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309A -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309A
KR20230082309A KR1020210170118A KR20210170118A KR20230082309A KR 20230082309 A KR20230082309 A KR 20230082309A KR 1020210170118 A KR1020210170118 A KR 1020210170118A KR 20210170118 A KR20210170118 A KR 20210170118A KR 20230082309 A KR20230082309 A KR 2023008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iding
pole
ladder structure
safety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창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309A/ko
Publication of KR2023008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4Ladders attached to structures, such as windows, cornices, poles, or the like
    • E06C1/36Ladders suspendable by hoo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10)는 다수의 발받침대(12)가 다단으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의 상부 양측면에 전주(P)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감싸주면서 전주(P)의 외면과 접촉면적을 넓혀주도록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를 매개로 밴드(30)가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의 하부 양측면에 지면과 밀착면적을 넓혀주도록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를 매개로 지면밀착부재(60)가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사다리(10)를 통해 전주(P)에 승주할 때 사다리(10)가 전주(P)로부터 이탈 및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사다리(10), 연결대(20) 및 곁다리(40)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다리(10)에 승주한 작업자가 작업 중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STRUCTURE FOR SAFETY LADDER OF UTILITY POLE}
본 발명은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되어 전주에 설치되는 사다리가 좌우로 이탈 및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사용자가 직접 다다르지 못하는 높이의 위치로 올라가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다수의 발받침대가 다단으로 연결된 수직지지대를 벽면에 세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받침대를 순차적으로 밟고 올라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전주에는 전주의 승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발판 볼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발판 볼트를 전주 하측에서부터 상측에 이르기까지 모두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누구든지 쉽게 전주에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이는 전기 기술자가 아닌 비전문가나 특히 어린 아이들이 장난으로 전주를 올라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감전사고나 낙상사고 등 각종 안전사고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근래에는 발판 볼트가 없는 강관전주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강관전주는 전선이나 애자 또는 변압기 등의 교체, 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사다리를 휴대하여야만 한다.
강관전주에 대하여 수직지지대의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발받침대로 이루어진 사다리를 사용할 때, 작업자는 통상이러한 사다리의 상단을 원통형의 강관전주에 기대고 하단을 지면에 고정하여 강관전주와 지면 사이에 사다리를 비스듬하게 세운 후에 발받침대를 딛고 일정 높이까지 올라가 장시간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전주의 외면이 원형이고 매끄럽기 때문에 통상 사각 입방체로 이루어진 사다리의 상단에 위치한 발받침대가 맞닿을 때 발받침대가 전주의 외면에 견고히 밀착되지 못하고 미끌어져 균형을 잃는 등 사다리의 상단이 강관전주로부터 쉽게 이탈되면서 작업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사다리는 알루미늄의 도전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사다리의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 하단에는 미끄럼방지구가 설치되어 있을 뿐, 별도의 곁다리 등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다리의 전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481호(2012.05.05.)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연성 및 내구성을 겸비한 사다리의 상단이 전주의 외경에 맞추어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혀서 사다리의 이탈 및 움직임을 방지되도록 하면서 사다리의 하단 좌우측이 지면과 최대한 넓은 각도로 벌어져 사다리의 전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는, 다수의 발받침대가 다단으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를 구비한 사다리; 좌우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제1 결합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전주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대; 및 좌우 한 쌍의 상기 연결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전주의 외면 곡률에 대응하도록 밀착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다리 및 좌우 한 쌍의 연결대는 폴리에틸렌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대는 하단이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결합핀은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연결대가 겹쳐진 정면과 후면 중앙을 관통하도록 리벳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의 양단은 좌우 한 쌍의 상기 연결대의 안쪽 측면 중앙 높이에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때 반원 형태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는 플렉시블한 와이어로프, 가죽, 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는, 다수의 발받침대가 다단으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를 구비한 사다리; 및 좌우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 바깥 측면에 제2 결합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지면에 각각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곁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의 하부 바깥 측면 일정 높이에는 상기 제2 결합핀을 매개로 상기 곁다리가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연결편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곁다리는 상단이 상기 연결편의 개구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결합핀은 상기 연결편과 상기 곁다리가 겹쳐진 정면과 후면 중앙을 관통하도록 리벳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곁다리의 하단에는 지면 높낮이에 맞추어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면서 밀착되도록 제3 결합핀을 매개로 좌우 한 쌍의 지면밀착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지면밀착부재의 하면에는 고무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곁다리는 폴리에틸렌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는 다수의 발받침대가 다단으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의 상부 양측면에 전주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감싸주면서 전주의 외면과 접촉면적을 넓혀주도록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대를 매개로 밴드가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의 하부 양측면에 지면과 밀착면적을 넓혀주도록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곁다리를 매개로 지면밀착부재가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전주에 승주할 때 사다리가 전주로부터 이탈 및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다리, 연결대 및 곁다리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다리에 승주한 작업자가 작업 중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 2(a)(b)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상세 결합도 및 분해도.
도 3(a)(b)는 도 1의 B부분에 대한 상세 결합도 및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 안전장치에 의해 전주에 지지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는, 다수의 발받침대(12)가 다단으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를 구비한 사다리(10); 좌우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14)의 상단에 제1 결합핀(22)을 매개로 연결되어 전주(P)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 좌우 한 쌍의 상기 연결대(20)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전주(P)의 외면 곡률에 대응하도록 밀착되는 밴드(30); 및 좌우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14)의 하부 바깥 측면에 제2 결합핀(42)을 매개로 연결되어 지면에 각각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사다리(10),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 상기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는 폴리에틸렌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는 하단이 상기 수직지지대(14)의 상단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핀(22)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1 결합핀(22)은 상기 수직지지대(14)와 상기 연결대(20)가 겹쳐진 정면과 후면 두께 중앙을 관통하도록 리벳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의 높이는 상기 발받침대(12)와 발받침대(12) 사이 간격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는 상기 제1 결합핀(22)을 매개로 좌우 회전될 때 연결대(20)의 하부 바깥쪽 외측면이 상기 수직지지대(14)의 바깥쪽 내측면에 부딪쳐 수직으로 세워지고, 연결대(20)의 하부 안쪽 외측면이 상기 수직지지대(14)의 안쪽 측면 상단에 부딪쳐 수평으로 눕혀지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드(30)는 플렉시블한 와이어로프, 가죽, 고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30)의 양단은 좌우 한 쌍의 상기 연결대(20)의 안쪽 측면 중앙 높이에 체결부재(32)에 의해 각각 고정되되, 상기 밴드(30)는 상기 체결부재(32)가 고정될 때 반원 형태로 구부려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의 하부 바깥 측면 일정 높이에는 상기 제2 결합핀(42)을 매개로 상기 곁다리(40)가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연결편(5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는 상단이 상기 연결편(50)의 개구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핀(42)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제2 결합핀(42)은 상기 연결편(50)과 상기 곁다리(40)가 겹쳐진 정면과 후면 두께 중앙을 관통하도록 리벳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는 상기 제2 결합핀(42)을 매개로 좌우 회전될 때 곁다리(40)의 상부 바깥쪽 외측면이 상기 연결편(50)의 바깥쪽 내측면에 부딪쳐 경사지게 펼쳐지고, 곁다리(40)의 상부 안쪽 외측면이 상기 수직지지대(14)의 바깥쪽 외측면 부딪쳐 수직으로 접혀지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의 하단에는 지면 높낮이에 맞추어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면서 밀착되도록 제3 결합핀(44)을 매개로 좌우 한 쌍의 지면밀착부재(6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3 결합핀(44)은 상기 연결편(50)과 상기 지면밀착부재(60)가 겹쳐진 정면과 후면 두께 중앙을 관통하도록 리벳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지면밀착부재(60)의 하면에는 고무패드(62)가 부착되어 논슬립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다리(10)를 도 4와 같이 전주(P)에 설치하게 되면, 사다리(10)의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측 상단에 제1 결합핀(22)을 매개로 각각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가 전주(P)의 좌우로 삽입됨과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의 중간 높이에 체결부재(32)를 맥로 체결된 밴드(30)가 전주(P)의 외면 곡률에 맞추어 밀착되면서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를 안쪽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가 제1 결합핀(22)을 회전 중심으로 수직지지대(14)의 상단으로부터 안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때 밴드(30)는 전주(P)의 외면에 대해 전방측과 좌측 및 우측을 동시 감싸주는 반원 형태로 접촉면적을 넓혀주기 때문에 사다리(10)의 상부가 이탈 및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안전하게 잡아주게 된다.
또한, 사다리(10)측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의 하부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직지지대(14)의 바깥쪽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를 펼쳐주면, 이들 곁다리(40)는 수직지지대(14)의 일정 높이에 고정된 연결편(50)과 곁다리(40)를 연결하는 제2 결합핀(42)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다가 연결편(50)에 걸려 일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펼쳐진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는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동시 안착되기 때문에 사다리(10)가 좌우로 넘어지는 전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의 하부에 제3 결합핀(44)을 매개로 연결된 지면밀착부재(60)는 지면의 높낮이가 다른 불균형에 대응하여 좌우로 유동되면서 지면과 최대한 밀착면적을 넓혀주게 되고, 지면밀착부재(60)의 하면에 부착된 고무패드(62)에 의해 미끄러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사다리(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해 주게 된다.
이 처럼, 본 발명의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10)는 다수의 발받침대(12)가 다단으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의 상부 양측면에 전주(P)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감싸주면서 전주(P)의 외면과 접촉면적을 넓혀주도록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대(20)를 매개로 밴드(30)가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14)의 하부 양측면에 지면과 밀착면적을 넓혀주도록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곁다리(40)를 매개로 지면밀착부재(60)가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사다리(10)를 통해 전주(P)에 승주할 때 사다리(10)가 전주(P)로부터 이탈 및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다리(10), 연결대(20) 및 곁다리(40)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다리(10)에 승주한 작업자가 작업 중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사다리 12 : 발받침대
14 : 수직지지대 20 : 연결대
22 : 제1 결합핀 30 : 밴드
32 : 체결부재 40 : 곁다리
42 : 제2 결합핀 44 : 제3 결합핀
50 : 연결편 60 : 지면밀착부재
62 : 고무패드 P : 전주

Claims (15)

  1. 다수의 발받침대가 다단으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를 구비한 사다리;
    좌우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제1 결합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전주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연결대; 및
    좌우 한 쌍의 상기 연결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전주의 외면 곡률에 대응하도록 밀착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폴리에틸렌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연결대는 폴리에틸렌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연결대는 하단이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핀은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연결대가 겹쳐진 정면과 후면 중앙을 관통하도록 리벳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양단은 좌우 한 쌍의 상기 연결대의 안쪽 측면 중앙 높이에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때 반원 형태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플렉시블한 와이어로프, 가죽, 고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9. 다수의 발받침대가 다단으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수직지지대를 구비한 사다리; 및
    좌우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 바깥 측면에 제2 결합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지면에 각각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곁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 바깥 측면 일정 높이에는 상기 제2 결합핀을 매개로 상기 곁다리가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도록 하부가 개구된 연결편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곁다리는 상단이 상기 연결편의 개구 내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핀은 상기 연결편과 상기 곁다리가 겹쳐진 정면과 후면 중앙을 관통하도록 리벳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곁다리의 하단에는 지면 높낮이에 맞추어 좌우 일정 각도로 각각 회전되면서 밀착되도록 제3 결합핀을 매개로 좌우 한 쌍의 지면밀착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지면밀착부재의 하면에는 고무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곁다리는 폴리에틸렌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KR1020210170118A 2021-12-01 2021-12-01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KR20230082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18A KR20230082309A (ko) 2021-12-01 2021-12-01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18A KR20230082309A (ko) 2021-12-01 2021-12-01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309A true KR20230082309A (ko) 2023-06-08

Family

ID=8676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118A KR20230082309A (ko) 2021-12-01 2021-12-01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3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81Y1 (ko) 2010-02-23 2012-05-25 주식회사 금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81Y1 (ko) 2010-02-23 2012-05-25 주식회사 금호 사다리 고정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36724B2 (en) Modular Play Set
US3572698A (en) Playground shelter
US10240392B2 (en) Vertically oriented ladder apparatus for allowing a climber to adopt an improved climbing stance in use
US20230203887A1 (en) Ladder structure for frame bed
US20210196995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KR20230082309A (ko) 전주 승주용 안전 사다리 구조체
AU2020100642B4 (en) A playground apparatus
KR101229098B1 (ko)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US3633708A (en) Flexible ladder
US2648539A (en) Playground climber
US20120000727A1 (en) Safe Ascend Bosun's Chair
CN209469355U (zh) 一种防止滑落的园林爬树梯
CN217782788U (zh) 一种新型建筑工程用脚手架
KR102652873B1 (ko) 전주용 지지대
CN208319868U (zh) 脚扣加固器以及支撑防滑脚扣
CN207253631U (zh) 一种攀爬游乐设备
CN213743190U (zh) 一种防坠的绝缘伸缩梯及其人字梯
CN214344306U (zh) 一种用于升降教学与训练一体装置
CN208024264U (zh) 一种建筑电气施工安全防护装置
KR20130002098U (ko) 전주용 슬라이딩 사다리
KR200412678Y1 (ko) 지그재그 승탑 사다리
KR20110135765A (ko) 전주용 간이 사다리
CN207506909U (zh) 一种带有吊桩和吊环的攀爬桥
KR102579776B1 (ko) 휴대가 가능한 전주용 작업발판
CN205669337U (zh) 一种新型通信内爬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