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436A -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436A
KR20230089436A KR1020210178057A KR20210178057A KR20230089436A KR 20230089436 A KR20230089436 A KR 20230089436A KR 1020210178057 A KR1020210178057 A KR 1020210178057A KR 20210178057 A KR20210178057 A KR 20210178057A KR 20230089436 A KR20230089436 A KR 2023008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heated air
heated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651B1 (ko
Inventor
강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움
Priority to KR102021017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6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0/00Dry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F53/00 - D06F5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매트리스가 수납된 후 가열 공기를 공급받아 건조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장치의 수납부에 매트리스를 폭 방향을 따라 눕혀서 수납하여 건조 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수납부 내부를 높이 방향을 따라 다단 구조로 형성하여 복수의 매트리스를 수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납부에 수납된 매트리스에 가열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수납부 하부에 가열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를 설치하여 수납부의 하부에 거치된 매트리스에도 가열 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Mobile mattress dry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매트리스가 수납된 후 가열 공기를 공급받아 건조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트리스는 특성상 습기를 머금기 때문에 집먼지진드기 등이 서식하며, 미세먼지에 의해 오염되어 이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매트리스는 다른 침구류와 달리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쉽게 세탁할 수 없어서 위생적으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매트리스를 전문적으로 관리해 주는 전문 세탁업체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가정뿐만 아니라 병원, 기숙사 및 군부대 등에서도 전문 세탁업체에 위탁해 매트리스를 관리받고 있다. 전문 세탁업체에 의한 매트리스 세탁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진드기와 세균 등이 제거되는 자외선 살균 공정, 자외선 살균 공정으로 제거된 진드기의 사체와 먼지가 흡입되는 건식 청소 공정, 찌든 때와 얼룩, 냄새를 제거하면서 매트리스 속 진드기, 먼지가 제거되는 습식 세탁 공정, 남아 있는 진드기와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어 살균하는 스팀 살균 공정, 스팀 살균 공정 이후 잔류물이 흡입되는 헹굼 공정 및 매트리스에 살균제가 분사돼 잔존하는 세균 등이 제거되는 항균 및 살균 공정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술한 매트리스 세탁 과정에서는 습식 세탁 공정 및 스팀 살균 공정을 거친 후 수분을 빨아들이는 헹굼 공정을 거치기는 하지만 별도의 건조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매트리스 세탁 후 매트리스가 습기에 의해 눅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매트리스를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전용 건조 장치가 마련된 곳으로 운반해야 하는데, 운반하는 과정에서 매트리스가 추가로 오염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매트리스 건조 장치를 설치하여 이동식 침대 매트리스 건조 장치가 안출되었으나, 매트리스 건조 장치 내부에 매트리스를 폭 방향을 따라 세운 상태로 수납하기 때문에 큰 사이즈의 매트리스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건조 장치의 높이가 높아져야 한다. 그러나, 건조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면 아파트 등 건물 내 지하 주차장으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높이가 높지 않으면서 복수의 매트리스를 건조 장치 내부에 수납하여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6562호 ("이동식 침대 매트리스 건조장치", 2020.06.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장치의 수납부에 매트리스를 폭 방향을 따라 눕혀서 수납하여 건조 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납부 내부를 높이 방향을 따라 다단 구조로 형성하여 복수의 매트리스를 수납할 수 있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수납부에 수납된 매트리스에 가열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수납부 하부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를 설치하여 수납부의 하부에 거치된 매트리스에도 가열 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는, 복수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되, 내부 공간이 구획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일측 구획부에 형성되되, 내부 공간에 외기가 유입되어 가열되는 가열 공기 공급부; 상기 함체의 타측 구획부에 형성되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트리스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에서 발생된 가열 공기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가열 공기 유입부; 및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복수의 공기 유동부가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수납부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납부의 내부 공간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 공기 유입부는, 일단이 상기 가열 공기 유입부의 내벽의 일부 또는 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는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배기홀이 형성된 가열 공기 배출부 및 일단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와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가열 공기 배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가열 공기 배출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가열 공기 이동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유입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외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수용되는 열교환 챔버, 상기 열교환 챔버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열교환 챔버의 외면에 상기 열교환 챔버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외부 공기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외기 유입부가 형성된 제1구역과 상기 가열부가 설치된 제2구역이 구획 벽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제1구역에 공급된 외부 공기가 상기 제2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벽에 형성되는 유로 형태의 예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열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제1구역으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예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일단은 송풍팬과 결합되고, 타단은 가열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 챔버 내에서 가열된 가열 공기가 상기 가열 공기 유입부를 통과하여 상기 수납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가열 공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 공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열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가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 유로가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 공기 이동 덕트는, 상기 복수의 노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가열 공기가 상기 가열 공기 배출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노즐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노즐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즐의 개폐 또는 상기 노즐의 개방되는 면적을 제어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가열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노즐 중 가열 공기 이동 덕트가 결합되지 않는 노즐에 끼움 결합되는 유량 제어 장치의 측면은 노즐의 외측 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유량 제어 장치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가열 공기 이동 덕트가 결합된 노즐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복수의 단위 도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는 건조 장치의 수납부에 매트리스를 폭 방향을 따라 눕혀서 수납하여 건조 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지하 주차장 등 높이 제한이 있는 장소에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수납부 내부를 높이 방향을 따라 다단 구조로 형성하여 복수의 매트리스를 수납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수납부에 수납된 매트리스에 가열 공기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수납부 하부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를 설치하여 수납부의 하부에 거치된 매트리스에도 가열 공기를 직접 공급되어 매트리스가 수납되는 위치와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및 가열 공기 공급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정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가열 공기 공급부 내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가열 공기 공급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예열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가열 공기 가이드부 측면도 및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가열 공기 가이드부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정면도 및 측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10)는 크게 이동부(300), 가열 공기 공급부(200) 및 수납부(100) 세 가지 구성을 포함한다.
먼저 이동부(300)는 하부에 복수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트럭 형태의 차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300)에 가열 공기 공급부(200)와 수납부(100)가 설치되고, 작업자가 이동부(300)에 탑승하여 직접 운전하거나 이동부(300)의 자율 주행에 의해 매트리스(M)의 건조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방문할 수 있다.
가열 공기 공급부(2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 공간에 버너 등의 가열 수단이 설치되며, 가열 공기 공급부(200) 내부에 외기 및 순환되는 공기가 흡기되고, 가열 수단에 의해 흡기된 공기가 가열된다. 가열 공기 공급부(200)에는 도어(160)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도어(160)를 열고 가열 공기 공급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점검 등을 할 수 있으며, 가열 공기 공급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업 패널이 도어(16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수납부(100) 또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둘레면 중 선택되는 한 면 또는 두 면에 도어(160)가 설치되어 내부에 매트리스(M)를 수납시킬 수 있다.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은 가열 공기 공급부(20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가열 공기 공급부(200)에서 가열된 가열 공기를 공급받는다. 수납부(100)에 공급된 가열 공기는 수납부(100)에 수납된 매트리스(M)를 건조시킨다.
이때, 가열 공기 공급부(200)와 수납부(100)는 일체의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이 구획된 후 일측이 가열 공기 공급부(200), 타측이 수납부(100)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가열 공기 공급부(200)와 수납부(100)가 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10)의 구성은 지면으로부터 2.7m 이하로 설치되어 아파트 단지에 형성되는 지하 주차장이나 높이 제한이 있는 진입 구역에도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매트리스(M)가 수납부(100)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수납될 경우에는 사이즈가 큰 매트리스(M)를 수납하기 위해 수납부(100)의 높이가 2.7m를 초과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납부(100)에는 매트리스(M)가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눕는 면이 수납부(100)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수납부(100)에 수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10)의 수납부(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10)의 수납부(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수납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110)가 설치되며, 매트리스(M)는 지지부(110)의 상면에 놓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수납부(100)에는 복수의 매트리스(M)가 수납될 수 있다.
수납부(100)의 벽면에는 가열 공기 유입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벽면 중 선택되는 하나의 벽면에 통공이 형성되나 가열 공기 공급부(200)와 가장 인접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공기 유입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통공은 가열 공기 공급부(200)와 연통되어 설치된다. 즉, 가열 공기 공급부(200)에서 가열된 가열 공기가 가열 공기 유입부(120)를 통과하여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된다.
도 2에 도시된 일 예로는 가열 공기 공급부(200)가 사각 홀 형태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원형 또는 여러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홀이 형성되어 가열 공기 유입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수납부(100)의 복수의 벽면 중 선택되는 하나의 벽면에는 배기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홀 형태가 형성된다. 배기부(130)는 매트리스(M)를 건조시킨 가열 공기를 외부 또는 가열 공기 공급부(200)로 배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배기부(130)는 매트리스(M)를 건조시킨 가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거나 매트리스(M)를 건조시킨 가열 공기를 가열 공기 공급부(200)로 이동하여 다시 가열된 후 수납부(100)에 재공급될 수 있도록 가열 공기 공급부(200)와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유로 상에 밸브가 설치된 바이패스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밸브 제어에 따라 외부로 배기되거나 가열 공기 공급부(2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배기부(13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유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설치되어 외부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10)에는 복수의 공기 유동부(111)가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 공기가 매트리스(M)의 하면에 접촉되어 매트리스(M)의 전체 영역이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10)는 가열 공기의 온도에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거운 매트리스(M)를 지지하기 위해 강성이 높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100)에 설치되는 지지부(110) 중 가장 아래에 설치되는 지지부(110)에 수납되는 매트리스(M)는 상부에 수납된 매트리스(M)에 의해 공기가 순환이 방해되기 때문에 제대로 건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납부(100)의 가장 아래에 설치되는 지지부(110)의 하부에 가열 공기를 직접 공급하기 위한 가열 공기 배출부(140)가 수납부(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가열 공기 배출부(140)와 가장 아래에 설치되는 지지부(110)는 가장 아래에 설치되는 지지부(110)에 수납되는 매트리스(M)에 가열 공기를 골고루 공급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수납부(10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가열 공기를 직접 공급하는 가열 공기 배출부(14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의 바닥면에는 수납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의 가열 공기 배출부(1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일단은 가열 공기 유입부(120), 타단은 가열 공기 배출부(140)와 결합되는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가 설치된다. 이때, 가열 공기 배출부(140)와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지지부(110)가 설치되지 않은 수납부(100)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가열 공기 유입부(120)의 일부 영역에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의 일단이 삽입되며, 가열 공기 공급부(200)로부터 가열된 가열 공기가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를 따라 이동하여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의 타단에 결합된 가열 공기 배출부(140)에 가열 공기가 공급된다. 이때, 가열 공기 배출부(140)의 끝단까지 가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의 타단 또는 가열 공기 배출부(140) 내부의 유로 상에 펌프 또는 팬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의 절곡부는 가열 공기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최대한 넓은 각도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열 공기 배출부(140)는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복수의 배기홀이 형성된다.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로부터 가열 공기 배출부(140)로 공급된 가열 공기는 가열 공기 배출부(140)의 상단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홀을 통해 토출되어 매트리스(M)를 건조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에 하나의 가열 공기 배출부(140)가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에 복수의 가열 공기 배출부(140)가 연결되어 가열 공기가 수납부(100)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므로, 이는 작업자가 설치 환경에 맞게 고려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수납부(100)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110) 각각의 하부에 가열 공기 배출부(1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지지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 공기 배출부(140)에 형성되는 배기홀을 상단뿐만 아니라 하단에도 형성하여 상부 지지부(100)에 수납된 매트리스(M)의 하부와 하부 지지부(100)에 수납된 매트리스(M)의 상부에 가열 공기를 토출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매트리스(M)가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및 가열 공기 공급부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공급부(200)에 외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구역(220)에 수용되어 제2구역(220) 내부에 설치된 가열부(222)에 의해 가열된 후, 가열 공기 유입부(120)를 통과하여 수납부(100)로 가열 공기가 공급된다. 가열 공기의 일부는 가열 공기 유입부(120)의 일부 영역에 결합된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를 따라 이동하여 가열 공기 배출부(140)를 통해 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10)의 수납부(100)는 수납부(100)의 상부와 수납부의 하부에서 동시에 가열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매트리스(M)가 수납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매트리스(M)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정단면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공기가 가열 공기 유입부(120)를 통해 상기 수납부(100)에 공급될 때 가열 공기가 공급되는 즉시 퍼져 수납부(100)의 타측까지 가열 공기가 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공기 유입부(120)의 내벽 벽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판 형태의 가이드 판(121)이 수납부(100)에 향하는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가열 공기가 수납부(100)에 공급되는 즉시 퍼지지 않고 가이드 판(121)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하기 때문에 가열 공기가 뭉친 상태로 수납부(100)의 타측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가이드 판(121)은 가열 공기 유입부(12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가열 공기 공급부 내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 공기 공급부(200)는 수납부(100)와 연통되어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가열 공기 공급부(200) 내부는 서로 기능이 다른 제1구역(210), 제2구역(220) 및 제3구역(230)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종래에는 구역이 구분되지 않고, 일체의 함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외기가 유입되면 가열된 후 수납부로 공급되었으나, 본 발명의 가열 공기 공급부(200)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깨끗한 공기로 매트리스(M)를 건조할 수 있으며, 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제1구역(210)은 외기가 유입되고, 제2구역(220)은 유입된 외기가 가열되며, 제3구역(230)은 수납부(10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제2구역(220)에서 가열된 외기가 수납부(100)에 공급되도록 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가열 공기 공급부(200)의 제1구역(210)에는 하나 이상의 홀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유입부(211)가 형성된다. 외기 유입부(211)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제1구역(210)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 유입부(211)는 제1구역(210)의 하면, 즉, 바닥면에 형성된다.
외기 유입부(211)가 제1구역(210)의 상면이나 정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경우에는 우천 시 외기와 함께 빗물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구역(210)의 바닥면에 외기 유입부(211)가 형성된다. 외기 유입부(211) 상에는 복수의 필터가 설치되어 빗물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제거되어 유입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매트리스 건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구역(2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챔버 형태로 내부에는 공기가 수용되며, 가열부(222)가 설치되어 제2구역(220) 내 수용된 공기를 가열부(222)로 가열시키는 열교환 챔버를 형성하게 된다. 제1구역(210)과 제2구역(220)을 구분하는 벽면 또는 판에 유로 형태의 예열부(221)가 형성되어 제1구역(210) 내로 유입된 외기가 예열부(221)를 통과하여 제2구역(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예열부(221)는 제2구역(220)에 설치되는 가열부(222)와 인접하거나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가열부(222)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예열부(221)를 통과하는 외기는 소정 온도 가열된다.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열부(222)는 버너와 버너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며, 버너뿐만 아니라 공기를 히팅할 수 있는 구성이면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열부(221)를 통과하여 제2구역(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공기는 가열부(222)에 의해 열교환된다. 이때, 제2구역(220) 내에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부(222)의 온도는 가열 공기 공급부(200)의 도어(160)에 설치된 작업 패널이나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구역(220)에서 가열된 공기는 제3구역(230)으로 이동하여 수납부(100)로 공급된다. 제3구역(230)은 제2구역(220)의 상면에 형성되며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3구역(230)은 제2구역(220)의 측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는 점을 감안하여 제2구역(220)의 상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구역(230)에는 송풍팬(231)이 설치되며, 송풍팬(231)의 회전에 의해 제2구역(220)에서 가열된 가열 공기가 제3구역(230)으로 공급된다. 제3구역(230)은 수납부(10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제3구역으로 공급된 가열 공기가 수납부(100)에 형성된 가열 공기 유입부(120)를 통과하여 수납부(100)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가열 공기 공급부(200)는 가열 공기가 수납부(100)에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3구역(230)에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의 일단은 송풍팬(231)과 결합되고,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의 타단은 가열 공기 유입부(120)에 결합되어 송풍팬(231)을 통해 토출되는 가열 공기가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를 따라 이동하여 수납부(100)로 공급된다.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가열 공기 공급부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는 제1구역(2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외기 유입부(211)를 통과하여 제1구역(210)으로 공급된다. 제1구역(210)으로 공급된 공기는 예열부(221)를 통과하며 예열된 후, 제2구역(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제2구역(220) 내부 공간에 수용된 공기는 제2구역(220)에 설치된 가열부(222)에 의해 가열되고 제3구역(230)에 설치된 송풍팬(231)의 동작에 의해 제3구역(230)으로 가열 공기가 공급되고,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를 따라 이동하여 수납부(100)에 공급된다.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의 타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공기 유입부(120)에 결합되며, 복수의 노즐(233)이 구비되어 복수의 노즐로부터 가열 공기가 토출되어 수납부(100)로 공급된다. 이때, 복수의 노즐(233)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에는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가 결합되어 토출되는 가열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 공기 배출부(140)로 이동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예열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부(221)는 가열부(222)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거나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부(222)에 의해 가열된다. 예열부(221)는 제1구역(210)에서 제2구역(220)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로, 가열부(222)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이기 때문에 제1구역(210)에서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기가 예열부(221)를 통과하며 가열되어 제2구역(220)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차가운 공기가 챔버에 바로 유입되면 챔버 내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예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예열부(221)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부(221a)가 아래로 오목한 호 형태로 형성되어 가열부(22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면, 가열부(222)로부터 예열부(221a)가 열을 공급받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더 높은 예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부(221b)의 외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가열부(222)로부터 예열부(221b)가 열을 공급받는 면적을 더 넓힐 수 있으며, 예열부(221b)의 내면에도 복수의 요철 구조를 적용하여 예열부(221b)를 통과하는 외기와 예열부(221b)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혀 예열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예열부(221b)의 외면 및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는 도 8의 (b)에 도시된 호 형태의 예열부(221a)의 외면 및 내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가열 공기 가이드부 측면도 및 평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의 타단, 즉, 가열 공기 유입부(120)에 결합되는 영역에는 복수의 노즐(2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에서부터 차례로 제1노즐(233a), 제2노즐(233b) 제3노즐(233c)이라고 한다.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에는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가 결합되고, 제2노즐(233b)은 수납부(100)의 상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로부터 토출되는 가열 공기는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를 따라 이동하여 수납부(100)의 바닥면에 설치된 가열 공기 배출부(140)를 통해 배출되어 수납부(100)에 공급되며, 제2노즐(233b)로부터 토출되는 가열 공기는 수납부(100)에 직접 공급된다.
따라서,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의 노즐(233)이 복수 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 개의 노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233)은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와 결합되어 가열 공기 배출부(140)로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와 결합되지 않은 노즐은 수납부(100) 내부에 직접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즐(233)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노즐(233)의 폭에 대응되는 소정 두께의 홀이 형성되며, 홀에는 판 형태의 유량 제어 장치(234)가 각각 삽입되어 설치된다. 유량 제어 장치(234)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각 노즐(233)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일부만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유량 제어 장치(234)가 노즐(23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유량 제어 장치(234)의 끝단에는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가 결합되지 않는 제2노즐(233b)에 결합되는 제2유량 제어 장치(234b)는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에 결합되는 제1유량 제어 장치(234a), 제3유랑 제어 장치(234c)보다 두께가 두꺼우며, 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 제어 장치(233)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상기 복수의 노즐(233) 중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가 결합되지 않는 노즐인 제2노즐(233b)에 끼움 결합되는 제2유량 제어 장치(234b)의 측면에 형성되되 노즐의 외측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유량 제어 장치(234b)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가 결합된 노즐인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제어되게 된다.
경사면이 형성된 제2유량 제어 장치(234b)에 의해 제2노즐(233b)이 막혀 있을 경우,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를 따라 이동된 가열 공기가 제2유량 제어 장치(234b)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가열 공기의 이동 방향이 제어되어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b)로 원활하게 유동되어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로 가열 공기의 토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유량 제어 장치(234)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가열 공기 가이드부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공기 가이드부(232)의 노즐(233)에는 판 형태의 유량 제어 장치(234)가 삽입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유량 제어 장치(234)를 조작하여 제1노즐(233a)은 2/3만 개방되고, 제2노즐(233b)은 전체 개방되고, 제3노즐(233c)은 반만 개방되도록 해 각 노즐(233)에서 토출되는 가열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제어 장치(234)가 노즐(233)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한다. 이때, 유량 제어 장치(234)의 하단에는 작업자가 유량 제어 장치(234)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유량 제어 장치(234)와 노즐(233)의 유량 제어 장치(234)와 접촉하는 면이 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별도의 롤러를 회전시키면 유량 제어 장치(234)가 상하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가열 공기 공급부(200)의 도어(160)에 설치된 작업 패널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도 있다.
유량 제어 장치(234)를 이동시켜 가열 공기 이동 덕트(150)로 가열 공기가 공급되지 않아도 될 경우에는 유량 제어 장치(234)를 이용하여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을 폐쇄하고 제2노즐(233b)을 통해서만 가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은 반만 개방하여 평소의 절반만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노즐(233a) 및 제3노즐(233c)뿐만 아니라 제2노즐(233b)도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 제어 장치(234)를 이동시켜 토출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유량 제어 장치(234)를 이용하여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을 개방하고 제2노즐(233b)을 폐쇄하여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을 통해서만 가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노즐(233a)과 제3노즐(233c)은 완전히 개방하고 제2노즐(233b)은 반만 개방하여 제2노즐(233b)을 통해 토출되는 가열 공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제어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의 수납부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60)는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복수의 단위 도어(161)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이는 도어(160)를 열고 닫을 때 필요한 공간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단위 도어(161)가 설치될 경우에는 단위 도어(161)의 폭이 좁거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단위 도어(161)를 열고 닫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 일체의 도어(160)일 때보다 적게 필요하므로 좁은 골목길에서도 매트리스(M)를 수납부(100)에 수납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부(100)를 개폐하기 위해 수납부(100)의 정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단위 도어(161)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상부 단위 도어(161)와 하부 단위 도어(161) 각각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상부 단위 도어(161)만 열거나 하부 단위 도어(161)만 열어 매트리스(M)를 수납부(100) 내부에 수납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의 정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단위 도어(161)가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되어 좌측 단위 도어(161)와 우측 단위 도어(161) 각각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100 수납부
110 지지부 111 공기 유동부
120 가열 공기 유입부 121 가이드 판
130 배기부 140 가열 공기 배출부
150 가열 공기 이동 덕트 160 도어
161 단위 도어 200 가열 공기 공급부
210 제1구역 211 외기 유입부
220 제2구역 221 예열부
222 가열부 230 제3구역
231 송풍팬 232 가열 공기 가이드부
233 노즐 234 유량 제어 장치
300 이동부

Claims (12)

  1. 복수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되, 내부 공간이 구획 형성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일측 구획부에 형성되되, 내부 공간에 외기가 유입되어 가열되는 가열 공기 공급부;
    상기 함체의 타측 구획부에 형성되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트리스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에서 발생된 가열 공기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가열 공기 유입부; 및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며, 복수의 공기 유동부가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수납부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납부의 내부 공간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유입부는,
    일단이 상기 가열 공기 유입부의 내벽의 일부 또는 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 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는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가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복수의 배기홀이 형성된 가열 공기 배출부; 및
    일단은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와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가열 공기 배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가열 공기 배출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가열 공기 이동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 형태로 형성되는 외기 유입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외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수용되는 열교환 챔버;
    상기 열교환 챔버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열교환 챔버의 외면에 상기 열교환 챔버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외부 공기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상기 외기 유입부가 형성된 제1구역과 상기 가열부가 설치된 제2구역이 구획 벽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제1구역에 공급된 외부 공기가 상기 제2구역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 벽에 형성되는 유로 형태의 예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열부는,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제1구역으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예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공급부는,
    일단은 송풍팬과 결합되고, 타단은 가열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 챔버 내에서 가열된 가열 공기가 상기 가열 공기 유입부를 통과하여 상기 수납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가열 공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열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에 가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 유로가 형성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기 이동 덕트는,
    상기 복수의 노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가열 공기가 상기 가열 공기 배출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노즐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노즐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즐의 개폐 또는 상기 노즐의 개방되는 면적을 제어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가열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중 가열 공기 이동 덕트가 결합되지 않는 노즐에 끼움 결합되는 유량 제어 장치의 측면은 노즐의 외측 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유량 제어 장치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가열 공기 이동 덕트가 결합된 노즐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복수의 단위 도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KR1020210178057A 2021-12-13 2021-12-13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KR10258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057A KR102589651B1 (ko) 2021-12-13 2021-12-13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057A KR102589651B1 (ko) 2021-12-13 2021-12-13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436A true KR20230089436A (ko) 2023-06-20
KR102589651B1 KR102589651B1 (ko) 2023-10-16

Family

ID=8699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057A KR102589651B1 (ko) 2021-12-13 2021-12-13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6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801A (ja) * 1996-03-15 1997-09-22 Shimizu Corp 床吹出し空調設備の風量調整装置
KR100430480B1 (ko) * 2001-04-10 2004-05-10 유우영 침대 매트리스의 살균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US20070062063A1 (en) * 2005-09-07 2007-03-22 Langley Vernon W Mobile mattress sanitizer
KR102126562B1 (ko) 2019-12-24 2020-06-25 주식회사 지움 이동식 침대 매트리스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801A (ja) * 1996-03-15 1997-09-22 Shimizu Corp 床吹出し空調設備の風量調整装置
KR100430480B1 (ko) * 2001-04-10 2004-05-10 유우영 침대 매트리스의 살균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US20070062063A1 (en) * 2005-09-07 2007-03-22 Langley Vernon W Mobile mattress sanitizer
KR102126562B1 (ko) 2019-12-24 2020-06-25 주식회사 지움 이동식 침대 매트리스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651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81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 shower
CN114264143B (zh) 床用烘干机
JP6145637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795207B1 (ko) 자동 신발청소기 겸용 수납장
CN106998990B (zh) 具有抽吸单元的洗碗机
KR101358062B1 (ko) 목재 건조장치
US2014023808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26562B1 (ko) 이동식 침대 매트리스 건조장치
KR101035243B1 (ko) 접이식 발 건조기
KR102589651B1 (ko) 이동식 매트리스 건조 장치
JP2010233651A (ja) 食器洗浄機
US10591211B2 (en) Washstand furniture
EP1472968A1 (en) Drying device
KR200471445Y1 (ko) 농산물 건조기
KR20210000288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0433313Y1 (ko) 자동 신발청소기 겸용 수납장
KR20170051814A (ko) 소방용품 건조 장치와 그 소방용품 건조장치의 공기순환 제어방법
JP2007225207A (ja) 浴室乾燥機
KR20220084958A (ko)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JP2011206110A (ja) 食器洗浄機
EP3992352B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100094724A (ko) 의류처리장치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JP7330030B2 (ja) 乾燥機
KR102662601B1 (ko) 신발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