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612A -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612A
KR20230085612A KR1020210173950A KR20210173950A KR20230085612A KR 20230085612 A KR20230085612 A KR 20230085612A KR 1020210173950 A KR1020210173950 A KR 1020210173950A KR 20210173950 A KR20210173950 A KR 20210173950A KR 20230085612 A KR20230085612 A KR 2023008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ization
polymer
water
outlet
mono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훈
김기철
민윤재
이슬아
안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10173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612A/ko
Publication of KR2023008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1Multistage polymeris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 change in reactor conditions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중합 반응 장치는 단량체 조성물이 투입되는 제1입구와, 제1출구를 가지며, 단량체 조성물을 선 중합 시간동안 선 중합하여 중간 중합체를 생성하는 선 중합 장치; 상기 제1출구에 장착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중간 중합체의 크기를 제한하는 홀 플레이트; 상기 홀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중간 중합체를 절단하는 절단기; 그리고 절단기에 의하여 절단된 중간 중합체를 후 중합 시간동안 후 중합하여 중합체를 생성하는 중합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POLYMERIZATION REACTING APPARATUS FOR SUPER ABSORBENT POLYMER}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용 연속 중합 반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합체의 건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중합체의 배출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흡수성 수지용 연속 중합 반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는 아크릴산과 가성소다를 반응시켜 제조하는 백색 분말 형태의 고분자 물질이며, SAP 자체 무게의 오백 배 내지 천 배 정도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고흡수성 수지는 물을 흡수하면 젤리와 비슷한 형태로 변형되며, 외부에서 어느 정도의 압력이 가해져도 물을 배출하지 않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합성 고분자 물질이다.
고흡수성 수지 분자는 그물 모양의 망상구조를 갖고 있으며, 분자들 사이의 많은 구멍들로 인해 물을 잘 흡수할 수 있다. 물과 고흡수성 수지의 내부의 이온 농도 차이로 인해 물은 고흡수성 수지의 내부로 이동(삼투합 현상에 의하여)하게 된다. 물 분자들이 고흡수성 수지 내부로 유입되면 내부에 고정된 음이온들이 반발력에 의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려고 하면서, 고분자 사슬의 공간이 팽창하게 되어 물을 더 많이 흡수(정전기적 반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는 생리용구로 실용화되기 시작해서 현재는 어린이용 종이 기저귀 등 위생용품 외에 원예용 토양 보수제, 토목, 건축용 지수재, 육묘용 시트, 식품 유통분야에서의 신성도 유지제, 및 찜질용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흡수성 수지는 중합 반응기에서 중합 반응을 거쳐 얻은 함수겔(hydrogel) 또는 함수겔상 중합체(hydrogel polymer)를 건조 및 분쇄한 후 분말상의 제품으로 시판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중합 반응으로 생성된 중합체가 높은 모듈러스를 가지고 있으며 중합 반응기 표면과의 접착력이 높아 중합 반응기로부터 중합체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압력이 필요하였다. 또한, 중합 반응기 표면에 비친수성 처리를 하지 않으면 중합체의 배출이 불가능할 수도 있었다.
또한, 중합 반응기에 단량체 조성물의 투입 후 수 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진행하여 생성된 중합체의 크기가 상당히 컸다. 따라서, 중합체를 배출하기 위해 입자 형태를 만드는데 많은 기계부하가 요구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중합 반응기 내부의 온도를 물이 증발하지 않는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농도가 낮은 단량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중합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후공정에서 많은 건조 에너지가 요구될 수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중합체의 건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중합체의 배출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는 단량체 조성물이 투입되는 제1입구와, 제1출구를 가지며, 단량체 조성물을 선 중합 시간동안 선 중합하여 중간 중합체를 생성하는 선 중합 장치; 상기 제1출구에 장착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중간 중합체의 크기를 제한하는 홀 플레이트; 상기 홀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중간 중합체를 절단하는 절단기; 그리고 절단기에 의하여 절단된 중간 중합체를 후 중합 시간동안 후 중합하여 중합체를 생성하는 중합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기는 제2입구와, 제2출구를 가지고, 제열 및 윤활을 위한 냉수가 제2입구를 통하여 중합 반응기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와 함께 계면활성제가 제2입구를 통하여 중합 반응기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기 내의 중합체는 제2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2출구에는 선택적으로 제2출구를 개폐하는 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 중합 시간은 5분 내지 30분이고, 상기 후 중합 시간은 4.5시간 내지 7시간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내부 가교제, 중합 개시제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 관통홀의 직경은 0.5mm 내지 20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량체 조성물을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기 전에 선 중합 장치로 짧은 시간 동안 선 중합시킨 후 절단하여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므로 낮은 모듈러스를 가진 중간 중합체 상태에서 절단되게 된다. 따라서, 소형 절단기로 절단이 가능하므로 절단 설비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냉수를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열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단량체 조성물로 중합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합체에 포함된 수분이 적어 건조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선 중합 후 절단된 중간 중합체가 중합 반응기에 투입되므로, 생성된 중합체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낮은 압력 하에서 중합체를 배출할 수 있고 연속적인 중합체의 배출도 가능하다. 즉, 중합체의 배출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중합체와 중합 반응기의 표면 사이의 점착력이 높지 않으므로 중합 반응기 표면을 비친수성 처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중합 반응기의 유지 및 보수가 불필요하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의 개략도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포함하다", "포함하는", "함유하다" 및/또는 "함유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작동들, 구성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 중 하나 이상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을 또한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되어 나열된 항목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중합체", 또는 "고분자"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중합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모든 수분 함량 범위 또는 입경 범위를 포괄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중, 중합 후 건조 전 상태의 것으로 함수율(수분 함량)이 약 40 중량% 이상의 중합체를 함수겔상 중합체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고흡수성 수지"는 문맥에 따라 상기 중합체 또는 베이스 수지 자체를 의미하거나, 또는 상기 중합체나 상기 베이스 수지에 대해 추가의 공정, 예를 들어 표면 가교, 미분 재조립, 건조, 분쇄, 분급 등을 거쳐 제품화에 적합한 상태로 한 것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간 중합체"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선 중합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약 5분에서 약 30분 정도 중합되어 중합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아래의 방법들 또는 이들의 양상들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제어기"라는 용어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된다. 제어기는,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유닛들, 모듈들, 부품들, 장치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방법들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함께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개시의 제어기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들의 예들은 롬(ROM), 램(RAM), 컴팩트 디스크(CD) 롬, 자기 테이프들, 플로피 디스크들, 플래시 드라이브들, 스마트 카드들 및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분산되어 프로그램 명령들이,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서버(telematics server) 또는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와 같은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는 단량체 조성물을 선 중합 장치로 짧은 시간 동안 선 중합시켜 중간 중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중간 중합체를 절단하여 중합 반응기에서 중합을 완료함으로써 절단 설비의 소형화, 건조 에너지의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장치는 중합 반응 장치(1), 세절장치, 건조기, 분쇄장치, 그리고 표면 가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 반응 장치(1)는 내부 가교제, 및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 단량체 조성물의 선 중합 반응을 일으켜 중간 중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중간 중합체를 절단하여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며, 상기 절단된 중간 중합체의 중합 반응을 완료하여 함수겔상 중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선 중합 반응 및 중합 반응은 산성기를 갖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내부 가교제, 및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에 대하여 중합을 수행하여, 상기 산성기를 갖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내부 가교제가 가교 중합된 중합체를 형성하는 반응이다.
가교 중합체를 구성하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량체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R1-COOM1
상기 화학식 1에서, R1는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5의 알킬 그룹이고, M1는 수소원자, 1가 또는 2가 금속, 암모늄기 또는 유기 아민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 산의 1가 금속염, 2가 금속염, 암모늄염 및 유기 아민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 아크릴산 또는 그 염을 사용할 경우 흡수성이 향상된 고흡수성 수지를 얻을 수 있어 유리하다. 이 밖에도 상기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인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2-아크릴로일에탄 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트)아크릴로일프로판술폰산 또는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 프로판 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 N-치환(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산성기를 가진다. 종래의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에서는, 상기 산성기 중 적어도 일부가 중화제에 의해 중화된 단량체를 가교 중합하여 함수겔 중합체를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성기를 갖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내부 가교제, 중합 개시제 및 중화제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산성기 중 적어도 일부가 중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산성기가 중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합을 먼저 수행하여 중합체를 형성한다.
산성기가 중화되지 않은 상태의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예, 아크릴산)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며 용매(물)와 혼화성(miscibility)이 높아 단량체 조성물에서 혼합 용액의 상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산성기가 중화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상온에서 고체 상태이며 용매(물)의 온도에 따라 다른 용해도를 갖고, 저온일수록 용해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산성기가 중화되지 않은 상태의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산성기가 중화된 단량체보다 용매(물)에 대한 용해도 또는 혼화도가 높아 낮은 온도에서도 석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저온에서 장시간 중합을 하기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상기 산성기가 중화되지 않은 상태의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이용하여 장시간 중합을 수행하여 보다 고분자량을 갖고 분자량 분포가 균일한 중합체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긴 체인의 중합체 형성이 가능하여 중합이나 가교화가 불완전하여 가교화되지 아니한 상태로 존재하는 수가용 성분의 함량이 줄어드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단량체의 산성기가 중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합을 먼저 수행하여 중합체를 형성하고, 중화 후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 미립화하거나, 미립화와 동시에 상기 중합체에 존재하는 산성기를 중화시키면 계면활성제가 상기 중합체의 표면에 다량 존재하여 중합체의 점착성을 낮추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조성물 중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는 중합 시간 및 반응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약 20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약 35 내지 약 60 중량%, 또는 약 40 내지 약 45 중량%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내부 가교제'는 후술하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을 가교시키는 위한 표면 가교제와 구분짓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로, 상술한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들의 불포화 결합을 가교시켜 중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계에서의 가교는 표면 또는 내부 구분 없이 진행되나, 후술하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 가교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최종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 표면은 표면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는 상기 내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구조로 이루어져있게 된다.
상기 내부 가교제로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시 가교 결합의 도입을 가능케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화합물도 사용 가능하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내부 가교제는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다이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다이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아릴아민,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에틸렌카보네이트와 같은 다관능성 가교제가 단독 사용 또는 2 이상 병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이 중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가교제의 존재 하에서의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가교 중합은, 중합 개시제, 필요에 따라 증점제(thickener), 가소제, 보존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조성물에서, 이러한 내부 가교제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가교제는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이상, 또는 0.05 중량부 이상, 또는 0.1 중량부 이상이고, 5 중량부 이하, 또는 3 중량부 이하, 또는 2 중량부 이하, 또는 1 중량부 이하, 또는 0.7 중량부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내부 가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가교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적정 수준 이상의 강도 구현이 어려울 수 있고, 상부 내부 가교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내부 가교 밀도가 높아져 원하는 보수능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가교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중합체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들이 중합되어 형성된 메인 사슬들이 상기 내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는 형태의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중합체가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 경우, 내부 가교제에 의해 추가 가교되지 않은 2차원 선형 구조를 경우에 비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제반 물성인 보수능 및 가압 흡수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합 반응 장치(1)는 열 중합 방식을 이용한 중합 반응 장치(1)이다. 상기 중합 반응 장치(1)는 후술한다.
통상의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방법에서 중합 방법은 중합 에너지원에 따라 크게 열중합 및 광중합으로 나뉘며, 통상 열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니더(kneader)와 같은 교반축을 가진 반응기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광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반응기에서 진행되거나, 바닥이 납작한 용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중합 방법은 대체로 짧은 중합 반응 시간(예를 들어, 1시간 이하)에 따라 중합체의 분자량이 크지 않고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중합체가 형성된다.
한편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반응기 또는 바닥이 납작한 용기에서 광중합을 진행하는 경우, 통상 얻어지는 함수겔 중합체의 형태는 벨트의 너비를 가진 시트 상의 함수겔상의 중합체가 얻어지며, 중합체 시트의 두께는 주입되는 단량체 조성물의 농도 및 주입속도 또는 주입량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약 0.5 내지 약 5 cm의 두께로 수득된다.
그런데, 시트 상의 중합체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을 정도로 단량체 조성물을 공급하는 경우, 생산 효율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생산성을 위해 시트 상의 중합체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에는 중합 반응이 전 두께에 걸쳐 고르게 일어나지 않아 고품질의 중합체 형성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 반응기에서의 중합은 중합 결과물이 이동하면서 새로운 단량체 조성물이 반응기에 공급되어 연속식으로 중합이 이루어지므로 중합율이 서로 다른 중합체가 섞이게 되며 이에 따라 단량체 조성물 전체에서 고른 중합이 이루어지기 어려워 전체적인 물성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배치식 중합 반응 장치에서 중합을 진행함에 따라 중합율이 다른 중합체가 섞일 우려가 적고 이에 따라 고른 품질을 갖는 중합체가 수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배치식 반응기에서의 중합은 열중합 방법을 이용함에 따라 상기 중합 개시제는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한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로는 과황산염계 개시제,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수소 및 아스코르빈산으로 이루어진 개시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황산염계 개시제의 예로는 과황산나트륨(Sodium persulfate; Na2S2O8),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K2S2O8),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NH4)2S2O8) 등이 있으며, 아조(Azo)계 개시제의 예로는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티라마이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azobis-(N,N-dimethylene)isobutyramidine dihydrochloride), 2-(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2-(carbamoylazo)isobutylonitril),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2,2-azobis[2-(2-imidazolin-2-yl)propane] dihydrochloride),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 산) (4,4-azobis-(4-cyanovaleric acid)) 등이 있다. 보다 다양한 열중합 개시제에 대해서는 Odian 저서인 'Principle of Polymerization(Wiley, 1981)', p203에 잘 명시되어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2 중량부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중합 개시제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중합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최종 제품에 잔존 모노머가 다량으로 추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상기 중합 개시제의 농도가 상기 범위 보다 높을 경우 네트워크를 이루는 고분자 체인이 짧아져 수가용 성분의 함량이 높아지고 가압 흡수능이 낮아지는 등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개시제와 레독스(Redox) 커플을 이루는 환원제를 함께 투입하여 중합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시제와 환원제는 중합체 용액에 투입되었을 때 서로 반응하여 라디칼을 형성한다.
형성된 라디칼은 단량체와 반응하게 되며, 상기 개시제와 환원제간의 산화-환원 반응은 반응성이 매우 높으므로, 미량의 개시제 및 환원제만이 투입되어도 중합이 개시되어 공정 온도를 높일 필요가 없어 저온 중합이 가능하며, 중합체 용액의 물성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중합 반응은 상온(25℃) 부근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도 원활히 일어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합 반응은 5℃ 이상 25℃ 이하, 또는 5℃ 이상 2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개시제로 과황산염계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환원제는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테트라메틸 에틸렌디아민(TMEDA); 황산철(II)과 EDTA의 혼합물(FeSO4/EDTA); 소듐폼알데하이드 설폭실레이트(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및 디소듐 2-히드록시-2-설피노아세테이트(Disodium 2-hydroxy-2-sulfinoacte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을 사용하고, 환원제로서 디소듐 2-히드록시-2-설피노아세테이트를 사용하거나; 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을 사용하고, 환원제로서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을 사용하거나; 개시제로서 과황산나트륨을 사용하고, 환원제로서 소듐폼알데하이드 설폭실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개시제로 과산화수소계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환원제는 아스코브산(Ascorbic acid); 수크로오스(Sucrose); 아황산나트륨(Na2SO3)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테트라메틸 에틸렌디아민(TMEDA); 황산철(II)과 EDTA의 혼합물(FeSO4/EDTA); 소듐폼알데하이드 설폭실레이트(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디소듐 2-히드록시-2-설피노아세테이트(Disodium 2-hydroxy-2-sulfinoacteate); 및 디소듐 2-히드록시-2-설포아세테이트(Disodium 2-hydroxy-2-sulfoacteat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증점제(thickener), 가소제, 보존안정제,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용매에 용해된 용액 상태일 수 있고, 이러한 용액 상태의 단량체 조성물 중의 고형분 함량, 즉 단량체, 내부 가교제 및 중합 개시제의 농도는 중합 시간 및 반응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량체 조성물 내의 고형분 함량은 10 내지 80 중량%, 또는 15 내지 60 중량%, 또는 3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상술한 성분들을 용해할 수 있으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아밀케톤,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톨루엔, 크실렌, 부틸로락톤, 카르비톨,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중합체는, 미중화 상태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이용하여 중합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분자량을 갖고 분자량 분포가 균일한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수가용 성분의 함량이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중합체는 함수겔 중합체 상태로, 함수율이 3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체의 함수율은 30 중량% 이상, 또는 45 중량% 이상, 또는 50 중량% 이상이면서, 80 중량% 이하, 또는 70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합체의 함수율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 이후 분쇄 단계에서 적절한 표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워 효과적으로 분쇄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중합체의 함수율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이후 분쇄 단계에서 받는 압력이 증가하여 원하는 입도까지 분쇄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함수율"은 전체 중합체 중량에 대해 차지하는 수분의 함량으로 중합체의 중량에서 건조 상태의 중합체의 중량을 뺀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외선 가열을 통해 크럼 상태의 중합체의 온도를 올려 건조하는 과정에서 중합체 중의 수분증발에 따른 무게 감소분을 측정하여 계산된 값으로 정의한다. 이때, 건조 조건은 상온에서 약 180℃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뒤 180℃에서 유지하는 방식으로 총 건조시간은 온도상승단계 5분을 포함하여 40분으로 설정하여, 함수율을 측정한다.
이하,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1)는 선 중합 장치(10), 절단기(30), 그리고 중합 반응기(50)를 포함한다.
선 중합 장치(10)는 투입되는 단량체 조성물을 선 중합하여 중간 중합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선 중합 장치(10)는 제1입구(12)와 제1출구(14)를 포함한다.
제1입구(12)는 선 중합 장치(10)의 일면에 위치하며, 선 중합 장치(10)는 제1입구(12)를 통하여 단량체 조성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내부 가교제, 중합 개시제 및 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40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제1출구(14)는 상기 제1입구(12)의 반대면인 선 중합 장치(10)의 타면에 위치하며, 선 중합 장치(10)에서 선 중합된 중간 중합체를 배출한다. 중간 중합체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선 중합 장치(10)에는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선 중합 장치(10)는 투입되는 단량체 조성물의 중합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도록 짧은 시간 동안 선 중합을 진행한다. 하나의 예에서, 선 중합 시간은 약 5분 내지 약 30분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에서, 선 중합 시간은 약 10분 내지 약 15분일 수 있다. 짧은 시간 동안 선 중합을 진행함으로써 단량체 조성물은 완전히 중합되지 못하여 모듈러스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소형 절단기로도 중간 중합체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선 중합 장치(10)의 제1출구(14)는 중합 반응기(50)의 측면 상부 또는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중합 반응기(50) 내로 중간 중합체를 공급한다. 상기 중합 반응기(50)로 공급되는 중간 중합체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출구(14)에는 홀 플레이트(20)가 배치된다. 상기 홀 플레이트(20)에는 복수의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중합체는 복수의 관통홀(22)을 통과하며 그 직경이 관통홀(22) 개개의 직경 이하로 제한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관통홀(22) 개개의 직경은 약 0.5mm 내지 약 20mm일 수 있다.
절단기(30)는 선 중합 장치(10)에서 선 중합된 중간 중합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것으로, 상기 홀 플레이트(20)와 설정된 갭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절단기(30)는 복수의 커터날을 구비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홀 플레이트(20)의 관통홀(22)을 통과한 중간 중합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일정한 크기 이하의 중간 중합체가 중합 반응기(50)에 공급된다.
상기 중합 반응기(50)는 상기 절단기(30)에 의하여 절단된 중간 중합체의 중합 반응을 더 진행하여 완료하여(이하, '후 중합'이라고 칭함) 중합체(X1)를 생성한다.
상기 중합 반응기(50)는 그 상부에 직경이 대체로 일정한 원통형의 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아래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제2입구(52)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의 하면에는 제2출구(5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입구(52)는 공급 도관(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급 도관(40)을 통하여 냉수 또는 냉수와 계면활성제를 공급받는다. 공급 도관(40)을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중합 반응기(5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100℃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제2출구(56)를 통한 중합체(X1)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냉수는 중합체(X1)의 제열 및 윤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중합체(X1)의 점착성을 낮추어 중합 반응기(50)의 내부 표면의 비친수성 처리 없이도 중합체(X1)가 제2출구(56)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입구(52)는 제1출구(14)에 연결되어 제1출구(14)를 통하여 중간 중합체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2입구(52)는 커버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중합 반응기(50)는 상기 중합 반응기(50) 내부의 분위기를 불활성으로 조성하고 생성된 중합체(X1)를 배출하기 위하여 질소 기체를 공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출구(54)에는 배출 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밸브(54)는 제2출구(54)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밸브(54)는 제2출구(54)를 닫아 중합 반응기(50) 내에서 중간 중합체가 충분히 후 중합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배출 밸브(54)는 제2출구(54)를 열어 충분히 후 중합되어 생성된 중합체(X1)를 제2출구(54)를 통하여 배출한다.
상기 중합 반응기(50)에서 일어나는 후 중합은 단량체가 중합체로 전환되는 비율인 전환율을 증가시켜 잔류 단량체를 저감하기 위하여 충분한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후 중합 시간은 약 4.5시간 내지 약 7시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 중합 시간은 약 5시간 내지 약 6시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제1입구(12)를 통하여 단량체 조성물이 선 중합 장치(10)로 공급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량체 조성물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내부 가교제, 중합 개시제 및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공급된 단량체 조성물은 상기 선 중합 장치(10)에서 약 5분 내지 약 30분의 짧은 시간 동안 선 중합되어 중간 중합체로 생성된다. 상기 중간 중합체는 완전히 중합되지 못하여 모듈러스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에 따라 소형의 절단기(30)로도 상기 중간 중합체가 절단될 수 있다.
선 중합 장치(10)에서 생성된 중간 중합체는 홀 플레이트(20)의 관통홀(22)을 통과하며 그 크기가 제한되고, 절단기(30)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후 중합 반응기(50)에 투입된다.
배출 밸브(54)는 제2출구(54)를 닫고 중합 반응기(50) 내에서 중간 중합체는 후 중합된다. 이에 따라, 중합 반응기(50) 내의 잔류 단량체가 저감된다. 또한, 중합 반응기(50) 내의 온도가 상승하면, 공급 도관(40)을 통하여 냉수 및/또는 계면활성제가 공급된다. 상기 냉수는 중합 반응기(5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100℃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계면활성제는 중합체(X1)의 점착성을 낮춘다. 따라서, 중합 반응기(50)의 내부 표면의 비친수성 처리 없이도 중합체(X1)는 제2출구(56)를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속적인 중합체(X1)의 배출이 가능하다.
후 중합 시간 동안 중간 중합체의 후 중합이 진행된 후, 배출 밸브(54)는 제2출구(54)를 열어 중합체(X1)를 배출한다. 냉수와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중합체(X1)의 점착성이 낮아졌으므로, 상기 중합체(X1)는 별도의 가압 없이 중력에 의하여 제2출구(5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조된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의 산성기를 중화시키는 단계;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 상기 중합체를 미립화하여 함수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함수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건조하여, 건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분쇄하여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등을 수행하여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중합 반응 장치 10: 선 중합 장치
12: 제1입구 14: 제1출구
20: 홀 플레이트 22: 관통홀
30: 절단기 40: 공급 도관
50: 중합 반응기 52: 제2입구
54: 제2출구 56: 밸브

Claims (7)

  1. 단량체 조성물이 투입되는 제1입구와, 제1출구를 가지며, 단량체 조성물을 선 중합 시간동안 선 중합하여 중간 중합체를 생성하는 선 중합 장치;
    상기 제1출구에 장착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중간 중합체의 크기를 제한하는 홀 플레이트;
    상기 홀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중간 중합체를 절단하는 절단기; 그리고
    절단기에 의하여 절단된 중간 중합체를 후 중합 시간동안 후 중합하여 중합체를 생성하는 중합 반응기;
    를 포함하는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기는 제2입구와, 제2출구를 가지고,
    제열 및 윤활을 위한 냉수가 제2입구를 통하여 중합 반응기에 공급되는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와 함께 계면활성제가 제2입구를 통하여 중합 반응기에 공급되는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기 내의 중합체는 제2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2출구에는 선택적으로 제2출구를 개폐하는 밸브가 장착된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 중합 시간은 5분 내지 30분이고,
    상기 후 중합 시간은 4.5시간 내지 7시간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조성물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내부 가교제, 중합 개시제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되는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관통홀의 직경은 0.5mm 내지 20mm인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KR1020210173950A 2021-12-07 2021-12-07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KR20230085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950A KR20230085612A (ko) 2021-12-07 2021-12-07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950A KR20230085612A (ko) 2021-12-07 2021-12-07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612A true KR20230085612A (ko) 2023-06-14

Family

ID=8674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950A KR20230085612A (ko) 2021-12-07 2021-12-07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6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8171B2 (en) Preparation method of superabsorbent polymer and superabsorbent polymer prepared thereby
US10669381B2 (en) Method for preparing super absorbent polymer
US10773237B2 (en) Method for preparing super absorbent polymer, and super absorbent polymer
EP3747938B1 (en) Method for producing super absorbent polymer
US11633720B2 (en) Super absorbent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335768B2 (en) Super absorbent polymer
CN108350188B (zh) 超吸收性聚合物及其制备方法
US10550230B2 (en) Preparation method of superabsorbent polymer and superabsorbent polymer prepared thereby
US20170226248A1 (en) Method of preparing superabsorbent polymer
CN109923157B (zh) 超吸收性聚合物及其制备方法
US11718694B2 (en) Super absorbent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95037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CN113039235B (zh) 用于制备超吸收性聚合物的方法
KR20230085612A (ko) 고흡수성 수지용 중합 반응 장치
WO2019117418A1 (ko) 고흡수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83054A (ko) 고흡수성 수지용 연속 중합 반응기
US20240026040A1 (en) Continuous polymerization reactor for super absorbent polymer and continuous polymerization reaction system
KR20220169436A (ko) 고흡수성 수지용 연속 중합 반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중합 반응 시스템
EP4321561A1 (en) Preparation method of super absorbent polymer and super absorbent polymer
JP2024520397A (ja) 高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高吸水性樹脂
KR20210107976A (ko) 고흡수성 수지
US20240034844A1 (en) Preparation Method of Super Absorbent Polymer
KR20230062096A (ko) 고흡수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8057A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