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853A - 케이블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853A
KR20230089853A KR1020210178579A KR20210178579A KR20230089853A KR 20230089853 A KR20230089853 A KR 20230089853A KR 1020210178579 A KR1020210178579 A KR 1020210178579A KR 20210178579 A KR20210178579 A KR 20210178579A KR 20230089853 A KR20230089853 A KR 2023008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extension
uni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800B1 (ko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8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장치와, 이동장치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는 수평지지대와, 레버나 액추에이터의 회전 변위를 상기 수평지지대를 승강이동시키는 직선변위로 전환하는 변위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리프팅장치{CABLE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케이블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의 케이블을 리프팅하기 위한 케이블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구 내에 기설치된 금구류가 노후되거나 불량인 경우 이를 적기에 교체, 보수함으로써 케이블의 건전성을 확보,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 보수 작업은 케이블을 지지하고 있는 금구류(받침대)로부터 케이블을 리프팅시켜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협소한 전력구 공간 내에서 쇠파이프, 장도리 등의 공구를 임의로 채택하여 케이블을 리프팅시키고 있어, 케이블의 외피와 절연층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작용하게 되거나, 케이블이 변형되는 등의 우려가 상시 존재하고 있으며, 별도의 안전장치 없이 작업자가 중량의 케이블을 리프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우려 또한 상시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80480호(2016.05.24 등록, 발명의 명칭: 케이블 리프팅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력구 내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교체하기 위해 중량의 케이블을 리프팅할 수 있는 케이블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는 수평지지대; 및 레버나 액추에이터의 회전 변위를 상기 수평지지대를 승강이동시키는 직선변위로 전환하는 변위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장치는, 수평방향 연장길이가 조절되는 신축연장부; 상기 신축연장부 중 상기 수평지지대와 연결되는 일측부에 설치되고, 바닥과 접하며 상기 신축연장부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바퀴부; 및 상기 신축연장부의 타측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과 접하며 상기 신축연장부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단차보상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차보상조절부는, 상기 신축연장부 상에 형성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하부가 바닥과 접하는 승강볼트부; 및 상기 승강볼트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안착조절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변위전환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이동되는 승강이동부; 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는 케이블받침부; 및 상기 승강이동부와 상기 케이블받침부간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각도 조절가능하게 지지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받침부는, 연장받침대; 및 케이블이 안착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장받침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이블안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받침부는, 상기 연장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를 상기 연장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안착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위치조절구는, 하부가 상기 연장받침대에 안착되고, 상부에 상기 케이블안착구가 안착되는 안착이동체; 상기 안착이동체 상에 상기 연장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이동가이드홀부; 및 상기 이동가이드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받침대에 체결되는 위치조절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받침부는, 상기 연장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를 승강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안착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높이조절구는, 상기 연장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부; 상기 안착이동체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 상에 형성된 승강가이드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안착구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 및 상기 연장받침대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블안착구와 접하고, 하부가 상기 고정너트부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받침부는, 상기 연장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를 승강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안착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높이조절구는, 상기 연장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부; 상기 연장받침대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 상에 형성된 승강가이드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안착구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 및 상기 연장받침대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블안착구와 접하고, 하부가 상기 고정너트부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상기 승강이동부측으로 접거나 수평을 이루게 펼치는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승강이동부와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힌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승강이동부에 고정되고, 상부에 제1받침부가 형성되며, 측부에 제1고정홀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부;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받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받침부가 제1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받침부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는 제1회동부; 및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제1받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홀부에 횡방향으로 끼워지며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상기 제1각도로 유지시키는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승강이동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 상에 형성되는 제2고정홀부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받침부가 상기 제1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받침부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제2회동부; 및 상기 제2안착부가 상기 제2받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홀부에 종방향으로 끼워지며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상기 제1각도로 유지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지지대는, 일측부가 상기 승강이동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이블받침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결합 시 상기 승강이동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지지하는 하중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보조지지부는, 상기 케이블받침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이동부에서 상기 케이블받침부측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를 가지는 연장바; 상기 승강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바의 일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연결부;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바의 상향 회동 시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결속홀부; 및 상기 바결속홀부와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를 관통하며,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를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결속하는 바결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바는, 상기 연장바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이동부측에서 상기 케이블받침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향경사부; 상기 상향경사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홀부; 상기 상향경사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받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바결속홀부에 체결되는 제2결합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는, 협소한 전력구내 공간 상에서 이동장치를 이용해 목적한 작업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변위전환장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는 수평지지대를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이동시키면서 중량의 케이블을 리프팅하거나, 목적한 위치에, 예를 들어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거쳐, 전력구 내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용이하게 교체, 보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이동장치와 수직지지대 및 변위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이동장치와 수직지지대 및 변위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이동장치와 수직지지대 및 변위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수평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수평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수평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각도조절부와 하중보조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1)는 이동장치(2), 수직지지대(3), 수평지지대(4), 변위전환장치(5)를 포함한다.
이동장치(2)는 바퀴에 의해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작업자는 이동장치(2)의 후방부(도 1 상에서 좌측부)에 구비된 이동손잡이부(31)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장치(2)에 이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바퀴부(22)만이 바닥(8)에 닿게 바퀴부(22)의 전방부를 바닥(8)으로부터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전방을 포함한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대(3)는 이동장치(2)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된다. 수직지지대(3)는 직선형으로 상향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하부가 이동장치(2)와 연결된다. 수평지지대(4)는 복수개의 케이블(7)을 하측에서 받쳐 지지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수평지지대(4)의 일단부는 변위전환장치(5)를 매개로 하여 수직지지대(3)를 따라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변위전환장치(5)는 레버(51)나 액추에이터(미도시)의 회전 변위를 수평지지대(4)를 승강이동시키는 직선변위로 전환한다. 변위전환장치(5)의 레버(51)를 수동 조작하거나, 버튼 등을 조작하여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수평지지대(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변위전환장치(5)를 이용해 수평지지대(4)의 위치를 기설치된 케이블(7)의 높이보다 낮게 하강시킨 상태에서 케이블(7)의 하측에 수평지지대(4)를 위치시킬 수 있고, 변위전환장치(5)를 이용해 수평지지대(4)의 위치를 케이블(7)의 높이 이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수평지지대(4)로 케이블(7)을 리프팅시킬 수 있다.
변위전환장치(5)는 회전 변위를 직선변위로 변환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기존의 공지기술을 포함하여 리니어 가이드 구조, 랙피니언 구조 등의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구조와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이동장치와 수직지지대 및 변위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이동장치와 수직지지대 및 변위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이동장치와 수직지지대 및 변위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2)는 신축연장부(21), 바퀴부(22), 단차보상조절부(23)를 포함한다.
신축연장부(21)는 수평방향 연장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다. 신축연장부(21)가 수평방향 연장길이를 조절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있어서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제1부재(도면부호 미표기)와, 제1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부재(도면부호 미표기)와, 제1부재나 제2부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도면부호 미표기)을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부재(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에 대한 제2부재의 인출 길이를 목적한 길이만큼 조절한 상태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겹치는 부분에 위치되는 관통홀에 고정부재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작업장의 작업조건, 환경에 맞추어 신축연장부(21)의 길이를 다양하게 증감조절할 수 있다.
바퀴부(22)는 바퀴 구조를 가지고, 신축연장부(21) 중 수평지지대(4)와 연결되는 후방부(도 1, 도 4 상에서 좌측부)에 설치된다. 바퀴부(22)는 바닥(8)과 접하며 신축연장부(21)의 후방부를 지지한다. 단차보상조절부(23)는 신축연장부(21)의 전방부(도 1, 도 4 상에서 우측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8)과 접하며 신축연장부(21)의 전방부를 지지한다.
바퀴부(22)는 신축연장부(21)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1부재에 결합되고, 단차보상조절부(23)는 신축연장부(21)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제2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차보상조절부(23)는 너트부(24), 승강볼트부(25), 안착조절손잡이부(26)를 포함한다.
너트부(24)는 승강볼트부(25)가 나사체결가능한 암나사구조를 가지고, 신축연장부(2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신축연장부(21)에 일체로 결합된다. 승강볼트부(25)는 너트부(24)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하부가 바닥(8)과 접한다.
안착조절손잡이부(26)는 승강볼트부(25)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작업자는 안착조절손잡이부(26)를 파지한 상태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승강볼트부(25)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차보상조절부(23)의 구조에 의해, 바닥(8)이 단턱이 형성되는 등의 평탄하지 않거나 불규칙한 구조를 가지더라도, 신축연장부(21)와 수평지지대(4)의 연장방향을 목적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수평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수평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수평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투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4)는 승강이동부(41), 케이블받침부(42), 각도조절부(47), 하중보조지지부(48)(도 11 참조)를 포함한다.
승강이동부(41)는 변위전환장치(5)를 매개로 하여 수직지지대(3)에 결합되고, 변위전환장치(5)의 작동에 의해 수직지지대(3)를 따라 승강이동된다. 변위전환장치(5)는 수직지지대(3)에 설치되고, 승강이동부(41)는 변위전환장치(5) 중 수직지지대(3)를 따라 승강이동되는 승강이동체(도면부호 미표기)에 결합됨으로써 수직지지대(3)를 따라 승강이동된다.
케이블받침부(42)는 케이블(7)을 받쳐 지지한다. 케이블받침부(42)는 선형의 형태를 가지는 케이블(7) 복수개나, 복수개의 케이블 다발을 상호 이격되게 구분하여 받쳐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케이블받침부(42)는 연장받침대(43), 케이블안착구(44), 안착위치조절구(45), 안착높이조절구(46)를 포함한다.
연장받침대(43)는 직선의 형태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케이블안착구(44)는 케이블(7)이 안착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연장받침대(43)의 상부에 배치된다. 케이블안착구(44)는 선형의 형태를 가지는 복수개의 케이블(7)이 임의로 흩어지지 않고 서로 접하거나 모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면부가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안착위치조절구(45)는 연장받침대(43)에 설치되고, 케이블안착구(44)를 연장받침대(43)의 길이방향으로, 즉 전후방향(도 7, 도 9 상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위치조절구(45)는 안착이동체(451), 이동가이드홀부(452), 위치조절볼트부(453), 위치조절손잡이부(454)를 포함한다.
안착이동체(451)는 연장받침대(43)와 케이블안착구(44)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이동체(451)는 케이블안착구(44)보다 확장된 좌우방향 너비를 가지는 납작한 사각형 블럭의 형상을 가진다. 안착이동체(451)의 하부는 연장받침대(43)에 안착되고, 안착이동체(451)의 상부에는 케이블안착구(44)가 안착된다.
이동가이드홀부(452)는 안착이동체(451) 중 케이블안착구(44)의 좌, 우측에 위치되는 좌측부와 우측부에 연장받침대(43)의 길이방향으로, 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위치조절볼트부(453)는 이동가이드홀부(452)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받침대(43)에 체결된다. 위치조절손잡이부(454)는 위치조절볼트부(453)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작업자는 위치조절손잡이부(454)를 파지한 상태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시킴으로써, 위치조절볼트부(453)를 상승 이동시키면서 안착이동체(451)를 연장받침대(43)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 결속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착이동체(451)를 목적한 전후방향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는, 위치조절볼트부(453)를 하강 이동시킴으로써 안착이동체(451)를 연장받침대(43)측으로 가압하여 목적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안착높이조절구(46)는 연장받침대(43)에 설치되고, 케이블안착구(44)를 승강이동가능하게 결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높이조절구(46)는 고정너트부(461), 회전구속부(462), 높이조절볼트부(463), 높이조절손잡이부(464), 가압고정부(465)를 포함한다.
고정너트부(461)는 연장받침대(43)의 하부에 설치된다. 연장받침대(43)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종단면 형상을 가진다(도 8, 도 11 참조). 고정너트부(461)는 하부가 개방된 종단면 형상을 가지는 연장받침대(43)의 내부에, 즉 평탄면을 이루는 상부의 저면부에 배치되고, 연장받침대(4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연장받침대(43)에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회전구속부(462)는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안착이동체(451)에서 케이블안착구(44)측으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된다. 회전구속부(462)의 하부는 안착이동체(451)에 고정되고, 상부는 케이블안착구(44) 상에 형성된 승강가이드홀부(441)에 삽입되어 케이블안착구(44)의 회전을 구속한다.
즉, 회전구속부(462)는 안착이동체(451)에 대해 케이블안착구(44)가 임의로 회전되는 일 없이, 승강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케이블안착구(44)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안착이동체(451)는 임의로 회전되는 일 없이, 회전구속부(462)에 가이드되어, 다른 표현으로 회전구속부(462)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정되게 승강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속부(462)는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케이블안착구(44)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나,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회전구속부(462)가 원형이 아닌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승강가이드홀부(441)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 회전구속부(462)는 복수개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케이블안착구(44)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높이조절볼트부(463)는 케이블안착구(44)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부로, 연장받침대(43)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높이조절볼트부(463)의 상부는 케이블안착구(44)의 하부와 접하고, 높이조절볼트부(463)의 하부는 고정너트부(461)에 나사체결된다.
높이조절손잡이부(464)는 고정너트부(461)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높이조절볼트부(463)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작업자는 높이조절손잡이부(464)를 파지한 상태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함으로써, 높이조절볼트부(463)와 케이블안착구(44)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고정부(465)는 고정너트부(46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가압고정부(465) 중 고정너트부(461)의 외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가압고정부(465)의 중간부는 고정너트부(461)에 나사체결되며, 가압고정부(465) 중 고정너트부(461)의 내부에 위치되는 타단부는 높이조절볼트부(463)를 횡방향으로 가압하여 높이조절볼트부(463)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고정한다.
각도조절부(47)는 수직지지대(3)에 대한 수평지지대(4)의 상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승강이동부(41)와 케이블받침부(42)간의 연결부에 구비된다. 각도조절부(47)는 케이블받침부(42)를 승강이동부(41)측으로 접거나 수평을 이루게 펼치는 회동이 가능하게 승강이동부(41)와 케이블받침부(42)를 힌지 연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의 각도조절부와 하중보조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각도조절부(47)를 이용해 승강이동부(41)에 대한 케이블받침부(42)의 상대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9,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4)를 수평을 이루게 펼쳐지는 제1각도(θ1)로 상향 회동시키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4)가 수직지지대(3)측으로 접혀 내려가는 제2각도(θ2)로 하향 회동시킬 수 있다.
수평지지대(4)를 수직지지대(3)측으로 접어 내린 상태에서는, 수평지지대(4)의 너비와 체적에 상당하는 정도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1)의 너비와 체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대(4)가 작업 현장의 다른 물체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보관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부(47)는 제1지지부(471), 제1회동부(472), 제1고정부재(473), 제2지지부(475), 제2회동부(476), 제2고정부재(477)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471)는 승강이동부(41)의 전방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승강이동부(41)의 전방부에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제1지지부(471)의 상면부에는 제1받침부(471a)가 형성되고, 좌, 우측부에는 제1고정홀부(471b)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회동부(472)는 연장받침대(4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연장받침대(43)에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제1회동부(472)는 힌지결합부(472c)에 의해 제1받침부(471a)와 힌지 결합되고, 작업자가 연장받침대(43)에 인가하는 회전력에 의해 힌지결합부(472c)를 중심으로 제1받침부(471a)와 접하게 하향(수평되게) 회동되거나 또는 제1받침부(471a)로부터 이격되게 상향 회동된다. 이때 연장받침대(43)와 제1회동부(472)는 동일한 회전각 변위를 가진다.
도 10에는 제1회동부(472)가 상향 회동된 상태(수평지지대(4)가 하측으로 접힌 상태, 제2각도(θ2)를 이룬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제1회동부(472)가 하향 회동된 상태(수평지지대(4)가 수평을 이룬 상태, 제1각도(θ1)를 이룬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도 1 참조).
제1회동부(472)에는 제1지지부(471)에 대한 케이블받침부(42)의 상대 각도가 제1각도(θ1)를 이룬 상태에서, 제1받침부(471a)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472a)가 형성되고, 제1고정홀부(471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안착홀부(472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471)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제1회동부(472)는 제1지지부(471)에 대응되는 형상을, 다른 표현으로는 제1지지부(471)의 상면부와 좌, 우측면부를 커버할 수 있는 'ㄷ'자 종단면 형상을 가진다.
제1고정부재(473)는 제1안착부(472a)가 제1받침부(47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안착홀부(472b)와 제1고정홀부(471b)에 횡방향으로 끼워지며 케이블받침부(42)를 제1각도(θ1)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재(473)는 제1안착홀부(472b)를 관통하여 설치된 볼트의 구조를 가지고, 즉 제1지지부(471)에 기설치,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제1지지부(471)와 함께 회동된다. 제1고정부재(473)는 제1안착홀부(472b)와 제1고정홀부(471b)를 연속하여 관통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지지부(475)는 승강이동부(41)나, 변위전환장치(5)의 승강이동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승강이동부(41)의 상부에는 제2받침부(475a)가 형성되고, 제2받침부(475a) 상에는 제2고정홀부(475b)가 종방향으로 연장되게(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회동부(476)는 연장받침대(43)나 제1회동부(47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볼트체결 등에 의해 연장받침대(43)나 제1회동부(472)에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제2회동부(476)는 작업자가 연장받침대(43)에 인가하는 회전력에 의해 제1회동부(472)와 함께 힌지결합부(472c)를 중심으로 제2받침부(475a)와 접하게 하향(수평되게) 회동되거나 또는 제2받침부(475a)로부터 이격되게 상향 회동된다. 이때 연장받침대(43)와 제1회동부(472), 제2회동부(476)는 동일한 회전각 변위를 가진다.
제2회동부(476)에는 연장받침대(43)가 수평을 이룬 상태, 즉 제1각도(θ1)로 회동된 상태에서 제2받침부(475a)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476a)가 형성된다. 연장받침대(43)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제2안착부(476a)는 제1회동부(472)의 상부에 위치된다.
제2안착부(476a) 중 제2고정홀부(475b)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안착홀부(476b)가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477)는 제2안착부(476a)가 제2받침부(475a)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안착홀부(476b)와 제2고정홀부(475b)에 종방향으로 끼워지며 케이블받침부(42)를 제1각도(θ1)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제2고정부재(477)는 제2안착홀부(476b)를 관통하여 제2고정홀부(475b)에 나사체결되는 볼트의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47)에 의하면 좌, 우측 한 쌍의 제1고정부재(473)에 의해 제1회동부(472)를 제1지지부(471)에 횡방향으로 결속할 수 있고, 제2고정부재(477)에 의해 제2회동부(476)를 제2지지부(475)에 종방향으로 결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방향 및 횡방향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방향과 개소에서 연장받침대(43)를 승강이동부(41)나 변위전환장치(5)의 승강이동체에 결속함으로써, 케이블(7)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연장받침대(43)가, 승강이동부(41)나 변위전환장치(5)의 승강이동체를 기준으로 하여 목적한 제1각도(θ1)로, 예를 들어 수평을 이루는 각도로 견고하게 지지, 유지될 수 있다.
하중보조지지부(48)는 각도조절부(47) 외에 추가로 승강이동부(41)(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변위전환장치(5)의 승강이동체'를 포괄하여 명칭한다.)를 기준으로 하여 연장받침대(43)를 지지하는 장치부이다. 각도조절부(47)는 연장받침대(43)의 후단부에 위치되어 연장받침대(43)의 중간부와 전단부를 제1각도(θ1)를 포함한 다양한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연장받침대(43)가 목적한 각도로 유지할 수 있게 결속한다.
이와 비교해, 하중보조지지부(48)는 연장받침대(43)가 목적한 제1각도(θ1)를 이룬 상태에서 연장받침대(43)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를 하단지지함으로써, 연장받침대(43)가, 승강이동부(41)를 기준으로 하여 목적한 제1각도(θ1)를 이룬 상태에서 보다 견고하게 지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하중보조지지부(48)의 후단부는 승강이동부(41)에 결합되고, 전단부는 연장받침대(43)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하중보조지지부(48)의 전단부는 연장받침대(43)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연장받침대(43)에 결합 시 승강이동부(41)를 기준으로 하여 연장받침대(43)를 지지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중보조지지부(48)는 연장바(481), 힌지연결부(486), 바결속홀부(487), 바결속구(488)를 포함한다.
연장바(481)는 연장받침대(43)의 하부에 배치되고, 승강이동부(41)에서 케이블받침부(42)측으로 연장되면서 연장받침대(43)의 중간부를 하단지지하는 바 형태를 가진다. 연장받침대(43)는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가지는데, 연장바(481)는 그 평탄한 상부의 하측이자, 중공의 공간부인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바(481)는 상향경사부(482), 제1결합홀부(483), 수평연장부(484), 제2결합홀부(485)를 포함한다.
상향경사부(482)는 연장바(481)가 목적한 각도로, 예를 들어 제1각도(θ1)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승강이동부(41)에서 연장받침대(43)의 상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1결합홀부(483)는 상향경사부(482)의 하단부 및 후단부 상에 형성되고, 힌지연결부(486)(이하 설명)와 힌지결합된다.
수평연장부(484)는 상향경사부(482)의 상단부 및 전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연장바(481)가 목적한 각도로, 예를 들어 제1각도(θ1)로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케이블받침부(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결합홀부(485)는 수평연장부(484)의 전단부 상에 형성되고, 바결속홀부(487)(이하 설명)에 체결된다.
힌지연결부(486)는 연장바(481)의 후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부로, 승강이동부(4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연장바(481)의 제1결합홀부(483)는 힌지연결부(486)에 힌지연결되고, 바결속구(488)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예를 들어 제2각도(θ2)로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도 연장바(481)와 힌지연결부(486)간의 힌지결합은 연장바(481)가 힌지연결부(486)에 매달린 형태로 유지된다.
바결속홀부(487)는 연장받침대(43)의 내부에, 예를 들어 연장받침대(43)의 평탄한 상부의 저면부에 고정결합되고, 연장바(481)의 상향 회동 시 연장바(481)의 타단부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바결속홀부(487) 중 연장바(481)의 제2결합홀부(485)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바결속구(488)가 관통할 수 있는 홀부가 형성된다. 바결속홀부(487)는 바결속구(488)를 좌, 우측에서 지지할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된 'ㄷ'자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연장바(481)의 전단부는 'ㄷ'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바결속구(488)의 내외부로 이동, 회동될 수 있다.
바결속구(488)는 바결속홀부(487)와 연장바(481)의 전단부를, 즉 제2결합홀부(485)를 관통하며, 연장바(481)의 전단부를 연장받침대(43)에 결속한다. 바결속구(488)는 연장받침대(43)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연장받침대(43)의 측부와, 바결속홀부(487)의 좌, 우측부 중 일측과, 연장바(481)의 제2결합홀부(485)와, 바결속홀부(487)의 좌, 우측부 중 타측을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결속구(488)는 볼트의 구조를 가지고, 연장받침대(43)에 설치, 결속된 구조를 가지나, 상기와 같이 연장받침대(43), 바결속홀부(487), 연장바(481)를 관통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바결속구(488)가 볼트의 구조를 가짐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바결속구(488)에 정방향,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연장받침대(43)의 외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 손잡이부(도면부호 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리프팅장치(1)에 의하면, 협소한 전력구내 공간 상에서 이동장치(2)를 이용해 목적한 작업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변위전환장치(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7)을 받쳐 지지하는 수평지지대(4)를 수직지지대(3)를 따라 승강이동시키면서 중량의 케이블(7)을 리프팅하거나, 목적한 위치에, 예를 들어 받침대(미도시)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거쳐, 전력구 내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용이하게 교체, 보수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케이블 리프팅장치 2 : 이동장치
3 : 수직지지대 4 : 수평지지대
5 : 변위전환장치 7 : 케이블
8 : 바닥 21 : 신축연장부
22 : 바퀴부 23 : 단차보상조절부
24 : 너트부 25 : 승강볼트부
26 : 안착조절손잡이부 31 : 이동손잡이부
41 : 승강이동부 42 : 케이블받침부
43 : 연장받침대 44 : 케이블안착구
45 : 안착위치조절구 46 : 안착높이조절구
47 : 각도조절부 48 : 하중보조지지부
51 : 레버 441 : 승강가이드홀부
451 : 안착이동체 452 : 이동가이드홀부
453 : 위치조절볼트부 454 : 위치조절손잡이부
461 : 고정너트부 462 : 회전구속부
463 : 높이조절볼트부 464 : 높이조절손잡이부
465 : 가압고정부 471 : 제1지지부
471a : 제1받침부 471b : 고정홀부
472 : 제1회동부 472a : 제1안착부
472b : 안착홀부 472c : 힌지결합부
473 : 제1고정부재 475 : 제2지지부
475a : 제2받침부 475b : 제2고정홀부
476 : 제2회동부 476a : 제2안착부
476b : 제2안착홀부 477 : 제2고정부재
481 : 연장바 482 : 상향경사부
483 : 제1결합홀부 484 : 수평연장부
485 : 제2결합홀부 486 : 힌지연결부
487 : 바결속홀부 488 : 바결속구
θ1 : 제1각도 θ2 : 제2각도

Claims (16)

  1.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는 수평지지대; 및
    레버나 액추에이터의 회전 변위를 상기 수평지지대를 승강이동시키는 직선변위로 전환하는 변위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수평방향 연장길이가 조절되는 신축연장부;
    상기 신축연장부 중 상기 수평지지대와 연결되는 일측부에 설치되고, 바닥과 접하며 상기 신축연장부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바퀴부; 및
    상기 신축연장부의 타측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과 접하며 상기 신축연장부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단차보상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보상조절부는,
    상기 신축연장부 상에 형성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하부가 바닥과 접하는 승강볼트부; 및
    상기 승강볼트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안착조절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변위전환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이동되는 승강이동부;
    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는 케이블받침부; 및
    상기 승강이동부와 상기 케이블받침부간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각도 조절가능하게 지지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받침부는,
    연장받침대; 및
    케이블이 안착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장받침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이블안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받침부는,
    상기 연장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를 상기 연장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안착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위치조절구는,
    하부가 상기 연장받침대에 안착되고, 상부에 상기 케이블안착구가 안착되는 안착이동체;
    상기 안착이동체 상에 상기 연장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이동가이드홀부; 및
    상기 이동가이드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받침대에 체결되는 위치조절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받침부는,
    상기 연장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를 승강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안착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높이조절구는,
    상기 연장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부;
    상기 안착이동체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 상에 형성된 승강가이드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안착구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 및
    상기 연장받침대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블안착구와 접하고, 하부가 상기 고정너트부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받침부는,
    상기 연장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를 승강이동가능하게 결속하는 안착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높이조절구는,
    상기 연장받침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부;
    상기 연장받침대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안착구 상에 형성된 승강가이드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안착구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 및
    상기 연장받침대를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블안착구와 접하고, 하부가 상기 고정너트부에 나사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상기 승강이동부측으로 접거나 수평을 이루게 펼치는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승강이동부와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힌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승강이동부에 고정되고, 상부에 제1받침부가 형성되며, 측부에 제1고정홀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부;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받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받침부가 제1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1받침부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가 형성되는 제1회동부; 및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제1받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홀부에 횡방향으로 끼워지며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상기 제1각도로 유지시키는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승강이동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 상에 형성되는 제2고정홀부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받침부가 상기 제1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받침부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제2회동부; 및
    상기 제2안착부가 상기 제2받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홀부에 종방향으로 끼워지며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상기 제1각도로 유지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는,
    일측부가 상기 승강이동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이블받침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결합 시 상기 승강이동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케이블받침부를 지지하는 하중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보조지지부는,
    상기 케이블받침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이동부에서 상기 케이블받침부측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를 가지는 연장바;
    상기 승강이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바의 일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연결부;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바의 상향 회동 시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결속홀부; 및
    상기 바결속홀부와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를 관통하며,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를 상기 케이블받침부에 결속하는 바결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는,
    상기 연장바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이동부측에서 상기 케이블받침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향경사부;
    상기 상향경사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홀부;
    상기 상향경사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받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바결속홀부에 체결되는 제2결합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리프팅장치.
KR1020210178579A 2021-12-14 2021-12-14 케이블 리프팅장치 KR10265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79A KR102650800B1 (ko) 2021-12-14 2021-12-14 케이블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79A KR102650800B1 (ko) 2021-12-14 2021-12-14 케이블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53A true KR20230089853A (ko) 2023-06-21
KR102650800B1 KR102650800B1 (ko) 2024-03-26

Family

ID=8698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579A KR102650800B1 (ko) 2021-12-14 2021-12-14 케이블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8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3140A (ja) * 1996-08-09 1998-02-24 Daifuku Co Ltd 昇降荷受け部付き支持装置
JPH11124040A (ja) * 1997-10-24 1999-05-11 Daifuku Co Ltd 手押し式荷搬送台車
US20060048979A1 (en) * 2003-01-31 2006-03-09 Bt Industries Ab Device at handtruck
KR20080046117A (ko) * 2006-11-21 2008-05-26 한국공항공사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KR20100062758A (ko) * 2008-12-02 2010-06-10 조종신 물건 이동용 핸디카트
US20110052356A1 (en) * 2009-08-31 2011-03-03 Raytheon Company Multidimensional Lifting Handtruck
KR20130021730A (ko) * 2011-08-23 2013-03-06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경사로
KR102055270B1 (ko) * 2018-07-17 2019-12-12 김영길 적재판의 승강 조절이 용이한 핸드카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3140A (ja) * 1996-08-09 1998-02-24 Daifuku Co Ltd 昇降荷受け部付き支持装置
JPH11124040A (ja) * 1997-10-24 1999-05-11 Daifuku Co Ltd 手押し式荷搬送台車
US20060048979A1 (en) * 2003-01-31 2006-03-09 Bt Industries Ab Device at handtruck
KR20080046117A (ko) * 2006-11-21 2008-05-26 한국공항공사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KR20100062758A (ko) * 2008-12-02 2010-06-10 조종신 물건 이동용 핸디카트
US20110052356A1 (en) * 2009-08-31 2011-03-03 Raytheon Company Multidimensional Lifting Handtruck
KR20130021730A (ko) * 2011-08-23 2013-03-06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경사로
KR102055270B1 (ko) * 2018-07-17 2019-12-12 김영길 적재판의 승강 조절이 용이한 핸드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800B1 (ko)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642B1 (ko) 용접용 고정지그
CA2025927C (en) Inverted angle drill
US9427849B2 (en) Adjustable workpiece repair and buildup stand
US20100108441A1 (en) Adjustable work platform for pipe and casing stabbing operations
AU2007221789B2 (en) Lever-actuated retractable wheel and movable platform using same
WO2001068313A1 (en) Welding roller stand for rotation welding
EP3817903B1 (en) Tiltable carriage assembly and sawmill incorporating same
EP3509978B1 (en) Apparatus for the reparation of post-collision, damaged or under maintenance vehicles
US7874234B2 (en) Lathe with bracket mounted banjo
KR20120118808A (ko) 터닝롤러를 이용한 파이프 용접용 자동 접지장치
JP5077151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シート取付部の耐久試験装置
KR20230089853A (ko) 케이블 리프팅장치
KR100609019B1 (ko) 용접캐리지의 용접구간 연장장치
JP5064774B2 (ja) グラインダ保持装置
CN217776009U (zh) 可多方位调整的焊枪夹持架
CN210703270U (zh) 一种管道焊接装置
JP4707466B2 (ja) 作業台着脱式昇降台及び作業台
CN212044440U (zh) 一种汽车座椅组装支架
CN211804606U (zh) 一种具备防脱落功能的驾驶位座椅焊接夹具
AU2016253015A1 (en) Sod positioning machine
JPH10180665A (ja) 作業用アーム
CN217740957U (zh) 一种电缆接头热熔焊接设备
JPS6349762B2 (ko)
JPH10218588A (ja) 作業用アームのバランス装置
JP4078278B2 (ja) 軒先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