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55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558A
KR20230085558A KR1020210173846A KR20210173846A KR20230085558A KR 20230085558 A KR20230085558 A KR 20230085558A KR 1020210173846 A KR1020210173846 A KR 1020210173846A KR 20210173846 A KR20210173846 A KR 20210173846A KR 20230085558 A KR20230085558 A KR 20230085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sensor assembly
sensor
electromagnetic wave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최규천
김동성
주형국
김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558A/ko
Priority to PCT/KR2022/019453 priority patent/WO2023106741A1/ko
Publication of KR2023008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2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9/00Methods of, or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weight,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G1/00 - G01G7/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9/00Methods of, or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weight,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G1/00 - G01G7/00
    • G01G9/005Methods of, or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weight,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G1/00 - G01G7/00 using radiations, e.g. radioac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벽면을 포함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어 수용된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 걸이,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전자파를 신호로 방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 및 포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NG LAUNDRY}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캐비닛 내부에 의류를 걸어 놓고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열풍, 냉풍 또는 스팀 등을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시 하거나 살균하는 가전기기이다. 미세 먼저 제거 또는 비에 젖은 옷을 건조하는 경우에도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를 리프레셔, 스타일러, 의류청정기 등 다양한 용어로 칭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소량의 의류를 처리하도록 구비된다. 일례로, 1벌 내지는 5벌 정도의 의류를 처리하도록 구비되며, 의류는 옷걸이에 걸린 상태로 수용공간에 위치된다. 기존 의류처리장치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의 종류와 벌수를 모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코스(표준, 기능성 의류 등)를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몇 벌이 걸려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행정은 5벌 모두가 걸려 있을 경우에 맞춰 설계되어 있다.
의류의 양 및 의류의 종류에 따라 최적 코스를 추천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에 비전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비전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i) 수용공간에 스팀 등이 채워지진 경우에, 스팀에 의해 사물이 뿌옇게 가려짐 현상이 기술적으로 사물 인식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ii) 제품 안에 비전센서를 숨기는 것이 불가능하고, 비전센서가 제품 표면에 노출되야하므로 외관 디자인에 불리하다. iii) 여러 벌의 옷이 겹친 상태로 걸려 있을 경우, 비전 센서 기준 근거리 사물이 인식되면 후면의 옷들 인식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KR10-2019132B1에는 '무게 센서를 탑재함으로써 의류의 개별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따른 최적의 의류 처리의 강도, 세기 또는 시간을 판단하여 최적화된 의류 처리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인공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수용된 의류의 벌수(수량) 및 의류가 걸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제품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의류의 수량 및 의류가 걸린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측정된 포량에 따라, 의류 처리를 위한 최적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행정 중에 의류가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밀폐 공간에서 수용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 어셈블리(RADAR SENSOR ASSEMBLY)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벽면을 포함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어 수용된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 걸이,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전자파를 신호로 방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 및 포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걸이는 복수개의 의류를 제1방향을 따라 걸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개의 의류가 중첩되어 보이는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걸이는 복수의 의류를 제1방향을 따라 걸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제1방향이 연장되는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의류 걸이의 최하단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의류 걸이에 지지되는 옷걸이의 하단 부분의 평균적인 높이보다 제1 높이 이상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센서의 전자파 방사각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방사각은 상기 의류 걸이에 지지된 상의 및 하의 모두가, 방사되는 전자파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설정되되, 상기 방사각은 상기 의류 걸이에 지지되는 옷걸이가 방사되는 전자파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제1 각도 내지 제2 각도 사이의 장착 각도로 장착되고, 상기 제1 각도는, 방출되는 전자파가 상기 의류 걸이에 닿지 않는 각도이고, 상기 제2 각도는 방출되는 전자파가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바닥면에 닿지 않는 각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전자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센서보드, 및 상기 센서보드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되, 상기 센서보드에서 송신되는 전자파의 방사각을 좁히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전자파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센서보드, 및 상기 센서보드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자파의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센서보드의 면적이 전부 중첩되도록 상기 센서보드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센서보드의 측면을 감싸도록 단면이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센서보드와 상기 차폐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의류처리장치의 처리 행정 중, 제2 시점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감지된 포량이, 상기 제2 시점보다 앞선 제1 시점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감지된 포량보다 적은 경우, 의류가 낙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벽면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벽면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며, 전자파를 신호로 방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 및 포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 수용된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센서 어셈블리는, 전자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센서보드, 상기 센서보드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되, 상기 센서보드에서 송신되는 전자파의 방사각을 좁히는 렌즈, 및 상기 센서보드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자파의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센서보드의 면적이 전부 중첩되도록 상기 센서보드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센서보드와 상기 차폐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제품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측정된 의류의 벌수 또는 포위치에 따라, 의류 처리를 위한 최적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사용하는 전력량을 줄이거나, 의류 처리 행정에 따른 옷감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의류 처리 행정 중에 의류가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밀폐 공간에서 수용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RADAR SENSOR)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폐쇄된 공간에서 전자파를 이용하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난반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인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700)과 내부에 제공되는 각종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기계실(700)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y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센서 어셈블리(800)가 제공되는 위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y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센서 어셈블리(800)의 방사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장착 각도별 인식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렌즈(1820)에 의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센서보드(1810)에서 방출된 전자파 신호가 이너케이스(15)의 외벽에 반사되어 센서 어셈블리(800)의 후방으로 돌아와 오인식이 발생하는 경우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10은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렌즈(2820)에 의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3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4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5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이너케이스(15), 도어(300), 제1 의류 걸이(400), 제2 의류 걸이(50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너케이스(15)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5a)을 제공한다. 이너케이스(15)는 처리 대상 의류가 거치되는 의류 수용부라 할 수 있다. 수용공간(15a)은 이너케이스(15)를 이루는 벽면들에 의해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수용공간(15a)은 대체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중 전면에 해당하는 일면은 개방된다. 수용공간(15a)의 개방된 일면에는 도어(300)가 제공된다.
도어(300)는 캐비닛(10)에 결합된다. 수용공간(15a)은 도어(30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300)의 개방 또는 폐쇄에 따라, 사용자는 수용공간(15a)에 접근할 수 있다. 도어(300)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컨트롤 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을 통해서 의류 처리 장치(1)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을 통해서 현재 처리되는 의류 처리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미도시)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임과 동시에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제1 의류 걸이(400)는 수용된 의류를 지지한다. 제1 의류 걸이(400) 수용공간(15a)에 제공된다. 제1 의류 걸이(400)는 수용공간(15a) 내부에 위치된다. 제1 의류 걸이(400)는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의류 걸이(400)는 수용공간(15a)의 너비 방향(도어의 너비방향, x축 방향)으로 구비된다. 도시하지 않은 실시 예로는, 복수 개의 걸이가 이너케이스(15)의 천정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걸이는 x축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의류는 옷걸이(H)에 구비된 고리를 통해 제1 의류 걸이(400)에 지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옷걸이(H) 없이도 제1 의류 걸이(400)에 지지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의류는 수용공간(15a)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제2 의류 걸이(500)는 도어(300)에 구비된다. 제2 의류 걸이(500)에 걸린 의류는 프레서(5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프레서(540)는 수용공간(15a)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고정시켜주는 수단이다.
프레서(540, presser)는 수용공간(15a)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에 발생된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고정시켜주는 수단이다. 제2 의류 걸이(500)에 지지된 의류는 펼쳐지고 주름 잡힌 상태를 유지한 채 프레서(540)에 의해 눌리게 되고, 스팀과 열풍에 의해 설정된 주름이 유지된다. 수용공간(15a)으로 공급되는 스팀과 열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류에 공급할 수 있는 한 프레서(9)는 수용공간(15a) 내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도어(300)의 내주면(수용공간(15a)의 일면을 형성하는 도어의 표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옷의 포량을 감지한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도 4 이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에 거린 옷의 수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너케이스(15)의 하부에는 기계실(700, 도 2 참조)이 구비된다. 기계실(700)은 수용공간(15a)과 분리되어 제공된다. 기계실 도어(780)에 의해서 기계실(700)이 개폐될 수 있다. 기계실(700) 내부에는 각종 하드웨어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계실(700)과 내부에 제공되는 각종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기계실(700)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계실(700) 내부에 제공되는 각종 하드웨어를 설명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기계실(700)은 수용공간(15a)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기계실(700)에는 공급유닛(750)이 위치될 수 있다. 공급유닛(750)에 의해 수용공간(15a)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열된 공기(heated air, 열풍)이고, 공급유닛(750)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수분은 스팀(steam)인 경우, 기계실(7)이 수용공간(15a)의 하부에 위치되기만 하면 열풍이나 스팀이 별도의 송풍장치 없이도 수용공간(15a)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수용공간(15a)에 의류를 거치한 상태에서, 캐비닛 하부에 위치한 공급유닛(750)으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거나, 의류를 압박하여 탈취와 동시에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급유닛(750)은 수용공간(15a)으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10, 도 2 참조), 수용공간(15a)으로 수분(steam 또는 mist)를 공급하는 수분공급유닛(720, 도 3 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급유닛(750)이 공기공급부(710) 및 수분공급유닛(720)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공기공급부(710)는 열풍을 수용공간(15a)에 공급하며 수분공급유닛(720)은 스팀을 수용공간(15a)에 공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공기공급부(710)는 순환덕트(711), 열교환부(713), 블로워(715)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15a)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성이다. 순환덕트(711)는 기계실(700) 내부에 위치한다.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15a)과 연통된 공기흡입구(230) 및 공기배출구(240)를 통해 수용공간(15a) 내부와 연통한다. 공기흡입구(230)와 공기배출구(240)는 수용공간(15a)의 바닥면을 관통한다. 공기흡입구(230)와 공기배출구(240)는 수용공간(15a)과 기계실(700)을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순환덕트(711)의 일단은 공기흡입구(23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배출구(240)에 연결됨으로써, 순환덕트(711)는 수용공간(15a)의 내부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공기흡입구(230)의 인근에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는 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필터 성능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구성이다.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71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수단으로, 도 2에서는 열교환부의 일례로 히트펌프(heat pump)를 도시한다. 열교환부(713)가 히트펌프로 제공될 경우, 열교환부(713)는 순환덕트 외부에 위치하는 압축기(P) 및 팽창기(Ex), 순환덕트(711)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E), 및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는 응축기(C)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E), 압축기(P), 응축기(C) 및 팽창기(Ex)는 냉매관(71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압축기(P)는 냉매가 냉매관(714)을 따라 순환될 수 있도록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수단이다. 증발기(E)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응축기(C)는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냉매를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블로워(715)는 수용공간(15a)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따라 유동하도록 압력차를 부여하는 구성이다. 블로워(715)는 순환덕트(711) 내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15a) 내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11)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블로워(715)는 응축기(C)와 공기배출구(24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블로워(715)가 작동하면 순환덕트(711)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구(240)를 통해 수용공간(15a)으로 이동하고, 수용공간(15a)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구(230)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흡입구(230)를 통해 순환덕트(711)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증발기(E)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C)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냉각되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제거되며(제습), 공기에서 제거된 수분(응축수)은 증발기의 표면이나 순환덕트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순환덕트(711) 내부에 응축수가 잔류하면 열교환부(713)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은 증발기(E)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의 제거를 위한 배수유닛(7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유닛(740)은 배수탱크(745), 배수관(747), 배수펌프(749)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탱크(745)는 기계실 도어(78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배수탱크(745)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배수탱크(745)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배출을 위한 배수탱크 리드(7451), 배수관(747)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포트(74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유입포트(7453)에는 체크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미도시)는 배수탱크(745)가 기계실 도어(780)에서 분리될 때 배수탱크(745) 내부의 물이 배수탱크(745) 외부로 누출되는 것도 방지한다. 한편, 기계실 도어(780)가 기계실(700)을 개방하면 배수관(747)이 유입포트(7453)에서 분리되고, 기계실 도어(780)가 기계실(700)을 폐쇄하면 배수관(747)이 유입포트(7453)에 삽입되게 된다.
배수관(747)은 순환덕트(711)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탱크(745)에 공급하는 연결 배관이다.
배수펌프(749)는 배수관(747)에 설치되고, 순환덕트(711) 내부의 응축수를 배수탱크(745)에 공급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수분공급유닛(720)은 저장부(721), 히터(725), 수분공급관(727)을 포함한다.
저장부(721)는 물이 저장되는 구성이다. 저장부(721)는 기계실(700) 내부에 위치된다.
히터(725)는 저장부(721)의 내부에 제공된다. 히터(725)는 저장부(72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다. 히터(725)는 저장부(721)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 내부의 스팀을 수용공간(15a)으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와 수분배출구(250)를 연결한다. 수분공급관(727)은 저장부(721)의 상부면(또는 최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72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급수부는 급수탱크(743)이다. 급수탱크(743)는 기계실 도어(78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경우, 기계실 도어(780)가 기계실(700)을 폐쇄하면 저장부(721)와 급수탱크(743)가 연결되고, 기계실 도어(780)가 기계실(700)을 개방하면 저장부(721)와 급수탱크(743)가 분리되도록 연결관(7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탱크(743)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한 어떤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급수탱크(743) 내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 리드(7431), 연결관(723)이 삽입되는 배출구(미도시),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는 체크밸브(74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급수탱크(743)를 기계실 도어(780)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시킨 것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만약, 의류처리장치(1)가 급수원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면 저장부(721)는 급수원으로부터 필요한 때에 물을 공급받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되는 위치가 급수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상술한 제어가 불가능한데 상기 급수탱크(743)는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y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센서 어셈블리(800)가 제공되는 위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계속 설명한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전자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여 사물을 식별하는 레이더(Radar; RAdio Detection And Ranging) 센서이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전자파를 방사해서 목표물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온 전자파를 검출한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옷의 포량과 포위치를 감지한다. 옷은 제1 의류 걸이(400)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걸릴 수 있다. 예컨대, 옷걸이(H)에 걸린 옷이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캐비닛(10)과 이너케이스(15)의 사이에 설치된다. 센서 어셈블리(800)가 설치되는 공간은 수용공간(15a)과 분리된 공간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센서 어셈블리(800)는 이너케이스(15)에 의해 수용공간(15a)과 분리된 공간에 설치된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수용공간(15a)에 노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있어서, 센서 어셈블리(800)는 이너케이스(15)와 캐비닛(10)의 사이에 설치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센서 어셈블리(800)는 이너케이스(15)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센서 어셈블리(800)는 이너 케이스(15)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이너 케이스(15)에 의해, 수용공간(15a)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기존에 옷 감지를 위해 사용하던 비전 센서의 경우, 카메라가 필연적으로 수용공간(15a)에 노출되어야 하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팀에 노출되어 성능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에서 비전 센서의 부착 위치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이너케이스(15)의 내부에 센서 어셈블리(800)가 설치되고, 센서 어셈블리(800)가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우수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스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센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부분을 닦아주는 등의 유지 관리가 불필요하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이너케이스(15)를 이루는 측벽이 있는 방향에 설치된다. 이너케이스(15)는 제1 의류 걸이(400)가 연장되는 방향인 x축 방향에 위치한 벽면에 설치된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하나가 제공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에 복수개의 의류가 걸려 있을 때, 복수개의 의류가 서로 중첩되어 보이는 방향에 설치된다.
[센서 어셈블리(800)가 설치되는 상한 높이]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의 최하단 높이(a)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의 최하단의 높이(a)보다 제1 높이(h1) 이상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1 높이(h1)는 30cm일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에 지지되는 옷걸이(H) 하단의 평균적인 높이(b)보다 제2 높이(h2) 이상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2 높이(h2)는 10cm 일 수 있다. 제1 의류 걸이(400)에 옷걸이(H) 장착 후, 센서 어셈블리(800)가 옷걸이를 감지하지 않는 위치에 센서 어셈블리(8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방사각(θ, 도 5 참조)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으나, 적절히 설정된 방사각(θ)을 기준으로 제1 높이(h1)는 30cm, 제2 높이(h2)는 10cm일 수 있다.
[센서가 설치되는 하한 높이]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에 지지되는 옷걸이(H) 하단의 평균적인 높이에서 제3 높이(h3) 만큼 낮은 위치(d)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3 높이(h3)는 50cm일 수 있다. 하한 높이는 저고리와 같은 비교적 짧고 작은 옷을 기준으로 설정하며, 기준되는 옷을 특정하긴 어려우나 50cm 내가 적절한 것으로 발명자들은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y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센서 어셈블리(800)의 방사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계속 설명한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전자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여 사물을 식별하는 레이더(Radar; Radio Detection And Ranging) 센서이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전자파를 방사해서 목표물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온 전자파를 검출한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옷의 수량을 감지한다.
센서 어셈블리(800)가 송출하는 전자파는 방사각을 갖는다. 전자파의 방사각(θ)은 제1 각도 내지 제2 각도로 설정된다. 제1 각도는 제2 각도보다 좁은 각도이다. 전자파의 방사각(θ)은 제1 의류 걸이(400)에 지지된 상의 및 하의 모두가, 방사되는 전자파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전자파의 방사각(θ)은 제1 의류 걸이(400)가 방사되는 전자파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범위로 설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자파의 방사각(θ)은 제1 의류 걸이(400)에 지지된 옷걸이(H)가 방사되는 전자파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범위로 설정된다.
제1 각도는 10도(deg)일 수 있다. 제1 각도보다 좁은 각도로 설정할 경우, 측정 범위가 좁아져 의류의 전체를 커버하지 못할 수 있다. 제2 각도는 20도(deg)일 수 있다. 제2 각도보다 넓은 각도로 설정할 경우, 스타일러 내부벽에 반사되는 신호로 인한(난반사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장착 각도별 인식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장착 각도란, 방사되는 전자파의 중심을 설정하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설치 각도를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장착 각도가 0도(deg)이면, 방사되는 전자파의 중심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된 것을 의미한다. 도시되고 설명하는 예에서, 방사되는 전자파가 바닥을 향하는 쪽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은 (-)각도로 표현되고, 방사되는 전자파가 하늘을 향하는 쪽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은 (+)각도로 표현된다.
센서 어셈블리(800)의 장착 각도는 제1 각도 내지 제2 각도일 수 있다. 제1 각도는, 방출되는 전자파가 제1 의류 걸이(400)에 닿지 않는 각도이고, 제2 각도는 방출되는 전자파가 이너 케이스(15)의 바닥면에 닿지 않는 각도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각도는 0도(deg)이고, 제2 각도는 -40도(deg)일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00)를 기울여서 장착하면, 더 많은 물체를 폭넓게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와 멀어질수록 전자파의 폭이 넓어지면서 의류가 아닌 옷걸이(H)와 같은 물체를 의류로 오인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센서 어셈블리(800)를 기울여서 장착하면 오인식을 일으키는 물체를 피하여 전자파를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기울이는 각도가 제2 각도 이상을 넘어서게 되면 이너케이스(15)를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는 전자파가 많아지면서 난반사에 의한 오인식이 발생한다.
도 6a는 이너케이스(15)에 대한 장착 각도가 -5도(deg)인 경우를 도시한다.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옷이 없는 경우, 장착 각도가 -5도(deg)인 경우에, 센서 어셈블리(800)를 통해 측정된 값이 한계점(Threshold)을 넘지 않는 것으로, 이너케이스(15)에 의한 난반사가 없고,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의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6b는 이너케이스(15)에 대한 장착 각도가 -30도(deg)인 경우를 도시한다.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옷이 없는 경우, 장착 각도가 -30도(deg)인 경우에, 센서 어셈블리(800)를 통해 측정된 값이 한계점(Threshold)을 넘지 않는 것으로, 이너케이스(15)에 의한 난반사가 없고,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의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6c는 이너케이스(15)에 대한 장착 각도가 -40도(deg)인 경우를 도시한다.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옷이 없는 경우, 장착 각도가 -40도(deg)인 경우에, 센서 어셈블리(800)를 통해 측정된 값이 한계점(Threshold)을 넘지 않는 것으로, 이너케이스(15)에 의한 난반사가 없고,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의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6d는 이너케이스(15)에 대한 장착 각도가 -45도(deg)인 경우를 도시한다.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옷이 없는 경우, 장착 각도가 -45도(deg)인 경우에, 센서 어셈블리(800)를 통해 측정된 값 중 한계점(Threshold)을 넘는 부분(p1)이 나타난다. 이는 센서 어셈블리(800)로부터 송출된 전자파가 이너케이스(15)에 의해 난반사가 일어난 결과로 판단한다. 즉, 센서 어셈블리(800)의 설치는 이너케이스(15)에 의한 난반사를 고려하여 -45도(deg)보다 높은 각도로 설치되어야 한다.
도 6e는 이너케이스(15)에 대한 장착 각도가 -60도(deg)인 경우를 도시한다. 제1 의류 걸이(400)에 걸린 옷이 없는 경우, 장착 각도가 -60도(deg)인 경우에, 센서 어셈블리(800)를 통해 측정된 값 중 한계점(Threshold)을 넘는 부분(p2)이 나타난다. -45도(deg)로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더 높은 측정 값이 측정된다. 이는 센서 어셈블리(800)로부터 송출된 전자파가 이너케이스(15)에 의해 난반사가 일어난 결과로 판단하며, 장착 기울어짐 각도가 더 클수록 난반사에 의한 오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7은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를 설명한다.
센서 어셈블리(1800)는 센서보드(1810), 렌즈(1820), 차폐부재(1830), 절연체(1840), 지지대(1850)를 포함한다.
센서보드(1810)는 PCB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보드(1810)는 수신기(receiver),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보드(1810)는 송신기로부터 발산된 전자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파를 분석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렌즈(1820)는 전자파의 방사각을 제한한다. 렌즈(1820)는 좁은 공간에서 레이다(Radar) 센서의 전자기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다. 렌즈(1820)는 센서보드(18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되, 센서보드(1810)에서 송신되는 전자파의 방사각을 좁힌다. 즉, 렌즈(1820)는 전자파 신호를 고지향성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제1 실시 예에 의하면, 렌즈(1820)는 하이퍼볼릭 렌즈(Hyperbolic lens)이다. 렌즈(1820)와 센서보드(1810)간의 거리(d)에 따라 전자파의 방사각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렌즈(1820)의 형상에 따라 전자파의 방사각이 상이하게 될 수 있다. 방사각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거리(d)와 형상은 요구되는 방사각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렌즈(1820)는 전방이 곡면, 후방이 평면으로 형성된 평볼록렌즈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방이 곡면, 후방이 평면으로 형성된 렌즈(1820)는, 전방으로 진행하는 전자파의 방사각을 좁힘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전자파의 방사에 따른 난반사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렌즈(1820)에 의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화살표는 전자파의 방향을 나타낸다. 센서보드(1810)에서 송출된 전자파는 의류(CL)에 반사되어 다시 센서보드(1810)로 되돌아 간다. 렌즈(1820)가 적용되면 전자파의 지향성이 높아지고, 난반사에 의한 노이즈를 감쇄시킬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한다. 차폐부재(1830)는 센서보드(1810)의 후방에 위치된다. 차폐부재(1830)는 반사파의 일부 혹은 전부를 차단 할 수 있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plastic) 소재로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금속 소재는 철판 또는 알루미늄와 같은 소재일 수 있다. 차폐부재(1830)는 시트 형태, 판 형태 또는 테이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차폐부재(1830)는 좁은 공간에 설치된 센서 어셈블리(800)의 난반사에 의한 오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차폐부재(1830)는 센서보드(1810)의 후단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차폐부재(1830)가 금속 소재로 선택된 경우, 금속 특성 상 쇼트(shor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부재(1830)와 센서보드(1810)의 사이에 절연체(1840)를 추가할 수 있다. 절연체(1840)는 테이프의 형태도 가능하며, 센서보드(1810)의 뒷면에 코팅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절연체(1840)는 절연 성능이 있는 소재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절연체(1840)는 절연과 동시에 차폐가 되는 고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센서보드(1810)에서 방출된 전자파 신호가 이너케이스(15)의 외벽에 반사되어 센서 어셈블리(800)의 후방으로 돌아와 오인식이 발생하는 경우를 표현한 도면이다. L1은 전자파 신호가 이너케이스(15)를 정상적으로 투과하여 감지 대상물인 의류(CL)를 인식한 경우의 신호 흐름이다. L2는 전자파 신호가 이너케이스(15)에 반사되어 난반사되어 돌아옴에 따라 오인식을 발생시키는 경우의 신호 흐름이다. 센서보드(1810)의 후방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막기 위해 차폐부재(1830)는 센서보드(1810)의 후방에 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차폐부재(1830)는 센서보드(1810)의 L2와 같은 신호 흐름을 타고 후방으로 들어오는 반사된 전자파를 차단하여 오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차폐부재(1830)를 적용함에 따라 차폐 구조를 통해 폐쇄된 공간에서 난반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인식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한다. 거치대(1850)는 센서보드(1810)와 렌즈(1820)를 거치하는 구성이다. 거치대(1850)는 센서보드(1810)와 렌즈(1820)를 지지하고, 센서보드(1810)와 렌즈(1820)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거치대(1850)는 센서보드(1810)와 렌즈(1820)를 지지하는 지지 구성으로서, 거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800)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8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의 설명과 동일한 도면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2800)의 렌즈(2820)는 프레넬 존 플레이트 렌즈(Fresnel Zone Plate lens)이다. 렌즈(2820)는 평면측이 전방에, 곡면이 형성된 측이 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렌즈(2820)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하는 전자파의 방사각을 좁혀짐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전자파의 방사에 따른 난반사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렌즈(2820)에 의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이 전환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렌즈(2820)를 프레넬 존 플레이트 렌즈(Fresnel Zone Plate lens) 적용하는 경우에도 좁은 공간에서 레이다(Radar) 센서의 전자기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여 설명한 렌즈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렌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3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3800)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38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의 설명과 동일한 도면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차폐부재(3830)는 절연체(1840)의 후방과 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차폐부재(3830)에 의해 절연체(1840)의 후방과 측면이 감싸짐으로써, 절연체(1840)의 두께에 따라 발생하는 차폐부재(3830)와 센서보드(1810)의 이격 공간을 통해 침투하는 전자파를 차단하고 오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4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4800)를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48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의 설명과 동일한 도면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센서보드(4810)는 상술하여 설명한 센서보드(181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더불어서, 센서보드(4810)의 후방면은 절연체로 코팅되어 제공된다. 절연체를 코팅함으로써, 별도의 절연체를 구비하고 이를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4는 센서 어셈블리(800)의 실시 예로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58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제5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5800)를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58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800)의 설명과 동일한 도면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센서보드(4810)는 상술하여 설명한 센서보드(181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더불어서, 센서보드(4810)의 후방면은 절연체로 코팅되어 제공된다. 절연체를 코팅함으로써, 별도의 절연체를 구비하고 이를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차폐부재(3830)는 센서보드(4810)의 후방과 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에 도 1을 더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센서 어셈블리(800)는 의류의 벌수(수량)과 함께, 의류가 걸린 위치인 포위치를 감지한다. 의류처리장치(1)에 수용된 수량과 포위치를 알게 되면, 의류를 덜 손상시키는 방향에서 최적의 코스 제안이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최적의 코스는 표준 코스, 급속 코스(표준 코스보다 처리 시간을 단축시킨 코스), 강력 코스(표준 코스보다 높은 처리 효과를 얻는 코스) 및 에너지 절약 코스(표준 코스보다 에너지 소비를 줄인 코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최적의 코스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기세를 줄일 수 있고, 옷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선행기술인 KR10-2019132B1에서 개시하는 무게 센서와 비교하여, 무게 센서는 단순히 의류의 무게만을 감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800)를 적용하는 경우, 포량으로서 의류의 수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적합한 코스를 제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1)는 도어(300)의 닫힌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센서(50)는 도어(300) 또는 도어(300)에 대응되는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센서(50)를 통해서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감지하는 경우 의류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 센서(50)가 도어(300)의 닫힘을 감지하면(S10), 센서 어셈블리(800)가 수용된 의류의 수량과 포위치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S20).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기(미도시)는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최적 코스를 제안할 수 있다(S30). 본 발명의 설명에서 '코스'라는 용어는 '모드'라는 용어와 같거나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기(미도시)는 획득된 의류의 수량에 따라 설정된 최적의 코스를 사용자에게 제안하거나 자동으로 실행한다.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기(미도시)는 의류의 수량이 기준 수량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 기준 수량 이하에 따른 최적 코스를 실행한다. 기준 수량은 절대적인 수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3벌, 4벌 등과 같은 절대적인 수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혹은, 기준 수량은 제1 의류 걸이(400)에 거치 가능한 최대 수량 대비 수용된 의류 수의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수량은 70%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제1 의류 걸이(400)에 거치 가능한 최대 수량이 3벌인 경우, 1벌 또는 2벌이 거치되면 기준 수량의 이하인 것으로 감지된다(1/3=33%, 2/3=66%). 만약, 제1 의류 걸이(400)에 거치 가능한 최대 수량이 4벌인 경우, 1벌 또는 2벌이 거치되면 기준 수량의 이하인 것으로 감지된다(1/4=25%, 2/4=50%). 만약, 제1 의류 걸이(400)에 거치 가능한 최대 수량이 5벌인 경우, 1벌, 2벌 또는 3벌이 거치되면 기준 수량의 이하인 것으로 감지된다(1/5=20%, 2/5=40%, 3/5=60%). 예컨대, 기준 수량에 따른 최적 코스는 표준 코스, 급속 코스(표준 코스보다 처리 시간을 단축시킨 코스) 또는 에너지 절약 코스(표준 코스보다 에너지 소비를 줄인 코스)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또는 최적 코스 제안을 통해 자동으로 선택된 코스에 따른 의류 처리 행정이 수행된다(S40). 센서 어셈블리(800)는 의류처리장치(1)의 처리 행정(treating cycle) 중 실시간으로 수량을 감지하고 의류의 낙하를 감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1)의 처리 행정 중, 센서 어셈블리(800)에 의해 감지되는 의류의 수량이 변동되는 경우 의류가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시점에 수량을 측정한다(S41). 제1 시점보다 이후 시점인 제2 시점에 수량을 측정한다(S42). 제어기는 제1 시점에 측정된 수량과 제2 시점에 측정된 수량을 비교한다(S43). 제2 시점에서 감지된 수량이, 제2 시점보다 앞선 제1 시점에서 감지된 수량보다 적은 경우, 제어기(미도시)는 의류가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다. 의류가 낙하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S44).
의류 낙하 감지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KR10-2019132B1에서 개시하는 무게 센서의 경우, 가벼운 의류가 낙하하면 이를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800)를 적용하는 경우, 포량으로서 의류의 수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의류의 낙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벽면을 포함하는 이너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어 수용된 의류를 지지하는 의류 걸이;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전자파를 신호로 방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 및 포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걸이는 복수개의 의류를 제1방향을 따라 걸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개의 의류가 중첩되어 보이는 방향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걸이는 복수의 의류를 제1방향을 따라 걸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제1방향이 연장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의류 걸이의 최하단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의류 걸이에 지지되는 옷걸이의 하단 부분의 평균적인 높이보다 제1 높이 이상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센서의 전자파 방사각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방사각은:
    상기 의류 걸이에 지지된 상의 및 하의 모두가, 방사되는 전자파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설정되되,
    상기 방사각은 상기 의류 걸이에 지지되는 옷걸이가 방사되는 전자파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범위로 설정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제1 각도 내지 제2 각도 사이의 장착 각도로 장착되고,
    상기 제1 각도는, 방출되는 전자파가 상기 의류 걸이에 닿지 않는 각도이고,
    상기 제2 각도는 방출되는 전자파가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바닥면에 닿지 않는 각도인 의류처리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전자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센서보드; 및
    상기 센서보드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되, 상기 센서보드에서 송신되는 전자파의 방사각을 좁히는 렌즈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전자파 신호를 송출하고 수신하는 센서보드; 및
    상기 센서보드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자파의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센서보드의 면적이 전부 중첩되도록 상기 센서보드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센서보드의 측면을 감싸도록 단면이 '['형상인 의류처리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센서보드와 상기 차폐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의류처리장치의 처리 행정 중,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감지되는 의류의 수량이 변동되는 경우 의류가 낙하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낙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벽면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상기 벽면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며, 전자파를 신호로 방출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 및 포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전자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센서보드;
    상기 센서보드의 전방에 위치되어 전자파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되, 상기 센서보드에서 송신되는 전자파의 방사각을 좁히는 렌즈; 및
    상기 센서보드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자파의 투과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며,
    제한된 공간에 수용된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 어셈블리.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센서보드의 면적이 전부 중첩되도록 상기 센서보드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센서보드와 상기 차폐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KR1020210173846A 2021-12-07 2021-12-07 의류처리장치 KR20230085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846A KR20230085558A (ko) 2021-12-07 2021-12-07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9453 WO2023106741A1 (ko) 2021-12-07 2022-12-02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846A KR20230085558A (ko) 2021-12-07 2021-12-07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558A true KR20230085558A (ko) 2023-06-14

Family

ID=867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846A KR20230085558A (ko) 2021-12-07 2021-12-07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5558A (ko)
WO (1) WO20231067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6099A (ja) * 1992-10-19 1994-05-10 Sharp Corp 衣類乾燥機
JP4835396B2 (ja) * 2006-11-10 2011-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101859958B1 (ko) * 2017-01-13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11938320A (zh) * 2020-08-07 2020-11-17 青岛云裳羽衣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rfid技术和虚拟试衣功能的衣物护理柜
KR102210087B1 (ko) * 2020-09-07 2021-02-01 주식회사 디안스 교량에서의 투신을 방지하는 IoT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신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741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613B2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USRE49678E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30357980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8438755B2 (en) Laundry machine
KR101276815B1 (ko) 페데스탈 건조기
EP2191056A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10185995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30085558A (ko) 의류처리장치
CN215758135U (zh) 衣物护理设备
EP2180817B1 (en) Dish washing machine
KR10213854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38538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30718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027906A (ko) 의류처리장치
US12000079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104704159A (zh) 包括空气冷却的冷凝器的洗衣及干燥机
KR10213853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73839A (ko) 의류 처리장치용 스팀 제너레이터
KR2023006566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72038A (ko) 소형 의류 건조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KR20230174146A (ko) 의류처리장치
KR100686144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25119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