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825A -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825A
KR20230083825A KR1020210172180A KR20210172180A KR20230083825A KR 20230083825 A KR20230083825 A KR 20230083825A KR 1020210172180 A KR1020210172180 A KR 1020210172180A KR 20210172180 A KR20210172180 A KR 20210172180A KR 20230083825 A KR20230083825 A KR 20230083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haft
support frame
couple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590B1 (ko
Inventor
강서린
윤선웅
최윤창
Original Assignee
(유)블루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블루에스피 filed Critical (유)블루에스피
Priority to KR102021017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5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3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9/00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 B62D59/04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driven from propulsion unit on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1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3/1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되도록 차량에 연결되는 프레임에 대해 현가되는 휠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는 지지프레임에 대해 개별적으로 현가되는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에 각각 연결된 휠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마련되어 있어, 견인하는 차량의 견인력에 보조하여 휠을 자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험로 주행 및 탈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Tow Trailer for rough road driving}
본 발명은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되도록 차량에 연결되는 프레임에 대해 현가되는 휠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견인 트레일러는 차량의 후미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형태로서 용도에 따라, 이동주택용 트레일러, 카라반, 캠핑트레일러, 텐트 트레일러, 소방용 트레일러 등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이러한 견인트레일러는 일반적으로 내부공간을 갖는 캐빈과, 캐빈을 지지하며 양측에 휠이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선단부를 차량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부와, 지지프레임의 선단부에 상하로 위치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텅잭으로 구성된다.
견인트레일러는 견인부가 차량 후미에 연결되어 차량 주행 방향으로 견인될 수 있으며, 견인부를 차량에서 분리한 상태에서는 텅잭을 조절하여 지지프레임의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전후방향 경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견인트레일러를 차량에 연결?翩纘쨌? 지면 굴곡이 심한 험로를 이동할 때, 견인트레일러의 휠이 움푹 패인곳이나 지면이 부드러운 곳에 주행 및 견인이 어려운 상태가 종종 발생된다. 그런데, 견인트레일러는 자체 구동력이 없어 견인하는 차량의 주행성능에 의존하여 험로를 탈출하는 것이 쉽지 않다.
한편, 트레일러용 견인장치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615882와 같이 차량의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레저 활동용, 화물 운송용 등의 각종 트레일러를 차량에 연결 후 견인을 필요에 따라 수행하도록 하면서, 견인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견고한 고정성 및 차체 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트레일러용 견인장치에 대한 주,정차시에는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과 차량의 차체 프레임을 견인장치를 통해 연결하여 차량의 조작에 따라 트레일러에 대한 주,정차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견인장치를 통해 차량의 차체프레임과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을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연결작업에 따른 트레일러의 주,정차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트레일러의 주,정차가 이루어져야하므로 정확한 트레일러의 주,정차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8273호 : 트레일러 견인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후미에 연결된 프레임에 대해 독립적으로 현가되는 휠을 개별적으로 회전구동 및 제동시킬 수 있는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는 차량과 연결을 위한 견인부가 길이방향 전단측에 마련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중을 개별 완충하며, 각각 연결된 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휠 구동부와 회전되는 상기 휠의 제동을 위한 휠 제동부가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을 축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회동암과,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암의 타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충격완충스프링과,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암의 타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충격완충스프링의 신축작용을 억제하는 댐퍼와, 상기 회동암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사이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측에 상기 휠이 결합된 회전축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휠과 결합되며 상기 휠 제동부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거나 제한해제되는 종동회전축과, 상기 휠 구동부와 연결되되 상기 종동회전축과 동심상의 위치에서 상기 종동회전축의 단부와 기어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게 진퇴가능한 구동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회전축이 상기 종동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게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게 상기 구동회전축을 진퇴이동시키는 클러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 구동부는 상기 구동회전축이 관통되는 감속기와, 구동축이 상기 감속기 내로 삽입되어 상기 구동회전축과 기어연결되게 상기 감속기와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회전축은 상기 감속기 내에 수용되는 외주면측에 돌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구속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구동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구속돌기보다 길게 길이연장되며, 내측이 상기 회전구속돌기가 형성된 상기 구동회전축의 횡단면 형상으로 관통되는 진퇴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회동암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감속기와 상기 휠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감속기 측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회전축과 상기 종동회전축이 연결되게 상기 지지프레임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챔버와, 상기 감속기에서 돌출되어 상기 챔버 내로 연장된 상기 구동회전축이 중심측으로 관통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회전축을 향하는 단부측에서 상기 감속기 방향으로 원형상으로 인입되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키홈이 형성되게 인입된 치합홈이 형성된 보스부재와, 상기 챔버 내로 연장된 상기 종동회전축의 단부 측이 중심으로 관통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키홈에 치합되는 다수의 이가 형성된 세레이션 부재와, 일측이 상기 챔버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턱부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플랜지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보스부재가 상기 세레이션부재에 이격되게 길이연장된 탄성부재와, 상기 챔버의 측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통되게 관통된 레버관통구 측에 상기 구동회전축 진퇴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챔버의 외측으로 길이연장되며,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보스부재와 상기 구동회전축이 상기 휠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길이 축소되면서 상기 보스부재와 상기 세레이션부재가 치합되게 상기 보스부재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레버와, 상기 챔버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길이신축에 따라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는 레버조작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 제동부는 상기 휠과 결합되며 상기 종동회전축이 관통결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세레이션부재와 상기 휠 사이의 상기 종동회전축이 관통되되, 일측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및 상기 휠과 결합되어 상기 종동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고, 타측은 상기 챔버와 결합되어 회전제한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챔버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해제하는 캘리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는 지지프레임에 대해 개별적으로 현가되는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에 각각 연결된 휠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마련되어 있어, 견인하는 차량의 견인력에 보조하여 휠을 자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험로 주행 및 탈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에 대한 일부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견인트레일러에 대한 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에 대한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반대측에서 바라본 도 1의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을 후방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1)는 차량(미도시)과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과,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30,30')과, 조작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0)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카라반이나 캐빈, 또는 소방용도의 물탱크 또는 컨테이너 등의 상부구조물(미도시)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차량 후미측과 연결되는 견인부(11)가 전단측에 연결되는 메인바디부(20)와, 전후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바디부(21)의 상면측에 지지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구조물결합부(29)를 구비한다.
메인바디부(20)는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길이연장된 한 쌍의 제1연장바(21)와, 차량을 향하는 한 쌍의 제1연장바(21)의 일단부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되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게 연장되어 견인부(11)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연장바(22)와, 한 쌍의 제1연장바(21)의 각 후단부를 연결하는 제3연장바(23)와, 상호 이격된 제1연장바(21)들을 연결하거나 상호 이격된 제2연장바(22)들을 연결하며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제1연결바(24)와, 상호 이격된 제1연장바(21)들을 연결하거나 상호 이격된 제2연장바(22)들을 연결하며 제1연결바(24)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연결바(2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0)은 메인본체부(2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메인본체부(21)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나란한 복수의 회동지지편(26a)과, 회동지지편(26a)들의 상단을 연결하며 제1연장바(21)의 하부와 결합되는 프레임결합편(26b)과, 복수의 회동지지편(26a)들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지지바(26c)로 된 회동지지브라켓(26)과; 회동지지브라켓(26)에 대해 후방측 위치에서 제1연장바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탄성지지브라켓(27)과, 탄성지지브라켓(27)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연장바(21)의 측부에서 돌출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댐퍼지지브라켓(28)을 구비한다.
견인부(11)는 한 쌍의 제2연장바(22)의 전단측에 고정장착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측에 차량과 연결되는 커플러(13)와, 커플러(13)의 후단측에 상하로 길이연장되어 지면에 지지가능한 텅잭(15)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30,30')은 지지프레임(10)의 하중을 개별 완충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지지프레임(10)의 폭 방향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된다.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30,30')은 회동지지브라켓(27)에 지지프레임(10)의 폭 방향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지지프레임(10)의 후단측으로 연장되어 지지프레임(10)의 하방에서 상하로 회동가능한 회동암(31)과, 상하로 연장되어 탄성지지브라켓(28)과 회동암(31)의 타측을 연결하는 충격완충스프링(51)과, 상하로 연장되어 회동암(31)의 타측과 댐퍼지지브라켓(29)을 연결하여 충격완충스프링(51)의 신축작용을 억제하는 댐퍼(61)와, 댐퍼(61)의 전방측에서 회동암(31)의 타측과 댐퍼지지브라켓(29)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되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탄성링크(68)과, 회동암(31)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사이의 상부에서 지지프레임(10)의 폭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측에 휠(5)이 결합된 회전축(71)과, 각각 연결된 휠(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휠 구동부(91)와, 회전되는 상기 휠의 제동을 위한 휠 제동부(111)와, 휠에 회전축(71)의 회전력이 전달되거나 전달해제되게 제어하는 클러치부(151) 를 각각 구비한다.
먼저, 회동암(31)은 회동지지바(27c)가 관통하며 회동지지바(27c)에 대해 회전가능한 회동바(32)와, 회동바(32)에서 회동지지바(26c)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0)에 인접하거나 후방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메인회동바디(34)와, 메인회동바디(34)의 상면에 대해 돌출되며 메인회동바디(34)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전단측이 회동바(32)의 외주면을 일측 부분 감싸며 메인회동바디(34)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 내지 제6보강상부리브(35,36,37,38,39,40)와, 메인회동바디(34)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며 메인회동바디(34)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전단측이 회동바(32)의 외주면 타측부분을 감싸며 메인회동바디(34)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보강하부리브(41,42,43,44)를 구비한다.
제1연장바(21)에 대해 가장 인접한 제1보강상부리브(35)와 제1연장바(21)에 대해 가장 멀리 이격되는 제6보강상부리브(40)는 제2 내지 제5보강상부리브(36,37,38,39)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6보강상부리브(40)에 인접한 제4 및 제5보강상부리브(38,39)는 제2 및 제3보강상부리브(36,37) 보다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2 및 제3보강상부리브(36,37) 보다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된 제4 및 제5보강상부리브(38,39)의 후단측은 전방측으로 연장된 부분보다 메인회동바디(34)의 상면에 대해 길게 돌출 형성된다.
회동암(31)은 제4 및 제5보강상부리브(38,39)는의 각 후단측에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관통되며 제4 및 제5보강상부리브(38,39)는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댐퍼(61)와 탄성링크(68)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힌지축(46,47)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동암(31)은 제3보강상부리브(37)와 제4보강상부리브(38)에 위치되며 메인회동바디(34)의 상면에 나란하게 장착되어 감속기(92)를 지지하는 지지판(48)과, 제1보강상부리브(35)와 제2보강상부리브(36) 사이에서 메인회동바디(34)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지지프레임(11)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감속기(92)의 측부와 클러치부(150)가 결합되며 회전축(71)이 관통되게 중심측이 지지프레임(11)의 폭 방향으로 관통된 챔버마운팅(48)을 구비한다.
충격완충스프링(51)은 댐퍼(61)와 탄성링크(68)가 장착된 제4 및 제5보강상부리브(38,39)의 후단측과 지지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충격완충스프링(51)의 하단을 지지하는 메인회동바디(43)의 상면에는 충격완충스프링(51)이 둘레에 위치되게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고무나 우레탄소재로 형성된 충격완충부재(53)가 장착된다.
회전축(71)은 휠(5)과 결합되며 휠 제동부(11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거나 제한해제되는 종동회전축(72)과, 휠 구동부(91)와 연결되되 종동회전축(72)과 동심상의 위치에서 종동회전축(72)의 단부와 기어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게 지지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진퇴가능한 구동회전축(76)을 구비한다.
구동회전축(76)은 감속기(92)를 관통하는 감속기 관통부(78)와, 감속기(92)에 대해 휠(5) 방향으로 돌출된 감속기 관통부(78)의 단부에서 감속기 관통부(78)보다 작은 직경으로 휠(5) 방향으로 연장된 진퇴삽입부(80)를 포함하는 축 본체부(77)와; 감속기(92) 내에 수용된 감속기관통부(78)의 외주면에 인입형성된 구속홈(79)에 장착되어 감속기관통부(78)에 대해 돌출되며 감속기관통부(7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구속돌기(81);를 구비한다.
회전구속돌기(81)는 지지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감속기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진퇴삽입부(80)는 후술되는 클러치부(151)의 보스부재(162)에 형성된 치합홈(167)에 대해 돌출된다.
종동회전축(72)은 휠(5)과 휠 제동부(111)의 브레이크 디스크(112)의 중심에 관통결합되고 클러치부(151)의 챔버(152) 내로 연장된다.
종동회전축(72)은 감속기(92)를 향하는 길이방향 일단측으로 구동회전축(76)의 진퇴삽입부가 삽입되어 진퇴가능하게, 감속기(92) 방향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진퇴가이드홈(73)이 형성된다.
한편, 휠 구동부(91)는 구동회전축(76)이 지지프레임(10)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는 감속기(92)와, 구동회전축(76)과 교차되게 구동축(96)이 감속기(92) 내로 삽입되어 구동회전축(76)과 기어연결되게 감속기(92)와 결합되는 구동모터(95)를 구비한다.
감속기(92)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구동모터(95)의 구동축(96)과 구동회전축(76)을 기어연결하는 다수의 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감속기(92)는 구동회전축(76)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구속돌기(81)보다 길게 길이연장되며, 내측이 회전구속돌기(81)가 형성된 구동회전축(76)의 횡단면 형상으로 관통되며 구동모터(95)의 구동축(96)과 기어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진퇴가이드부재(93)를 구비한다.
일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축(96)과 결합되는 웜기어와, 진퇴가이드부재(93)가 관통결합되어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휠 구조가 감속기(92) 내에 마련될 수 있다.
구동모터(95)는 차량에 장착되는 베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차량과 별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1)에 마련된 베터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BLDC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부(151)는 구동회전축(76)이 종동회전축(72)과 함께 회전되게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게 구동회전축(76)을 진퇴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챔버(152)와, 보스부재(162)와, 세레이션부재(172)와, 탄성부재(176)와, 레버(181)와, 레버조작실린더(195)를 구비한다.
챔버(152)는 챔버본체부(153)와, 실린더결합부(158)와, 캘리퍼결합부(160)를 구비한다.
챔버본체부(153)는 휠(5)과 감속기(92)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휠(5)과 인접한 길이방향 일단측의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면 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볼트수용홈(157)이 형성된다.
챔버본체부(153)는 회동암(31)의 상부에 결합된 감속기(92)와 휠(5) 사이에 위치되게 챔버마운팅(48)에 일부 삽입되어 감속기(92)와 결합되며, 구동회전축(76)과 종동회전축(72)이 연결되게 지지프레임(10)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는 내부공간(153)을 갖는다. 그리고, 챔버본체부(153)는 휠(5)을 향하는 일측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턱부(155)가 형성되며, 감속기(92)을 향하는 타측 외주면 상부에서 내부공간(153)으로 연통되게 관통된 레버관통구(156)가 형성된다.
실린더결합부(158)는 챔버본체부(15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레버관통구(156)에 인접한 챔버본체부(153)의 외주면에 볼트결합되고 타측이 레버관통구(156)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레버관통구(156)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고 개방된 레버힌지결합홈(159)이 형성된다.
캘리퍼결합부(160)는 챔버본체부(53)보다 후방에 위치되게 챔버본체(53)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고 챔버본체부(53)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후술되는 휠 제동부(111)의 캘리퍼(116)의 측부가 결합된다.
보스부재(162)는 휠(5)을 향하는 감속기관통부(78)의 일측이 중심측으로 관통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164)가 형성된 축 결합부(163)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랜지(164)에 대해 휠(5) 방향으로 돌출된 축 결합부(163)의 단부측이 삽입결합되며 축 결합부(163)에 대해 돌출되어 축 결합부(163)와 함께 치합홈(167)을 형성하며, 축 결합부(163)에 대해 돌출된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키홈(166)이 형성되는 보스본체부(165)를 구비한다.
세레이션 부재(172)는 챔버(152) 내로 연장된 종동회전축(72)의 단부 측이 중심으로 관통 결합되며 외주면에 키홈(166)에 치합되는 다수의 이(173)가 형성된다. 세레이션 부재(172)는 치합홈(167)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보스부재(162) 방향으로 외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치합홈(167)도 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76)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서, 보스부재(162)와 세레이션부재(172)의 둘레에 위치되게 챔버(152)의 턱부(155)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이 플랜지(164)에 탄성 지지되며, 보스부재(162)가 세레이션부재(172)에 이격되게 길이연장된다.
레버(181)는 구동회전축(76) 진퇴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레버힌지결합홈(159)에서 실린더결합부(158)과 핀(161) 결합되고, 챔버본체부(153)의 내부공간(154)으로 진입되고 실린더결합부(158)에 대해 돌출되게 길이연장된다.
레버(181)는 회동방향에 따라 보스부재(162)와 구동회전축(76)이 휠(5) 방향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176)가 길이 축소되면서 보스부재(162)와 세레이션부재(172)가 치합되게 보스부재(162)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한다.
또한, 클러치부(151)는 보스부재(162)의 플랜지(164)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축결합부(16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져 플랜지(164)에 대해 감속기(92)방향으로 이격되며 레버(181)와 마주하는 가압링(186)과, 가압링(186)과 플랜지(164) 사이에 장착되어 가압링(186)에 대해 보스부재(162) 회전가능하게 플랜지(164)를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188)을 구비한다.
그리고, 보스부재(162)의 축결합부(163)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가압링(186)이 감속기(92) 방향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링(190)이 장착된다.
레버조작실린더(195)는 실린더결합부(158)의 일측에 실린더본체부(196)가 장착되며, 실린더본체부(196)에 대해 진퇴하는 피스톤로드(197)이 챔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18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결합된다.
레버조작실린더(195)는 길이 신장 시, 레버(181)가 회동되면서 레버(181)의 길이방향 타단이 가압링(186)을 휠(5) 방향으로 가압하여 구동회전축(76)의 회전력이 종동회전축(72)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레버조작실린더(195)가 길이 축소시에는 탄성부재(176)에 의해 보스부재(162), 구동회전축(76) 및 가압링(186)이 감속기 방향으로 위치복원되어 종동회전축(72)에 대해 구동회전축(76)이 자유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휠 제동부(111)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휠(5)과 결합되며 중심측에 종동회전축(72)이 관통결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112)와; 챔버본체부(153)의 길이방향 일단측으로 일부 삽입되어 결합되며 세레이션부재(172)보다 큰 내경으로 중심측이 관통된 허브마운팅(115)과; 일측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112) 및 휠(5)과 결합되며 세레이션부재(172)와 휠(5) 사이의 종동회전축(72)이 중심측으로 관통결합되는 회전력전달부(131)와, 세레이션부재(172)와 휠(5) 사이의 종동회전축(72)의 둘레에 위치되며 허브마운팅(115)과 결합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마운팅결합부(136)를 포함하는 축지지부재(130)와; 캘리퍼결합부(160)에 고정결합되어 브레이크 디스크(112)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해제하는 캘리퍼(116);를 구비한다.
마운팅결합부(136)는 내부가 원형상으로 관통된 삼각 판상으로 형성된다.
허브마운팅(115)과 마운팅결합부(136)을 결합하는 볼트(138)는 허브마운팅(115)에 대해 감속기(92)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챔버(152)의 볼트수용홈(157) 내로 수용된다.
캘리퍼(116)는 일반적인 구조로서, 브레이크 디스크(112)가 일부 진입되는 디스크 수용홈(118)이 형성된 캘리퍼 본체부(117)와, 캘리퍼본체부(117) 일측에 결합되는 캘리퍼 실린더(119)와, 캘리퍼 실린더(119)에서 디스크 수용홈(118) 측으로 돌출되거나 캘리퍼 실린더(119)내로 수용되는 피스톤(미도시)와, 피스톤과 결합되어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하거나 이격디는 마찰패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1)는 레버조작실린더(195)와, 캘리퍼실린더(119) 내로 유체공급을 위한 유체저장탱크와, 유체저장탱크에서 레버조작실린더(195)와 캘리퍼실린더(119)로 연장된 복수의 유체공급관과, 유체저장탱크의 유체를 유체공급관으로 펌핑하기위 한 유체공급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는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견인하는 차량의 운전석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조작부는 구동모터(95)의 구동축(96)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유체공급펌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 또는 조작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1)는 지지프레임(10)의 폭 방향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95)에는 구동축(96)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엔코더가 마련될 수 있다. 기울기감지센서는 자이로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1)가 험로 지나면서, 자이로센서를 통해 지지프레임(10)이 폭 방향으로 설정된 각도(예, 20도이상) 이상 기울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기울어진 방향 측의 제1 또는 제2독립현가유닛(30,30')의 구동모터(95)의 구동축(96) 회전속도가 다른 하나의 제2 또는 제1독립현가유닛(130,30)의 구동모터(95)의 구동축(96)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가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1)는 지지프레임(10)에 대해 개별적으로 현가되는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30,30')에 각각 연결된 휠(5)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95)가 마련되어 있어, 견인하는 차량의 견인력에 보조하여 휠(5)을 자체적으로 회전시켜 험로 주행 및 탈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 5 : 휠
10 : 지지프레임 30 : 제1독립현가유닛
30' : 제2독립현가유닛 31 : 회동암
51 : 충격완충스프링 61 : 댐퍼
68 : 탄성링크 71 : 회전축
72 : 종동회전축 76 : 구동회전축
91 : 휠 구동부 92 : 감속기
93 : 진퇴가이드부재 95 : 구동모터
111 : 휠제동부 151 : 클러치부

Claims (7)

  1. 차량과 연결을 위한 견인부가 길이방향 전단측에 마련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중을 개별 완충하며, 각각 연결된 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휠 구동부와 회전되는 상기 휠의 제동을 위한 휠 제동부가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을 축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회동암과,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암의 타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충격완충스프링과,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암의 타측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충격완충스프링의 신축작용을 억제하는 댐퍼와, 상기 회동암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사이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측에 상기 휠이 결합된 회전축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휠과 결합되며 상기 휠 제동부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거나 제한해제되는 종동회전축과, 상기 휠 구동부와 연결되되 상기 종동회전축과 동심상의 위치에서 상기 종동회전축의 단부와 기어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게 진퇴가능한 구동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회전축이 상기 종동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게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되게 상기 구동회전축을 진퇴이동시키는 클러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휠 구동부는
    상기 구동회전축이 관통되는 감속기와, 구동축이 상기 감속기 내로 삽입되어 상기 구동회전축과 기어연결되게 상기 감속기와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회전축은 상기 감속기 내에 수용되는 외주면측에 돌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구속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구동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구속돌기보다 길게 길이연장되며, 내측이 상기 회전구속돌기가 형성된 상기 구동회전축의 횡단면 형상으로 관통되는 진퇴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회동암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감속기와 상기 휠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감속기 측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회전축과 상기 종동회전축이 연결되게 상기 지지프레임 폭 방향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챔버와,
    상기 감속기에서 돌출되어 상기 챔버 내로 연장된 상기 구동회전축이 중심측으로 관통결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회전축을 향하는 단부측에서 상기 감속기 방향으로 원형상으로 인입되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키홈이 형성되게 인입된 치합홈이 형성된 보스부재와,
    상기 챔버 내로 연장된 상기 종동회전축의 단부 측이 중심으로 관통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키홈에 치합되는 다수의 이가 형성된 세레이션 부재와,
    일측이 상기 챔버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턱부에 탄성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플랜지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보스부재가 상기 세레이션부재에 이격되게 길이연장된 탄성부재와,
    상기 챔버의 외주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통되게 관통된 레버관통구 측에 상기 구동회전축 진퇴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챔버의 외측으로 길이연장되며,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보스부재와 상기 구동회전축이 상기 휠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길이 축소되면서 상기 보스부재와 상기 세레이션부재가 치합되게 상기 보스부재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는 레버와,
    상기 챔버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길이신축에 따라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는 레버조작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 제동부는
    상기 휠과 결합되며 상기 종동회전축이 관통결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세레이션부재와 상기 휠 사이의 상기 종동회전축이 관통결합되되,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및 상기 휠과 결합되는 일측이 상기 종동회전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고, 상기 종동회전축의 둘레에 위치하는 타측은 상기 챔버와 결합되어 회전제한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챔버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해제하는 캘리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회전축은
    상기 치합홈에 대해 돌출되는 상기 구동회전축이 삽입되어 진퇴 가능하게 상기 감속기 방향으로 개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진퇴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의 기울기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각도이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이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지지프레임이 기울어진 방향 측의 상기 제1 또는 제2독립현가유닛의 상기 구동축 회전속도가 다른 측에 설치된 상기 제2 또는 제1독립현가유닛의 구동축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가속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독립현가유닛의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로 주행용 견인트레일러.
KR1020210172180A 2021-12-03 2021-12-03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KR10259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180A KR102591590B1 (ko) 2021-12-03 2021-12-03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180A KR102591590B1 (ko) 2021-12-03 2021-12-03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825A true KR20230083825A (ko) 2023-06-12
KR102591590B1 KR102591590B1 (ko) 2023-10-19

Family

ID=8676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180A KR102591590B1 (ko) 2021-12-03 2021-12-03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5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273B1 (ko) 2016-12-26 2018-09-13 (주)오토일렉스 트레일러 견인장치
JP2020050160A (ja) * 2018-09-27 2020-04-02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用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US20210001937A1 (en) * 2018-10-12 2021-01-07 New Heights, Llc Self-propelled tandem axle trai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273B1 (ko) 2016-12-26 2018-09-13 (주)오토일렉스 트레일러 견인장치
JP2020050160A (ja) * 2018-09-27 2020-04-02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用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US20210001937A1 (en) * 2018-10-12 2021-01-07 New Heights, Llc Self-propelled tandem axle tra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590B1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0347A (en) Tractor trailer integrated jackknife control device
RU2514321C2 (ru) Седельно-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5445236A (en) Vehicle
JPH08502226A (ja) 揺れ安定装置
US7971894B2 (en) Device for swivel joint coupling, particularly for semi-trailers
US4516653A (en) Vehicle mounted parking device for use on front wheel drive vehicles
CN107539058A (zh) 半挂车的空气弹簧致动滑块
MXPA97000687A (en) Emergency brake system for deruel vehicles
CN104159811B (zh) 具有可定向的副轮组的公路拖车
KR200210303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장치
KR20230083825A (ko)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US2259923A (en) Truck and trailer control
US7275907B1 (en) Boat trailer tug
US9352678B1 (en) Vehicle lowering system
KR100684663B1 (ko) 풀트레일러
WO2016085369A1 (en) A method and control unit for preventing rollover of a tractor unit of a working machine
US4610325A (en) Function reverse apparatus for powered trailer
JPS63247106A (ja) 自動車用補助スノーチェーン装置
US5016899A (en) No-slack restricted-drum stabilizer for commercial multitrailer combinations
US5601158A (en) Wheel blocking system
KR200334036Y1 (ko) 트레일러의 케이블식 관성브레이크 장치
US4600210A (en) Tandem trailer dolly
US2143182A (en) Accessory for steering
US1420307A (en) Means eok tuening motor vehicles
US7946606B2 (en) Converter dolly back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