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423A -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시공용 마루 바닥재 - Google Patents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시공용 마루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423A
KR20230090423A KR1020210178826A KR20210178826A KR20230090423A KR 20230090423 A KR20230090423 A KR 20230090423A KR 1020210178826 A KR1020210178826 A KR 1020210178826A KR 20210178826 A KR20210178826 A KR 20210178826A KR 20230090423 A KR20230090423 A KR 20230090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sound
laminate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홍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썸플로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썸플로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썸플로링
Priority to KR102021017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423A/ko
Publication of KR2023009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02C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32B2317/122Kraft pap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고 보행감을 향상시키도록 코르크 재질로 형성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흡음층의 물성을 보강하고 균형과 강도를 높여주며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접착력을 구비하는 제1 패드층; 상기 제1 패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물에 대한 내성이 있는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방수보드층; 상기 방수보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방수보드층의 물성을 보강하고 균형과 강도를 높여주며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접착력을 구비하는 제2 패드층; 상기 제2 패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면에는 나무 질감 및 무늬 연출이 가능한 표면장식층; 상기 표면 장식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표면 장식층 상면에 연출되는 나무 질감 및 무늬를 표현하고, 외부 충격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투명 시트형태로 형성되는 표면보호층; 마루 바닥재를 바닥에 접착하기 위하여 상기 흡음층 배면에 적층되는 접착층;
을 포함하는 바닥재 보드가 서로 연접하여 형성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시공용 마루 바닥재 {Waterproof and Soundproof available and facilitate the construction Multifunction Floor Board}
본 발명은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 소재인 코르크 재질의 흡음층을 구비하고, 물에 대한 내성이 강한 소재로 제작되어 소음 감소 효과와 방수 효과가 탁월하고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신만의 공간을 꾸미기 위해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생활공간이 점차 작아지고, 내부를 꾸밀 수 있는 여건과 기회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내부 벽지, 페인트 도색, 바닥 마감재, 벽타일 등을 선택하는데 더욱 신중해지고 있으며, 생활 속의 안정감을 느끼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다수의 사람들은 목재와 같은 친환경 소재를 선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에서 건축공사를 진행할 경우, 마루바닥 마감재로 사용되는 목재는 시공 후 내구성이 떨어져 작은 충격에도 흠집이 쉽게 발생하여 마루바닥의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목재로 마루바닥을 마감하는 경우, 건물 바닥에 특정 조치 없이 마감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충격음을 완충시키지 못해 아래층에 전달됨으로써 입주자 사이에 심한 스트레스 및 분쟁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목재를 사용한 마루바닥 마감재는 나무의 부식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에는 중금속 및 발암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환기가 원활치 않은 공간에서 장기가 노출될 경우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목재의 특성상 물에 취약한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물과 접촉하게 되면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어 악취가 발생되고 뒤틀림이나 끊어짐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충격흡수를 통한 방음기능을 포함하며, 물에 대한 내성이 강한 소재로 제작하여 방수성을 높이고, 미관상 고급스러운 이미지 표현이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마루바닥 마감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마루 바닥재의 시공방법과 관련하여, 온수 배관으로 난방을 하는 경우가 많은 한국의 일반 가정에서는 마루 바닥재의 시공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접착식 마루바닥 시공법의 경우, 시공하고자 하는 지지층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지지층 위에 다시 개별 단위 유닛으로 된 마루바닥재를 접착시켜 왔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접착식 마루바닥 시공법은 해당 지지층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마루바닥재를 접착시키는 공정이 중복으로 수행됨에 따라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접착식 마루바닥 시공에 관한 공정개선이 요구되는 마루바닥재의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0876호(2007년 08월 14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등과 같은 유해화학 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WPC(Wood Plastic Compotision)인 친환경 소재로 구성되어 소비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철거 시에도 환경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다기능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코르크 소재의 흡음층을 포함하여 보행감을 증대시켜주며, 코르크 패드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 설치될 경우,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코르크, 목재와 플라스틱을 합성한 WPC, 고열의 열압으로 압축 성형된 HPM 등의 소재는 물에 강한 내성을 가지므로, 생활방수가 필요한 가정, 요가센터 및 찜질방 등과 같이 변형이나 습기에 취약할 수 있는 장소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표면에 나무 질감 및 무늬의 연출이 가능하여 자연적인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에게 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고급스러운 제품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표면에 알루미나 전면에 도포된 투명 시트로 마감함으로써, 나무 질감 및 무늬 연출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긁힘 및 찍힘과 같은 외부충격과 수분 및 습기와 같은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마루바닥재에 접착층을 일체로 형성시켜 시공 지지층에 접착제의 도포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착식 마루바닥의 시공에 관한 공정을 개선하는 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층을 원적외선 방출, 탈취, 공기정화, 음이온 발생 등이 발생되는 천연황토가 포함된 겔(gel)상태의 황토접착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마루바닥재의 시공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고 보행감을 향상시키도록 코르크 재질로 형성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흡음층의 물성을 보강하고 균형과 강도를 높여주며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접착력을 구비하는 제1 패드층;
상기 제1 패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물에 대한 내성이 있는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방수보드층;
상기 방수보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방수보드층의 물성을 보강하고 균형과 강도를 높여주며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접착력을 구비하는 제2 패드층;
상기 제2 패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면에는 나무 질감 및 무늬 연출이 가능한 표면장식층;
상기 표면 장식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표면 장식층 상면에 연출되는 나무 질감 및 무늬를 표현하고, 외부 충
격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투명 시트형태로 형성되는 표면보호층;
마루 바닥재를 바닥에 접착하기 위하여 상기 흡음층 배면에 적층되는 접착층; 을 포함하는 바닥재 보드가 서로 연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음층은 1.5mm 이하 두께의 코르크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보드층은 목재와 플라스틱을 합성한 WPC(Wood Plastic Compotision)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장식층은 멜라민수지를 함침한 후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하여 고열의 열압으로 압축 성형된 HPM(High Pressure Melamine sheet)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드층과 상기 제2 패드층은 크라프트 펄프로 제작한 크라프트지(kraft paper)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보호층은 알루미나가 전면에 도포된 투명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무기 충전제에 천연황토가 포함된 겔(gel)상태의 황토접착층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음층은, 상기 제1 패드층과 긴밀한 접착을 위해 상면에 다수개의 격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음층은 상기 격자 홈에 연성(軟性)인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제1 패드층 하면에는 경성(硬性)인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은 비결정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이소부틸렌, 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터,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SIS 및 SBS 블럭 코폴리머 고무 및 폴리우레탄이 포함된 건축물 내장재 시공용 열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은 에폭시 수지계의 주제와 경화제 및 천연황토를 포함한 무기 충전제가 일정비율(3:3:4)의 중량비로 구성된 겔(gel)상태의 황토접착층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겔(gel)상태의 황토접착층은 접착제의 주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에폭시기 분자를 가지는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경화제에 폴리아미드 수지 변성 지방족 아민 경화제 수지 변성 방향족 아민 경화제 수지 수용성 경화제 수지 및 산무수물 경화제 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며, 천연황토가 포함된 무기질 충전제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이형층(release layer)은 셀룰로오스성 재질로 하여 상기 시공용 접착층의 배면으로 적층되고, 상기 시공용 접착층의 노출을 방지하여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보호시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재 보드는, 상면의 테두리와 하면 테두리에 서로 반대형상의 제1 결합돌기와 제1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테두리와 반대측 테두리에 제2 결합돌기와 제2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보드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다른 하나의 바닥재 보드에 형성시킨 제1 삽입홈에 끼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등과 같은 유해화학 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WPC(Wood Plastic Compotision)인 친환경 소재로 구성되어 소비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철거 시에도 환경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르크 소재의 흡음층을 포함하여 보행감을 증대시켜주며, 코르크 패드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 설치될 경우,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르크, 목재와 플라스틱을 합성한 WPC, 고열의 열압으로 압축 성형된 HPM 등의 소재는 물에 강한 내성을 가지므로, 생활방수가 필요한 가정, 요가센터 및 찜질방 등과 같이 변형이나 습기에 취약할 수 있는 장소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에 나무 질감 및 무늬의 연출이 가능하여 자연적인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에게 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고급스러운 제품 이미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에 알루미나 전면에 도포된 투명 시트로 마감함으로써, 나무 질감 및 무늬 연출의 극대화가 가능하고, 긁힘 및 찍힘과 같은 외부충격과 수분 및 습기와 같은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루바닥재에 시공용 접착층을 일체로 구비하여 시공 지지층에 접착제의 도포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착식 마루바닥 시공에 관한 공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시공용 접착층은 원적외선 방출, 탈취, 공기정화, 음이온 발생 등의 인체에 유익한 황토성분이 포함됨으로써, 마루바닥재의 시공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 다기능 마루 바닥재의 적층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의 흡음층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의 흡음층과 제1 패드층의 접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의 바닥재 보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의 적층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는, 흡음층(110), 제1 패드층(120), 방수보드층(130), 제2 패드층(140), 표면장식층(150), 표면보호층(160) 및 접착층(170)을 포함하는 바닥재 보드(100)가 서로 연접하여 형성된다.
흡음층(110)은,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고 보행감을 향상시키도록 코르크 재질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1.5mm 이하 두께의 시트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1.5mm 이상의 두께로도 제작될 수 있다.
제1 패드층(120)은, 흡음층(110) 상면에 적층되고, 흡음층(110)의 물성을 보강하고 균형과 강도를 높여주며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접착력을 구비한다. 또한, 크라프트 펄프로 제작한 크라프트지로 형성되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 접착재가 도포되어 흡음층(110)과 후술할 방수보드층(13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방수보드층(130)은, 제1 패드층(120) 상면에 적층되고, 물에 대한 내성이 있는 방수재질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와 플라스틱을 합성한 친환경 소재인 WPC재질로 형성되어 수분 및 습기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될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제2 패드층(140)은, 방수보드층(130) 상면에 적층되고, 방수보드층(130)의 물성을 보강하고 균형과 강도를 높여주면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접찹력을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제1 패드층(110)과 동일하게 크라프트 펄프로 제작한 크라프트지로 형성되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 접착재가 도포되어 방수보드층(130)과 후술할 표면장식층(15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면장식층(150)은, 제2 패드층(140) 상면에 적층되고, 상면에는 나무 질감 및 다양한 무늬 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멜라민수지를 함침한 후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하여 고열의 열압으로 압축 성형된 HPM 재질로 형성되어 거친 나무 질감 및 다양한 색감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무늬 삽입이 가능하여 맞춤형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표면보호층(160)은, 표면장식층(150) 상면에 적층되고, 표면장식층(150) 상면에 연출되는 나무 질감 및 무늬를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고, 외부 충격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투명 시트형태로 형성된다. 즉, 투명시트 전면에 산화알루미늄의 일종인 알루미나를 도포하여 방수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물건을 떨어뜨렸을 때 찍히거나, 긁히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면장식층(15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음층(110) 배면에 적층되는 상기 접착층(170)은 비결정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이소부틸렌, 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터, 에틸렌 아크릴산 코폴리머, SIS 및 SBS 블럭 코폴리머 고무 및 폴리우레탄이 포함된 건축물 내장재 시공용 열 용융 접착제로 하여, 적층면의 반대면에 높은 접착력이 부여함으로써 마루바닥재의 접착 시공성을 용이하게 한다. 즉, 시공하고자 하는 지지층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층(170)은 접착력이 강한 에폭시수지를 주제로 하고 경화제 및 천연황토를 무기충전제로 하여, 그 혼합 중량비를 3:3:4의 비율로 혼합가열 및 냉각한 겔(gel)상태의 황토접착층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접착층으로 유지되는 탄성력과 접착력을 동시에 갖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중량비와 가열 및 냉각에 의해 겔(gel)상태로 형성되는 상기 황토접착층(170)은 건축물 내장재 시공용으로 사용되어 왔고 특히 인체에 유익한 황토 성분의 무기 충전제가 다량 함유되어 원적외선 방출, 탈취, 공기정화, 음이온 발생되는 등 시공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는 매우 큰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형층(180)은 셀룰로오스성 재질로 되어 상기 접착층의 배면으로 적층되고, 상기 접착층(170)의 노출을 방지하여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보호시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시공작업을 할 경우에는 상기 이형층(180)을 접착층(170)으로부터 탈거시킴으로서 상기 접착층(170)을 시공 지지층과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흡음층(110), 제1 패드층(120), 방수보드층(130), 제2 패드층(140), 표면장식층(150), 표면보호층(160), 접착층(170) 및 이형층(180)이 밀착 압축되어 하나의 바닥재 보드(100)를 형성하게 되고, 복수개의 바닥재 보드(100)가 연접되어 건물 내부에 마감함으로써, 미관상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의 흡음층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의 흡음층과 제1 패드층의 접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층(110)은, 상면에 다수개의 격자 홈(111)을 형성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흡음층(110) 상면에 사선이나 수직으로 다수개의 칼집을 형성하여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때, 격자 홈(111)의 개수, 깊이 및 넓이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격자 홈(111)에는 연성 접착제가 도포되고, 제1 패드층(120) 하면에는 경성 접착제가 도포되게 된다.
즉, 연성 접착제와 경성 접착제는 시간에 흐름에 따라 접착하되, 접착제가 굳어지면서 일정한 접착제 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격자 홈(111)에 삽입되어 굳어지는 연성 접착제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완충 작용을 실시하여 충격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흡음층(110)은 코르크 재질로 형성되는 1차 완충 작용과 연성 접착제에 의한 2차 완충 작용이 가능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세대 주택 및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하게 되면 층간소음 문제를 현격하게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의 바닥재 보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바닥재 보드(100)는, 상면의 테두리와 하면 테두리에 서로 반대형상의 제1 결합돌기(101)와 제1 삽입홈(102)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 테두리와 반대측 테두리에 제2 결합돌기(103)와 제2 삽입홈(10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보드에 형성된 제1 결합돌기(101)가 형성된 적어도 다른 하나의 바닥재 보드에 형성시킨 제1 삽입홈(102)에 끼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하나의 바닥재 보드(100)의 제1 돌출부(101)와 또 다른 하나의 바닥재 보드(100)의 제1 삽입홈(102)이 상호 끼워 결합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바닥재 보드가 연접되어 건물 내부 시공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닥재 보드 101 : 제1 결합돌기
102 : 제1 삽입홈 103 : 제2 결합돌기
104 : 제2 삽입홈 110 : 흡음층
111 : 격자 홈 120 : 제1 패드층
130 : 방수보드층 140 : 제2 패드층
150 : 표면장식층 160 : 표면보호층
170 : 접착층 180 : 이형층

Claims (7)

  1.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고 보행감을 향상시키도록 코르크 재질로 형성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흡음층의 물성을 보강하고 균형과 강도를 높여주며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접착력을 구비하는 제1 패드층;
    상기 제1 패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물에 대한 내성이 있는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방수보드층;
    상기 방수보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방수보드층의 물성을 보강하고 균형과 강도를 높여주며 긴밀하게 적층되도록 접착력을 구비하는 제2 패드층;
    상기 제2 패드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면에는 나무 질감 및 무늬 연출이 가능한 표면장식층;
    상기 표면 장식층 상면에 적층되고, 상기 표면 장식층 상면에 연출되는 나무 질감 및 무늬를 표현하고, 외부 충격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투명 시트형태로 형성되는 표면보호층;
    마루 바닥재를 바닥에 접착하기 위하여 상기 흡음층 배면에 적층되는 접착층; 을 포함하는 바닥재 보드가 서로 연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배면으로 적층되고, 상기 접착층의 노출을 방지하여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셀룰로오스성 재질의 보호시트로 형성되는 이형층(release layer)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은 1.5mm 이하 두께의 코르크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보드층은 목재와 플라스틱을 합성한 WPC(Wood Plastic Compotision)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장식층은 멜라민수지를 함침한 후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하여 고열의 열압으로 압축 성형된 HPM(High Pressure Melamine sheet)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드층과 상기 제2 패드층은 크라프트 펄프로 제작한 크라프트지(kraft paper)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보호층은 알루미나가 전면에 도포된 투명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은 에폭시 수지계의 주제와 경화제 및 천연황토를 포함한 무기 충진제가 일정비율(3:3:4)의 중량비를 가진 겔(gel)상태의 황토접착층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은, 상기 제1 패드층과 긴밀한 접착을 위해 상면에 다수개의 격자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은 상기 격자 홈에 연성(軟性)인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제1 패드층 하면에는 경성(硬性)인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비결정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이소부틸렌, 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터, 에틸렌 아크릴산 코폴리머, SIS 및 SBS 블럭 코폴리머 고무 및 폴리우레탄이 포함된 건축물 내장재 시공용 열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겔(gel)상태의 황토접착층은 접착제의 주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에폭시기 분자를 가지는 에폭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고, 경화제에 폴리아미드 수지 · 변성 지방족 아민 경화제
    수지 · 변성 방향족 아민 경화제 수지 · 수용성 경화제 수지 및 산무수물 경화제 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며, 천연황토가 포함된 무기질 충전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

KR1020210178826A 2021-12-14 2021-12-14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시공용 마루 바닥재 KR20230090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26A KR20230090423A (ko) 2021-12-14 2021-12-14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시공용 마루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26A KR20230090423A (ko) 2021-12-14 2021-12-14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시공용 마루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423A true KR20230090423A (ko) 2023-06-22

Family

ID=8698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826A KR20230090423A (ko) 2021-12-14 2021-12-14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시공용 마루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4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6B1 (ko) 2005-05-10 2007-08-22 이승우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루 바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876B1 (ko) 2005-05-10 2007-08-22 이승우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루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0885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KR101722537B1 (ko)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다기능 마루 바닥재
US20060130416A1 (en) Flooring element
EP3016802B1 (en) Multilayer panel
KR20180032764A (ko) 차음 및 논 슬립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2116007B1 (ko) 층간소음 발생을 저감한 차음 복합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US11649641B2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JP2019504946A (ja) 室内内装材用ボード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そのボードを用いた室内内装材
CN106427165A (zh) 一种适用于地暖的耐压隔音pvc弹性地板及其制备方法
US20230330980A1 (en) Composite pane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230090423A (ko)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시공용 마루 바닥재
KR20170090698A (ko)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접착식 시공용 다기능 마루 바닥재
US20220347979A1 (en) Flooring panel
KR20160090628A (ko) 내충격성 및 차음성이 우수한 바닥용 폴리우레탄 코팅 매트
JP3156500U (ja) 環境保全及び防火機能を具える板の構造
JP2001065166A (ja) 防音性を有する内装材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100470497B1 (ko) 마루바닥재
CN215330622U (zh) 一种外墙涂层结构
US20230102628A1 (en) Flooring panel
CN216239879U (zh) 一种木结构楼面改造构造
CN214688297U (zh) 一种吸音降噪型环保生态板
JP6531192B1 (ja) 界床材
JP7003396B2 (ja) 床用化粧シートおよび床用化粧材
WO2020144112A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