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835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835A
KR20170120835A KR1020160049208A KR20160049208A KR20170120835A KR 20170120835 A KR20170120835 A KR 20170120835A KR 1020160049208 A KR1020160049208 A KR 1020160049208A KR 20160049208 A KR20160049208 A KR 20160049208A KR 20170120835 A KR20170120835 A KR 2017012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ack
gas
combustion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795B1 (ko
Inventor
유승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9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6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engine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B63B2701/10
    • B63B2704/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63J2099/001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 B63J2099/003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of cargo oil or fuel, or of boil-off gases, e.g. for propulsive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4Gaseous waste or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돌; 선박 내부의 상기 연돌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선박을 추진시키는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룸; 및 상기 연돌 내부에 구비되며,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해 증발가스를 연소하여 소각하는 가스연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상기 가스연소장치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Vessel}
본 발명은 선박에 대한 것이다.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인 선박은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공급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LNG는 청정연료로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고, 채광과 이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LNG는 주성분인 메탄을 1기압 하에서 -162℃ 이하로 온도를 내려서 액체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액화된 메탄의 부피는 표준 상태인 기체상태의 메탄 부피의 600분의 1 정도이고, 비중은 0.42로 원유 비중의 약 2분의 1이 된다.
이러한 LNG를 액상으로 보관할 때 탱크로 열침투가 발생함에 따라 일부 LNG가 기화되어 증발가스(BOG: Boil off Gas)가 생성되는데, 증발가스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증발가스를 가스연소장치(Gas Combustion Unit)를 이용하여 소각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가스연소장치는 산소를 이용하여 증발가스를 발화시켜 소각한다. 증발가스의 연소 조절에는 산소의 공급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연소된 증발가스를 희석(Dilution)시키기 위해서도 공기의 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스연소장치 내부에 산소를 포함한 공기를 공급하는 다양한 구조인 팬(Fan)을 가지며, 팬에는 Dilution Fan 및 Combustion Fan이 있다.
이에 종래 가스연소장치는 Dilution Fan 및 Combustion Fan을 구비하고, 가스연소장치가 구비되는 선박의 연돌에는, 각각의 팬을 통해 외부 공기를 가스연소장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각각의 팬과 외부를 연결하는 덕트들이 구성되는 공기유입실(Air intake Room)이 설치되어야 했고, 이로 인해 선박의 연돌 공수가 많이 들고, 설계가 복잡해지며, 구축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돌 내부에 공기유입실을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연돌의 구조를 단순화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돌; 선박 내부의 상기 연돌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선박을 추진시키는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룸; 및 상기 연돌 내부에 구비되며,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해 증발가스를 연소하여 소각하는 가스연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상기 가스연소장치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연소장치는 연소공기와 희석공기를 통해 증발가스를 연소하고, 상기 팬은, 상기 연소공기와 상기 희석공기를 통합하여 상기 가스연소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소공기와 상기 희석공기를 통해 증발가스를 연소하여 소각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로 상기 연소공기와 상기 희석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챔버; 및 상기 에어챔버로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챔버는,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상기 연소공기와 상기 희석공기로 나누어 상기 연소기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팬은, 다면체로 형성되는 상기 에어 챔버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측면, 각각에 두 개씩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팬은, 다면체로 형성되는 상기 에어 챔버의 정면, 상기 정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면, 상기 정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하여 연장되는 좌면 및 상기 좌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우면 각각에 한 개씩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돌의 내부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유입장치는, 루버이며 상기 연돌의 상기 가스연소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선박의 후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룸과 상기 연돌을 구획하는 상부 갑판; 상기 엔진룸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엔진룸 데크; 및 상기 연돌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연돌 데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갑판, 상기 엔진룸 데크 및 상기 연돌 데크는,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순환하기 위한 개구부(Opening); 및 상기 엔진룸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 순환양을 증가시키는 추가 홀(additional Hol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가 홀은, 상기 개구부 대비 40 내지 50%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연돌의 구조 및 설계가 단순해지고 연돌의 공수가 적게 들어 구축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가 장착된 연돌과 엔진룸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가 장착된 연돌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가 장착된 연돌 내부의 해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가 설치된 엔진룸 내부의 공기유동에 관한 해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액화가스는 LPG, LNG, 에탄 등일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LNG(Liquefied Natural Gas)를 의미할 수 있으며, 증발가스는 자연 기화된 LNG 등인 BOG(Boil Off Gas)를 의미할 수 있다.
액화가스는 액체 상태, 기체 상태, 액체와 기체 혼합 상태, 과냉 상태, 초임계 상태 등과 같이 상태 변화와 무관하게 지칭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 역시 마찬가지임을 알려 둔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 대상이 액화가스로 한정되지 않고,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또는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가 장착된 연돌과 엔진룸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가 장착된 연돌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의 개념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가 장착된 연돌 내부의 해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연돌(10), 선실(20), 엔진룸(30), 화물창(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돌(10)은, 선박(1)의 선미부분에 엔진룸(30) 상부의 상부갑판(1a)에 위치하며, 선박(1)의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 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선박(1)의 화물창(4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Boiled-Off Gas) 또는 연료를 저장한 액화가스 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가스연소장치(100)에서 소각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연돌(10)은, 엔진룸(30)과 연돌(10)을 구획하는 상부 갑판(1a)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해 A-데크(11), B-데크(12), C-데크(13), D-데크(14) 순으로 연돌(10) 내부를 각각 구획하는 데크들이 마련될 수 있다.
연돌(10)은 A-데크(11)상에 가스연소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가스연소장치(100)를 위한 다양한 주변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배관(도시하지 않음)들이 구비될 수 있다.
A-데크(11) 내지 D-데크(14)에는 연돌(10) 내부의 공기가 서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Opening; 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고, 연돌(10) 내부의 공기 순환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가 홀(additional Hole; h)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 및 추가 홀은 엔진룸(30)에서 연돌(10)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추가 홀(h)은, 개구부 대비 40 내지 50%의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2%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서는 A-데크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종래보다 더 증가하게되어(대략 40%), 가스연소장치(1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연돌(10)에 선박(1) 외부 공기를 가스연소장치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실의 설치를 배제하고 연돌 내부 공기로만으로 가스연소장치(10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가스연소장치(100)는, 연돌(10) 내부, 구체적으로는, 연돌(10)의 A-데크(11) 상에 배치되며, 하우징(110), 연소케이스(110), 연소기(120), 팬(130), 에어챔버(140), 증발가스 저장탱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연소케이스(111), 연소기(120)를 둘러싸며, 에어챔버(140)의 상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일측이 연돌(10)의 최상측 외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에어챔버(140)와 연결되어 연돌 내부(10)의 각 데크(11-14)를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연소기(120)에서 연소된 가스를 연돌(10) 내부에 유동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연소케이스(11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하우징(110)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연소기(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희석공기유입홀(111a)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연소공기유입홀(111b)이 형성된다. 또한, 연소케이스(111)는 내부에 디플렉터(112)를 구비하여 연소기(120)에서 연소된 배기가스가 연소케이스(111) 내에 퍼져 흐름이 멈추도록 하지 않고 연소케이스(111)를 따라 안전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소기(120)는, 연소케이싱(111) 내에 위치하여 연소케이싱(111)에 의해 지지되고, 팬(13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해 증발가스 저장탱크(150)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연소시켜 소각한다. 구체적으로, 연소기(120)는 팬(13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에어챔버(140)를 거쳐 연소공기유입홀(111b)에 의해 연소공기로 유입되어 증발가스와 함께 연소되어 소각되며, 소각된 가스는 희석공기유입홀(111a)로 유입되는 희석공기로 씰링 및 희석이 진행되고 이후 디플렉터(112)에 의해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팬(130)은, 연돌(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엔진룸(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또는 연돌(10)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희석공기와 연소공기를 통합하여 에어챔버(140)로 공급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가스연소장치에 구비되는 팬은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연돌(10)의 외면에 외기와 직접적으로 대면하도록 형성되었다. 이로 인해 팬과 가스연소장치의 에어챔버로 연결하기 위한 덕트가 길게 형성되는 공기유입실이 마련되었고, 연돌의 내부 공간에 공기유입실이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 연돌의 설계가 복잡하고 공수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연소공기와 희석공기를 각각 따로 흡입하도록 하여 그 연소공기유입실 및 희석공기유입실이 모두 연돌(10)에 마련됨으로써 더욱 연돌의 설계가 복잡하고 공수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돌(10) 내부에 공기유입실을 제거하고, 팬(130)을 외기와 대면하는 것이 아닌 연돌(10) 내부에 마련하도록 하며, 희석공기와 연소공기를 별도로 흡입하는 것이 아닌 통합하여 하나의 팬(130)에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연돌(10)의 설계가 단순해지고, 공수가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팬(130)은 엔진룸(30) 또는 연돌(10) 내부에 설치되는 각 데크들에 형성되는 개구부 또는 추가 홀(h)에 의해서 팬(130)에 위치된 연돌(1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활발히 일어나 가스연소장치(100)로 공급되는 공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팬(130)은 복수 개 구비되어, 에어챔버(140)에 약 45도 각도로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에어챔버(140)의 일측면 및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각각에 두 개씩 구비(도 3 참조)되거나 또는 에어챔버(140)의 정면, 정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면, 정면과 후면을 연결하여 연장되는 좌면 및 좌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우면 각각에 한 개씩 구비(도 4 참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팬(130)의 연결구조를 통해 에어챔버(140)로 유입되는 공기들의 교란을 방지하고 팬(130)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에어챔버(140)는, 팬(130)와 약 45도 각도로 연결되어 다면체로 형성되며, 하우징(110) 및 연소케이싱(111)과 연결되고, 팬(130)을 통해 공급받은 공기를 연소기(120)로 희석공기 또는 연소공기가 분리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챔버(140)는, 저장된 공기를 하우징(110)과 연소케이싱(111)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공급하여, 연소케이싱(111)의 측면에 마련되는 희석공기유입홀(111a)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희석공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연소케이싱(111)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연소공기유입홀(111b)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연소공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증발가스 저장탱크(150)는, 화물창(40)에 저장된 액화가스 또는 연료 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액화가스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연소기(120)로 증발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증발가스 저장탱크(150)는 연소기(120)와 증발가스 공급라인(152)으로 연결되며, 증발가스 저장탱크(150)에 저장된 증발가스는 증발가스 공급라인(152)을 유동하여 연소기(120)로 유입되고, 증발가스 공급라인(152) 상에 구비되는 증발가스 조절밸브(151)에 의해 그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연돌(10)은, 선박(1)의 외부 공기를 연돌(1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을 제어하는 루버(Louver; 15) 및 엔진(31) 또는 발전엔진(도시하지 않음)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덕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루버(15)는, 연돌(10)에서 선미방향의 면에 배치되며 가스연소장치(100)의 팬(130)이 구비되는 데크인 A-데크(11) 상의 공간에 설치되고, 선박(1)의 외부 공기를 연돌(1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루버(15)는, 가스연소장치(100)의 가동으로 인해 엔진룸(30) 내부 공기의 유동 및 압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즉 가스연소장치(100)의 가동으로 인해 엔진룸(30) 내부의 공기가 가스연소장치(100)로 유입됨으로써 엔진룸(30)에 음압이 발생하는 경우, 선박(1)의 외부 공기를 연돌(10)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효과는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연소장치가 설치된 엔진룸 내부의 공기유동에 관한 해석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루버(15)의 작동전(도 7(b))에는 엔진룸(30)의 공기를 흡입하여 팬(130)이 엔진룸(30)에서 흡입된 공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경우 엔진룸(30)에서 음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돌(10)의 B-데크(12) 및 C-데크(13)로 유입되는 불필요한 공기들이 많이 발생하여 팬(130)으로 유입되는 공기들이 적어질 수 있다. 이때, 루버(15)를 작동하여(도 7(a)) 엔진룸(30)의 공기가 흡입되더라도 루버(15)를 통해 팬(130)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많아지므로, 엔진룸(30)에 음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돌(10)의 B-데크(12) 및 C-데크(13)로 유입되는 불필요한 공기가 줄어들도록 하여 팬(130)이 위치한 공간인 A-데크(11)에 공기들이 많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루버(15)는, 다수의 얇고 긴 평판(도시하지 않음)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늘어놓도록 하여, 격자상으로 형성하여, 평판의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의 유입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버(15)는 가스연소장치(100)의 구동시 외기를 유입시켜 엔진룸(30) 및 연돌(10)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안전하게 제어하고 진동의 발생 및 소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배기덕트(16)는 연돌(10) 내부에 마련되어 엔진(31) 또는 발전엔진까지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엔진(31) 또는 발전엔진(도시하지 않음)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배기덕트(16)는, 끝단이 연돌(10)의 최상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엔진(31) 또는 발전엔진과 연결되어 엔진룸(30)의 각 데크들 및 연돌(10)의 각 데크(11-14)들을 연통하며, 엔진(31) 또는 발전엔진에서 연료가 연소된 후의 연소물들인 배기가스를 선박(1) 내부에 유출시키지 않고 선박(1)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다.
선실(20)은, 선미방향의 연돌(10)의 전방에 위치하며, 선박(1)의 종류에 따라 선체(부호 도시하지 않음)의 중앙부, 선수부에도 위치할 수 있다. 선실(20)은 선박(1)에 거주하는 선원(도시하지 않음)이 거주하는 구역으로, 조타실, 배전실, 숙식실 등이 마련되어 있다.
선실(20)은, 이하 공지의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엔진룸(30)은, 선박(1) 내부의 연돌(10) 하측에 위치하며 선박(1)을 추진시키는 엔진(31)을 수용한다. 엔진룸(30)에는 선박(1)을 추진시키는 엔진(31) 외에 선박(1)에 사용되는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엔진(도시하지 않음; 일례로, DFDE 또는 DFDG), 스팀 또는 온수를 발생시키는 보일러(Boiler;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엔진(31)은, 연료를 공급받아 선박(1)을 추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엔진(31)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내부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왕복운동 함에 따라,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 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 축(32)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31)의 구동 시 최종적으로 프로펠러 축(32)에 연결된 프로펠러(33)가 회전함에 따라 선박(1)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엔진룸(30)은, 내부에 데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각 데크에 엔진(31), 발전엔진, 보일러, 엔진(31) 또는 발전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룸(30)은, 상부 갑판(1a) 기준으로 제1 데크(First Deck; 부호 도시하지 않음), 제2 데크(Second Deck; 부호 도시하지 않음), 제3 데크(Third Deck; 부호 도시하지 않음), 제4 데크(Forth Deck; 부호 도시하지 않음) 순으로 데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4 데크의 하측에는 선체최하부분(Floor)가 더블헐(Double hull)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엔진(31) 및 발전엔진은 제3 데크 또는 제4 데크에 걸쳐 배치될 수 있고, 보일러는 제2 데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데크에는 엔진룸(30) 내부의 공기가 서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Opening; 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고, 엔진룸(30) 내부의 공기 순환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추가 홀(additional Hole; h)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 및 추가 홀은 엔진룸(30)에서 연돌(10)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추가 홀(h)은, 개구부 대비 40 내지 50%의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2%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엔진룸(30)과 연돌(10)에 구비되는 데크들 상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총 넓이는 대략 28m2 (제곱미터)의 넓이를 가질 수 있으며, 추가 홀(h)의 총 넓이는 대략 12m2 (제곱미터)의 넓이를 가질 수 있어, 엔진룸(30)과 연돌(1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개구부 및 추가홀(h)의 총 넓이는 약 40m2(제곱미터)의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서는 A-데크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엔진룸(3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종래보다 더 증가하게되어(대략 40%), 가스연소장치(1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연돌(10)에 선박(1) 외부 공기를 가스연소장치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실의 설치를 배제하고 연돌 내부 공기로만으로 가스연소장치(10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화물창(40)은, 선박(1) 내부의 엔진룸(30)의 전방에 위치하고, 운송하기 위한 목적물을 저장하며, 선박(1)의 종류에 따라 선적하는 저장물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NG 운반선인 경우 화물창(40)에는 독립형 또는 멤브레인형 탱크가 구비되어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고, 컨테이너 운반선인 경우 화물창(40)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선적될 수 있다.
화물창(40)은, 저장물을 선적후 상측에 해치커버(41)를 배치하여, 화물창(4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고, 목적지에 도착시에는 해치커버(41)를 제거하여 목적지에 저장물을 하역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1)은, 연돌(10)의 구조 및 설계가 단순해지고 연돌(10)의 공수가 적게 들어 구축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1a: 상부 갑판
10: 연돌 11: A-Deck
12: B-Deck 13: C-Deck
14: D-Deck 15: 루버(Louver)
16: 배기덕트 20: 선실
30: 엔진룸 31: 추진엔진
32: 프로펠러 축 33: 프로펠러
40: 화물창 41: 해치커버
100: 가스연소장치 110: 하우징
111: 연소케이스 111a: 희석공기유입홀
111b: 연소공기유입홀 112: 디플렉터
120: 연소기 130: 팬
140: 에어 챔버 150: 증발가스 저장탱크
151: 증발가스 공급조절밸브 152: 증발가스 공급라인
ac: 연소공기 ad: 희석공기
h: 추가홀

Claims (9)

  1.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돌;
    선박 내부의 상기 연돌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선박을 추진시키는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룸; 및
    상기 연돌 내부에 구비되며,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통해 증발가스를 연소하여 소각하는 가스연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연돌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상기 가스연소장치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소장치는 연소공기와 희석공기를 통해 증발가스를 연소하고,
    상기 팬은, 상기 연소공기와 상기 희석공기를 통합하여 상기 가스연소장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소장치는,
    상기 연소공기와 상기 희석공기를 통해 증발가스를 연소하여 소각하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로 상기 연소공기와 상기 희석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챔버; 및
    상기 에어챔버로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챔버는,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상기 연소공기와 상기 희석공기로 나누어 상기 연소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다면체로 형성되는 상기 에어 챔버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측면, 각각에 두 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다면체로 형성되는 상기 에어 챔버의 정면, 상기 정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면, 상기 정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하여 연장되는 좌면 및 상기 좌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우면 각각에 한 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내부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장치는,
    루버(Louver)이며, 상기 연돌의 상기 가스연소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선박의 후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과 상기 연돌을 구획하는 상부 갑판;
    상기 엔진룸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엔진룸 데크; 및
    상기 연돌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연돌 데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갑판, 상기 엔진룸 데크 및 상기 연돌 데크는,
    상기 엔진룸의 내부 공기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를 순환하기 위한 개구부(Opening); 및
    상기 엔진룸 또는 상기 연돌의 내부 공기 순환양을 증가시키는 추가 홀(additional Hol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홀은,
    상기 개구부 대비 40 내지 50%의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60049208A 2016-04-22 2016-04-22 선박 KR10217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208A KR102179795B1 (ko) 2016-04-22 2016-04-22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208A KR102179795B1 (ko) 2016-04-22 2016-04-22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35A true KR20170120835A (ko) 2017-11-01
KR102179795B1 KR102179795B1 (ko) 2020-11-17

Family

ID=6038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208A KR102179795B1 (ko) 2016-04-22 2016-04-22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349A (ko) * 2021-10-12 2023-04-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암모니아처리시스템
KR20230082233A (ko) * 2021-12-01 2023-06-08 한화오션 주식회사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03B1 (ko) * 2005-03-18 2007-02-12 사케 지엠비에잇지 보일-오프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기유니트를 갖는액화가스 탱커
KR20130019760A (ko) * 2011-08-17 2013-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불완전 연소 가스 배출장치 및 배출 시스템
KR101380566B1 (ko) * 2012-09-27 2014-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배기 장치
KR20140137621A (ko) * 2013-05-23 201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선박의 가스연소유닛
KR20160016093A (ko) * 2014-08-04 2016-0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03B1 (ko) * 2005-03-18 2007-02-12 사케 지엠비에잇지 보일-오프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기유니트를 갖는액화가스 탱커
KR20130019760A (ko) * 2011-08-17 2013-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불완전 연소 가스 배출장치 및 배출 시스템
KR101380566B1 (ko) * 2012-09-27 2014-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배기 장치
KR20140137621A (ko) * 2013-05-23 2014-1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선박의 가스연소유닛
KR20160016093A (ko) * 2014-08-04 2016-0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설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349A (ko) * 2021-10-12 2023-04-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암모니아처리시스템
KR20230082233A (ko) * 2021-12-01 2023-06-08 한화오션 주식회사 이동식 가스소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795B1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18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JP6869353B2 (ja) ガス燃料推進コンテナ運搬船
KR101780115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JP6901567B2 (ja) ガス燃料推進コンテナ運搬船
JP7016978B2 (ja) 船舶
KR20170120835A (ko) 선박
JP6388150B2 (ja) Lng船
KR102076411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80036240A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177571B1 (ko) 선박
KR102297873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028819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30073066A (ko) 가스연료 추진선박
WO2023210390A1 (ja) アンモニア燃料船
KR102603753B1 (ko) 선박
KR102385753B1 (ko) 가스연소유닛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077914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102297871B1 (ko) 이중연료 엔진을 구비하는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543436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077913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JP2023170352A (ja) 船舶
KR20220074457A (ko) 셔틀탱커의 벤틸레이션 시스템
KR20190114488A (ko) 선박의 불활성가스 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20210026129A (ko) 폭발에 안전한 구조를 가지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