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112A - 마그넷 홀더 - Google Patents

마그넷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112A
KR20230085112A KR1020227037327A KR20227037327A KR20230085112A KR 20230085112 A KR20230085112 A KR 20230085112A KR 1020227037327 A KR1020227037327 A KR 1020227037327A KR 20227037327 A KR20227037327 A KR 20227037327A KR 20230085112 A KR20230085112 A KR 20230085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agnet
separator
magnetic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마사 야마모토
마사루 야마키
Original Assignee
가네데꾸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데꾸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데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23Q3/154Stationary devices
    • B23Q3/1546Stationary devices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heet Holder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좁은 작업 개소라도 확실하게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이 가능한 마그넷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으로서, 자석(10), 자석(10)을 둘레 방향으로 소요 간격으로 배설 가능한 홀더(20), 홀더(20)를 회동 가능하게 협지하는 상면측 자성체판(30), 하면측 자성체판(40), 하면측 자성체판(40)의 홀더(20)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하측면의 중앙 위치로부터 외주연을 향하여 늘어나는 세퍼레이터(44)를 구비하고, 하측면에 정면으로 마주 대한 때, 자석(10)은 하측면의 외주연과 세퍼레이터(44)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 수용되고, 평판부(22A)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자석(10)의 자극을 다르게 하고, 홀더(20)는 세퍼레이터(44)에 의해 자석(10)의 평면 영역이 홀더(20)의 회동 방향으로 분할시킨 위치와 세퍼레이터(44) 사이의 위치에 자석(10)을 넣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100)이다.

Description

마그넷 홀더
본 발명은 마그넷 홀더에 관한 것이다.
철정반(鐵定盤) 또는 기계 테이블상에서, 치구(治具, 지그(jig)) 또는 측정 장치를 고정할 때에 있어서의 가부대(假付臺)로서 마그넷 홀더가 알맞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그넷 홀더로서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마그넷 응용 기기의 종합 메이커, 가네테크 박형 영자(薄型永磁) 홀더대 [MB-L]" [online], 가네테크주식회사, [2020년[레이와 2년] 9월 18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kanetec.co.jp/products/mb-l.html> "마그넷 응용 기기의 종합 메이커, 가네테크 박형 영자 홀더대 [MB-L-C]" [online], 가네테크 주식회사, [2020년[레이와 2년] 9월 18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kanetec.co.jp/products/mb-l-C.html>
비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마그넷 홀더는 본체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영구 자석을 수평면 내에서 회동시킴에 의해, 본체 저면에 배설된 세퍼레이터에 대한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본체 저면에서의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을 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2에서의 마그넷 홀더에서, 본체 저면에 배설된 세퍼레이터는 1개뿐이기 때문에,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 조작은 조작 레버를 90도 회동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좁은 작업 개소에서는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 조작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즉,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을 할 때에 있어서의 자석이 배설되어 있는 홀더의 회동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좁은 작업 개소라도 확실하게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이 가능한 마그넷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자가 열심히 연구한 결과, 이하의 구성에 상도했다. 즉, 본 발명은, 자석과,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을 원주형상 배열로 소요 간격을 띄워 배설 가능하게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를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홀더를 두께 방향으로 협지(挾持)하는 제1 자성체판 및 제2 자성체판과, 상기 제2 자성체판의 상기 홀더의 협지면과 반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반대측면의 외주연(外周緣)을 향하여 연설(延設)된 4개 이상의 짝수개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반대측면에 정면으로 마주 대한 때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반대측면의 외주연과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서 자극이 동일하게 되도록 수용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홀더의 회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자석의 상기 자극이 서로 다른 배열을 이루고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자석의 평면 영역이 상기 홀더의 회동 방향으로 분할된 상태의 위치와 상기 세퍼레이터의 사이의 위치에 상기 자석을 넣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이다.
이에 의해, 마그넷 홀더의 흡착면(제2 자성체판의 홀더 협지면과 반대측 면)에서의 자극의 수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을 행할 때에 있어서의 회동 각도를 대폭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좁은 작업 개소라도 확실하게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자석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부채형상(扇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홀더에 수용하는 자석을 가급적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착면의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와 상기 제1 자성체판 및 상기 제2 자성체판이 모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와 상기 제1 자성체판 및 상기 제2 자성체판이 모두 정N각형(N은 4 이상의 짝수)이고, 상기 세퍼레이터가 상기 정N각형의 각 정점(頂点)을 향하여 연설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에 의해, 원형상의 마그넷 홀더나 정N각형상(N은 4 이상의 짝수)의 마그넷 홀더로 할 수가 있어, 용이하게 다극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성체판에는, 상기 반대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돌출 자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자석의 자기를 흡착부에 집약할 수 있어, 흡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부의 흡착력을 오프로 한 때에, 흡착부와 피흡착물과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돌출 자극은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구획된 외주연 위치에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 자극은 상기 세퍼레이터의 배설 간격 위치의 각각에서,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 부분부터 상기 외주연을 향한 지름 방향 소요 범위에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 자극은 상기 세퍼레이터 및 상기 외주연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따라 평행하게 배설된 2개의 직선부와,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측 단부에서 상기 직선부의 내측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에 의해, 피흡착물의 형상에 응한 자극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돌출 자극과 자석의 배설 위치를 근접시킴에 의해, 자기 누설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돌출 자극에서의 흡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구성을 채용함에 의해, 흡착면인 제2 자성체판의 홀더 협지면과 반대측면에서의 자극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흡착면에서의 흡착력의 온 오프 조작을 할 때에 있어서의 자석이 배설되어 있는 홀더의 회동 각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좁은 작업 개소라도 확실하게 흡착면의 온 오프 전환이 가능해진다.
도 1A부터 도 1C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하측 사시도, 상측 사시도 및 저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일부 투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마그넷 홀더의 돌출부를 오프 방향으로 전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투시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가 돌출 자극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이 온일 때의 자석의 배열과, 돌출 자극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이 오프일 때의 자석의 배열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일부 투시 저면도.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일부 투시 저면도.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일부 투시 저면도.
도 8A 및 도 8B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일부 투시 저면도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일부 투시 저면도.
도 9A 및 도 9B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일부 투시 저면도 및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일부 투시 저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의 일부 투시 평면도와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마그넷 홀더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을 행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A로부터 도 1C,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자석(10), 자석(10)을 지지하는 홀더(20), 자석(10)을 지지하는 홀더(20)를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두께 방향으로 협지하는 제1 자성체판으로서의 상면측 자성체판(30) 및 제2 자성체판으로서의 하면측 자성체판(4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석(10)은 평면에서 본 형상이 부채형(扇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홀더(20)의 일부인 내(內)홀더(22)의 평판부(22A)의 평면 영역 내에서 평판부(22A)의 둘레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띄워 4개소에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자석(10)은 평판부(22A)의 상하면 방향으로 자극이 형성된 평면에서 본 부채형상의 네오듐 자석을 이용하고 있는데, 자석(10)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평판부(22A)의 둘레 방향(홀더(20)의 회동 방향)에서 이웃하는 자석(10)은 평판부(22A)의 상면에 나타나는 자극이 서로 다르도록 원주형상 배열로 소요 간격을 띄워 배설되어 있다.
자석(10)이 수용되는 홀더(20)는 비자성체에 의해 형성된 내홀더(22) 및 외홀더(24)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홀더(20)를 SUS304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데, 비자성체 재료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내홀더(22)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을 이루는 평판부(22A)와 평판부(22A)의 외주연으로부터 평판부(22A)의 지름 바깥 방향으로 돌설시킨 돌출부(22B)를 갖고 있다. 평판부(22A)에는 자석(10)을 수용하는 수용부(22C)가 평판부(22A)의 둘레 방향에 따라 복수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수용부(22C)의 평면 형상을 자석(10)의 평면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고, 자석(10)을 수용부(22C)에 감합(嵌合)시킴에 의해 수용하고 있는데,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자석(10)을 낙하시키지 않고 지지 가능하면 구체적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내홀더(22)를 수용하는 외홀더(24)에는 내홀더(22)의 평판부(22A)를 수용하는 평판부 수용부(24A)가 형성된 트레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 수용부(24A)의 내주면에는 평판부(22A)의 외주연에 당접하는 위치 결정용 돌기(24B)가 복수 개소에 배설되고, 외홀더(24)의 측면 중의 일면에는, 내홀더(22)의 돌출부(22B)를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홀더(24)에 수용된 내홀더(22)는, 개구부(24C)로부터 외홀더(24)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2B)를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상태와 같이 수평면 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위치 결정용 돌기(24B)에 의해 평판부(22A)의 외주연 위치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회동시킬 수 있다.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자석(10)을 수용한 홀더(20)는, 홀더(20)의 두께 방향(상하면)으로부터 상면측 자성체판(30) 및 하면측 자성체판(40)에 의해 협지(挾持)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면측 자성체판(30) 및 하면측 자성체판(40)으로서 연철(軟鐵)을 이용하고 있는데, 연철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자성체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면측 자성체판(30)과 하면측 자성체판(40)은 홀더(20)의 평면 형상보다도 약간 큰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홀더(20)의 돌출부(22B)의 일부가 상면측 자성체판(30) 및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면측 자성체판(30)의 상면측에는, 외주연 위치에 따라 형성된 조립용 나사 구멍(32)과 상면 중앙 부분에 형성된 고정용 나사 구멍(34)을 갖고 있다. 조립용 나사 구멍(32)은 상면측 자성체판(30)과 홀더(20) 및 하면측 자성체판(40)을 일체로 조립하기 위하는 것이고, 고정용 나사 구멍(34)은 상면측 자성체판(30)의 상면에 재치한 물품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용 나사 구멍(34)을 1개소에만 배설하고 있는데, 상면측 자성체판(30)의 상면에 고정용 나사 구멍(34)을 복수 배설할 수도 있다.
하면측 자성체판(40)의 홀더(20)의 협지면과는 반대측 면인 저면에는, 하면측 자성체판(40)을 홀더(20)와 상면측 자성체판(30)과 일체로 조립하기 위한 조립용 나사 구멍(42)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에는, 중심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외주연을 향하여 방사형상으로 연설된 4개의 세퍼레이터(44)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세퍼레이터(44)는 각각의 기점을 공통시킨 상태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세퍼레이터(44)는 하면측 자성체판(40)에 형성된 2단 바닥(2段底)을 갖는 홈형체(溝體)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얕은 바닥(淺底)으로 폭이 넓은 제1 홈형체(44A)와 제1 홈형체(44A)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서 제1 홈형체(44A)보다도 깊은 바닥(深底)으로 폭이 좁은 제2 홈형체(44B)에 의해 세퍼레이터(4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퍼레이터(44)를 2단 바닥 구조의 홈형체로 함으로써, 세퍼레이터(44)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외주연은 도 1C의 저면도의 해칭 부분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부터 돌출하는 돌출 자극(46)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퍼레이터(44)에 의해 외주연이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 자극(46)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각각의 구석부(隅角部) 위치에서 등각(等脚)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 자극(46)은 자력에 의한 흡착부이고, 조작 레버인 돌출부(22B)의 회동 조작에 의해 흡착력의 온 오프가 전환된다.
도 4A는 돌출 자극(46)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이 온일 때의 자석(10)의 배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4B는 돌출 자극(46)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이 오프일 때의 자석(10)의 배열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이 온인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석(10)은 세퍼레이터(44)에 의해 구획된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평면 영역 내에 담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의 자력선은 2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자극(46)의 돌출 방향에 따라 자력선이 방출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돌출 자극(46)에 자성체를 근접하면 자성체를 충분한 자력선이 통과하여, 자성체가 돌출 자극(46)에 흡착되게 된다.
이에 대해,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이 오프인 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석(10)의 평면 위치는 세퍼레이터(44)의 평면 위치를 타고넘은(세퍼레이터(44)에 의해 자석(10)의 평면 영역이 내홀더(22)(홀더(20))의 회동 방향으로 분할된) 배열로 되어 있다. 이때의 자력선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44)로 구획된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평면 영역 내에서 이웃하는 자석(10)끼리 자력이 쇼트한 상태가 되어, 돌출 자극(46)의 돌출 방향으로는 자력선이 방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돌출 자극(46)에 자성체를 근접해도 자성체에는 자력선이 거의 통과하지 않아, 자성체가 돌출 자극(46)에 흡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종래 기술에서의 마그넷 홀더에 비교하여, 흡착부의 온 오프 동작을 전환하는 조작 레버인 돌출부(22B)의 회동 각도를 반분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의 마그넷 홀더에서는 흡착부의 온 오프 전환이 곤란했던 좁은 장소라도 확실하게 흡착부의 온 오프 조작을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일부 투시 저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부호를 사용함에 의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저면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구성도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평면에서 본 형상이 정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구성과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하면측 자성체판(40)에는, 중앙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정육각형의 각 정점을 향하여 방사형상으로 6개의 세퍼레이터(44)가 연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돌출 자극(46)은 미리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외주연을 돌출시켜 두고, 세퍼레이터(44)의 형성시에 각 정점 위치에서 돌출시킨 외주연을 구분함에 의해 형성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세퍼레이터(44)와 돌출 자극(46)에 의해 6개의 삼각형상의 평면 영역이 형성되고, 이 평면 영역에 부채형상으로 형성된 자석(10)을 넣을 수 있도록 내홀더(22)의 평판부(22A)에는 6개의 수용부(22C)가 배설되어 있다.
도 5는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을 온으로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돌출부(22B)를 도 5의 OFF의 위치(파선)로 회동시키면, 평판부(22A)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자석(10)의 평면 위치가 세퍼레이터(44)의 평면 위치를 타고넘은 배열이 되어,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이 오프로 전환된다. 본 실시 형태의 마그넷 홀더(100)의 자극수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자극수보다도 많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돌출 자극(46)의 온 오프 전환 조작 각도보다도 작은 조작 각도로 할 수 있는 점에서 형편상 좋다.
(제3 실시 형태)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일부 투시 저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부호를 사용함에 의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저면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구성도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평면에서 본 형상이 정팔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구성과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에는, 중앙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정팔각형의 각 정점을 향하여 방사형상으로 8개의 세퍼레이터(44)가 연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돌출 자극(46)은 세퍼레이터(44)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외주연으로 구획된 평면 영역에서 세퍼레이터(44)의 배설 간격 위치의 각각에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돌출 자극(46)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중앙 위치에서 지름 방향 바깥쪽측의 소정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외주연까지의 지름 방향 소요 범위에 걸쳐 방사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도 6은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을 온으로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돌출부(22B)를 도 6의 OFF의 위치(파선)로 회동시키면, 평판부(22A)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자석(10) 평면 위치가 세퍼레이터(44)의 평면 위치를 타고넘은 배열이 되어,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이 오프로 전환된다. 본 실시 형태의 마그넷 홀더(100)의 자극수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자극수보다도 더욱 많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돌출 자극(46)의 온 오프 전환 조작 각도보다도 작은 조작 각도로 할 수 있는 점에서 형편상 좋다.
(제4 실시 형태)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일부 투시 저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이용한 부호를 이용함에 의해, 여기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저면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구성도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평면에서 본 형상이 정팔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3 실시 형태와 공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그넷 홀더(100)의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에는, 중앙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정팔각형의 각 정점을 향하여 방사형상으로 8개의 세퍼레이터(44)가 연설되어 있는 점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돌출 자극(46)은 세퍼레이터(44)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외주연으로 구획된 평면 영역에서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44)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세퍼레이터(44)와 평행하게 외주연까지 방사형상으로 배설된 2개의 직선부(46A)와, 2개의 직선부(46A)의 중앙측 단부에서 2개의 직선부(46A)의 내측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46B)에 의해 돌출 자극(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 자극(46)을 광범위하게 형성함으로써, 흡착 가능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점에서 형편상 좋다.
도 7은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을 온으로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돌출부(22B)를 도 7의 OFF의 위치(파선)로 회동시키면, 평판부(22A)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자석(10)의 평면 위치가 세퍼레이터(44)의 평면 위치를 타고넘은 배열이 되어,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이 오프로 전환된다. 본 실시 형태의 마그넷 홀더(100)의 자극수는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8극이기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와 같은 조작 각도로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마그넷 홀더(100)에 관해 복수의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설명을 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마그넷 홀더(100)는 이상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마그넷 홀더(100)의 평면에서 본 형상이 정사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인 형태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마그넷 홀더(100)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정십각형, 정십이각형 등의 정N각형(N은 4 이상의 짝수)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마그넷 홀더(100)는 평면에서 볼 때 정N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평면 중앙 위치에서 각 정점을 향하여 N개(4개 이상의 짝수개)의 세퍼레이터(44)가 연설되고, 마그넷 홀더(100)의 평면 중앙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홀더(20)의 둘레 방향으로 N개의 자석(10)이 균등 간격으로 배설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100)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원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A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례이고,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례이고, 도 9A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례이고, 도 9B는 제4 실시 형태의 변형례이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 홀더(100)의 평면에서 본 형상을 원형상으로 한 경우, 수용부(22C)는 평판부(22A)의 둘레 방향으로 N등분(N은 4 이상의 짝수)으로 구획하여 배설하면 좋다. 마그넷 홀더(100)는 돌출 자극(46)의 수(수용부(22C)의 수)가 증가하면, 돌출 자극(46)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의 온 오프 전환을 할 때에 필요한 돌출부(22B)의 회동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는데,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은 저하되기 때문에, 요구되는 흡착력에 응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본 형상이 부채형상으로 형성된 자석(10)을 이용하고 있는데, 자석(10)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평면에서 본 부채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자석(10)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홀더(20)의 협지면과는 반대측면인 저면에 형성된 세퍼레이터(44)와,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외주연으로 구획된 영역 내에 수용할 수 있으면 좋으며, 평면에서 본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외홀더(24)에는 위치 결정용 돌기(24B)가 형성되어 있는데, 위치 결정용 돌기(24B)는 배설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평판부 수용부(24A)의 평면 형상을 평판부(22A)의 평면 형상과 같고, 또는, 약간의 크게 형성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요컨대, 평판부(22A)의 외주연 위치를 거의 유지시킨 상태에서 수평면 내를 회동시킬 수 있으면 좋은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자석(10)을 마그넷 홀더(100)의 평면 중앙 위치를 회전의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홀더(20)는 내홀더(22)와 외홀더(24)를 갖는 형태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면측 자성체판(30) 또는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적어도 일방의 내홀더(22)와의 대향면에 내홀더(22)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평판부 수용부(24A)에 상당하는 오목부(부도시)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내홀더(22)를 수용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오목부에는, 내홀더(22)의 평판부(22A)의 외주연을 위치 결정한 상태로 회동시키는 위치 결정용 돌기(24B)에 상당하는 부분이나 내홀더(22)의 돌출부(22B)를 측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부(24C)에 상당하는 부분도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의 홀더(20)는 평판부(22A)와 평판부(22A)의 지름 바깥 방향으로 돌설된 돌출부(22B)를 가지고, 돌출부(22B)를 개구부(24C)의 범위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돌출 자극(46)의 흡착력의 온 오프 전환을 행하고 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홀더(22)의 고정용 나사 구멍(34)의 축선상 위치에 고정용 나사 구멍(34)과 동일 지름 치수의 나사 구멍(22D)을 형성하고, 삽입측 선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회동봉(50)을 고정용 나사 구멍(34)과 나사 구멍(22D)에 나입(螺入)시켜 내홀더(22)에 회동봉(50)을 나착(螺着)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형태의 마그넷 홀더(100)는, 회동봉(50)을 모터 등의 구동원이나 수동에 의해 회동시킴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홀더(24)의 내부에서 내홀더(22)를 적절히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마그넷 홀더(100)의 형태를 채용한 경우에는, 내홀더(22)의 돌출부(22B)와, 외홀더(24)의 개구부(24C)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마그넷 홀더(100)의 형태를 채용함에 의해, 마그넷 홀더(100)의 평면 사이즈를 다른 실시 형태에 비교해 더욱 스페이스 절약화할 수 있다. 즉, 이상에 설명한 다른 실시 형태라도 사용이 곤란한 작업 개소라도 돌출 자극(46)의 온 오프 전환을 행할 수가 있는 점에서 형편상 좋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2단 바닥을 갖는 홈형체에 의해 세퍼레이터(44)를 형성한 형태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데, 세퍼레이터(44)의 형태는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세퍼레이터(44)는 단순한 홈형체에 의해 형성한 형태나 하면측 자성체판(40)의 저면에 비자성체를 매설한 형태를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 설명한 변형례 외에,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변형례 등을 적절히 조합시킨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8)

  1. 자석과,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을 원주형상 배열로 소요 간격을 띄워 배설 가능하게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를 수평면 내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홀더를 두께 방향으로 협지하는 제1 자성체판 및 제2 자성체판과,
    상기 제2 자성체판의 상기 홀더의 협지면과 반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반대측면의 외주연을 향하여 연설된 4개 이상의 짝수개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반대측면에 정면으로 마주 대한 때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반대측면의 외주연과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서 자극이 동일하게 되도록 수용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홀더의 회동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자석의 상기 자극이 서로 다른 배열을 이루고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자석의 평면 영역이 상기 홀더의 회동 방향으로 분할된 상태의 위치와 상기 세퍼레이터의 사이의 위치에 상기 자석을 넣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부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제1 자성체판 및 상기 제2 자성체판이 모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제1 자성체판 및 상기 제2 자성체판이 모두 정N각형(N은 4 이상의 짝수)이고, 상기 세퍼레이터가 상기 정N각형의 각 정점을 향하여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체판에는, 상기 반대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킨 돌출 자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자극은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구획된 외주연 위치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자극은 상기 세퍼레이터의 배설 간격 위치의 각각에서,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 부분부터 상기 외주연을 향한 지름 방향 소요 범위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자극은 상기 세퍼레이터 및 상기 외주연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따라 평행하게 배설된 2개의 직선부와,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측 단부에서 상기 직선부의 내측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KR1020227037327A 2020-10-14 2021-08-23 마그넷 홀더 KR202300851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3436A JP7420381B2 (ja) 2020-10-14 2020-10-14 マグネットホルダ
JPJP-P-2020-173436 2020-10-14
PCT/JP2021/030775 WO2022080009A1 (ja) 2020-10-14 2021-08-23 マグネットホル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112A true KR20230085112A (ko) 2023-06-13

Family

ID=8120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327A KR20230085112A (ko) 2020-10-14 2021-08-23 마그넷 홀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20381B2 (ko)
KR (1) KR20230085112A (ko)
CN (1) CN116114037A (ko)
TW (1) TW202228899A (ko)
WO (1) WO2022080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8546B2 (ja) * 2018-07-12 2022-06-21 株式会社コスメック 磁気クラ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0812U (ko) * 1986-11-14 1988-05-27
JP3667673B2 (ja) 2001-09-28 2005-07-06 東邦瓦斯株式会社 管路用台座
US7161451B2 (en) 2005-04-14 2007-0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odular permanent magnet chuck
CN200979559Y (zh) 2006-11-10 2007-11-21 宜特电子股份有限公司 探针台的磁性固定底座结构
CN103277648B (zh) 2013-04-25 2015-03-25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磁性表座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마그넷 응용 기기의 종합 메이커, 가네테크 박형 영자 홀더대 [MB-L-C]" [online], 가네테크 주식회사, [2020년[레이와 2년] 9월 18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kanetec.co.jp/products/mb-l-C.html>
"마그넷 응용 기기의 종합 메이커, 가네테크 박형 영자(薄型永磁) 홀더대 [MB-L]" [online], 가네테크주식회사, [2020년[레이와 2년] 9월 18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kanetec.co.jp/products/mb-l.htm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14037A (zh) 2023-05-12
WO2022080009A1 (ja) 2022-04-21
JP7420381B2 (ja) 2024-01-23
TW202228899A (zh) 2022-08-01
JP2022064674A (ja)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134B1 (ko) 영구자석 워크홀딩 장치
KR970700952A (ko) 영구 자석 회전자를 구비한 전동기(motor including permanent magnet-rotor)
KR20230085112A (ko) 마그넷 홀더
JP2008199726A (ja) リニアモ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工具移動装置
KR20180068835A (ko) 스테이터 코어, 스텝 모터 및 직동 액추에이터
JP2018051637A (ja) 仮締め工具
WO2018070331A1 (ja) クランプシステム
JP5488131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4646758B2 (ja) 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WO2016174895A1 (ja) モータ
JP3217116U (ja) 磁気吸着装置
JP2010282222A (ja) レンズ駆動装置
CN110971053A (zh) 电动机
JP2009052619A (ja) 負荷感応型切換装置
JP2011177797A (ja) 円板マグネットチャックとその支持装置
JP6670628B2 (ja) 磁気吸着装置
JP2010116187A (ja) 蓋付き容器
US7071802B2 (en) Magnetic device
JP2586924B2 (ja) 磁気固定装置
JP2020058223A (ja) モータ
KR20180017512A (ko) 학습 교보재 및 사용 방법
KR20140032317A (ko) 자기 흡착 장치
KR101974545B1 (ko)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CN1829047A (zh) 马达的转子平衡构造
JP2008029190A (ja) 磁気駆動における磁石の配置方法及び磁気駆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