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160A -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160A
KR20230086160A KR1020210174525A KR20210174525A KR20230086160A KR 20230086160 A KR20230086160 A KR 20230086160A KR 1020210174525 A KR1020210174525 A KR 1020210174525A KR 20210174525 A KR20210174525 A KR 20210174525A KR 20230086160 A KR20230086160 A KR 20230086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jection needle
external force
syringe
disposable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훈
Original Assignee
전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훈 filed Critical 전성훈
Priority to KR102021017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160A/ko
Publication of KR2023008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6Caps placed transversally onto the needle, e.g. pivotally attached to the needle base
    • A61M2005/321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cap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e.g. catch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 A61M2005/3268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having cantilever elastically spreadable arms, e.g. to accumulate energy during needle uncovering movement for urging protection sleeve to return to needle cover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Abstract

사용자가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기 전에 인위적으로 안전캡의 위치를 조작하여 주사바늘을 안전캡의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없는 일회용 주사기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기실린더에 결합되도록 주사기실린더의 선단에 조립되는 결합부와, 선단 및 후단이 개구되고 상기 후단이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선단과 후단의 사이에서 선단 및 후단과 연통된 주사바늘 보관공간이 구비된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자동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주사바늘 내장부, 및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의 선단에 연결되고 중앙에 상기 주사바늘 보관공간에 연통된 주사바늘 이동통로가 구비된 기둥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주사바늘이 주사바늘 내장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력을 주사바늘 내장부로 전달하는 외력 전달부가 포함된 안전캡을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인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긴급 상황 시에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준비시간이 단축되며,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에 주사바늘이 의료인의 피부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DISPOSABLE SYRINGE WITH HYPODERMIC NEEDLE PUNCTURE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인위적인 조작이 불필요한 안전캡이 구비되어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기 전에 인위적으로 안전캡의 위치를 조작하여 주사바늘을 안전캡의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없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주사기는 환자의 혈액샘플 채취, 약물투여, 수액 공급 등 진료 시 전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재사용을 금지하고, 한 번 사용한 주사기는 반드시 폐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회용 주사기는 안전을 위해 사용 후 주사바늘만을 분리시켜 그대로 폐기처분하거나 주사바늘에 안전캡을 씌워서 폐기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세계 선진국가들은 일찍부터 안전성에 관심을 두고 일부 품목에 대해 전면 급여화를 시행하여 의료진이나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는 사용한 후 다시 안전캡을 씌우는 과정에서 의료인이 주사바늘에 찔리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또 주사바늘을 분리시켜 폐기한다고 하더라도 주사바늘의 수거과정에서 노출상태인 주사바늘에 수거작업자가 불의로 찔리는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오염된 주사바늘에 남아있는 각종 세균이 의료인 및 수거작업자에게 전염될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설사 주사바늘 부위에 안전캡을 씌워 준 상태로 폐기한다고 하더라도 수거과정에서 안전캡이 분리되는 일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완벽한 안전도모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7713호에는 주사기 안전캡의 상단부는 슬릿을 가진 경질부로, 중간부분은 신축성 있는 연질의 주름관으로 마련한 후, 그 하단부를 주사바늘 몸체(주사기 실린더 몸체에 연결되는 부분)에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주사기를 사용할 때에는 주름관을 당겨 주사바늘을 노출시키고, 사용한 후에는 다시 주름관을 늘려 주사바늘이 안전캡 내부에 수장되도록 한 후 폐기처분하게 한 주사기용 안전캡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주사기용 안전캡은 주사기용 안전캡이 주사바늘과의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하여 의료인과 수거작업자가 주사바늘에 찔릴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전술한 주사기용 안전캡은 수작업으로 밀고 잡아당기는 과정을 통해 주사바늘의 외부노출과 격리를 조절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의료인이 사용된 주사바늘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안전캡을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주사바늘에 의해 찔릴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주사기용 안전캡이 구비된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사바늘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전캡을 실린더 쪽으로 밀어주는 1차 과정, 주사기를 사용하는 2차 과정, 사용된 주사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사바늘이 다시 안전캡 속으로 완전히 내장될 때까지 안전캡을 잡아당기는 3차 과정이 필요하므로, 절차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7713호(1998.12.0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3917호(2020.09.0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09-0003843호(2009.04.2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는 의료인 및 일회용 주사기를 폐기처리하기 위해 수거하는 수거작업자가 주사기의 주사바늘에 찔리지 않도록 위험 없이 주사바늘을 격리시킬 수 있고, 주사바늘의 외부노출을 최소화시키며, 인위적인 밀고 당기기가 필요 없는 안전캡이 구비된 일회용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사액을 담는 주사기실린더와, 상기 주사기실린더의 전방에 구비된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기실린더의 후방에 조립되어 상기 주사액에 압력을 가하는 피스톤, 및 상기 주사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사바늘을 감싸도록 형성된 안전캡을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안전캡이 주사기실린더에 결합되도록 주사기실린더의 선단에 조립되는 결합부와, 선단 및 후단이 개구되고 상기 후단이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선단과 후단의 사이에서 선단 및 후단과 연통된 주사바늘 보관공간이 구비된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자동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주사바늘 내장부, 및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의 선단에 연결되고 중앙에 상기 주사바늘 보관공간에 연통된 주사바늘 이동통로가 구비된 기둥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주사바늘이 주사바늘 내장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력을 주사바늘 내장부로 전달하는 외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에 의료인이 안전캡의 외부로 주사바늘이 노출되도록 안전캡의 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과정 중 자연스럽게 주사바늘이 안전캡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의료인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긴급 상황 시에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준비시간이 단축되며,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에 주사바늘이 의료인의 피부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안전캡의 복원력에 의해 안전캡이 주사바늘을 자동으로 격리시키기 때문에 의료인이 오염된 주사바늘에 찔리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일회용 주사기의 내부로 주사 앰플병에 보관되는 약물을 이동시키는 과정 중 의료인에 의한 안전캡의 접촉이 불필요하므로, 의료인에 약물이 주입되는 사고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며, 오염에 의한 일회용 주사기 및 약물의 폐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이하, '일회용 주사기'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는 주사액을 담는 주사기실린더(100)와, 상기 주사기실린더(100)의 전방에 구비된 주사바늘(200)과, 상기 주사기실린더(100)의 후방에 조립되어 상기 주사액에 압력을 가하는 피스톤(300), 및 상기 주사바늘(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사바늘(200)을 감싸도록 형성된 안전캡(400)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는 주사기실린더(1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사기실린더(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주사액이 수용될 주사액 수용공간을 내부에 갖는 것으로, 원통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사기 실린더는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주사기실린더(100)는 선단에 주사바늘(200)이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주사액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실린더 몸체부, 주사바늘 결합부, 및 손가락 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몸체부는 내부에 중공의 주사액 수용공간이 마련된 구성으로, 주사액 수용공간은 주사액이 수용되어 인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피스톤(300)의 일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주사바늘 결합부는 실린더 몸체부 선단에서부터 후술하는 연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연결구에 삽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실린더 몸체부의 직경에 비해 좁은 직경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주사바늘(200)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사바늘 결합부는 연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연결구에 삽입됨에 따라 연결 몸체부가 주사바늘 결합부에 끼움 결합을 이루게 되고, 이를 통해 주사기실린더(100)와 주사바늘(200) 간의 상호 연결이 완성된다.
아울러, 주사바늘 결합부의 내부에는 주사액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개방된 공간이 이어지는 형상을 제공하며, 주사액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주사액의 인입 또는 주사액의 배출을 위한 출입 공간을 제공하는 주사액 입출구가 마련된다.
상기 손가락 받침부는 실린더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실린더 몸체부의 외경에 비해 넓은 직경을 갖도록 실린더 몸체부의 후단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손가락 받침부는 의료인이 피스톤(300)을 가압하는 경우 의료인의 손가락이 지지될 수 있는 소정의 받침공간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는 주사바늘(200)을 포함한다.
상기 주사바늘(200)은 직접적으로 환자의 피부나 약물 카트리지에 꽂아지는 부분으로, 주사기실린더(100)의 선단에 결합되어 최초 주사액이 유입되거나 최종적으로 주사액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주사바늘(200)은 주사기실린더(1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몸체부와 바늘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몸체부는 내부에 실린더 연결구와 같은 별도의 개방공간이 마련된 몸체 구조를 이루고, 선단 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을 형성하는 침 형상으로 마련된 금속 재질의 바늘부가 끼워진다.
이를 통해, 연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연결구의 개방공간과 바늘부의 내부 중공의 개방공간은 상호 연통되어 연결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주사바늘(200)은 바늘부의 후단이 연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연결구의 개방공간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지만, 바늘부의 후단이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된 확장형 구조로 갖춘 주사바늘(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200)은 바늘부의 후단이 상대적으로 더욱 후방측을 향해 길게 확장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바늘부의 후단 위치가 연결 몸체부의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연결구의 개방공간 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는 피스톤(300)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300)은 실린더 몸체부의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실린더 몸체 내부의 약액을 주사바늘(200)로 가압 배출하는 것으로, 피스톤 몸체부와 피스톤 가압부와 약액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몸체부는 실린더 몸체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주체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무게와 원가 등을 고려하여 방사상 및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다수의 날개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형태를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가압부는 손가락으로 피스톤 몸체부를 가압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피스톤 몸체부의 후단에 피스톤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 가압부는 실린더 몸체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약액 가압부는 피스톤 몸체부의 외면과 실린더 몸체부의 내면 사이를 밀폐하는 것으로, 피스톤 몸체부의 전방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약액 가압부는 가장자리가 실린더 몸체부의 내면에 기밀 접촉하면서 실린더 몸체부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약액 가압부는 수밀상태를 유지하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갖춘 패킹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약액 가압부가 실린더 몸체부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밀림 이동)할 경우, 실린더 몸체부의 주사액 수용공간이 줄어들어 압력차에 의한 주사액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는 안전캡(400)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캡(400)은 주사바늘(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사바늘(200)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단이 주사기실린더(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안전캡(400)은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카트리지에 일회용 주사기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면 자동으로 안전캡(400)이 휘어지도록 변형되어 주사바늘(200)이 외부로 노출되며, 약물 카트리지로부터 일회용 주사기를 분리시키면 복원력에 의해 안전캡(400)이 도 2와 같이 초기 상태로 변형되어 주사바늘(200)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캡(400)은 주사기실린더(100)의 선단에 조립되는 결합부(410)와, 상기 결합부(410)에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자동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주사바늘 내장부(420), 및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420)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주사바늘 내장부(420)가 변형되도록 상기 외력을 주사바늘 내장부(420)로 전달하는 외력 전달부(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400)을 구성하는 결합부(410)는 안전캡(400)이 주사기실린더(100)에 결합되도록 주사기실린더(100)의 선단에 조립되는 것으로, 주사기실린더(1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10)는 안전캡(400)이 주사기실린더(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캡(400)을 주사기실린더(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외기가 안전캡(4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안전캡(400)과 주사기실린더(100)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410)는 복원력에 의해 주사기실린더(100)에 조립되도록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를 통해 주사기실린더(100)에 조립되도록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410)가 그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를 통해 주사기실린더(100)에 조립되는 경우, 상기 주사기실린더(100)의 외주면에도 결합부(410)의 나선부에 대응되는 나선부가 형성된다.
한편, 결합부(410)는 주사바늘 내장부(4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주사바늘 내장부(420)와 별도로 생산된 후 접착제, 열압착 등을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400)을 구성하는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선단 및 후단이 개구되고 상기 후단이 결합부(4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선단과 후단의 사이에서 선단 및 후단과 연통된 주사바늘 보관공간(422)이 구비된 관형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안전캡(400)을 환자의 피부, 약물 카트리지 등의 대상물에 밀착된 후 주사기실린더(100)를 상기 대상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대상물로부터 압력을 받아 휘어지는 과정을 통해 도 3과 같이 전체 길이가 축소되면서 주사바늘(200)의 말단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아울러,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안전캡(400)에 밀착된 대상물이 안전캡(400)으로부터 이탈되면 주사바늘 내장부(420)에 작용되던 압력이 해소되어 전체 길이가 원상복구되어 주사바늘(200) 전체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킨다.
다시 말해,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작용되면 불규칙적인 휘어짐이 발생되면서 압축되고, 복원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압력이 제거되면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초기 형태로 복원된다.
필요에 따라,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주사바늘(200)이 식별되지 않도록 착색될 수 있다. 이는, 어린이나 첨단공포증을 갖는 성인이 주사바늘(200)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두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작용할 때 원활히 휘어질 수 있도록 선단에서부터 후단으로 진행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점차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력 전달부(430)는 외력 전달부(430)와 인접한 주사바늘 내장부(420)에 의해 주사바늘(200)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외력 전달부(430)와 인접한 선단부가 다른 부분(중단부, 후단부)보다 축소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주사바늘 내장부(420)는 주사바늘(200)의 첨단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도 4와 같이 외력 전달부(430)와 인접한 선단부에 내경이 점차 축소되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400)을 구성하는 외력 전달부(430)는 주사바늘 내장부(420)의 선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주사바늘 내장부(420)가 초기 상태의 외형을 유지하도록 주사바늘 내장부(420)를 지지한다.
또한, 외력 전달부(430)는 주사바늘 내장부(420)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주사바늘(200)이 주사바늘 내장부(4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력을 주사바늘 내장부(42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외력 전달부(430)는 중앙에 주사바늘 보관공간(422)에 연통된 주사바늘 이동통로(432)가 구비된 기둥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기둥 구조로는 원기둥 구조나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의 다각기둥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력 전달부(430)는 주사바늘 내장부(420)와 동일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주사기실린더(100) 등과 동일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력 전달부(430)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외력 전달부(430)는 외력에 의해 과도한 휘어짐이 발생되어 주사바늘(200)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소정 두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력 전달부(430)는 주사바늘 내장부(4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주사바늘 내장부(420)와 별도로 생산된 후 접착제, 열압착 등을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외력 전달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이동통로(432)에 의해 주사바늘(2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주사바늘 이동통로(432)가 주사바늘 내장부(420)로 내삽된 초기 상태의 주사바늘(200)과 접촉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사바늘 내장부(420)로 내삽된 초기 상태의 주사바늘(200)은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기 전까지 외력 전달부(430)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주사바늘 이동통로(432)에 의해 밀착되어 지지된다.
필요에 따라, 외력 전달부(430)는 주사바늘 이동통로(432)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다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주사바늘(200)을 통과시키는 차단막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막은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주사바늘(200)에 접촉될 때 주사바늘(2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0.5㎜ 이하의 두께를 갖는 신축성 있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막으로는 라텍스, 실리콘,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400)은 외력 전달부(430) 선단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확장되도록 형성된 알콜솜 대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콜솜 대체부는 환자의 피부 소독용 알코올의 묻힘 표면을 제공하므로,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기 전에 알콜솜으로 환자의 피부를 소독하지 않더라도 알콜솜 대체부에 도포된 알코올로 환자의 피부를 소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주사기실린더 200 : 주사바늘
300 : 피스톤 400 : 안전캡
410 : 결합부 420 : 주사바늘 내장부
422 : 주사바늘 보관공간 430 : 외력 전달부
432 : 주사바늘 이동통로

Claims (6)

  1. 주사액을 담는 주사기실린더와, 상기 주사기실린더의 전방에 구비된 주사바늘과, 상기 주사기실린더의 후방에 조립되어 상기 주사액에 압력을 가하는 피스톤, 및 상기 주사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사바늘을 감싸도록 형성된 안전캡을 포함하는 일회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은
    상기 안전캡이 주사기실린더에 결합되도록 주사기실린더의 선단에 조립되는 결합부;
    선단 및 후단이 개구되고 상기 후단이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선단과 후단의 사이에서 선단 및 후단과 연통된 주사바늘 보관공간이 구비된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된 후 자동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주사바늘 내장부; 및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의 선단에 연결되고, 중앙에 상기 주사바늘 보관공간에 연통된 주사바늘 이동통로가 구비된 기둥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주사바늘이 주사바늘 내장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력을 주사바늘 내장부로 전달하는 외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는 실리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내장부는 상기 주사바늘이 식별되지 않도록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전달부는
    상기 주사바늘 이동통로에 의해 주사바늘이 지지될 수 있도록 주사바늘 이동통로가 초기 상태의 주사바늘과 접촉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전달부는
    상기 주사바늘 이동통로에 구비되어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다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주사바늘을 통과시키는 차단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전달부 선단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소독용 알코올의 묻힘 표면을 제공하는 알콜솜 대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1020210174525A 2021-12-08 2021-12-08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KR20230086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25A KR20230086160A (ko) 2021-12-08 2021-12-08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25A KR20230086160A (ko) 2021-12-08 2021-12-08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160A true KR20230086160A (ko) 2023-06-15

Family

ID=8676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525A KR20230086160A (ko) 2021-12-08 2021-12-08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616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713U (ko) 1997-05-29 1998-12-05 오승종 주사바늘과 일체형의 주사기용 안전캡
KR20090003843U (ko) 2007-10-22 2009-04-27 이지공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캡
KR102153917B1 (ko) 2018-09-04 2020-09-09 이남수 필름형 개폐구조를 갖는 주사기용 안전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713U (ko) 1997-05-29 1998-12-05 오승종 주사바늘과 일체형의 주사기용 안전캡
KR20090003843U (ko) 2007-10-22 2009-04-27 이지공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캡
KR102153917B1 (ko) 2018-09-04 2020-09-09 이남수 필름형 개폐구조를 갖는 주사기용 안전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2948A (en) Injection port for single-use syringe
AU2003223720B2 (en) Safety injectors
JP6219353B2 (ja) 手のひら作動式薬物送達装置
US7670314B2 (en) Injection device for administering a vaccine
RU2095090C1 (ru) Шприц для подкожных инъекций
US5067948A (en) Safety, packaging, injection and disposal system for pre-filled pharmaceutical vials
KR100900369B1 (ko) 주사침의 인입이 가능한 1회용 안전 주사기
ES2230201T3 (es) Jeringa hipodermica con aguja selectivamente retractil.
JP5030593B2 (ja) プレフィルド注射器用の安全シールドシステム
US5810784A (en) Safety cap assembly for needles and catheters
JP5907969B2 (ja) カートリッジ薬剤の送達のための1回使いきりデバイス
US7083596B2 (en) Anesthetizer with automatic needle decommissioning mechanism
JP5992986B2 (ja) 再使用防止機能付使い捨てペンニードル
US20050020985A1 (en) Syringe with integral safety system
CN103957962B (zh) 用于同时插入多个经皮部分的插入物
BR0004721B1 (pt) seringa com agulha retrÁtil.
EP0612255B1 (en) An injection device
US5195973A (en) Self-destructing disposable safety syringe system with piston and plunger joined by weak attachment sealant
KR20230086160A (ko) 주사바늘의 찔림방지 기능을 갖는 일회용 주사기
WO2008020780A1 (en) Disposable syringe 'variants'
KR102173408B1 (ko) 재사용 방지 일회용 주사기
JP5169218B2 (ja) シリンジ
JPH11262525A (ja) 薬液自己注入セット
JPH0323248Y2 (ko)
KR100571553B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