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308A - 노로바이러스 감염 리스크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노로바이러스 감염 리스크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308A
KR20230083308A KR1020237014944A KR20237014944A KR20230083308A KR 20230083308 A KR20230083308 A KR 20230083308A KR 1020237014944 A KR1020237014944 A KR 1020237014944A KR 20237014944 A KR20237014944 A KR 20237014944A KR 20230083308 A KR20230083308 A KR 2023008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norovirus
igg antibody
sample
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사이토
미치히로 호소지마
히데유키 가바사와
노부마사 아오키
게이 나가노
사카리 세키네
게이스케 무네카타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니이가타 다이가쿠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니이가타 다이가쿠,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니이가타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3008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085Picornaviridae, e.g. coxsackie virus, echovirus, enterovir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69/00Immunoassays for the detection of microorganisms
    • G01N2469/20Detection of antibodies in sample from host which are directed against antigens from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6Infectious diseases, e.g. generalised sep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지 여부,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쉬운지 여부의 결정을 보조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로바이러스 감염 리스크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
본 발명은 광범위하게, 노로바이러스 감염 리스크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지 여부,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쉬운지 여부의 결정을 보조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노로바이러스는 감염성 위장염을 발증하는 중요한 바이러스이다. 노로바이러스는 유아부터 고령자에 이르는 전연령층에서 급성 위장염을 야기하는 바이러스이다. 인간에게 감염되는 주된 노로바이러스는 Genogroup I(GI)과 Genogroup II(GII)의 2개의 유전자군으로 분류되고, GI에서는 19종류, GII에서는 22종류가 존재한다. 국립 감염증 연구소 감염증 정보 센터에 의하면, 일본에 있어서의 감염성 위장염의 유행하는 대부분은 GII가 원인이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주된 증상은, 소장의 염증 반응에 수반하는 설사, 위 내용물을 장에 보내는 운동 신경의 반응성의 저하나 마비에 의한 구토나 구역질 등이지만, 발열은 경도이다. 이들 증상은 1 내지 3일 계속된 후, 치유된다. 노로바이러스 감염·발증에 대한 효과가 있는 약제는 없고, 보액 등의 대증 요법밖에 없다. 또한, 감염 예방 등의 노로바이러스 백신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노로바이러스의 역학적 연구나 노로바이러스 백신 등의 연구에 있어서, 어떤 인자가 노로바이러스 감염 발증이나 중증화의 방지에 중요한 것인지를 해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백신의 개발 연구에 있어서는, 백신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는 필수적이다.
J Infect Dis, 2020 Jan 20, pii: jiaa021. Humoral and Mucosal Immuno Responses to Human Norovirus in the Elderly. Clin Diagn Lab Immunl. 2004 Nov, 11(6):1028-1034 Diagnosis of Norwalk Virus Infection by Indirect Enzyme Immunoassay Detction of Salivary Antibodies to Recombinant Norwalk Virus Antigen
최근 들어, 타액 중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가 노로바이러스 감염이나 발증·중증화에 깊게 관여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1). 그러나, 보고된 결과에서, 타액 중의 IgA 항체가 낮아도 발증·중증화에 이르지 않은 증례가 있어(도 2), 감염의 리스크를 꼭 IgA 항체 단독만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 또한, 비특허문헌 2의 도 1의 결과로부터도, 타액 중의 IgA량이 낮음에도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예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노로바이러스 감염에 IgA 항체가 관여하고 있는지 여부는 해석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방지에는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이하, 간단히 「IgA 항체」라고도 기재한다.)뿐만 아니라,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이하, 간단히 「IgG 항체」라고도 기재한다.)도 감염 방지에 관계되어 있으며, 오히려 IgG 항체가 감염 방지에 의해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원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지 여부,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쉬운지 여부의 결정을 보조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1 또는 복수회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2]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1회 측정하고,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이상인 경우에는,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어렵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어렵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방법.
[3]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1회 측정하고,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인 경우에는,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쉽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방법.
[4]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적어도 2회 측정하고,
어떤 시점에서 측정한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이고, 게다가 그 이후에 측정한 IgG 항체의 농도가 경시적으로 증대되어 있는 경우에,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쉽다고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어렵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어렵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방법.
[5]
노로바이러스가 Genogroup II(GII)의 유전자군으로 분류되는,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6]
노로바이러스가 GII-4주 또는 GII-17주인, [5]에 기재된 방법.
[7]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와 함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혹은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8]
노로바이러스 백신의 투여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9]
투여 전에 3μg/mL 미만이었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노로바이러스 백신 투여 후에 3μg/mL 이상으로 증대된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이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8]에 기재된 방법.
[10]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한 피검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적어도 2회 측정하고,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하기 전의 피검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이고, 게다가 투여 후에 측정된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이상으로 증대되어 있는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이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방법.
[11]
노로바이러스가 Genogroup II(GII)의 유전자군으로 분류되는, [8]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12]
노로바이러스가 GII-4주 또는 GII-17주인, [11]에 기재된 방법.
[13]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와 함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혹은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8]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14]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할지 여부의 결정을 보조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5]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하기 전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인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4]에 기재된 방법.
[16]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적어도 2회 측정하고,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한 후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으로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 추가의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4] 또는 [15]에 기재된 방법.
[17]
노로바이러스가 Genogroup II(GII)의 유전자군으로 분류되는, [14] 내지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18]
노로바이러스가 GII-4주 또는 GII-17주인, [17]에 기재된 방법.
[19]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와 함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혹은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4] 내지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IgG 항체의 농도를 지표로 함으로써, 의사의 판단에 의하지 않아도, 노로바이러스 감염 리스크의 유무 등을 기계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GII-4주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의 결과이다.
도 1b는, GII-4주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가 감소한 군의 결과이다.
도 1c는, GII-4주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가 변동되지 않은 군의 결과이다.
도 2a는, GII-4주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의 결과이다.
도 2b는, GII-4주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가 감소한 군의 결과이다.
도 2c는, GII-4주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가 변동되지 않은 군의 결과이다.
도 3a는, GII-17주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의 결과이다.
도 3b는, GII-17주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가 감소한 군의 결과이다.
도 3c는, GII-17주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가 변동되지 않은 군의 결과이다.
도 4a는, GII-17주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의 결과이다.
도 4b는, GII-17주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가 감소한 군의 결과이다.
도 4c는, GII-17주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가 변동되지 않은 군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이하, 「본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결정 보조 방법)
제1 양태에 있어서,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지 여부,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쉬운지 여부의 결정을 보조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1 또는 복수회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피검체는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을 것이 의심되는 포유류이면 되고, 본 방법에서 상정되는 바람직한 피검체는 인간이다.
검체는 국소 면역의 관점에서,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예를 들어 타액, 객담, 목구멍 닦음액, 점막 조직 등이 사용된다. 채취에 있어서의 피검체의 부담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타액을 검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액은 항체와의 관계가 명확하여, 그 관점에서도 바람직한 검체라고 할 수 있다. 검체의 채취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액의 경우, 피검체가 스스로 직접, 타액을 소정량, 예를 들어 1mL 이상을 넣은 채취관을 회수하면 된다.
회수한 검체를 또한, 항체량의 측정 전에 추가의 공정을 거쳐도 된다. 예를 들어, 채취한 타액을 원심하고, 얻어진 상청을 희석하고 나서 항체량을 측정해도 된다.
채취한 검체는 항체의 농도를 1 또는 복수회 측정하는 공정을 거친다. 측정 대상이 되는 면역 글로불린은 IgG 클래스이면 되고, IgG1, IgG2, IgG3, IgG4의 서브클래스 중 어느 것, 혹은 그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지표로 하여, 노로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될 리스크, 구체적으로는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될지, 되지 않을지와 같은 리스크, 감염 발증에 의해 중증화될지, 되지 않을지와 같은 리스크가 평가된다.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1회 측정하고,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상, 예를 들어 2.7 내지 3.3μg/mL 이상, 바람직하게는 3μg/m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3μg/mL 이상인 경우,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어렵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어렵다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1회 측정하고,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미만, 예를 들어 2.7 내지 3.3μg/mL 미만, 바람직하게는 3μg/mL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7μg/mL 미만인 경우에는,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쉽다고 결정할 수 있다.
IgG 항체의 농도는 경시적으로, 특히 감염의 전후에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공정은 복수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IgG 항체의 측정 공정에서는,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적어도 2회 측정된다. 이 경우, 어떤 시점에서 측정한 IgG 항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미만, 예를 들어 2.7 내지 3.3μg/mL 미만, 바람직하게는 3μg/mL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7μg/mL 미만이고, 게다가 그 이후에 측정한 IgG 항체의 농도가 경시적으로 증대되어 있는 경우에,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쉽다고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 즉, 소정의 농도 이상, 예를 들어 2.7 내지 3.3μg/mL 이상, 바람직하게는 3μg/m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3μg/mL 이상인 경우에,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어렵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어렵다고 결정할 수 있다.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면역학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면역학적 방법에는, 예를 들어 효소 면역 측정 흡착법(ELISA), 면역 염색법(형광 항체법, 효소 항체법, 중금속 표지 항체법, 방사성 동위 원소 표지 항체법을 포함함), 전기 영동법에 의한 분리와 형광, 효소, 방사성 동위 원소 등에 의한 검출 방법을 조합한 방법(웨스턴 블로팅법, 형광 이차원 전기 영동법을 포함함), 도트·블로팅법, 라텍스 응집법(LA: Latex Agglutination-Turbidimetric Immunoassay),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노로바이러스」는 임의의 유전자형을 갖는 노로바이러스를 의미한다. 노로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의 예로서는, Genogroup I형 또는 II형이 있다.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지만, GI형에는 GI-4주 등, GII형에는 GII-4주나 GII-17주 등이 존재한다.
측정 공정에서는, IgG에 더하여, 검체 중에 포함되는 성분이며, 노로바이러스 감염과의 관계가 알려져 있는 성분, 예를 들어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해도 된다. IgA 항체의 농도는 단독으로는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지 여부,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쉬운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지표로는 되지 않지만, IgG 항체의 농도를 평가할 때에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A 항체의 농도는, IgG 항체와 동일한 공정에서 측정하지만, IgA 항체의 농도를 별도로 측정하는 공정을 추가해도 된다. IgA 항체는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의 발증 억제나, 중증화의 방지에 관여하고 있으며, 검체에 있어서의 IgA 항체의 농도가 전회 측정하였을 때의 농도보다 증대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으로 증대된 경우, 검체가 채취된 피검체는 노로바이러스에의 감염이 의심된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에 관련될 리스크의 결정은 검체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보조적으로 사용하고, 또한 의사가 피검체의 임상 증상이나 주위의 감염 상황 등으로부터 종합적으로 진단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방법에, 노로바이러스의 진단에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을 조합해도 된다. 그러한 공지된 방법으로서, 분변 중의 노로바이러스를 검사 키트로 검출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실하게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바이러스학적인 진단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피검체)의 분변이나 구토물에는 대량의 바이러스가 배설되기 때문에, 그러한 검체에 있어서의 노로바이러스의 유무를 전자 현미경법, 역전사 PCR법, 리얼타임 PCR법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백신의 유효성 평가 방법)
제2 양태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 백신의 투여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피검체는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한 포유류이면 되고, 본 방법에서 상정되는 바람직한 피검체는 인간이다. 노로바이러스 백신은 노로바이러스 항원을 인식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검체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방법은 결정 보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IgG 항체를 지표로 하여 노로바이러스 백신의 투여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노로바이러스 백신 투여 후에 소정의 농도 이상, 예를 들어 2.7 내지 3.3μg/mL 이상, 바람직하게는 3μg/m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3μg/mL 이상으로 증대된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이 유효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여 전에 3μg/mL 미만이었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노로바이러스 백신 투여 후에 3μg/mL 이상으로 증대된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이 유효하다고 결정된다.
IgG 항체의 농도는 경시적으로, 특히 노로바이러스 백신의 투여 전후에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공정은 복수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IgG 항체의 측정 공정에서는,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적어도 2회 측정된다. 이 경우,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하기 전의 피검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미만, 예를 들어 2.7 내지 3.3μg/mL 미만, 바람직하게는 3μg/mL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7μg/mL 미만이고, 게다가 투여 후에 측정된 IgG 항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상, 예를 들어 2.7 내지 3.3μg/mL 이상, 바람직하게는 3μg/m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3μg/mL 이상으로 증대되어 있는 경우, 투여된 노로바이러스 백신이 유효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측정 공정에서는, IgG에 더하여, 검체 중에 포함되는 성분이며, 노로바이러스 백신의 유효성 평가와의 관계가 알려져 있는 성분, 예를 들어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해도 된다. IgA 항체의 농도는 단독으로는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지 여부,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쉬운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지표로는 되지 않지만, IgG 항체의 농도를 평가할 때에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A 항체의 농도는, IgG 항체와 동일한 공정에서 측정하지만, IgA 항체의 농도를 별도로 측정하는 공정을 추가해도 된다.
노로바이러스 백신은 임의의 유전자형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것이면 되지만, GI형 노로바이러스 또는/및 GII형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 타이밍의 결정 방법)
제3 양태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할지 여부의 결정을 보조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피검체는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을 것이 의심되는 포유류이면 되고, 본 방법에서 상정되는 바람직한 피검체는 인간이다. 검체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방법은 결정 보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IgG 항체를 지표로 하여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하기 전의 피검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미만, 예를 들어 2.7 내지 3.3μg/mL 미만, 바람직하게는 3μg/mL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7μg/mL 미만인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IgG 항체의 농도는 경시적으로, 특히 감염의 전후에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공정은 복수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증대된 IgG 항체의 농도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된다. 또한, 계절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RNA 바이러스군인 노로바이러스는 종종 변이되고, 1, 2년으로 유행주가 바뀌기 때문에, 백신 투여 전후에서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여, 투여 후의 검체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으로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 추가의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IgG 항체의 측정 공정에서는,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적어도 2회 측정된다. 또한, 측정 공정에서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해도 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피검체
니이가타 대학 부속 병원에 통원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투여 환자나 암 환자를 제외한 106명을 피검체로 하였다. 스테로이드 투여 환자는, 스테로이드 투여가 체 내의 면역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이 있고, 감염되어도 항체가 상승하지 않을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제외되었다. 또한, 암 환자도,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가 투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외되었다. 남녀의 내역은 이하와 같다. 남성: 60명 여성: 46명(중앙 연령: 66.5세)
타액 검체의 샘플링
피검체에게서 이하의 기간에 타액 검체를 채취하였다.
Pre 샘플: 2018년 10월부터 11월 사이에 타액 샘플링
Post 샘플: 2019년 3월부터 5월 사이에 타액 샘플링
샘플링은, 피검체 자신이 직접, 타액 1mL 이상을 채취관에 넣음으로써 행하였다. 회수한 타액 180μL를 원심관에 취하여 원심(10,000회전, 5분) 후, 상청을 75μL에 PBS(인산 완충액)를 225μL 첨가(4배 희석)하고, 4배 희석 계열을 256배 희석까지 제작하고, 각각의 희석 검체를 사용하여 항체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특이 반응이나 감도의 점에서, 최종적으로 64배 희석 검체에서의 항체량을 사용하였다.
타액 중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 및 IgG 항체의 농도의 측정
채취한 타액에 포함되는 IgA 항체 및 IgG 항체의 농도를 ELISA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ELISA법은 이하의 프로토콜을 따라서 행하였다.
ELISA 프로토콜
·담배 식물에 의한 magnICON(등록 상표) 시스템에서 발현된 GII-4 aomori주(바이러스 유사 입자(Virus like particle): VLP(GII-4)) 및 GII-17 kawasaki주 VLP(GII-17)를 PBS, pH 7.4(나카라이사제)에서 1μg/mL의 농도로 희석한다.
·희석한 각 VLP 50μL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Nunc사제)의 각 웰에 적가, 4℃에서 밤새 정치한다.
·정치 후, 플레이트를 0.1%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WAKO사제) 포함 PBS, pH 7.4(PBST)로 3회 세정한다.
·세정 후, 블로킹으로서, 1% 소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SIGMA사제)을 포함하는 PBS, pH 7.4(PBSB)를 각 웰에 80uL 적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인큐베이션한다.
·PBSB를 버린다.
·PBS로 64배로 희석한 타액 샘플 50μL를 각 웰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인큐베이션한다.
·플레이트를 PBST로 3회 세정한다.
·PBSTB로 2,000배 희석한 항인간 IgG 항체 퍼옥시다아제 표지 항체(염소)(Southern Biotech사제) 및 항인간 IgA 항체 퍼옥시다아제 표지 항체(염소)(Southern Biotech사제) 50μL를 각 웰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인큐베이션한다.
·그 후, PBST로 플레이트를 5회 세정한다.
·세정 후, TMB ELISA 기질액(Thermo Scientific사제)을 각 웰에 50μL 적가한다.
·발색을 확인할 수 있을 때까지, 차광하여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한다.
·STOP액(Invitrogen사제) 50μL를 각 웰에 적가하고, 반응을 정지시킨다.
·450nm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국립 감염증 연구소 면역부 다카하시 선생님이 제작한 GII-4 및 GII-17에 대한 인간화 IgA 항체 및 인간화 IgG 항체로 검량선을 작성하고, 샘플의 흡광도로부터 항체의 농도를 구한다.
ELISA의 결과를 도 1 내지 4에 나타낸다.
GII-4주에 대한 타액 IgA 항체와 IgG 항체의 농도의 변동
Pre 샘플의 IgA 항체의 농도 및 IgG 항체의 농도와 Post 샘플의 IgA 항체의 농도 및 IgG 항체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IgA 항체, IgG 항체 모두, Pre 샘플의 항체 농도가 Post 샘플에서는 상승하였던 군과 감소하였던 군 그리고 거의 변화되지 않은 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도 1).
도 1은, GII-4주에 대한 Pre 샘플과 Post 샘플의 타액 IgA 항체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a)는 IgA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 b)는 감소한 군, c)는 변동이 없었던 군의 각 지원자의 Pre와 Post 샘플에 있어서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도이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등이 감염된 경우에는, 감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다. IgA 항체 농도가 상승한 군(도 1a))은, Pre와 Post의 샘플링의 기간에 GII-4주의 어떠한 감염이 의심된다. 또한, 감소한 군(도 1b))은 샘플링의 기간에 감염은 없었다고 생각된다.
IgA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의 Pre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와 감소한 군의 Pre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를 비교하면, 감소한 군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가 높은 농도로 분포되어 있다. 즉, IgA 항체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GII-4주에 감염되기 쉽지만, 높은 경우에는 감염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지원자 No.48은 구토 등의 증상을 발증하였고(아내도 후일 발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강하게 의심되었다. 그러나, No48의 Pre에서의 IgA 항체의 농도는 10μg/mL로 높고, 감소한 군의 Pre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와 동등하지만, 감염이 강하게 의심된다. 감염의 방지에는 타액 중의 IgA 항체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도 2는, GII-4주에 대한 Pre 샘플과 Post 샘플의 타액 IgG 항체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a)는 IgG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 b)는 감소한 군, c)는 변동이 없었던 군의 각 지원자의 Pre와 Post 샘플에 있어서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도이다.
도 1과 마찬가지로 IgG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도 2a))은, Pre와 Post의 샘플링의 기간에 GII-4주의 어떠한 감염이 의심된다. 또한, 감소한 군(도 2b))은 샘플링의 기간에 감염은 없었다고 생각되고, 샘플링 전에 감염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의 IgA 항체의 농도와 마찬가지로, IgG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의 Pre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와 감소한 군의 Pre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를 비교하면, 감소한 군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가 높은 농도로 분포되어 있다. IgA 항체의 농도와는 달리, IgG 항체의 농도의 경우에는, 상승한 군에서는 Pre의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감소한 군에서는 Pre의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이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즉,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인 경우에는, GII-4주에 감염되지만, 3μg/mL 이상인 경우에는 감염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또한, IgG 항체의 농도 변동과 IgA 항체의 농도 변동 사이에 상관 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감염이 강하게 의심된 지원자 No.48의 Pre에서의 IgA 항체의 농도는 10μg/mL로 높고, 감소한 군의 Pre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와 동등하였지만, No48의 Pre의 IgG 항체의 농도는, 감소한 군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보다 명백하게 낮았다. 이 결과로부터, 감염의 방지에는 타액 중의 IgA 항체뿐만 아니고, IgG 항체도 관계되어 있는, 오히려 IgG 항체가 감염 방지에 보다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되었다.
GII-17주에 대한 타액 IgA 항체의 농도와 IgG 항체의 농도의 변동
GII-4주에 대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Pre 샘플의 IgA 항체의 농도 및 IgG 항체의 농도와 Post 샘플의 IgA 항체의 농도 및 IgG 항체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IgA 항체, IgG 항체 모두, Pre 샘플의 항체 농도가 Post 샘플에서는 상승하였던 군과 감소하였던 군 그리고 거의 변화되지 않은 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도 3).
도 3은, GII-17주에 대한 Pre 샘플과 Post 샘플의 타액 IgA 항체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a)는 IgA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 b)는 감소한 군, c)는 변동이 없었던 군의 각 지원자의 Pre와 Post 샘플에 있어서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도이다.
IgA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의 Pre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와 감소한 군의 Pre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를 비교하면, 감소한 군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가 높은 농도로 분포되어 있지만, 양쪽군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는 일부 겹친다. IgA 항체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GII-17주에 감염되기 쉽고, 높은 경우에는 감염이 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도 4는, GII-17주에 대한 Pre 샘플과 Post 샘플의 타액 IgG 항체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a)는 IgG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 b)는 감소한 군, c)는 변동이 없었던 군의 각 지원자의 Pre와 Post 샘플에 있어서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도이다.
도 3과 마찬가지로 IgG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도 4a))은, Pre와 Post의 샘플링의 기간에 GII-17주의 어떠한 감염이 의심된다. 또한, 감소한 군(도 4b))은 샘플링의 기간에 감염은 없었다고 생각된다.
상술과 마찬가지로, IgG 항체의 농도가 상승한 군의 Pre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와 감소한 군의 Pre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를 비교하면, 감소한 군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가 높은 농도로 분포되어 있다. IgA 항체의 농도와는 달리, 도 2와 마찬가지로 IgG 항체의 농도의 경우에는, 상승한 군에서는 Pre의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감소한 군에서는 Pre의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이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즉,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인 경우에는, GII-17주에 감염되기 쉽지만, 3μg/mL 이상인 경우에는 감염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감염이 강하게 의심된 지원자 No.48(또한 No.108은 감염이 의심되지만 무증상)의 Pre에서의 IgA 항체의 농도는, 감소한 군의 Pre의 IgA 항체의 농도 분포와 동등하였지만, No48의 Pre의 IgG 항체의 농도는, 감소한 군의 IgG 항체의 농도 분포보다 명백하게 낮았다. 감염의 방지에는 타액 중의 IgA 항체뿐만 아니고, IgG 항체도 관계되어 있는, 오히려 IgG 항체가 감염 방지에 의해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되었다.

Claims (19)

  1.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쉬운지 여부,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쉬운지 여부의 결정을 보조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1 또는 복수회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1회 측정하고,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이상인 경우에는,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어렵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어렵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1회 측정하고,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인 경우에는,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쉽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적어도 2회 측정하고,
    어떤 시점에서 측정한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이고, 게다가 그 이후에 측정한 IgG 항체의 농도가 경시적으로 증대되어 있는 경우에,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쉽다고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피검체가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어렵거나, 혹은 감염 후에 중증화되기 어렵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가 Genogroup II(GII)의 유전자군으로 분류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가 GII-4주 또는 GII-17주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와 함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혹은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노로바이러스 백신의 투여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투여 전에 3μg/mL 미만이었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노로바이러스 백신 투여 후에 3μg/mL 이상으로 증대된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이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한 피검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적어도 2회 측정하고,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하기 전의 피검체 유래의 침(唾)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이고, 게다가 투여 후에 측정된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이상으로 증대되어 있는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이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가 Genogroup II(GII)의 유전자군으로 분류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가 GII-4주 또는 GII-17주인,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와 함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혹은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할지 여부의 결정을 보조하는 방법이며,
    피검체의 구강 내 유래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하기 전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인 경우에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를 적어도 2회 측정하고,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한 후의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가 3μg/mL 미만으로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 추가의 노로바이러스 백신을 투여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가 Genogroup II(GII)의 유전자군으로 분류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노로바이러스가 GII-4주 또는 GII-17주인,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에 있어서, 검체 중에 포함되는 IgG 항체의 농도와 함께,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혹은 검체 중에 포함되는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IgA 항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14944A 2020-10-07 2021-10-07 노로바이러스 감염 리스크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 KR20230083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9704 2020-10-07
JP2020169704 2020-10-07
PCT/JP2021/037090 WO2022075397A1 (ja) 2020-10-07 2021-10-07 ノロウイルスの感染リスクの有無を決定す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308A true KR20230083308A (ko) 2023-06-09

Family

ID=8112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944A KR20230083308A (ko) 2020-10-07 2021-10-07 노로바이러스 감염 리스크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66890A1 (ko)
EP (1) EP4227421A1 (ko)
JP (1) JPWO2022075397A1 (ko)
KR (1) KR20230083308A (ko)
CN (1) CN116323962A (ko)
AU (1) AU2021355817A1 (ko)
WO (1) WO2022075397A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 Diagn Lab Immunl. 2004 Nov, 11(6):1028-1034 Diagnosis of Norwalk Virus Infection by Indirect Enzyme Immunoassay Detction of Salivary Antibodies to Recombinant Norwalk Virus Antigen
J Infect Dis, 2020 Jan 20, pii: jiaa021. Humoral and Mucosal Immuno Responses to Human Norovirus in the Elder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5397A1 (ja) 2022-04-14
EP4227421A1 (en) 2023-08-16
US20230366890A1 (en) 2023-11-16
JPWO2022075397A1 (ko) 2022-04-14
CN116323962A (zh) 2023-06-23
AU2021355817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jdoubi et al. A majority of uninfected adults show preexisting antibody reactivity against SARS-CoV-2
Porsch-Özcürümez et al. Comparison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estern blotting, microagglutination,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ssay, and flow cytometry for serological diagnosis of tularemia
AU2005259346B2 (en) Detection of tuberculosis and infection by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ing HBHA
Kim et al. Improvement of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scrub typhus using a mixture of recombinant antigens derived from Orientia tsutsugamushi serotypes
Yamaguchi et al. Immunity against seasonal human coronavirus OC43 mitigates fatal deterioration of COVID-19
Blaauw et al. The application of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or an immunofluorescent assay test leads to different estimates of seroprevalence of Coxiella burnetii in the population
Lagatie et al.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Onchocerca volvulus linear epitopes in a peptid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JP2009537013A (ja) フラビウイルス特異的抗体の検出のための抗原捕捉抗デングIgAELISA(ACA−ELISA)
JP2009537013A6 (ja) フラビウイルス特異的抗体の検出のための抗原捕捉抗デングIgA ELISA(ACA−ELISA)
Schountz et al. Rapid field immunoassay for detecting antibody to Sin Nombre virus in deer mice
Reynaud et al. Precipitins in bird breeder's disease: how useful are they?
Gut et al. Rapid diagnosis of acute mumps infection by a direct immunoglobulin M antibody capture enzyme immunoassay with labeled antigen
Arinola et al. Sars-Cov-2 Infection Screening Using Two Serological Testing Methods: Serologic diagnosis of SARS-CoV-2 infection
KR20230083308A (ko) 노로바이러스 감염 리스크의 유무를 결정하는 방법
JP7489228B2 (ja) SARS-CoV-2由来ヌクレオカプシド断片および該断片を用いて抗SARS-CoV-2抗体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キット
Parija et al. A serological study of cysticercosis in patients with HIV
Xia et al. Serological test is an efficient supplement for detecting RNA to confirm SARS-CoV-2 infection
Ali et al. Detection of Antibodies in Patients with COVID-19 by Rapid Chromatographic Immunoassay.
JP2010513865A (ja) ヒトパルボウイルス抗原の検出方法
Johannesen et al. Prevalence and duration of anti-SARS-CoV-2 antibodies in healthcare workers
Oshitani et al. Laboratory diagnosis of acute measles infections in hospitalized children in Zambia
FR2996918A1 (fr) Antigenes gra recombinants et leur application pour le diagnostic precoce de la toxoplasmose
WO2022123470A1 (en) Saliva based diagnostic assays for detection of sarscov2 receptor binding domain (rbd) neutralizing antibodies
Luis et al. Peral de Bruno María de los Ángeles. Effect of the Third Dose of Astrazeneca Vaccine on the Ability to Generate Anti-Rbd Antibodies within Two at-Risk Populations, Geriatrics and Health Personnel in The Province of Tucumán
Lin et al. Antigen and Antibody T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