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730A - 차양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 Google Patents

차양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730A
KR20230086730A KR1020237015803A KR20237015803A KR20230086730A KR 20230086730 A KR20230086730 A KR 20230086730A KR 1020237015803 A KR1020237015803 A KR 1020237015803A KR 20237015803 A KR20237015803 A KR 20237015803A KR 20230086730 A KR20230086730 A KR 2023008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ne
dielectric
composit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벤야 보로네
알렉산드라 투마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3008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22Metallic coatings
    • B32B17/10229Metallic layers sandwiched by dielect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82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 B32B17/1011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having predetermined tint or excitation pur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74Coatings of a metallic or dielectric material on a constituent layer of glass or polymer
    • B32B17/10201Dielectric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32B17/10348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comprising an obscuration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32B17/10385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for ohmic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4In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49Wavelength selectiv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35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as a preformed layer, e.g. form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13Coatings of type glass/inorganic compound/metal/inorganic compound/metal/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2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one layer at least containing a nitride, oxynitride, boronitride or carbonit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39Multilayers containing at least two functional metal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4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etal being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5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optical properties
    • C03C17/366Low-emissivity or solar contro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81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being used in glazing, e.g.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4Di-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외측 표면(I) 및 내측 표면(II)을 갖는 외부 판유리(1), 외측 표면(III) 및 내측 표면(IV)을 갖는 내부 판유리(2) 및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을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에 결합하는 열가소성 중간층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100)에서 상기 복합 판유리(100)는 외부 판유리(1)와 내부 판유리(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양 코팅(4)을 가지며, 상기 차양 코팅(4)은 내부 판유리(2)에서부터 외부 판유리(1) 방향으로 다음의 층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100):
- 제1 유전체 모듈(M1),
- 제1 은층(Ag1),
- 제2 유전체 모듈(M2),
- 제2 은층(Ag2),
- 제3 유전체 모듈(M3),
- 제3 은층(Ag3),
- 제4 유전체 모듈(M4),
여기서 은층(Ag1, Ag2, Ag3)은 서로 상대적으로 Ag2>Ag1>Ag3의 기하학적 층 두께를 가지며, 차양 코팅의 은층(Ag1, Ag2, Ag3)은 1.0<Ag1/Ag3 및 1.2<Ag2/Ag3<2의 상대적 기하학적 층 두께를 가짐

Description

차양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본 발명은 개선된 차양 코팅(sun shading coating)을 갖는 복합 판유리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도성 코팅이 있는 복합 판유리는 예를 들어 가열 가능한 투명 코팅이 있는 앞유리와 같이 차량 부문에서 잘 알려져 있다. 코팅은 일반적으로 유전체층과 교번적으로 도포되는 여러 개의 은층으로 구성되어 한편으로는 높은 전기 전도성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충분한 투과율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가열을 감소시켜 열적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IR 반사코팅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보다 복잡한 앞유리용 전기 전도성 코팅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코팅은 전류가 코팅을 통해 흐르도록 코팅을 전압원에 연결함으로써 가열 가능한 코팅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코팅은 특히 은에 기초한 전도성 금속층을 포함한다. 이들 층은 부식되기 쉽기 때문에 대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외부 판유리 또는 중간층을 향하는 내부 판유리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은을 함유하는 투명 코팅은 예를 들어 WO03/024155, US2007/0082219 A1, US2007/0020465 A1, WO2013/104438 또는 WO2013/104439에 공지되어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는 가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낮은 태양광 총투과율(TTS), 낮은 외부 반사 및 중성 또는 청색 반사 색상을 갖는 차양 코팅이 필요하다. 특히 노란색, 빨간색 및 보라색 반사 색상은 방해가 되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피해야 한다. 차량 글레이징의 우수한 차양 특성은 또한 공조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데 기여하므로 환경적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전기 자동차에서 냉난방과 같은 보조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 감소는 주행 거리 증가를 의미한다. 전기 자동차에서 DC/DC 컨버터는 온보드 전압을 14V에서 42V의 공급 전압으로 증가시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그것으로 가열 가능한 앞유리를 작동시킨다. 내연 기관이 장착된 자동차에 사용하도록 설계된 가열 가능한 차양 코팅은 일반적으로 14V의 공급 전압용으로 설계되었으며 14V/42V DC/DC 컨버터의 작동 범위와 호환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감소된 태양광 총투과율(TTS)을 달성하기 위해 14V 공급 전압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가열 가능한 공지의 차양 코팅의 층 두께를 단순히 증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낮은 태양광 총투과율(TTS)은 일반적으로 코팅의 높은 외부 반사율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둘 중 가능한 가장 낮은 값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유리는 ECE-R 43, Annex 3, § 9.1에 명시된 자동차 창문의 광 투과성 테스트 절차에 따라 법적 사양과 맞아야 하며, 이에 따라 총 투과율 TL은 최소 70%이어야 한다. 이로 인해 낮은 태양광 총투과율을 달성하는 것이 더 어렵다. 차양 코팅이 자동차 부문에서 가열 가능한 코팅으로 사용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반사 색상을 가지며 동시에 전기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C/DC 컨버터와 호환되어야 하는 경우 광학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해 요구 사항이 높다.
WO2019/206493A1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복합 판유리, 열가소성 중간층을 향하는 복합 판유리의 외부 판유리 또는 내부 판유리의 표면 중 하나 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코팅 및 열가소성 중간층에서 멀어지는 내부 판유리 표면 위에 있는 반사방지코팅을 개시한다. 전기 전도성 코팅은 총 두께가 적어도 60nm인 적어도 4개의 전기 전도성 은층을 포함하고, 각 경우에 유전체층은 은층 사이에 배열된다. 내부 판유리에서 외부 판유리 방향으로 볼 때, 내부 판유리 다음의 제3 은층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은층이다.
WO2020/094422 A1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프로젝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프로젝션 조립체는 적어도 HUD 영역을 갖는 복합 판유리, 열가소성 중간층에 대면하는 외부 판유리 또는 내부 판유리의 표면 상의 전기 전도성 코팅 및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코팅은 각 경우에 2개의 유전체층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4개의 전기 전도성 층을 포함하며, 모든 전기 전도성 층 두께의 합은 최대 30 nm이고 전기 전도성 층 중 적어도 하나는 최대 5nm의 두께를 갖는다.
WO 2020/094423A1은 전기 전도성 코팅 및 프로젝터를 갖는 복합 판유리를 포함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프로젝션 장치를 기술한다. 여기서 전기 전도성 코팅은 적어도 3개의 전기 전도성 층을 포함하며, 모든 전기 전도성 층 두께의 합은 최대 30 nm이며 상기 전기 전도성 층의 두께는 5nm 내지 10nm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 기능을 갖는 더욱 개선된 복합 판유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복합 판유리의 전기적, 에너지적 및 광학적 특성은 더욱 개선된다.
이 목적은 독립항 1에 따른 복합 판유리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외측 표면(면 I) 및 내측 표면(면 II)을 갖는 외부 판유리, 외측 표면(면 III) 및 내측 표면(면 IV))을 갖는 내부 판유리, 및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을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에 결합하는 열가소성 중간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합 판유리는 외부 판유리와 내부 판유리 사이에 태양 복사선의 가시 스펙트럼 밖의 광선, 특히 적외선 복사선을 실질적으로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양 코팅을 가지며, 차양 코팅은 내부 판유리에서 외부 판유리 방향으로 다음의 층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한다:
- 제1 유전체 모듈(M1),
- 제1 은층(Ag1),
- 제2 유전체 모듈(M2),
- 제2 은층(Ag2),
- 제3 유전체 모듈(M3),
- 제3 은층(Ag3),
- 제4 유전체 모듈(M4).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의 은층(Ag1, Ag2, Ag3)은 서로에 대해 Ag2>Ag1>Ag3의 층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제2 은층(Ag2)이 가장 큰 두께를 갖는 은층이고, 그 다음이 제1 은층(Ag1)이며 Ag1의 두께는 제2 은층의 두께와 제3 은층의 두께 사이이고, 제3 은층(Ag3)은 가장 작은 층두께를 갖는다. 제1 은층(Ag1)과 제3 은층(Ag3)은 서로 상대적으로 1.0<Ag1/Ag3의 층두께를 갖고, 제2 은층(Ag2)과 제3 은층(Ag3)은 1.2<Ag2/Ag3<2의 층두께를 갖는다. 서로에게. 이는 복합 판유리의 추가로 개선된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이 더욱 개선되었다는 면에서, 특히 상이한 반사 각도에서 코팅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청색 반사 색상 측면에서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의 층 시퀀스 구조는 내부 판유리 방향에서 부터 고려된다. 이것은 제4 유전체 모듈이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면 II)에 가장 가까운 차양 코팅 층이고, 제1 유전체 모듈은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III)에 가장 ㄱ가까운 코팅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내부 판유리에서부터 외부 판유리를 향하여, 순서대로, 제1 은층(Ag1), 제2 유전체 모듈(M2), 제2 은층(Ag2), 제3 유전체 모듈(M3), 제3 은층(Ag3), 및 제4 유전체 모듈(M4)이 있다. 따라서 제4 유전체 모듈은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면 III)에서 가장 멀고,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면 II)에 가장 가까운 차양 코팅층이다. 은층은 각 경우 유전체 모듈, 즉 유전체층 또는 층 시퀀스 사이에 배열된다. 차양 코팅은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면 II)과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면 III) 사이에 배열되며, 예를 들어 판유리 표면 중 하나에 도포되거나 또는 열가소성 중간층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차양 코팅의 제2 은층(Ag2)의 층 두께가 이 위와 아래에 위치하는 다른 두개의 은층(Ag1 및 Ag3)의 각각의 층 두께보다 더 크다. 제1 은층(Ag1)은 차양 코팅의 층 시퀀스에서 제2 은층(Ag2) 아래에 배열되어 외부 판유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제3 은층(Ag3)은 층 시퀀스에서 제2 은층(Ag2) 위에 배열되어 있어서 외부 판유리에 더 가깝다. 또한, 제1 은층(Ag1)의 두께는 제3 은층(Ag3)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유리판은 차양 코팅을 갖는 이전에 공지된 복합 유리판과 비교하여 상당히 개선된 전기적, 광학적 및 미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에너지 특성을 갖는다. 특히, 복합 판유리의 반사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색조가 최소화되거나 심지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색상의 각도에 따른 반사 색상의 변화가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는 14V/42V DC/DC 컨버터와 호환되며 필요한 경우 42V 공급 전압으로 가열할 수 있다.
복합 판유리는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해 서로 결합된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를 포함한다. 복합 판유리는 창 개구, 특히 차량의 창 개구에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내부 판유리"는 내부(특히, 차량 내부)를 향하는 복합 판유리의 판유리를 지칭한다. "외부 판유리"는 외부 환경을 향한 판유리를 의미한다.
복합 판유리는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에지를 갖는다. "상부 에지"라는 용어는 설치된 위치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의도된 에지를 의미한다. "하부 에지"라는 용어는 설치된 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하도록 의도된 에지를 의미한다. 자동차 앞유리(windshield)의 경우, 상부 에지는 종종 "루프 에지"로, 하부 에지는 "엔진 에지"라고도 한다.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는 각각 외측면 및 내측면과 이들 사이를 잇는 측면 주변 에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외측 표면"은 설치된 위치에서 외부 환경을 향하도록 의도된 주 표면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내측 표면"은 설치된 위치에서 내부를 향하도록 의도된 주 표면을 지칭한다.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과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은 서로 대향하며 열가소성 중간층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차양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중간층을 향하는 2개의 판유리 표면 중 하나, 즉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 또는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에 적용된다. 또는, 차양 코팅은 또한 예를 들어 2개의 열가소성 결합 필름 사이에 배열된 캐리어 필름 상의 열가소성 중간층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차양 코팅은 IR 반사코팅으로서 더 적합하다. 코팅은 특히 통신창, 센서창 또는 카메라창처럼 복합 판유리를 통해 전자기 복사선의 투과가 보장되어여 하므로 코팅이 없는 주변 에지 영역 및 선택적인 국부 영역을 제외하고 판유리의 전체 표면에 도포된다. 코팅되지 않은 주변 에지 영역은 예를 들어 최대 20cm의 폭을 갖는다. 이는 코팅이 주변 대기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코팅이 복합 판유리의 내부에서 부식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복합 판유리는 앞유리이고 차양 코팅은 투명 코팅으로 구현된다. "투명 코팅"으로 간주되는 것은 가시 스펙트럼 범위에서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2.5%의 평균 투과율을 갖는 코팅, 즉 판유리를 통한 시야를 상당히 제한하지 않는 코팅이다. 가시 광선 범위에서 적어도 72.5%의 투과율은 특히 판유리의 추가 구성 요소가 투과율을 제한할 때 이점이 있다.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42V의 공급 전압으로 가열하기에 적합하지만 가열을 위한 해당 전기 연결 없이 순수한 차양 코팅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고객의 요청에 따라, 다른 가열 수단, 예를 들어 추가 가열 전선이 전압원과 접촉하기 위한 전기 연결부가 없는 차양 코팅이 있는 복합 판유리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판유리를 통한 투과율을 더욱 제한하므로 사용된 코팅은 적어도 72.5%의 투과율을 가져야 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기준은 광학적, 에너지적 및 전기적 요건에 의해 부과되는 많은 제한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에 의해 충족된다.
바람직하게는 판유리 표면의 적어도 80%에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이 구비되는 것이다.
제1 층이 제2 층 위에 배열되는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1 층이 제2 층보다 외부 판유리 방향으로 더 멀리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층이 제2 층 아래에 배열되는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2 층이 제1 층보다 내부판유리 방향으로 더 멀리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층이 하나의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상기 층은 대부분 상기 재료로 구성되며, 특히 불순물 또는 도펀트 외에 본질적으로 상기 재료로 구성된다.
차양 코팅은 특히 박층으로 구성된 다수의 은층을 포함하는 층 스택 또는 층 시퀀스이며, 각 은층은 각각 2개의 유전체층 또는 층 시퀀스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유전체층 또는 층 시퀀스를 유전체 모듈이라고 한다. 따라서 "유전체 모듈"이라는 용어는 단일 겹, 즉 단일 유전체 층 또는 다수 겹의 유전체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유전체층을 의미한다. 따라서 코팅은 n개의 은층 및 (n+1)개의 유전체층을 갖는 박층 스택 또는 층 시퀀스이며, 여기서 n은 자연수이고 은층 및 유전체층 또는 층 시퀀스는 교대로 하부 유전체층 또는 층 시퀀스을 따른다.
차양 코팅은 박층 스택, 즉 개별 박층의 층 시퀀스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유전체 모듈(M1, M2, M3 및 M4), 즉 적어도 4개의 유전체층을 포함한다. 각 기능성 은층은 2개의 유전체층 또는 층 시퀀스 사이에 배열된다. 기능성 층 또는 층 시퀀스 및 유전체층은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이 2개의 인접한 기능성 은층 사이에 각 경우에 배열되고, 그 사이에 다른 기능성 은층이 배열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전체층이 최상의 기능성 층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전체층이 최하위 기능성 층 아래에 배열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은 적어도 3개의 은층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자연수 n은 적어도 3이다. 코팅은 적어도 다음의 층 또는 층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는 내부 판유리에서부터 외부 판유리 방향으로 아래의 순서로 배열된다:
- 제1 유전체층 또는 모듈 M1으로서 층 시퀀스,
- 제1 은층(Ag1),
- 제2 유전체층 또는 모듈 M2로서 층 시퀀스,
- 제2 은층(Ag2),
- 제3 유전체층 또는 모듈 M3로서 층 시퀀스,
- 제3 은층(Ag3), 및
- 제4 유전체층 또는 모듈 M4로서 층 시퀀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은 제4 유전체 모듈 M4(n>3) 위에 배열되는 은층 및 유전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연수(n)는 정확히 3이다. 따라서, 차양 코팅은 정확히 3개의 은층, 즉 3개 이상 3개 이하의 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복잡한 층 구조는 원칙적으로 코팅의 요구 사양을 달성하는 데 필요하지 않다. 더 복잡한 층 구조는 또한 증착하기가 더 복잡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은 단지 3개의 은층으로 코팅의 원하는 특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은층 이외에 코팅의 차양 특성에 크게 기여하지 않지만 다른 목적을 수행하는 다른 금속 함유 층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특히 1 nm 미만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는 금속 차단층인 경우에 해당하며, 상기 층은 바람직하게는 은층과 유전체 모듈 사이에 배열된다.
은층은 차양 코팅에 기본적인 IR 반사 효과 및 판유리 가열에 필요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은층"이라는 용어는 은을 기반으로 형성된 층을 의미한다. 은층는 은을 기반으로 한다. 은층은 바람직하게는 최소 90중량%의 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소 99중량%의 은,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소 99.9중량%의 은을 함유한다. 은층은 예를 들어 팔라듐, 금,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도펀트를 가질 수 있다.
제1 유전체 모듈(M1), 제2 유전체 모듈(M2), 제3 유전체 모듈(M3) 및 제4 유전체 모듈(M4)은 M2/M1≥1.9, M2/M3≥0.8, 및 M2/M4≥2의 서로 상대적인 광학적 층 두께를 갖는다. 차양 코팅의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복합 판유리는 더욱 개선된 광학적 및 미적 특성과 가시 광선 범위에서 더 높은 투과율(TL)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든 유전체층은 1.8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9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다. 즉, 유전체 모듈의 모든 유전체 층 또는 층 시퀀스는 굴절률이 1.8보다 큰 유전체층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따라서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유전체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혼합 실리콘-금속 질화물(실리콘-질화지르코늄(SiZrN), 혼합 실리콘-알루미늄 질화물, 혼합 실리콘-하프늄 질화물 또는 혼합 실리콘-티타늄 질화물), 질화알루미늄(AlN), 산화주석(SnO), 산화망간(MnO), 산화텅스텐(WO3), 산화니오븀(Nb2O5), 산화비스무트(Bi2O3),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또는 혼합 주석-산화아연(SnZnO)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굴절률은 원칙적으로 550nm의 파장과 관련하여 표시된다. 광학적 두께는 기하학적 두께와 굴절률(550nm에서)의 곱이다. 층 시퀀스의 광학적 두께는 개별 층의 광학적 두께의 합으로 계산된다. 굴절률은 예를 들어 엘립소메트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엘립소미터는 예를 들어 Sentech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유전체층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단일층으로 기판 상에 먼저 증착한 다음 엘립소미터로 굴절률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유전체층 시퀀스의 굴절률을 결정하기 위해, 층 시퀀스의 층들은 각각 기판 상에 단일 층으로서만 증착되고, 굴절률은 엘립소미터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들 개별 층 각각에 대해 적어도 1.8의 굴절률이 달성되어야 한다. 적어도 1.8의 굴절률을 갖는 유전체층 및 이들의 증착 방법은 박막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기상 증착, 특히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재료는 화학량론적으로, 아화학량론적으로, 또는 초화학량론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재료는 도펀트, 특히 알루미늄, 붕소, 지르코늄 또는 티타늄을 가질 수 있다. 도펀트에 의해 고유의 유전체 재료에 특정 전기 전도도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는 박층 분야에서 통상적인 유전체 층으로서의 기능 면에서 그것들을 식별할 것이다. 유전체층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10-4 S/m 미만의 전기 전도도(비저항의 역수)를 갖는다. 은층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104 S/m보다 큰 전기 전도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유전체 모듈, 제2 유전체 모듈, 제3 유전체 모듈 및/또는 제4 유전체 모듈은 반사방지층 역할을 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전체 모듈은 반사방지층으로서 유전체층을 포함한다. 반사방지층은 가시광선의 반사를 줄여 코팅된 판유리의 투명도를 높인다. 반사방지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Si3N4), 실리콘-질화지르코늄(SiZrN)과 같은 혼합 실리콘-금속 질화물, 질화알루미늄(AlN) 또는 산화주석(SnO)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반사방지층은 도펀트를 가질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1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6 nm 내지 60 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는다. 실리콘 질화물은 산화물에 비해 굴절률이 더 높기 때문에 반사방지층으로서 특히 바람직하며, 그 결과 비교적 더 작은 실리콘 질화물 층 두께가 요구된다. 또한 코팅의 우수한 색상 특성이 달성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체 모듈은 제1 정합층, 바람직하게는 은층 아래에 배열되는 적어도 각각의 유전체 모듈을 갖는다. 제1 정합층은 반사방지층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정합층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은층과 직접 접촉하도록 제1 은층 바로 아래에 배열된다. 이는 은층의 결정화도와 관련하여 특히 유리하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체 모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유전체 모듈은 은층 위에 배열된 제2 정합층을 갖는다. 제2 정합층은 반사방지층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정합층 및/또는 제2 정합층은 산화아연(ZnO)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정합층 및/또는 제2 정합층도 도펀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정합층 및/또는 제2 정합층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ZnO:Al)을 포함할 수 있다. 과량의 산소와 은 함유 층의 반응을 피하기 위해 산화아연은 바람직하게는 산소에 대해 아화학양론적으로 증착된다. 제1 정합층 및 제2 정합층의 기하학적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2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8 nm 내지 20 nm이다. 산화아연은 우수한 평활화 특성으로 인해 정합층에 선호되는 재료로 입증되었으며, 유리하게는 이를 통해 인접한 은층의 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전체 모듈은 평활화층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은층 사이에 배열되는 각각의 유전체 모듈, 특히 바람직하게는 또한 최하위 제1 유전체 모듈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평활화층은 제1 정합층 아래에,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1 정합층이 있는 경우 반사방지층과 제1 정합층 사이에 배열된다. 평활화층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정합층과 직접 접촉한다. 평활화층은 다음에 도포되는 은층을 위해 표면을 최적화, 특히 평활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 매끄러운 표면에 증착된 은층은 더 높은 투과율을 갖는 동시에 면저항이 더 낮다. 평활화층의 기하학적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2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7 nm 내지 12 nm이다. 평활화층은 바람직하게는 2.2 미만의 굴절률을 갖는다.
평활화층은 적어도 하나의 비결정성 산화물을 포함한다. 산화물은 비정질 또는 부분적으로 비정질(따라서 부분적으로 결정질)일 수 있지만 완전히 결정성은 아니다. 비결정성 평활화층은 낮은 조도를 갖고 따라서 평활화층 위에 도포되는 층에 유리하게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한다. 비결정성 평활화층은 평활화층 바로 위에 증착된 증의 개선된 표면 구조를 추가로 만들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정합층이다.평활화층은 예를 들어 주석, 규소,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아연, 갈륨 및 인듐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원소의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평활화층은 바람직하게는 비결정성 혼합 산화물을 함유한다.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평활화층은 혼합된 주석-아연 산화물(ZnSnO)을 함유한다. 혼합 산화물은 도펀트를 가질 수 있다. 평활화층은 예를 들어 안티몬이 도핑된 혼합 주석-아연 산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혼합 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아화학양론적 산소 함량을 갖는다. 주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5중량%이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차양 코팅은 하나 이상의 차단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층은 적어도 하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은층과 결합된다. 차단층은 은층과 직접 접촉하고 은층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즉, 은층과 관련 차단층 사이에 다른 층이 배치되지 않는다. 차단층은 각 경우에 은층 바로 위와 바로 아래에 배열될 수도 있다. 차단층은 바람직하게는 니오븀, 티타늄, 니켈, 크롬 및/또는 이들의 합금, 특히 바람직하게는 니켈-크롬 합금을 함유한다. 차단층의 기하학적 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nm 내지 1.5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nm 내지 1.0 nm이다. 은층 바로 아래의 차단층은 특히 온도 처리 동안 은층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차양 코팅의 광학적 품질을 향상시킨다. 은층 바로 위의 차단층은 예를 들어 제2 정합층의 반응성 음극 스퍼터링에 의한 다음 층의 증착 동안 민감한 은층과 산화성 반응 분위기의 접촉을 방지한다.
하나의 층이 하나의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상기 층은 불순물이나 도펀트 외에 상기 재료의 대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 층이 제2 층 위에 배열되는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1 층이 코팅이 도포된 기판에서부터 제2 층보다 더 멀리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층이 제2 층 아래에 배열되는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2 층이 제1 층보다 기재로부터 더 멀리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층이 제2 층 위 또는 아래에 배열되는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반드시 제1 및 제2 층이 서로 직접 접촉하여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명시적으로 배제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다른 층이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은층 사이에, 다음의 유전체층 시퀀스를 포함하는 유전체 모듈이 배열된다:
- 질화규소, 실리콘-지르코늄 질화물과 같은 실리콘-금속 혼합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및/또는 주석 산화물에 기초한 반사방지층,
- 주석, 실리콘,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아연, 갈륨 및 인듐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원소의 산화물에 기초한 평활화층,
- 산화아연을 기반으로 하는 제1 및 제2 정합층, 및
- 선택적으로, 니오븀, 티타늄, 니켈, 크롬, 및/또는 이들의 합금에 기초한 차단층. 층의 특정 순서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재료에 기초한 반사방지층 및 정합층은 바람직하게는 최하위 은층의 아래에 및 최상위 은층 위에 배열된다. 3개의 은층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최하위 은층은 제1 은층이고 최상위 은층은 제3 은층이다.
유전체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10 nm 내지 1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nm 내지 90 nm, 예를 들어 70 nm 내지 85 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는다. 모듈의 광학적 두께는 유전체 모듈의 기하학적 두께에 각 층의 굴절률을 곱하여 얻는다. 유전체 모듈의 광학적 두께는 20nm와 240nm 사이, 바람직하게는 40nm와 200nm 사이이다.
차양 코팅의 각 기능성 은층의 기하학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25 nm이다. 차양 코팅의 모든 기능성 은층의 기하학적 층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nm 내지 75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nm 내지 60 nm이다. 기능성층의 두께 및 전체 기능성 은층의 총 두께가 상기 범위에서 차양 기능 및 투명성 면에서 특히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은층(Ag1)은 바람직하게는 7 nm 내지 14 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고, 제2 은층(Ag2)은 바람직하게는 7 nm 내지 16 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가지며, 제3 은층(Ag3)은 6nm 내지 13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범위 내의 층 두께는 1.0Ω/sq 내지 1.5Ω/sq의 차양 코팅의 시트 저항을 달성하는 데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는 42V의 공급 전압으로 코팅을 사용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은 열복사를 반사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가열을 감소시키는 차양 코팅으로서 기능하도록 IR-반사 특성을 갖는다. 코팅이 구비된 복합 판유리의 TTS 값은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미만이다. TTS 값은 ISO 13837에 따라 측정되며 전송된 총 태양 에너지를 나타내며 이는 열적 편안함의 척도이다. 코팅은 코팅에 전류가 흘러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가열 코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특히 판유리에 공통적인 소다석회유리로 제조된다. 그러나 판유리는 원칙적으로 다른 유형의 유리(예: 붕규산유리, 석영유리, 알루미노규산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도 만들 수 있다. 외부 판유리와 내부 판유리의 두께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8mm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1.4mm 내지 2.9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며, 예를 들어 표준 두께 1.6mm 또는 2.1mm를 갖는 판유리가 사용된다.
외부 판유리, 내부 판유리 및 열가소성 중간층은 투명하고 무색일 수 있지만 착색되거나 채색될 수도 있다. 외부 판유리, 내부 판유리 및 열가소성 중간층의 착색은 복합 판유리의 원하는 적용예에 따라 선택된다. 복합 판유리가 앞유리로 사용되는 경우 가시광선 스펙트럼 범위에서 높은 투과율이 요구되며 구성 요소를 짙게 착색하지는 않는다. 자동차 앞유리로서의 일 실시예에서, 복합 유리를 통한 총 투과율은 발광체 A를 기준으로 70%보다 크다. 총 투과율이라는 용어는 ECE-R 43, Annex 3, § 9.1에 명시된 자동차 창의 광투과성 시험 과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외부 판유리와 내부 판유리는 서로 독립적으로 프리스트레스(prestressed)를 받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받거나, 프리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판유리 중 적어도 하나에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해야 하는 경우 열 또는 화학적 프리스트레싱이 될 수 있다.
적합한 유리판은 상표명 Planicear® 및 Planilux®로(각각의 경우 투명 유리) 알려진, VG 시리즈의 회색 유리와 TSA 시리즈의 녹색 유리로 만든 유리인 Saint-Gobain의 VG 10, VG20, VG40 또는 TSANx, TSA3+, TSA4+의 유리판 등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복합 판유리는 적어도 열가소성 중간층, 내부 판유리 및 외부 판유리가 투명한 자동차의 앞유리용으로 의도된다.
복합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판유리에 대해 통상적인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되며, 전형적인 곡률 반경은 대략 약 10cm 에서 40m의 범위에 있다. 그러나 복합 판유리는 버스, 기차 또는 트랙터용 판유리로 의도된 경우 평평할 수도 있다.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과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은 서로 대향하고 열가소성 중간층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열가소성 중간층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필름에 의해 형성되며, 생성된 복합 판유리에서 생성된 중간층의 개별 필름이 더 이상 서로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열가소성 8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을 함유한다. 열가소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언급된 상기 재료에 기초하지만, 그러나 예를 들어 가소제, 착색제, IR 또는 UV 흡수제와 같은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열가소성 중간층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 부티랄(PVB) 또는 폴리우레탄(PU)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또는 유도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PVB를 함유한다. 상기 중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2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1mm이다. 상기 중간층의 개별 중합체 필름, 특히 PVB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약 0.2mm 내지 1mm, 예를 들어 0.38mm, 0.76mm 또는 0.81mm의 두께를 갖는다. 복합 유리 판유리의 다른 특성은 필름의 두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꺼운 PVB 필름은 특히 음향 활성 코어를 포함할 때 향상된 소음 감쇠를 제공하고, 복합 유리 판유리의 침입 저항을 증가시키며, 자외선 복사(UV 보호)에 대한 보호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양 코팅은 외부 판유리와 내부 판유리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차양 코팅은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면 II)에 도포된다. 이얼헤 함으로써 차양 코팅은 복합 판유리의 라미네이트 내에서 기후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차양 코팅을 가능한 한 바깥쪽으로, 즉 외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시키는 것은 양호한 차양 작용 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투명하고 착색되지 않은 외부 창을 사용하여 더욱 최적화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차양 코팅은 열가소성 중간층에 매립된다. 차양 코팅은 열가소성 필름에 도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차양 코팅은 예를 들어, 복합 판유리를 제조할 때, 중간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2개의 열가소성 필름 사이에 배열되는 캐리어 필름 상에 도포된다. 캐리어 필름을 통해 차양 코팅을 통합하는 것은 차양 코팅을 갖는 캐리어 필름을 사전에 제작하여 공급한다는 면에서 이점이 있다다. 차양 코팅과 외부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는 열가소성 중간층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착색되지 않다. 복합 판유리의 열가소성 중간층은 캐리어 필름 위에, 즉 외부 판유리를 향하는 표면에 차양 코팅을 갖는 캐리어 필름을 포함한다. 캐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함유하거나 그로 만들어지며 두께는 20㎛ 내지 100㎛, 예를 들어 대략 50㎛이다. 그러나 캐리어 필름은 다른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양 코팅은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면 III)에 도포된다. 이 경우, 외부 판유리 및 열가소성 중간층은 투명하고 착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는 에지 영역에서 불투명 마스킹 인쇄의 위치에 따라 이점이 있고 마스킹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 잉크 측면에서 더 큰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차양 코팅이 가열 코팅으로 제공되는 경우, 코팅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외부 전압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코팅이 가열된다. 전기적 접촉은 적절한 연결 케이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소위 버스 바(bus bar),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물질의 스트립 또는 전기 전도성 프린트를 통해 차양 코팅에 연결되는 포일 전도체를 통해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버스 바가 차양 코팅에 부착되고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이들 적어도 2개의 버스 바는 바람직하게는 복합 판유리의 대향 에지를 따라 부착되고 판유리를 가열하기 위해 전압원의 대향 극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버스 바 사이의 코팅 영역은 전기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3개의 버스 바가 적용되며, 하나의 버스 바는 각각 수평 에지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세 번째 버스 바는 루프 에지로부터 판유리의 중심을 향해 돌출한다. 첫 번째 버스 바는 루프 에지에 인접해 있고 두 번째 버스 바는 엔진 에지에 인접해 있으며 이들 양 버스 바는 이러한 수평 측면 에지와 평행하게 이어진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스 바의 형상은 센서의 부착을 위해 사용되는 센서 창 위한 코팅되지 않은 임의의 영역 맞춰 조절된다. 버스 바의 두께는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이다. 버스 바의 폭은 0.5mm 내지 30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20mm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양 코팅은 전압원에 연결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판유리를 가열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예를 들어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면 III)과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면 II) 사이에 부착된 열선 형태로 제공된다. 열선은 열가소성 중간층 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선은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이것은 단락을 피하면서 열선과 코팅 사이의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열선이 제공된 열가소성 중간층의 본딩 필름은 코팅을 향하는 열선에 부착될 수 있다. 열선이 절연되지 않은 경우, 열선은 코팅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본딩 필름 쪽에 위치해야 한다. 열선은 예를 들어 폴리머 함유 외피로 절연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인접한 열선 사이의 최소 거리는 2mm이고 인접한 열선 사이의 최대 거리는 35mm이다.
열선은 텅스텐, 구리, 니켈, 망간, 알루미늄, 은, 크롬 및/또는 철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합금, 바람직하게는 텅스텐 또는 구리, 특히 바람직하게는 텅스텐을 포함한다.
열선의 두께는 5㎛ 내지 160㎛이며, 그 두께는 무엇보다도 와이어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다르다. 텅스텐 와이어는 10㎛ 내지 80㎛의 두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와이어는 60㎛ 내지 150㎛의 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선은 그 단부에서 복수의 전기 전도체,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전기 전도체를 통해 접촉된다. 열선의 배선 경로, 예를 들어 구불구불하거나 또는 지그재그한 것과 같은 경로에 따라 다른 형태의 접촉을 선택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구불구불한 와이어의 경우, 전압은 예를 들어 와이어의 두 끝에서 선택적으로만 인가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복합 유리판은 외부 에너지반사(RE) > 30%을 갖는다. 에너지값(RE)은 표준 ISO 9050에 따라 산출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형태의 불투명 마스킹층은 바람직하게는 이 스크린 인쇄가 판유리의 시야를 둘러싸거나 외부 에지를 형성하도록 판유리의 가장자리 영역에 적용된다. 임의의 버스 바 및 전기 전도체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코팅이 없는 에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이 마스킹 인쇄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가려진다. 불투명 스크린 인쇄는 복합 유리판의 모든 평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양 코팅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제조 방법을 더 포함하며,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II) 또는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III)에 차양 코팅을 도포하거나 차양 코팅을 열가소성 중간층 안으로 도입하는 단계;
b) 적어도 외부 판유리, 열가소성 중간층 및 내부 판유리를 상기 순서로 포함하는 층스택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외부 판유리, 열가소성 중간층 및 내부 판유리를 포함하는 상기 층스택을 결합하여 복합 판유리를 형성하는 단계.
외부 판유리와 내부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차양 코팅이 도포된 후에 결합되어 복합 유리를 형성한다.
차양 코팅은 높은 열 부하를 견딜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6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온도 처리를 견딜 수 있거나 판유리를 손상 없이 굽힐 수 있다.
차양 코팅의 개별 층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마그네트론 강화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될 수 있고 적절한 층 두께 및 층시퀀스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스퍼터링은 예를 들어 아르곤과 같은 보호 가스 분위기에서 또는 예를 들어 산소 또는 질소의 첨가에 의한 반응성 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층은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적합한 방법, 예를 들어 기상증착 또는 화학기상증착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열가소성 중간층은 열가소성 필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 중간층은 다중 필름,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열가소성 필름, 선택적으로 캐리어 필름을 추가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중간층에 차양 코팅을 도포하는 것은 여러 필름 중 하나, 예를 들어 캐리어 필름 위에만 도포하는 것만을 포함한다. 판유리를 접합하여 복합 판유리를 형성하는 동안, 그 위에 배열된 차양 코팅을 갖는 캐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차양 코팅의 표면이 외부 판유리를 향하도록 하여 2개의 열가소성 필름 사이에 배열된다.
버스 바 또는 다른 적절한 전기 전도체를 통해 전기 전도성 층을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은 복합 판유리를 적층하기 전에 수행된다.
있을 수 있는 임프린트, 예를 들어 불투명 마스킹 프린트 또는 차양 코팅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인쇄된 버스 바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인쇄에 의해 적용된다.
복합 판유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중간층을 통해 외부 판유리 및 내부 판유리를 결합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열, 진공 및/또는 압력의 작용 하에서 수행된다. 복합 판유리를 생성하기 위해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 동안 가열되어 유동성이 있는 열가소성 재료가 차양 코팅 주위로 흐르므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고 차양 코팅이 중간층 안에서 캡슐화되어 손상 및 환경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예를 들어, 소위 오토클레이브 방법은 약 10bar 내지 15bar 및 130℃ 내지 145℃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수행한다. 그 자체로 공지된 진공 백 또는 진공 링 방법은 예를 들어 약 200mbar 및 80℃ 내지 110℃에서 작동한다. 외부 판유리, 열가소성 중간층 및 내부 판유리는 또한 판유리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롤러 쌍 사이의 캘린더에서 압착될 수 있다. 판유리를 생산하기 위한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압착 장치의 업스트림에 적어도 하나의 가열 터널이 있다. 프레싱 작업 동안의 온도 범위는 예를 들어 40℃ 에서 150℃이다. 캘린더링과 오토클레이빙 방법의 조합은 실제로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는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예를 들어 0.01 mbar 내지 800 mbar의 감소된 압력에서 및 80℃ 내지 170℃의 온도에서 약 60분 내에 판유리가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가열 가능하고 배기 가능한 챔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차양 코팅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육상, 항공, 수상 여행용 교통 수단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앞유리, 후면창, 측면창 및/또는 루프패널 및 기능적인 개별 부품으로서 및 건물에서의 용도를 더 포함한다.
언급된 모든 표준은 출원일에 유효한 버전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위에서 언급되고 다음에서 설명될 특징은 예시적인 실시예 및/또는 그 특징이 대안으로만 명시적으로 언급되거나 또는 상호 배타적이지 아닌 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열거된 조합으로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양태들이 설명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순수한 대안으로서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양태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은 단순화된 개략도이며 축척이 아니다. 도면은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차양 코팅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차양 코팅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차양 코팅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복합 판유리의 내부 판유리에 도포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 구조의 개략도이고,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은 차양 코팅(4)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의 일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복합 판유리(100)는 외부 판유리(1) 및 열가소성 중간층(3)을 통해 서로 접합된 외부 판유리(1)와 내부 판유리(2)를 포함한다. 복합 판유리(100)는 승용차의 앞유리로 제공되며, 외부 환경을 향하는 외부 판유리(1)와 차량 내부를 향하는 내부 판유리(2)를 갖는다. 외부 판유리(1)는 외측 표면(I) 및 내측 표면(II)을 갖는다. 내부 판유리(2)는 외측 표면(III) 및 내측 표면(IV)을 갖는다. 외측 표면(I)과 (III)은 외부 환경을 향하고 있다. 내측 표면 (II) 및 (IV)는 차량 내부를 향한다.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과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은 서로 마주한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4)은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에 배치된다. 차양 코팅(4)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8mm의 폭으로 주변을 두르는 프레임 형상을 뺀 내측 표면(II)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코팅이 없는 상기 영역은 열가소성 중간층(3)에 결합하여 기밀하게 밀봉될 수 있다. 따라서 차양 코팅(4)은 손상 및 부식으로부터 유리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양 코팅(4)은 각각 5 nm 내지 20 nm의 기하학적 층 두께를 갖는 적어도 3개의 기능성 은층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능성 은층은 유전체 모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층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의 은층(Ag1, Ag2, Ag3)은 서로 상대적으로 1.0<Ag1/Ag3 및 1.2<Ag2/Ag3<2의 층 두께를 가지며, 여기서 Ag2>Ag1>Ag3이다. 유전체 모듈(M1, M2, M3, M4)은 서로 상대적으로 M2/M1≥1.9, M2/M3≥0.8 및 M2/M4≥2 의 광학적 층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4)의 구조는 도 4 및 거기에 설명된 실시예 및 비교예와 함께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차양 코팅(4)은 적외선 복사의 반사로 인해 차량 내부 및 내부 판유리(2)의 열을 감소시킨다. 에너지 반사(RE)>30%, 태양열 총투과율 TTS<45% 및 광투과율 TL>72.5%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4)을 사용하여 개선된 열적 편안함외에 복합 판유리(100)의 우수한 광학적 및 미적 특성이 동시에 달성된다. 차양 코팅(4)의 시트 저항은 1.0 Ω/sq 내지 1.5 Ω/sq 이므로 코팅이 14V/42V DC/DC 컨버터와 잘 호환된다.
도 2는 차양 코팅(4)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과는 대조적으로 차양 코팅(4)이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에 배열되어 있지 않고 중간층(3) 내의 캐리어 필름(5) 상에 있다. 캐리어 필름(5)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거나 그로 만들어지며, 예를 들어 50㎛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층(4)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층 구조를 포함한다. 차양 코팅(4)을 갖는 캐리어 필름(5)은 제1 열가소성 필름(3a)과 제2 열가소성 필름(3b) 사이에 배열된다. 생성된 복합 판유리에서, 열가소성 필름(3a 및 3b) 및 캐리어 필름(5)은 열가소성 중간층(3)을 형성한다. 열가소성 필름(3a 및 3b)은 바람직하게는 PVB를 함유하거나 PVB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층 두께가 0.38 mm이다. 캐리어 필름(6)은 외부 판유리(1), 내부 판유리(2) 및 열가소성 필름(3a 및 3b)보다 다소 작다. 캐리어 필름(5)은 복합 판유리 내에 배열되므로 캐리어 필름(5)이 복합 판유리의 측면 에지 끝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그 결과, 캐리어 필름(5)은 복합 판유리의 에지 영역에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필름(3a 및 3b)에 의해 약 8 mm의 폭으로 주변이 둘러싸여진다. 따라서 캐리어 필름(5) 상의 차양 코팅(4)은 유리하게 손상, 특히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3은 차양 코팅(4)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과는 대조적으로, 차양 코팅(4)이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에 배열되지 않고 내부 판유리(2)의 외부 표면(III)에 배열되어 있고 외측 표면(III)의 주변 에지에는 차양 코팅(4)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 실시예에서도, 차양 코팅(4)은 유리하게 손상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나머지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설계에 대응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4)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양 코팅(4)은 기판으로서의 내부 판유리(2) 내측 면(III) 상에 도포된다. 도시된 차양 코팅(4)은 특히 적외선 반사층인 3개의 투명한 기능성 은층(Ag1, Ag2 및 Ag3)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은층은 서로에 대해 특정 두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대적인 기하학적 층 두께가 Ag2>Ag1>Ag3, 1.0>Ag1/Ag3 및1.2<ag2/Ag3<2이다. 즉, 외부 판유리(1)에 가장 가깝게 배열된 제3 은층(Ag3)의 층 두께는 내부 판유리(2)에 가장 가까운 제1 은층(Ag1)의 층 두께보다 얇다. 반면에 층 시퀀스에서 제1 은층(Ag1)과 제3 은층(Ag3)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은층(Ag2)d은 가장 큰 층 두께를 갖는 은층이다. 이러한 은층은 예를 들어 아르곤 분위기에서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유전체 모듈(M1, M2, M3, M4)은 각각 은층(Ag1, Ag2, Ag3)의 위, 아래 및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유전체 모듈(M1, M2, M3, M4)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M2/M1≥1.9, M2/M3≥0.8 및 M2/M4≥2의 상대적 광학적 층 두께를 갖는다. 유전체 모듈(M1)은 따라서 내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I) 바로 위의 제1 은층(Ag1) 아래에 배열된다; 제2 유전체 모듈(M2)은 제1 은층(Ag1) 위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유전체 모듈(M1)은 내부 판유리(1)로부터 시작하여 실리콘 질화물, ZnSnOx 및 ZnO 층의 층 시퀀스로서 구조화될 수 있다. 실리콘 질화물 층은 질소 함유 분위기에서 실리콘 질화물로부터 증착될 수 있다; 아연 산화물 층은 산소 함유 분위기에서 산화아연으로부터 증착될 수 있다.
차양 코팅(4)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층을 포함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기능성 은층(Ag1, Ag2, Ag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차단층(B1, B2, B3)과 직접 접촉하여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니켈, 크롬, 또는 이들의 합금 및/또는 티타늄 크롬을 함유하거나 이들로 제조된다. 차단층 B(B1, B2, B3)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은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 사이에 배열된다. 차단층(B)은 가열 동안,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유리를 제조하는 동안 기능성층을 보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하기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복합 판유리의 모든 광학적, 미적 및 에너지 특성은 적층된 상태에서 측정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차양 코팅(4)을 도 4에 따라 투명한 내부 판유리(2)(Example Planicear)의 외측면(III)에 도포하고 열가소성 중간층(3) 및 도 3 구조에 따른 외부 판유리(2)로 적층하였다. 착색되지 않은 PVB 필름이 중간층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는 기술된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갖지만, 사용되는 차양 코팅이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은 설명한 차양 코팅을 갖는 복합 판유리(차량용 앞유리)로서 제조되었다.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차양 코팅의 스택 구조(층 및 층두께) 및 완성된 복합 판유리에서 코팅의 광학 특성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차양 코팅의 층 시퀀스 및 층 두께 및 이와 비교한 비교예 1 내지 3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 및 본 발명을 따르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한 은층 및 유전체 모듈의 상대적인 층 두께 뿐만 아니라 광학적, 전기적 및 에너지 특성의 값이 표 2에 나타나 있다; 은층과 모듈의 층의 모든 층 두께는 기하학적 층 두께로 표시된다. 두께 비율 Ag2/Ag1, Ag2/Ag3 및 Ag1/Ag3로 표시되는 은층의 상대적인 층 두께는 기하학적 층 두께를 나타낸다. 두께 비율 M2/M1, M2/M3 및 M2/M4로 표시된 유전체 모듈의 상대적인 층 두께에 대해 광학적 두께가 사용되었다.
약어:
RE 에너지 반사 [%]
TL 가시광선 투과율[%]
TTS 총 투과 열복사[%]
TE 총 전송 에너지[%]
RL 8°8°시야각에서 가시 반사 [%]
RL 60°60°시야각에서 가시 반사 [%]
a*, b* CIE 색공간에서의 색좌표, 각 경우에 60°및 8°에서의 반사로 측정
Δa*, Δb* 60°와 8°에서의 반사로 측정 시 색좌표 차이
Color R* 복합 판유리의 관찰자가 인지하는 60°및 8°에서의 반사에서 각각의 경우 외부 반사색에 대한 색상 인상
Rsq 차양 코팅의 시트 저항 [Ω/sq]
광선 투과율(TL) 및 반사율(RL) 값은 정의에 의해 2856 Kelvin의 Planckian 라디에이터의 상대적 복사 분포를 기반으로 하는 광원 A에 기초한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 각각의 차양 코팅의 층 구조
본 발명 실시예의 층 두께 [nm] 비교예의 층 두께 [nm]
층 시퀀스 층 재료 #1 #2 #3 #4 #5 #1 #2 #3
외부판유리(1) 유리
M1 SiZrNx 13.2 12.5 13.9 12.8 15.5 11.9 13.4 13.0
ZnSnOx 8.0 8.0 8.0 8.0 8.0 8.0 8.0 8.0
ZnO 11.0 12.0 11.0 12.0 11.0 11.0 11.0 12.0
Ag1 Ag 10.3 9.4 10.7 10.0 9.6 10.0 10.5 10.0
B1 NiCr 0.4 0.4 0.4 0.5 0.4 0.5 0.4 0.5
M2 ZnO 11.0 12.0 11.0 12.0 11.0 11.0 11.0 12.0
SiZrNx 11.1 11.0 11.1 10.7 13.9 11.3 11.1 10.8
Si3N4 18.8 19.3 18.8 18.5 19.4 18.9 18.8 18.6
SiZrNx 8.5 8.6 8.5 8.4 8.5 8.6 8.5 8.4
ZnSnOx 8.0 8.0 8.0 8.0 8.0 8.0 8.0 8.0
ZnO 11.0 12.0 11.0 12.0 11.0 11.0 11.0 12.0
Ag2 Ag 13.1 12.1 13.5 13.0 13.0 11.0 13.5 13.1
B2 NiCr 0.0 0.0 0.0 0.0 0.0 0.2 0.0 0.0
M3 ZnO 11.0 12.0 11.0 12.0 11.0 11.0 11.0 12.0
Si3N4 39.9 39.1 40.4 39.4 41.4 40.2 40.3 39.2
SiZrNx 8.4 7.8 8.4 8.4 9.5 8.5 8.4 8.3
ZnSnOx 8.0 8.0 8.0 8.0 8.0 8.0 8.0 8.0
ZnO 11.0 12.0 11.0 12.0 11.0 11.0 11.0 12.0
Ag3 Ag 9.5 9.0 10.2 9.5 9.3 10.4 12.5 12.8
B3 NiCr 0.2 0.0 0.2 0.2 0.2 0.3 0.2 0.2
M4 ZnO 11.0 12.0 11.0 12.0 11.0 11.0 11.0 12.0
SiZrN4 7.4 8.1 7.4 7.6 9.7 7.3 7.4 7.6
Si3N4 7.5 8.0 7.4 7.6 8.9 7.4 7.5 7.6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라미네이트의 두께 비율 및 광학 특성
실시예의 두께 비율 및 광학 특성 비교예의 두께 비율 및 광학 특성
#1 #2 #3 #4 #5 #1 #2 #3
두께 비율
Ag2/Ag1 1.28 1.29 1.26 1.30 1.35 1.10 1.29 1.31
Ag2/Ag3 1.38 1.34 1.33 1.37 1.40 1.06 1.08 1.03
Ag1/Ag3 1.08 1.04 1.06 1.05 1.03 0.96 0.84 0.78
M2/M1 2.08 2.14 2.04 2.08 2.19 2.19 2.07 2.07
M2/M3 0.90 0.92 0.89 0.90 0.90 0.90 0.89 0.90
M2/M4 2.65 2.52 2.65 2.56 2.68 2.68 2.65 2.57
광학 특성
TL 72.8 75.4 72.5 72.7 74.1 72.5 72.5 72.4
RL 8° 10.0 9.0 10.1 10.0 10.1 9.2 9.5 9.3
a*R 8° -1.0 -1.0 -1.0 -1.0 -1.0 1.2 -2.6 -1.9
b*R 8° -9.0 -9.0 -9.0 -9.0 -9.0 -7.0 -11.1 -10.7
a*R 60° 0.0 -0.4 0.0 -0.5 -0.9 -2.3 1.2 0.8
b*R 60° -5.0 -4.7 -4.6 -5.0 -5.0 -2.4 -5.4 -4.9
Color R*8° blue blue blue blue blue violet blue blue
Color R*60° blue blue blue blue blue blue-green violet violet
Δ a*R
(8°vs.60°)
1.0 0.6 1.0 0.5 -3.5 -3.5 3.8 2.7
Δ b*R
(8°vs.60°)
4.0 4.3 4.4 4.0 4.6 4.6 5.7 5.8
RE 35.8 33.5 37.0 35.2 34.1 33.5 38.9 38.2
TE 36.1 39.3 35.2 36.6 38.1 37.7 34.0 34.5
TTS 41.8 44.9 40.8 42.3 43.8 43.5 39.5 40.1
Rsq 1.26 1.41 1.18 1.28 1.31 1.35 1.09 1.12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구조화된 차양 코팅을 갖는 복합 판유리가 제공되며, 이는 에너지 및 전기적 특성, 열적 및 시각적 편안함 면에서 성공적으로 개선되고 동시에 미적 외관 면에서도 성공적으로 개선되고, 차양 코팅을 갖는 공지된 복합 판유리에 비해 더욱 최적화되었다. 45% 미만의 총 투과 열복사(TTS)가 달성되어 자주 요청되는 해당 고객사양을 충족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율(TL) ≥ 72.5%가 달성되어 복합 판유리를 앞유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선 가열기와 결합하면 법적 요구사항인 TL ≥ 70%이 달성된다.
또한 복합 판유리의 반사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색조 없이 최적의 미적 외관이 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적색, 황색, 보라색 및 녹색 반사 또는 합성 판유리의 흐릿함을 피할 수 있다. 복합 판유리의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바람직한 색 반사가 시야각에 관계없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은 1.0Ω/sq 내지 1.5Ω/sq의 시트 저항을 갖고, 따라서 42V의 공급 전압으로 가열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은층의 두께 조합의 장점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표시된 각각의 두께 비율을 갖는 은 코팅의 예시적인 광학 및 에너지 특성이 표 3에 나타나 있다. 유전체 모듈의 두께 및 층 스택의 층 순서는 각각의 경우에 동일하다.
은층 Ag1, Ag2 및 Ag3의 다양한 두께 비율에 대한 광학 특성 TL, TTS, RL 60°및 60°에서의 외부 반사 색상 개요.
Ag의 순열 TL TTS RL 60° a*R 60° b*R 60°
Ag1>Ag2>Ag3 73.1 43.4 17.9 -8.0 -1.5
Ag1>Ag3>Ag2 69.3 43.3 21.3 -13.6 5.7
Ag2>Ag1>Ag3 74.6 42.9 17.1 -1.0 -3.5
Ag2>Ag3>Ag1 72.7 42.4 19.6 -0.2 3.6
Ag3>Ag1>Ag2 67.6 42.7 23.9 -11.8 11.8
Ag3>Ag2>Ag1 69.5 42.3 23.0 -5.5 11.8
Ag1=Ag2=Ag3 (10.7 nm) 72.0 43.2 19.6 -7.7 4.4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수한 광학 및 에너지 특성뿐만 아니라 매력적인 채색은 은층의 두께에 대한 조건인 Ag2>Ag1>Ag3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은층의 두께 비율로만 달성될 수 있다. 다음 특성을 가진 층이 허용될만하다고 여겨진다: TL ≥ 72.5%, TTS ≤ 45%, RL 60°≤ 17.5%. 또한, 색좌표는 가능한 한 작아야 하며, 특히 마이너스 부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에서 Ag2>Ag1>Ag3, 1.0 > Ag1/Ag3 및 1.2 < Ag2/Ag3 < 2인 본 발명에 따른 두께 조합에 대해서만 시야각 8°및 시야각 60°모두에서 바람직한 파란색 반사가 달성된다. 이 색상 범위에서는 특히 고객 수용도가 높은 파란색 톤을 얻는다. -5.0과 0 사이의 a*R 60° 및 -8.0과 0 사이의 b*R 60°에 대한 값이 특히 유리하다.
도 5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I 외부 판유리(1), 내부 판유리(2) 및 열가소성 중간층(3)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II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 또는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에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코팅(4)을 예를 들어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 도포하는 단계;
III 선택적으로 차양 코팅(4) 위에 버스 바를 적용하는 단계;
IV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과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을 열가소성 중간층(3)을 통해 결합하여 복합 판유리(100)를 형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유리판은 외부 판유리(1) 및 내부 판유리(2)로서 사용된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3개의 기능성 은층(Ag1, Ag2 및 Ag3)을 갖는 차양 코팅(4) 및 적어도 4개의 유전체 모듈(M1, M2, M3 및 M4)을 갖는 차양 코팅(4)이 바람직하게는 마그네트론 강화 캐소드 스퍼터링에 의해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에 도포된다. 차양 코팅(4)을 통해 판유리를 가열한다면, 버스 바는 판유리 및 코팅의 전기적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연결 케이블을 적층하기 전에 차양 코팅(4)위에 제공된다. 복합 유리를 형성하기 위해 중간층(3)을 통하여 외부 판유리(1) 및 내부 판유리(2)를 접합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차양 코팅(4)이 도포된 후에 행해진다.
1 외부 판유리
2 내부 판유리
3 열가소성 중간층
3a 제1 열가소성 필름
3b 제2 열가소성 필름
4 차양 코팅
5 캐리어 필름
I 외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
II 외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
III 내부 판유리의 외측 표면
IV 내부 판유리의 내측 표면
Ag1 제1 은층
Ag2 제2 은층
Ag3 제3 은층
M1 제1 유전체 모듈
M2 제2 유전체 모듈
M3 제3 유전체 모듈
M4 제4 유전체 모듈
B 차단층
B1 제1 차단층
B2 제2 차단층
B3 제3 차단층

Claims (15)

  1. 외측 표면(I) 및 내측 표면(II)을 갖는 외부 판유리(1), 외측 표면(III) 및 내측 표면(IV)을 갖는 내부 판유리(2) 및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을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에 결합하는 열가소성 중간층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100)에서 상기 복합 판유리(100)는 외부 판유리(1)와 내부 판유리(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차양 코팅(4)을 가지며, 상기 차양 코팅(4)은 내부 판유리(2)에서부터 외부 판유리(1) 방향으로 다음의 층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100):
    - 제1 유전체 모듈(M1),
    - 제1 은층(Ag1),
    - 제2 유전체 모듈(M2),
    - 제2 은층(Ag2),
    - 제3 유전체 모듈(M3),
    - 제3 은층(Ag3),
    - 제4 유전체 모듈(M4),
    여기서 은층(Ag1, Ag2, Ag3)은 서로 상대적으로 Ag2>Ag1>Ag3의 기하학적 층 두께를 가지며, 차양 코팅의 은층(Ag1, Ag2, Ag3)은 1.0<Ag1/Ag3 및 1.2<Ag2/Ag3<2의 상대적 기하학적 층 두께를 가짐.
  2.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 모듈(M1, M2, M3, M4)은 M2/M1≥1.9, M2/M3≥0.8 및 M2/M4≥2의 상대적인 광학적 층 두께를 갖는 복합 판유리(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유전체 모듈(M1), 제2 유전체 모듈(M2), 제3 유전체 모듈(M3) 및/또는 제4 유전체 모듈(M4)은 실리콘 질화물에 기초한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갖는 복합 판유리(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유전체 모듈(M1), 제2 유전체 모듈(M2), 제3 유전체 모듈(M3), 및/또는 제4 유전체 모듈(M4)이 실리콘 질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전체층 및 산화아연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유전체 모듈(M1), 제2 유전체 모듈(M2), 제3 유전체 모듈(M3), 및/또는 제4 유전체 모듈(M4)이 실리콘 질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전체층, 산화아연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전체층 및 혼합 주석아연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양 코팅(4)이 은층(Ag1, Ag2, Ag3) 위 및/또는 아래에 각 경우에, 기하학적 두께가 1 nm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금속 차단층(B1, B2, B3)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은층(Ag1), 제2 은층(Ag2) 및 제3 은층(Ag3)이 각각 5 nm 내지 25 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는 복합 판유리.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은층(Ag1)은 7 nm 내지 14 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고, 제2 은층(Ag2)은 7 nm 내지 16 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고, 제3 은층(Ag3)의 6nm 내지 13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는 복합 판유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유전체 모듈(M1), 제2 유전체 모듈(M2), 제3 유전체 모듈(M3) 및 제4 유전체 모듈(M4)이 각각 10 nm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20 nm 내지 9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nm 내지 85 nm의 기하학적 두께를 갖는 복합 판유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양 코팅(4)이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 상에 도포되는 복합 판유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양 코팅(4)은 차양 코팅(4)이 전기 전압원에 연결될 수 있는 최소한 두개의 버스 바를 갖는 복합 판유리.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선이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과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 사이에 존재하는 복합 판유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양 코팅(4)은 정확하게 세개의 은층(Ag1, Ag2, Ag3)을 함유하는 복합 판유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의 제조 방법으로서 적어도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a) 외부 판유리(1)의 내측 표면(II) 또는 내부 판유리(2)의 외측 표면(III)에 차양 코팅(4)을 도포하거나 차양 코팅(4)을 열가소성 중간층(3)안으로 도입하는 단계,
    b) 적어도 외부 판유리(1), 열가소성 중간층(3) 및 내부 판유리(2)를 이 순서로 포함하는 층스택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외부 판유리(1), 열가소성 중간층(3) 및 내부 판유리(2)를 포함하는 층스택을 결합하여 복합 판유리(100)를 형성하는 단계.
  15. 바람직하게는 앞유리, 후면창, 측면창 및/또는 루프 패널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앞유리로서의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판유리(100)의 자동차에서 용도.
KR1020237015803A 2020-11-27 2021-11-23 차양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KR20230086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0321 2020-11-27
EP20210321.4 2020-11-27
PCT/EP2021/082665 WO2022112242A1 (de) 2020-11-27 2021-11-23 Verbundscheibe mit sonnenschutzbesch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730A true KR20230086730A (ko) 2023-06-15

Family

ID=7364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803A KR20230086730A (ko) 2020-11-27 2021-11-23 차양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5458A1 (ko)
EP (1) EP4251418A1 (ko)
JP (1) JP2023550516A (ko)
KR (1) KR20230086730A (ko)
CN (1) CN114829137A (ko)
WO (1) WO20221122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4396B2 (en) 2001-09-07 2004-05-11 Centre Luxembourgeois De Recherches Pour Le Verre Et La Ceramique S.A. (C.R.V.C.) Heatable vehicle window with different voltages in different heatable zones
FR2862961B1 (fr) 2003-11-28 2006-02-17 Saint Gobain Substrat transparent utilisable alternativement ou cumulativement pour le controle thermique, le blindage electromagnetique et le vitrage chauffant.
US7335421B2 (en) 2005-07-20 2008-02-26 Ppg Industries Ohio, Inc. Heatable windshield
KR101589854B1 (ko) 2012-01-10 2016-01-28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도전성 코팅을 갖는 투명한 창유리
ES2626057T3 (es) 2012-01-10 2017-07-21 Saint-Gobain Glass France Luna transparente con revestimiento con capacidad de conducción eléctrica
WO2019206493A1 (de) 2018-04-26 2019-10-31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scheibe mit elektrisch leitfähiger beschichtung und antireflexionsbeschichtung
EP3877176B1 (de) 2018-11-09 2024-04-03 Saint-Gobain Glass France Projektionsanordnung für ein head-up-display (hud) mit p-polarisierter strahlung
MA54136A (fr) 2018-11-09 2022-02-16 Saint Gobain Système de projection pour affichage tête haute (hud) à rayonnement polarisé 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0516A (ja) 2023-12-01
EP4251418A1 (de) 2023-10-04
CN114829137A (zh) 2022-07-29
US20230415458A1 (en) 2023-12-28
WO2022112242A1 (de)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372B1 (ko) p-편광 방사선을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위한 프로젝션 장치
KR102626086B1 (ko) p-편광 방사선을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위한 프로젝션 장치
KR101589854B1 (ko) 도전성 코팅을 갖는 투명한 창유리
US9359807B2 (en) Transparent panel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US10464292B2 (en) Transparent pane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EP2183102B1 (en) Vehicle transparency
EP1910242B1 (en) Heatable windshield
KR20100123875A (ko) 열적 특성을 갖는 스택을 구비한 기판
CN113677520B (zh) 具有防晒涂层和热射线反射涂层的复合玻璃板
KR20230082046A (ko) 차양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KR20230086730A (ko) 차양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 판유리
KR20230027260A (ko) P 편광 복사선을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을 위한 프로젝션 장치
US20240083146A1 (en) Composite pane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and at least one layer comprising selectively absorbing nanoparticles
US20240157681A1 (en) Vehicle glazing with metal-based coating and colored edge region
US20230405975A1 (en) Composite pane
CN116075491A (zh) 交通工具复合玻璃板
CN117157571A (zh) 用于具有p偏振辐射的平视显示器(HUD)的投影装置
CN114710966A (zh) 用于平视显示器(HUD)的具有p偏振辐射的投影装置
CN116529064A (zh) 运载工具复合玻璃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