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233A -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233A
KR20230082233A KR1020210169959A KR20210169959A KR20230082233A KR 20230082233 A KR20230082233 A KR 20230082233A KR 1020210169959 A KR1020210169959 A KR 1020210169959A KR 20210169959 A KR20210169959 A KR 20210169959A KR 20230082233 A KR20230082233 A KR 2023008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hamber
boil
air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399B1 (ko
Inventor
최진용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3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8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6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23G7/06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63J2099/001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 B63J2099/003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of cargo oil or fuel, or of boil-off gases, e.g. for propulsive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이동식 가스소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는, 선박에 탈착가능한 이동식 본체; 상기 이동식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에서 액화가스가 저장된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온하는 프리히터; 상기 이동식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리히터에서 가온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챔버부; 상기 프리히터로부터 상기 연소챔버부로 증발가스를 이송하는 가스라인; 및 상기 가스라인에 마련되어 연소챔버부로 공급될 증발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가스소각장치{Portable Gas Combustion Unit}
본 발명은 이동식 가스소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탈착가능한 이동식 본체에,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온하는 프리히터, 가온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챔버부가 구비되어 선박에 탈착하여 선내 저장탱크의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연소시켜 처리할 수 있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등의 액화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추세이다. 가스를 저온에서 액화시킨 액화가스는 가스에 비해 부피가 매우 작아지므로 저장 및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화천연가스를 비롯한 액화가스는 액화공정 중에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어, 연소 시 대기오염 물질 배출이 적은 친환경 연료로도 볼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약 -162℃로 냉각해서 액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천연가스와 비교해 약 1/600 정도의 부피를 가진다. 따라서,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이송할 경우 매우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액화 온도는 상압 -162℃의 극저온이므로, 액화천연가스는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쉽게 증발된다. 이로 인해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에는 단열처리를 하지만, 외부의 열이 저장탱크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므로 액화천연가스 수송과정에서 저장탱크 내에서는 지속적으로 액화천연가스가 자연 기화되면서 증발가스(Boil-Off Gas, BOG)가 발생한다.
증발가스는 일종의 손실로서 수송효율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저장탱크 내에 증발가스가 축적되면 탱크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어, 심하면 탱크가 파손될 위험도 있다. 따라서, 저장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는데, 최근에는 증발가스의 처리를 위해, 증발가스를 재액화하여 저장탱크로 복귀시키는 방법, 증발가스를 선박의 엔진 등 연료수요처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후에도 남는 증발가스는 가스소각장치를 통해 태워 없애기도 한다.
LNG 운반선의 경우 화물창에 저장되는 LNG의 양이 많으므로 그에 비례하여 다량의 증발가스가 발생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대개 재액화장치, 가스소각장치 등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LNG를 선내 엔진 등의 연료로만 사용하는 LNG 추진 선박에서는, 선가가 높으며 추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박 구조 상 많은 제약이 따르는데 비해,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의 양은 많지 않으므로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연료로 공급하는 장치 외에 재액화 장치나 가스소각장치(GCU) 등의 증발가스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는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LNG 추진 선박의 항해 중에는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선내 기관 등 연료로 공급하여 처리할 수 있으나, 연료탱크에 LNG를 채우는 벙커링(Bunkering) 시에는 선내 기관의 연료 소모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반면 벙커링 과정에서 평상시에 비해 다량의 증발가스가 발생한다. 그런데 벙커링 선박에 설치되는 재액화 장치나 GCU의 처리 용량으로는 피(被)벙커링 선박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까지 회수하여 처리하기 어렵고, 대기배출 없이 BOG를 완전처리하기 위해서는 벙커링률(bunkering rate)을 낮출 수밖에 없어, 벙커링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벙커링 시 발생하는 BOG를 처리하면서, 벙커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LNG 추진 선박을 건조하여 시운전하기 위해 수행되는 최초 냉각(initial cool down)과 같은 때에는 운항 시에 비해 더욱 많은 증발가스가 발생하므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탈착가능한 이동식 본체;
상기 이동식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에서 액화가스가 저장된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온하는 프리히터;
상기 이동식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리히터에서 가온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챔버부;
상기 프리히터로부터 상기 연소챔버부로 증발가스를 이송하는 가스라인; 및
상기 가스라인에 마련되어 연소챔버부로 공급될 증발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히터에서 가온된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챔버부로 이송하는 가스블로워; 상기 프리히터로부터 상기 가스블로워를 우회하여 상기 압력조절밸브 전단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마련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은 LNG를 선내 기관 연료로 사용하는 LNG 추진 선박이며, 상기 저장탱크는 선내 기관 연료로 공급될 LNG를 선외에서 공급받아 저장하는 독립형 B-Type 탱크 또는 독립형 C-Type 탱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챔버부는, 챔버본체; 상기 챔버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증발가스의 연소를 위해 공급될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챔버; 및 상기 챔버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챔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가스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증발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챔버부의 챔버본체는, 상기 버너가 수용되며 증발가스의 연소를 위한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챔버; 상기 이너챔버의 외측에서 이격을 두고 마련되는 아우터챔버:를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챔버부는, 상기 에어챔버로부터 이너챔버 하부로 증발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에어웨이; 및 상기 아우터챔버 내부로부터 이너챔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이너챔버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2차 에어웨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챔버의 공기는 상기 아우터챔버와 이너챔버 사이의 이격 공간을 거쳐 상기 2차 에어웨이를 통해 상기 이너챔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챔버부는, 상기 이너챔버의 상부 측벽을 관통하여 마련되어 상기 이격 공간으로부터 이너챔버 상부로 연소가스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가스쿨링홀; 상기 이너챔버 상부로부터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스배출배관; 상기 가스배출배관에 마련되며 외부 배출될 상기 연소가스를 냉각하는 쿨링타워; 및 상기 쿨링타워에 연소가스 냉각을 위한 해수를 분사하는 쿨링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챔버부는, 상기 에어챔버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노즐; 및 상기 에어챔버에 마련되는 에어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너로 증발가스 연소를 위해 공급될 오일을 저장하는 MGO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식 본체는 컨테이너형 또는 이동식 SKID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박에는 상기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재액화 장치 또는 GCU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선박의 벙커링 중 발생하는 증발가스 또는 선박 건조 후 시운전 시 최초 냉각으로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를 부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는 컨테이너형이나 이동식 SKID와 같이 선박에 탈착가능한 이동식 본체에,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온하는 프리히터, 가온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챔버부가 구비되어, 선박에 탈착하여 선내 저장탱크의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연소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LNG 추진 선박에 별도로 재액화장치나 GCU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벙커링 시나 LNG 추진 선박을 건조하여 시운전하기 위해 수행되는 최초 냉각(initial cool down)과 같이 일시적으로 다량의 증발가스가 발생할 때, LNG 추진 선박에 본 발명 장치를 적용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증발가스를 완전연소시켜 처리할 수 있어, 벙커링 시간을 단축하고 연료탱크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가스소각장치에서 연소챔버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연소챔버부에서 이중벽으로 된 챔버본체 상부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후술하는 본 실시예에서 액화가스는 저온으로 액화시켜 수송될 수 있고, 저장된 상태에서 증발가스가 발생하며 선내 기관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액화가스일 수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는 예를 들어 LNG(Liquefied Natural Gas), LEG(Liquefied Ethane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액화프로필렌가스(Liquefied Propylene Gas) 등과 같은 액화석유화학가스일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액화가스인 LNG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가스소각장치에서 연소챔버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연소챔버부에서 이중벽으로 된 챔버본체 상부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식 가스소각장치(MGCU)는 선박에 부착하여 선박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이송받아 연소시켜 처리하는 장치로, 선박에 탈착가능한 이동식 본체, 이동식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선박에서 액화가스가 저장된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온하는 프리히터(100), 이동식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프리히터에서 가온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챔버부(300), 프리히터로부터 연소챔버부로 증발가스를 이송하는 가스라인(GL), 가스라인에 마련되어 연소챔버부로 공급될 증발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PCV1, PCV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이동식 가스소각장치(MGCU)가 탈착되는 선박은 대표적인 예로, LNG를 선내 기관 연료로 사용하는 LNG 추진 선박일 수 있고, 그 외에도 증발가스 처리가 필요한 선박에 본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LNG 추진 선박은 육상 설비나 탱크 로리차량 등으로부터 LNG를 공급받을 수도 있고, 해상에서 벙커링 선박에 의해 LNG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LNG 추진 선박에는 통상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연료로 소비하여 처리하는 외에 별도의 재액화 장치 또는 GCU가 설치되지 않는데, 선박의 벙커링 중에는 발생하는 증발가스나 선박 건조 후 시운전 시 최초 냉각 시 발생하는 증발가스 등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때에 본 실시예의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를 선박에 부착하여 증발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동식 가스소각장치의 이동식 본체는 컨테이너형 또는 이동식 SKID와 같이 선박에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본 이동식 가스소각장치(MGCU)를 이동시켜 선박과 연결배관(CL)에 의해 연결하고, 증발가스 처리가 완료되면 본 실시예의 가스소각장치는 선박에서 분리하여 타 선박에 사용하거나, 추후에 증발가스 처리가 필요할 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LNG 추진 선박에 마련되는 저장탱크(미도시)는 선내 기관 연료로 공급될 LNG를 선외에서 공급받아 저장하는 독립형 B-Type 탱크 또는 독립형 C-Type 탱크일 수 있다.
또한 이동식 가스소각장치(MGCU)에는, 프리히터에서 가온된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연소챔버부로 이송하는 가스블로워(200a, 200b)와, 프리히터로부터 가스블로워를 우회하여 압력조절밸브 전단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GLa), 바이패스라인에 마련되는 바이패스밸브(BV)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연소챔버부로 이송하는 가스블로워(200a, 200b)와, 이를 우회하여 연소챔버부로 증발가스를 이송할 수 있는 바이패스라인(GLa) 및 바이패스밸브(BV)를 구비함으로써, LNG 추진 선박에 LNG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용 저장탱크로 주로 채용되는 독립형 B-Type 탱크 또는 독립형 C-Type 탱크, 두 가지 타입 중 어떤 탱크가 적용된 경우라도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본 이동식 가스소각장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형 B-Type 탱크가 적용된 경우, 저장탱크로부터 가스배출라인(VL)을 통해 배출된 증발가스는 연결배관(CL)을 거쳐 이동식 가스소각장치(MGCU)로 이송된다. 증발가스는 프리히터(100)를 거쳐 온도를 상승시킨 후 가스블로워(200a, 200b)에서 가온된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연소챔버부(300)로 이송하여 연소시켜 처리한다. 독립형 C-Type 탱크가 적용된 경우, 저장탱크로부터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로 이송된 증발가스는 프리히터(100)를 거친 후 바이패스라인(GLa)을 통해 가스블로워를 우회하여 압력조절밸브 전단으로 이송되고, 압력조절밸브(PCV1, PCV2)를 거쳐 감압된 후 연소챔버부(300)에서 연소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챔버부(300)는, 챔버본체(310), 챔버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증발가스의 연소를 위해 공급될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챔버(320), 챔버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에어챔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가스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증발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330)를 포함한다.
연소챔버부의 챔버본체(310)는 버너가 수용되며 증발가스의 연소를 위한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챔버(310b)와, 이너챔버의 외측에서 이격을 두고 마련되는 아우터챔버(310a)를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소챔버부는, 에어챔버로부터 이너챔버 하부로 증발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에어웨이(322), 아우터챔버 내부로부터 이너챔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이너챔버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2차 에어웨이(324)를 포함하여, 에어챔버의 공기는 아우터챔버(310a)와 이너챔버(310b) 사이의 이격 공간을 거쳐 2차 에어웨이(324)를 통해 이너챔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버너(330)에서는 이너챔버 하부의 1차 에어웨이(322)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증발가스를 연소시키고, 하부 측벽의 2차 에어웨이(324)를 통해 아우터챔버와의 이격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불완전 연소된 증발가스는 2차 연소된다.
연소챔버부에서, 이너챔버(310b)의 상부 측벽을 관통하는 가스쿨링홀(325)이 마련되어 아우터챔버와의 이격 공간으로부터 이너챔버 상부로 연소가스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연소챔버부에는 이너챔버 상부로부터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스배출배관(EL)이 구비된다. 이너챔버에서 증발가스가 완전 연소되며 발생한 연소가스는 이너챔버 상부로 올라가면서 가스쿨링홀(325)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가스배출배관(EL)으로 배출된다.
가스배출배관에는 외부 배출될 연소가스를 냉각하는 쿨링타워(CT)와, 쿨링타워에 연소가스 냉각을 위한 해수를 분사하는 쿨링노즐(340)이 마련된다. 이너챔버로부터 가스배출배관으로 배출된 연소가스는 쿨링타워를 통과하면서 쿨링노즐에서 분사된 해수에 의해 냉각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해수에 의해 연소가스에 포함된 그을음, 대기오염물질 등이 제거될 수도 있다.
연소챔버부에는, 에어팬 등을 거쳐 에어라인(ACL)을 통해 에어챔버(32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노즐(321)이 마련되고, 에어챔버에는 에어댐퍼(323)가 마련된다.
가스소각장치에서는 증발가스에 질소 등 다른 성분의 유무나 함량 등에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증발가스를 완전연소시킬 수 있도록 버너에서는 오일을 공급받아 증발가스 연소에 이용할 수 있고, 이처럼 버너에 공급될 오일을 저장하는 MGO 탱크(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이동식 가스소각장치에는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질소실린더(NC)가 마련되고, 질소실린더로부터 가스라인의 프리히터 전단 및 압력조절밸브 전단으로 연결되는 질소공급라인(NL)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를 연결한 선박의 증발가스 연소 처리가 완료되면 질소실린더로부터 질소공급라인을 통해 질소를 소각장치 내부로 공급하고 통과시켜 배관 및 장치를 퍼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MGCU: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100: 프리히터
200a, 200b: 가스블로워
300: 연소챔버부
GL: 가스라인
GLa: 바이패스라인
PCV1, PCV2: 압력조절밸브
BV: 바이패스밸브

Claims (10)

  1. 선박에 탈착가능한 이동식 본체;
    상기 이동식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선박에서 액화가스가 저장된 저장탱크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가온하는 프리히터;
    상기 이동식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프리히터에서 가온된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챔버부;
    상기 프리히터로부터 상기 연소챔버부로 증발가스를 이송하는 가스라인; 및
    상기 가스라인에 마련되어 연소챔버부로 공급될 증발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히터에서 가온된 증발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챔버부로 이송하는 가스블로워;
    상기 프리히터로부터 상기 가스블로워를 우회하여 상기 압력조절밸브 전단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마련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LNG를 선내 기관 연료로 사용하는 LNG 추진 선박이며,
    상기 저장탱크는 선내 기관 연료로 공급될 LNG를 선외에서 공급받아 저장하는 독립형 B-Type 탱크 또는 독립형 C-Type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부는
    챔버본체;
    상기 챔버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증발가스의 연소를 위해 공급될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챔버; 및
    상기 챔버본체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챔버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가스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증발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포함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부의 챔버본체는
    상기 버너가 수용되며 증발가스의 연소를 위한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챔버; 및
    상기 이너챔버의 외측에서 이격을 두고 마련되는 아우터챔버:를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부는
    상기 에어챔버로부터 이너챔버 하부로 증발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에어웨이; 및
    상기 아우터챔버 내부로부터 이너챔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이너챔버의 하부 측벽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2차 에어웨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챔버의 공기는 상기 아우터챔버와 이너챔버 사이의 이격 공간을 거쳐 상기 2차 에어웨이를 통해 상기 이너챔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부는
    상기 이너챔버의 상부 측벽을 관통하여 마련되어 상기 이격 공간으로부터 이너챔버 상부로 연소가스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가스쿨링홀;
    상기 이너챔버 상부로부터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가스배출배관;
    상기 가스배출배관에 마련되며 외부 배출될 상기 연소가스를 냉각하는 쿨링타워; 및
    상기 쿨링타워에 연소가스 냉각을 위한 해수를 분사하는 쿨링노즐: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부는
    상기 에어챔버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노즐; 및
    상기 에어챔버에 마련되는 에어댐퍼: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로 증발가스 연소를 위해 공급될 오일을 저장하는 MGO 탱크: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본체는 컨테이너형 또는 이동식 SKID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박에는 상기 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재액화 장치 또는 GCU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선박의 벙커링 중 발생하는 증발가스 또는 선박 건조 후 시운전 시 최초 냉각으로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를 부착하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KR1020210169959A 2021-12-01 2021-12-01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KR102632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959A KR102632399B1 (ko) 2021-12-01 2021-12-01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959A KR102632399B1 (ko) 2021-12-01 2021-12-01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33A true KR20230082233A (ko) 2023-06-08
KR102632399B1 KR102632399B1 (ko) 2024-02-01

Family

ID=8676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959A KR102632399B1 (ko) 2021-12-01 2021-12-01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3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159A (ko) * 2005-03-18 2006-09-22 사케 지엠비에잇지 앤드 컴퍼니 케이지 보일-오프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기유니트를 갖는액화가스 탱커
KR20110008140A (ko) * 2009-07-18 2011-01-26 햄워디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증발 가스 소각로
KR20110012917A (ko) * 2009-07-31 2011-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증발 가스 처리 장치
KR20160003837U (ko) * 2015-04-28 2016-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통합형 igg/gcu 및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20170120835A (ko) * 2016-04-22 2017-11-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80049524A (ko) * 2016-11-03 2018-05-11 송효덕 소각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159A (ko) * 2005-03-18 2006-09-22 사케 지엠비에잇지 앤드 컴퍼니 케이지 보일-오프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기유니트를 갖는액화가스 탱커
KR20110008140A (ko) * 2009-07-18 2011-01-26 햄워디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증발 가스 소각로
KR20110012917A (ko) * 2009-07-31 2011-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증발 가스 처리 장치
KR20160003837U (ko) * 2015-04-28 2016-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통합형 igg/gcu 및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20170120835A (ko) * 2016-04-22 2017-11-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80049524A (ko) * 2016-11-03 2018-05-11 송효덕 소각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399B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184B1 (ko) 가스구동선박용 연료시스템
KR101631176B1 (ko) 듀얼 연료시스템이 마련된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KR101643086B1 (ko) 듀얼 연료시스템이 마련된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WO2016122028A1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941314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505796B1 (ko) 선박의 엔진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가스 배출장치
JP2016508916A (ja) 船舶の燃料ガス供給装置及び船舶の燃料ガス供給方法
KR101826687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571417B1 (ko) 선박의 가스 배출장치
KR102632399B1 (ko)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KR101681716B1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203B1 (ko) 선박의 연료 가스 공급 장치
KR101823028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38059B1 (ko) 선박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102452821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506402B2 (ja) 船舶および燃料ガスの供給方法
KR102189782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KR20200075199A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1264891B1 (ko)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638284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2858A (ko) 원유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KR20240046368A (ko) 컨테이너선의 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1911A (ko) 선박의 연료 가스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30162859A (ko) 원유운반선의 연료공급방법
KR20150113240A (ko) 액화연료가스 탱크의 예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