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391A -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391A
KR20230085391A KR1020210173498A KR20210173498A KR20230085391A KR 20230085391 A KR20230085391 A KR 20230085391A KR 1020210173498 A KR1020210173498 A KR 1020210173498A KR 20210173498 A KR20210173498 A KR 20210173498A KR 20230085391 A KR20230085391 A KR 2023008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rosswalk
lane
sensor
preven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학
김준혁
김창희
김지수
이기표
Original Assignee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391A/en
Publication of KR2023008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3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Abstract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은, 제1차선과, 상기 제1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이 우회전하여 주행하며 횡단보도가 표시된 제2차선에서의 사고를 예방하는 사고예방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우회전 경로를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차량 진입 방지봉;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기둥에 설치되며, 상기 횡단보도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레이더; 상기 제1차선에 설치되는 제1센서;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음성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상기 차량 진입 방지봉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감지 레이더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진입 방지봉이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상기 제1센서가 차량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모듈을 통해 음성메세지를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차로에서 차량의 우회전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으로서, 우회전하는 차량의 운전자와, 횡단보도를 보행하려는 보행자에게 보행신호 및 횡단보도의 상황, 차량 진입상황 등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is disclosed.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s in a first lane and a second lane where a vehicle traveling in the first lane turns right and drives and a crosswalk is displayed,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prevention rod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ight turn path of the vehicle; a detection radar installed on a pole of a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and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crosswalk to detect an object; a first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lane; a voice module installed on the pillar;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to emit light when the traffic light indicates a walking signal,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radar, and control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to emit light, and control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to emit light, When the first sensor detects a vehicle when the walking signal is indicated, a voice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voi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a vehicle turning right at an intersection, a driver of a right-turning vehicle and a pedestrian trying to walk at a crosswalk are provided with a walking signal and a crosswalk situation,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immediately recognizing a vehicle entry situation is provided.

Figure P1020210173498
Figure P1020210173498

Description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본 발명은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로에서 차량의 우회전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 vehicle turning right at an intersec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는 자동차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 차체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차체의 측방을 구성하는 필러, 차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루프패널, 도어 등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a car body forming the exterior of a car consists of a floor panel forming the floor of the car, a frame for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car body, a pillar constituting the side of the car body, a roof panel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car body, and a door. .

여기서 필러(pillar)는 도어부와 천장의 사이에 위치하며 차량의 강도를 더해주는 수단으로서, 전방 윈도우와 측방 윈도우의 중간에 위치하는 전방필러를 A 필러라고 하는데, A필러는 운전자의 대각선 방향의 시야를 제한하며, 좌회전 시 자동차의 진행방향임에도 불구하고 A필러에 의해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ere, the pillar is located between the door part and the ceiling and is a means to add strength to the vehicle. The front pillar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front window and the side window is called the A-pillar. is limi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blind spot occurs due to the A-pillar despite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when turning left.

일반적으로 차량 한 대당 총 여섯 곳의 사각지대가 형성되는데, 운전석을 중심으로, 차체 때문에 보이지 않는 앞과 뒤, A필러로 인한 전방 측면 두 곳, 사이드미러가 비추지 못하는 후방 측면 두 곳 등 6 곳이다.In general, a total of six blind spots are formed for each vehicle, including the driver's seat, the front and rear, which are invisible due to the body, two on the front side due to the A-pillar, and two on the rear side where the side mirror cannot shine. am.

그 중 자동차 운전석에서 좌회전이나 우회선 즉 선회할 때 A필러로 인해 시야확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특히 우회전 시에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Among them, attention is required because there is a part where visibility is not secured due to the A-pillar when turning left or right, that is, turning from the driver's seat. Be especially careful when turning right.

우회전 선회 시 먼저 뒤에서 오는 물체를 파악하여야 하며, A필러로 인해 보이지 않는 보행자나 물체를 보지 못하면 인명사고의 원인이 된다.When turning right, you must first identify an object coming from behind, and if you do not see a pedestrian or object that is not visible due to the A-pillar, it may cause a life-threatening accident.

일반적으로 횡단보도가 있는 곡각지역에서 우회전 차량은 서행 진입이 가능한데, 횡단보도의 신호등의 변화와 사람의 감지는 사각지대와 주변의 여러 장애물에 의해 극히 제한되게 되어 있는 바, 이로 인해 횡단보도 상의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in a curved area with a crosswalk, right-turning vehicles can enter slowly, but the change in traffic lights and the detection of people at the crosswalk are extremely limited by blind spots and various obstacles around them, which causes life on the crosswalk. There are problems with accid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2920호 (2018.06.08.)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12920 (2018.06.08.)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4131호 (2012.03.15.) "사고 예방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354131 (2012.03.15.) "Accident prevention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5770호 (2001.08.17.) "측도 진입차량 교통사고 예방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255770 (2001.08.17.) "Traffic Accident Prevention Device for Vehicles Entering Sidewa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은, 교차로에서 차량의 우회전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 vehicle turning right at an inters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은, 우회전하는 차량의 운전자와, 횡단보도를 보행하려는 보행자에게 보행신호 및 횡단보도의 상황, 차량 진입상황 등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that can immediately recognize a walking signal, a crosswalk situation, a vehicle entry situation, etc. to a driver of a vehicle turning right and a pedestrian trying to walk on a crosswalk It aims to provide an accident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은, 제1차선과, 상기 제1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이 우회전하여 주행하며 횡단보도가 표시된 제2차선에서의 사고를 예방하는 사고예방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우회전 경로를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차량 진입 방지봉;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기둥에 설치되며, 상기 횡단보도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레이더; 상기 제1차선에 설치되는 제1센서;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음성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상기 차량 진입 방지봉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감지 레이더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진입 방지봉이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상기 제1센서가 차량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모듈을 통해 음성메세지를 출력시킨다.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s in a first lane and a second lane where a vehicle traveling in the first lane turns right and drives and a crosswalk is displayed,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prevention rod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ight turn path of the vehicle; a detection radar installed on a pole of a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and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crosswalk to detect an object; a first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lane; a voice module installed on the pillar;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to emit light when the traffic light indicates a walking signal,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radar, and control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to emit light, and control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to emit light, When the first sensor detects a vehicle when the walking signal is indicated, a voice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voice module.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차량 진입 방지봉에는 각각 제2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차선에서의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모듈을 통해 음성메세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Here, a second senso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 entry prevention rods,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in the first lane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and the traffic light is a walking signal.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sensed, a voice message may be output through the voice module.

여기서, 상기 횡단보도의 후방에는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점자 보도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방향표시부는 LED램프와, 상기 LED램프의 하면에 장착되는 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가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LED램프를 점등시키며 진동모듈을 통해 상기 LED램프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Here, a braille sidewalk block having a direction display uni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rosswalk, and the direction display unit includes an LED lamp and a vibration modul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ED lamp, and when the traffic light indicates a walking signal, When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detects driving of the vehicle, the LED lamp may be turned on and vibration may be applied to the LED lamp through a vibration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에 의하면, 교차로에서 차량의 우회전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 vehicle turning right at an intersection is provided.

또한, 우회전하는 차량의 운전자와, 횡단보도를 보행하려는 보행자에게 보행신호 및 횡단보도의 상황, 차량 진입상황 등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of a vehicle turning right and a pedestrian trying to walk at a crosswalk can immediately recognize a walking signal, a crosswalk situation, and a vehicle entering situation.

또한, 차량 진입 방지봉에 의해 운전자는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can easily check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destrians in the crosswalk by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또한,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보행신호일 때 제1센서의 차량 감지 여부를 수신하여 음성모듈을 통해 음성메세지를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횡단보도 보행자는 차량이 접근함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is a walking signal, the first sensor receiv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detected and outputs a voice message through the voice module, so that the pedestrian at the crosswalk can easily know that the vehicle is approaching.

또한, 제1센서와 제2센서를 통해 차량 감지 여부를 수신함으로써,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보행신호일 때 보다 정확하게 차량의 주행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ceiv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driving of the vehicle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when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is a walking signal.

또한, 점자 보도블럭을 통해 시각 장애인과 스마트폰을 보며 서있는 사람들에게도 차량이 진입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braille sidewalk block,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visually impaired and people standing while looking at their smartphones that vehicles can enter.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차량 진입 방지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감지 레이더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제어 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차량 진입 방지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점자 보도블럭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of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etection radar of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relationship diagram of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of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braille sidewalk block explanatory diagrams of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erm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are presen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은, 교차로에서 차량의 우회전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으로서, 우회전하는 차량의 운전자와, 횡단보도를 보행하려는 보행자에게 보행신호 및 횡단보도의 상황, 차량 진입상황 등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 vehicle turning right at an intersection, wherein a driver of a vehicle turning right and a pedestrian trying to walk on a crosswalk It relates to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that can immediately recognize a walking signal, crosswalk situation, vehicle entry situation, etc.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차량 진입 방지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감지 레이더의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제어 관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of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is It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detection radar of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trol relationship diagram of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1000)은, 차량 진입 방지봉(100)과, 감지 레이더(200)와, 제1센서(300)와, 음성 모듈(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100, a detection radar 200, a first sensor 300, a voice module 400, and a controller ( 500) are included.

본 실시예는 교차로에서 어느 한 차선을 주행 중인 차량이 우회전하는 경우, 횡단보도에서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제1차선이라 하며, 제1차선에서 차량이 우회전하여 주행하는 차선을 제2차선이라 한다. 그리고 제1차선과 제2차선 사이의 곡선 구간을 커브길이라고 한다.This embodiment is a system for preventing an accident at a crosswalk when a vehicle driving in one lane at an intersection makes a right turn.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is referred to as a first lane, and the lane in which the vehicle turns right in the first lane and travels is referred to as a second lane. And the curved section between the first lane and the second lane is called a curve length.

차량 진입 방지봉(100)은 복수 개가 커브길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다. 차량 진입 방지봉(100)은 커브길을 따라 인도에 설치되거나 차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원활한 차량 주행을 위해 인도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vehicle entry prevention rods 10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curve.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100 may be installed on a sidewalk along a curve or on a roadway, and is more preferably installed on a sidewalk for smooth vehicle driving.

차량 진입 방지봉(100)은 기둥 형상으로서 대략 볼라드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차량 진입 방지봉(100)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서는 안되므로, 적절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10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similar shape to a bollard as a pillar shape. At this time, since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100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driver's field of view,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ppropriate height.

차량 진입 방지봉(100)에는 발광램프(110)가 장착된다. 발광램프(11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light emitting lamp 110 is mounted on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100 . The light emitting lamp 1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0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감지 레이더(200)는 횡단보도에서의 물체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물체는 보행자를 포함한다. 감지 레이더(200)는 신호등의 기둥에 설치된다. 제2차선에는 횡단보도가 형성되며, 일반적으로는 제1차선에서 차량이 우회전을 하여 제2차선에 진입하는 위치, 즉 커브길이 종료되는 지점에 횡단보도가 설치된다. 이 횡단보도는 비보호 우회전 차량과 보행자 간의 사고, 특히 A필러에 의한 시야 방해를 원인으로 한 사고가 빈번하다.The detection radar 200 is a component that detects an object in a crosswalk. Here, objects include pedestrians. The detection radar 200 is installed on a pole of a traffic light. A crosswalk is formed in the second lane, and generally a crosswalk is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a vehicle turns right in the first lane and enters the second lane, that is, at a point where a curve ends. In this crosswalk, there are frequent accidents between unprotected right-turning vehicles and pedestrians, especially due to obstruction of vision by the A-pillar.

감지 레이더(200)는 이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기둥에 설치되어, 횡단보도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물체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 레이더(200)는 레이저를 조사하고 다시 수신되는 시간으로부터 물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The detection radar 200 is installed on a pole of a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and detects an object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crosswalk. Here, the detection radar 200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from the time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and received again.

또한, 신호등의 기둥에는 음성 모듈(400)이 설치된다. 음성 모듈(400)은 보행자에게 음성 메세지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행자에게 경고음이나 경고메세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a voice module 400 is installed on the pole of the traffic light. The voice module 400 is a component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to a pedestrian. More specifically, it is a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message to a pedestrian.

제1센서(300)는 제1차선에 설치된다. 제1센서(300)는 제1차선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센서(300)는 제1차선에서의 차량의 주행여부를 센싱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보행신호일 때 차량의 진입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first sensor 300 is installed in the first lane. The first sensor 3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ne. The first sensor 300 is a component that sens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first lane. Specifically, it is a configuration for sensing whether a vehicle enters when a traffic light at a crosswalk is a walking signal.

감지 레이더(200)의 감지 정보와 제1센서(300)의 센싱정보는 제어부(500)로 전송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radar 200 and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 30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0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500)는 상술한 차량 진입 방지봉(100)과, 감지 레이더(200)와, 제1센서(300)와, 음성 모듈(400)을 제어함으로써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차량과 보행자 간의 사고를 예방하는 구성이다.The controller 500 prevents an accident between a vehicle turning right at an intersection and a pedestrian by controlling the aforementioned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100, the detection radar 200, the first sensor 300, and the voice module 400. It is a composition that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등의 보행신호 여부는 제어부(500)로 전송된다. 제어부(500)는 신호등이 보행신호인 경우 차량 진입 방지봉(100)이 발광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차선을 주행하는 챠량의 운전자는 차량 진입 방지봉(100)이 발광하는 경우 제2차선에서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보행신호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필러에 의해 사각지대가 있다고 하더라도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우회전하기 전 이미 보행신호인 것을 알 수 있어 우회전을 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확실한 사고 예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ther a traffic light is a walk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00 . The control unit 500 cause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100 to emit light when the traffic light is a walking signal. 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vehicle driving in the first lane can confirm that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in the second lane is a walking signal when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100 emits light. Accordingly, even if there is a blind spot due to the A-pilla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re are pedestrians in the crosswalk. In addition, more preferab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ore reliable accident by not turning right since it can be known that it is already a walking signal before turning right.

그리고, 제어부(500)는 신호등이 보행신호인 경우 제1센서(300)의 차량 감지 여부를 수신하여, 제1센서(300)가 차량을 감지하면 음성 모듈(400)을 통해 음성메세지를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receives whether the first sensor 300 detects a vehicle when the traffic light is a walking signal, and outputs a voice message through the voice module 400 when the first sensor 300 detects a vehicle. do.

구체적으로 제1센서(300)에 소정크기 이상의 압력이 감지된 후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차량의 타이어가 제1센서(300) 위를 지나간 것으로 인지하여 차량의 주행을 감지할 수 있다. 제1센서(300)는 제1차선과 커브길의 경계에 설치되거나, 커브길과 근접한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when the applied pressure is released after the first sensor 300 detects a pressu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t is recognized that the tire of the vehicle has passed over the first sensor 300 and the driving of the vehicle can be sen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nsor 300 be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lane and the curve, or installed close to the curve.

차량이 제1차선을 벗어나는 시점에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보행신호로 변경되는 경우, 차량 진입 방지봉(100)이 발광하더라도 차량이 횡단보도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is changed to a walking signal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leaves the first lan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ehicle enters the crosswalk even if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100 emits light.

이에 따라, 보행신호인 경우에 제1센서(300)가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음성 모듈(400)을 통해 음성메세지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차량인 진입할 수 있음을 경고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 walking signal, when the first sensor 300 detects vehicle driving, the controller 500 outputs a voice message through the voice module 400 to warn the pedestrian that a vehicle may enter. can do.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차량 진입 방지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의 점자 보도블럭 설명도이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of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braille sidewalk blocks of 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2000)은, 차량 진입 방지봉(100)과, 감지 레이더(200)와, 제1센서(300)와, 음성 모듈(400)과, 점자 보도블럭(600)과, 제2센서(7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점자 보도블럭(600)과 제2센서(700)를 제외한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2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entry prevention rod 100, a detection radar 200, a first sensor 300, a voice module 400, and braille It includes a sidewalk block 600, a second sensor 700 and a controller 500. Since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Braille sidewalk block 600 and the second sensor 7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2센서(700)는 제1차선에서의 차량의 주행여부를 센싱하는 구성이다. 제2센서(700)는 차량 진입 방지봉(1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 차량 진입 방지봉(100)에 장착된다.The second sensor 700 is a component that sens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first lane. The second sensors 700 are provided in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vehicle entry prevention rods 100 and are mounted on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rods 100, respectively.

제2센서(700)는 제1차선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센서(700)와 감지 레이더(200)는 동일한 원리로 구동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700 may be provided to irradiate a laser toward the first lane, and through th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may be detected. The second sensor 700 and the sensing radar 200 may be driven by the same principle.

만일 어느 하나의 제2센서(700)가 차량을 감지한 뒤 소정 시간 뒤에 감지를 하지 못하고, 다른 제2센서(700)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이 제1차선을 따라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one of the second sensors 700 fails to detect the vehicl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detecting the vehicle and the other second sensor 700 detects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driving along the first lane. can

즉, 제2센서(700)는 제1센서(300)를 보완하여, 제1센서(300)와는 별개로 제1차선에서의 차량의 주행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second sensor 700 supplements the first sensor 3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first lane separately from the first sensor 300 .

점자 보도블럭(600)은 기본적으로 시각 장애인을 위해 횡단보도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점자 보도블럭(600)은 공지의 구성과는 달리 방향표시부가 형성되며, 방향표시부는 화살표 등과 같은 소정의 기호를 나타내도록 마련된다.The braille sidewalk block 600 is basically a component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a crosswalk for the visually impaire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ille sidewalk block 600 has a direction display unit unlike a known configuration, and the direction display unit is provided to indicate a predetermined symbol such as an arrow.

방향 표시부(610)는 점자가 형성된 블럭 케이스에 장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시로, 블럭 케이스에는 소정의 기호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고, 이 홈부에 방향 표시부(61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direction indicator 610 may be formed by being mounted on a block case on which braille is formed. As an example,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ymbol is formed in the block case, and the direction indicator 6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can be fitted

방향 표시부(610)는 LED램프(611)와 LED램프(611)의 하면에 장착되는 진동모듈(61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방향 표시부(610)의 상부는 LED램프(611)로 마련되고, 이 LED램프(611)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LED램프(611) 하면에는 진동모듈(612)이 장착된다.The direction display unit 610 includes an LED lamp 611 and a vibration module 612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ED lamp 611 .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direction display unit 610 is provided with an LED lamp 611, and the LED lamp 611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vibration module 612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D lamp 611 .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즉 제1센서(300) 및/또는 제2센서(700)로부터 차량 감지여부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방향 표시부(61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LED램프(611)를 점등시키며 진동모듈(612)을 구동시킨다.When a vehicle is detected when a traffic light indicates a walking signal, that is, when whether or not a vehicle is detected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300 and/or the second sensor 700, the control unit 500 drives the direction display unit 610. let it Specifically, the LED lamp 611 is turned on and the vibration module 612 is driven.

진동모듈(612)의 구동에 따라 점자 보도블록 위의 시각 장애인이 차량이 횡단보도로 진입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LED램프(611)의 점등에 의해 스마트폰을 보며 서있는 사람들에게도 차량이 진입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612, a visually impaired person on a braille sidewalk block can recognize that a vehicle can enter a crosswalk, and by turning on the LED lamp 611, people standing while looking at their smartphones can also recognize the vehicle You can let them know you can en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차로에서 차량의 우회전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으로서, 우회전하는 차량의 운전자와, 횡단보도를 보행하려는 보행자에게 보행신호 및 횡단보도의 상황, 차량 진입상황 등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 vehicle turning right at an intersection, a pedestrian signal and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immediately recognizing the situation of a crosswalk and vehicle entry is provided.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due to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going to b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rang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ould be said to belong.

1000, 2000 :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
100 : 차량 진입 방지봉 110 : 발광램프
200 : 감지 레이더 300 : 제1센서
400 : 음성 모듈 500 : 제어부
600 : 점자 보도블럭 611 : LED램프
612 : 진동모듈 700 : 제2센서
1000, 2000: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100: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110: light emitting lamp
200: detection radar 300: first sensor
400: voice module 500: control unit
600: braille sidewalk block 611: LED lamp
612: vibration module 700: second sensor

Claims (3)

제1차선과, 상기 제1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이 우회전하여 주행하며 횡단보도가 표시된 제2차선에서의 사고를 예방하는 사고예방 시스템으로서,
상기 차량의 우회전 경로를 따라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차량 진입 방지봉;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기둥에 설치되며, 상기 횡단보도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레이더;
상기 제1차선에 설치되는 제1센서;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음성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상기 차량 진입 방지봉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감지 레이더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진입 방지봉이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상기 제1센서가 차량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모듈을 통해 음성메세지를 출력시키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
An accident prevention system that prevents accidents in a first lane and a second lane where a vehicle traveling in the first lane turns right and drives and a crosswalk is displayed,
A plurality of vehicle entry prevention rod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ight turn path of the vehicle;
a detection radar installed on a pole of a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and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crosswalk to detect an object;
a first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lane;
a voice module installed on the pillar;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to emit light when the traffic light indicates a walking signal,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radar, controls the vehicle entry prevention bar to emit light, and controls the first sensor to emit light when the traffic light indicates a walking signal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that outputs a voice message through the voice module when detecting a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량 진입 방지봉에는 각각 제2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차선에서의 차량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모듈을 통해 음성메세지를 출력시키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enso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 entry prevention rod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driving in the first lane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sensor, and outputs a voice message through the voice module when detecting vehicle driving when the traffic light indicates a walking signal.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의 후방에는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점자 보도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방향표시부는 LED램프와, 상기 LED램프의 하면에 장착되는 진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이 보행신호를 나타낼 때 상기 제1센서 또는 상기 제2센서가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LED램프를 점등시키며 진동모듈을 통해 상기 LED램프에 진동을 가하는 차량 사고예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t the rear of the crosswalk, a braille sidewalk block with a direction indicator is installed,
The direction display unit includes an LED lamp and a vibration modul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ED lamp,
A vehicle accident prevention system for turning on the LED lamp and applying vibration to the LED lamp through a vibration module when th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detects the driving of the vehicle when the traffic light indicates a walking signal.
KR1020210173498A 2021-12-07 2021-12-07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KR202300853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498A KR20230085391A (en) 2021-12-07 2021-12-07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498A KR20230085391A (en) 2021-12-07 2021-12-07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391A true KR20230085391A (en) 2023-06-14

Family

ID=8674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498A KR20230085391A (en) 2021-12-07 2021-12-07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39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770B1 (en) 1997-08-21 2000-05-01 구자홍 Auto adjustment circuit of voice range using encoder volume
KR101354131B1 (en) 2012-03-15 2014-01-24 박종국 Accident prevention indicating devic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KR102112920B1 (en) 2018-06-08 2020-05-19 김영제 Stop lin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770B1 (en) 1997-08-21 2000-05-01 구자홍 Auto adjustment circuit of voice range using encoder volume
KR101354131B1 (en) 2012-03-15 2014-01-24 박종국 Accident prevention indicating devic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KR102112920B1 (en) 2018-06-08 2020-05-19 김영제 Stop lin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762B1 (en) Pedestrian traffic signal lamp having a signal for warning entrance of turn to right
KR101810662B1 (en) Crosswalk safety walking system with a signal lamp
JP4389276B2 (en) Vehicle obstacle warning device
KR102194543B1 (en) A complex traffic light
US20080022596A1 (en) Door signaling system
US201300581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a light emission of at least one headlight of a vehicle
KR101674443B1 (en) Safety system of crosswalk for pedestrian protection
EP2789504A2 (en)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s
JPH0528400A (en) Encounter collision prevention display of vehicle
KR101977716B1 (en) Safety apparatus of vehicle and method using thereof
JP2010009607A (en) Obstacle alarm device for vehicle
JP4675395B2 (en) Vehicle alarm device
EP2136344A1 (en) Improved safety device for vehicle access areas
CN109712388A (en) The street crossing of a kind of non-motor vehicle or pedestrian are intended to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3890597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102144772B1 (en) Reversible lane operating system
US20180257552A1 (en) Vehicle comprising turn signal lights, and method for signaling a driving direction to following vehicles
KR20230085391A (en)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KR20230088996A (en) Right turn vehicle warning system
KR102351316B1 (en) Smart crosswalk system
JP2008262446A (en) Drive support unit
KR20230013436A (en) Smart laser traffic light
US10872530B2 (en) Display for giving visual warnings about cyclists when turning off a main road into a side road
JP2011081547A (en) Attention attracting device for vehicle
KR102472223B1 (en) Apparatus of safety crossing for crosswal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