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032A -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032A
KR20230088032A KR1020210176837A KR20210176837A KR20230088032A KR 20230088032 A KR20230088032 A KR 20230088032A KR 1020210176837 A KR1020210176837 A KR 1020210176837A KR 20210176837 A KR20210176837 A KR 20210176837A KR 20230088032 A KR20230088032 A KR 20230088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
unit
grill
airba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희
차동은
윤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032A/ko
Publication of KR2023008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60R2019/525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공기 주입량에 따라 팽창량이 조절되는 에어백이 그릴에 설치되어 그릴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 유량이 조절되어 주행시 공력이 개선되고, 종래의 복잡한 메커니즘이 삭제되어 구조가 단순화되며,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무게가 감소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ACTIVE AIR BAG APPARATUS OF GRILLE}
본 발명은 그릴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 유량이 에어백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메커니즘이 삭제되어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며 무게가 감소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리티에는 구동계 부품과 냉각계 부품의 냉각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모빌리티는 구동계 부품 및 냉각계 부품의 냉각을 위해, 전면부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그릴이 형성된다.
즉, 모빌리티의 주행시 그릴을 통해 유입된 주행풍이 구동계 부품과 냉각계 부품들을 통과함으로써, 각 부품들이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모빌리티의 구동계 부품과 냉각계 부품의 경우 일정 범위 내의 온도에 도달해야 최적의 성능으로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모빌리티의 그릴은 상시 개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구동계 부품과 냉각계 부품이 외기 공기와 상시 열교환된다. 즉, 초기 시동시 구동계 부품의 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 오르기 전까지는 공기의 유입이 오히려 공력 및 연비 개선에 악영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모빌리티의 고속 주행시 주행풍에 따른 공기의 유량이 지나치게 증대되어 공기 저항의 증가로 인해 연비 하락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 모빌리티에는 엑티브 에어 플랩이 구비된다. 이러한 엑티브 에어 플랩은 그릴에 설치되고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폐쇄시 공기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고, 개방시 그릴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다만, 종래의 엑티브 에어 플랩은 복수개의 도어들이 복잡한 링크 구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엑티브 에어 플랩은 구조가 복잡해지고, 무게가 증대되며, 복수개의 도어 및 링크 구조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도 커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엑티브 에어 플랩은 단순히 공기의 유통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999-0024905 U (1999.07.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기 주입량에 따라 팽창량이 조절되는 에어백이 그릴에 설치되어 그릴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 유량이 조절되고, 종래의 복잡한 메커니즘이 삭제되어 구조가 단순화되며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무게가 감소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는 모빌리티의 그릴에 설치되며, 그릴의 개구된 부분과 매칭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복수개로 구성되어 하우징의 개구부에 이격되게 나열되도록 설치되고, 공기 주입시 팽창되어 그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에어백유닛; 및 에어백유닛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에어백유닛은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개구부에 설치된 지지부와, 지지부에 설치되고 공기 주입시 팽창되는 에어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는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지지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면이 연장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부는 지지부의 어느 한쪽 지지면에 설치되며, 만개시 인접한 다른 에어백유닛의 지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부는 지지부의 양측 지지면에 각각 설치되고, 만개시 인접한 다른 에어백유닛의 지지부 또는 에어백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의 양끝단에는 마운팅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마운팅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마운팅홈이 형성되어 에어백유닛이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에는 개구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설치부가 형성되어 개구부가 양측으로 분할되고, 설치부에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며, 설치부 양측의 각 개구부에 에어백유닛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전달수단은 공기를 생성하는 에어펌프와,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복수개의 에어백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에어펌프에서 흡입된 공기를 각 에어백유닛에 분배하는 공기분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전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따라 동력전달수단을 제어하여 에어백유닛의 전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모빌리티의 초기 시동 또는 모빌리티의 주행속도에 따라 에어백유닛의 전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모빌리티 주변의 외기 온도에 따라 에어백유닛의 전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모빌리티의 전방에서 충돌 발생 여부를 더 판단하고, 충돌 발생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백유닛이 최대로 전개되도록 동력전달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는 공기 주입량에 따라 팽창량이 조절되는 에어백이 그릴에 설치되어 그릴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 유량이 조절되어 주행시 공력이 개선되고, 종래의 복잡한 메커니즘이 삭제되어 구조가 단순화되며,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무게가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유닛 및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유닛의 팽창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유닛의 팽창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유닛의 팽창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유닛의 팽창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백유닛을 하우징에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유닛 및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유닛의 팽창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유닛의 팽창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유닛의 팽창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유닛의 팽창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백유닛을 하우징에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의 그릴(G) 공간에 설치되고, 공기 주입시 팽창되어 그릴(G)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에어백유닛(100); 및 에어백유닛(100)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동력전달수단(20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유닛(100)과 동력전달수단(200)으로 구성되며, 모빌리티의 전면부에서 공기가 유통되는 그릴(G)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유닛(100)은 그릴(G)에서 공기가 유통되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공기 주입시 팽창됨으로써 팽창 정도에 따라 그릴(G)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의 유량이 조절된다.
이러한 에어백유닛(100)은 동력전달수단(200)을 통해 공기를 전달받는다. 동력전달수단(200)은 공기를 펌핑하여 에어백유닛(100)에 전달하는 것으로, 에어백유닛(100)에 전달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에어백유닛(100)의 팽창량을 조절함으로써, 그릴(G)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릴(G)의 내측으로 에어백유닛(100)과 동력전달수단(200)이 설치되고, 동력전달수단(200)을 통해 생성된 공기가 에어백유닛(100)에 유입시 에어백유닛(100)이 팽창됨으로써, 에어백유닛(100)의 팽창 형상에 따라 그릴(G)의 개구된 부분의 개도량이 조절되어 그릴(G)을 통한 공기의 유량이 조절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엑티브 에어 플랩을 구성하기 위한 복잡한 메커니즘이 삭제되어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며, 무게가 감소된다. 또한, 에어백유닛(100)의 팽창 형상에 따라 그릴(G)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의 유량이 조절됨으로써, 그릴(G)에 유통되는 공기의 유량을 정밀히 조절하여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릴(G)에 설치되며 그릴(G)의 개구된 부분과 매칭되는 개구부(310)가 형성된 하우징(3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300)은 그릴(G)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정비 편의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300)에는 그릴(G)의 개구된 부분과 매칭되는 개구홀이 형성되어 그릴(G)을 통과한 공기가 유통되도록 한다. 특히, 에어백유닛(1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하우징(300)의 개구부(310)에 상하방향으로 나열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유닛(100)은 그릴(G)의 개구된 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분할되게 구성됨에 따라 팽창 속도가 확보되고, 개별 제어를 통해 공기의 유량을 정밀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유닛(100)은 개구부(31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개구부(310)에 설치된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에 설치되고 공기 주입시 팽창되는 에어백부(120)로 구성된다.
이렇게, 에어백유닛(100)은 지지부(110)와 에어백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부(110)는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주행풍과 함께 에어백부(120)가 팽창됨에 따른 힘을 견뎌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부(110)는 개구부(31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고 복수개로 구성되어 개구부(310)에 나열됨에 따라, 각 지지부(110)에 설치된 에어백부(120)의 팽창시 각각의 에어백부(120)가 하우징(300)의 개구부(310)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 지지부(110)는 개구부(31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지지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면이 연장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지지부(110)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면이 상측과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도식하였다.
이렇게, 지지부(11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면이 연장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눕혀진 상태를 이룸에 따라, 지지부(110)가 그릴(G)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면에 에어백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에어백부(120)는 지지면에 설치됨으로써, 팽창시 지지면에서 지지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되고 팽창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에어백부(120)는 지지부(110)의 어느 한쪽 지지면에 설치되며, 만개시 인접한 다른 에어백유닛(100)의 지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부(120)는 지지부(110)의 상측 지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만개시 상측의 다른 에어백유닛(100)의 하측 지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최상단의 에어백유닛(100)은 에어백부(120)의 만개시 하우징(300)의 개구부(310)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에어백부(120)는 지지부(110)에서 팽창되는 정도에 따라 그릴(G)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완전히 팽창되는 만개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부(120)는 지지부(110)의 한쪽 지지면에만 설치됨에 따라 구조가 단순화되고, 에어백부(120)의 팽창시 다른 에어백유닛(100)의 지지부(110)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에어백부(120)는 지지부(110)의 상측 지지면과 하측 지지면에 각기 설치되고, 만개시 인접한 다른 에어백유닛(100)의 하측 지지면 또는 상측 지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부(120)는 지지부(110)의 상측 지지면과 하측 지지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 지지면에 설치된 에어백부(120)는 만개시 상측의 다른 에어백유닛(100)의 하측 지지면에 접촉되고, 하측 지지면에 설치된 에어백부(120)는 만개시 하측의 다른 에어백유닛(100)의 상측 지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최상단의 에어백유닛(100)은 상측 지지면에 설치된 에어백부(120)의 만개시 하우징(300)의 개구부(310) 상단에 접촉되고, 최하단의 에어백유닛(100)은 하측 지지면에 설치된 에어백부(120)의 만개시 하우징(300)의 개구부(310) 하단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지지부(110)에 설치된 상하측의 에어백부(120)는 팽창되는 정도에 따라 그릴(G)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완전히 팽창되는 만개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부(120)는 지지부(110)의 양측면에 분할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에어백부(120)의 전개속도가 확보되고, 에어백부(120)의 팽창시 인접한 다른 에어백유닛(100)의 에어백부(120)와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에어백유닛(100)은 하우징(300)의 개구부(3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10)의 양끝단에는 마운팅돌기(11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우징(300)의 개구부(310)에는 테두리를 따라 마운팅돌기(111)가 끼움 결합되는 마운팅홈(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부(110)의 끝단에는 마운팅돌기(111)가 형성된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마운팅돌기(111)가 하우징(300)의 개구부(310)에 형성된 마운팅홈(311)이 끼움 결합시, 에어백유닛(100)은 하우징(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0)의 개구부(310)에는 마운팅홈(31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에어뱃유닛(100)은 마운팅돌기(111)를 마운팅홈(311)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하우징(300)의 개구부(310)에 나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유닛(100)은 돌기 및 홈을 이용한 끼움 결합 구조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에어백유닛(100)의 교체 및 정비가 용이하다. 또한, 에어백유닛(100)의 탈부착 구조는 돌기 및 홈을 이용한 구조 외의 자성체, 클립 등으로 다양한 연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3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300)에는 개구부(310)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설치부(320)가 형성되어 개구부(310)가 양측으로 분할되고, 설치부(320)에는 동력전달수단(200)이 설치되며, 설치부(320) 양측의 각 개구부(310)에 에어백유닛(100)이 각각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설치부(320)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개구부(31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도식하였다. 이처럼, 설치부(320)가 하우징(300)의 개구부(31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됨으로써 하우징(300)의 전체 강성이 보강되고, 에어백유닛(100) 및 동력전달수단(200)의 강건한 설치가 가능하다.
즉, 하우징(300)의 개구부(310)는 중앙에 설치부(320)가 연장됨에 따라 개구부(310)가 양측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설치부(320)의 양측 개구부(310)에는 각각 에어백유닛(100)이 나열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에어백유닛(100)을 이루는 에어백부(120)의 크기가 축소되어 공기 주입에 따른 팽창속도가 확보된다. 또한, 동력전달수단(200)은 설치부(320)를 매개로 하우징(300)의 개구부(310) 중앙에 설치됨으로써, 복수개의 에어백유닛(100)에 공기를 더욱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즉, 동력전달수단(200)과 에어백유닛(100) 간의 거리가 감소되어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를 짧게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동력전달수단(200)으로 복수개의 에어백유닛(100)에 공기를 전달하기가 용이하다.
여기서, 동력전달수단(200)은 공기를 생성하는 에어펌프(210)와, 에어펌프(210)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복수개의 에어백유닛(100)에 각각 연결되어 에어펌프(210)에서 흡입된 공기를 각 에어백유닛(100)에 분배하는 공기분배기(220)로 구성된다.
이렇게, 동력전달수단(200)은 에어펌프(210)와 공기분배기(220)로 구성되며, 에어펌프(210)에서 흡입된 공기는 공기분배기(220)에서 각각의 에어백유닛(100)으로 분배되어 각각의 에어백유닛(100)이 팽창될 수 있다.
에어펌프(210)는 압축공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공기분배기(220)는 내부에 각 에어백유닛(100)별로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각 에어백유닛(100)이 개별 제어될 수 있다.
이처럼, 동력전달수단(200)은 하나의 에어펌프(210)로 공기분배기(220)를 통해 복수개의 에어백유닛(100)에 공기를 분배함으로써, 각각의 에어백유닛(100)이 팽창될 수 있으며, 각 에어백유닛(100)의 개별 제어를 통해 모빌리티의 다양한 주행 상황별로 에어백유닛(100)의 팽창량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그릴(G)을 통한 공기의 유입량을 각 상황별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동력전달수단(200)은 제어기(400)를 통해 제어된다.
제어기(400)는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따라 동력전달수단(200)을 제어하여 에어백유닛(100)의 전개 정도를 조절한다. 즉, 제어기(400)는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룸측에 마련되는 구동계 또는 냉각계 부품에 요구되는 공기량을 파악하고, 동력전달수단(200)을 제어하여 요구 공기량에 따라 에어백유닛(100)의 팽창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제어기(400)는 모빌리티의 초기 시동 또는 모빌리티의 주행속도에 따라 에어백유닛(100)의 전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400)는 모빌리티의 주행속도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모빌리티가 고속으로 주행되는 것으로 판단시 에어백유닛(100)이 미팽창되도록 하여 그릴(G)을 통한 공기 유입량이 증대되도록 한다. 또한, 모빌리티가 초기 시동에 따른 웜업이 요구될 경우, 에어백유닛(100)이 최대 팽창되도록 하여 그릴(G)을 통한 공기 유입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기(400)는 모빌리티의 주행속도 및 초기 시동 여부에 따라 에어백유닛(100)의 전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구동계 부품 또는 냉각계 부품이 필요로 하는 최적화된 공기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400)는 모빌리티 주변의 외기 온도에 따라 에어백유닛(100)의 전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모빌리티는 외기 온도에 따라 구동계 부품 또는 냉각계 부품에 영향이 발생된다. 따라서, 모빌리티 주변의 외기 온도에 따라서도, 에어뱃유닛의 전개 정도를 조절하여 그릴(G)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구동계 부품 및 냉각계 부품이 최적화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400)는 모빌리티의 전방에서 충돌 발생 여부를 더 판단하고, 충돌 발생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백유닛(100)이 최대로 전개되도록 동력전달수단(2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400)는 카메라센서, 레이더, 라이다 등을 통해, 모빌리티 전방의 장애물과 충돌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제어기(400)는 모빌리티의 전방에서 보행자 또는 다른 모빌리티를 포함한 장애물과 충돌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시, 에어백유닛(100)이 최대로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유닛(100)을 통해 충격이 흡수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모빌리티는 보행자와 충돌시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하고, 장애물과 충돌됨에 따른 충격이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그릴(G)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는 공기 주입량에 따라 팽창량이 조절되는 에어백이 그릴(G)에 설치되어 그릴(G)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 유량이 조절되어 주행시 공력이 개선되고, 종래의 복잡한 메커니즘이 삭제되어 구조가 단순화되며,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무게가 감소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에어백유닛
110:지지부
111:마운팅돌기
120:에어백부
200:동력전달수단
210:에어펌프
220:공기분배기
300:하우징
310:개구부
320:설치부
311:마운팅홈
400:제어기
G:그릴

Claims (12)

  1. 모빌리티의 그릴에 설치되며, 그릴의 개구된 부분과 매칭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복수개로 구성되어 하우징의 개구부에 이격되게 나열되도록 설치되고, 공기 주입시 팽창되어 그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에어백유닛; 및
    에어백유닛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유닛은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개구부에 설치된 지지부와, 지지부에 설치되고 공기 주입시 팽창되는 에어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부는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지지면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면이 연장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에어백부는 지지부의 어느 한쪽 지지면에 설치되며, 만개시 인접한 다른 에어백유닛의 지지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에어백부는 지지부의 양측 지지면에 각각 설치되고, 만개시 인접한 다른 에어백유닛의 지지부 또는 에어백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부의 양끝단에는 마운팅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마운팅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마운팅홈이 형성되어 에어백유닛이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개구부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설치부가 형성되어 개구부가 양측으로 분할되고, 설치부에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며, 설치부 양측의 각 개구부에 에어백유닛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은 공기를 생성하는 에어펌프와,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복수개의 에어백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에어펌프에서 흡입된 공기를 각 에어백유닛에 분배하는 공기분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에 따라 동력전달수단을 제어하여 에어백유닛의 전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기는 모빌리티의 초기 시동 또는 모빌리티의 주행속도에 따라 에어백유닛의 전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기는 모빌리티 주변의 외기 온도에 따라 에어백유닛의 전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기는 모빌리티의 전방에서 충돌 발생 여부를 더 판단하고, 충돌 발생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백유닛이 최대로 전개되도록 동력전달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KR1020210176837A 2021-12-10 2021-12-10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KR20230088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37A KR20230088032A (ko) 2021-12-10 2021-12-10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37A KR20230088032A (ko) 2021-12-10 2021-12-10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32A true KR20230088032A (ko) 2023-06-19

Family

ID=8698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837A KR20230088032A (ko) 2021-12-10 2021-12-10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0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905U (ko)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905U (ko)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484B1 (en) Grille shutter device
KR101261516B1 (ko) 에어플랩을 구비한 라디에이터 그릴
US7451844B2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US20070169725A1 (en) Device for regulating an air flow for engine cooling
CN105201623A (zh) 用于控制进入车辆发动机室的空气流动的系统
JP2008500484A (ja) 冷却システム
CN105041443A (zh) 用于控制进入车辆发动机室的空气流动速度的系统
KR19990076707A (ko) 내연기관 구동식 차량용 토털 냉각 조립체
KR10163156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20190143804A1 (en) Charge air shutter
KR20110002149A (ko) 에어 플랩
KR20190012363A (ko) 차량용 그릴
KR20230088032A (ko) 그릴의 엑티브 에어백 장치
KR20120106046A (ko) 액티브 에어 플랩
CN111942143B (zh) 一种新能源汽车格栅、进气控制系统及其方法
JP2012067721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KR940000036B1 (ko) 농업용 트랙터의 엔진 냉각구조
CN113232554A (zh) 车辆冷却结构
JP2006168631A (ja) エンジンルームの排熱装置
KR20080037901A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20200047038A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CN114919378A (zh) 一种空调通风系统及车辆
JPH09226388A (ja) 乗用車用エンジンルームの冷却構造
KR20090100994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930713B1 (ko) 액티브 에어 가이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