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002B1 -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002B1
KR102311002B1 KR1020210074902A KR20210074902A KR102311002B1 KR 102311002 B1 KR102311002 B1 KR 102311002B1 KR 1020210074902 A KR1020210074902 A KR 1020210074902A KR 20210074902 A KR20210074902 A KR 20210074902A KR 102311002 B1 KR102311002 B1 KR 10231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air conditioner
fine dust
filter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겸
김기원
봉기남
남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건물의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로, 상기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는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교체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중의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는, 펄프를 콜게이트로 성형한 후 표면에 촉매금속을 합성한 분말 활성탄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복합 광촉매 미디어는 UV LED 모듈 바의 전.후방에 배치하고, 상기 UV LED 모듈 바는 하나의 모듈바에 UV-A 파장 LED 램프와 UV-C 파장 LED 램프를 번갈아 배치하여 복합파장의 광원이 조사하도록 하되, 광원이 양측면에서 각각 조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합 광촉매 미디어의 후방에는 미세먼지 필터가 배치되어, 2개의 복합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A 파장과 UV-C 파장이 조사되도록 이루어져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필터트랙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A multifunctional filter assembly for air conditioners and air conditioner with this}
본 발명은 냉난방장치, 미세먼지 필터, 송풍장치 등을 구비하여 실내공기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제어하여 쾌적한 상태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어셈블리 형태로 이루어져 필터트랙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보내는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결도 등을 조절하여 주는 기기로서, 설치장소 및 냉/난방 용량에 따라 소용량 또는 대용량으로 대별되며, 소용량은 가정용으로, 대용량은 빌딩 또는 공장 등의 대형건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에 대형건물에 사용되고 있는 대용량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것이다.
대용량 공기조화기(1)는 환기구(2), 배기구(3), 외기 유입구(4), 조화공기용 급기구(5)가 마련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케이스(12) 내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용 팬과 환기용 모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6)와, 급기를 위한 급기용 팬과 급기용 모터를 포함하는 급기송풍장치(11)와,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초급(프리)필터(7)와 중성능(Medium)필터(8)로 구성되는 미세먼지제거장치와, 공기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냉난방장치(9)와, 악취제거를 위한 활성탄 필터(10)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초급(프리)필터(7)와 중성능(Medium)필터(8)로 구성되는 미세먼지제거장치는 미세먼지만을 제거하며, 상기 활성탄 필터(10)는 냄새만을 제거한다.
상기 초급(프리)필터(7)와 중성능(Medium)필터(8)는 공기조화기용 케이스(12) 내에 설치된 필터트랙(13)에 화스너(Fastener)(17)로 교체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상기 필터트랙(13)은 보통 다수의 초급(프리)필터(7)와 중성능(Medium)필터(8)가 설치되는 홀딩프레임(14)과, 상기 홀딩프레임(14)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5)와 칸막이(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활성탄 필터(10)를 설치할 경우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한편, 기기 내의 압력손실이 상승하여 급기송풍장치(11)의 급기용 모터의 용량이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서 넓은 설치공간을 요구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가격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KR) 등록특허 10-1745324 (KR) 등록특허 10-2224732
이에 본 발명은 종래 대용량 공기조화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활성탄 필터의 사용으로 인한 설치공간의 증가 및 기기 내의 압력 손실 등에 의한 종래 대용량 공기조화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공기중의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며, 교체가 용이할 수 있도록 어셈블리 구조로 이루어진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인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는, 펄프를 콜게이트로 성형한 후 표면에 촉매금속을 합성한 분말 활성탄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복합 광촉매 미디어는 UV LED 모듈 바의 전.후방에 배치하고, 상기 UV LED 모듈 바는 하나의 모듈바에 UV-A 파장 LED 램프와 UV-C 파장 LED 램프를 번갈아 배치하여 복합파장의 광원이 조사하도록 하되, 광원이 양측면에서 각각 조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합 광촉매 미디어의 후방에는 미세먼지 필터가 배치되어, 2개의 복합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A 파장과 UV-C 파장이 조사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2개의 UV LED 모듈 바를 대향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서 자외선이 마주되게 조사되도록 이루어진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과; 상기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의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필터를 이용한 미세먼지제거수단과; 상기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과 미세먼지제거수단을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필터의 전면부에는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가 삽입되는 2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가 형성되어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는 미세먼지 필터와 함께 카세트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는 펄프를 콜게이트로 성형한 후 표면에 촉매금속을 합성한 분말 활성탄을 코팅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UV LED 모듈 바에는 UV-A 파장 LED 램프와 UV-C 파장 LED 램프가 구비된다.
상기 카세트의 양 내측면에는 UV LED 모듈 바가 설치되는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가 설치되고, 상기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에 의하여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세트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사이에 2개의 UV LED 모듈 바가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 후방으로 미세먼지 필터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카세트 몸체와; 상기 카세트 몸체의 상측에 결합부재로 결합(고정)되어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와 2개의 UV LED 모듈 바 및 미세먼지 필터를 고정할 수 있는 카세트 헤드로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 헤드에는 어댑터가 어댑터용 커버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필터트랙에 화스너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필터트랙에 화스너로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는 종래의 일반 미세먼지 필터와 같이 필터트랙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어셈블리화되어 있어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과, 미세먼지제거수단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 공기 중에 있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동시에 유해물질, 세균 및 바이러스를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를 사용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유해물질을 제거하고자 활성탄의 사용시 보다 차압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설치공간을 축소 및 송풍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작비용 절감과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 모듈 바가 위치함으로써 유해물질 및 세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필터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2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에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가 설치되어 카세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종래에 구비되어 있는 필터트랙에 화스너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에 있는 세균과 바이러스가 제거된 상태에서 미세먼지 필터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미세먼지 필터에서 세균 및 바이러스의 번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의 양 내측면에 설치되는 UV LED 모듈 바에 의하여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게 하여 그 제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개략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구비되어 필터 트랙의 평면과 정면 개략도.
도 3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필터 트랙에 초급필터와 중성능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 중 UV LED 모듈 바를 보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 중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와 미세먼지 필터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 카세트가 결합하여 복합 광촉매 미디어와 미세먼지 필터가 고정됨을 보인 사시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 중 카세트 헤드부분에 대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 중 카세트 몸체에 복합 광촉매 미디어가 설치됨을 보인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구성 중 카세트 몸체에 UV LED 모듈 바가 설치됨을 보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가 공기조화기의 필터트랙에 병렬구조로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의 요부에 대한 분리 및 조립 단면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대형건물의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인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는 일체형태로 형성되어 교체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중의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활성탄 필터의 사용시 설치공간의 증가 및 기기 내의 압력 손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 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를 구비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환기구(2)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3)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4)와,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조화공기용 급기구(5)가 마련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케이스(12) 내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용 팬과 환기용 모터를 포함하는 환기장치(101)와, 급기를 위한 급기용 팬과 급기용 모터를 포함하는 급기송풍장치(107)와,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를 통과한 공기 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냉온수코일로 이루어진 냉난방장치(105)와, 공기의 습도를 조절을 위한 가습기로 이루어진 습도조절장치(106)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다수개가 필터트랙(104)에 화스너(Fastener)(221)로 교체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며 공기중의 미세먼지 외에 악취, 살균 및 바이러스를 함께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구성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또한 다수의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가 설치되는 필터트랙(104)도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미세먼지 필터를 화스너로 고정설치하도록 이루어진 필터트랙과 동일한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트랙에 설치될 수 있도록 크기로 제작(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다수개가 병렬형태로 필터트랙(104)에 화스너(221)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 및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펄프를 콜게이트로 성형한 후 표면에 촉매금속을 합성한 분말 활성탄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복합 광촉매 미디어는 UV LED 모듈 바의 전.후방에 배치하고, 상기 UV LED 모듈 바는 하나의 모듈바에 UV-A 파장 LED 램프와 UV-C 파장 LED 램프를 번갈아 배치하여 복합파장의 광원이 조사하도록 하되, 광원이 양측면에서 각각 조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합 광촉매 미디어의 후방에는 미세먼지 필터가 배치되어, 2개의 복합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A 파장과 UV-C 파장이 조사되도록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2개의 UV LED 모듈 바(207)를 대향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 사이에서 자외선이 마주되게 조사되도록 이루어진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과; 상기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의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필터(206)를 이용한 미세먼지제거수단과; 상기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과 미세먼지제거수단을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세트(201)로 구성된다.
상기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제거와,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구성으로, 유해물질은 유기화합물(VOCs)을 포함하고, 공기 중에는 많은 양의 유기화합물(VOCs)을 포함하고 있으며, 점점 그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와,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 사이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UV LED 모듈 바(207)로 구성된다.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는 펄프를 콜게이트로 성형한 후 표면에 촉매금속을 합성한 분말 활성탄을 코팅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UV LED 모듈 바(207)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 사이에는 서로 대향(마주)하도록 설치되며, 대향되게 설치된 상기 UV LED 모듈 바(207)는 모듈 바용 연결케이블(218)로 연결되고, 어댑터(202)와 전원용 케이블(204)의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202)는 어댑터 커버(203)를 이용하여 카세트(201)의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UV LED 모듈 바(207)에는 자외선(UV)을 조사하는 다수의 UV LED 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상기 UV LED 램프는 UV-A 파장과 UV-C 파장을 조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UV-A 파장 LED 램프(209)와 UV-C 파장 LED 램프(2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UV LED 모듈 바(207)는 보통 카세트 몸체(201-1)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로 설치되며, 상기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는 UV LED 모듈 바(207)를 상측에서 삽입시키는 형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은 '
Figure 112021066656332-pat00001
'와 같이 형성되어 카세트 몸체(201-1)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는 1차복합 광촉매 미디어(205)와 미세먼지 필터(206)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가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의 각 일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은 1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와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 사이의 공간에 대향되게 설치된 UV LED 모듈 바(207)에서 자외선(UV)을 조사하도록 하여 유해물질과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미세먼지제거수단은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의 후방에 위치하여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보통 중성능필터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필터(206)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세먼지 필터(206)는 중성능 미세먼지 필터 또는 고성능 미세먼지 필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필터(206)의 전방에는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가 삽입될 수 있는 2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20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206-1)에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가 삽설되어 일체형태로 카세트(201)에 설치된다(도 9, 도 15 참조).
이는 카세트(20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필터트랙에 화스너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20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와,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 사이에 설치되는 한쌍의 UV LED 모듈 바(207)로 이루어진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과, 미세먼지 필터(206)로 이루어진 미세먼지제거수단이 일체형태가 되도록 하여 어셈블리화 하여 공기조화기(100)의 필터트랙(104)에 화스너(Fastener)(221)를 이용하여 교체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카세트(201)는 카세트 몸체(201-1)와, 상기 카세트 몸체(201-1)의 상측에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로 결합(고정)되는 카세트 헤드(201-2)로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 몸체(201-1) 내측의 양측면에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 사이에 한쌍의 UV LED 모듈 바(207)가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 후방으로 미세먼지 필터(206)가 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도 13과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 몸체(201-1) 내측의 양측면에 한쌍의 UV LED 모듈 바(207)가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를 설치하여 상기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1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가 설치되는 1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211)와, 타측인 후방으로 미세먼지 필터(206)가 설치될 수 있는 미세먼지 필터 설치부(212)를 형성한다.
상기 복합 1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211)와 미세먼지 필터 설치부(212)는 1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와 미세먼지 필터(206)의 각 양단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보통 1차복합 광촉매 미디어(205)와 미세먼지 필터(206)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UV LED 모듈 바(207)가 설치되는 UV LED 모듈 바 설치부(213)는 카세트 몸체(201-1) 내측의 양측면에 설치된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로 형성된다.
상기 UV LED 모듈 바 설치부(213)를 형성하는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에 UV LED 모듈 바(207)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대향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상기 카세트 헤드(201-2)는 카세트 몸체(201-1)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복합 1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211)에 설치된 1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와, 미세먼지 필터 설치부(214)에 설치된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가 구비된 미세먼지 필터(206)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카세트 헤드(201-2)에는 UV LED 살균수단의 어댑터(202)가 설치되며, 상기 어댑터(202)는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로 고정되는 어댑터용 커버(203)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 사이에 설치된 UV LED 모듈 바(207)를 이용하여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 사이에서 조사된 UV-A 파장과 UV-C 파장으로 복합 광촉매 미디어의 표면이 활성화 되어 수산화 이온(OH-)을 방출하여 유해물질,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를 통과한 공기 중에 있는 미세먼지를 미세먼지 필터(206)에서 제거한다.
즉, 본 발명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유해물질, 세균 및 바이러스, 미세먼지를 제거한다.
본 발명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보통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되는 필터트랙(104)에 초급(Pre)필터와 함께 대용량 공기조화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병렬형태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필터트랙(104)에 화스너(Fastener)(221)를 이용하여 교체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보통 상기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의 카세트(201)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필터트랙에 화스너(Fastener)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가 미세먼지 필터(206)의 전면부에 형성된 2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206-1)에 설치됨으로써 카세트(201)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카세트(201)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필터트랙에 화스너(Fastener)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는 종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미세먼지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트랙을 교체하여 하거나, 또는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를 종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미세먼지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트랙에 설치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200)가 구비된 공기조화기(100)는 활성탄 필터 기능을 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로 인하여 활성탄 필터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어 활성탄 필터로 발생하는 큰 차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활성탄 필터의 설치공간 제거 및 송풍장치의 용량 축소 등에 의한 설치공간을 해소 및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100 : 공기조화기 101 : 환기장치
102 : 초급필터 104 : 필터트랙
105 : 냉난방장치 106 : 습도조절장치
107 : 급기송풍장치
200 :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
201 : 카세트 201-1 : 카세트 몸체
201-2 : 카세트 헤드 202 : 어댑터
205, 208 : 복합 광촉매 미디어 206 : 미세먼지 필터
207 : UV LED 모듈 바 209 : UV-A 파장 LED 램프
210 : UV-C 파장 LED 램프
211 : 1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
206-1 :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
212 : 미세먼지 필터 설치부
213 : UV LED 모듈 바 설치부
219 :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
221 : 화스너

Claims (8)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2개의 UV LED 모듈 바(207)를 대향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 사이에서 자외선이 마주되게 조사되도록 이루어진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과;
상기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의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필터(206)를 이용한 미세먼지제거수단과;
상기 유해물질 제거 및 살균수단과 미세먼지제거수단을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카세트(201)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 필터(206)의 전면부에는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가 삽입되는 2차 광촉매 미디어 설치부(206-1)가 형성되어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는 미세먼지 필터(206)와 함께 카세트(201)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는 펄프를 콜게이트로 성형한 후 표면에 촉매금속을 합성한 분말 활성탄을 코팅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UV LED 모듈 바(207)에는 UV-A 파장 LED 램프(209)와 UV-C 파장 LED 램프(21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201)의 양 내측면에는 UV LED 모듈 바(207)가 설치되는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가 설치되고, 상기 모듈 바 삽입가이드대(219)에 의하여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201)는
1차,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5, 208)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사이에 2개의 UV LED 모듈 바(207)가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2차 복합 광촉매 미디어(208) 후방으로 미세먼지 필터(206)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카세트 몸체(201-1)와;
상기 카세트 몸체(201-1)의 상측에 결합부재로 결합(고정)되어 1차복합 광촉매 미디어(205)와 2개의 UV LED 모듈 바(207) 및 미세먼지 필터(206)를 고정할 수 있는 카세트 헤드(20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헤드(201-2)에는 어댑터(202)가 어댑터용 커버(203)로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
제1항,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201)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필터트랙에 화스너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삭제
KR1020210074902A 2021-06-09 2021-06-09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31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902A KR102311002B1 (ko) 2021-06-09 2021-06-09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902A KR102311002B1 (ko) 2021-06-09 2021-06-09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002B1 true KR102311002B1 (ko) 2021-10-13

Family

ID=7815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902A KR102311002B1 (ko) 2021-06-09 2021-06-09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0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052B1 (ko) 2021-10-29 2022-10-26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용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494929B1 (ko) 2022-07-05 2023-02-06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앙공조장치용 리필형 필터와 이를 구비한 중앙공조장치
KR20230073375A (ko) 2021-11-17 2023-05-26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공기조화기
KR20240050497A (ko) 2022-10-11 2024-04-19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실내공기질 관리 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270A (ja) * 1998-10-01 2000-04-18 Daido Steel Co Ltd 抗菌・脱臭フィルタ
JP2001170432A (ja) * 1999-12-20 2001-06-26 Sanki Eng Co Ltd 光触媒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該光触媒フィルタユニットを備えた空調装置
JP2003106583A (ja) * 2001-09-29 2003-04-09 Nippon Muki Co Ltd 空気清浄装置
KR101063988B1 (ko) * 2011-07-14 2011-09-08 황병상 대형 공조기 필터 고정장치
JP2013169502A (ja) * 2012-02-20 2013-09-02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光触媒装置
KR101745324B1 (ko) 2015-08-31 2017-06-12 주식회사 유한엔지니어링 탈취 및 세균, 바이러스 저감용 공기조화기
KR102211993B1 (ko) * 2020-05-04 2021-02-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헤파필터 장착용 살균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조화기
KR102224732B1 (ko) 2019-05-24 2021-03-09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270A (ja) * 1998-10-01 2000-04-18 Daido Steel Co Ltd 抗菌・脱臭フィルタ
JP2001170432A (ja) * 1999-12-20 2001-06-26 Sanki Eng Co Ltd 光触媒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該光触媒フィルタユニットを備えた空調装置
JP2003106583A (ja) * 2001-09-29 2003-04-09 Nippon Muki Co Ltd 空気清浄装置
KR101063988B1 (ko) * 2011-07-14 2011-09-08 황병상 대형 공조기 필터 고정장치
JP2013169502A (ja) * 2012-02-20 2013-09-02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光触媒装置
KR101745324B1 (ko) 2015-08-31 2017-06-12 주식회사 유한엔지니어링 탈취 및 세균, 바이러스 저감용 공기조화기
KR102224732B1 (ko) 2019-05-24 2021-03-09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211993B1 (ko) * 2020-05-04 2021-02-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헤파필터 장착용 살균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조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052B1 (ko) 2021-10-29 2022-10-26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기능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용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3375A (ko) 2021-11-17 2023-05-26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너지 절약형 대용량 공기조화기
KR102494929B1 (ko) 2022-07-05 2023-02-06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앙공조장치용 리필형 필터와 이를 구비한 중앙공조장치
KR20240050497A (ko) 2022-10-11 2024-04-19 주식회사 다람이엔지 실내공기질 관리 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002B1 (ko) 2개의 광촉매 미디어 사이에 uv led가 구비되어 유해물질,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용 다기능 필터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CN100383464C (zh) 通风系统
US6902603B2 (en) Integrated air filtration unit
CA2818444C (en) Air pur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WO2002006736A1 (en) Uv air cleaning & disinfecting system
KR102131439B1 (ko)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1899141B1 (ko) 다단 흡입구를 가진 양압 공기정화살균장치
KR102317253B1 (ko) 흡음기능을 갖는 원통형 광촉매 필터장치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EP2959232B1 (en) Device for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KR102317245B1 (ko)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JP2018110689A (ja) 互換性を有する通気継手で連結した清浄・浄化システム
KR100858520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200407836Y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JP2001170432A (ja) 光触媒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該光触媒フィルタユニットを備えた空調装置
JP6284806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フィルタエレメント組立体、および空気清浄システム
KR20140132915A (ko) 공기정화기
KR101975714B1 (ko) 열회수환기장치
KR102383783B1 (ko) 기상정보를 연동한 에너지절감형 공기청정 클린 환기시스템
CN216203908U (zh) 空气净化组件和空气循环系统
KR102200729B1 (ko) 처짐 방지 기능을 갖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2481601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2317242B1 (ko) 원통형 광촉매 정화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JP4822108B2 (ja) クリーンルームの空調システム
KR101468603B1 (ko) 공기 조화기의 정압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