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687B1 -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687B1
KR101826687B1 KR1020160078008A KR20160078008A KR101826687B1 KR 101826687 B1 KR101826687 B1 KR 101826687B1 KR 1020160078008 A KR1020160078008 A KR 1020160078008A KR 20160078008 A KR20160078008 A KR 20160078008A KR 101826687 B1 KR101826687 B1 KR 10182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heat exchanger
lng
cargo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172A (ko
Inventor
유병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6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pressu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17C2227/0341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48Wate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89Method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를 연료로 운항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있어서,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탱크를 운용하는, 구체적으로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탱크 내압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은, LNG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마련되며 LNG 연료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 상기 LNG 연료탱크에 저장되는 LNG보다 높은 온도로 저장되는 액화가스 화물을 저장하는 화물탱크;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펌프를 이용하여 액체상태로 흡입한 액화가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LNG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 LNG를 공급하는 LNG 냉매라인;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액화가스 냉각라인;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액화가스 회송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펌프로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함으로써 상기 화물탱크 내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Cargo Tan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Liquefied Gas Carrier}
본 발명은 LNG를 연료로 운항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있어서,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탱크를 운용하는, 구체적으로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탱크 내압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운항 중에 발생하는 SOx, NOx, CO2 등 환경오염 물질의 감소 요구가 증가하고, 이러한 환경 문제와 선박 및 배기가스 배출 관련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기존의 연료유(fuel oil)가 아닌 청정연료인 LNG(Liquefied Natural Gas)를 추진 연료로 운항하는 선박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LNG를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은 LNG의 연료화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있어야 한다.
LNG를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LNG 연료 탱크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연료를 액화상태의 천연가스인 LNG로 저장하게 되고, LNG를 연료로 사용하기 전에 기화시키게 되며, 이 때 발생하는 냉동 열은 모두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LPG(Liquefied Petroleum Gas)나 LEG(Liquefied Ethane Gas), 액화 이산화탄소와 같은 액화가스 운반선은 운항 중에 외부의 열 침입 등에 의해 액화가스가 자연 기화함으로써 액화가스 화물탱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재액화장치를 마련하여 이러한 기화가스를 재액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즉, 액화가스를 운반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경우, 화물탱크의 내압을 유지하기 위해 항해 및 액체화물의 적하역 시에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처리하는 설비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83557호 (2012.12.18. 공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운반선(2000)에 있어서, 액화가스 화물탱크(30)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배출라인(BL)을 통해 배출시켜 컴프레서(compressor)(31)에서 압축한 후, 열교환 장치(20)에서 냉각시켜 액체라인(GL)을 통해 화물탱크(30)로 재공급하는 재액화장치를 포함하고, 이 때, 열교환 장치(20)에서 압축된 증발가스를 냉각시키는 냉열원으로써 LNG 연료탱크(10)로부터 엔진(40)으로 공급되는 LNG를 이용하여, LNG는 가열 내지는 기화시키고, 압축된 증발가스는 냉각 내지는 액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컴프레서는 상대적으로 CAPEX 및 OPEX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는 화물탱크(30)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엔진 및 그 밖의 소비처에 공급하거나 GCU(Gas Combustion Unit)에서 연소시키거나 벤팅(Venting)시켜서 처리하거나 또는 화물탱크(30)의 설계압력을 높게 설정하여 증발가스가 화물탱크(30) 내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상용화되고 있으나, 화물탱크(30)의 무게 증가로 인한 전체적인 선박 가격의 증가, 충분한 증발가스 처리 용량이 부족하여 추가 장비 비용이 증가한다는 증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LNG 운반선에서, 액체상태의 LNG를 뽑아내고 별도의 N2 냉매 사이클에 의해 냉각시킨 후 탱크 상부로 스프레이하는 기술 역시 제안된 바 있지만, 마찬가지로 N2 냉매 사이클에서도 컴프레서, 터빈(Turbine) 등의 동력 장치가 필요하므로 비용이 매우 많이 들고, 전력 소모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고가의 재액화장치를 LNG보다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적은 에탄이나 LPG, CO2 등을 운반하는 운반선에 적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부족하여 실제 선박에는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LNG를 제외하고 LNG보다 액화온도가 높아 LNG보다 높은 온도로 저장되는 액체화물을 운반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서, 액화가스 화물탱크를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LNG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마련되며 LNG 연료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 상기 LNG 연료탱크에 저장되는 LNG보다 높은 온도로 저장되는 액화가스 화물을 저장하는 화물탱크;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펌프를 이용하여 액체상태로 흡입한 액화가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LNG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 LNG를 공급하는 LNG 냉매라인;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액화가스 냉각라인;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액화가스 회송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펌프로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함으로써 상기 화물탱크 내압을 조절할 수 있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물탱크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 및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LNG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 조절 수단은,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 조절 수단은, 상기 LNG 냉매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LNG 우회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LNG 우회라인의 유량을 더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화가스 회송라인을 통해 화물탱크로 재공급되는 냉각된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 및 상기 온도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 조절 수단은, 상기 온도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의 운전을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 조절 수단은, 상기 액화가스 냉각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은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액화가스 분기라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화물탱크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물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운반선 외부로 하역하는 액화가스 하역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화가스 하역라인은 상기 액화가스 냉각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액화가스의 하역 중에 상기 화물탱크 내압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반선 외부로부터 상기 화물탱크로 액화가스를 선적하는 액화가스 선적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화가스 선적라인은 상기 액화가스 냉각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액화가스의 선적 중에 상기 화물탱크 내압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화가스 화물은, 상기 LNG 연료보다 높은 온도로 저장되는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에탄가스(Liquefied Ethane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액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액화가스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화물탱크에 저장된 액체상태의 액화가스 및 LNG 연료탱크에 저장된 LNG 연료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열교환기에서 LNG 연료에 의해 냉각시킨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펌프로 흡입하여 열교환기에서 냉각시킨 후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함으로써 상기 화물탱크의 내압을 조절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NG 연료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LNG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LNG 연료를 액체 또는 기체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액화가스를 냉각시킨 LNG 연료를 상기 엔진의 연료로 공급하거나 상기 LNG 연료탱크로 재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물탱크의 내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압력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측정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측정압력이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냉각시킨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온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정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냉각시킨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온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정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펌프의 유량을 증가시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열교환기 전단에서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은 감소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액화가스의 유량은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화가스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외부로 하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로 하역하는 액화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냉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화가스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선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화물탱크로 선적하는 액화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화가스 운반선의 항해 중에 열 침입 등에 의해 화물탱크 내압이 증가하여 설계압력보다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컴프레서를 사용하지 않아 CAPEX 및 OPEX를 종래 기술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LNG보다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낮은 액화가스를 운반하는 운반선에도 실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물탱크로 회송되는 액화가스의 온도가 화물탱크의 설계 온도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물탱크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LNG와 액화가스의 열교환을 별도로 마련된 열교환기에서 실시하므로 LNG가 누출되어 액화가스와 혼합되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액화에탄가스, 액화에틸렌가스 등 친환경적인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압력 조절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간략하게 도시한다.
도 9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간략하게 도시한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은, 하나 이상의 화물탱크가 마련되어 액화가스를 화물로써 운반하고, 액화가스 화물의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을 구비한 운반선으로써, 특히 LNG를 엔진의 연료로 하여 운항하는 운반선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액화가스는 운반선으로 운반되는 액화가스 화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운반선의 연료로 사용되는 LNG와 구별되며, LNG 연료의 저장온도 내지는 액화 온도, 예를 들어 대기압하에서 약 -163℃보다 높은 액화점을 갖고, LNG 연료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저장되는 액화가스이며, 예를 들어,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에탄가스(Liquefied Ethane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액화이산화탄소(Liquefied Carbon Diox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래기술과 비교한 것으로, 이하 도 2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은, 액화가스 운반선(1000)에 마련되며, 엔진(400)으로 공급할 LNG 연료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100), LNG 연료탱크(100)에 저장된 LNG 연료를 엔진(400)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시스템, LNG 연료탱크(100)에 저장되는 LNG보다 높은 온도로 저장되는, 예를 들어 LPG 화물이 저장되는 액화가스 화물탱크(300)를 포함한다.
또한, 화물탱크(300)에 저장된 액화가스와 LNG 연료탱크(100)에 저장된 LNG 연료를 열교환시켜 액화가스는 냉각시키고, LNG 연료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200)를 포함하고, 열교환기(200)로 공급할 화물탱크(300)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가스를 액체상태로 흡입하는 펌프(310), 펌프(310)로 흡입한 액체상태의 액화가스 화물을 열교환기(200)로 공급하는 액화가스 냉각라인(CL1) 및 LNG 연료를 열교환기(200)로 공급하는 LNG 냉매라인(FL1)이 열교환기(2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열교환기(200)에서 LNG 연료에 의해 냉각된 액화가스는 액화가스 회송라인(CL2)을 통해 화물탱크(300)로 재공급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탱크(300)에 LNG보다 높은 온도로 저장된 액화가스를, 펌프(310)를 이용하여 액체상태로 흡입하고,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열교환기(200)로 공급하여 LNG 연료탱크(100)로부터 공급된 LNG 연료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킨 후, 다시 화물탱크(300)로 재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화물탱크(300)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의 액화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그에 따라 압력을 떨어뜨려 액화가스가 자연기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화물탱크(3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화가스 운반선의 화물탱크에서는 저온으로 저장되는 액화가스가 외부의 열 침입 등에 의해 자연기화하여 증발가스(Boil Off Gas)가 다량 발생하게 되고, 증발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탱크 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위험하므로,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이를 배출시켜 재액화시키거나 태워버리는 등 다양한 처리 장치가 운반선에 탑재된다. 이와 더불어, 화물탱크는 일정 수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압력을 다소 높게 설정하여 설계 및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연기화한 증발가스를 배출시켜 재액화시키게 되면 기체상태의 증발가스를 액화시키기 위해 컴프레서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컴프레서는 펌프에 비해 CAPEX, OPEX를 증가시키고, 펌프보다 더 많은 동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액화가스 자체에 가해지는 열량 또한 크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증발가스를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압축시켜 재액화시키는 대신, 화물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펌프(310)를 이용하여 흡입하고 열교환기(200)에서 LNG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LNG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는 경우, 컴프레서(31)를 이용하는 대신 펌프(310)를 활용함으로써 장비 비용(CAPEX)가 줄어들고, 전력 소모가 감소하여 운영 비용(OPEX)이 감소하며, 컴프레서 또는 펌프에 의해 추가로 가해지는 에너지에 의한 냉각 효율 손실이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에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LPG를 예로 들어 실시하였다.
더 구체적으로는, 약 -133.1℃, 약 650kPa의 LNG 연료를 약 1,002kg/hr의 유량으로 열교환기(200)로 공급하여 약 -50℃로 가열하여 엔진의 연료로 공급하고자 하는 동일한 조건일 때,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프레서(31)를 이용하여 증발가스를 압축 및 재액화시켜 화물탱크로 재공급한다면, 약 -41.15℃, 약 106kPa, 기체상태(Vapor Fraction = 1.00)의 LPG가 질량유량으로는 약 1,300kg/hr, 부피유량으로는 약 517.9m3/hr만큼 재액화 시킬 수 있고, 이때 기체상태의 LPG를 압축시키기 위해 필요한 컴프레서(31)의 동력은 약 22.80kW이 소모됨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 즉, 약 -133.1℃, 약 650kPa의 LNG 연료를 약 1,002kg/hr의 유량으로 열교환기(200)로 공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약 -41.15℃, 약 106kPa, 액체상태(Vapor Fraction = 0.00)의 LPG를 펌프(310)를 이용하여 열교환기(200)로 공급하여 도 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양의 열교환을 실시한다면, 즉, LNG의 온도를 동일하게 -50℃로 가열시키면서 열교환을 하는 경우, LPG는 열교환기(200)에서 LNG 연료와의 열교환으로 약 -46.92℃로 냉각되며, 질량유량으로는 약 4.880e+004kg/hr, 부피유량으로는 약 84.10m3/hr만큼이 펌프(310)를 이용하여 공급되어야 한다. 이때 열교환기(200)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펌프(310)의 동력은 약 6.229kW 정도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본원발명에 따르면,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펌프(310)를 이용하여 흡입하여 LNG 연료와 열교환 시킴으로써 동일한 조건의 LNG 연료를 엔진(400)으로 공급하기 위해 기체상태의 증발가스를 컴프레서로 압축한 후 LNG 연료와 열교환 시키는 것에 비해 훨씬 적은 동력으로, 화물탱크(300)의 내부 온도를 낮추고 내압이 상승하는 것, 즉 액화가스가 자연기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펌프(310)의 장비 비용이 컴프레서의 장비 비용보다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훨씬 적은 비용으로 화물탱크(300)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화에탄가스를 예로 들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는, 액화에탄가스를 예로 들어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도시하였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프레서(31)를 이용하여 액화에탄가스의 증발가스를 압축하여 LNG 연료와 열교환시킬 때에 필요한 컴프레서(31)의 동력은 약 34.36kW인데 반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310)를 이용하여 액체상태의 액화에탄가스를 흡입한 후 LNG 연료와 열교환시킬 때에, 동일한 유량, 동일한 온도 및 압력 조건의 LNG 연료를 동일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데 필요한 펌프(310)의 동력은 약 12.33kW에 불과하므로, 동력 절감 효과 및 냉각 효율 손실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200)에서 액화가스와 열교환한 후 LNG 연료라인(FL2)을 통해 엔진(400)의 연료로 공급되는 LNG 연료는 필요에 따라 기화기(201)를 더 통과하여 엔진(400)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 온도에 맞게 추가 가열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는 액체상태일 수도 있고 기체상태일 수도 있다. 즉, 열교환기(200)에서 액화가스를 냉각시키는 냉매로써의 LNG 연료는 액체상태의 LNG(Liquefied Natural Gas) 또는 기체상태의 NG(Natural Gas)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상태의 LNG를 열교환기(200)로 공급하는 연료펌프(P)가 LNG 연료탱크(100) 내부 또는 외부에 더 마련될 수 있고, 또는, 기체상태의 NG를 열교환기(200)로 공급하는 컴프레서(C)가 LNG 냉매라인(FL1)에 더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연료펌프(P) 및 컴프레서(C)는 둘 중 어느 하나만을 마련하여 열교환기(200)로 액체상태의 LNG 연료 또는 기체상태의 NG 연료만을 공급할 수도 있고, LNG 연료탱크(100)와 열교환기(200)를 연결하는 연료펌프(P)를 포함하는 배관라인과 컴프레서(C)를 포함하는 배관라인 모두를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LNG와 NG를 선택적으로 열교환기(200)로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연료펌프(P)와 컴프레서(C)를 모두가 마련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도 3 내지 도 7에는 연료펌프(P)를 이용하여 액체상태의 LNG를 열교환기(300)로 공급하는 LNG 냉매라인(FL1)만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열교환기(200)에서 LNG 연료와 열교환한 후 냉각된 액화가스는 액화가스 회송라인(CL2)을 통해 화물탱크(300)로 재공급될 수 있는데, 액화가스 회송라인(CL2)은 화물탱크(300) 내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냉각된 액화가스를 화물탱크(300) 상부에서 분사 공급하도록 하는 액화가스 상부 회송라인(CL2a), 화물탱크(300) 내부의 하부로 연장되어 냉각된 액화가스를 화물탱크(300)에 저장된 액화가스 중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액화가스 하부 회송라인(CL2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액화가스 운반선(1000)은 액체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액화가스를 운반선(1000)의 화물탱크(300)로 선적하거나, 화물탱크(300)로부터 외부로 하역할 수 있도록 적하역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액체화물을 운반선으로 공급하는 외부는 육상의 액화가스 터미널 또는 액화가스를 필요로 하는 또 다른 선박일 수 있다.
액화가스 운반선(1000)으로 액화가스를 선적하거나 운반선(1000)으로부터 액화가스를 하역하는 중에는 특히 더 많은 양의 자연기화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액화가스의 적하역 시 발생하는 대량의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증발가스 처리 장치 또한 대용량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종래기술에 의하면 컴프레서의 부담이 더 커지게 마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화가스를 외부로 하역하는 액화가스 하역라인(UL) 또는 외부로부터 운반선으로 액화가스를 선적하는 액화가스 선적라인(LL)은 상술한 액화가스 냉각라인(CL1)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즉, 선적라인(LL)을 통해 화물탱크(300)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열교환기(200)에서 LNG 연료에 의해 냉각된 후 액화가스 회송라인(CL2)을 통해 화물탱크(300)로 선적될 수 있다. 또는, 하역라인(UL)을 통해 화물탱크(300)로부터 외부로 하역되는 액화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열교환기(200)에서 LNG 연료에 의해 냉각된 후 화물탱크(300)로 재주입될 수 있다. 즉, 액화가스의 적하역 시 적어도 일부의 액화가스를 냉각시켜 공급하게 되므로, 적하역 시 액화가스가 외부 열에 의해 가열되어 쉽게 기화함으로써 운반선(1000)의 화물탱크(300) 내압 또는 운반선(1000)으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는 측의 화물탱크 내압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고 따라서 화물 손실량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탱크(300)의 내압을 조절하기 위해 LNG 연료와 액화가스를 열교환시켜 액화가스는 냉각시키고, LNG 연료는 가열시켜 엔진의 연료로 공급할 수 있는데,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화물탱크(300)의 내압 내지는 온도를 조절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탱크(300)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PT)와 압력측정기(PT)에서 측정한 측정압력을 이용하여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200)로 LNG 연료를 공급하는 LNG 냉매라인(FL1)에는 LNG 냉매라인(FL1)을 흐르는 LNG 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 밸브(V1)가 마련될 수 있고, LNG 냉매라인(FL1)으로부터 분기되어 열교환기(200)를 우회하는 LNG 우회라인(FL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LNG 우회라인(FL1a)에는 LNG 우회라인(FL1a)을 흐르는 LNG 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 밸브(V1)가 마련될 수 있으며, LNG 우회라인(FL1a)은 LNG 냉매라인(FL1)으로부터 열교환기(200) 전단에서 분기되고 열교환기(200) 후단, 기화기(201) 전단에서 합류될 수 있다.
제1 밸브(V1) 및 제2 밸브(V2)는 LNG 냉매라인(FL1) 및 LNG 우회라인(FL1a)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고, LNG 냉매라인(FL1)으로부터 LNG 우회라인(FL1a)이 분기되는 지점에 삼방밸브(3-way valve)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압력측정기(PT)에서 측정한 화물탱크(300)의 내압이 설정값, 즉 작업자가 화물탱크(300)의 설계압력과 안전범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한 값보다 크면, 제어부는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측정압력이 설정값 미만이면,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측정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증가시켜, 예를 들어 제1 밸브(V1)를 더 개방시키거나, 제2 밸브(V2)를 더 폐쇄하여 LNG 냉매라인(FL1)으로 흐르는 LNG 연료의 유량은 증가시키거나, LNG 우회라인(FL1a)으로 흐르는 LNG 연료의 유량은 감소시킴으로써, 열교환기(200)에서 냉각되어 화물탱크(300)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더 낮춤으로써 화물탱크(300)의 내압이 설정값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 측정압력이 설정값 미만이면, 제1 밸브(V1) 및 제2 밸브(V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열교환기(200)에서 냉각되어 화물탱크(300)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온도 감소량을 줄여, 액화가스의 온도가 불필요하게 낮아지거나 너무 많은 양의 액화가스가 냉각되지 않도록 한다.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200)에서 냉각되어 화물탱크(300)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TT)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온도측정기(TT)에서 측정한 측정온도와 설정값을 비교하여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온도측정기(TT)의 측정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제어부는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1 밸브(V1)를 더 폐쇄시키거나, 제2 밸브(V2)를 더 개방하여 LNG 냉매라인(FL1)으로 흐르는 LNG 연료의 유량을 감소시키거나, LNG 우회라인(FL1a)으로 흐르는 LNG 연료의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열교환기(200)에서 냉각되어 화물탱크(300)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온도 감소량을 줄여, 액화가스의 온도가 불필요하게 낮아지거나 너무 많은 양의 액화가스가 냉각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액화가스가 LPG인 경우 화물탱크의 설정온도는 약 -55℃ 내지는 -50℃ 일 수 있다. 즉, 측정온도가 -55℃ 이하이면, 제어부는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 또는 LPG의 유량을 조절하여 열교환기(200)를 통과하여 액화가스 회송라인(CL2)을 통해 화물탱크(300)로 재공급되는 LPG의 온도가 항상 일정 온도 이상 수준을 유지할 수 있어, LPG 화물탱크(300)는 설계 온도보다 항상 높게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화물탱크(300)가 설계 온도 이하의 저온에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측정기(TT)의 측정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제어부는 펌프(310) 운전을 조절하여 펌프(310)에 의해 흡입되어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열교환기(200)에서 액화가스가 냉각되는 정도를 작게 하여 액화가스 회송라인(CL2)을 통해 화물탱크(300)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온도가 설정값보다 낮아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화가스 냉각라인(CL1)으로부터 열교환기(200) 전단에서 분기되어, 펌프(310)로 흡입된 액체상태의 액화가스 중 적어도 일부를 열교환기(200)를 통과하지 않고 다시 화물탱크(300)로 재공급하는 액화가스 분기라인(CL1a)을 더 마련하여, 제어부는 온도측정기(TT)의 측정온도가 설정값보다 낮으면 액화가스 분기라인(CL1a)으로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액화가스 분기라인(CL1a)에는 액화가스 분기라인(CL1a)을 흐르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3 밸브(V3)가 더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는 제3 밸브(V3)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열교환기(200)로 공급되지 않고 화물탱크(200)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은 상술한 압력측정기(PT)와 온도측정기(TT)를 모두 포함하여, 제어부가 측정압력과 측정온도를 각각 설정값과 비교하여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 또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압력측정기(PT) 및 온도측정기(TT)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압력측정기(PT) 내지는 온도측정기(TT)의 측정값에 따른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 조절 또는 액화가스의 유량 조절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고, 복합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며, 또한, 제어부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따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압력측정기(PT) 내지는 온도측정기(TT)의 측정값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 또는 이하가 되지 않도록 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 내지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1 밸브(V1), 제2 밸브(V2), 제3 밸브(V3) 및 펌프(310) 등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은 컴프레서를 사용하지 않고 액화가스 화물탱크 내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비비용과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선적 또는 하역 시에도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선적 및 하역되는 액화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킴으로써 화물탱크 내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화물탱크 내압을 측정하여 액화가스와 열교환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열교환하여 냉각된 후 화물탱크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화물탱크의 내압이 설계압력보다 높아지거나 화물탱크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온도가 화물탱크의 설계온도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LPG, 액화에탄가스, 액화에틸렌가스, 액화이산화탄소 등 LNG 보다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낮아 고가의 장비와 운영비를 필요로하는 재액화장치를 설치하기에 는 경제성이 떨어져 실제 적용하기가 어려웠던 액화가스 운반선에도 장비비용과 운영비가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0 : 액화가스 운반선
100 : LNG 연료탱크
200 : 열교환기
300 : 화물탱크
310 : 펌프
400 : LNG 연료 엔진
FL1 : LNG 냉매라인
FL2 : LNG 연료라인
CL1 : 액화가스 냉각라인
CL2 : 액화가스 회송라인
UL : 액화가스 하역라인
LL : 액화가스 선적라인

Claims (19)

  1. LNG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에 마련되며 LNG 연료를 저장하는 LNG 연료탱크;
    상기 LNG 연료탱크에 저장되는 LNG보다 높은 온도로 저장되는 액화가스 화물을 저장하는 화물탱크;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펌프를 이용하여 액체상태로 흡입한 액화가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LNG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 LNG를 공급하는 LNG 냉매라인;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액화가스 냉각라인;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액화가스 회송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펌프로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함으로써 상기 화물탱크 내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화물탱크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운반선 외부로 하역하는 액화가스 하역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화가스 하역라인은 상기 액화가스 냉각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액화가스의 하역 중에 상기 화물탱크 내압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물탱크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 및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LNG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수단은,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수단은,
    상기 LNG 냉매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LNG 우회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LNG 우회라인의 유량을 더 조절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회송라인을 통해 화물탱크로 재공급되는 냉각된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 및
    상기 온도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수단은,
    상기 온도측정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의 운전을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수단은,
    상기 액화가스 냉각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은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액화가스 분기라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화물탱크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2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운반선 외부로부터 상기 화물탱크로 액화가스를 선적하는 액화가스 선적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화가스 선적라인은 상기 액화가스 냉각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액화가스의 선적 중에 상기 화물탱크 내압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10. 청구항 2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화물은,
    상기 LNG 연료보다 높은 온도로 저장되는 LPG(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에탄가스(Liquefied Ethane Gas), 액화에틸렌가스(Liquefied Ethylene Gas), 액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액화가스인,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11. 화물탱크에 저장된 액체상태의 액화가스 및 LNG 연료탱크에 저장된 LNG 연료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열교환기에서 LNG 연료에 의해 냉각시킨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펌프로 흡입하여 열교환기에서 냉각시킨 후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함으로써 상기 화물탱크의 내압을 조절하며,
    상기 액화가스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부터 외부로 하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로 하역하는 액화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LNG 연료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LNG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LNG 연료를 액체 또는 기체상태로 공급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액화가스를 냉각시킨 LNG 연료를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엔진 연료로 공급하거나 상기 LNG 연료탱크로 재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화물탱크의 내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압력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측정압력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측정압력이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냉각시킨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온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정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LNG 연료의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하는 냉각시킨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온도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정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펌프의 유량을 증가시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측정온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열교환기 전단에서 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화물탱크로 재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은 감소시키고,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액화가스의 유량은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
  18. 삭제
  19. 청구항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를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액화가스를 상기 화물탱크로 선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화물탱크로 선적하는 액화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방법.
KR1020160078008A 2016-06-22 2016-06-22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82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08A KR101826687B1 (ko) 2016-06-22 2016-06-22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08A KR101826687B1 (ko) 2016-06-22 2016-06-22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72A KR20180000172A (ko) 2018-01-02
KR101826687B1 true KR101826687B1 (ko) 2018-02-07

Family

ID=6100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008A KR101826687B1 (ko) 2016-06-22 2016-06-22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499A (ko) * 2018-09-20 2020-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503A (ko) * 2018-09-20 2020-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498A (ko) * 2018-09-20 2020-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311B1 (ko) * 2018-09-20 2023-11-13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62163B1 (ko) * 2019-04-18 2020-10-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에틸렌 서브쿨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499A (ko) * 2018-09-20 2020-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503A (ko) * 2018-09-20 2020-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498A (ko) * 2018-09-20 2020-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40037B1 (ko) * 2018-09-20 2023-06-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441B1 (ko) * 2018-09-20 2023-06-05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01310B1 (ko) * 2018-09-20 2023-11-13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72A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687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JP5227000B2 (ja) Lng貯蔵タンク
EP3309442B1 (en) Fuel gas supply system
KR100814593B1 (ko) Lng 저장탱크 내에서의 증발가스 발생 저감 방법
KR20160088183A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28063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선박
JP2017507079A (ja) 蒸発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403435B (zh) 液化天然气储藏/搬运船及液化天然气储藏/搬运船的剩余气体产生抑制方法
KR101722372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70120862A (ko) 선박의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707509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32554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10077332A (ko) Lng 저장탱크의 증발가스 억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1429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632400B1 (ko) 선박용 가스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가스처리 방법
KR102548332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KR20150076824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CN110167837B (zh) 燃料气体供应系统
KR101751858B1 (ko) 선박용 증발가스 처리 방법
KR101751857B1 (ko) 선박용 증발가스 처리 방법
KR20190041859A (ko) Lng연료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101732551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681719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제어시스템
KR102387174B1 (ko) 익스펜더를 활용한 bog 관리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16615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