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322A -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322A
KR20230087322A KR1020210176160A KR20210176160A KR20230087322A KR 20230087322 A KR20230087322 A KR 20230087322A KR 1020210176160 A KR1020210176160 A KR 1020210176160A KR 20210176160 A KR20210176160 A KR 20210176160A KR 20230087322 A KR20230087322 A KR 20230087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aterproof
molding member
bag mold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종
김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7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322A/ko
Priority to PCT/KR2022/019520 priority patent/WO2023106751A1/ko
Priority to CN202280055821.8A priority patent/CN117795785A/zh
Priority to EP22904581.0A priority patent/EP4379969A1/en
Publication of KR2023008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단자; 전면부에 다른 커넥터를 접속할 수 있게 마련된 접속부와, 후면부에 상기 커넥터 단자가 노출되도록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측에 연결되는 커넥터 케이블; 및 사출물로서, 상기 개방부를 완전히 감싸서 밀폐시키도록 마련된 백 몰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Waterproof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은 작동 전압이 약 2.5V ~ 4.2V이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와 같이 높은 출력 전압과 용량이 요구되는 기기에는 배터리 팩을 탑재한다.
상기 배터리 팩은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모듈 내지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전압 및 온도 측정을 위한 센싱 부재, 전압 밸런싱 및 온도 제어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 센싱 부재로부터 전압 및 온도 정보를 BMS에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과 커넥터 등을 포함한다.
한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종 전장 부품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서, 눈 또는 비가 오거나 매우 습한 환경 조건에서도 배터리 모듈이 이상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일정 등급 이상의 방수 성능을 갖는 전장 부품들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는 모듈 케이스의 내외부에 걸쳐 있기 때문에 수분의 유입 통로가 될 수 있음으로 방수 성능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 제품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기존의 배터리 모듈에서 비 방수 커넥터를 새로운 방수 커넥터로 교체하려 해도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와 새로운 방수 커넥터의 구조적 차이 때문에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 자리에 새로운 방수 커넥터를 설치하기 쉽지 않다. 이에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에 방수 성능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 구조에 방수 구조를 추가하여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를 방수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단자; 전면부에 다른 커넥터를 접속할 수 있게 마련된 접속부와, 후면부에 상기 커넥터 단자가 노출되도록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측에 연결되는 커넥터 케이블; 및 사출물로서, 상기 개방부를 완전히 감싸서 밀폐시키도록 마련된 백 몰딩 부재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백 몰딩 부재는 상기 개방 공간을 메꾸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부를 커버하도록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케이블은 상기 백 몰딩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백 몰딩 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백 몰딩 부재는 방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백 몰딩 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부에 사출 성형에 의해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케이블의 일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백 몰딩 부재는 이중 사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면부에 접속부, 후면부에 개방부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전기적 연결 단자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부에 백 몰딩 부재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는, 일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속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는 금속 소재의 커넥터 단자;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측에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케이블은 상기 백 몰딩 부재를 통과하고, 상기 백 몰딩 부재는 상기 커넥터 케이블의 일측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부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방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 구조에 방수 구조를 추가하여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를 방수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에 상기 비 방수 커넥터를 방수 기능이 있는 커넥터로 교체하고자 할 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비 방수 커넥터에 백 몰딩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를 방수 커넥터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여러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각 실시 구성에서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효과 등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배터리 모듈에 적용된 종래 기술에 따른 비 방수 커넥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 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몰딩 부재 적용 전의 방수 커넥터의 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몰딩 부재 적용 후의 방수 커넥터의 후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 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100)와 상기 모듈 케이스(100)의 일측에 장착된 방수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이 밖에도 도면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셀(BC)들, 상기 배터리 셀(BC)들의 전압 및/또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싱 유닛, 상기 배터리 셀(BC)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들 및 냉각 유닛 등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배터리 셀(BC)로는 얇은 판상의 몸체를 갖는 것으로서,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파우치 외장재, 상기 파우치 외장재에 수납 가능하게 마련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포함한다. 예컨대, 파우치형 외장재는, 2개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우치의 내부 공간에 전극 조립체가 수납될 수 있다. 2개의 시트 둘레는 서로 융착됨으로써,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내부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극 리드(BL)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전극 리드(BL)는 파우치 외장재의 융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파우치 외장재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들은, 도 3과 같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고 좌우 방향으로 적층된 스택 구조를 이루며 상기 모듈 케이스(100) 속에 집약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 달리, 외장재가 금속 캔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이차전지나 각형 이차전지가 배터리 셀(BC)로 채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배터리 셀(BC)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10)에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케이스(100)는 메인 하우징(110), 전방 커버(120) 및 후방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하우징(110)은 (X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이 오픈된 대략 직육면 각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하우징(110)은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요소들로부터 셀 어셈블리를 보호할 수 있게 기구적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메인 하우징(11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BC)들로 이루어진 셀 적층체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커버하는 파트를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라고 하고 상기 셀 적층체의 양쪽 측면부를 커버하는 부분들을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와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라고 하면, 본 실시예의 메인 하우징(11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가 모두 일체화된 소위 모노 프레임 형태이다. 상기 모노 프레임 형태의 메인 하우징(110)의 대안으로, 상부 플레이트와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 및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들을 일체화한 소위 U 형 프레임에 하부 플레이트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한 메인 하우징(110)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 하우징(110)은 4면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배터리 모듈(10)의 외부에서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상기 메인 하우징(110) 속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전방 커버(120)와 후방 커버(130)는 오픈되어 있는 상기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전극 리드(BL)들과 버스바들의 노출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들은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극 리드(BL)들이 미리 정해진 패턴대로 버스바(미도시)들에 용접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110) 속에 삽입된다. 이때 전극 리드(BL)들과 다수의 버스바들이 상기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과 후방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전방 커버(120)와 상기 후방 커버(130)가 상기 메인 하우징(110)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극 리드(BL)들과 버스바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차폐된다.
도면의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터리 셀(BC)들의 상태(전압,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부품이 상기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더 구비되고, 상기 센싱 부품은 방수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커넥터(200)는 일부가 모듈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모듈 케이스(10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커버(120)의 상단에 위치함)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수 커넥터(200)에 다른 커넥터(ex: 본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200)가 암 커넥터이면, 다른 커넥터는 수 커넥터를 의미함)를 접속하여 상기 배터리 셀(BC)들의 상태 정보를 모듈 케이스(100)의 외부에 있는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200)는 수분 기타 이물질 등이 상기 모듈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수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러한 방수 커넥터(20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수 커넥터(200)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단자(210), 커넥터 하우징(220), 커넥터 케이블(230) 및 백 몰딩 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단자(210)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 단자로서 구리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단자(210)는 일측은 후술할 커넥터 하우징(220)의 접속부(221)를 향하고 타측은 커넥터 하우징(220)의 개방부(223)를 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내부에 삽입 및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단자(210)는, 도 4와 같이, 개방부(223) 쪽에 구비되고 몸체에서 외팔보 형태로 돌출 형성된 연결핀(211)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핀(211)은 커넥터 케이블(230)을 커넥터 단자(210)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 단자(210)의 연결핀(211)에 피복을 벗겨낸 커넥터 케이블(230)의 일단부(231)를 납땜하여 상기 커넥터 단자(210)와 상기 커넥터 케이블(2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로 본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200)는, 5개의 커넥터 단자(210)들이 5개의 커넥터 케이블(230)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5개의 커넥터 케이블(230)들은 모듈 케이스(100) 내부의 특정 위치에 있는 회로기판(센싱 부품)까지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220)은 전면부(220F)에 다른 커넥터를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221)와, 후면부(220R)에 상기 커넥터 단자(210)가 노출되도록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223) 및 상기 접속부(22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225)는 끝단에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홀(H)들을 구비하고 모듈 케이스(100)의 일측에 방수 커넥터(200)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은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높은 경도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21)는 예컨대 플러그-인 구조로 다른 커넥터의 일부분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되고, 예컨대 모듈 케이스(100)에 방수 커넥터(200)를 조립한 때, 도 2와 같이 모듈 케이스(100)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부연하면, 방수 커넥터(200)는 그 후면부(220R)가 전방 커버(120)에 마련된 커넥터 설치구를 통해 모듈 케이스(100)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삽입되고 마운팅 플레이트부(225)는 상기 전방 커버(120)의 바깥면에 걸려 삽입이 제한되어 접속부(221)는 전방 커버(120)의 외측에 노출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225)의 체결홀(H)들 마다 볼트를 끼워 넣고 상기 전방 커버(120)에 체결하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225)를 고정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해 방수 커넥터(200)는 모듈 케이스(100)의 외벽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방수 커넥터(200)의 전면부(220F)는 모듈 케이스(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수 커넥터(200)의 후면부(220R)는 모듈 케이스(100)의 내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220)의 개방부(223)는 커넥터 단자(210)들의 조립과 커넥터 단자(210)들과 커넥터 케이블(230)들의 납땜 내지 용접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커넥터 단자(210)들의 배열 폭만큼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를 개방시킨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커넥터 하우징(220)은 상기 개방부(223)와 전술한 접속부(221)가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분이나 이물질이 접속부(221)로 들어와 상기 개방부(223)를 통해 모듈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200)는, 도 5와 같이, 상기 개방부(223)가 백 몰딩 부재(240)로 완전히 감싸여져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백 몰딩 부재(24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 케이블(230)들이 연결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220)을 금형(백 몰딩 부재(240)용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에 상기 백 몰딩 부재(240)를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백 몰딩 부재(240)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는 방수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서, 예컨대 폴리 우레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몰딩 부재(240)는 커넥터 하우징(220)의 개방부(223)에 형성된 개방 공간을 빈틈없이 메꾸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를 커버한 형태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과 일체화되며, 상기 커넥터 케이블(230)은 상기 백 몰딩 부재(240)를 통과하여 상기 백 몰딩 부재(240)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 몰딩 부재(240)는 도 5에 도시한 그 겉면뿐만 아니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를 덮고 있는 그 내부도 수지로 완전히 채워진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는 방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를 덮고 있는 백 몰딩 부재(240)의 내부도 수지로 완전히 채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나, 본 실시예의 대안으로 속이 빈 커버 형태로 백 몰딩 부재(24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백 몰딩 부재(240)는 상기 커넥터 케이블(230)의 일측 둘레를 빈틈없이 감싸도록 구성됨으로 커넥터 케이블(230)이 통과하는 부위의 기밀성도 확보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에 백 몰딩 부재(240)를 사출 성형할 때, 폴리 우레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가 상기 커넥터 케이블(230)의 일측 둘레를 완전히 감싸고 경화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 케이블(230)의 일측 둘레와 상기 백 몰딩 부재(240)가 상호 고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케이블(230)의 일측 둘레는 (피복이 벗겨진) 커넥터 케이블(230)의 일단에서 상기 백 몰딩 부재(24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지점까지의 둘레를 의미한다. 따라서 커넥터 케이블(230)이 백 몰딩 부재(240)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이나 방수 성능에 문제가 없고 커넥터 케이블(230)의 일측이 백 몰딩 부재(240)에 고착되어 있어 예컨대 강한 충격에도 커넥터 케이블(230)과 커넥터 단자(210) 간의 (납땜된) 연결 부위가 끊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분이 커넥터 하우징(220)의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상기 백 몰딩 부재(240)에 막혀 모듈 케이스(100)의 안쪽으로 흘러가지 않는다. 또한, 사출 성형시 수지가 커넥터 단자(210)들 사이 공간에 채워짐으로써 커넥터 단자(210)들이 수분에 의해 부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위와 같은 방수 커넥터(200)의 제작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200) 제작방법은 전면부(220F)에 접속부(221), 후면부(220R)에 개방부(223)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22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에 전기적 연결 단자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부(223)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에 백 몰딩 부재(240)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 준비 단계의 경우, 사출 성형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을 제작해도 좋고, 방수 기능이 없는 기존에 이미 존재하는 커넥터 하우징(220)을 그대로 사용해도 좋다.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는, 일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 속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개방부(223)를 통해 노출되는 금속 소재의 커넥터 단자(210)와 상기 커넥터 단자(210)의 일측에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23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전기적 연결단자는 전술한 커넥터 단자(210)와 커넥터 케이블(230)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백 몰딩 부재(240)를 사출 성형하기 전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개방부(223)에 상기 커넥터 단자(210)를 조립하고, 그 다음 커넥터 케이블(230)의 일단의 피복을 벗겨내고 상기 커넥터 단자(210)의 연결핀(211)에 납땜하여 연결한다.
그 후, 커넥터 케이블(230)들이 연결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220)을 금형(백 몰딩 부재(240)용 금형)에 넣고 폴리 우레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후면부(220R)에 상기 백 몰딩 부재(240)를 사출 성형한다.
이상과 같은 방수 커넥터 제작방법에 의하면, 특히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 구조에 방수 구조를 추가하여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를 방수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에 상기 비 방수 커넥터를 방수 기능이 있는 커넥터로 교체하고자 할 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비 방수 커넥터에 백 몰딩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비 방수 커넥터를 방수 커넥터로 재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관측자의 보는 위치나 대상의 놓여 있는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배터리 모듈
100: 모듈 케이스
110: 메인 하우징
120: 전방 커버
130: 후방 커버
200: 방수 커넥터
210: 커넥터 단자
211: 연결핀
220: 커넥터 하우징 220F: 전면부 220R: 후면부
221: 접속부
223: 개방부
225: 마운팅 플레이트부
230: 커넥터 케이블
240: 백 몰딩 부재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단자;
    전면부에 다른 커넥터를 접속할 수 있게 마련된 접속부와, 후면부에 상기 커넥터 단자가 노출되도록 개방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측에 연결되는 커넥터 케이블; 및
    사출물로서, 상기 개방부를 완전히 감싸서 밀폐시키도록 마련된 백 몰딩 부재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몰딩 부재는 상기 개방 공간을 메꾸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부를 커버하도록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케이블은 상기 백 몰딩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백 몰딩 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몰딩 부재는 방수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몰딩 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부에 사출 성형에 의해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케이블의 일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백 몰딩 부재는 이중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7. 전면부에 접속부, 후면부에 개방부를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전기적 연결 단자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부가 밀폐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부에 백 몰딩 부재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 제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단자는,
    일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는 금속 소재의 커넥터 단자;와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측에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케이블은 상기 백 몰딩 부재를 통과하고, 상기 백 몰딩 부재는 상기 커넥터 케이블의 일측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부에 사출 성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제작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210176160A 2021-12-09 2021-12-09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30087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60A KR20230087322A (ko) 2021-12-09 2021-12-09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CT/KR2022/019520 WO2023106751A1 (ko) 2021-12-09 2022-12-02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202280055821.8A CN117795785A (zh) 2021-12-09 2022-12-02 防水连接器和包括防水连接器的电池模块
EP22904581.0A EP4379969A1 (en) 2021-12-09 2022-12-02 Waterproof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60A KR20230087322A (ko) 2021-12-09 2021-12-09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322A true KR20230087322A (ko) 2023-06-16

Family

ID=8673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160A KR20230087322A (ko) 2021-12-09 2021-12-09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79969A1 (ko)
KR (1) KR20230087322A (ko)
CN (1) CN117795785A (ko)
WO (1) WO20231067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7518B2 (ja) * 2004-05-13 2009-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7200820A (ja) * 2006-01-30 2007-08-09 Hataya Seisakusho:Kk プラグ用防水カバー、及びその装着方法
KR102489666B1 (ko) * 2016-01-12 2023-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수 커넥터
JP6235743B2 (ja) * 2017-01-31 2017-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KR20210067888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9969A1 (en) 2024-06-05
CN117795785A (zh) 2024-03-29
WO2023106751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6048B (zh)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CN110770946B (zh) 电池模块、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车辆
KR100863729B1 (ko) 전지모듈 인터페이스
EP2487736B1 (en) Batteries for power tools and methods of mounting battery terminals to battery housings
CN111279515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RU2316849C1 (ru) Отливка рсм-модуля и содержащая ее батарея
US20120038365A1 (en) Liquid leakage propagation restraining structure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bus bar module
KR20220104232A (ko) 배터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전기 차량
US10770700B2 (en) Battery pack
KR102362882B1 (ko) 배터리 팩 커넥터
EP3490028B1 (en) Battery module
CN107615514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6554038B2 (ja) 蓄電装置
CN104300106A (zh) 具有模块盖的电池模块
KR20170068152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30087322A (ko) 방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P4152502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US20240030568A1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Assembly Structure Of Voltage Sensing Component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CN114175389A (zh) 电池组、电子装置和车辆
GB2544363A (en) Prismatic accumulator cell and accumulator pack
CN102104124B (zh) 电池组
KR20200055334A (ko) 터미널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CN112534632B (zh) 电池壳体、电池系统和用于电池系统的安装方法
CN217740732U (zh) 一种电池组和用电设备
EP4329062A1 (en) Battery module that can suppress emission of gas or flame through connector in case of internal i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