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570A - 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570A
KR20230090570A KR1020210179446A KR20210179446A KR20230090570A KR 20230090570 A KR20230090570 A KR 20230090570A KR 1020210179446 A KR1020210179446 A KR 1020210179446A KR 20210179446 A KR20210179446 A KR 20210179446A KR 20230090570 A KR20230090570 A KR 20230090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notification device
lavacon
loc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원
이영상
Original Assignee
(주)카네비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네비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카네비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1017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570A/en
Publication of KR2023009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5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작업 현장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라바콘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 현장 알림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라바콘 알림 장치는 알림 장치 및 라바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라바콘 상에 설치되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포워딩한다. Disclosed is a lavacon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a work site and a method for notifying a work site using the same. The lavacon notification device includes a notification device and lavacon. Here, the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lavacon and forward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management center or vehicle.

Description

라바콘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 현장 알림 방법{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Ravacon notification device and work site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바콘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 현장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nd a work site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로의 작업 현장에는 작업 현장임을 알리기 위해 라바콘을 배치시킨다. 그러나, 도로 관리 센터에서는 작업 현장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웠으며, 작업 현장으로 접근하는 차량도 작업 현장 근처에 도착했을때에만 작업 현장임을 파악할 수 있어서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At the work site on the road, lavacons are placed to inform that it is a work sit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road management cent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work site, and an accident may occur because a vehicle approaching the work site can identify the work site only when it arrives near the work site.

KRKR 10-2267321 10-2267321 BB

본 발명은 작업 현장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라바콘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 현장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vacon notification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ork site and a method for notifying a work site using the same.

이 특허는 2021년도 정부(경찰청)의 재원으로 과학치안진흥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092021C26S03000, 실시간 교통안전시설 운용을 위한 인프라 정보 융합 및 관리 기술 개발)This patent is a research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Science Public Safety Promotion Center with financial resources from the government (National Police Agency) in 2021 (No.092021C26S03000,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information convergence and management technology for real-time traffic safety facility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알림 장치는 알림 장치; 및 라바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라바콘 상에 설치되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포워딩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tification device; and labacon. Here, the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lavacon and forward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management center or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장치는 동작부; 및 라바콘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부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부;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또는 보정된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전송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A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unit; and an insert inserted into the lavacon. Here,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GPS unit that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and a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r corr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management center or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 현장에 배치되는 알림 장치는 알림부, 전원 버튼 및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을 가지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알림부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자동으로 전송하며, 상기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알림부는 사고 정보를 상기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상기 차량으로 전송한다. A notification device disposed at a road work si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unit having a notification unit, a power button, and an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Here, when the power button is selected, the notification unit automatically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or the vehicle, and when the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button is selected, the notification unit transmits accident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or the vehicle.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장치는 도로의 작업 현장에 놓여지는 표시 수단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알림 장치가 상기 표시 수단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작업 현장에 놓여진 후 상기 알림 장치가 활성화되면, 상기 알림 장치의 알림부는 상기 알림 장치의 통신부를 통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전송한다. A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display means placed at a work site on a road. Here, when the notification device is activated after the notification device is placed at the work site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the notification unit of the notification device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or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notification device. s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 현장 알림 방법은 알림 장치가 라바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알림 장치가 활성화되면, 상기 알림 장치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준국으로부터 보정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notifying a road work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when the notification device is activated in a state where the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lavacon; transmitting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a reference station and then receiving correcte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management center or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라바콘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 현장 알림 방법은 알림 장치가 활성화되었을 때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로 전송하며, 그 결과 원격에서 정확한 공사 현장의 파악이 가능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The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nd the work site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when the notification device is activat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construction site remotely and prevent accid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 현장 알림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알림 장치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한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알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vacon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ad work site no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sult of displaying a location of a notification device on a map.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tif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tif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본 발명은 라바콘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 현장 알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알림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의 위치 정보 또는 사고 정보를 알릴 수 있다. 특히, 상기 알림 장치는 도로 현장에 놓여지는 라바콘을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nd a work site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location information or accident information of a work site can be notified using the notification device. In particular, the notification device may be implemented using a lavacon placed on a road site.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작업 현장 알림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은 알림 장치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한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lavacon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ad work site no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location of a notification device.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sult displayed on a map.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라바콘 알림 시스템은 라바콘(100) 및 알림 장치(106)을 가지는 라바콘 알림 장치 및 도로 관리 센터(102)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lavacon notific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nd a road management center 102 having a lavacon 100 and a notification device 106.

한편, 도로 작업 현장에 놓이는 물품을 라바콘(100)으로 언급했지만, 작업 현장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면 제한이 없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 장치를 라바콘으로 가정하겠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item placed on the road work site has been referred to as the labacon 100, there is no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the work site.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assumed that the display device is a lavacon.

알림 장치(106)는 라바콘(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라바콘(100)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라바콘(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알림 장치(106)의 상단은 라바콘(100) 안으로 삽입되지 않고 라바콘(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e notification device 106 may be installed in the lavacon 100, and preferably may be inserted into the lavacon 100 through a hole formed at the top of the lavacon 100. At this time, the top of the notification device 106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avacon 100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lavacon 100. This is to ensure smooth communication.

이렇게 설치된 알림 장치(106)가 도로의 작업 현장에 놓여지고 사용자가 알림 장치(106)를 활성화시키면(S200 및 S202), 알림 장치(106)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102)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204). 결과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작업 현장의 정확한 위치를 도로 관리 센터(102)로 알릴 수 있으며, 즉 도로 관리 센터(102)는 원격에서 작업 현장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When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nstalled in this way is placed at the work site of the road and the user activates the notification device 106 (S200 and S202), the notification device 106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It can be transmitted to (S204). As a result, the user can inform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of the exact location of the work site, that is,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can remotely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work si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관리 센터(102)는 여러 작업 현장에서의 알림 장치들(106)로부터 위치 정보들을 수집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장치들(106)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관리자는 한 눈에 도로 위의 작업 현장들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로 관리 센터(102)는 파악된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도로 정보를 도로에 설치된 전광판 등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notification devices 106 at various work sites and displays the locations of the notification devices 106 on a map as shown in FIG. can As a result, managers can identify job sites on the road at a glance. In addition,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may provide road information processed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to the driver through an electronic display board installed on the roa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장치(106)가 활성화되면, 알림 장치(106)는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102)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 메시지 정보(사고 정보)를 예를 들어, 웨이브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 현장으로 접근하고 있는 차량은 미리 작업 현장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긴급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등의 상황에 알림 장치(106)가 설치된 라바콘(100)을 작업 현장에 배치하기만 하면, 작업으로 인한 위험성을 즉시 주변 차량에 알릴 수 있어서 차량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s activated, the notification device 106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as well as safety message information (accid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 can be broadcast to surrounding vehicles using wave communication. As a result, a vehicle approaching the work site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work site in advance, so that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particular, if the lavacon 100 equipped with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s placed at the work site in a situation such as urgent work, the safe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by immediately notifying the surrounding vehicles of the danger caused by the work. there is.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라바콘 알림 시스템은 알림 장치(106)가 설치된 라바콘(100)을 작업 현장에 배치시키고 알림 장치(106)를 활성화시키면, 알림 장치(106)의 위치 정보가 도로 관리 센터(102)로 자동으로 전송되며, 따라서 작업 현장의 정확한 위치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알림 장치(106)와 도로 관리 센터(102)와의 통신 프로토콜과 알림 장치(106)와 차량(104)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이 다를 수 있다. In summary, the lavacon notific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places the lavacon 100 with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nstalled at the work site and activates the notification device 106,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s transmitted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 so the exact location of the work site can be immediately identified. Meanwhile,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notification device 106 and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notification device 106 and the vehicle 104 may be different.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알림 장치(106)는 활성화되면 한번만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described above, the notification device 106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nly once when activated, or may periodicall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알림 장치(106)가 설치된 라바콘(100)을 작업 현장에 배치할 수 있다(S400).Referring to FIG. 4 , the lavacon 100 having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nstalled may be placed at the work site (S400).

이어서, 작업 현장이나 근처에서 사고가 발생하면(S402), 사용자가 알림 장치(106)의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을 선택하면 사고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신호가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S404). 결과적으로, 사고 지점 또는 작업 현장으로 다가오는 차량(104)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n accident occurs at or near a work site (S402), when the user selects an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butt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106, an accident signal including accident information may be broadcast (S404). As a result, the safety of the vehicle 104 approaching the accident site or work site can be improved.

특히, 알림 장치(106)가 설치된 라바콘(100)을 사고 현장에 배치하면, 정확한 위치 정보가 차량(104)으로 포워딩되므로 운전자는 더 정확한 사고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lavacon 100 with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nstalled is placed at the scene of an accident, the driver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accident point becaus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is forwarded to the vehicle 104.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알림 장치(106)는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을 포함하여 사고 정보를 주변 차량들(104)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notification device 106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roadcast accident information to surrounding vehicles 104 including an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이하, 알림 장치(106)의 구조, 설치 구조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installation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10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바콘 알림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oca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obtaining information.

도 5를 참조하면, 라바콘(100)에 설치되는 알림 장치(106)는 동작부(물리적인 관점에서는 헤드부, 500) 및 삽입부(물리적인 관점에서는 폴부, 50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nstalled in the lavacon 10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a head unit 500) and an insertion unit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a pole unit 502).

동작부(500)는 라바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라바콘(100)의 상단부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The operating unit 500 is a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avacon 100, and may have a larger width than the upper end of the lavacon 100.

이러한 동작부(500)는 전자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알림 장치(106)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102) 또는 차량(104)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operating unit 500 is a part that implements electronic functions, and may transmit, fo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106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or the vehicle 104 .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500) 내부에 회로 기판, GPS 모듈 및 안테나,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상기 배터리는 동작부(500) 내부가 아닌 삽입부(502)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Also, as shown in FIG. 6 , a circuit board, a GPS module, an antenna, and a battery may be included in the operating unit 500 . Of course,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e battery may be implemented inside the insertion unit 502 instead of inside the operating unit 500 .

삽입부(5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500)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 연장될 수 있고, 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라바콘(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insertion part 502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ration part 500 , may have a pole shape,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lava cone 100 .

특히, 삽입부(502)의 종단에는 고무가 부착되고 지면에 놓여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알림 장치(106)가 라바콘(100)에 삽입된 상태로 지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In particular, rubber may be attach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part 502 and placed on the ground. As a result, the notification device 106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groun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ava cone 1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부(500)의 일부분, 예를 들어 측면부에는 전원 버튼(510) 및 사고 상황 알림 버튼(512)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ower button 510 and an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512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operation unit 500, for example, a side portion.

사용자가 전원 버튼(510)을 누르면 알림 장치(106)가 활성화되고, 알림 장치(106)가 활성화되면 위치 정보를 탐지하고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도로 관리 센터(102) 또는 차량(104)으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button 510,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s activated, and when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s activat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etec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or vehicle 104. there is.

사용자가 사고 상황 알림 버튼(512)을 누르면, 알림 장치(106)는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사고 정보를 주변 차량(104)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512 , the notification device 106 may broadcast accid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o surrounding vehicles 104 .

물론, 전원 버튼(510) 및 사고 상황 알림 버튼(512) 외에도 다른 버튼이 동작부(500)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물리적인 버튼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power button 510 and the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512, other buttons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operating unit 500, or may be made of software buttons rather than physical buttons.

전원 버튼(510)을 눌렀을 때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roverprcs 모듈이 gpsd 모듈로 RTK(Real-Time Kinematic)를 요청하면, 상기 gpsd 모듈은 RTK를 상기 roverprcs 모듈로 전송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when the power button 510 is pressed with reference to FIG. 7 , when the roverprcs module requests RTK (Real-Time Kinematic) to the gpsd module, the gpsd module transmits the RTK to the roverprcs module.

이어서, 상기 roverprcs 모듈은 주변의 기준국으로 RTK, 즉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기준국은 보정값을 상기 roverprcs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roverprcs module transmits RTK,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to a neighboring reference station, and the reference station may transmit a correction value to the roverprcs module.

계속하여, 상기 roverprcs 모듈은 상기 전송된 보정값을 반영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위치 정보를 상기 gpsd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gpsd 모듈은 상기 보정된 위치 정보를 GPS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roverprcs module corr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transmitted correction value and transmits the corr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psd module, and the gpsd module may store the correcte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GPS module.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알림 장치(106)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동작부(500) 및 라바콘(100)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02)로 구성되며, 동작부(500)에는 전원 버튼(510) 및 사고 상황 알림 버튼(512)이 형성될 수 있다. In summary, the notification device 106 of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n operation unit 500 that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insertion unit 502 that is inserted into the lavacon 100, and the operation unit 500 has power A button 510 and an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512 may be form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tif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알림 장치(106)가 설치된 라바콘(100)이 도로의 작업 현장에 배치될 수 있다(S800).Referring to FIG. 8 , the lavacon 100 having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nstalled may be disposed at a work site on the road (S800).

이어서, 차량이 라바콘(100)에 부딪힘에 따라 라바콘(100)이 넘어지면(S802), 알림 장치(106)는 이를 인식하고 기설정된 단말기로 라바콘(100)이 넘어진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04). 이를 위해 알림 장치(106)에 자이로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Subsequently, if the lavacon 100 falls as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lavacon 100 (S802), the notification device 106 can recognize this and transmit information informing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lavacon 100 has fallen to a preset terminal. (S804). To this end, the notification device 106 may include a gyro sensor.

계속하여, 상기 기설정된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신호에 응답하여 햅틱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단말기는 진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들은 차량이 라바콘(100)을 치어 넘어뜨렸다는 것을 인지하고 사고를 피하기 위하여 안전한 장소로 피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predetermined terminal may operate a haptic function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signal. For example, the preset terminal may vibrate. As a result, workers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hit and knocked down the lavacon 100 and can evacuate to a safe place to avoid an accident.

정리하면, 알림 장치(106)는 라바콘(100)이 쓰러지면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기설정된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notification device 106 may perform a preset operation when the lavacon 100 falls, and in particular, transmit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preset terminal.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림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tif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알림 장치(106)가 설치된 복수의 라바콘들(100)을 예를 들어 작업 구간의 처음과 끝에 배치하였을 경우, 도로 관리 센터(102)는 알림 장치들(106)로부터 위치 정보들을 수집하여 상기 위치 정보들을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S900 및 S902).Referring to FIG. 9, when a plurality of lavacons 100 with notification devices 106 are installed,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work section,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notification devices 106. may be collec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flected on a map (S900 and S902).

이 경우, 상기 위치 정보들에 해당하는 좌표들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 작업 구간으로 지정될 수 있다(S904). In this case, an area formed by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esignated as a work section (S904).

즉, 알림 장치(106)가 설치된 라바콘들(100)을 작업 현장에 적절히 배치하기만 하여도 도로 관리 센터(102)는 작업 구간을 특정할 수가 있다. That is,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can specify a work section even if the lavacons 100 in which the notification device 106 is installed are properly disposed at the work sit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알림 장치(106)는 제어부(1000), 통신부(1002), GPS부(1004), 알림부(1006), 배터리(1008), 센서부(1010) 및 저장부(101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notification device 106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1000, a communication unit 1002, a GPS unit 1004, a notification unit 1006, a battery 1008, a sensor unit 1010, and a storage unit. (1012).

통신부(100)는 도로 관리 센터(102) 또는 차량(104)과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100 is a communication connection passage with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or the vehicle 104 .

GPS부(1004)는 알림 장치(106)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The GPS unit 1004 may measure the posi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106 .

알림부(1006)는 GPS부(1004)에 의해 측정된 위치 정보 또는 보정된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102) 또는 차량(104)으로 포워딩할 수 있다. The notification unit 1006 may forward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PS unit 1004 or corr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or the vehicle 104 .

또한, 알림부(1006)는 사용자가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을 누르면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102) 또는 차량(104)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1006 may transmit accident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102 or the vehicle 104 when the user presses the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게다가, 알림부(1006)는 라바콘(100)이 쓰러지면 이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된 단말기, 특히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는 햅틱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1006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is to a preset terminal, in particular, a worker's terminal, when the lavacon 100 falls. In this case, the terminal can operate a haptic function.

센서부(1010)는 예를 들어 알림 장치(106)의 쓰러짐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010 may include, for example,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collapse of the notification device 106 .

저장부(1012)는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012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제어부(1000)는 알림 장치(106)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00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106 .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grasped from a process point of view. That is, each component can be identified as each process.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grasped from the viewpoint of components of the device.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 라바콘 102 : 도로 관리 센터
104 : 차량 106 : 알림 장치
500 : 동작부(헤드부) 502 : 삽입부(폴부)
100: Lavacon 102: Road Management Center
104: vehicle 106: notification device
500: operation part (head part) 502: insertion part (pole part)

Claims (15)

알림 장치; 및
라바콘을 포함하되,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라바콘 상에 설치되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포워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알림 장치.
notification device; and
Including lavacon,
The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lavacon, and the lavacon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warding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or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의 생성 및 전송을 담당하는 동작부; 및
상기 동작부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라바콘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부는 상기 라바콘의 외부에 위치하며, 배터리가 상기 동작부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device,
an operating unit responsible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in length from the operat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inserted into the lava cone;
The operating unit is located outside the lavacon, and the battery is located inside the opera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알림 장치를 활성화시키면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도로 관리 센터로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알림 장치. The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user activates the notification device, the notification device automat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알림 장치의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을 선택하면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신호를 주변 차량으로 브로드캐스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알림 장치. The lavac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ccident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broadcast to surrounding vehicles when the user selects an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butt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알림 장치가 설치된 라바콘이 쓰러지면 이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기설정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정보에 응답하여 햅틱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uni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is to a preset terminal when the lavacon in which the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falls down,
The preset terminal is a lavacon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a haptic function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는 다른 알림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와 함께 작업 구간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바콘 알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Lavacon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notification unit is used to designate a work sec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other notification devices. 동작부; 및
라바콘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부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부;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또는 보정된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전송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장치.
operating unit; and
Including an insert inserted into the lavacon,
The operating unit,
a GPS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and
No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r corr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management center or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동작부에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라바콘의 상단을 통하여 상기 라바콘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삽입부의 종단에는 지면에 닿는 고무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는 상기 동작부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avacon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lavac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ration unit,
A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ubber contacting the grou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art, and a battery is arranged in the operating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의 측면에는 전원 버튼 및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이 형성되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원 버튼이 눌리면, 상기 알림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도로 교통 센터 또는 상기 차량으로 자동으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알림부는 사고 정보를 작업 현장으로 접근하는 차량으로 브로드캐스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ower button and an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the notification unit automat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traffic center or the vehicle;
When the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the notification unit broadcasts accident information to vehicles approaching the work si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관리 센터는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 및 다른 알림 장치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구간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장치. The notification device of claim 7, wherein the road management center can designate a work section using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other notification devices. 도로 작업 현장에 배치되는 알림 장치에 있어서,
알림부, 전원 버튼 및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을 가지는 동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알림부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자동으로 전송하며,
상기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알림부는 사고 정보를 상기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상기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장치.
In the notification device disposed at the road work site,
Including an operation unit having a notification unit, a power button and an accident situation notification button,
When the power button is selected, the notification unit automatically transmit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management center or vehicle,
When the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is selected, the notification unit transmits accident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or the vehic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의 일부가 라바콘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되,
상기 동작부는 상기 라바콘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 버튼 및 상기 사고 상황 알림 버튼은 상기 동작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part of the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lavacon,
The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unit is located outside the lavacon, and the power button and the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unit.
알림 장치에 있어서,
도로의 작업 현장에 놓여지는 표시 수단에 장착되되,
상기 알림 장치가 상기 표시 수단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작업 현장에 놓여진 후 상기 알림 장치가 활성화되면, 상기 알림 장치의 알림부는 상기 알림 장치의 통신부를 통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장치.
In the notification device,
Mounted on the marking means placed on the work site of the road,
When the notification device is activated after the notification device is placed at the work site in a state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the notification unit of the notification device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management center or a vehicle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of the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기설정 주기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도로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장치. 14. The notification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notification unit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oad management cent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알림 장치가 라바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알림 장치가 활성화되면, 상기 알림 장치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기준국으로부터 보정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도로 관리 센터 또는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작업 현장 알림 방법.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when the notification device is activated in a state where the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lavacon;
transmitting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a reference station and then receiving correcte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station; and
A road work site notific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a road management center or a vehicle.




KR1020210179446A 2021-12-15 2021-12-15 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 KR202300905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46A KR20230090570A (en) 2021-12-15 2021-12-15 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46A KR20230090570A (en) 2021-12-15 2021-12-15 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570A true KR20230090570A (en) 2023-06-22

Family

ID=8698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446A KR20230090570A (en) 2021-12-15 2021-12-15 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57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21B1 (en) 2020-12-10 2021-06-21 장영균 Apparatus for arranging and collecting the rabacon on the ro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21B1 (en) 2020-12-10 2021-06-21 장영균 Apparatus for arranging and collecting the rabacon on the r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4589B2 (e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0962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ap
JP4367174B2 (en) On-vehicle transmitter and obstacle detection system
KR20180063789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us
JP4973380B2 (en) Traffic safety system
US8078138B2 (en) In-vehicle emergency call apparatus
JP63232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63120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CN103942958B (en) Whether a kind of real-time detection school bus occurs to collide or turn on one's side and the method for automatic alarm
JP2004240506A (en) Safe driving support system, onboard device, and monitoring device
JP6375772B2 (en) Re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6352010B2 (en)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JP2015106242A (en) Driving support unit and driving support system
CN103871244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nd onboard system
KR20140054673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based on v2x and method thereof
KR1014036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scene of terminal in vehicle
JP2006199088A (en)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and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JP2007127447A (en) Route guidance device, information center, route guidance system, and route guidance method
KR20230090570A (en) Rubber cor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notifying work site using the same
JP2016038878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5670075B2 (en) Navigation device
JP4894599B2 (en) Server device,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trai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60752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JP6037817B2 (en) Portable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JP2009198287A (en) Mobile guidance apparatus, navigation apparatus, mobile guidanc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