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441A -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441A
KR20230085441A KR1020210173617A KR20210173617A KR20230085441A KR 20230085441 A KR20230085441 A KR 20230085441A KR 1020210173617 A KR1020210173617 A KR 1020210173617A KR 20210173617 A KR20210173617 A KR 20210173617A KR 20230085441 A KR20230085441 A KR 20230085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hotocatalyst
noise
air condition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645B1 (ko
Inventor
방영운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위아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645B1/ko
Priority to PCT/KR2022/002207 priority patent/WO2023106514A1/ko
Publication of KR2023008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에 광촉매 볼을 수용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 필터 모듈; 일 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소음 모듈의 외측으로 도출되고, 타 단은 상기 소음 모듈의 내측에 포함되며, 상기 소음 모듈의 내측에 포함된 영역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공기 수송부; 및 상기 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공기 수송부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도록 상기 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는 부분은 상기 공기 수송부와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수송부를 통해 유입되는 일부 공기를 일정 공간에 가두는 소음 모듈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모듈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인입부 또는 토출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어 상기 공기 조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소음 및 배기 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SILENCER MODULE}
본 발명은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함체를 설치할 필요없이 소음 모듈의 공기 수송부 및 격벽 구조를 기반으로 실내에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의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살균과 악취 제거를 위하여 광촉매 기술을 적용한 공기 조하기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광촉매 기술은 빛을 받으면 염록소(클로로필)를 촉매로 산소를 발생시켜 숲의 정화 작용을 하는 광합성처럼 태양 및 형광등의 자외선(UV)을 에너지원으로 산화와 환원반응을 일으켜 각종 유해물질과 세균 등을 인체에 무해한 물과 이산화탄소 물질로 분해시킴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하는 기술이다.
도 1은 광촉매 기술을 이용하는 공기정화장치의 종래 필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A1)는 팬(5)이 생성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프리 필터(Pre-Filter)(1)의 전방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오염된 공기(A1)는 프리 필터(1)를 통과하면서 중간 크기의 먼지가 제거되고, 카본(Carbon 필터(2)와 헤파(HEPA) 필터(3)를 통과하면서 악취 및 0.3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먼지와 실내 곰팡이가 제거된다. 그리고 오염된 공기에 잔여하는 유해물질과 병원성 세균은 광촉매 필터(Photocatalytic Filter)(4)의 광촉매 반응으로 인해 인체에 무해한 물과 이산화탄소 물질로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정화된 공기(A2)가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기 상태를 조절하는 공기 조화 장치, 송풍기 및 공기 통로인 덕트를 이용하여 공기의 상태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한편, 종래의 필터 구조는 광촉매 필터(4)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고 있지만 UV와 같은 살균을 위한 광 확산이 필터 전체에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한 특별한 구조나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필터 면적 전체를 유입/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충분한 살균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송풍기(5)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덕트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기 조화 장치에서 조절된 공기를 실내로 보낸다. 이 때, 송풍기(5)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공기의 이동으로 인한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를 실내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즉, 공기 조화 장치는 유체적 소음 및 기계적 소음으로 인하여 실내에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환경부, 교육부 및 건설교통부 등은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조절 장치의 데시벨에 대한 간이적 기준을 수립하여 관리하고 있다. 일 예로, 공기 조절 장치가 주로 사용되는 학교의 경우, 간이적 기준이 40데시벨 미만으로 수립되었다. 그러나, 공기 조화 장치의 내부에서 소음을 줄이는 것은 이미 기술적 임계치에 도달해 있는 상태로, 간이적 기준을 충족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공기 조화 장치의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별도의 함체가 외부에 설치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외부에 설치된 별도의 구성에서 발생하는 공명으로 인하여 측정 시점에서 낮은 데시벨을 충족할 수 있다. 하지만, 별도의 구성을 지속 사용하는 경우, 공명음 발생의 소음도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에 설치된 공기 조화 장치의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에 부가적인 장치를 장착할 필요없이 연결 파이프를 설치하여 유체적 소음 및 기계적 소음을 상쇄시킴으로써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기 쉬우면서도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광촉매 볼의 모든 방향에서 고른 광촉매 반응이 유도되고, 나아가 광촉매 반응을 신속히 일으킬 수 있는 구조의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광원으로서 UV-A광원을 이용해 살균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단가가 낮은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에 광촉매 볼을 수용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 필터 모듈; 일 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소음 모듈의 외측으로 도출되고, 타 단은 상기 소음 모듈의 내측에 포함되며, 상기 소음 모듈의 내측에 포함된 영역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공기 수송부; 및상기 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공기 수송부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도록 상기 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는 부분은 상기 공기 수송부와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수송부를 통해 유입되는 일부 공기를 일정 공간에 가두는 소음 모듈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모듈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인입부 또는 토출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어 상기 공기 조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소음 및 배기 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송부는 상기 소음 모듈의 일 측에 구비된 제1공기 수송부 및 상기 제1공기 수송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음 모듈의 이면에 구비되는 제2공기 수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공기 수송부로 상기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2공기 수송부로 상기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수송부 및 상기 제2공기 수송부의 각 일 단에 있는 타공 영역으로 인해 상기 공기가 넓은 공간으로 확산됨으로써 소음이 상쇄될 수 있다.
상기 소음 모듈 격벽부는 상기 제1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는 제1소음 모듈 격벽부 및 상기 제2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는 제2소음 모듈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 수송부 및 상기 제2소음 모듈 격벽부에 의해 일정 공간에 상기 공기가 가두어지므로 상기 타공 영역에서 소음 저감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내부에 구비된 격벽에 의해 상기 공기가 퍼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공기를 천천히 배기하고, 상기 격벽의 이격, 두께, 모양 및 크기를 기초로하여 주파수의 소음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보조 소음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내부를 몇 개의 구획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조화 장치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광촉매 필터 모듈을 통과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기체류의 조정을 위해 설치하는 개페부로 급기 및 배기되는 곳에 구비된 복수의 셔터부; 및 상기 셔터부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 장치로 상기 공기가 유입 및 배기되도록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팬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의 개페 여부 및 상기 공기 순환팬부의 작동으로 실내 공기 배기, 실내 공기 순환 및 외부 공기 유입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필터 모듈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광촉매 필터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광촉매 볼; 상기 하우징의 전방과 후방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망사 형상의 광촉매 필터 커버부; 및 상기 광촉매 필터 하우징의 후방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필터 커버부는 상기 광촉매 필터 하우징의 전방에 부착되는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 및 상기 광촉매 필터 하우징의 후방에 부착되는 제2 광촉매 필터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한 광이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 다시 향하도록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한 광을 반사하는 망사 형상의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는 서로 교차하여 망사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제1 망사살과 복수의 제2 망사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망사살과 상기 복수의 제2 망사살은 상기 격벽과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 장치는 소음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공기의 흐름에 의한 소음 및 기기에 의한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주파수에 공기 수송부의 길이 및 관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관의 단면적에 의한 관심 주파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모듈은 소음 모듈 격벽부 및 공기 수송부의 타공 영역을 이용해 공기가 순환하게 만듦으로써 공기의 속도 및 압력을 줄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모듈 격벽부의 일부는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를 계속해서 가두지 않고 배기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모듈 격벽부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 구멍의 개수 및 구멍의 간격 등을 이용하여 소음의 주파수를 맞춤으로써,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소음 모듈은 일정 배기량을 확보하면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소음 모듈은 통과하는 소음을 줄이되 유동은 가급적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모듈의 소음 모듈 격벽부 및 공기 수송부에 형성된 타공 영역에 의해 소음 모듈 내 일정 공갑에 공기가 가두어지므로, 소음 저감 과정은 계속해서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소음 모듈은 내부의 격벽의 이격, 두께, 모양 및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주파수의 소음 및 진동을 보다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가 구비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들이 광촉매 필터를 반드시 지나가므로 효과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촉매는 내부에 기공이 없는 볼(Ball)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르게 유지되면서도 살균에 필요한 충분한 수준의 광촉매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는 덩어리진 볼(Ball)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바스라짐이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광원으로서 일반적인 UV광원에 비해 광촉매 반응에 필요한 비교적 좁은 파장의 광만을 발산하는 UV-A 광원이 사용되므로 광촉매 필터 모듈의 제작 비용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촉매 수용 공간은 좌우방향의 최대폭과 상하방향의 최대폭과 전후방향의 최대폭이 광촉매 볼 직경의 1.2배 이상 3배 이하이므로, 광촉매 수용 공간 내에 와류가 쉽게 형성되어 살균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촉매 볼 전체의 부피는 단일의 광촉매 수용 공간의 부피의 1/2이상 3/4 이하이므로, 광촉매 수용 공간 내의 공기 유속은 빠르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버부와 발광 유닛 간의 간격은 30mm 이하로 이루어지므로, 광촉매 반응은 복수의 광촉매 볼에서 고르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부는 광원부로부터 조사되어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한 광을 광촉매 수용 공간을 향해 반사하므로, 광촉매 반응은 복수의 광촉매 볼의 모든 방향에서 고르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부는 오염된 공기의 진로가 전후방향으로부터 비스듬해지도록 가이드하므로,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 내의 와류 형성은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부를 이루는 복수의 제1 망사살과 복수의 제2 망사살은 광원부를 마주보는 방향의 반대쪽 면이 광원부를 마주보는 방향의 면에 비해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보호 커버부의 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다한 저항력은 최소화됨과 동시에 보호 커버부에서 반사된 광이 광촉매 수용 공간을 향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 고르게 전달하는 광 파이버가 구비되므로, 적은 수의 발광 유닛으로도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서 광촉매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광촉매 기술을 이용하는 공기정화장치의 종래 필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작동 방법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소음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모듈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하우징에 형성된 광촉매 수용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수용 공간과 광촉매 볼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와 광촉매 필터 광원부 사이의 간격에 따라 광촉매 필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이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 확산되는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가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 내의 광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셔터부(110), 공기 순환팬부(120), 광촉매 필터 모듈(130) 및 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셔터부(110)는 기체류의 조정을 위해 설치하는 개폐부로, 공기 조화 장치(100)에서 공기가 급기 및 배기되는 곳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셔터부(110)는 판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100)의 공기 유입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공기 순환팬부(120)는 공기 급기팬(121) 및 공기 배기팬(12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급기팬(121)은 일부 셔터부(110)의 인접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 급기팬(121)은 외부의 공기가 공기 조화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공기 급기팬(121)의 작동으로 개방된 셔터부(110)를 통해 외부 공기가 공기 조화 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배기팬(122)은 일부 셔터부(110)의 인접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 배기팬(122)은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배기팬(122)은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때, 개방된 셔터부(110)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 모듈(130)은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 및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은 광촉매 볼을 수용하기 위한 기재로, 내부 공간에 광촉매 볼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은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일 예로, 오염된 공기는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일 측에서 유입되어 타 측으로 통과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광촉매 반응을 통해 정화된 공기가 되어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공기 순환팬부(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는 복수의 광촉매 볼이 수용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는 광촉매 볼이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과 후방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는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에 부착되는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와,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후방에 부착되는 제2 광촉매 필터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일의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가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에 부착되어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덮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는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후방에 구비되어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는 프레임과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유닛은 프레임에 실장되어 광촉매 수용 공간 내의 광촉매 볼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유닛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일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유닛은 UV-A 광원일 수 있다. UV-A 광원은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을 발산하는 일반적인 UV 광원에 달리 광촉매 반응에 필요한 비교적 좁은 파장의 광을 발산하면서도 단가가 낮으므로 광촉매 필터 모듈의 제조 비용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UV-A광원은 약 2만 내지 5만 시간 범위의 수명을 갖는 광원 중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창(window)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후방의 구성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로부터 조사되어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140)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내부를 몇 개의 구획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공기 조화 장치(100)로 유입된 공기가 광촉매 필터 모듈(130)을 통과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오염된 공기는 공기가 광촉매 필터 모듈(130)을 반드시 통과하도록 유도되므로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보다 효과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한편, 소음 모듈(200)은 공기 조화 장치(100)에서 공기가 급기 또는 배기되는 곳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으며, 외기 입력, 내부 공기 회전 및 내부 공기 배기 등과 같은 공기 조절 장치의 성능도에 따라 단일 설치 또는 복수 설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소음 모듈(200)은 공기 수송부(210) 및 소음 모듈 격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공기 수송부(210)는 공기 조화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 수송부 및 공기가 배기되는 제2공기 수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수송부(210)는 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일 단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기 수송부(210)는 구멍의 간격,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수송부(210)는 소음 모듈(200)의 양 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가 이동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관심 주파수에 따라 공기 수송부(210)의 길이 및 관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관의 단면적에 의한 관심 주파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수송부(210)는 소음이 진행하는 방향을 불연속적인 형태로 하여 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소음 모듈 격벽부(220)는 소음 모듈(200) 내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몇 개의 구획으로 나눌 수 있다. 일 예로, 소음 모듈 격벽부(220)는 공기 수송부(210)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소음 모듈 격벽부(220)의 공기 수송부(210)를 가로지르는 부분은 공기 수송부(210)와 동일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소음 모듈 격벽부(220)는 일정 공간에 공기를 가둘 수 있으며, 공기 수송부(210)를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또한, 소음 모듈 격벽부(220)의 일부는 구멍이 형성되어 공기를 계속해서 가두지 않고 배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음 모듈 격벽부(220)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 구멍의 개수 및 구멍의 간격 등을 이용하여 소음의 주파수를 맞춤으로써,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과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블록과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그 하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블록에 부여된 도면 부호의 앞 두자리를 일치시켜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0)는 복수의 셔터부(111,112,113,114)가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셔터부 (111) 및 제 4셔터부(114)는 실내 측에 위치하고, 제 2셔터부(112) 및 제 3셔터부(113)는 실외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 급기팬(121)은 제4셔터부(114)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공기 배기팬(122)은 제2셔터부(112)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공기 급기팬(121)이 작동할 시, 제1셔터부(111) 및 제2셔터부(112)를 통해 공기 조화 장치(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기팬(122)이 작동할 시, 제3셔터부(113) 및 제4셔터부(114)를 통해 공기 조화 장치(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한편, 광촉매 필터 모듈(130)은 공기 조화 장치(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셔터부(111) 및 제2셔터부(112)로 유입된 공기가 반드시 지나가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 필터 모듈(130)은 공기 조화 장치(100) 내주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140)는 공기 조화 장치(100)로 유입된 공기가 광촉매 필터 모듈(130)을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141)는 제1셔터부(111)의 유입 공기 영역과 제4셔터부(114)의 배기 공기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2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141)는 제2셔터부(112)의 유입 공기 영역과 제3셔터부(113)의 배기 공기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부(141) 및 제2격벽부(142) 사이에 광촉매 필터 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140)에 의해 제 1셔텨부(111) 및 제2셔터부(112)로 유입된 공기와 제3셔터부(113) 및 제4셔터부(114)로 배기된 공기를 명확히 구분하여 효과적으로 급배기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작동 방법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급기팬(121)이 작동될 시, 실외 공기는 제2셔터부(112)를 통하여 공기 조화 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142)에 의해 광 필터 모듈(130)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광 필터 모듈(130)을 통과한 공기는 정화되어 제4셔터부(114)를 통해 실내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2셔터부(112) 및 제4셔터부(114)는 개방된 상태이며, 제1셔터부(111) 및 제3셔터부(113)는 닫혀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오염된 실외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기팬(122)이 작동할 시, 실내 공기는 제1셔터부(111)를 통하여 공기 조화 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공기는 제1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141)에 의해 광 필터 모듈(130)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광 필터 모듈(130)을 통과한 공기는 정화되어 제3셔터부(113)를 통해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셔터부(111) 및 제3셔터부(113)가 개방된 상태이며, 제2셔터부(112) 및 제4셔터부(114)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조화 장치(100)는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기 조화 장치(100)는 제1셔터부(111) 및 제4셔터부(114)가 개방된 상태이고 제2셔터부(112) 및 제3셔터부(113)가 닫힌 상태인 경우, 실내 공기를 순환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공기 배기팬(122)에 의해 제1셔터부(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광촉매 필터 모듈(130)을 통과함으로써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가 제4셔터부(114)를 통해 실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고, 정화된 공기를 내부에 제공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5를 참조하면 제1공기 수송부(211)는 소음 모듈(20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기 수송부(211)의 일 단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소음 모듈(200)의 외측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기 수송부(211)의 타 단은 소음 모듈(2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소음 모듈(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공기 수송부(211)의 일 부분은 타공 영역(211a)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 영역(211a)의 구멍의 개수, 구멍의 크기 및 구멍의 간격에 의해 소음을 저감 시킬 수 있으며 배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공기 수송부(212)는 제1수송부(212)를 기준으로 소음 모듈(200)의 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공기 수송부(211) 및 제2공기 수송부(212)는 이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기 수송부(212)의 일 단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소음 모듈(200)의 외측에 도출될 수 있으며, 타 단은 내측에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음 모듈(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공기 수송부(212)의 일 부분은 타공 영역(212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소음 모듈 격벽부(221)는 제1공기 수송부(211)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소음 모듈 격벽부(221)의 제1공기 수송부(211)를 가로지르는 부분은 제1공기 수송부(211)와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공기 수송부(211)를 따라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2소음 모듈 격벽부(222)는 제2공기 수송부(212)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제2공기 수송부(212)와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공기 수송부(212)를 따라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공기 수송부(21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기 수송부(2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타공영역(221a, 221b)으로 인해 넓은 공간으로 확산되어 음이 상쇄될 수 있다. 이 때, 제1소음 모듈 격벽부(221) 및 제2소음 모듈 격벽부(222)에 의해 일정 공간에 일부 공기가 가두어지므로, 타공영역(221a, 221b)에서 소음 저감 과정은 계속해서 반복될 수 있다. 이로써, 소음 모듈(200)은 제1소음 모듈 격벽부(221), 제2소음 모듈 격벽부(222) 및 타공 영역(221a, 221b)을 이용해 공기가 순환하게 만듦으로써 공기의 속도 및 압력을 줄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소음 모듈(200)은 통과하는 소음을 줄이되 유동은 가급적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음이 저감된 공기는 제2공기 수송부(21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소음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조 소음 모듈은 기기상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 계수를 보정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보조 소음 모듈은 내부의 격벽을 이용해 진동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 소음 모듈은 격벽에 의해 공기가 퍼지도록 유도함으로써, 공기가 천천히 배기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소음 모듈은 소음원의 주된 주파수 분포에 따라서 격벽 구조가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격벽의 이격, 두께, 모양 및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주파수의 소음 및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소음 모듈은 다양한 패턴의 격벽 구조와 공간을 이용하여 소음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모듈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 모듈은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 및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은 광촉매 볼을 수용하기 위한 기재로, 내부 공간에 광촉매 볼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은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일 예로, 오염된 공기는 내부 공간의 전방으로 유입되어 후방으로 통과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광촉매 반응을 통해 생성된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peroxyl radical)에 의해 정화된 공기(A2)가 되어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는 복수의 광촉매 볼이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볼은 바인더 등을 이용하여 광촉매를 뭉쳐 가공한 것으로 내부 기공이 없는 볼(Ball)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볼을 채택함으로써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하는 오염된 공기의 유속이 빠르면서도 살균에 필요한 충분한 수준의 광촉매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볼은 광촉매가 덩어리진 형태이므로 광촉매 반응으로 인한 바스라짐이 적어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광촉매 볼이 수용되는 광촉매 수용 공간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8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는 광촉매 볼이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과 후방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는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에 부착되는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a)와,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후방에 부착되는 제2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일의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가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에 부착되어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과 후방을 동시에 덮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는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후방에 구비되어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는 프레임(133a)과 발광 유닛(133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유닛(133b)은 프레임(133a)에 실장되어 광촉매 수용 공간 내의 광촉매 볼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유닛(133b)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일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유닛(133b)은 UV-A 광원일 수 있다. UV-A 광원은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을 발산하는 일반적인 UV 광원에 달리 광촉매 반응에 필요한 비교적 좁은 파장의 광을 발산하면서도 단가가 낮으므로 광촉매 필터 모듈의 제조 비용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UV-A광원은 약 2만 내지 5만 시간 범위의 수명을 갖는 광원 중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33a)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창(window)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후방의 구성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로부터 조사되어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하우징에 형성된 광촉매 수용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은 광촉매 필터 하우징 격벽(131a)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즉, 광촉매 필터 하우징 격벽(131a)은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 필터 하우징 격벽(131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인 복수의 제1 광촉매 필터 하우징 격벽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인 복수의 제2 광촉매 필터 하우징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1 광촉매 필터 하우징 격벽과 복수의 제2 광촉매 필터 하우징 격벽은 서로 교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는 광촉매 볼이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단일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광촉매 볼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은 허니콤(honeycomb)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수용 공간과 광촉매 볼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공기(A1)는 광촉매 수용 공간의 전방으로 진입하여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오염된 공기(A1)의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오염된 공기(A1)가 광촉매 수용 공간의 인근에 소정 시간 이상 머무를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광촉매 수용 공간은 광촉매 볼(B)을 수용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진입한 공기가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하기까지 소정 시간 이상 머무를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광촉매 수용 공간은 좌우방향의 최대폭(W)이 광촉매 볼(B) 직경의 1.2배 이상 3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광촉매 수용 공간은 상하방향의 최대폭(H)이 광촉매 볼(B) 직경의 1.2배 이상 3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광촉매 수용 공간은 전후방향의 최대폭(D)이 광촉매 볼(B) 직경의 1.2배 이상 3배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광촉매 수용 공간 내에 복수의 광촉매 볼(B)을 수용하여 광촉매 수용 공간의 내부의 와류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와류의 형성 시, 오염된 공기(A1)는 광촉매 볼(B) 인근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므로 오염된 공기(A1)의 살균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일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광촉매 볼(B) 전체의 부피는 단일의 광촉매 수용 공간의 부피의 1/2 이상 3/4 이하일 수 있다. 이는 광촉매 볼(B)이 물리적인 공간을 차지하므로, 단일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 지나치게 많은 광촉매 볼(B)이 수용될 경우 유체의 흐름이 지나치게 억제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 10은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와 광촉매 필터 광원부 사이의 간격에 따라 광촉매 필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이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 확산되는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는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에 실장된 발광 유닛(133b)과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a) 간의 간격이 20mm인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 모듈을 전방에서 촬영한 것이다. 그리고, 도10의 (b)는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에 실장된 발광 유닛(133b)과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a) 간의 간격이 30mm인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 모듈을 전방에서 촬영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의 (c)는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에 실장된 발광 유닛(133b)과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a) 간의 간격이 40mm인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 모듈을 전방에서 촬영한 것이다.
도 10의 (c)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로부터 조사된 광이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 중 일부에 확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10의 (a)와 (b)의 실시예에서는 도 10의 (c)의 실시예에 비해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로부터 조사된 광이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 고르게 확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염된 공기(A1)가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살균될 확률은 복수의 광촉매 볼(B)에서 고르게 광촉매 반응이 일어날수록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a)와 발광 유닛(133b) 간의 간격은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a)와 발광 유닛(133b) 간의 간격을 30mm 이하로 유지하면서 도 9의 조건을 함께 만족시키기 위해 광촉매 볼(B)의 지름은 10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광촉매 수용 공간의 전후방향의 최대폭은 15mm 이하일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서 제시한 광촉매 수용 공간과 광촉매 볼(B)의 구조적 조건을 만족할 시,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하는 오염된 공기(A1)는 적정 유속을 유지하면서도 충분히 살균될 수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도9와 도 10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소정 공간의 공기를 30분 살균할 경우 공기 중의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반면,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동일한 실험 조건 하에서 공기 중의 바이러스가 상당 수 검출되었다. 즉, 도 9와 도 10의 조건을 만족할 시의 살균 효과가 비약적으로 높음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망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로부터 광촉매 필터 하우징(131) 및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a)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로부터 조사되어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이때,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가 반사한 광은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로부터 조사된 광은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에 보다 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광촉매 반응은 복수의 광촉매 볼(B)의 모든 방향에서 고르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광촉매 필터 광원부(133)로부터 조사된 광, 즉 자외선을 반사하면서도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망사살(134a)과 복수의 제2 망사살(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망사살(134a)과 제2 망사살(134b)은 서로 교차되므로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전체적으로 망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망사살(134a)과 복수의 제2 망사살(134b)은 광촉매 필터 하우징 격벽(131a)과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일 예로, 제1 망사살(134a)이 상하방향으로부터 좌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제2 망사살(134b)은 상하방향으로부터 우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망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광촉매 필터 모듈의 전방으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A1)를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오염된 공기(A1)가 다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 분산되어 진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는 오염된 공기(A1)의 진로가 전후방향으로부터 비스듬해지도록 가이드하므로,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 내의 와류 형성이 촉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가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 내의 광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는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 모듈을 전방에서 촬영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의 (b)는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132a)의 전방에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134)가 구비된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 모듈을 전방에서 촬영한 것이다.
도 12의 (a)와 도12의 (b)의 실시예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도 12의 (b)의 실시예의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 내 광 확산이 도 12의 (a)의 실시예에 비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셔터부
120 : 공기 순환팬부
130 : 광촉매 필터 모듈
140 : 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
210 : 공기 수송부
220 : 소음 모듈 격벽부

Claims (11)

  1.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에 광촉매 볼을 수용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 필터 모듈;
    일 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소음 모듈의 외측으로 도출되고, 타 단은 상기 소음 모듈의 내측에 포함되며, 상기 소음 모듈의 내측에 포함된 영역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공기 수송부; 및
    상기 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공기 수송부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도록 상기 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는 부분은 상기 공기 수송부와 동일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수송부를 통해 유입되는 일부 공기를 일정 공간에 가두는 소음 모듈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모듈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인입부 또는 토출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어 상기 공기 조화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소음 및 배기 되는 공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송부는 상기 소음 모듈의 일 측에 구비된 제1공기 수송부 및 상기 제1공기 수송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음 모듈의 이면에 구비되는 제2공기 수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공기 수송부로 상기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2공기 수송부로 상기 공기가 배기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 수송부 및 상기 제2공기 수송부의 각 일 단에 있는 타공 영역으로 인해 상기 공기가 넓은 공간으로 확산됨으로써 소음이 상쇄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모듈 격벽부는 상기 제1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는 제1소음 모듈 격벽부 및 상기 제2공기 수송부를 가로지르는 제2소음 모듈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기 수송부 및 상기 제2소음 모듈 격벽부에 의해 일정 공간에 상기 공기가 가두어지므로 상기 타공 영역에서 소음 저감 과정이 반복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구비된 격벽에 의해 상기 공기가 퍼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공기를 천천히 배기하고, 상기 격벽의 이격, 두께, 모양 및 크기를 기초로하여 주파수의 소음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보조 소음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내부를 몇 개의 구획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조화 장치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상기 광촉매 필터 모듈을 통과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기 흐름 유도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기체류의 조정을 위해 설치하는 개페부로 급기 및 배기되는 곳에 구비된 복수의 셔터부; 및
    상기 셔터부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 장치로 상기 공기가 유입 및 배기되도록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팬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의 개페 여부 및 상기 공기 순환팬부의 작동으로 실내 공기 배기, 실내 공기 순환 및 외부 공기 유입을 실행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 모듈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광촉매 필터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복수의 광촉매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광촉매 볼;
    상기 하우징의 전방과 후방에 부착되어 상기 광촉매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망사 형상의 광촉매 필터 커버부; 및
    상기 광촉매 필터 하우징의 후방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 커버부는
    상기 광촉매 필터 하우징의 전방에 부착되는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 및
    상기 광촉매 필터 하우징의 후방에 부착되는 제2 광촉매 필터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촉매 필터 커버부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한 광이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으로 다시 향하도록 상기 광촉매 수용 공간을 통과한 광을 반사하는 망사 형상의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 보호 커버부는 서로 교차하여 망사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제1 망사살과 복수의 제2 망사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망사살과 상기 복수의 제2 망사살은 상기 격벽과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인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KR1020210173617A 2021-12-07 2021-12-07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KR102601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17A KR102601645B1 (ko) 2021-12-07 2021-12-07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PCT/KR2022/002207 WO2023106514A1 (ko) 2021-12-07 2022-02-15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17A KR102601645B1 (ko) 2021-12-07 2021-12-07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41A true KR20230085441A (ko) 2023-06-14
KR102601645B1 KR102601645B1 (ko) 2023-11-14

Family

ID=8673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617A KR102601645B1 (ko) 2021-12-07 2021-12-07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1645B1 (ko)
WO (1) WO202310651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64B1 (ko) * 2012-11-02 2013-05-10 (주)씨코전자 광촉매 살균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20160039073A (ko) *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촉매 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CN104422109B (zh) * 2013-08-26 2018-02-0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的消声器及具有其的空调
KR20190089328A (ko) * 2018-01-22 2019-07-3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KR102195857B1 (ko) * 2020-06-03 2020-12-28 은성화학(주) 내부순환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13454186U (zh) * 2020-10-23 2021-06-15 埃默德智能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穿墙消音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364B2 (ja) * 1992-02-07 2000-01-24 ヤマハ株式会社 空調ダクト騒音減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64B1 (ko) * 2012-11-02 2013-05-10 (주)씨코전자 광촉매 살균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CN104422109B (zh) * 2013-08-26 2018-02-0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的消声器及具有其的空调
KR20160039073A (ko) *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촉매 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KR20190089328A (ko) * 2018-01-22 2019-07-3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KR102195857B1 (ko) * 2020-06-03 2020-12-28 은성화학(주) 내부순환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13454186U (zh) * 2020-10-23 2021-06-15 埃默德智能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穿墙消音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645B1 (ko) 2023-11-14
WO2023106514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948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JPH0626669A (ja) ヒトの生活空間、ことに居住空間および職場空間のための空調設備
EP3369595A1 (en) Railway car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317253B1 (ko) 흡음기능을 갖는 원통형 광촉매 필터장치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102311002B1 (ko)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80129215A (ko)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 모듈
KR102105006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JP6913983B1 (ja)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室内還流型紫外線殺菌装置
RU18370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KR102601645B1 (ko)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KR102351680B1 (ko) 광촉매 필터 모듈
US20230158197A1 (en) Uv-light air purifying apparatus
KR102420838B1 (ko) 소음저감형 열회수 환기장치
RU159961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US20220049862A1 (en) Elevator cab air purification
RU20141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стерильной воздушной завесы
KR20230009548A (ko) Uv-c led 공기 살균 장치
JPH08312977A (ja) 空気調和装置
CN218142074U (zh) 船舶舱室用布风器以及船用空调送风系统
RU1599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RU160109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RU161173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JP2023034107A (ja) 空気清浄機
RU161228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
KR102317242B1 (ko) 원통형 광촉매 정화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