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801A - 밀리미터파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 - Google Patents

밀리미터파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801A
KR20230091801A KR1020220174799A KR20220174799A KR20230091801A KR 20230091801 A KR20230091801 A KR 20230091801A KR 1020220174799 A KR1020220174799 A KR 1020220174799A KR 20220174799 A KR20220174799 A KR 20220174799A KR 20230091801 A KR20230091801 A KR 2023009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ues
transmission
resources
neighb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세르 모하마드 모스타파 카말 푸와드
필립 진 사토리
양 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9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UE)과 하나 이상의 이웃 UE 간의 전송을 위해, 빔 정보, 위치 정보, 측정된 신호 강도 및 자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에 의해 식별된 후보 자원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에 의해 선택된 자원 간의 잠재적인 충돌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 중 하나 이상의 간섭 UE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자원을 자원 선택 창에서 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한 자원 선택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밀리미터파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iques for sidelink transmission in millimeter-wave domain}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밀리미터파(mmWave) 영역에서 사이드링크(SL)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뉴 라디오(NR) SL은 향후 10년 동안 크게 확장되어, 커버리지 내 및 커버리지 외 지원 및 상대적으로 낮은 전송 전력을 요구하는 단거리 링크를 가능하게 하는 분산 설계로 인해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의 도입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SL 통신의 잠재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이러한 시스템은 높은 신뢰성으로 높은 데이터 속도 통신을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주파수 범위 2(FR2)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SL 통신을 위한 가용 대역폭의 확장을 포함하여 NR 릴리스 18(Rel-18) SL 설계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이 고려되었다.
사용 가능한 대역폭 및 이에 따라 데이터 속도를 확장 할 때 SL 통신에 대해 FR2를 사용하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주요 단점은 빔포밍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직접적 링크와 달리, V2X(Vehicle to Everything) 시스템과 같은 일부 SL 통신 인스턴스에는 높은 이동성이 수반되고, 이에 따라 송신기와 수신기가 모두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FR2의 방향성 전송으로 인해 시야 방해 가능성이 높고, 이는 전송(Tx) 및 수신(Rx) 사용자 단말(UE) 간에 빔 페어링 기술을 필요하게 만든다. 직접 링크 빔 스위핑 기술은 SL 통신의 다양한 기본 사항으로 인해 SL에 적용할 수 없다. 특히, 동기화 신호 블럭(SSB)을 전송하는 동기화 소스는 반드시 통신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SSB의 사용은 대략적 빔 스위핑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초기 빔 방향을 얻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기술이 당업계에 필요하다.
본 개시는 SL 발견 및 빔 선택이 아직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Tx 및 Rx UE이 SL 통신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으며 FR2에서 통신를 위해 초기 빔 페어링을 수행해야 하는, SL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초기 빔 페어링을 획득하기 위해 빔 스위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게다가, 본 개시는 방향성의 영향을 통합하고 이후에 시스템 자원 활용을 개선하기 위해 SL의 모드 2 자원 선택 메커니즘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은 직접 링크(즉, Uu 링크)에 대한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초기 빔 획득을 개시한다.
NR에서, 빔 관리는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Tx/Rx에 사용될 수 있는 송신 수신 지점(TRP) 세트 및/또는 UE 빔의 세트를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L1/L2 절차로 정의되며, 이는 TRP 또는 UE가 Tx/Rx 빔을 선택하는 빔 결정, TRP 또는 UE가 수신된 빔포밍된 신호의 특성을 측정하는 빔 측정, UE가 빔 측정을 기반으로 빔포밍된 신호의 정보를 보고하는 빔 보고, 및 시간 간격 동안 송신 및/또는 수신된 빔으로 공간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빔 스위핑을 포함한다.
빔 관리는 계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기 획득은 상대적으로 넓은 빔을 식별하는 반면 후속 빔 정제는 더 많은 방향성 및 더 높은 이득 빔을 식별한다. DL 방향에서, UE는 동기화 신호/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SS/PBCH) 블록 및 채널 상태 정보(CSI) 기준 신호(CSI-RS)의 전송을 기반으로 빔 선택을 완료할 수 있다. SS/PBCH 블록의 세트에 적용되는 빔포밍 계수는 초기 획득을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빔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조하여, CSI-RS 자원 세트에 적용되는 빔 형성 계수는 후속 빔 정제를 위해 더 많은 방향성 빔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라디오 자원 제어(RRC) 유휴 모드에서 UE는 랜덤 액세스(RA) 절차 중에 UL 및 DL 빔 쌍을 설정한다. 이 지점에서, UE는 셀 재선택을 위해 SS/PBCH 블록 세트로부터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하고 있다. 게다가, UE는 이미 시스템 정보 블록(SIB) 세트를 획득했고, 따라서 SS/PBCH 블록 세트와 물리적 RA 채널(PRACH) 프리앰블 세트 사이의 연관성을 이미 알고 있다.
SS/PBCH 블록 세트는 슬롯당 최대 2개의 SS/PBCH 블록으로 시간 다중화된다. 기지국은 8개의 빔 세트를 생성하기 위해 각 SS/PBCH 블록에 서로 다른 빔 형성 계수 세트를 적용한다. RRC 연결 모드로의 전환을 시작할 때, UE는 최상의 SS/PBCH 블록을 식별하고 해당 SS/PBCH 블록에 대응하는 경쟁 기반 PRACH 프리앰블을 선택한다. 따라서, UE는 측정된 RSRP를 기반으로 지원되는 경우 기지국에서 최적의 DL 빔을 UE에서 최적의 DL 빔/안테나 패널을 알고 있다. 그후, UE는 UL/DL 빔 대응을 가정하므로 선택된 DL 빔 쌍도 선택된 UL 빔 쌍으로 채택된다. 그런 다음 UE는 적절한 RA 기회를 사용하여 선택된 PRACH 프리앰블 전송을 진행한다. PRACH 서문의 수신 시, 기지국은 UE에 의해 선택된 SS/PBCH 블록을 알게 되고, 따라서 후속 DL 전송 및 UL 수신에 사용될 빔을 알게 된다.
UE가 RRC 연결 모드에 들어가면, 보다 방향성이 있고 더 높은 이득을 갖는 빔을 선택하기 위해 빔 정제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CSI-RS는 빔 정제 절차를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CSI-RS 자원 세트가 각 SS/PBCH 블록과 연관될 수 있다. 기지국은 SS/PBCH 블록당 4개의 방향성 빔을 생성하기 위해 각 CSI-RS 자원에 서로 다른 빔포밍 계수 세트를 적용할 수 있다. 그후, UE는 전송된 CSI-RS를 기반으로 필요한 측정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최상의 빔 인덱스를 보고할 수 있다.
NR 릴리스 16(Rel-16) NR V2X에서 자원 선택 절차인 자원 할당 모드 2에서, 상위 계층은 상위 계층이 물리적 SL 공유 채널(PSSCH)/물리적 SL 제어 채널(PSCCH) 전송을 위한 자원을 선택할 자원의 서브세트를 결정하도록 UE에 요청할 수 있다. 슬롯 n에서, 이 PSSCH/PSCCH 전송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위 계층은 자원이 보고될 자원 풀, L1 우선순위 prioTX, 남은 패킷 지연 예산, 슬롯에서 PSSCH/PSC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서브채널의 수 LsubCH, 및 ms의 단위인 자원 예약 간격 Prsvp_TX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드 2 자원 선택을 도시한다.
단계 101에서, 선택 창이 설정되고, 즉, t2min_SelectionWindow: 내부 매개변수 T2min은 주어진 우선순위 값 prioTX에 대해 상위 계층 매개변수 t2min_SelectionWindow의 해당 값으로 설정된다. Rx,y 전송을 위한 후보 단일 슬롯 자원은 슬롯
Figure pat00001
에서 서브채널 x+j를 갖는 LsubCH 연속적 서브채널 세트로 정의되고 여기서 j=0,...,LsubCH -1이다. UE는 시간 간격 [n+T1,n+T2] 내 해당 자원 풀에 포함된 LsubCH 연속적 서브채널의 세트가 하나의 후보 단일 슬롯 자원에 대응한다고 가정하고, 여기서 T1의 선택은 0 ≤ T1≤ Tproc,1 하에서 UE 구현에 따르며, Tproc,1은 결정되어야 한다(TBD). T2min이 (슬롯의) 남은 패킷 지연 예산보다 적은 경우, T2는 T2min ≤ T2 ≤ (슬롯의) 남은 패킷 예산에 따른 UE 구현을 기반으로 하고; 그렇지 않으면, T2가 나머지 패킷 지연 예산(슬롯)으로 설정된다. 후보 단일 슬롯 자원의 총 수는 Mtotal로 표시된다.
단계 102에서, PSCCH를 디코딩하고 PSRP를 측정하여 감지 창을 설정하고 모든 슬롯을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TS 38.214 하위 조항 8.4.2.1 reservationPeriodAllowed t0_SensingWindow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RSforSensing은 UE가 PSSCH-RSRP 또는 PSCCH-RSRP 측정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내부 매개변수 T0은 t0_SensingWindow ms에 해당하는 슬롯 수로 정의된다. 감지 창은 슬롯 범위 [n-T0,n-Tproc,0)로 정의되고, 여기서 T0은 위에 정의되어 있고 Tproc,0은 TBD이다. UE는 자신의 전송이 발생하는 슬롯을 배제하고 감지 창 내에서 SL 자원 풀에 속할 수 있는 슬롯을 모니터링한다. UE는 이러한 슬롯에서 디코딩된 PSCCH 및 측정된 RSRP를 기반으로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103에서, 임계값 SL-ThresRSRP_pi_pj는 우선순위 값에 따라 설정된다. 이 상위 계층 매개변수는 각 조합(pi, pj)에 대한 RSRP 임계값을 제공하고, 여기서 pi는 수신된 SL 제어 정보(SCI) 형식 0-1의 우선순위 필드 값이고, pj는 UE 선택 자원의 전송의 우선순위이다. 이 절차의 임의의 호출에 대해, pj = prioTX이다. 내부 매개변수 Th(pi)는 prioTX의 임의의 값과 동일한 pj 및 각 우선 순위 값 pi에 대해 상위 계층 매개변수 SL-ThresRSRP_pi_pj로부터의 대응 값으로 설정된다.
자원 예약 간격
Figure pat00002
는, 제공되는 경우, ms의 단위에서 논리적 슬롯의 단위로 변환되고, 그 결과
Figure pat00003
이 된다.
구체적으로,
Figure pat00004
는 SL 자원 풀에 속할 수 있는 슬롯 세트를 나타내며 사전 정의된다.
단계 104에서, 세트 SA는 모든 후보 단일 슬롯 자원 세트로 초기화된다.
단계 105에서, UE가 단계 102에서 슬롯
Figure pat00005
을 모니터링하지 않은 경우, UE는 세트 SA에서 임의의 후보 단일 슬롯 자원 Rx,y를 배제한다. 상위 계층 매개변수 reervationPeriodAllowed 및 슬롯
Figure pat00006
에서 수신된 가상 SCI 형식 0-1에 의해 허용되는 임의의 주기 값에 대해, 자원 예약 주기 필드는 그 주기 값으로 설정되고 이 슬롯 내의 자원 풀의 모든 하위 채널을 표시할 때, VI 단계의 조건 c가 충족된다.
단계 106에서, UE가 슬롯
Figure pat00007
에서 SCI 형식 0-1을 수신하는 경우 UE는 세트 SA에서 임의의 후보 단일 슬롯 자원 Rx,y를 배제하고, 수신된 SCI 형식 0-1의 자원 예약 기간 필드 및 우선순위 필드는 각각, 단계 104에서 설정된 SA에 따라 값 Prsvp_RX 및 prioRX을 나타내고, 수신된 SCI 형식 0-1에 따라 수행된 RSRP 측정은 Th(prioRX)보다 크다. 슬롯
Figure pat00008
에서 수신된 SCI 형식 또는 자원 예약 기간 필드가 수신된 SCI 형식 0-1에 존재한다면, 슬롯(들)
Figure pat00009
에서 수신된 것으로 가정되는 동일한 SCI 형식은 단계 104에 기초하여, q=1, 2, …, Q 및 j=0, 1, … Cresel-1에 대해,
Figure pat00010
와 중첩하는 자원 블럭과 슬롯의 세트를 결정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11
는 논리 슬롯 단위로 변환된 Prsvp_RX이며,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인 경우
Figure pat00014
이고, 여기서 슬롯 n이 세트
Figure pat00015
에 속하는 경우
Figure pat00016
이고, 그렇지 않으면 슬롯
Figure pat00017
은 세트
Figure pat00018
에 속하는 슬롯 n 이후 첫번 째 슬롯이고; 그렇지 않으면 Q=1이다. Tscal은 TBD이다.
단계 107에서, 세트 SA에 남아있는 후보 단일 슬롯 자원의 수가
Figure pat00019
미만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단계 108에서, Th(pi)는 각각의 우선순위 값 Th(pi)에 대해 3데시벨(3dB)만큼 증가되고 절차는 단계 104로 돌아간다. 세트 SA에 남아있는 후보 단일 슬롯 자원의 수가
Figure pat00020
보다 큰 경우, 단계 109에서 UE는 세트 SA의 나머지를 전송을 위해 후보 자원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상위 계층에 보고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현재 정의된 모드 2 자원 선택 절차는 안테나 이득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는 3dBi와 같이 안테나 이득이 최소인 주파수 범위 1(FR1) 통신에서 타당하지만, FR2의 통신은 고도의 방향성 안테나에 의존하므로, 당업계에서는 FR2에 대한 모드 2 자원 선택 절차의 수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게다가, FR2 SL 통신의 UE는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초기 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Uu 링크에서, 초기 빔 스위핑은 서빙되는 UE에 의해 감지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SSB 전송을 기반으로 한다. UE가 SL SSB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SL에서는 이러한 솔루션이 불가능하다. SL SSB(S-SSB)를 수신해도, 종래 기술에서 수신 UE는 송신 UE를 알지 못한다. 이와 같이, FR2를 통한 SL 통신을 위해 SSB에 의존하지 않는 초기 빔 획득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당 업계에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단점을 해결하고 적어도 후술하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측면은 V2X 시스템과 같은 높은 이동성 환경에서 빠르고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초기 빔 페어링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 빔 획득을 위해 S-SSB를 사용할 수 없다고 가정하고 초기 빔 획득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이웃 UE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때 동일한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빔 방향성을 통합함으로써 자원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드 2 자원 선택 NR 릴리스 17(Rel-17) SL 절차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접근 방식은 FR2를 통한 SL 통신을 위해 SSB에 의존하지 않는 초기 빔 획득 기술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전 방법을 개선한다. 게다가, FR1에서 고려되는 방향성 또는 빔 정보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접근 방식은 FR1에 적합한 종래 기술과 달리, 빔 선택에 빔 방향성을 통합하기 때문에 FR2에 적합하다.
일 실시 예에서, 방법은 사용자 단말(UE)과 하나 이상의 이웃 UE 간의 전송을 위해, 빔 정보, 위치 정보, 측정된 신호 강도 및 자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에 의해 식별된 후보 자원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에 의해 선택된 자원 간의 잠재적인 충돌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 중 하나 이상의 간섭 UE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자원을 자원 선택 창에서 배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UE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UE)과 하나 이상의 이웃 UE 간의 전송을 위해, 빔 정보, 위치 정보, 측정된 신호 강도 및 자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에 의해 식별된 후보 자원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에 의해 선택된 자원 간의 잠재적인 충돌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 중 하나 이상의 간섭 UE를 식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자원을 자원 선택 창에서 배제하여 방법을 실행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을 저장한다.
이하 단락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측면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드 2 자원 선택을 도시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FR2에서의 비간섭 송신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Tx UE에 의해 지시되는 빔 폭을 도시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UE에 의해 FR2에서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전송이 비간섭으로 선언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빔 선택을 위한 2 단계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하위 구역으로 분할된 구역의 예를 도시한다; 및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800)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 내용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이 설명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개시된 측면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방법, 절차, 구성 요소 및 회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 예" 또는 "실시 예"에 대한 언급은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곳에서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다른 어구)의 언급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예시, 실례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한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 예는 다른 실시 예에 비해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추가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한 내용에 따라, 단수형 용어는 대응하는 복수형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형 용어는 대응하는 단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하이픈으로 연결된 용어(예를 들어, "2-차원", "미리-결정된", "픽셀-특정" 등)는 때때로 해당하는 하이픈 없는 버전(예를 들어 "2차원", "미리 결정된", "픽셀 특정" 등)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대문자 항목(예를 들어, "Counter Clock", "Row Select", "PIXOUT" 등)은 해당하는 비 대문자 버전(예를 들어, "counter clock", "row select", "pixout" 등)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을 서로 불일치하다고 간주해서 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맥락에 따라, 단수형의 용어는 대응하는 복수 형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형의 용어는 대응하는 단수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논의된 다양한 도면(구성 요소 다이어그램 포함)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비율대로 그련진 것이 아니라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일부 요소의 치수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경우, 도면간에 참조 번호가 반복되어 대응 및/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 상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연산,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연산,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의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다른 요소 또는 층 바로 위에 있거나, 이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거나, 중간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에 있거나", "직접 연결되거나", "직접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중간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동일한 숫자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 1", "제 2" 등은 선행하는 명사의 라벨로 사용되며,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어떤 유형의 순서(예를 들어, 공간적, 시간적, 논리적 등)도 암시하지 않는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품, 구성 요소, 블록, 회로, 유닛 또는 모듈을 지칭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둘 이상의 도면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법은 설명의 단순성과 논의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고; 그러한 구성 요소 또는 유닛의 구조 또는 구조적 세부 사항이 모든 실시 예에 걸쳐 동일하거나 일반적으로 참조되는 부품/모듈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의 일부를 구현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이 주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그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되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듈"은 모듈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코드 및/또는 명령어 세트 또는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구현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단일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어셈블리, 하드 와이어드 회로, 프로그래밍 가능 회로, 상태 기계 회로 및/또는 프로그래밍 가능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저장하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집합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예를 들어, 집적 회로(IC), 시스템 온어칩(SoC), 어셈블리 등과 같은 더 큰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NR SL에서는, 모드 2 자원 선택은 UE가 최소한의 간섭으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접 UE에 의한 향후 자원 예약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 선택은 자원 선택 창 내에서 이웃에 의한 미래의 자원 예약을 식별하기 위해 UE가 먼저 주어진 기간 동안 감지를 수행하는 2단계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그후, 이 창 내의 나머지 자원은 전송 후보로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자원 예약이 전방향인 FR1과 달리, FR2의 전송 방향성은 스펙트럼 활용을 개선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이웃 UE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은 타겟 UE가 서로 다른 방향에 있는 경우 Tx UE 전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FR2의 비간섭 전송(200)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A(201)와 UE C(203)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더라도, 이들 UE는 전송이 충분히 방향성이 있는 한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즉, 전송 빔은 제한된 대역폭을 가지며 서로를 향하지 않는다). UE B(202) 및 UE D(20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로 인해 시스템 자원을 여러 UE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자원을 잘 활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자원 예약이 UE 사이에 간섭을 야기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이웃 UE에 대해 다음 접근법들을 고려하다.
제1 접근법에서, Tx 및 Rx UE의 위치는 전송과 함께 SCI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인접 UE는 기본 안전 메시지와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얻은 UE 위치에 대한 이전 지식에 의존해야 한다.
제2 접근법에서, Tx UE의 위치는 선택된 전송 방향과 함께 SCI(제1 또는 제2 스테이지)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Tx UE는 자신의 위치가 구역 X이고 현재 및 미래의 자원 예약을 위해 90도 각도로 전송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Rx UE는 전송을 위해 도달 각도 또는 타겟 UE 위치를 추정하여 전송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제3 접근법에서, Tx 및 Rx UE 모두의 위치는 SCI(제1 또는 제2) 또는 MAC CE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웃 UE는 현재 및 미래 자원 예약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 방향 세트를 포함하는 테이블은 자원 풀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Tx UE는 전송 각도를 나타내는 인덱스만 표시하면 된다. 자원 재사용 기능은 우선 순위에 따라 자원 풀별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실시 예로부터 다음과 같은 이점이 도출된다. FR2에서 전송의 방향성은 방향성으로 인해 간섭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 UE로 하여금 이웃 UE가 점유한 자원에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 활용도를 향상할 것으로 여겨진다. 감지 UE는 명시적으로(예를 들어, Tx UE에 의해 제공된 명시적 표시에 의해) 또는 암시적으로(예를 들어, Tx 및 Rx UE의 미리 알려진 위치를 사용하거나 도달 각도를 추정함으로써) 전송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전송 방향 표시는 제1 스테이지 또는 제2 스테이지 SCI 또는 MAC CE에서 보낼 수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전송 방향은 자원 풀별로 미리 구성된 테이블의 인덱스로 지시될 수 있다.
충돌 방지를 개선하고 자원 재사용 인스턴스를 늘리기 위해, Tx UE는 또한 자원 재사용이 허용될 때 이웃 UE로의 전송에 사용되는 빔 폭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자원이 이웃 UE에 의해 재사용될 때 간섭이 예상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표시는 제1 또는 제2 스테이지 SCI에서 전송되거나 PSSCH에서 MAC CE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전 구성된 빔 폭은 표시가 제공되지 않을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빔 폭은 우선순위별로 자원 풀별로 구성된다. 사용될 빔은 인덱스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빔 폭이 표시될 때 대략적인 표시를 사용하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Tx UE에 의해 지시되는 빔 폭을 나타낸다.
도 3에서, 1비트 필드는 송신이 준-전방향성 빔(301) 또는 120도 각도 빔(302)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준-전방향성 빔(301)은 메시지가 이웃 UE의 다른 전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든 이웃 UE에 안전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거리 교차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도 3의 실시 예로부터 다음과 같은 이점이 도출된다. UE는 자원 재사용이 활성화된 경우 충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이웃 UE에 자신의 전송에 사용된 빔 폭을 표시할 수 있고, 빔 폭의 표시는 제1 또는 제2 스테이지 SCI에서 또는 PSSCH에서 MAC CE로 전달될 수 있다.
이웃 UE의 위치, 의도된 전송 방향 및 빔 폭이 얻어지면, 전송하려고 하는 이웃 UE는 자원 점유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자원에서 전송하거나 다른 자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자원을 배제할 때, 측정된 RSRP와 의도된 전송 방향을 모두 고려하도록 모드 2 자원 선택을 업데이트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모드 2 자원 선택 메커니즘이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된다. Rx,y 전송을 위한 후보 단일 슬롯 자원은 슬롯
Figure pat00021
에서 서브채널 x+j를 갖는 LsubCH 연속 서브채널 세트로 정의되고, 여기서 j=0,...,LsubCH -1이다. UE는 시간 간격 [n+T1,n+T2] 내 해당 자원 풀에 포함된 LsubCH 연속 서브채널의 임의의 세트가 하나의 후보 단일 슬롯 자원에 대응한다고 가정하고, 여기서 T1의 선택은 0 ≤ T1≤ Tproc,1 하에서 UE 구현에 달려 있다; T2min이 남은 패킷 지연 예산(슬롯)보다 작으면 T2는 T2min ≤ T2 ≤ (슬롯의) 남은 패킷 버짓에 따라 UE 구현에 달려 있고; 그렇지 않으면 T2가 나머지 패킷 지연 예산(슬롯)으로 설정된다. 후보 단일 슬롯 자원의 총 수는 Mtotal로 표시된다. H는 자원 선택을 트리거한 TB가 전송될 타겟 Rx UE의 위치이다. K는 이웃 Tx UE가 전송하고 있는 Rx UE의 위치이다.
감지 창은 슬롯 범위 [n - T0,n-Tproc,0]로 정의되며 여기서 T0은 상기 방식으로 정의된다. UE는 자신의 전송이 발생하는 슬롯을 배제하고 감지 창 내에서 SL 자원 풀에 속하는 슬롯을 모니터링한다. UE는 이러한 슬롯에서 디코딩된 PSCCH 및 측정된 RSRP를 기반으로 다음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내부 매개변수 Th(pi)는 상위 계층 매개변수로부터의 해당 값으로 설정된다.
세트 SA는 모든 후보 단일 슬롯 자원 세트로 초기화된다. UE는 다음 조건이 충족되면 세트 SA에서 모든 후보 단일 슬롯 자원 Rx,y를 배제한다. UE는 도 1과 같이 단계 102에서 슬롯
Figure pat00022
을 모니터링하지 않았다. 상위 계층 매개변수 ReservationPeriodAllowed 및 슬롯
Figure pat00023
에서 수신된 가상 SCI 형식 0-1에 의해 허용되는 임의의 주기 값에 대해, 자원 예약 주기 필드는 이 허용된 주기 값으로 설정되고 이 슬롯에 있는 자원 풀의 모든 하위 채널을 표시할 때, 도 1의 단계 106에서 상술한 조건이 충족된다. 즉, UE가 슬롯
Figure pat00024
에서 SCI 형식 0-1을 수신하고, 자원 예약 기간 필드(존재하는 경우) 및 수신된 SCI 형식 0-1의 우선순위 필드가 각각 값 Prsvp_RX 및 prioRX를 나타내는 경우, UE는 세트 SA에서 후보 단일 슬롯 자원 Rx,y를 배제하고, 수신된 SCI 형식 0-1에 기초하여 수행된 RSRP 측정은 Th(prioRX)보다 크다. 슬롯
Figure pat00025
에서 수신된 SCI 형식 또는 수신된 SCI 형식 0-1에 자원 예약 기간 필드가 존재한다면, 슬롯(들)
Figure pat00026
에서 수신되는 것으로 가정되는 동일한 SCI 형식은 상술된 바와 같이, q=1, 2, …, Q 및 j=0, 1, …, Cresel-1에 대해
Figure pat00027
와 겹치는 자원 블록 및 슬롯 세트를 결정한다. 이 때,
Figure pat00028
는 논리 슬롯의 단위로 변환된 Prsvp_RX이고,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이면
Figure pat00031
이고, 여기서 슬롯 n이 세트
Figure pat00032
에 속하는 경우
Figure pat00033
이고, 그렇지 않으면 세트
Figure pat00034
에 속하는 슬롯 n 이후 첫번 째 슬롯이고; 그렇지 않으면, Q=1이다. Tscal은 밀리초(msec) 단위로 변환된 선택 창 크기로 설정된다. 빔(B1)은 인접하는 Tx 및 Rx UE의 위치 간에 구성된다. B1에 사용되는 빔 폭은 전송 (pJ)의 우선 순위에 따라 이웃한 Tx UE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 또는 자원 풀 사전 구성에 기초한다. 유사하게, 빔(B2)은 Tx UE 위치와 타겟 Rx UE 위치 사이에 구성된다. B2에 사용되는 빔 폭은 상위 계층에서 제공하는 표시 또는 전송(pI)의 우선 순위에 따라 자원 풀 사전 구성을 기반으로 한다. 빔 B1이 위치 H 또는 H가 위치한 구역을 커버하거나 빔 B2가 위치 K 또는 K가 위치한 구역을 커버하는 경우, 후보 단일 슬롯 자원 Rx,y는 배외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Rx,y 자원이 배제되지 않는다. 세트 SA에 남아있는 후보 단일 슬롯 자원의 수가
Figure pat00035
미만인 경우, Th(pi)는 각 우선순위 값 Th(pi)에 대해 3dB씩 증가하고 도 1의 단계 104가 수행되고, 이에 의해 UE는 세트 SA의 나머지를 상위 계층에 보고하고, PRS 구성에 따라, 상위 계층은 SL 포지셔닝을 위해 PRS/CSI-RS를 위한 후보 자원을 선택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모드 2 자원 선택 절차는 자원 선택 창에서 자원을 배제할 때 전송 방향성을 고려하도록 업데이트되고, 이웃 UE 간의 전송의 구성된 빔 궤적 중 하나가 자원 선택을 시작한 TB의 타겟 수신기 위치를 커버하는 경우 또는 자원 선택을 개시한 TB의 구성된 빔이 타겟 이웃 수신기의 위치를 커버하는 경우에만 자원이 점유된 것으로 간주되고, Tx UE와 Rx UE 사이에 구성된 빔의 폭은 이웃 Tx UE에 의해 표시되거나 자원 풀별로 구성되거나 전송 우선 순위에 따라 달라지므로 더 높은 우선 순위는 더 넓은 빔과 연관되어 다른 UE가 동일한 자원을 재사용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UE에 의해 FR2에서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400)을 도시한다.
단계 401에서, UE는 NR Rel-16 및 NR Rel-17에서 현재 정의된 바와 같이 감지를 수행함으로써 UE 1에 전송할 필요성을 결정한다. 특히, UE는 PSCCH에서 제1 단계 SCI를 디코딩하고, 이에 의해 UE는 UE 2 및 다른 이웃 UE에 의한 예약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402에서, UE는 (FR1과 같은 다른 캐리어를 통해 전송된) 기본 안전 메시지,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계 SCI 메시지 UE 빔 정보에서 UE 2의 위치를 획득한다. UE 2의 위치는 또한 상술한 기술을 사용하여 단계 402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 SCI의 필드는 안테나 특성(예: 방향, 감쇠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 403에서, UE는 PSCCH에서 디코딩된 제1 단계 SCI를 사용하여 UE 2로부터 예약 및 빔 정보를 얻는다.
단계 404에서, UE 2가 자원을 예약한 슬롯에서 예상되는 간섭을 추정하기 위해 UE 2로부터의 빔 정보를 포함하는 모드 2 자원 선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UE는 UE 2의 위치 및 감지 절차 동안 모니터링/식별한 모든 U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모드 2 절차는 전송 UE의 관점에서 UE 2에 의해 생성된 간섭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UE 2 위치 및 안테나 빔 정보를 고려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405에서, 간섭 UE 2에 의해 예약된 자원은 전송에서 배제된다. 즉, UE는 구역 정보에만 의존하여 자원을 점유 또는 비점유로 선언할 수 있다. 특히, UE가 이웃한 Tx, Rx UE의 구역 정보를 이용하고 이에 따라 전송의 투영을 구성한다. 이 투영이 의도한 Rx UE의 구역과 교차하는 경우, 자원이 점유된 것으로 선언될 수 있으므로, 전송에서 배제된다. 대안으로, UE는 자신의 타겟 Rx UE와 이웃 UE에 의한 타겟 Rx UE 둘 다가 궤적을 구성하지 않고 동일한 구역에 있으면 자원을 점유한 것으로 선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의 세트를 참조하는 인덱스에 의해 구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서 전술한 모드 2 선택에서와 같이, 자원은 예약 신호에 대해 수행된 RSRP 측정이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택된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송신이 비간섭(500)으로 선언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에서, 구역 표시는 각도 섹터에 의한 것인데, 구역이 점유된 것으로 보이는 사분면을 표시하기 위해 2비트 비트 필드가 사용된다.
또한, 예약 신호의 RSRP 측정에 의해 결정된 Tx UE(501)에 매우 근접한 하나 이상의 UE에 대해, 이들 UE가 점유된 구역에 있지 않더라도, 간섭 UE(504)는 여전히 Tx UE(501)에 상당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Tx UE(501) 주변에는 배제 구역(502)이 정의된다. 타겟 UE 2(503)와 같이, 이 배제 구역 있는 UE는 간섭을 결정할 때 포함되어야 한다. 배제 구역(502)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하드 코딩되거나 (미리)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서, 모드 2 자원 선택에 의한 자원 배제는 실제 위치가 아니라 UE가 상주하는 구역에 의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빔 선택(600)에 대한 2단계 절차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UE들이 FR2에서 SL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E는 FR2에서 초기 빔 획득을 위해 수신 UE 방향으로 빔을 향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2단계 빔 선택 프로세스가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제1 단계 601에서, UE는 더 넓은 빔에 의존하여 대략적인 빔 조정을 달성하고, 제2 단계(602)에서 UE는 더 나은 방향성과 후속적으로 더 높은 처리량 및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해 미세 조정을 수행한다. 제1 더 넓은 빔은 좁은 빔과 유사 공동 위치(QCL)되어야 한다.
특히, UE는 대략적인 빔 선택을 위해 타겟 이웃 UE가 쉽게 사용 가능한 위치를 활용할 수 있다. V2X 시스템에서, 차량은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본 안전 메시지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위치를 전송해야 한다. 이 정보를, 그 위치와 함께 사용하면, UE는 이웃 UE의 상대적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따라 초기 빔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UE는 감소된 정확도로 이웃 UE의 상대적 위치를 얻기 위해 제2 스테이지 SCI에서 전송된 구역 정보에 의존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라 하위 구역으로 분할된 구역(700)의 예를 도시한다.
상술된 정확도의 감소는 도 7에서 하위 구역(701, 702, 703 및 704)을 도입함으로써 완화되고, 이에 의해 UE는 새로운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구역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7에는 4개의 구역이 도시되어 있지만, 자원 풀별로 하위 구역의 크기와 구역 당 하위 구역의 수를 구성할 수 있다. 하위 구역의 표시는 제2 스테이지 SCI에 새로운 필드로 추가되거나 PSSCH의 MAC CE로 추가되어 이웃 UE로 전송될 수 있다. 방향 추정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웃 UE에 도달하여 통신을 시작하려면 더 넓은 빔에 의존해야 한다. 빔 폭은 위치 정보의 신뢰성, 전송의 상대 속도, 전송 우선 순위 및 최신 업데이트된 위치 정보의 유효성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x UE에 의한 제1 빔 방향의 선택은 Rx UE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소스 UE가 목적지 UE의 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 소스 UE는 셀룰러용 기존 빔포밍 방식과 다른 목적지 UE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제1 빔을 보낼 것으로 예상되며, 여기서 빔 방향은 소스와 목적지가 위치하는 곳과 관계없이 정의된 패턴을 따른다.
FAN1에서 구역의 개념이 정의되어 있는 반면, 이러한 구역은 이미 SL에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고 제2 스테이지 SCI에서 신호를 받기 때문에 더 작은 구역을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구역의 수를 늘리는 것은 다른 목적을 위한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것이 개시된 하위 구역이 유익한 이유이다.
또한, 구역이 RRC 시그널링시 좌표로 정의되는 반면, 반대로 하위 구역은 구역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정의되므로 이러한 시그널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직사각형 구역(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4개의 하위 구역(701, 702, 703, 704)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다른 수의 하위 구역으로의 확장이 단순화된다.
기본적인 안전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외에, 추가 물리적(PHY) 계층 액세스 가능 위치 정보는 타겟 UE 위치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스테이지 SCI 또는 MAC CE(예를 들어, 제2 스테이지 SCI의 구역 필드 및 제2 스테이지 SCI 또는 MAC CE의 하위 구역 필드)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 전송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자원 풀당 기간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Rx UE의 방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전송은 FR1에서 전송된 이웃 UE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될 수 있다(제1 또는 제2 스테이지 SCI에서 또는 MAC CE로).
예를 들어, 제2 스테이지 SCI는 위치 정보 업데이트 요청을 나타내는 새로운 필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은 제1 또는 제2 스테이지 SCI의 하나 이상의 필드를 미리 구성된 값으로 설정하여 묵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요청은 하나의 UE(즉, 유니캐스트) 또는 그 이상의 UE(즉, 그룹캐스트) 또는 모든 이웃 UE(브로드캐스트)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캐스트의 경우, 클러스터 헤드는 필요할 때 접근할 수 있도록 모든 클러스터 구성원의 위치를 업데이트하라는 요청을 주기적으로 보낼 수 있다. UE 위치에 대한 요청은 특정 거리 또는 구역/하위 구역 내의 UE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요청은 Tx UE 위치 및 UE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스테이지 SCI 형식 2-B의 범위 필드를 재사용할 수 있다. 요청은 오버헤드를 줄이거나 미래 예상 위치를 요청하는 것과 같이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역 ID와 하위 구역 ID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한 업데이트 또는 현재 위치가 아닌 예상 위치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전송을 위한 트리거는 새로운 구역 또는 하위 구역에 들어갈 때와 같이, 미리 정의된 조건을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자원 풀 구성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웃에게 하위 구역 위치를 전달하기 위해, UE는 특정 비트를 설정하여 UE의 위치가 해당 하위 구역에 있음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위 구역의 크기, 구역당 하위 구역의 수 및 비트맵 크기는 자원 풀별로 모두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하위 구역의 수가 많은 경우, 비트맵 전송으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UE는 이전 하위 구역과 관련하여 자신의 차등 위치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UE의 위치가 두 번의 후속 위치 업데이트 간에 크게 다를 가능성이 없으므로, UE는 하위 구역 인덱스 {-3,-2,-1,0, 1, 2, 3, 4}에 대한 다음 가능한 변경 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3비트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위치 업데이트 메시지가 손실될 수 있다(예를 들어, 간섭 또는 낮은 신호 대 잡음 및 간섭 비율(SINR)로 인해). 결과적으로, Tx UE는 타겟 UE의 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없다. 이 인스턴스를 해결하기 위해, 이력 정보는 궤적을 구축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Tx UE는 새로운 위치 업데이트가 가능해질 때까지 이웃 타겟 UE의 위치를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위 구역이 직선을 따라 할당될 때, 타겟 UE의 마지막으로 알려진 3개의 업데이트가 하위 구역 2, 3, 4였지만 마지막 업데이트가 손실된 경우, Tx UE는 타겟 UE가 하위 구역 5에 있어야 한다고 예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마지막으로 알려진 3개의 업데이트가 동일한 하위 구역을 보고한 경우, Tx UE는 타겟 UE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고 따라서 타겟 UE가 동일한 하위 구역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위치는 예상 위치이므로 장기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위치는 향후 투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새 업데이트가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제거되거나, 타겟 UE의 정기적인 위치 업데이트와 비교하여 더 짧은 기간 동안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800)에서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환경(800)에서 전자 장치(801)는 제1 네트워크(898)(예를 들어, 장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802), 또는 제2 네트워크(899)(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서버(808)를 통해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서버(808)를 통해 전자 장치(804)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20), 메모리(830), 입력 장치(860), 음향 출력 장치(855), 디스플레이 장치(860), 오디오 모듈(870), 센서 모듈(876), 인터페이스(877), 햅틱 모듈(879), 카메라 모듈(880), 전력 관리 모듈(888), 배터리(889), 통신 모듈(890),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896) 또는 안테나 모듈(894)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860) 또는 카메라 모듈(880))는 전자 장치(801)에서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는 전자 장치(801)에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 중 일부는 단일 집적 회로(I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876)(예를 들어,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디스플레이 장치(860)(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내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8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820)과 연결된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또는 계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820)는 휘발성 메모리(832)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8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834)에 저장한다. 프로세서(820)는 메인 프로세서(821)(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및 메인 프로세서(821)와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보조 프로세서(812)(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 장치(GPU),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통신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보조 프로세서(812)는 메인 프로세서(821)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821)와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그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보조 프로세서(823)는 메인 프로세서(2321)가 비활성(예를 들어,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2321) 대신에, 또는 메인 프로세서(821)가 활성 상태(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중)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821)와 함께, 전자 장치(801)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860), 센서 모듈(876) 또는 통신 모듈(8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812)(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또는 통신 프로세서)는 보조 프로세서(812)와 기능적으로 관련된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880) 또는 통신 모듈(89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프로세서(820) 또는 센서 모듈(8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8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메모리(8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840)은 소프트웨어로서 메모리(8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영 체제(OS)(842), 미들웨어(844) 또는 애플리케이션(8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는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801)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어, 프로세서(820))에 의해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850)는 예를 들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855)는 전자 장치(801)의 외부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855)는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과 같은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신기는 수신 전화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는 스피커와 분리되거나 스피커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60)는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6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및 프로젝터 중 대응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860)는 터치를 탐지하도록 구성된 터치 회로,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 회로(예를 들어,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70)은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870)은 입력 장치(850)을 통해 사운드를 획득하거나, 사운드를 음향 출력 장치(855) 또는 외부 전자 장치(802)의 헤드폰을 통해 전자 장치(801)와 직접(예를 들어,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출력한다.
센서 모듈(876)은 전자 장치(801)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전원 또는 온도) 또는 전자 장치(801) 외부의 환경 상태(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를 탐지하고, 다음에 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한다. 센서 모듈(876)은,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대기압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적외선(IR) 센서, 생체 인식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877)는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802)와 직접(예를 들어,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데 사용될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877)는 예를 들어, 고 해상도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 시큐어 디지털(SD)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878)는 전자 장치(801)가 외부 전자 장치(8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878)는 예를 들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를 들어,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자극(예를 들어,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촉감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879)은 예를 들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기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8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ISP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88)은 전자 장치(8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888)은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집적 회로(PMIC)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889)는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889)는 예를 들어, 충전이 불가능한 1 차 전지, 충전 가능한 2 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전자 장치(801)과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80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8)) 간의 직접적인(예를 들어,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 설정을 지원하고,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890)은 프로세서(820)(예를 들어, AP)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C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직접(예를 들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모듈(890)은 무선 통신 모듈(892)(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글로벌 위성 항법 시스템(GNSS)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894)(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PLC)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모듈은 제1 네트워크(898)(예를 들어, Bluetooth®, 무선 피델리티(Wi-Fi) 다이렉트, 또는 적외선 데이터 협회(IrDA) 표준과 같은 단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899)(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와 같은 장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Bluetooth®는 워싱턴 커클랜드 소재의 Bluetooth SIG, Inc.의 등록 상표이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통신 모듈은 단일 구성 요소(예를 들어, 단일 IC)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로 분리된 여러 구성 요소(예를 들어, 다수의 IC)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892)는 가입자 식별 모듈(8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를 들어,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898) 또는 제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자 장치(801)를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897)은 전자 장치(801)의 외부(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와 신호 또는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8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제1 네트워크(898) 또는 제2 네트워크(8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신 모듈(890)(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892))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통신 모듈(890)과 외부 전자 장치간에 신호 또는 전력이 송수신될 수 있다.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899)와 결합된 서버(808)를 통해 전자 장치(801)와 외부 전자 장치(804) 사이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각각의 전자 장치(802, 804)는 전자 장치(801)와 동일한 유형 또는 이와 다른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801)에서 실행될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802, 804, 808) 중 하나 이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801)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의 요청에 따라, 기능 또는 서비스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전자 장치(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에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추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801)로 전달한다. 전자 장치(801)는 결과를,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결과의 추가 처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세한 설명 및 실시 예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에 의한 자원 선택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UE)과 하나 이상의 이웃 UE 간의 전송을 위해, 빔 정보, 위치 정보, 측정된 신호 강도 및 자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에 의해 식별된 후보 자원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에 의해 선택된 자원 간의 잠재적인 충돌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 중 하나 이상의 간섭 UE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자원을 자원 선택 창에서 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예약 전력이 우선 순위 기반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상기 자원을 배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제 후 남은 후보 자원 중에서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정보, 상기 UE의 위치 정보, 및 자원 예약 정보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의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CI) 또는 기본 안전 메시지로부터 획득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 전송 방향, 상기 빔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전송을 수신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인 충돌은,
    상기 자원 선택 창 내의 서브채널 및 슬롯에 대한 간섭을 추정하고 후보 자원 세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상기 자원을 배제하기 위해, 모드 2 자원 선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로부터의 상기 위치 정보 및 빔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방지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상기 모드 2 자원 선택 절차에 의해 배제되지 않은 자원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로 전송되는 반면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자원은 상기 전송에서 배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는 UE 주변 영역을 구역으로 간주하여 식별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의 상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배제 구역이 정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는 상기 배제 구역 내에 있거나 상기 배제 구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타겟 UE를 갖는 것으로 더욱 식별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제 구역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상기 자원은 상기 후보 자원에서 상기 자원을 선택할 때 상기 자원 선택 창에서 배제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은, 자원 풀(resource pool)당 구성되고 SCI에 표시되는 다수의 하위 구역으로 나뉘는, 방법.
  10. 사용자 단말(UE)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UE)과 하나 이상의 이웃 UE 간의 전송을 위해, 빔 정보, 위치 정보, 측정된 신호 강도 및 자원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에 의해 식별된 후보 자원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에 의해 선택된 자원 간의 잠재적인 충돌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이웃 UE 중 하나 이상의 간섭 UE를 식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UE에 의해 예약된 자원을 자원 선택 창에서 배제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명령하는 명령을 저장하는, UE.
KR1020220174799A 2021-12-16 2022-12-14 밀리미터파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 KR202300918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90252P 2021-12-16 2021-12-16
US63/290,252 2021-12-16
US18/071,297 US20230199819A1 (en) 2021-12-16 2022-11-29 Communication techniques for sidelink transmission in millimeter-wave domain
US18/071,297 2022-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801A true KR20230091801A (ko) 2023-06-23

Family

ID=8660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799A KR20230091801A (ko) 2021-12-16 2022-12-14 밀리미터파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99819A1 (ko)
KR (1) KR20230091801A (ko)
CN (1) CN116266949A (ko)
DE (1) DE102022132665A1 (ko)
TW (1) TW2023456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62A1 (ko) * 2018-08-31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단말이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5643A (zh) 2023-11-16
DE102022132665A8 (de) 2023-08-10
US20230199819A1 (en) 2023-06-22
CN116266949A (zh) 2023-06-20
DE102022132665A1 (de)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21750A (ja) セカンダリセルビームリカバリ
CN112219437A (zh) 通信方法、终端、通信节点、通信设备及存储介质
EP4057719A1 (en) Positioning method using sidelink, and device therefor
US9407420B2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N112640328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形成波束的方法及电子装置
WO2019193858A1 (ja) 無線通信装置、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4027717A1 (en) Position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WO2019215381A5 (ko)
KR20230091801A (ko) 밀리미터파 영역에서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
EP3666030B1 (en) Method for random access based on mobility and apparatus thereof
EP34546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communication between antenna cloud nodes in indoor high-density network
US20230027625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sig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2400570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am pairing
US202303197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positioning
US20230209365A1 (en) Enhanced fr2 tracking procedures for nr sidelink systems
US202400491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EP4262106A2 (en) Information sharing for beam management in repeater
US20230164736A1 (en) Electronic device for localiz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30224867A1 (en) Technologies for inter-user equipment coordination
US2024000805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virtual bss and multi-ap transmissions
WO2024073896A1 (en) Opportunistic rx beam alignment for sidelink operation in fr2
KR20230147531A (ko) 저전력 감소된 능력의 사용자 단말의 포지셔닝 방법
CN117479293A (zh) 用于定位的系统和方法
CN116896783A (zh) 用于侧链路定位的方法和装置
JP2024065032A (ja) サイドリンクポジショニング参照信号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のオンパターン設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