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512)의 공공 부분(513)에 1개의 내셀(522)의 제2 교차 부분(5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또한, 스텐트(1E)에서, 외셀(512)의 제1 교차 부분(514)과 내셀(522)의 제2 교차 부분(524)은, 둘레 방향 OD에 평행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각각 교대로 배치된다. 각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을 도 16a 및 도 16b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서도,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E)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스텐트(1E)에서, 제1 스텐트 본체(510)의 각 외셀(512)은, 환 방향 CD1에서, 대략 S자형의 제1 교차 부분(514)에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스텐트 본체(520)의 각 내셀(522)은, 환 방향 CD1에서, 대략 S자형의 제2 교차 부분(524)에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텐트 본체(510)의 제1 교차 부분(514)과, 제2 스텐트 본체(520)의 제2 교차 부분(524)은,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 OD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확경한 스텐트(1E)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둘레 방향 OD로 깔려진 외셀(512) 및 내셀(5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텐트(1E)의 형상 추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17a는,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를 제1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s4-s4선 단면도이다. 또한, 제7 실시 형태 및 후술하는 제8, 제9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접속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스텐트로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도 1 참조)를 예로서 들지만, 다른 실시 형태의 스텐트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도면에서는, 스텐트(1)의 구성을 간략화하고 있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의 근위측 LD1의 단부(101)는, 푸셔 와이어(2)와 접속부(102)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스텐트 본체(20)의 근위측 LD1의 단부(201)는, 푸셔 와이어(2)와 접속부(202)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 형태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는, 푸셔 와이어(2)의 축선 방향 LD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는,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된 위치 및 그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는, 푸셔 와이어(2)의 지름 방향(축선 방향 LD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7b에서는,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를, 둘레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마련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8 실시 형태)
도 18a는,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를 제2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s5-s5선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도 18a의 s6-s6선 단면도이다. 도 18b 및 도 18c에서는, 각 접속부의 위치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면 중의 상하 방향을 제1 지름 방향 RD1, 제1 지름 방향 RD1과 직교하는 도면 중의 좌우 방향을 제2 지름 방향 RD2로 한다. 또한, 제1 지름 방향 RD1 및 제2 지름 방향 RD2의 방향은, 도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의 근위측 LD1의 단부(101)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근위측 LD1의 단부(201)는, 푸셔 와이어(2)의 축선 방향 LD에서 다른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는, 푸셔 와이어(2)의 측면을 따르도록, 원위측 LD2로부터 근위측 LD1까지 연신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보다도 근위측 LD1에서, 접속부(102)에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201)는, 푸셔 와이어(2)의 원위측 LD2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201)는,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보다도 원위측 LD2에서, 접속부(202)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 및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는, 푸셔 와이어(2)의 축선 방향 LD로부터 보아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는, 제1 지름 방향 RD1에서,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8b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는, 푸셔 와이어(2)의 측면에 접하고 있지만, 접속부(102)에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는, 제2 지름 방향 RD2에서,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푸셔 와이어(2)의 축선 방향 LD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201)가 동일한 위치에서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용접 시의 열에 의해 푸셔 와이어(2)에 변형 등이 생기는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푸셔 와이어(2)의 축선 방향 LD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 및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의 위치를 교체하여,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를,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보다도 원위측 LD2에 마련하여도 된다.
(제9 실시 형태)
도 19a는,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를 제3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s7-s7선 단면도이다. 도 19c는, 도 19a의 s8-s8선 단면도이다. 도 19b 및 도 19c에서는, 각 접속부의 위치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8 실시 형태와 같이, 도면 중의 상하 방향을 제1 지름 방향 RD1, 제1 지름 방향 RD1과 직교하는 도면 중의 좌우 방향을 제2 지름 방향 RD2로 한다.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201)는, 푸셔 와이어(2)의 축선 방향 LD에서 다른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201)를 넘도록, 원위측 LD2로부터 근위측 LD1까지 연신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201)보다도 근위측 LD1에서, 접속부(102)에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201)는, 푸셔 와이어(2)의 원위측 LD2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스텐트 본체(20)의 단부(201)는, 제1 스텐트 본체(10)의 단부(101)보다도 원위측 LD2에서, 접속부(202)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 및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는, 푸셔 와이어(2)의 축선 방향 LD로부터 보아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는, 제1 지름 방향 RD1로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와 마찬가지로, 제1 지름 방향 RD1로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푸셔 와이어(2)의 축선 방향 LD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와의 위치를 교체하여,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를,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보다도 원위측 LD2에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도 19b에서,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2)를, 제2 지름 방향 RD2로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하고,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2)를, 제2 지름 방향 RD2로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10 실시 형태)
상술한 제7~제10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스텐트(1)의 근위측의 단부와 푸셔 와이어(2)와의 접속 형태는, 스텐트(1)의 원위측 LD2와 원위단 샤프트(3)와의 접속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0은, 스텐트(1)의 원위측의 단부와 원위단 샤프트(3)를 제1 접속 형태(제7 실시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의 원위측 LD2의 단부(103)는, 원위단 샤프트(3)와 접속부(10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스텐트 본체(20)의 원위측 LD2의 단부(203)는, 원위단 샤프트(3)와 접속부(204)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4)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4)는, 원위단 샤프트(3)의 축선 방향 LD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 스텐트 본체(10)의 접속부(104)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접속부(204)는, 원위단 샤프트(3)의 축선 방향 LD로부터 보아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17b 참조).
도 21은, 스텐트(1)의 원위측의 단부와 원위단 샤프트(3)를 제1 접속 형태(도 20 참조)로 접속한 다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의 내부에, 조영성이 높은 금속선(30)을 내삽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금속선(30)의 원위측 LD2의 단부는, 원위단 샤프트(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금속선(30)의 근위측 LD1의 단부는, 푸셔 와이어(2)(도 1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도 22는, 스텐트(1)의 원위측의 단부와 원위단 샤프트(3)를 제4 접속 형태로 접속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스텐트 본체(20)의 원위측 LD2의 단부(203)는, 원위단 샤프트(3)와 접속부(204)에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1 스텐트 본체(10)의 원위측 LD2의 단부는, 원위단 샤프트(3)와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제4 접속 형태에서, 스텐트(1)의 원위측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원위측 LD2의 단부(203)만이 원위단 샤프트(3)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제4 접속 형태에서, 스텐트(1)의 원위측을, 제1 스텐트 본체(10)의 원위측 LD2의 단부(103)만으로 원위단 샤프트(3)와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23은, 스텐트(1)의 원위측의 다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10)의 원위측 LD2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원위측 LD2를, 각각 개방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2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의 근위측 LD1의 단부와, 제2 스텐트 본체(20)의 근위측 LD1의 단부는, 각각 푸셔 와이어(2)(도 1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제11 실시 형태)
도 24는, 제11 실시 형태의 스텐트(1F)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s9-s9선 단면도이다. 제11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동등의 부재 등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 실시 형태의 스텐트(1F)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와의 사이에 피복막(40)을 구비하고 있다. 피복막(40)은,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스텐트(1F)의 축선 방향 LD를 따라 연재하고 있다. 피복막(40)으로서는, 예를 들면, PTFE, ePTFE 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피복막(40)의 막 두께는, 예를 들면, 0.05~0.2mm 정도이다.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와의 사이에 피복막(40)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스트럿(도 3a~도 3c 참조)의 틈새로부터 플라크, 혈전 등이 누설되어, 원위측의 혈관에 혈관 경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피복막(40)은,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와의 사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스텐트 본체(10)의 외측에 마련하여도 된다.
피복막(40)은, 약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피복막(40)이 약제를 포함한다는 것은, 약제가 용출될 수 있도록, 피복막(40)이 약제를 방출 가능하게 담지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약제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에 약제를 포함시키는 구성에서 예시한 약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복막(40)은, 혈액의 응고 억제 작용을 가지는 항혈전성의 재료로 구성하여도 된다.
(제1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스텐트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을 감는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영성이 높은 소선을 휘감는 스텐트로서,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도 1 참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 형태의 스텐트에 적용하여도 된다.
도 26은, 제1 스텐트 본체(10)의 스트럿(11)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31)(이하, 「소선(31)이라고 함)을 성기게 감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에 나타내는 예에서, 소선(31)은, 제1 스텐트 본체(10)의 모든 스트럿(11)에 감아도 되고, 일부의 스트럿(11)에만 감아도 된다.
도 27은, 제1 스텐트 본체(10)의 스트럿(11)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31)을 밀하게(코일 모양으로) 감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예에서, 소선(31)은, 제1 스텐트 본체(10)의 모든 스트럿(11)에 감아도 되고, 일부의 스트럿(11)에만 감아도 된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예에서, 소선(31)을 제2 스텐트 본체(20)의 스트럿(21)에 마찬가지의 형태로 감아도 된다. 또한, 소선(31)은,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 양방 모두에 감아도 되고, 어느 일방에만 감아도 된다.
도 28은, 스텐트(1)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31)을 제1 형태로 감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형태에서, 소선(31)은, 스텐트(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스텐트 본체(20)에 나선 모양으로 감겨져 있다. 소선(31) 중 일방의 단부(31a)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근위측 LD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소선(31)의 타방의 단부(31b)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원위측 LD2에 접속되어 있다. 소선(31)을 제2 스텐트 본체(20)에 나선 모양으로 감는 것에 의해, X선 투과의 화상에서, 혈관 내에서 확장한 스텐트(1)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선(31)은, 복수 개 감겨져 있어도 된다. 소선(31)을 복수 개 감았을 경우, 혈관 내에서, 확장시킨 스텐트(1)가 부분적으로 열려 있지 않은 곳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선(31)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스트럿(21)(도 3b참조)에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소선(31)은, 제2 스텐트 본체(20)에 한정하지 않고, 스텐트(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접속되어도 괜찮고, 각각 다른 스텐트 본체에 접속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소선(31) 중 일방의 단부가 제2 스텐트 본체(20)의 근위측 LD1에 접속되고, 타방의 단부가 제1 스텐트 본체(10)의 원위측 LD2에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9는, 스텐트(1)에 조영성이 높은 소선(31)을 제2 형태로 감은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형태에서, 소선(31)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양단부를 왕복하도록 나선 모양으로 감겨져 있다. 소선(31) 중 일방의 단부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근위측 LD1에 접속되어 있다. 소선(31)은, 스텐트(1)의 근위측 LD1로부터 원위측 LD2를 향하여 제2 스텐트 본체(20)에 나선 모양으로 감겨져 있다. 소선(31)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원위측 LD2의 단부에서 되접어 꺾여, 스텐트(1)의 원위측 LD2로부터 근위측 LD1를 향하여 제2 스텐트 본체(20)에 나선 모양으로 감겨져 있다. 소선(31)의 타방의 단부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근위측 LD1에 접속되어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제2 형태에서도, 상술한 제1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형태에서도, 소선(31)은, 제2 스텐트 본체(20)의 스트럿(21)에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소선(31)은, 제2 스텐트 본체(20)에 한정하지 않고, 스텐트(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스텐트 본체(10)에 접속되어도 되고, 각각 다른 스텐트 본체에 접속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소선(31) 중 일방의 단부가 제2 스텐트 본체(20)의 근위측 LD1에 접속되고, 타방의 단부가 제1 스텐트 본체(10)의 원위측 LD2에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1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말미(아래 2 자리수)에 동일한 부호를 적절히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30은,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1a는, 제13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610)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1b는, 제13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620)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1c는,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의 일부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는, 제1 스텐트 본체(610)와 제2 스텐트 본체(62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텐트 본체(610)는, 스텐트(1G)의 외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제2 스텐트 본체(620)는, 제1 스텐트 본체(6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이다. 스텐트(1G)는, 제1 스텐트 본체(610)에 제2 스텐트 본체(620)가 내삽된 이중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30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푸셔 와이어(2) 및 원위단 샤프트(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스텐트 본체(610)는,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611)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외셀(제1 셀)(61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제1 스텐트 본체(61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외셀(61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스텐트 본체(610)는, 복수의 외셀(61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외셀(612)에는, 공공 부분(6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름 방향 RD로 인접하는 외셀(612)끼리는, 교차 부분(614)에서 접속되어 있다.
교차 부분(614)은, 인접하는 4개의 외셀(612)의 각 스트럿(611)이 접속되는 부분이다. 교차 부분(614)은, 축선 방향 LD에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스트럿(611)은, 교차 부분(614)의 네 모서리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스트럿(611)은, 교차 부분(614)과 접속되는 부분에 곡선부(615)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교점 부분(14)(외셀(12))과 비교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교차 부분(614)(외셀(612))에서, 스트럿(611)은, 축선 방향 LD로 연장된 형상이 된다. 그 때문에, 확경한 스텐트(1G)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교차 부분(614)에 접속된 각 스트럿(611)을, 각각 독립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61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텐트 본체(610)는,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61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이 우수하다.
제2 스텐트 본체(620)는,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621)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내셀(제2 셀)(622)이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로 깔려져 있다. 제2 스텐트 본체(620)에서,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복수의 내셀(622)은,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스텐트 본체(620)는, 복수의 내셀(622)이 지름 방향 RD로 깔려지고 또한 축선 방향 LD로 연속하는 메쉬 패턴을 가진다. 내셀(622)에는, 공공 부분(6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름 방향 RD로 인접하는 내셀(622)끼리는, 교차 부분(624)에서 접속되어 있다.
교차 부분(624)은, 인접하는 4개의 내셀(622)의 각 스트럿(621)이 접속되는 부분이다. 교차 부분(624)은, 축선 방향 LD로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각 스트럿(621)은, 교차 부분(624)의 네 모서리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스트럿(621)은, 교차 부분(624)와 접속되는 부분에 곡선부(625)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교점 부분(24)(내셀(22))과 비교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교차 부분(624)(내셀(622))에서, 스트럿(621)은, 축선 방향 LD로 연장된 형상이 된다. 그 때문에, 확경한 스텐트(1G)를 대략 U자형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교차 부분(624)에 접속된 각 스트럿(621)을, 지름 방향 RD에 각각 독립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내셀(6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텐트 본체(620)는,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내셀(6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이 우수하다.
도 31a 및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3 실시 형태의 스텐트(1G)에서, 제1 스텐트 본체(610)를 구성하는 외셀(612)과, 제2 스텐트 본체(620)를 구성하는 내셀(622)은, 일 예로서 동일한 크기, 형상, 배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3 실시 형태에서, 도 13a에 나타내는 제1 스텐트 본체(610)의 메쉬 패턴과, 도 31b에 나타내는 제2 스텐트 본체(620)의 메쉬 패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이 된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610)의 메쉬 패턴과 제2 스텐트 본체(620)의 메쉬 패턴은, 차이가 있어도 된다.
도 3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텐트(1G)에서, 제1 스텐트 본체(610)와 제2 스텐트 본체(620)는, 외셀(612)(제1 스텐트 본체(610))의 공공 부분(613)에, 내셀(622)(제2 스텐트 본체(620))의 교차 부분(6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612)의 공공 부분(613)에 내셀(622)의 교차 부분(6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612)의 공공 부분(613)에 1개의 내셀(622)의 교차 부분(6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G)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G)는, 외셀(612)의 교차 부분(614)이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내셀(622)의 교차 부분(624)이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형상 추종성 및 축경성이 우수하다. 또한, 스텐트(1G)에서, 외셀(612) 및 내셀(622)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축경한 스텐트(1G)를 카테터 내에 수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혈관 내에서 확경한 스텐트(1G)를 카테터 내에 재수납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제1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4 실시 형태(도 12a, 도 12b참조)와 상위하다.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트(1H)의 전체의 도시를 생략한다. 제14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셀끼리가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접속되는 환 방향을, 환 방향 CD1, CD2로 하여 설명한다.
도 32a는, 제1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2b는, 제14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2c는,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제1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는, 제1 교차 부분(314)의 배치가 제4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는, 환 방향 CD1에서, 제1 교차 부분(314)이 1개 걸러 배치되어 있는 열 C1과, 제1 교차 부분(314)이 각 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열 C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열 C1과 C2는, 환 방향 CD2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4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14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는, 제2 교차 부분(324)의 배치가 제4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4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는, 환 방향 CD1에서, 제2 교차 부분(324)이 1개 걸러 배치되어 있는 열 C3과, 제2 교차 부분(324)이 각 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열 C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열 C3과 C4는, 환 방향 CD2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4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외셀(312)과,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내셀(322)은, 일 예로서 동일한 크기, 형상, 배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4 실시 형태에서, 도 32a에 나타내는 제1 스텐트 본체(310)의 메쉬 패턴과, 도 32b에 나타내는 제2 스텐트 본체(320)의 메쉬 패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이 된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310)의 메쉬 패턴과 제2 스텐트 본체(320)의 메쉬 패턴은, 차이가 있어도 된다.
도 3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에서, 열 C5에는, 환 방향 CD1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의 공공 부분(313)에, 제2 스텐트 본체(320)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는 셀과, 제2 교차 부분(324)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 배치되는 셀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 C6에는, 환 방향 CD1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의 공공 부분(313)에, 제2 스텐트 본체(320)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는, 환 방향 CD2에서, 열 C5와 C6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제1 스텐트 본체(310)와 제2 스텐트 본체(320)가 겹쳐져 있다.
제14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을 도 32a 및 도 32b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서도,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H)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4 실시 형태의 스텐트(1H)에서도,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와 마찬가지로, 확경한 스텐트(1H)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312) 및 내셀(322)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텐트(1H)의 형상 추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1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4 실시 형태(도 12a, 도 12b 참조)와 상위하다.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15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트(1J)의 전체의 도시를 생략한다. 제15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15 실시 형태에서는, 셀끼리가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접속되는 환 방향을, 환 방향 CD1, CD2로 하여 설명한다.
도 33a는, 제1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3b는, 제15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3c는,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제1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는, 복수의 외셀(312) 중에, 스트럿(311)의 구성이 다른 외셀(312J)(후술)을 구비하고 있다. 도 3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는, 환 방향 CD1로 배치된 1세트의 스트럿(311a-311b) 중, 스트럿(311b)이 생략된 외셀(312)(이하, 「외셀(312J)」라고도 함)을 구비하고 있다. 외셀(312J)에서, 스트럿(311b)의 일방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교차 부분(314)과 환 방향 CD1로 연장되는 스트럿(311)이 접속되는 부분에는, 볼록부(314p)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14p)는, 원위측 LD2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혈관 내에서 확경한 스텐트(1H)를 카테터 내에 재수납할 때에, 볼록부(314p)와 카테터의 단부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셀(312J)은, 제1 스텐트 본체(310)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5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15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는, 복수의 내셀(322) 중에, 스트럿(321)의 구성이 다른 내셀(322J)(후술)을 구비하고 있다. 도 3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5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는, 환 방향 CD1로 배치된 1세트의 스트럿(321a-321b) 중, 스트럿(321b)이 생략된 내셀(322)(이하, 「내셀(322J)」라고도 함)를 구비하고 있다. 내셀(322J)에서, 스트럿(321b)의 일방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교차 부분(324)과 환 방향 CD1로 연장되는 스트럿(321)이 접속되는 부분에는, 볼록부(324p)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24p)는, 원위측 LD2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혈관 내에서 확경한 스텐트(1H)를 카테터 내에 재수납할 때에, 볼록부(324p)와 카테터의 단부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셀(322J)은,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5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외셀(312)((312J)를 포함함)과,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구성하는 복수의 내셀(322)((322J)를 포함함)은, 일 예로서 동일한 크기, 형상, 배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5 실시 형태에서, 도 33a에 나타내는 제1 스텐트 본체(310)의 메쉬 패턴과, 도 33b에 나타내는 제2 스텐트 본체(320)의 메쉬 패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이 된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310)의 메쉬 패턴과, 제2 스텐트 본체(320)의 메쉬 패턴은, 차이가 있어도 된다.
도 3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와 제2 스텐트 본체(320)는, 외셀(312)(제1 스텐트 본체(310))의 공공 부분(313)에, 내셀(322)(제2 스텐트 본체(320))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312)(312J)의 공공 부분(313)에 내셀(322)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312)(312J)의 공공 부분(313)에 1개의 내셀(322)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제15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을 도 33a 및 도 33b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서도,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J)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에서도,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와 마찬가지로, 확경한 스텐트(1J)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312)(312J) 및 내셀(322)(322J)을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텐트(1J)의 형상 추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의 볼록부(314p)와, 제2 스텐트 본체(320)의 볼록부(324p)는, 모두 원위측 LD2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혈관 내에서 확경한 스텐트(1J)를 카테터 내에 재수납할 때에, 볼록부(314p 및 324p)와 카테터의 단부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5 실시 형태의 스텐트(1J)에 의하면, 혈관 내에서 확경한 스텐트(1J)의 카테터 내에의 재수납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제16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6 실시 형태의 스텐트(1K)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6 실시 형태의 스텐트(1K)는, 제1 스텐트 본체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이 제4 실시 형태(도 12a, 도 12b참조)와 상위하다. 제16 실시 형태의 스텐트(1K)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16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트(1K)의 전체의 도시를 생략한다. 제16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서,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16 실시 형태에서는, 셀끼리가 지름 방향(둘레 방향) R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접속되는 환 방향을, 환 방향 CD1, CD2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셀」이란, 스트럿(311)이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스트럿(311)이 프레임형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형태(예를 들면, 후술의 외셀(312K), 내셀(322K))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34a는, 제16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4b는, 제16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도 34c는, 제16 실시 형태의 스텐트(1K)를 가상적으로 평면 모양으로 펼친 전개도이다.
제16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는, 복수의 외셀(312) 중에, 크기가 다른 외셀(312K)(후술)을 구비하고 있다.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6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는, 환 방향 CD2로 인접하는 2개의 외셀(312)에서, 공통의 스트럿(311)이 생략된 외셀(312)(이하, 「외셀(312K)」라고도 함)을 구비하고 있다. 외셀(312K)의 공공 부분(313K)은, 다른 외셀(312)의 공공 부분(313)의 2배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외셀(312K)은, 제1 스텐트 본체(310)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6 실시 형태의 제1 스텐트 본체(310)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16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는, 복수의 내셀(322) 중에, 크기가 다른 내셀(322K)(후술)을 구비하고 있다. 도 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6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는, 환 방향 CD2로 인접하는 2개의 내셀(322)에서, 공통의 스트럿(321)이 생략된 내셀(322)(이하, 「내셀(322K)」라고도 함)을 구비하고 있다. 내셀(322K)의 공공 부분(323K)은, 다른 내셀(322)의 공공 부분(323)의 2배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내셀(322K)은, 제2 스텐트 본체(320)에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6 실시 형태의 제2 스텐트 본체(320)에서, 그 외의 구성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3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6 실시 형태의 스텐트(1K)에서, 제1 스텐트 본체(310)와 제2 스텐트 본체(320)는, 외셀(312)(제1 스텐트 본체(310))의 공공 부분(313)에, 내셀(322)(제2 스텐트 본체(320))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셀(312)의 공공 부분(313)에 내셀(322)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외셀(312)의 공공 부분(313)에 1개의 내셀(322)의 제2 교차 부분(324)이 배치되도록 겹쳐져 있다. 또한, 제1 스텐트 본체(310)와 제2 스텐트 본체(320)를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1K)는, 외셀(312K)의 공공 부분(313K)에, 내셀(322)의 제2 교차 부분(324)이 2개 배치된 형태가 된다.
제16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스텐트 본체의 셀 형상을 도 34a 및 도 34b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에서도, 각 스텐트 본체의 메쉬 패턴을 상기와 같이 겹쳐지게 하는 것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서 메쉬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스텐트(1K)의 표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6 실시 형태의 스텐트(1K)에서도, 제4 실시 형태의 스텐트(1C)와 마찬가지로, 확경한 스텐트(1K)를 대략 U자형(도 7 참조)으로 굴곡시켰을 경우에, 지름 방향 RD로 깔려진 외셀(312)(312K) 및 내셀(322)(322K)를 보다 유연하게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텐트(1K)의 형상 추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고, 그들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 기재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가장 적합한 효과를 열거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실시 형태에 기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 및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변경을 가한 구성은, 적절히 조합시켜 이용할 수도 있지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는, 제1 스텐트 본체(10)와 제2 스텐트 본체(20)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스텐트 본체(10)의 외측, 및/또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내측에, 또 다른 스텐트 본체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스텐트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스텐트(1)에서, 제1 스텐트 본체(10) 및/또는 제2 스텐트 본체(20)의 표면에, 약제, 탄소계 소재 피막을 코팅하여도 되고, 조영성이 높은 금속이나 폴리머를 코팅하여도 된다.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약제 용해 스텐트(DES)와 동일한 용도에 이용되는 약제를 들 수 있다. 탄소계 소재 피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DLC)과 같은 항혈전성 불활성화 피막을 들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의 스텐트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제7~제9 실시 형태에서, 제1 스텐트 본체의 접속부 및 제2 스텐트 본체의 접속부를, 푸셔 와이어(2)에 대하여, 각각 1개소 형성하여도 되고, 3개소 이상 형성하여도 된다.
제14~제16 실시 형태에서, 스텐트 본체로부터 생략하는 교차 부분이나 스트럿의 위치는,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혈관 내에서 확경한 스텐트를 카테터 내에 재수납할 수 있으면, 스텐트 본체로부터 생략되는 교차 부분이나 스트럿의 위치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1, 1A, 1B, 1C, 1D, 1E, 1F, 1G, 1H, 1J, 1K: 스텐트
2: 푸셔 와이어
3: 원위단 샤프트
10, 110, 210, 310, 410, 510, 610: 제1 스텐트 본체
20, 120, 220, 320, 420, 520, 620: 제2 스텐트 본체
12, 112, 212, 312(312J, 312K), 412, 512, 612: 외셀
22, 122, 222, 322(322J, 322K), 422, 522, 622: 내셀
11, 111, 211(211a, 211b), 311(311a, 311b), 411(411a, 411b), 511(511a, 511b), 611: 스트럿(외셀)
21, 121, 221(221a, 221b), 321(321a, 321b), 421(421a, 421b), 521(521a, 521b), 621: 스트럿(내셀)
13, 113, 213, 313(313K), 413, 513, 613: 공공 부분(외셀)
23, 123, 223, 323(323K), 423, 523, 623: 공공 부분(내셀)
14, 114: 교점 부분(외셀)
24, 124: 교점 부분(내셀)
214, 314, 614: 교차 부분(외셀)
224, 324, 624: 교차 부분(내셀)
314, 414, 514: 제1 교차 부분(외셀)
324, 424, 524: 제2 교차 부분(내셀)
314p, 324p: 볼록부
30: 금속선
31: 조영성이 높은 소선
40: 피복막

Claims (10)

  1. 카테터 내에 삽입되고, 혈관 내에서 상기 카테터로부터 압출되어 혈관을 확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스텐트로서,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 셀이 둘레 방향으로 깔려 있고 또한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 스텐트 본체와,
    프레임형으로 배치된 스트럿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2 셀이 둘레 방향으로 깔려 있고 또한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하여 있고,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에 내삽되는 제2 스텐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에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셀의 공공(空孔) 부분에, 상기 제2 셀의 교차 부분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는, 지름 방향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스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에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텐트 본체는, 상기 제1 스텐트 본체를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는, 스텐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공공 부분에 상기 제2 셀의 교차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 1개의 상기 제1 셀의 공공 부분에 1개의 상기 제2 셀의 교차 부분이 배치되는, 스텐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에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내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가 겹쳐진 부분의 표면의 단위 면적 당에서 비공공(非空孔)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5~50%인, 스텐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셀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환(環) 방향에서, 1 세트의 제1 스트럿과, 상기 1 세트의 제1 스트럿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제1 스트럿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셀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환 방향에서, 1 세트의 제2 스트럿과, 상기 1 세트의 제2 스트럿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1개의 제2 스트럿을 구비하는, 스텐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셀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환 방향에서, 대략 S자형의 제1 교차 부분에서 접속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셀은,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환 방향에서, 대략 S자형의 제2 교차 부분에서 접속되는, 스텐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셀이 상기 제1 교차 부분에서 접속되는 환 방향과, 복수의 상기 제2 셀이 상기 제2 교차 부분에서 접속되는 환 방향은, 지름 방향에서 선 대칭이 되는 스텐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의 근위측의 단부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의 근위측의 단부는, 푸셔 와이어의 축선 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접속되어 있는, 스텐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와의 사이에 피복막을 구비하는, 스텐트.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 본체와 상기 제2 스텐트 본체 중 적어도 일방에는, 조영성(造影性)이 높은 소선이 나선 모양으로 감겨져 있는, 스텐트.
KR1020237016846A 2020-10-20 2021-09-06 스텐트 KR20230091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76275 2020-10-20
JP2020176275 2020-10-20
PCT/JP2021/032691 WO2022085313A1 (ja) 2020-10-20 2021-09-06 ステン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949A true KR20230091949A (ko) 2023-06-23

Family

ID=8129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846A KR20230091949A (ko) 2020-10-20 2021-09-06 스텐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240866A1 (ko)
EP (1) EP4233805A4 (ko)
JP (2) JP7150202B6 (ko)
KR (1) KR20230091949A (ko)
CN (1) CN116348067A (ko)
AU (1) AU2021363179A1 (ko)
CA (1) CA3195480A1 (ko)
MX (1) MX2023004476A (ko)
WO (1) WO202208531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0982B1 (en) 2018-11-13 2019-08-27 Icad Endo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retrievable stent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2865A1 (en) * 2004-09-09 2006-03-09 Banas Christopher E Stents with metallic cov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90192588A1 (en) * 2008-01-29 2009-07-30 Taeoong Medical Co., Ltd Biodegradable double stent
US8876876B2 (en) * 2008-06-06 2014-11-04 Back Bay Medical Inc. Prosthesis and delivery system
WO2013138789A1 (en) * 2012-03-16 2013-09-19 Microvention, Inc. Stent and stent delivery device
US20210228223A1 (en) * 2020-01-28 2021-07-29 Neuravi Limited Dual layer icad device
KR101821746B1 (ko) * 2016-08-24 2018-01-24 주식회사 엠아이텍 약물방출형 생분해성 스텐트
US11241321B2 (en) * 2016-10-04 2022-02-08 Yasuhiro Shobayashi Flexible stent
CN110151368A (zh) * 2019-06-28 2019-08-23 微创神通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血管植入物、输送装置及医疗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0982B1 (en) 2018-11-13 2019-08-27 Icad Endo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retrievable s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63179A1 (en) 2023-06-15
US20230240866A1 (en) 2023-08-03
JP2022174334A (ja) 2022-11-22
EP4233805A1 (en) 2023-08-30
CA3195480A1 (en) 2022-04-28
EP4233805A4 (en) 2024-07-10
WO2022085313A1 (ja) 2022-04-28
CN116348067A (zh) 2023-06-27
JP7150202B6 (ja) 2022-10-31
MX2023004476A (es) 2023-05-03
JP7150202B2 (ja) 2022-10-07
JPWO2022085313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721B2 (en) Highly flexible stent
US8801772B2 (en) Stent to be used in tubular organ in vivo
AU2003270074B2 (en) Stent device with multiple helix construction
EP1302179A2 (en) Flexible stent
KR20170084214A (ko) 스텐트 보철
KR20090054493A (ko) 원통형 스텐트
JP7029578B1 (ja) ステント
KR20230091949A (ko) 스텐트
JP4835113B2 (ja) ステント
JP4815057B2 (ja) ステント
JP5401148B2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RU147405U1 (ru) Коронарный стент
JP2002045432A (ja) ステント
CN112656543B (zh) 迁移能力降低的外周血管支架
JP2017148403A (ja) 消化管ステント
CA2883013C (en) Highly flexible stent
JP2010082012A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JP2008086462A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